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1025A -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1025A
KR20100081025A KR1020090000283A KR20090000283A KR20100081025A KR 20100081025 A KR20100081025 A KR 20100081025A KR 1020090000283 A KR1020090000283 A KR 1020090000283A KR 20090000283 A KR20090000283 A KR 20090000283A KR 20100081025 A KR20100081025 A KR 20100081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k tank
powder
offshore structure
bulk
floating offsh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원
류민철
이재봉
양정희
김지성
박현석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0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1025A/ko
Publication of KR20100081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10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63B27/25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for fluidised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06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 B65G53/10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with pneumatic injection of the materials by the propelling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6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41Air pressur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서 벌크 탱크 내에 저장된 분체를 분체 이송 파이프를 통해 벌크 탱크의 외부로 이송할 때 벌크 탱크 내에 저장된 분체를 유동화하도록 구성된 분체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서 상기 벌크 탱크 내에 저장된 분체를 상기 벌크 탱크의 외부로 이송하기 위한 분체 이송 장치로서, 상기 벌크 탱크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하부 부분에 상기 벌크 탱크를 수평으로 가로질러 설치되어 그 위에 분체를 떠받치는 망체와, 일단이 상기 벌크 탱크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망체의 바로 위에 하방으로 설치되고 타단이 분체를 이송할 목적 지점에 연결된 분체 이송 파이프와, 상기 망체의 하부의 상기 벌크 탱크의 측면에 일단이 연결된 압축 공기 공급 파이프와, 상기 압축 공기 공급 파이프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벌크 탱크의 외부에서 상기 벌크 탱크의 내부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가 제공된다.
벌크 탱크, 분체, 망체, 분체 이송 파이프, 압축 공기 공급 파이프

Description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 {PARTICLE TRANSFER DEVICE OF FLOATING OCEAN STRUCTURE HAVING BULK TANK}
본 발명은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벌크 탱크를 갖춘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서 벌크 탱크 내에 저장된 분체를 벌크 탱크의 외부로 이송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유동이 발생하는 해상에서 부유된 채 사용되는 구조물과 선박을 일컫는다.
본 명세서에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란, 벌크 탱크를 가지면서 유동이 발생하는 해상에서 부유된 채 사용되는 구조물과 선박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예를 들어, 반잠수식 시추기지선(semi-submersible typed drill rig)와 같은 해상 구조물 뿐만 아니라 시추선(drillship), 벌크 화물선 등의 선박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반잠수식 시추기지선이나 시추선에서는, 벤토나이트(bentonite), 베어라이트(barite) 등의 분체를 벌크 탱크 내에 저장하고, 이 분체를 소정의 혼합 장치로 이송시켜서, 시추 작업시에 윤활유 역할을 하는 액체 머드(liquid mud)를 만들어 낸다.
또한, 벌크 화물선에서는 분말 상태의 시멘트, 모래, 곡물, 소금 등의 분체를 벌크 탱크 내에 저장하고, 이 분체를 소정의 하역 장소로 이송시킨다.
이렇게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서 벌크 탱크 내에 저장된 분체를 벌크 탱크의 외부로 이송함에 있어서, 공압 장치에 의해 벌크 탱크 내에 압력을 가하여 벌크 탱크 내에 저장된 분체를 분체 이송 파이프를 통과시켜서 벌크 탱크의 외부로 이송시키는데, 벌크 탱크 내의 분체가 유동화되지 않는 경우, 분체가 서로 뭉쳐질 수 있어 분체 이송 파이프에 막히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상적인 분체 이송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분체 이송 파이프가 막혔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압력을 가하게 되면 분체 이송 파이프가 폭발할 위험이 있거나 공압 장치에 무리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체 이송 파이프에 막히는 부분이 발생하게 되면, 막힌 것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분체 제거 라인을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서 벌크 탱크 내에 저장된 분체를 분체 이송 파이프를 통해 벌크 탱크의 외부로 이송할 때 벌크 탱크 내에 저장된 분체를 유동화하도록 구성된 분체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서 상기 벌크 탱크 내에 저장된 분체를 상기 벌크 탱크의 외부로 이송하기 위한 분체 이송 장치로서, 상기 벌크 탱크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하부 