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0813A - 정량 분무식 흡입기 - Google Patents

정량 분무식 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0813A
KR20100080813A KR1020107009037A KR20107009037A KR20100080813A KR 20100080813 A KR20100080813 A KR 20100080813A KR 1020107009037 A KR1020107009037 A KR 1020107009037A KR 20107009037 A KR20107009037 A KR 20107009037A KR 20100080813 A KR20100080813 A KR 20100080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aerosol
operation lever
mouthpiece
valve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9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4574B1 (ko
Inventor
요시히로 오이
신타로 아다치
다카아키 나카오
Original Assignee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80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Inhalators using medicine packages with incorporated spraying means, e.g. aerosol c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61M15/0025Mouthpieces therefor with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7Mechanical counters
    • A61M15/0071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7Mechanical counters
    • A61M15/0071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 A61M15/0073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on a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7Mechanical counters
    • A61M15/0071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 A61M15/0076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on a dru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04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driving the stage of lowest order
    • G06M1/041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driving the stage of lowest order for drum-type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14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transferring a condition from one stage to a higher stage
    • G06M1/16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transferring a condition from one stage to a higher stage self-operating, e.g. by Geneva mechanism
    • G06M1/163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transferring a condition from one stage to a higher stage self-operating, e.g. by Geneva mechanism with dru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22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visual indication of the result of count on counting mechanisms, e.g. by window with magnifying lens
    • G06M1/24Drums; Dials; Pointers
    • G06M1/241Dru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로졸 캔의 특성을 살리고, 또한 개량한 정량 분무식 흡입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 본체(2)와, 캔 본체(3a), 밸브 스템(3b) 및 해당 밸브 스템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갖고, 하우징 본체(2) 내의 고정 위치에 밸브 스템(3b)이 유지되는 것과 함께, 하우징 본체(2) 내에서 상기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캔 본체(3a)가 눌러넣음 가능하게 지지된 에어로졸 캔(3)과, 하우징 본체(2)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표시 부재(12, 13) 및 표시 부재(13)를 회전 조작하기 위해 하우징 본체(2) 내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레버(14)를 갖는 도스 카운터(10)와, 조작 레버(14)와 회전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및 캔 본체(3a)에, 캔 본체(3a)의 바닥측에서 씌워지는 캡부(20b)를 갖고, 또한 조작 레버(14)를 요동시키는 조작 캡(20)을 갖는다.

Description

정량 분무식 흡입기{METERED DOSE INHALER}
본 발명은 정량 분무식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천식 치료용 흡입기로서 정량식 흡입기가 알려져 있으며, 정량 드라이 파우더 흡입기(DPI: Dry Powder Inhaler)와 정량 분무식 흡입기(MDI: Metered Dose Inhaler)가 알려져 있다. 또한 정량 분무식 흡입기는 가압식 정량 분무식 흡입기(pMDI: pressurized Metered Dose Inhaler)로 불리우는 일이 있다.
정량 분무식 흡입기에는 일반적으로 약제를 포함시킨 에어로졸 캔이 장착되어 있다. 에어로졸 캔은 일반적으로 캔 본체와, 캔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밸브 스템과, 캔 본체에 내장된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밸브 스템은 스프링에 의하여 닫힘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으며, 밸브 스템을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눌러넣음으로써 밸브 스템으로부터 에어로졸이 분출된다. 정량 분무식 흡입기에 장착되어 있는 에어로졸 캔은 일반적으로 밸브 스템이 유지되어 있다. 환자가 손으로 캔 본체의 바닥을 누름으로써 밸브 스템이 캔 본체 내에 눌러넣어진다. 그리고 밸브 스템으로부터 분사된 약제 함유 에어로졸은 하우징 본체의 내부 유로를 통하여 하우징 본체에 장착된 마우스피스로부터 분출된다.
또한 정량 분무식 흡입기 안에는 투여 횟수를 표시하는 도스 카운터를 구비하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도스 카운터는 전자식의 것(예를 들면 특허 문헌 1)과 기계식의 것(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3)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자식의 도스 카운터는 고가이기 때문에 비용면에서는 기계식의 것이 유리하다. 특히 1회용의 정량 분무식 흡입기에는 기계식의 도스 카운터가 유리하다.
공지된 기계식의 도스 카운터는 투여 횟수가 인자되고, 또한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표시반과, 표시반을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레버는 스프링 등의 탄성 수단에 의하여 조작 레버를 개시 위치로 복귀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조작 레버는 에어로졸 캔의 캔 본체를 수동에 의해 눌러내리면 에어로졸 캔을 눌러내리는 힘에 의하여 조작 레버의 스프링의 탄성 지지력에 대항해서 눌러내려진다. 그리고 에어로졸 캔을 눌러내리는 힘을 해제하면 조작 레버는, 그 스프링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조작 레버는 눌러내려질 때 또는 눌러내려진 위치로부터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갈 때에 표시반과 걸어맞추어져서 표시반을 소정 각도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조작 레버가 1왕복하는 동안에 조작 레버에 의하여 표시반이 1자리만큼 회전된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표2007―51366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표2003―512265호 공보 특허 문헌 3: 미국 특허 제6446627호 명세서
그러나 기계식의 도스 카운터로서는, 에어로졸 캔의 특성을 살린 더한층의 개량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에어로졸 캔의 특성을 살리고, 또한 개량한 정량 분무식 흡입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1 정량 분무식 흡입기는 하우징 본체와, 캔 본체, 밸브 스템 및 해당 밸브 스템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갖고, 상기 하우징 본체 내의 고정 위치에 상기 밸브 스템이 유지되는 것과 함께,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서 상기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상기 캔 본체가 눌러넣음 가능하게 지지된 에어로졸 캔과, 해당 하우징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표시 부재와, 해당 표시 부재를 회전 조작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레버를 갖는 도스 카운터와, 상기 조작 레버와 회전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와, 상기 캔 본체에 해당 캔 본체의 바닥측에서 씌워진 캡부를 갖고, 상기 조작 레버를 복귀시키기 위해 상기 에어로졸 캔의 스프링의 탄력을 이용하여 상기 조작 레버를 요동시키는 조작 캡을 갖는다.
