KR20100081648A - 각도조절 브래킷 - Google Patents

각도조절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1648A
KR20100081648A KR1020090000976A KR20090000976A KR20100081648A KR 20100081648 A KR20100081648 A KR 20100081648A KR 1020090000976 A KR1020090000976 A KR 1020090000976A KR 20090000976 A KR20090000976 A KR 20090000976A KR 20100081648 A KR20100081648 A KR 20100081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adjustment
rotation
arc portion
angle
adjustmen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규
Original Assignee
김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규 filed Critical 김성규
Priority to KR1020090000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1648A/ko
Publication of KR20100081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16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76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86Bear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93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앵커체의 인장방향에 따라 각도조절이 가능한 어스 앵커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착시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지반 내에 삽입고정되는 어스앵커(earth anchor)를 고정하기 위해 띠장(1)에 의해 지지되는 어스앵커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회전반경(R)인 원호부(11)를 포함하고 상기 원호부(11)의 회전중심에 고정홀(12)을 구비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판(10); 강선(2)이 통과할 수 있게 내부가 빈 중공부를 구비한 긴 통형부재로서, 상단에서 상기 원호부의 회전반경(R)만큼 이격한 거리에 회전중심홀(21)을 구비하여 상기 한 쌍의 측판(10) 사이에서 상기 고정홀(12)과 회전중심홀(21)의 볼트 결합에 의해 자유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각도조절봉(20); 및 강선(2)이 통과할 수 있게 상기 중공부와 연통하는 관통부(31)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조절봉(20)의 상단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상기 원호부(11)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부플레이트(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브래킷을 제공한다.
각도조절, 브래킷, 어스앵커

Description

각도조절 브래킷{Angle adjustment bracket}
본 발명은 앵커체의 인장방향에 따라 각도조절이 가능한 어스 앵커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착시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지반 내에 삽입고정되는 어스앵커(earth anchor)를 고정하기 위해 띠장(1)에 의해 지지되는 어스앵커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건축 현장의 터파기 공사나 기초공사에서 급경사의 굴착공을 형성할 때 토류벽이 굴착공쪽으로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어스 앵커 공법이 많이 이용된다.
어스 앵커 공법은 지반에 H형 강재 등을 이용한 엄지말뚝을 박고 지정된 지반을 굴착한 후에 각각의 엄지말뚝 사이에 토류판을 삽입하여 토류벽을 형성한 후 토류벽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으로 천공을 실시하고, 천공부에 앵커체를 박은 후에 정착장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그라우팅을 실시하여 앵커체를 고정시킨다. 일반적으로 앵커체는 굴착공의 바닥면 모서리와 지반 사이에 토질에 따른 설계기준에 의해 가상붕괴선을 설정한 후 천공각과 만나는 부분을 기준으로 자유장과 정착장으로 구분되며 통상 1차 그라우팅은 정착장에 대해 실시된다.