부분에 상기 벌크 탱크를 수평으로 가로질러 설치되어 그 위에 분체를 떠받치는 망체와, 일단이 상기 벌크 탱크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망체의 바로 위에 하방으로 설치되고 타단이 분체를 이송할 목적 지점에 연결된 분체 이송 파이프와, 상기 망체의 하부의 상기 벌크 탱크의 측면에 일단이 연결된 압축 공기 공급 파이프와, 상기 압축 공기 공급 파이프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벌크 탱크의 외부에서 상기 벌크 탱크의 내부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벌크 탱크는 길이방향으로 세워진 통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벌크 탱크의 측면 하부 부분은 모따기식으로 경사진 경사부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 공기 공급 파이프의 일단은 상기 벌크 탱크의 측면 하부의 경사부에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망체의 망 크기는 분체가 그 아래로 빠지지 않도록 분체의 크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망체는 중앙 부분이 오목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분체 이송 파이프의 일단은 상기 망체의 중앙 부분의 바로 위에 하방으로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망체는 상기 벌크 탱크의 측면 하부에 형성된 경사부의 바로 위의 높이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벌크 탱크의 측면 하부 부분은 라운딩 가공처리된 라운딩부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벌크 탱크의 상부에는 분체 주입 파이프와 통기 파이프가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의하면,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서 상기 벌크 탱크 내에 저장된 분체를 상기 벌크 탱크의 외부로 이송하기 위한 분체 이송 장치로서, 상기 벌크 탱크 내에 압력을 벌크 탱크 내에 저장된 분체를 분체 이송 파이프를 통과시켜서 상기 벌크 탱크의 외부로 이송시키되 상기 벌크 탱크 내의 분체를 떠받친 다음 상기 압력에 의해 상승시켜 분체의 입자들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켜서 유동화하여 상기 분체 이송 파이프를 통과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가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벌크 탱크를 구비한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에 의하면, 벌크 탱크 내에 압력을 가하여 벌크 탱크 내에 저장된 분체를 분체 이송 파이프를 통과시켜서 벌크 탱크의 외부로 이송시킴에 있어 분체를 떠받치는 망체의 아래에서 망체의 바로 위의 분체에 대하여 압축 공기를 가하여 망체의 바로 위의 분체를 압축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승시켜 분체의 입자들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켜서 유동화하므로, 벌크 탱크 내의 분체가 서로 뭉쳐지지 않게 되어 분체 이송 파이프에서 막히는 것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분체가 정상적인 분체 이송이 가능하게 되고, 특히, 분체 이송 파이프가 막히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분체 이송 파이프가 폭발할 위험성이 감소됨과 아울러 공압 장치에 무리를 주지 않게 되고, 분체 이송 파이프에서 막힌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분체 제거 라인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는, 벌크 탱크(1) 내에 저장된 분체를 벌크 탱크(1)의 외부로 이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분체 이송 파이프(10)와, 압축 공 기 공급 파이프(20)와, 압축기(30)와, 망체(40)를 포함한다.
벌크 탱크(1)는 길이방향으로 세워진 통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벌크 탱크(1)는 불투명체이나 도면에서 그 내부의 구성요소를 보이게 하기 위해 정면 부분을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벌크 탱크(1)를 길이방향으로 세워진 육각형 통체로 예시하였으나, 다른 다각형의 통체와 원통형 통체도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벌크 탱크(1)의 측면 상하부 부분은 모따기식으로 경사진 경사부(1a, 1b)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벌크 탱크(1)의 측면 상하부 부분이 경사부로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벌크 탱크(1)의 측면 상하부 부분이 라운딩 가공처리된 라운딩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망체(40)는 벌크 탱크(1)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하부 부분에 벌크 탱크(1)를 수평으로 가로질러 설치되어 그 위에 분체를 떠받친다.
망체(40)의 망 크기는 분체가 그 아래로 빠지지 않도록 분체의 크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망체(40)는 중앙 부분이 오목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망체(40)는 벌크 탱크(1)의 측면 하부에 형성된 경사부(1b)의 바로 위의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체 이송 파이프(10)는, 그 일단이 벌크 탱크(10)의 측면을 관통하여 망 체(40)의 바로 위에 하방으로 설치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분체 이송 파이프(10)는, 그 일단이 망체(40)의 중앙 부분의 바로 위에 하방으로 설치되어 있다. 분체 이송 파이프(10)의 타단은 분체를 이송할 목적 지점(예를 들어, 서지 탱크 등)에 연결되어 있다.
압축 공기 공급 파이프(20)는, 그 일단이 망체(40)의 하부의 벌크 탱크(1)의 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 공기 공급 파이프(20)는, 그 일단이 벌크 탱크(1)의 측면 하부의 경사부(1b)에 연결되어 있다.
압축기(30)는 압축 공기 공급 파이프(20)의 타단에 연결되어 벌크 탱크(1)의 외부에서 벌크 탱크(1)의 내부로 압축 공기를 공급한다.