이 구성에 따르면, 에어로졸 캔에 내장된 스프링력을 이용하여 조작 레버를 동작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구조를 간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흡입기에서는 조작 캡 중 적어도 캡부를 상기 조작 레버로부터 이탈시키는 이탈 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탈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연결부와 캡부의 사이에 연결부로부터 캡부를 분리하기 위한 이파단부(frangible portion)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파단부는 박육부(thin-walled portion)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연결부가 구부러지도록 구성하여 연결부와 조작 레버의 연결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정량 분무식 흡입기는 상기 하우징 본체에 장착되는 마우스피스와, 해당 마우스피스를 커버하는 마우스피스 캡을 더 구비하고, 상기 마우스피스 캡이 상기 이파단부를 파단시키기 위한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는 상기 돌기를 꿰뚫어서 해당 돌기에 의하여 상기 이파단부를 파단시키기 위한 박막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는 상기 마우스피스 캡을 상기 마우스피스에 장착시켰을 때에 상기 돌기가 상기 하우징 본체를 관통하기 위한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 본체 내로 돌출함으로써 상기 에어로졸 캔의 눌러넣음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스 카운터에 조작 레버를 복귀시키기 위한 보조 스프링을 더 설치할 수 있다. 보조 스프링의 강도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보조 스프링 단독으로는 조작 레버를 복귀시킬 수 없는 정도로서, 에어로졸 캔의 스프링의 스프링력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만 조작 레버를 복귀시킬 수 있는 정도의 것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은 보조 스프링은 후술하는 제 2 흡입기에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마우스피스와, 해당 마우스피스를 커버하는 마우스피스 캡과, 상기 마우스피스 캡을 상기 마우스피스에 장착시켰을 때에 상기 에어로졸 캔의 눌러넣음 이동을 규제하는 록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마우스피스 캡은 상기 마우스피스 캡을 상기 마우스피스에 장착시켰을 때에 상기 하우징 본체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관통 가능한 돌기를 갖고, 상기 록 기구는 상기 캡부의 하단 가장자리에 해당 캡부의 주위를 따라서 형성된 경사 안내면과, 상기 경사 안내면에 슬라이딩 안내됨으로써 해당 경사 안내면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경사면과, 상기 돌기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상기 경사면의 이동을 저지하는 걸림고정부를 갖고, 해당 걸림고정부에 의한 상기 경사면의 이동 저지 위치에서 해당경사면에 상기 경사 안내면을 지지시킴으로써 상기 조작 캡의 눌러넣음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걸림고정부의 상기 돌기와의 걸림고정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경사면의 이동을 허용하여 상기 조작 캡의 눌러넣음 이동을 허용하는 록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2 정량 분무식 흡입기는 캔 본체, 해당 캔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밸브 스템 및 해당 밸브 스템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갖고, 상기 밸브 스템의 눌러넣음에 의해 내용물이 분사되는 에어로졸 캔과, 상기 에어로졸 캔의 밸브 스템을 유지하는 유지부가 설치되고, 해당 에어로졸 캔을 수용하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표시 부재 및 해당 표시 부재를 회전 조작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지지된 조작 레버를 갖는 도스 카운터와, 상기 조작 레버에 걸어맞춤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및 상기 캔 본체를 상기 밸브 스템과는 반대측에서 덮는 캡부를 갖는 조작 캡을 구비하고, 상기 에어로졸 캔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탄성 지지력에 대항하여 상기 캔 본체가 눌러넣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로졸 캔의 캔 본체는 상기 조작 레버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밸브 스템의 선단과 상기 걸어맞춤부의 사이의 소정 위치에 있는 제 1 위치 및 상기 캔 본체의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추어져서 눌러넣어지는 제 2 위치의 사이를 동작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 캡은 상기 캔 본체와 함께 초기 위치로부터 눌러넣음 가능한 것과 함께, 눌러넣어진 위치로부터 상기 에어로졸 캔의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캔 본체와 함께 초기 위치로 복귀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조작 캡과 함께 상기 캔 본체가 눌러넣어질 때에 상기 캔 본체의 걸어맞춤부가 상기 조작 레버와 걸어맞추어져서 해당 조작 레버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동작하고, 상기 조작 캡의 연결부는 초기 위치로의 복귀 시에 상기 조작 레버를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조작 레버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또는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복귀할 때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표시 부재를 회전시킨다.
이 구성에 따르면, 에어로졸 캔에 내장된 스프링력을 이용하여 조작 레버를 동작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구조를 간이하게 할 수 있다. 조작 레버의 형태는 여러 가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작 레버에 에어로졸 캔과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에어로졸 캔과 조작 레버는 반드시 직접적으로 접촉해 있을 필요는 없고, 다른 부재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접촉해 있어도 좋다.
그런데 에어로졸 캔에는 제조 오차에 의하여 밸브 스템의 길이에 불균일이 발생하는 일이 일반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밸브 스템이 긴 에어로졸 캔에서는 밸브 스템의 눌러넣음 개시로부터 내용물의 분사까지의 눌러넣음 길이가 긴 경향에 있고, 밸브 스템이 짧으면 눌러넣음 길이가 짧은 경향에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캔 본체의 걸어맞춤부와 밸브 스템의 선단의 사이의 소정 위치에 조작 레버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잇점이 있다. 즉 이 구성을 취하면, 예를 들면 밸브 스템이 긴 경우, 캔 본체가 눌러넣어져서 조작 레버와 걸어맞추어지기까지의 거리가 길어지는 한편, 밸브 스템이 짧은 경우에는 조작 레버와 걸어맞추어지기까지의 눌러넣음 길이가 짧게 된다. 그 때문에 상기와 같은 밸브 스템의 길이와 분사까지의 눌러넣음 길이의 관계에서 보면, 캔 본체의 걸어맞춤부와 조작 레버가 걸어맞추어지고나서 내용물이 분사되기까지의 눌러넣음 길이를 밸브 스템의 길이에 무관하게 대략 같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밸브 스템의 길이에 불균일이 있어도 내용물의 분사로부터 조작 레버의 동작에 의한도스 카운터의 표시 갱신까지의 타이밍을 대략 일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작자가 밸브 스템의 길이의 상이에 의하여 상기 타이밍의 어긋남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흡입기에 있어서, 조작 레버가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의 동작 시에 표시 부재와 걸어맞추어져서 표시 부재를 회전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흡입기에 있어서는, 조작 레버에, 제 1 위치에 있을 때에 표시 부재를 록하는 스토퍼 부재를 설치할 수 있고, 제 2 위치에 있을 때에 록이 해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조작 레버가 초기 위치인 제 1 위치에 있을 때에는 표시 부재의 회전이 록되기 때문에 갑자기 표시 부재가 회전하여 도스 카운터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레버는 여러 가지 구성으로 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즉 조작 레버가 연결부와 걸어맞춤 가능한 돌기를 갖는 것과 함께, 제 1 및 제 2 위치를 취하도록 요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조작 캡의 눌러넣음과 함께, 조작 레버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요동하고, 이 요동에 동반하는 돌기의 이동과 함께, 조작 캡의 눌러넣음에 의해 연결부가 돌기와 비걸어맞춤 상태에서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조작 캡의 복귀에 의한 연결부의 이동에 의해 돌기가 연결부와 걸어맞추어져서 이동하고, 이에 따라서 조작 레버가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기에서는 캔 본체에 있어서, 밸브 스템이 배치된 면에 계단부를 형성하고, 이것을 걸어맞춤부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계단부 외에, 걸어맞춤부는 조작 레버와 걸어맞추어져서 이것을 눌러내릴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상기 흡입기에 있어서는, 하우징 본체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마우스피스를 더 설치하고, 에어로졸 캔의 내용물이 마우스피스를 통하여 하우징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마우스피스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로졸 캔으로부터 분사된 내용물을 직접 입 안으로 공급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를 착탈할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세정하기 쉽다.
또한 상기 흡입기에 있어서는, 조작 캡에 캔 본체를 밸브 스템측에서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기의 조립 시에 캔 본체가 이동하여 카운터를 진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격으로 캔 본체 만이 이동하여 카운터가 진행되거나, 밸브 스템이 눌러내려져서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정량 분무식 흡입기에 따르면, 흡입에 필요한 에어로졸 캔의 눌러넣음력을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정량 분무식 흡입기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량 분무식 흡입기로부터 마우스피스 캡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을 부분적으로 잘라내어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을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정량 분무식 흡입기의 1부품을 빼내어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정량 분무식 흡입기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을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다른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6의 다른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6의 또다른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7의 조작 캡을 조립한 상태로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의 정량 분무식 흡입기를 부분적으로 잘라내어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이어지는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정량 분무식 흡입기의 구성 요소인 조작 레버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조작 레버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정량 분무식 흡입기의 제 2 실시형태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이어지는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정량 분무식 흡입기의 제 2 실시형태의 다른 부분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이어지는 조립 공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정량 분무식 흡입기의 제 2 실시형태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2에 나타내어져 있는 마우스피스 캡을 떼어서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이어지는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2에 포함되는 1부품인 록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록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정량 분무식 흡입기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정량 분무식 흡입기로부터 마우스피스 캡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29를 부분적으로 잘라내어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을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29의 정량 분무식 흡입기의 1부품을 빼내어 나타내는 종단면도다.
도 34는 도 29의 정량 분무식 흡입기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4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6은 도 34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7은 도 35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8은 도 35의 다른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9는 도 34의 다른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0은 도 34의 또다른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1은 도 35의 조작 캡을 조립한 상태로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42는 도 29의 정량 분무식 흡입기를 부분적으로 잘라내어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3은 도 42에 이어지는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4는 에어로졸 캔의 설명도이다.