그라우팅의 양생이 완료되면 앵커체의 자유장에 인장력을 가하여 토류벽의 띠장(1)에 설치된 브래킷에 고정하며, 이를 위해 앵커체의 자유장을 브래킷에 형성된 인출공을 통과시킨 후에 상기 인출공보다 큰 직경의 콘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앵커체를 브래킷에 고정시킨 후에는 천공부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2차 그라우팅을 실시하여 시공을 마치게 되며, 이를 통해 앵커체의 인장력이 토압에 대응하여 토류벽을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어스 앵커 공법에서 앵커체의 자유장에 인장력을 가하여 고정하는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에 많이 사용되던 브래킷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는 단순히 앵커체를 단단히 고정시켜 주는 역할은 잘 할 수 있었으나, 브래킷의 경우에는 앵커체의 실제 인장방향과 브래킷의 기준 인장각도가 일치하지 않으면 앵커체를 절곡시켜 인출공을 통해 인출시킬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등록실용 제20-0421331호(도 1b 참조)처럼 인장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각도 조절 브래킷이 고안되어 인장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였으나, 이 또한 수동에 의해 인장각도를 맞춘 후에야 고정이 가능하여 숙련공에 의해야만 제대로 된 시공이 가능하여 그 사용에는 여전히 제한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숙련공이 아니더라도 손쉽게 인장체의 각도를 가능하게 하여 어스 앵커체가 인장력을 제대로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자유회전 가능한 각도조절봉을 구비하여 각도조절봉의 중공부를 관통하는 강선을 상단에서 당겨주기만 하면 각도조절봉의 자유회전에 의해 상단의 상부플레이트의 고정위치를 찾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앵커체의 인장방향에 따라 각도조절이 가능한 어스 앵커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착시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지반 내에 삽입고정되는 어스앵커(earth anchor)를 고정하기 위해 띠장(1)에 의해 지지되는 어스앵커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회전반경(R)인 원호부(11)를 포함하고 상기 원호부(11)의 회전중심에 고정홀(12)을 구비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판(10); 강선(2)이 통과할 수 있게 내부가 빈 중공부를 구비한 긴 통형으로 상단에서 상기 원호부의 회전반경(R)만큼 이격하여 회전중심홀(21)을 구비하여 상기 한 쌍의 측판(10) 사이에서 상기 고정홀(12)과 회전중심홀(21)의 볼트 결합에 의해 자유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각도조절봉(20); 및 강선(2)이 통과할 수 있게 상기 중공부와 연통하는 관통부(31)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조절봉(20)의 상단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상기 원호부(11)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부플레이트(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브래킷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게 되면,
첫째, 기존에 문제되던 인장체의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어스 앵커체가 인장력을 제대로 받을 수 있다.
둘째, 자동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므로 숙련공이 아니더라도 시공이 가능하며 더욱 정확하게 시공이 가능하다.
셋째, 인장체의 각도 조절을 정확하게 할 수 있으므로 브래킷이 받을 힘의 예측이 용이하여 브래킷의 경량화, 소형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굴착시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지반 내에 삽입고정되는 어스앵커(earth anchor)를 고정하기 위해 띠장(1)에 의해 지지되는 어스앵커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회전반경(R)인 원호부(11)를 포함하고 상기 원호부(11)의 회전중심에 고정홀(12)을 구비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판(10); 강선(2)이 통과할 수 있게 내부가 빈 중공부를 구비한 긴 통형부재로서, 상단에서 상기 원호부의 회전반경(R)만큼 이격한 거리에 회전중심홀(21)을 구비하여 상기 한 쌍의 측판(10) 사이에서 상기 고정홀(12)과 회전중심홀(21)의 볼트 결합에 의해 자유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각도조절봉(20); 및 강선(2)이 통과할 수 있게 상기 중공부와 연통하는 관통부(31)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조절봉(20)의 상단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상기 원호부(11)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부플레이트(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브래킷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플레이트(30)가 원호부(11)와 동일한 곡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플레이트(30)가 원호부(11)와 맞닿는 부분에 회전유도홈(3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도조절봉(20)이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압성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양 측판(10)의 내벽을 연결하는 보강재(5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측판(10)이 띠장(1)과 맞닿는 부분에 하중전달플레이트(40)를 구비하여 하중을 분산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양 측판(10) 사이의 내벽을 연결하면서 장착되어 띠장(1)에 걸릴 수 있도록 하는 띠장걸림턱(6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측판(10)의 외벽에는 원호부(11)를 따라 원호부(11)와 동일한 곡률을 갖는 측판보강재(7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양 측판(10)의 원호부(11) 사이에 고정되고, 길이방향 의 가이드홀(81)을 구비하여 상기 각도조절봉(20)이 가이드홀(81)을 따라 회전가능하며 상기 원호부(11)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회전유도레일(8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한다.
1.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 브래킷(100)은 측판(10)의 상단부에 원호부(11)를 구비하고 2개의 측판(10)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30)를 상기 원호부(1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앵커체의 설치방향에 따라 다양한 인장각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점에 기본적인 특징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 브래킷을 나타내는 개괄도이다. 도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인 각도조절 브래킷(100)은 굴착시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지반 내에 삽입고정되는 어스앵커(earth anchor)를 고정하기 위해 띠장(1)에 의해 지지되면서 설치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 브래킷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이에서 보듯이 본 발명은, 필수적 구성요소로 원호부(11)를 구비하고 고정홀을(12) 갖는 한 쌍의 측판(10), 중공부를 구비하고 회전중심홀(21)을 구비한 각도조절봉(20) 및 관통부(31)를 구비하는 상부플레이트(30)를 포함한다.
