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331U -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 및 그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를 구비하는 벌크 탱크 - Google Patents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 및 그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를 구비하는 벌크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331U
KR20170004331U KR2020160003318U KR20160003318U KR20170004331U KR 20170004331 U KR20170004331 U KR 20170004331U KR 2020160003318 U KR2020160003318 U KR 2020160003318U KR 20160003318 U KR20160003318 U KR 20160003318U KR 20170004331 U KR20170004331 U KR 201700043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k
tank
nozzle
air
bulk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3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595Y1 (ko
Inventor
성상경
이광민
전동수
김필근
최성
류민철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33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595Y1/ko
Publication of KR201700043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3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5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5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6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 B65D88/70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using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26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6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 B65D88/70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using fluid jets
    • B65D88/703Air blowing devices, i.e. devices for the sudden introduction of compressed air into the container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21/00Methods or apparatus for flushing boreholes, e.g. by use of exhaust air from motor
    • E21B21/01Arrangements for handling drilling fluids or cuttings outside the borehole, e.g. mu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21/00Methods or apparatus for flushing boreholes, e.g. by use of exhaust air from motor
    • E21B21/01Arrangements for handling drilling fluids or cuttings outside the borehole, e.g. mud boxes
    • E21B21/019Arrangements for maintaining circulation of drilling fluid while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ubula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21/00Methods or apparatus for flushing boreholes, e.g. by use of exhaust air from motor
    • E21B21/06Arrangements for treating drilling fluids outside the boreh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 및 그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를 구비하는 벌크 탱크에 관한 것으로, 방사형 노즐을 이용하여 벌크 탱크 내의 벌크 이송율을 높여서 머드 제작을 좀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방사형 노즐과 노즐 연결관의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체결이 용이하면서도 교체가 쉽고 방사형 노즐과 노즐 연결관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 및 그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를 구비하는 벌크 탱크{RADIAL TYPE BULK FLUIDIFICATION APPARATUS AND BULK TANK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 및 그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를 구비하는 벌크 탱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방사형 노즐을 이용하여 벌크 탱크 내의 벌크 이송율을 높여서 머드 제작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 및 그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를 구비하는 벌크 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유동이 발생하는 해상에서 부유된 채 사용되는 구조물과 선박을 일컫는다.
본 명세서에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란, 벌크 탱크를 가지면서 유동이 발생하는 해상에서 부유된 채 사용되는 구조물과 선박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예를 들어, 반잠수식 시추 기지 선(semi-submersible typed drill rig)와 같은 해상 구조물뿐만 아니라 시추선(drillship), 벌크 화물선 등의 선박을 모두 포함한다.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서 시추작업을 위해서는 시추공 내부를 채워주기 위한 시추용의 머드가 반드시 필요하다.
머드는 시추작업 시 드릴 비트(drill bit)에 윤활작용을 하고, 시추작업 동안 발생하는 암석 부스러기(cutting)를 제거하며, 시추공의 압력을 안정시켜 하이드로카본(hydrocarbon)이 시추고 내로 침입하는 것을 막아주는 안전 방벽(safety barrier) 역할을 한다.
머드는 분말 상태의 물과 벤토나이트(bentonite), 바라이트(barite) 및 각종 화학물을 혼합하여 만드는 데, 일반적으로 분말상태로 저장된 물질을 벌크(bulk)라고 한다.
시추에 주로 사용되는 벌크에는 벤토나이트(bentonite), 바라이트(barite), 시멘트(cement) 등의 물질이 있는데, 이 물질들은 비중이 크고 다량을 처리해야 하므로 복잡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서 벌크(분체)는 Offshore Supply Vessel(OSV)을 이용하여 보급받고, 이를 벌크 탱크(Storage tank)에 저장한다.
벌크를 포함하는 머드 저장탱크는 그 무게가 매우 무겁기 때문에 시추선의 바닥으로 내려 설치된다.
벌크 탱크 안에 저장된 벌크(분체)는 필요 시에 서지 탱크(Surge tank)로 보내지고 물과 혼합하여 머드나 시멘트를 만들 때 사용된다. OSV에서 벌크 탱크로 이송한 후, 벌크 탱크에서 서지 탱크로의 이송을 위해서는 고압의 압축 공기(Bulk air)를 사용하므로, 저장시설 및 배관라인은 모두 4 ~ 5 bar 이상의 압력을 버틸 수 있게 설계된다.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서는 벌크 탱크 내에 저장된 벌크를 벌크 탱크의 외부로 이송하는 경우, 공압 장치에 의해 벌크 탱크 내에 압력을 가하여 벌크 탱크 내에 저장된 벌크를 벌크 이송 파이프로 통과시켜서 벌크 탱크의 외부로 이송시킨다.