도 45는 에어로졸 캔과 접촉판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46은 정량 분무식 흡입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7은 표시 부재와 조작 레버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48은 표시 부재와 조작 레버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49는 도 47의 조작 레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정량 분무식 흡입기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정량 분사식 흡입기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1∼1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량 분무식 흡입기(1)는 하우징 본체(2)에 에어로졸 캔(3)이 수용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2)에는 마우스피스(4)가 부착되고, 마우스피스(4)에는 마우스피스 캡(5)이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에어로졸 캔(3)은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원주 형상의 캔 본체(3a)를 갖고 있으며, 캔 본체(3a)의 일단으로부터 밸브 스템(3b)이 돌출해 있다. 밸브 스템(3b)은 도시하지 않는 내장된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돌출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항상 밸브가 닫혀 있다.
하우징 본체(2)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캔을 받아들일 수 있는 통 형상부(2a)를 갖고 있다. 에어로졸 캔(3)은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역방향, 즉 밸브 스템(3b)을 아래 방향으로 하여 하우징 본체(2)에 삽입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밸브 스템(3b)을 유지하는 유지부(2b)가 하우징 본체(2) 내에 형성되어 있다. 유지부(2b)는 밸브 스템(3b)을 기밀적으로 끼워넣을 수 있는 끼워맞춤 구멍(2b1)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2)는 또한 끼워맞춤 구멍(2b1)에 연통하는 미세 구멍(2c)과, 미세 구멍(2c)과 통하는 깔때기 형상부(2d)가 형성되어 있다. 깔때기 형상부(2d)는 밸브 스템(3b)으로부터 분사된 에어로졸을 마우스피스(4) 내로 유도한다.
에어로졸 캔(3)의 캔 본체(3a)를 도시하지 않는 내장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눌러 내리면 밸브 스템(3b)이 에어로졸 캔(3) 내로 눌러넣어져서 밸브 스템(3b)의 밸브가 열리고, 밸브 스템(3b)으로부터 약제 함유 에어로졸이 내뿜어져서 미세 구멍(2c), 깔때기 형상부(2d)를 거쳐 마우스피스(4) 내에 에어로졸이 분사된다.
도 3, 4를 참조하면, 도스 카운터(10)가 하우징 본체(2)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스 카운터(10)는 하우징 본체(2)의 내면에 고정되는 지지 부재(11)와, 지지 부재(11)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표시 부재(12), 표시 부재(13)와, 표시 부재(12, 13)를 회전 조작하기 위한 조작 레버(14)를 갖는다.
일례에 있어서, 표시 부재(12)의 둘레 측면에는 10자리의 숫자 0∼10이 등간격으로 인자되고, 표시 부재(13)의 둘레 측면은 1자리의 숫자 0∼9가 표시되며, 그에 따라서 도스 카운터(10)는 0∼109까지의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 하우징 본체(2)의 측면에는 도 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부재(12, 13)에 인자된 숫자(도시하지 않음)를 육안 인식하기 위한 창(2w)이 형성되어 있다. 표시 부재(12, 13)는 도 6, 7의 분해 사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구멍(12a, 13a)이 형성된 환상(環狀)으로 되어 있다.
도 8은 도 6의 일부를 빼낸 확대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일부를 빼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부재(12)는 표시 부재(13)와 접하는 측과 반대의 측면에, 주위를 따라서 나열되는 복수의 걸림고정 홈(12b, …)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11)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의 걸림고정 홈(12b, …)에 걸려 고정되는 되돌아감 방지쇠(11a, 11a)를 구비한다. 되돌아감 방지쇠(11a, 11a)는 표시 부재(12)의 화살표 A방향의 회전을 저지하지만, 되돌아감 방지쇠(11a, 11a)가 탄성을 가짐으로써 표시 부재(12)에 화살표 B방향의 소정의 회전력이 부여된 경우에 표시 부재(12)의 화살표 B방향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되돌아감 방지쇠(11a, 11a) 및 걸림고정 홈(12b)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은 도 7에서 빼낸 확대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6에서 빼낸 확대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 11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지지 부재(11)와 표시 부재(13)의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 부재(12)가 생략되어 있다.
표시 부재(13)의 축 구멍(13a)의 내주면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각도 간격으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걸림고정 홈(13b, …)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11)는 이들의 걸림고정 홈(13b, …)에 걸려 고정되는 되돌아감 방지쇠(11b, 11b)를 구비한다. 되돌아감 방지쇠(11b, 11b)는 표시 부재(13)의 화살표 A방향의 회전을 저지하지만, 되돌아감 방지쇠(11b, 11b)가 탄성을 가짐으로써 표시 부재(13)에 화살표 B방향의 소정의 회전력이 부여된 경우에 표시 부재(13)의 화살표 B방향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걸림고정 홈(13b) 및 되돌아감 방지쇠(11b, 1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시 부재(13)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부재(12)와 접하는 측과 반대의 측면에, 주위를 따라서 나열되는 복수의 걸림고정 홈(13c, …)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 레버(14)는 지지 부재(11)에 형성된 축부(11c)에 의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조작 레버(14)의 선단에는 복수의 걸림고정 홈(13c, …)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고정쇠(14a)가 형성되어 있다(도 11). 조작 레버(14)가 화살표 B1방향으로 요동할 때, 걸림고정쇠(14a)가 걸림고정 홈(13c, …)에 걸려 고정된 상태로 요동함으로써 표시 부재(13)에 소정의 회전력을 부여하여 표시 부재(13)를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조작 레버(14)가 화살표 A1방향으로 요동할 때, 표시 부재(13)는 되돌아감 방지쇠(11b, 11b)에 의하여 화살표 A방향의 회전이 저지되어 있으며, 걸림고정쇠(14a)는 표시 부재(13)의 사면(13d)(도 10) 상을 슬라이딩한다. 조작 레버(14)의 1회의 왕복 요동에 의하여 표시 부재(13)는 36° 회전된다. 이에 따라 창(2w)으로부터 보이는 도스 카운터의 숫자가 하나 끌어올려진다.
표시 부재(12)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부재(13)와 접하는 측의 측면에, 주위를 따라서 나열되는 복수의 걸림고정 홈(12c, …)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 부재(13)에는 걸림고정 홈(12c, …)에 걸림고정 가능한 걸림고정쇠(13e)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고정쇠(13e)는 도 10을 참조하면, 표시 부재(12)와 반대측에 돌기(13f)를 구비하고, 또한 도 6의 일부를 확대한 도 12을 참조하면, 이 돌기(13f)가 얹히는 안내 볼록부(2k)가 하우징 본체(2)를 구성하는 부품(2y)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효시 부재(13)가 "9"의 표시에서 "0"의 표시로 전환되는 회전 시에 걸림고정쇠(13e)를 걸림고정 홈(12c)에 걸어 고정시키고, 표시 부재(12)를 표시 부재(13)과 함께 돌려서 표시 부재(12)의 표시수를 끌어올리기 위해 걸림고정쇠(13e)의 돌기(13)를 안내 볼록부(2k)에 얹음으로써, 걸림고정쇠(13e)를 걸림고정 홈(12c)측으로 밀어붙인다. 따라서 걸림고정쇠(13e)는 돌기(13)가 안내 볼록부(2k)에 얹혀 있지 않은 위치에 있을 때는 걸림고정 홈(12c)에 걸려 고정되어 있지 않다.
조작 캡(20)은 도 13의 확대 사시도를 참조하면, 조작 레버(14)와 회전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20a)와, 캔 본체(3a)에, 캔 본체(3a)의 바닥측에서 씌워지는 캡부(20b)를 구비하고 있다.
캡부(20b)는 에어로졸 캔의 바닥에 접촉 가능한 바닥판(20b1)과 에어로졸 캔의 둘레벽을 에워싸는 통체(20b2)를 가질 수 있다. 통체(20b2)에는 캠 팔로워(20c)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캠 팔로워(20c)는 하우징 본체(2)의 내주면에 형성된 캠홈(2e)(도1 참조)에 걸어맞추어진다. 캠홈(2e)은 하우징 본체(2)의 통 형상부(2a)(도 5)의 축선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조작 캡(20)의 왕복 운동을 안내한다.