또한, 이에 추가하여 하중전달플레이트(40), 보강재(50), 띠장걸림턱(60), 또는 측판보강재(70)를 구비할 수 있다.
측판(10)은 한 쌍으로 구비되며, 세웠을 때를 기준으로 상단부에 서로 반대방향의 경사변을 가지는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변은 소정 회전반경(R)을 갖는 원호부(11)를 구비해야 한다.
도면은 측판(10)에서 일 측의 경사변은 원호형이고 반대쪽은 직선으로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고 양쪽 모두 원호형의 곡선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측판(10)은 상기 원호부(11)의 회전 중심에 고정홀(12)을 구비한다. 고정홀(12)은 이하 설명할 각조조절봉(20)이 자유회전 가능하게 볼트 결합하는 경우에 사용되게 된다.
각도조절봉(20)은 내부가 빈 중공부를 구비한 긴 통형 모양으로,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부로는 강선(2)이 관통하게 된다.
또한, 각도조절봉(20)은 양 측판(10) 사이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기 위해 상단에서 원호부의 회전반경(R)만큼 이격하여 회전중심홀(21)을 구비한다. 이하 설명하겠지만 각도조절봉(20)의 상단에는 상부플레이트(30)가 장착되고, 이는 원호부(11)를 따라 회전할 것이어서 각도조절봉(20)의 회전반경도 원호부(11)의 회전반경과 동일해야 하기 때문이다(도 7 참조). 상기 측판(10)과 각도조절봉(20)은 고정 홀(12)과 회전중심홀(21)을 통해 볼트결합 시킬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30)는 강선(2)이 통과할 수 있게 상기 중공부와 연통하는 관통부(31)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조절봉(20)의 상단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상기 원호부(11)를 따라 이동 가능해야 한다.
상부플레이트(30)는 일반적으로 판형이며 원호부(11)를 따라 회전하고, 원호부(11)와의 밀착도를 높이기 위해 원호부(11)와 동일한 곡률을 갖는 원호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부플레이트(30)가 원호부(11)와 맞닿는 부분에 회전유도홈(32)을 좌우로 나란하게 구비하여 원호부(11)와 밀착도를 높일 뿐 아니라 회전시 이탈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부플레이트(30)도 강선(2)이 관통되게 되므로 상기 중공부 연통하는 관통부(31)를 구비해야 한다. 관통부(31)는 각도조절봉(20)의 형상을 따라가는 것이 바람직하며 원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플레이트(30)는 앵커체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양 측판(10)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최대의 내압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앵커체의 인장방향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각도조절봉(20)이 강선(2)과 평행을 이룰 것이어서 상부플레이트(30)는 각도조절봉(20)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설치되면 된다. 일반적으로 용접에 의한 결합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상부플레이트(30)를 구비한 각도조절봉(20)과 측판(10)은 반드시 서로 결합되어 있어야 하는 것이 아니므로 평소에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가 측판(10)을 띠장(1)에 고정한 다음 앵커체에 인자력을 가하기 직전에 측판(10)의 원호부(11)에 상부플레이트(30)를 거치하고 앵처케를 인출한 후 인장기를 이용하여 인장력을 가할 수 있다.
각도조절 브래킷(100)은 상하로 이격되어 있는 띠장(1)에 걸쳐서 설치되므로 양 측판(10)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띠장(1)을 통해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양 측판(10)의 하단부가 직접 띠장에 접하는 것보다 양 측판(10)의 하단부가 서로 이격된 하중전달플레이트(40)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중전달플레이트(40)의 간격은 대략 띠장(1)의 설치간격만큼 이격되어 있어며, 길이는 띠장(1)의 폭과 비슷하다.