이때, 벌크 탱크 내의 벌크가 유동화되지 않는 경우, 벌크가 서로 뭉쳐질 수 있어 벌크 이송 파이프가 막히게 되고, 벌크 이송 파이프가 막힌 상태에서 계속 압력을 가하면 벌크 이송 파이프가 폭발하거나, 공압 장치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벌크 탱크에는 벌크 유동화 장치가 구비된다.
선행문헌 공개실용 제20-2013-0001590호에는 스파이럴 노즐형 벌크 유동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스파이럴 노즐형 벌크 유동화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크 탱크(10)는 그 상부 중심에 벌크 인입 부(11)가 형성되고, 벌크 탱크(10)의 상부 일측에는 더스트 밸브(12), 압력계(13), 안전밸브(14)가 설치된다.
종래 스파이럴 노즐형 벌크 유동화 장치는, 벌크 탱크(10)의 하부 내측에 벌크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서 스파이럴 노즐(spiral nozzle)(15)이 설치되고, 스파이럴 노즐(15)에는 공기 인입관(16)이 연결 설치된다.
스파이럴 노즐(spiral nozzle)(15)의 하측에는 벌크 아웃 엘보(20)가 벌크 탱크(10)를 관통하여 외 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공기가 스파이럴 노즐(15)로 분사되면 벌크 아웃 엘보(20)를 통해서 벌크가 유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선행문헌 공개특허 제10-2010-0081024호에는 벌크 유동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4는 종래 벌크 유동화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벌크 유동화 장치는 환형 링(40)이 벌크 탱크(10) 안에 고정 설치되고, 환형 링(40)에는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41)이 다수 설치된다. 환형 링(40)의 입구로 에어가 유입되고, 환형 링(40)으로 유입된 공기가 노즐(41)로 분사되면, 벌크 아웃 엘보(20)를 통해서 벌크가 유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종래의 캔버스형 벌크 유동화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캔버스형 벌크 유동화 장치는 캔버스(50)가 벌크 탱크(10) 안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캔버스(50)에는 공기를 분사하기 입구(51)가 형성된다. 캔버스(50)의 입구(51)로 공기가 유입되면, 캔버스(50)로 유입된 공기가 분사되면 벌크 아웃 엘보(60)로 벌크(분체)가 유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벌크 유동화 장치들은 벌크 아웃 엘보가 모두 엘보 형태로 밴딩 되므로 벌크 이송효율이 떨어지고, 벌크 이송 파이프가 막히게 되어 벌크 이송 파이프가 막힌 상태에서 계속 압력을 가하면 벌크 이송 파이프가 폭발하거나, 공압 장치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국내 공개실용 제20-2013-0001590호 국내 공개특허 제10-2010-0081024호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사형 노즐을 이용하여 벌크 탱크 내의 벌크 이송율을 높여서 벌크 이송 파이프의 폭발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공압 장치의 고장을 방지하고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 및 그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를 구비하는 벌크 탱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 및 그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를 구비하는 벌크 탱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는 벌크 탱크의 하단부 외측에 설치되는 중공의 환형 링; 상기 환형 링의 내주 면으로부터 센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벌크 탱크를 관통하여 상기 벌크 탱크의 내측으로 설치되며, 상기 환형 링과 연통되어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중공의 노즐 연결관; 상기 환형 링 안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상기 환형 링의 외주 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공기 주입 관; 주입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노즐 연결관의 끝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노즐; 및 상기 노즐을 통해서 분사되는 공기 압력에 의해서 상기 벌크 탱크의 벌크를 외부로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벌크 탱크의 하단부 측면에 상기 벌크 탱크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벌크 이송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 연결관의 끝단에는 볼트 홀을 갖는 제1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의 끝단에는 볼트 홀을 갖는 제2 플랜지가 형성된다.
상기 노즐은 상기 제2 플랜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직선 라인과, 상기 직선 라인으로부터 절곡되는 절곡 라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절곡 라인에 공기홀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제1 플랜지의 내측 면에는 결합 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홈과 상응하여 상기 제2 플랜지의 내측 면에는 결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벌크 이송라인의 입구는 출구보다 면적이 큰 것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벌크 이송라인의 입구 지름은 출구 지름의 2배 ~ 3배일 수 있다.