또한 도시예의 캡부(20b)는 도 6,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조 공정의 형편상, 서로 결합되는 상부 부품(바닥판(20b1)), 하부 부품(통체(20b2)와 연결부(20a))의 2부품으로 이루어지는데, 1부품에 의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20a)는 캡부(20b)의 통체(20b2)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돌출부(20d)의 선단부에 형성된 갈고리 형상 부분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조작 레버(14)는 도 10, 도 11을 참조하면, 걸림고정쇠(14a)와 축부(11c)를 통과시키는 구멍(14b)의 사이에 링크 핀(14c)을 구비한다. 도 14,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 핀(14c)에, 연결부(20a)를 구성하고 있는 갈고리 형상 부분이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조작 레버(14)가 연결부(20a)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캡(20)이 상하로 왕복 운동하면, 그에 동반하여 조작 레버(14)가 표시 부재(12)를 회전 이동시키기 위해 왕복 요동한다.
또한 연결부(20a)는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조작 레버(14)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연결부를 링크 핀으로 하여 조작 레버에 해당 링크 핀이 끼워지는 핀 구멍을 형성해도 좋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20a)와는 별도의 위치에 또 하나의 연결부(20a’)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20a’)는 요동 각도 범위가 다른 조작 레버(14’)(도 16, 도 17 참조)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이다. 조작 레버(14’)는 링크 핀(14c’)의 구멍(14b’)으로부터의 거리가 조작 레버(14)의 것보다 커져 있다. 따라서 조작 캡(20)의 왕복 행정이 같은 조건에서는 조작 레버(14’)쪽이 조작 레버(14)보다 요동 각도가 작아진다. 예를 들면 요동 각도가 작은 조작 레버(14’)를 어른용, 요동 각도가 큰 조작 레버(14)를 아이용으로 하여 이들을 구분해서 편입하는 경우에 연결부(20a)와 연결부(20a’) 중 어느 하나에 연결시킨다.
조작 레버(14)는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14)가 요동하고 있지 않을 때에 우발적으로 표시 부재(12, 13)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 부재(14s)를 더 구비하고 있다. 스토퍼 부재(14s)는 표시 부재(12, 13)의 둘레면에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오목부(12x)(도 9 참조), (13x)에 걸어맞추어지는 돌기(14s1)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캡(20)은 도 13을 참조하면, 캡부(20b)와 연결부(20a)의 연결을 분리하기 위한 이파단부(20e)가 형성되어 있다. 이파단부(20e)는 도시예와 같이, 연장돌출부(20d)에 해당 연장돌출부(20d)를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홈을 형성하는 것에 의한 박육부에 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파단부(20e)는 조작 레버(14)의 통상의 조작 시에 파단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갖고 있으면 좋고,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지만, 도시예와 같이 두께 치수를 작게 하는 것은 아니고, 폭치수를 작게 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마우스피스 캡(5)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파단부(20e)를 파단시키기 위한 돌기(5a)를 구비할 수 있다. 이파단부(20e)는, 이 돌기(5a)에 의하여 파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밖의 수단 또는 방법에 의하여 파단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는 연결부(20a)에 힌지부를 형성하고, 돌기(5a)를 눌러넣는 것으로 연결부(20a)를 안측으로 꺾어넣어서 연결부(20a)와 조작 레버(14)의 연결 상태를 해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 본체(2)는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부품(2x, 2y)을 결합함으로써 조립되어 있지만, 부품(2y)을 떼어냄 가능하게 해 두고, 부품(2y)을 떼어서 조작자의 손가락의 손톱으로 이파단부(20e)를 꺾는 등 으로 해도 좋다.
하우징 본체(2)는 도 3, 도 4,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5a)를 꿰뚫음 가능한 박막부(2f)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5a)는 박막부(2f)를 꿰뚫으면 꿰뚫음 시의 기세로 조작 캡(20)의 이파단부(20e)의 조금 아래의 부분에 충돌하고, 그 충격에 의하여 이파단부(20e)를 파단시킬 수 있다. 돌기(5a)는 박막부(2f)를 꿰뚫기 쉽게 하기 위해 뾰족한 선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박막부(2f) 대신에 통공으로 할 수도 있다.
하우징 본체(2)는 마우스피스(4)에 마우스피스 캡(5)을 장착했을 때에 돌기(5a)가 하우징 본체(2)를 관통하기 위한 관통 구멍(2g)(도 5)이 형성되어 있다. 돌기(5a)는 도 3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2g)을 관통하여 하우징 본체(2) 내로 돌출하고, 이 돌기(5a)에 조작 캡(20)의 통체(20b2)의 단 가장자리에 돌출 설치되어 있는 돌기편(20f)(도 6 참조)이 접촉함으로써 조작 캡(20) 및 에어로졸 캔(3)의 캔 본체(3a)를 눌러넣을 수 없도록 해서 오작동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마우스피스 캡(5)을 마우스피스(4)에 장착하고 있을 때는 에어로졸 캔(3)을 눌러넣음 조작할 수 없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에어로졸 캔(3)의 에지에 돌기(5a)를 직접 접촉 가능하게 구성하고, 해당 돌기에 의해 에어로졸 캔(3)의 눌러넣음 이동을 규제해도 좋다.
정량 분무식 흡입기를 작동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우선 마우스피스 캡(5)을 마우스피스(4)로부터 떼어낼 필요가 있다. 이하 정량 분무식 흡입기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도 14 및 도 15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캔 본체(3a)가 하우징(2) 내에 아직 눌러넣어져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스토퍼 부재(14s)가 표시 부재(12, 13)에 걸어맞추어져 있으며, 표시 부재(12, 13)는 회전이 저지되어 있어서 표시 부재(12, 13)의 오작동이 방어되어 있다. 예를 들면 표시 부재(12, 13)에 하우징(2)의 창(2w)으로부터 액세스하여 회전시키고자 해도 스토퍼 부재(14s)에 의하여 표시 부재(12, 13)를 회전시킬 수 없다.
도 15는 캔 본체(3a)가 하우징(2) 내에 눌러넣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마우스피스 캡(5)을 떼어낸 후, 캡부(20b)를 통하여 에어로졸 캔(3)의 캔 본체(3a)를 도시하지 않는 내장된 코일 스프링에 대항해서 조작자가 손으로 하우징 본체(2) 내에 눌러넣으면 연결부(20a)에 연결되어 있는 조작 레버(14)도 도 14의 위치로부터 도 15의 아래쪽 위치로 요동한다. 이 아래쪽 위치에 있어서, 조작 레버(14)의 걸림고정쇠(14a)는 표시 부재(13)의 하나의 걸림고정 홈(13c)에 걸려 고정된다(도 10도 참조).
또한 에어로졸 캔(3)의 캔 본체(3a)가 하우징 본체(2) 내에 눌러넣어짐으로써, 그 반작용으로서 밸브 스템(3b)이 캔 본체(3a) 내에 눌러넣어지고, 밸브 스템(3b)으로부터 일정량의 약제 함유 에어로졸이 분사된다. 밸브 스템(3b)으로부터 분사된 약제 함유 에어로졸은 미세 관(2c), 깔때기 형상부(2d)로부터 마우스피스(4)의 내부를 통하여 외부를 향해서 분사된다(도 5도 참조).