일반적으로 양 측판(10)을 가로질러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또한, 각도조절 브래킷(100)의 내압성능을 높이기 위해 보강재(5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보강재(50)는 양 측판(10)의 내벽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판형 모양이다. 필요에 따라 다수 개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상하로 하나씩 설치하게 된다.
또한, 각도조절 브래킷(100)은 띠장(1)과 접하면서 설치되게 되며, 일반적으로 띠장(1)에 걸 수 있는 띠장걸림턱(60)을 구비할 수 있다.
브래킷(100)의 설치시에 띠장(1)에 필수적으로 걸려야 하는 것은 아니나 작업의 편의를 위해서는 띠장걸림턱(6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띠장걸림턱(60)은 양 측판(10)의 내벽을 가로질러 용접 등에 의해 설치되어 내압성능을 높이는 역할을 하면서도, 측판(10)이 띠장(1)과 맞닿는 부분 상부에 돌출부를 구비하여 각도조절 브래킷(100)이 띠장(1)에 걸릴 수 있게 한다(도 2 참조).
또한, 본 발명은 측판보강재(70)를 구비할 수 있다. 측판보강재(70)는 측판(10)의 외벽 상단에 원호부(11)를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원호부(11)와 동일한 곡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된다.
측판보강재(70)는 앵커체를 지지하기 위해 인장력을 받는 측판(10)의 원호부(11)의 부족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강도보강의 역할을 한다.
2.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전체적인 내압성능을 대폭 향상시키고, 상부플레이트(30)의 이동을 보다 적절하게 가이드하며, 앵커체의 인출을 보다 적절히 가이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 브래킷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측판(10)의 경우에는 상단부가 원호형인 원호부(11)를 가지는 점을 포함하여 전체적인 형상이 제1실시예와 동일하고, 측판(10)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하중전달플레이트(40) 및 띠장걸림턱(60) 등이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해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회전유도레일(80)은 양 측판(10) 사이에 횡설되어 양 측판(10)을 연결함으로써 상부플레이트(30)에 가해지는 압력을 양 측판(10)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회전유도레일(80)은 측판(10)의 원호부(11)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며, 따라서 회전유도레일(80)도 상기 원호부(11)와 같은 곡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유도레일(80)의 상부에 상부플레이트(30)가 위치하고, 회전유도레일(80)에는 각도조절봉(20)의 회전을 유도할 수 있도록 가이드홀(81)을 구비해야 한다. 사이드홀(81)은 각도조절봉(20)의 회전방향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상부플레이트(30)는 회전유도레일(80)의 상부에 거치되므로 상기 가이드홀(81)을 통해 아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 직경은 상기 가이드홀(81)의 폭보다는 커야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어스앵커 브래킷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 브래킷을 나타내는 개괄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 브래킷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 브래킷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각도조절봉의 회전중심홀의 위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기호의 설명>
R: 원호부의 회전반경
1: 띠장 2: 강선
3: H형 강재 10: 측판
11: 원호부 12: 고정홀
20: 각도조절봉 21: 회전중심홀
30: 상부플레이트 31: 관통부
32: 회전유도홈 40: 하중전달플레이트
50: 보강재 60: 띠장걸림턱
70: 측판보강재 80: 회전유도레일
81: 가이드홀 100: 각도조절 브래킷

Claims (9)

  1.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지반 내에 삽입고정되는 어스앵커(earth anchor)를 고정하기 위해 띠장(1)에 의해 지지되는 어스앵커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회전반경(R)인 원호부(11)를 포함하고 상기 원호부(11)의 회전중심에 고정홀(12)을 구비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판(10);
    강선(2)이 통과할 수 있게 내부가 빈 중공부를 구비한 긴 통형부재로서, 상단에서 상기 원호부의 회전반경(R)만큼 이격한 거리에 회전중심홀(21)을 구비하여 상기 한 쌍의 측판(10) 사이에서 상기 고정홀(12)과 회전중심홀(21)의 볼트 결합에 의해 자유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각도조절봉(20); 및
    강선(2)이 통과할 수 있게 상기 중공부와 연통하는 관통부(31)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조절봉(20)의 상단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상기 원호부(11)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부플레이트(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브래킷(100).