상기 벌크 이송라인의 하부 측은 일부 또는 전부가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 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벌크 이송라인은 입구 및 출구의 상부 측 높이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직선 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벌크 이송라인의 하부 측 경사 부의 경사 각도(α)는 0° ~ 45°일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는 벌크 이송라인의 맞은편인 벌크 탱크의 하단부 측면에 형성하되, 상기 벌크 탱크 외부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벌크 탱크 내부로 주입하여 상기 벌크가 상기 벌크 이송라인을 통해 상기 벌크 탱크의 외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공기 주입관을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사형 노즐을 이용하여 벌크 탱크 내의 벌크 이송율을 높여서 벌크 이송 파이프의 폭발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공압 장치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사형 노즐과 노즐 연결관의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체결이 용이하면서도 교체가 쉽고 방사형 노즐과 노즐 연결관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스파이럴 노즐형 벌크 유동화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공개특허 공보 제10-2010-0081024호에 개시된 종래 벌크 유동화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종래의 캔버스형 벌크 유동화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 및 벌크 탱크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측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노즐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
도 14는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벌크 탱크를 도시한 정면도
도 1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벌크 탱크를 도시한 정면도
도 16은 종래 캔버스형 벌크 유동화 장치와 본 고안의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의 벌크 이송율을 시험결과를 비교하는 그래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 및 그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를 구비하는 벌크 탱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 및 벌크 탱크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측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노즐을 보인 사시도, 및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이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벌크 탱크(1)는 내부에 벌크(분체)를 포함하며, 그 상부 중심에 벌크 인입 부가 형성되고, 상부 일측에 더스트 밸브, 압력계, 안전밸브, 그리고 하단부에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100)가 설치된다. 벌크 인입부, 더스트 밸브, 압력계, 안전밸브 등은 공지(公知)의 기술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한다. 벌크 탱크(1)의 하단부에는 유지보수용 관(2: 도 9 참조)이 설치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100)는 벌크(분체)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서 벌크 탱크(1)의 하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100)는 환형 링(110), 중공의 노즐 연결관(120), 공기 주입 관(130), 노즐(140) 및 벌크 이송라인(1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환형 링(110)은 벌크 탱크(1)의 하단부 외측에 설치될 수 있는 데, 중공(中空)으로 형성되고 노즐 연결관(120)과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환형 링(110)의 양 끝단 부는 폐쇄될 수도 있고, 또는 양 끝단 부가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노즐 연결관(120)은 중공의 파이프로 형성되고, 환형 링(110)과 연통되어 방사상으로 배열된다. 즉, 노즐 연결관(120)은 환형 링(110)의 내주 면으로부터 센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벌크 탱크(1)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벌크 탱크(1)의 내측으로 설치된다.
공기 주입 관(130)은 환형 링(110) 안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환형 링(110)의 외주 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공기 주입 관(130)은 벌크 탱크(1)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벌크 탱크(1)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위치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노즐(140)은 주입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노즐 연결관(120)의 끝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노즐 연결관(120)의 끝단에 볼트 홀(H)을 갖는 제1 플랜지(121)가 형성되고, 노즐(140)의 끝단에 볼트 홀(H)을 갖는 제2 플랜지(141)가 형성된다. 볼트 홀(H) 안에 볼트(B)를 결합하여 제1 플랜지(121)와 제2 플랜지(141)를 선택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노즐(140)의 착탈 구조에 의해서 벌크에 의해 노즐(140)이 막히는 경우에도 노즐(140)을 새것으로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노즐(140)은 제2 플랜지(141)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직선 라인(142)과, 직선 라인(142)으로부터 절곡되는 절곡 라인(143)으로 구성되고, 절곡 라인(143)에 공기 홀(144)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직선 라인(142)과 절곡 라인(143)의 밴딩 각도를 약 5-15°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플랜지(121)의 내측 면에 결합 홈(121a)이 형성되고, 결합 홈(121a)과 상응하여 제2 플랜지(141)의 내측 면에 결합 돌기(141a)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돌기(141a)가 결합 홈(121a) 안에 결합하므로 제1 플랜지(121)와 제2 플랜지(141)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벌크 이송라인(150)은 노즐(140)을 통해서 분사되는 공기 압력에 의해서 벌크 탱크(1)의 벌크를 외부로 이송하기 위하여 벌크 탱크(1)의 하단부 측면에 벌크 탱크(1)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된다.