벌크 탱크(1)의 상부에는 분체를 벌크 탱크(1)로 주입하기 위한 분체 주입 파이프(50)와 벌크 탱크(1) 내로 분체를 주입함에 따라 벌크 탱크(1) 내의 공기를 외부로 빼내기 위한 통기 파이프(60)가 연결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서, 압축 공기의 흐름과 이에 따른 분체의 유동화는 화살표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서는 압축기(30)와 압축 공기 공급 파이프(20)에 의해 벌크 탱크(1) 내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벌크 탱크(1) 내에 저장된 분체를 분체 이송 파이프(1)를 통과시켜서 벌크 탱크(1)의 외부로 이송시키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체를 떠받치는 망체(40)의 아래에서 망체(40)의 바로 위의 분체에 대하여 압축 공기를 가하여 망체(40)의 바로 위의 분체를 압축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승시켜 분체의 입자들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켜서 유동화하므로, 벌크 탱크(1) 내의 분체가 서로 뭉쳐지지 않게 되어 분체 이송 파이프(20)에서 막히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 또는 수정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Claims (10)

  1.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서 상기 벌크 탱크 내에 저장된 분체를 상기 벌크 탱크의 외부로 이송하기 위한 분체 이송 장치로서,
    상기 벌크 탱크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하부 부분에 상기 벌크 탱크를 수평으로 가로질러 설치되어 그 위에 분체를 떠받치는 망체와,
    일단이 상기 벌크 탱크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망체의 바로 위에 하방으로 설치되고 타단이 분체를 이송할 목적 지점에 연결된 분체 이송 파이프와,
    상기 망체의 하부의 상기 벌크 탱크의 측면에 일단이 연결된 압축 공기 공급 파이프와,
    상기 압축 공기 공급 파이프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벌크 탱크의 외부에서 상기 벌크 탱크의 내부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벌크 탱크는 길이방향으로 세워진 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벌크 탱크의 측면 하부 부분은 모따기식으로 경사진 경사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압축 공기 공급 파이프의 일단은 상기 벌크 탱크의 측면 하부의 경사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망체의 망 크기는 분체가 그 아래로 빠지지 않도록 분체의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망체는 중앙 부분이 오목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분체 이송 파이프의 일단은 상기 망체의 중앙 부분의 바로 위에 하방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망체는 상기 벌크 탱크의 측면 하부에 형성된 경사부의 바로 위의 높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 송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벌크 탱크의 측면 하부 부분은 라운딩 가공처리된 라운딩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벌크 탱크의 상부에는 분체 주입 파이프와 통기 파이프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
  10.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서 상기 벌크 탱크 내에 저장된 분체를 상기 벌크 탱크의 외부로 이송하기 위한 분체 이송 장치로서,
    상기 벌크 탱크 내에 압력을 벌크 탱크 내에 저장된 분체를 분체 이송 파이프를 통과시켜서 상기 벌크 탱크의 외부로 이송시키되 상기 벌크 탱크 내의 분체를 떠받친 다음 상기 압력에 의해 상승시켜 분체의 입자들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켜서 유동화하여 상기 분체 이송 파이프를 통과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
KR1020090000283A 2009-01-05 2009-01-05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 KR201000810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283A KR20100081025A (ko) 2009-01-05 2009-01-05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283A KR20100081025A (ko) 2009-01-05 2009-01-05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025A true KR20100081025A (ko) 2010-07-14

Family

ID=42641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283A KR20100081025A (ko) 2009-01-05 2009-01-05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10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4090B1 (ko) 공압식 운반
US674585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osing of deleterious materials from a well
US20120128449A1 (en) Proppant Transfer System
EP2388189B1 (en) Spar hull centerwell arrangement
KR20100081024A (ko)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
KR20100081025A (ko)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
KR20140041624A (ko) 에어 튜브를 이용한 슬로싱 저감장치 및 그 방법
KR200477746Y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벌크 탱크의 공기 분사 장치
KR102394955B1 (ko) 벌크 이송 시스템 실험 장치 및 방법
US20120275883A1 (en) Method of Preparing a Dry Bulk Carrier
KR20100081026A (ko)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
KR101384713B1 (ko) 분체 이송 시스템
NL2013843B1 (en) Hold offloading system.
US8424818B2 (en) Boat installation frame for transportation tanks
KR102418121B1 (ko) 해양 유체 오프로딩 장치
KR101785040B1 (ko) 분진 비산방지 장치를 가지는 해양구조물
KR101680341B1 (ko) 머드 저장용 탱크
KR101640778B1 (ko)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KR101310958B1 (ko) 효율적인 분체 이송 구조를 갖는 반잠수식 시추기지선
KR101640776B1 (ko)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KR20150100003A (ko) 벌크 저장탱크의 벌크 유동화 구조, 그 구조를 갖는 벌크 저장탱크, 그 벌크 저장탱크를 갖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0466432Y1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컴비네이션 탱크
KR20170004331U (ko)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 및 그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를 구비하는 벌크 탱크
KR20160036677A (ko) 분진 비산방지 장치를 가지는 해양구조물
KR101732607B1 (ko) 해양 구조물용 운반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