약제 함유 에어로졸을 분사한 후, 캡부(20b)를 통하여 캔 본체(3a)를 누르고 있던 힘을 해제하면 에어로졸 캔(3) 내의 내장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캔 본체(3a)와 함께 조작 캡(20)이 되밀린다. 조작 캡(20)이 되밀리면 조작 캡(20)에 연결되어 있는 조작 레버(14)도 도 15의 위치에서 도 14의 위치로 요동하고, 원위치로 복귀한다. 조작 레버(14)가 원위치로 복귀할 때 걸림고정쇠(14a)가 걸림고정 홈(13c)에 걸려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 부재(13)가 소정의 회전 각도만큼 회전된다. 이 소정의 회전 각도는 표시 부재(13)의 표시 수치를 하나 끌어올리는 데 필요한 각도이다. 또한 캔 본체(3a)가 원위치로 되돌아감으로써 밸브 스템(3b)도 원위치로 되돌아가서 다음 분사의 약제가 충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정량 분무식 흡입기(1)는 에어로졸 캔(3) 내의 내장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조작 레버(14)를 복귀시키고 있다. 따라서 구조를 간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의 정량 분무식 흡입기(1)는 에어로졸 캔(3)을 제외하고 10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에어로졸 캔(3)을 제외한 모든 부품이 수지 성형품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정량 분무식 흡입기(1)는 에어로졸 캔(3) 내의 약제를 모두 사용한 후, 돌기(5a)에 의하여 조작 캡(20)의 이파단부(20e)를 파단시켜서 캡부(20b)와 연결부(20a)를 분리한다. 캡부(20b)는 에어로졸 캔에 씌워져 있을 뿐으로, 에어로졸 캔(3)에 걸어맞추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캡부(20b)와 연결부(20a)를 분리한 후에는 캡부(20b)를 하우징 본체(2)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또는 20e를 지점으로 하여 20a를 구부려서 조작 레버(14)와의 연결을 분리하면 캡부(20b)를 하우징 본체(2)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캡부(20b)를 빼내면 에어로졸 캔(3)은 밸브 스템(3b)이 유지부(2b)에 끼워넣어져 있을 뿐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따라서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에어로졸 캔(3)과 수지 성형품인 다른 10개의 부품을 간단히 분별 폐기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정량 분무식 흡입기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18∼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변경을 가한 형태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변경 부분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고, 상기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18∼도 28은 주요부 만을 빼내어서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의,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도스 카운터(100)는 조작 레버(140)를 개시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보조 스프링(101)을 구비하고 있다. 보조 스프링(101)의 스프링력은 보조 스프링(101) 단독으로는 조작 레버(140)를 복귀시킬 수 없는 정도로서, 에어로졸 캔의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스프링력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만 조작 레버(140)를 복귀시킬 수 있는 정도이다.
에어로졸 캔(3)은 제조 오차가 포함되는 일이 많기 때문에, 이 보조 스프링(101)은 에어로졸 캔(3)의 치수의 불균일이나 에어로졸 캔(3)에 내장되어 있는 스프링의 스프링력의 불균일을 보충한다. 도시예에 있어서, 보조 스프링(101)은 지지 부재(110)에 형성된 축부(110c)에 장착된 토션 스프링이며, 조작 레버(140)를 개시 위치로 복귀시키는 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밸브 스템(3b)(도 20 참조)의 길이가 설계 치수보다 짧은 경우, 에어로졸 캔(3)의 캔 본체의 세로 길이가 설계 치수보다 짧은 경우, 또는 에어로졸 캔에 내장된 스프링의 스프링력이 예정된 스프링력보다 작은 경우가 있다. 이들의 경우에는 에어로졸을 분사시킬 때의 밸브 스템(3b)의 눌러넣음량이 예정량보다 적어진다. 그러면 밸브 스템(3b)을 탄성 지지하고 있는 내장 스프링의 압축 변형량도 예정보다 적어지고, 그 결과 밸브 스템(3b)을 탄성 지지하고 있는 스프링의 북원력은 예정하고 있는 힘보다 작아져서 조작 레버(140)를 복귀시키는 데 불충분하게 될 염려가 있다. 조작 레버(140)는 복귀할 때에는 표시 부재(13)의 걸림고정 홈(13c)에 걸려 고정되어 표시 부재(13)를 회전시키고자 하는데, 표시 부재(12, 13)는 회전하기 위해서는 되돌아감 방지쇠(11a)(도 9 참조)나 되돌아감 방지쇠(11b)(도 10 참조)나 돌기(13f)(도 10 참조)를 탄성 변형시킬만큼의 힘이 필요하게 된다. 밸브 스템(3b)을 탄성 지지하고 있는 스프링의 복원력이 되돌아감 방지쇠(11a)나 되돌아감 방지쇠(11b)를 탄성 변형시킬만큼의 힘에 부족하면 조작 레버(140)를 복귀시킬 수 없다.
그래서 보조 스프링(101)을 장착함으로써 에어로졸 캔(3)의 설계 오차에 기초하는 불균일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에어로졸 캔 내의 스프링을 보조해서 조작 레버(140)의 복귀를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즉 보조 스프링(101)은 에어로졸 캔(3)의 제조 오차에 기초하는 작동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스프링(101)은, 그 단독으로는 조작 레버(140)를 복귀시킬 정도의 힘을 갖지 않는 약한 스프링이지만, 그 이외의 강도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캔(3)의 치수 오차를 보충하기 위해 제 2 실시형태의 정량 분무식 흡입기에서는 조작 캡(200)이 상부 부품과 하부 부품으로 2분할된 부품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해서 조립된다. 또한 상부 부품은 조작 캡(200)의 캡부(200b)의 바닥판(200b1)이며, 하부 부품은 조작 캡의 캡부(200b)의 통체(200b2)와 연결부(20a)로 이루어지는 부품이다.
에어로졸 캔(3)은 조립의 최종 공정에 있어서, 하부 부품(200y) 내에 삽입되고, 밸브 스템(3b)을 유지부(2b)의 끼워맞춤 구멍(2b1)(도 5 참조)에 끼워맞춤으로써 유지된다. 에어로졸 캔(3)을 눌러내리지 않는 상태에서 하부 부품(200y)에 캡 형상을 한 상부 부품(200x)을 씌운다. 상부 부품(200x)의 내저면이 에어로졸 캔(3)의 저면에 접촉한 것을 확인하고, 상부 부품(200x)을 초음파 용접 또는 다른 접합 수단을 이용하여 하부 부품(200y)에 접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조작 캡(200)을 조립함으로써 예를 들면 에어로졸 캔이 제조 오차에 의하여 설계 치수보다 세로치수가 큰 경우 또는 작은 경우이어도, 그 오차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형태는 후술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의 정량 분무식 흡입기는 마우스피스 캡을 마우스피스에 장착시켰을 때에 에어로졸 캔(3)의 눌러넣음 이동을 규제하는 록 기구를 더 구비하고, 이 록 기구에 대하여 이하에 도 20∼도 2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20∼도 25를 참조하면, 조작 캡(200)의 캡부(200b)의 하단 가장자리에 캡부(200b)의 주위를 따르는 경사 안내면(201)이 형성된 볼록부(20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22∼도 28을 참조하면, 경사 안내면(201)에 슬라이딩 안내되는 경사면(301)을 갖는 기립부(302)가 록 부재(300)에 형성되어 있다. 록 부재(300)는 회전축(303)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축(303)은 지지 부재(110)에 형성된 축 구멍 (111)(도 18, 19 참조)에 삽입되고, 그에 따라서 록 부재(300)는 지지 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캡(200)을 눌러넣으면 경사면(301)이 경사 안내면(201)에 안내됨으로써 경사면(301)이 경사 안내면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록 부재(300)가 회전한다.