벌크 이송라인(150)의 입구는 출구보다 면적이 큰 것일 수 있는 데, 벌크 이송라인(150)의 입구 지름(D)은 출구 지름(d)의 2배 ~ 5배일 수 있다.
한편, 도 14는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벌크 탱크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벌크 이송라인(150)의 맞은편인 벌크 탱크(1)의 하단부 측면에 별도의 공기 주 입관(160)이 형성될 수도 있는데, 벌크 탱크(1) 외부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벌크 탱크(1) 내부로 주입하여 벌크(분체)가 벌크 이송라인(150)을 통해 벌크 탱크(10)의 외부로 이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벌크 이송라인(150)의 하부 측은 일부 또는 전부가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 부(151)를 가질 수도 있다. 벌크 이송라인(150)의 하부 측 경사 부의 경사 각도(α)는 0° ~ 45°일 수 있다.
또한, 도 1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벌크 탱크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벌크 이송라인(150)은 입구 및 출구의 상부 측 높이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직선 관 형태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공기 주입 관(130)을 통해서 압축 공기가 유입되면, 압축 공기는 환형 링(110) 안으로 공급된다. 환형 링(110) 안으로 공급된 공기는 각 노즐 연결관(120)을 통해서 노즐(140)의 공기 홀(144)로 고압 분사된다. 공기 홀(144)에서 고압 분사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서 벌크 탱크(1)의 벌크는 벌크 이송라인(150)을 통해서 서지 탱크(미도시)로 이송된 후 물과 혼합하여 머드를 만들 때 사용된다.
본 고안에서는 노즐(140)의 끝단이 센터방향을 향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공기 홀(144)을 통해서 공기가 고압 분사되며, 벌크 이송라인(150)이 밴딩되지 않으므로 벌크의 막힘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벌크 이송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노즐(140)은 주입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노즐 연결관(120)의 끝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볼트 홀(H) 안에 볼트(B)를 결합하여 제1 플랜지(121)와 제2 플랜지(141)를 선택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노즐(140)의 착탈 구조에 의해서 벌크에 의해 노즐(140)이 막히는 경우에도 노즐(140)을 새것으로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결합 돌기(141a)가 결합 홈(121a) 안에 결합하므로 제1 플랜지(121)와 제2 플랜지(141)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6은 종래 캔버스형 벌크 유동화 장치와 본 고안의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의 벌크 이송율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16에 도시된 그래프로부터, 본 고안의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적색)는 종래 캔버스형 벌크 유동화장치(청색)에 비해서 18-20%의 벌크 이송율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사형 노즐을 이용하여 벌크 탱크 내의 벌크 이송율을 높여서 머드 제작을 좀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방사형 노즐과 노즐 연결관의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체결이 용이하면서도 교체가 쉽고 방사형 노즐과 노즐 연결관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1: 벌크 탱크
100: 방사형 벌크유동화
110: 환형 링
120: 중공의 노즐 연결관
121: 제1 플랜지
121a: 결합 홈
130: 공기 주입 관
140: 노즐
141: 제2 플랜지
141a: 결합 돌기
142: 직선 라인
143: 절곡 라인
144: 공기 홀
150: 벌크 이송라인
H: 볼트 홀

Claims (11)

  1. 벌크 탱크의 하단부 외측에 설치되는 중공의 환형 링;
    상기 환형 링의 내주 면으로부터 센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벌크 탱크를 관통하여 상기 벌크 탱크의 내측으로 설치되며, 상기 환형 링과 연통되어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중공의 노즐 연결관;
    상기 환형 링 안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상기 환형 링의 외주 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공기 주입 관;
    주입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노즐 연결관의 끝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노즐; 및
    상기 노즐을 통해서 분사되는 공기 압력에 의해서 상기 벌크 탱크의 벌크를 외부로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벌크 탱크의 하단부 측면에 상기 벌크 탱크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벌크 이송라인을 포함하는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 연결관의 끝단에는 볼트 홀을 갖는 제1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의 끝단에는 볼트 홀을 갖는 제2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제2 플랜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직선 라인과, 상기 직선 라인으로부터 절곡되는 절곡 라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절곡 라인에 공기홀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의 내측 면에는 결합 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홈과 상응하여 상기 제2 플랜지의 내측 면에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벌크 이송라인의 입구는 출구보다 면적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벌크 이송라인의 입구 지름(D)은 출구 지름(d)의 2배 ~ 3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벌크 이송라인의 하부 측은 일부 또는 전부가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 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벌크 이송라인은 입구 및 출구의 상부 측 높이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직선 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벌크 이송라인의 하부 측 경사 부의 경사 각도는 0° ~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벌크 이송라인의 맞은편인 상기 벌크 탱크의 하단부 측면에 형성하되, 상기 벌크 탱크 외부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벌크 탱크 내부로 주입하여 상기 벌크가 상기 벌크 이송라인을 통해 상기 벌크 탱크의 외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공기 주입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
  11. 청구항 1 내지 10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를 구비하는 벌크 탱크.