  2. 제1항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30)는 원호부(11)와 동일한 곡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브래킷(100).
  3. 제2항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30)의 하면에는 원호부(11)와 맞닿는 부분에 회전유도홈(3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브래킷(100).
  4. 제1항에서,
    상기 각도조절봉(20)은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브래킷(100).
  5. 제1항에서,
    내압성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양 측판(10)의 내벽을 연결하는 보강재(50)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브래킷(100).
  6. 제1항에서,
    상기 측판(10)이 띠장(1)과 맞닿는 부분에 하중전달플레이트(40)를 구비하여 하중을 분산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브래킷(100).
  7. 제1항에서,
    상기 양 측판(10) 사이의 내벽을 연결하면서 장착되어 띠장(1)에 걸릴 수 있도록 하는 띠장걸림턱(6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브래킷(100).
  8. 제1항에서,
    상기 측판(10)의 외벽에는 원호부(11)를 따라 원호부(11)와 동일한 곡률을 갖는 측판보강재(70)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브래킷(100).
  9. 제1항에서,
    상기 양 측판(10)의 원호부(11) 사이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의 가이드홀(81)을 구비하여 상기 각도조절봉(20)이 상기 가이드홀(81)을 따라 회전가능하며 상기 원호부(11)와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회전유도레일(8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브래킷(100).
KR1020090000976A 2009-01-07 2009-01-07 각도조절 브래킷 KR201000816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976A KR20100081648A (ko) 2009-01-07 2009-01-07 각도조절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976A KR20100081648A (ko) 2009-01-07 2009-01-07 각도조절 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648A true KR20100081648A (ko) 2010-07-15

Family

ID=42642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976A KR20100081648A (ko) 2009-01-07 2009-01-07 각도조절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16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481B1 (ko) * 2011-09-23 2013-04-1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각도 조절이 가능한 피에스 강재 긴장용 잭킹 부속장치
CN109025069A (zh) * 2018-07-19 2018-12-18 湖南城市学院 一种可调节角度式锚索垫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481B1 (ko) * 2011-09-23 2013-04-1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각도 조절이 가능한 피에스 강재 긴장용 잭킹 부속장치
CN109025069A (zh) * 2018-07-19 2018-12-18 湖南城市学院 一种可调节角度式锚索垫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5950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fting building foundations
EP2042659B1 (en) Anchor post
US7985038B2 (en) Earth anchor bracket having saw-toothed and curved part
KR100652530B1 (ko) 어스 앵커 브라켓
KR101060287B1 (ko) 각도조절 브래킷
KR20150108404A (ko) 확장형 셀 한정 구조를 위한 하중 전달 또는 연결 장치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KR100992942B1 (ko) 다목적 어스 앵커 브라켓
KR20100081648A (ko) 각도조절 브래킷
KR101569063B1 (ko) ?지장치를 이용한 파일압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일 두부정착방법
KR200354027Y1 (ko) 어스앵커 브라켓 지지구조
KR100950683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대좌
KR200443476Y1 (ko) 벽체 지지용 구조체
KR101147334B1 (ko) 어스 앵커 브래킷
KR200421331Y1 (ko) 어스 앵커 브라켓
KR200457659Y1 (ko) 어스 앵커용 브래킷
JP4456041B2 (ja) 土木施設用アンカー装置
KR101042130B1 (ko) H빔을 이용한 어스 앵커용 브라켓
KR200352506Y1 (ko) 거푸집 지지구조
KR200201063Y1 (ko) 옹벽을 요하는 사면에 적층식 옹벽의 근접시공장치
JP2007132035A (ja) 土木施設用ロープの方向変換装置
JP5183123B2 (ja) アンカー用受圧装置
KR102509793B1 (ko) 합벽 시공용 측압 확보구
KR200344979Y1 (ko) 어스앵커 브라켓
KR200344980Y1 (ko) 어스앵커 브라켓
EP0144784A2 (de) Fassadenplattenverankerung und Verfahren zum Verankern von Fassadenplatt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