록 부재(300)는 도 22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돌기(5a)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경사면(301)의 이동을 저지하는 걸림고정부(304)를 갖고 있다. 도 22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걸림고정부(304)에 의한 경사면(301)의 이동이 저지되어 있는 위치에 있어서, 경사면(301)이 경사 안내면(201)을 지지함으로써 조작 캡(200)의 눌러넣음 이동을 규제한다. 그 한편, 도 24∼도 25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 캡(5)을 마우스피스(4)(도 2 참조)로부터 떼어서 걸림고정부(304)와 돌기(5a)의 걸림고정을 해제함으로써 경사면(301)의 이동을 허용한다. 그 결과 조작 캡(200)에 눌러넣음 방향의 힘을 부여하면 경사면(301)이 경사 안내면(201)에 의하여 안내되어 이동하고, 경사면(301)을 갖는 기립부(302)는 캡부(200b)의 볼록부(202)에 인접하여 형성된 오목부(203)에 들어갈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조작 캡(200)의 눌러넣음 이동이 허용된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록 기구에 의하여 마우스피스 캡(5)이 마우스피스(4)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에어로졸 캔(3)의 눌러넣음 이동이 규제된다. 마우스피스 캡(5)의 장착 시에 있어서의 에어로졸 캔(3)의 눌러넣음 이동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돌기(5a)에 돌기편(20f)(도 6 참조)가 접촉함으로써도 규제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서 오작동이 방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록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제 2 실시형태는 2중의 오작동 방지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정량 분무식 흡입기의 제 3 실시형태를 도 29∼도 4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정량 분무식 흡입기는 안개 형상으로 분사된 약제를 환자의 입으로부터 직접 흡입하기 위한 것이고, 외관은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즉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정량 분무식 흡입기(1)는 하우징 본체(2)에 에어로졸 캔(3)이 수용되어 있으며, 이 에어로졸 캔(3)의 상단부에는 조작 캡(20)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2)에는 환자의 입에 장착되는 마우스피스(4) 및 마우스피스 캡(5)이 부착되어 있다.
에어로졸 캔(3)은 상기 각 실시형태와 같다. 즉 도 31 및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제가 수용된 대략 원주 형상의 캔 본체(3a)를 갖고 있으며, 이 캔 본체(3a)의 하단면에는 소직경의 원주 형상의 융기부(3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융기부(계단부)(3c)로부터 관 형상의 밸브 스템(3b)이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2)는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캔을 받아들일 수 있는 통 형상부(2a)를 갖고 있다. 에어로졸 캔(3)은 도 3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역방향, 즉 밸브 스템(3b)을 아래 방향으로 하여 하우징 본체(2)에 삽입된다.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스템(3b)을 유지하는 유지부(2b)가 하우징 본체(2) 내에 형성되어 있다. 유지부(2b)는 밸브 스템(3b)을 기밀적으로 끼워넣을 수 있는 끼워맞춤 구멍(2b1)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2)는 끼워맞춤 구멍(2b1)에 연통하는 미세 구멍(2c)과, 미세 구멍(2c)과 통하는 깔때기 형상부(2d)가 더 형성되어 있다. 깔때기 형상부(2d)는 밸브 스템(3b)으로부터 분사된 에어로졸을 마우스피스(4) 내로 유도한다.
에어로졸 캔(3)의 캔 본체(3a)를 도시하지 않는 내장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눌러내리면 밸브 스템(3b)이 에어로졸 캔(3) 내로 눌러넣어져서 밸브 스템(3b)의 밸브가 열린다. 이에 따라서 밸브 스템(3b)으로부터 일정량의 약제 함유 에어로졸이 내뿜어지고, 미세 구멍(2c), 깔때기 형상부(2d)를 거쳐서 마우스피스(4) 내로 에어로졸이 분사된다.
도 31 및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2) 내에는, 이 흡입기의 사용 횟수를 카운트하는 도스 카운터(10)가 배치되어 있다. 도스 카운터(10)의 구성은 상기 각 실시형태와 같다.
조작 캡(20)은 도 41의 확대 사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14)와 회전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20a)와, 캔 본체(3a)에, 캔 본체(3a)의 바닥측에서 쓰워지는 캡부(20b)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연결부(20a)의 구조가 상기 각 실시형태와 다르다.
캡부(20b)는 에어로졸 캔의 바닥에 접촉 가능한 바닥판(20b1)과, 에어로졸 캔의 둘레벽을 에워싸는 통체(20b2)를 가질 수 있다. 통체(20b2)에는 캠 팔로워(20c)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캠 팔로워(20c)는 하우징 본체(2)의 내주면에 형성된 캠홈(2e)(도 29 참조)에 걸어맞추어진다. 캠홈(2e)은 하우징 본체(2)의 통 형상부(2a)(도 33)의 축선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조작 캡(20)의 상하의 왕복 운동을 안내한다.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20a)는 캡부(20b)의 통체(20b2)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갈고리 형상(J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 레버(14)는 도 38 및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고정쇠(14a)와 축부(11c)를 통과시키는 구멍(14b)의 사이에 링크 핀(돌기)(14c)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42 및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 핀(14c)에는 연결부(20a)가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조작 레버(14)가 연결부(20a)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점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연결부(20a)가 상하 이동할 때, 하강할 때에는 링크 핀(14c)과 연결부(20a)는 걸어맞추어지지 않지만, 상승할 때에는 연결부(20a)가 링크 핀(14c)에 걸어맞추어지고, 양자가 상승하는 것으로 조작 레버(14)가 축부(11c) 주위로 요동하게 되어 있다.
도 38 및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14)에 있어서의 링크 핀(14c)의 근처, 즉 링크 핀(14c)과 걸림고정쇠(14a)의 사이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판(14d)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접촉판(14d)에 상기한 캔 본체(3a)의 융기부(3c)가 접촉하게 되어 있다. 접촉판(14d)은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밸브 스템(3b)의 선단과 융기부(3c)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조작 캡(20)의 눌러넣음과 함께 캔 본체(3a)가 하강하면 접촉판(14d)이 융기부(3c)로 눌러넣어진다. 이에 따라 조작 레버(14)는 축부(11c) 주위로 요동하게 되어 있다. 또한 조작 레버(14)는 도 38 및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14)가 요동하고 있지 않을 때에 우발적으로 표시 부재(12, 13)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 부재(14s)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회전 방지의 구조에 대해서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하우징 본체(2)는 마우스피스(4)에 마우스피스 캡(5)을 장착했을 때에 돌기(5a)가 하우징 본체(2)를 관통하기 위한 관통 구멍(2g)(도 3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조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계속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정량 분무식 흡입기의 동작에 대하여 도 42 및 도 4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흡입기를 동작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우선 마우스피스 캡(5)을 마우스피스(4)로부터 떼어낼 필요가 있다.
도 42는 캔 본체(3a)가 하우징(2) 내에 아직 눌러넣어져 있지 않은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스토퍼 부재(14s)가 표시 부재(12, 13)에 걸어맞추어져 있어서 표시 부재(12, 13)의 오작동이 방어되어 있다. 도 43은 캔 본체(3a)가 하우징(2) 내로 눌러넣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환자는 마우스피스 캡(5)을 떼어낸 후, 마우스피스(4)를 입에 물거나, 또는 입 앞에 비치한다. 그리고 캡부(20b)를 통하여 에어로졸 캔(3)의 캔 본체(3a)를 도시하지 않는 내장된 코일 스프링에 대항해서 손으로 하우징 본체(2) 내로 눌러넣으면 캔 본체(3a)의 융기부(3c)가 접촉판(14d)에 걸어맞추어지고, 캔 본체(3a)의 하강에 의하여 접촉판(14d)이 아래쪽으로 눌러내려진다. 이에 따라 조작 레버(14)가 도 42의 위치로부터 도 43의 아래쪽 위치로 요동한다. 이 아래쪽 위치에 있어서, 조작 레버(14)의 걸림고정쇠(14a)는 표시 부재(13)의 하나의 걸림고정 홈(13c)에 걸려 고정된다(도 38도 참조). 이 때 캡부(20b)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20a)도 눌러넣음과 함께 하강하지만, 조작 레버(14)도 아래쪽으로 요동하기 때문에 연결부(20a)와 조작 레버(14)의 링크 핀(14c)은 비걸어맞춤 상태인 채 함께 하강해간다.