KR2020160003318U 2016-06-14 2016-06-14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 및 그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를 구비하는 벌크 탱크 KR2004925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318U KR200492595Y1 (ko) 2016-06-14 2016-06-14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 및 그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를 구비하는 벌크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318U KR200492595Y1 (ko) 2016-06-14 2016-06-14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 및 그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를 구비하는 벌크 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331U true KR20170004331U (ko) 2017-12-22
KR200492595Y1 KR200492595Y1 (ko) 2020-11-09

Family

ID=61259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318U KR200492595Y1 (ko) 2016-06-14 2016-06-14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 및 그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를 구비하는 벌크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5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4726A (zh) * 2018-04-27 2018-08-14 中冶京诚工程技术有限公司 用除尘器自产净煤气进行流化输灰的方法及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375B1 (ko) * 2009-03-09 2009-07-24 국제산업주식회사 기밀용 합성수지관 연결구
KR20100081024A (ko) 2009-01-05 2010-07-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
KR20130001590U (ko) 2011-08-30 2013-03-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
KR200477746Y1 (ko) * 2010-12-28 2015-07-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벌크 탱크의 공기 분사 장치
KR101606688B1 (ko) * 2014-05-30 2016-03-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용 벌크탱크의 공기 분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1024A (ko) 2009-01-05 2010-07-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
KR100909375B1 (ko) * 2009-03-09 2009-07-24 국제산업주식회사 기밀용 합성수지관 연결구
KR200477746Y1 (ko) * 2010-12-28 2015-07-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벌크 탱크의 공기 분사 장치
KR20130001590U (ko) 2011-08-30 2013-03-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
KR101606688B1 (ko) * 2014-05-30 2016-03-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용 벌크탱크의 공기 분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4726A (zh) * 2018-04-27 2018-08-14 中冶京诚工程技术有限公司 用除尘器自产净煤气进行流化输灰的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595Y1 (ko) 202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8575B2 (en) Dual gradient managed pressure drilling
US2849213A (en) Apparatus for circulating drilling fluid in rotary drilling
EP2896781B1 (en) Rotating control device having jumper for riser auxiliary line
US3747696A (en) Subterranean slurry mining apparatus
CA2880906C (en) Wellbore desanding system
US20080135256A1 (en) Subsea Manifold System
AU2013362970A1 (en) Riser auxiliary line jumper system for rotating control device
US20150013994A1 (en) Bell Nipple Assembly Apparatus and Methods
NO325322B1 (no) Injeksjonsrorelement for a injisere et fluid mellom mantler
EP3221552A1 (en) Annular isolation device for managed pressure drilling
US20180298711A1 (en) Systems for removing blockages in subsea flowlines and equipment
US20140196954A1 (en) Jetting tool
KR20170004331U (ko)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 및 그 방사형 벌크유동화 장치를 구비하는 벌크 탱크
US20150240578A1 (en) Modular mud lift pump assembly
KR102394955B1 (ko) 벌크 이송 시스템 실험 장치 및 방법
KR200477746Y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벌크 탱크의 공기 분사 장치
KR101358123B1 (ko) 머드순환시스템용 머드펌프의 밸브조립체
KR101640762B1 (ko) 누출 방지 머드 건
KR20130001590U (ko)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
KR101616416B1 (ko) 머드 저장용 탱크
KR102608689B1 (ko) 벌크 이송장치 및 방법
CN115992655A (zh) 一种碎软煤层多介质反循环钻进装置及方法
KR102087175B1 (ko)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 및 그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의 더스트 회수방법
US1784404A (en) Drilling apparatus
KR20160000934A (ko) 머드 저장용 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