그리고, 에어로졸 캔(3)의 캔 본체(3a)가 하우징 본체(2) 내로 눌러넣어지면 밸브 스템(3b)으로부터 약제 함유 에어로졸이 분사된다. 분사된 약제 함유 에어로졸은 미세 관(2c), 깔때기 형상부(2d)로부터 마우스피스(4)의 내부를 통하여 외부를 향해서 분사된다(도 33도 참조).
약제 함유 에어로졸을 분사한 후, 캡부(20b)를 통하여 캔 본체(3a)를 누르고 있던 힘을 해제하면 에어로졸 캔(3) 내의 내장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캔 본체(3a)와 함께 조작 캡(20)이 되밀린다. 조작 캡(20)이 되밀리면 조작 캡(20)의 연결부(20a)는 링크 핀(14c)에 걸어맞추어져서 링크 핀(14c)과 함께 상승한다. 이에 따라 조작 레버(14)는 도 43의 위치로부터 도 42의 위치로 요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조작 레버(14)가 원위치로 복귀할 때, 걸림고정쇠(14a)가 걸림고정 홈(13c)에 걸려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 부재(13)가 소정의 회전 각도만큼 회전시켜진다. 이 소정의 회전 각도는 표시 부재(13)의 표시 수치를 하나 끌어올리는 데 필요한 각도이다. 또한 캔 본체(3a)가 원위치로 되돌아감으로써 밸브 스템(3b)도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고, 다음 분사의 약제의 충전이 실시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캔(3) 내의 내장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조작 레버(14)를 복귀시키고 있다. 따라서 구조를 간이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제 2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보조 스프링을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런데 에어로졸 캔에는 제조 오차에 의하여 밸브 스템의 길이에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 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스템이 긴 에어로졸 캔(도 44(a))에서는 밸브 스템의 눌러넣음 개시로부터 내용물의 분사까지의 눌러넣음 거리가 긴 경향에 있고, 밸브 스템이 짧은 에어로졸 캔(도 44(b))에서는 눌러넣음 거리가 짧은 경향에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캔 본체(3a)의 융기부(3c)와 밸브 스템(3b)의 선단의 사이의 소정 위치에 조작 레버의 접촉판(14d)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잇점이 있다. 예를 들면 도 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스템이 긴 에어로졸 캔(도 45(a))과 짧은 에어로졸 캔(도 45(b))에서는 초기 상태로부터 접촉판과 접촉하기까지의 눌러넣음 길이에 차이가 발생하지만, 일단 접촉하면 그곳에서 분사까지의 눌러넣음 길이(a, b)에는 거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것은 상기와 같이, 밸브 스템의 길이와 분사까지의 눌러넣음 길이의 관계에 따른다. 이와 같이, 분사까지의 접촉판(14d)의 눌러넣음 길이는 대략 같기 때문에 밸브 스템(3b)의 길이가 상이한 에어로졸 캔이어도 걸림고정쇠(14a)가 걸림고정 홈(13c)에 걸려 고정되는 타이밍과 약제를 분사하는 타이밍은 대략 같아진다. 따라서 양쪽 에어로졸 캔은 도스 카운터(10)의 갱신과 약제의 분사가 대략 같은 타이밍이 된다. 그 결과 밸브 스템(3b)의 길이에 불균일이 있어도 약제의 분사의 타이밍과 도스 카운터의 갱신의 타이밍을 대략 일치시킬 수 있고, 환자가 밸브 스템의 길이의 상이에 의하여 상기 타이밍의 어긋남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제 3실시형태의 변형이기 때문에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우선 도 4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캡(20b)에 있어서, 에어로졸 캔(3)의 외주면을 에워싸는 통체(20b2)의 하단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리브(20r)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리브(20r)는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에어로졸 캔(3)을 지지하고 있다. 장치의 조립 시에는 통체(20b2)를 하우징(2) 내에 부착한 후, 에어로졸 캔(3)을 통체(20b2) 내에 배치한다. 이 때 리브(20r)가 없으면 에어로졸 캔(3)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카운터를 진행시켜 버릴 염려가 있다. 또한 잘못하여 낙하시켰을 때의 충격에 의하여 에어로졸 캔(3)이 아래쪽으로 이동해서 카운터를 진행시켜 버리는 일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브(20r)를 설치하는 것으로 20b1을 누르고 있을 때 이외는 리브(20r)에 의하여 에어로졸 캔(3)이 아래쪽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해서 약액이 분사되거나, 카운터가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계속해서 도스 카운터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 부재(13) 및 조작 레버(14)의 구성이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해 있다. 도 47 및 도 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부재(13)의 외주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그 대신에 조작 레버(14)와 대향하는 면에 소정 간격마다 복수의 볼록부(13y)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4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14)의 중간부에는 상기 볼록부(13y)와 걸어맞추어지는 돌기(14f)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 레버(14)의 스토퍼 부재(14s)에도 상기 볼록부(13y)와 걸어맞추어지는 돌기(14s2)가 형성되어 있다.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는 돌기(14s2)가 볼록부(13y)와 걸어맞추어지기 때문에 표시 부재(13)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면 장치가 낙하한 경우에는, 그 충격으로 돌기(14s2s)와 볼록부(13y)의 걸어맞춤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이 조작 레버(14)가 움직인 경우에는 도 4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14)의 볼록부(14f)와 볼록부(13y)가 걸어맞추어져서 표시 부재(13)가 역전하지 않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이 실시될 때 이외의 표시 부재(14)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에어로졸 캔의 융기부와 접촉판이 걸어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에어로졸 캔의 적어도 일부가 접촉판과 걸어맞추어지면 되고, 그 위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에어로졸 캔의 캔 본체의 단면, 외주면 등, 어느 하나의 위치가 접촉판 또는 조작 레버에 걸어맞추어져도 좋고, 에어로졸 캔의 동작에 연동하여 접촉판 또는 조작 레버가 동작하게 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에어로졸 캔이 걸어맞추어지는 것은 접촉판이 아니어도 좋고, 조작 레버를 동작시킬 수 있으면 조작 레버의 어느 쪽의 위치에 걸어맞추어져도 좋다. 또한 조작 레버는 요동하는 이외에도, 적어도 2개의 위치의 사이에서 동작하게 되어 있으면 좋다. 즉 초기 위치와 눌러넣어진 위치의 사이에서 동작하고, 눌러넣어진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동안에 도스 카운터를 갱신할 수 있는 양태이며, 또한 복귀할 때에 조작 캡의 연결부와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특별하게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에어로졸 캔이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을 보조하는 보조 스프링을 설치할 수도 있고, 이것은 예를 들면 도스 카운터(10)의 축부(11c)에 감아둘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조작 레버(14)는 보조 스프링에 대항하여 눌러넣음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복귀 시에는 에어로졸 캔(3)의 스프링에 보조 스프링의 탄성 지지력이 가해져서 보다 확실하게 에어로졸 캔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 밖에 보조 스프링은 에어로졸 캔(3)이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을 보조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캔(3)의 융기부 (3c)와 하우징 본체(2)의 사이, 캡부의 바닥판(20b1)과 캔 본체(3a)의 바닥의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스 카운터(10)는 조작 캡(2)을 눌러넣을 때마다 표시되는 숫자가 커지는 카운트 업 타입으로 되어 있지만, 숫자가 작아지는 카운트 다운 타입으로 되도록 표시 부재(12, 13)의 숫자를 재배열해도 좋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 캡을 눌러넣은 위치로부터 복귀하기까지의 사이에 도스 카운터를 조작하고 있지만, 초기 위치로부터 눌러넣음 위치까지의 사이에 도스 카운터를 조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1: 정량 분무식 흡입기
2: 하우징 본체
2f: 박막부
2g: 관통 구멍
3: 에어로졸 캔
3a: 캔 본체
3b: 밸브 스템
4: 마우스피스
5: 마우스피스 캡
5a: 돌기
10, 100: 도스 카운터
12: 표시 부재
13: 표시 부재
14, 140: 조작 레버
20, 200: 조작 캡
20a: 연결부
20b, 200b: 캡부
101: 보조 스프링
300: 록 부재

Claims (16)

  1. 하우징 본체와,
    캔 본체, 밸브 스템 및 해당 밸브 스템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갖고, 상기 하우징 본체 내의 고정 위치에 상기 밸브 스템이 유지되는 것과 함께,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서 상기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상기 캔 본체가 눌러넣음 가능하게 지지된 에어로졸 캔과,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표시 부재와, 해당 표시 부재를 회전 조작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 레버를 갖는 도스 카운터와,
    상기 조작 레버와 회전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와, 상기 캔 본체에 해당 캔 본체의 바닥측에서 씌워진 캡부를 갖고, 상기 조작 레버를 복귀시키기 위해 상기 에어로졸 캔의 스프링의 탄력을 이용하여 상기 조작 레버를 요동시키는 조작 캡을 갖는
    정량 분무식 흡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캡 중 적어도 캡부를 상기 조작 레버로부터 이탈시키는 이탈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정량 분무식 흡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수단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캡부의 사이에 설치된 박육부로 이루어지는 박육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정량 분무식 흡입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마우스피스와, 해당 마우스피스를 커버하는 마우스피스 캡을 더 구비하고,
    상기 마우스피스 캡이 상기 이탈 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돌기를 구비하고 있는
    정량 분무식 흡입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는 상기 돌기를 꿰뚫어서 해당 돌기에 의하여 파단되는 박막부로 이루어지는 이탈 수단을 갖고 있는
    정량 분무식 흡입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는 상기 마우스피스 캡을 상기 마우스피스에 장착시켰을 때에 상기 돌기가 상기 하우징 본체를 관통하기 위한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 본체 내로 돌출함으로써 상기 에어로졸 캔의 눌러넣음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정량 분무식 흡입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스 카운터가 상기 조작 레버를 복귀시키기 위한 보조 스프링을 더 갖고 있는
    정량 분무식 흡입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에 장착되는 마우스피스와,
    해당 마우스피스를 커버하는 마우스피스 캡과,
    상기 마우스피스 캡을 상기 마우스피스에 장착시켰을 때에 상기 에어로졸 캔의 눌러넣음 이동을 규제하는 록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마우스피스 캡은 상기 마우스피스 캡을 상기 마우스피스에 장착시켰을 때에 상기 하우징 본체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관통 가능한 돌기를 갖고,
    상기 록 기구는,
    상기 캡부의 하단 가장자리에 해당 캡부의 주위를 따라서 형성된 경사 안내면과,
    상기 경사 안내면에 슬라이딩 안내됨으로써 해당 경사 안내면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경사면과, 상기 돌기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상기 경사면의 이동을 저지하는 걸림고정부를 갖고, 해당 걸림고정부에 의한 상기 경사면의 이동 저지 위치에서 해당 경사면에 상기 경사 안내면을 지지시킴으로써 상기 조작 캡의 눌러넣음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걸림고정부의 상기 돌기와의 걸림고정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경사면의 이동을 허용하여 상기 조작 캡의 눌러넣음 이동을 허용하는 록 부재를 포함하는
    정량 분무식 흡입기.
  9. 캔 본체, 해당 캔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밸브 스템 및 해당 밸브 스템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갖고, 상기 밸브 스템의 눌러넣음에 의하여 내용물이 분사되는 에어로졸 캔과,
    상기 에어로졸 캔의 밸브 스템을 유지하는 유지부가 설치되고, 해당 에어로졸 캔을 수용하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표시 부재 및 해당 표시 부재를 회전 조작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지지된 조작 레버를 갖는 도스 카운터와,
    상기 조작 레버에 걸어맞춤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및 상기 캔 본체를 상기 밸브 스템과는 반대측에서 덮는 캡부를 갖는 조작 캡을 구비하고,
    상기 에어로졸 캔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탄성 지지력에 대항하여 상기 캔 본체가 눌러넣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로졸 캔의 캔 본체는 상기 조작 레버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밸브 스템의 선단과 상기 걸어맞춤부의 사이의 소정 위치에 있는 제 1 위치 및 상기 캔 본체의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추어져서 눌러넣어지는 제 2 위치의 사이를 동작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 캡은 상기 캔 본체와 함께 초기 위치로부터 눌러넣음 가능한 것과 함께, 눌러넣어진 위치로부터 상기 에어로졸 캔의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캔 본체와 함께 초기 위치로 복귀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조작 캡과 함께 상기 캔 본체가 눌러넣어질 때에 상기 캔 본체의 걸어맞춤부가 상기 조작 레버와 걸어맞추어져서 해당 조작 레버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동작하고,
    상기 조작 캡의 연결부는 초기 위치로의 복귀 시에 상기 조작 레버를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조작 레버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또는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복귀할 때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표시 부재를 회전시키는
    정량 분무식 흡입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의 동작 시에는 상기 표시 부재와 걸어맞추어져서 상기 표시 부재를 회전시키는
    정량 분무식 흡입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표시 부재를 록하는 스토퍼 부재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록이 해제되는
    정량 분무식 흡입기.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연결부와 걸어맞춤 가능한 돌기를 갖는 것과 함께,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를 취하도록 요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 캡의 눌러넣음과 함께,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요동하고, 이 요동에 동반하는 상기 돌기의 이동과 함께, 상기 조작 캡의 눌러넣음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기 돌기와 비걸어맞춤 상태로 이동하고,
    상기 조작 캡의 복귀에 의한 상기 연결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돌기가 상기 연결부와 걸어맞추어져서 이동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하는
    정량 분무식 흡입기.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캔 본체에 있어서, 상기 밸브 스템이 배치된 면에 계단부가 형성되고, 해당 계단부가 상기 걸어맞춤부를 구성하고 있는
    정량 분무식 흡입기.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마우스피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에어로졸 캔의 내용물은 상기 마우스피스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정량 분무식 흡입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스 카운터가 상기 조작 레버를 복귀시키기 위한 보조 스프링을 더 갖고 있는
    정량 분무식 흡입기.
  16.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캡은 상기 캔 본체를 상기 밸브 스템측에서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정량 분무식 흡입기.
KR1020107009037A 2007-09-26 2008-09-26 정량 분무식 흡입기 KR1015045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49886 2007-09-26
JPJP-P-2007-249886 2007-09-26
JP2008056759 2008-03-06
JPJP-P-2008-056759 2008-03-06
PCT/JP2008/067562 WO2009041662A1 (ja) 2007-09-26 2008-09-26 定量噴霧式吸入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813A true KR20100080813A (ko) 2010-07-12
KR101504574B1 KR101504574B1 (ko) 2015-03-20

Family

ID=40511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9037A KR101504574B1 (ko) 2007-09-26 2008-09-26 정량 분무식 흡입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474448B2 (ko)
EP (1) EP2196234A4 (ko)
JP (1) JP5033094B2 (ko)
KR (1) KR101504574B1 (ko)
CN (1) CN101808687B (ko)
AU (1) AU2008304706B2 (ko)
BR (1) BRPI0817327A2 (ko)
CA (1) CA2700560A1 (ko)
EG (1) EG26133A (ko)
HK (1) HK1145153A1 (ko)
RU (1) RU2479322C2 (ko)
TW (1) TWI434710B (ko)
WO (1) WO20090416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6685A (ko) * 2012-12-20 2015-08-25 유로-셀띠끄 소시에떼 아노님 카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2230934E (pt) 2007-12-14 2012-11-20 Aerodesigns Inc Distribuir produtos alimentares aerossolizáveis
CA2839044C (en) * 2009-07-30 2016-07-26 Ivax International B.V. Dose counter for a metered-dose inhaler
ES2534668T3 (es) 2010-05-18 2015-04-27 Ivax Pharmaceuticals Ireland Contador de dosis para inhaladores e inhalador
GB201115874D0 (en) 2011-09-14 2011-10-26 Astrazeneca Ab Inhaler
WO2013045996A1 (en) * 2011-09-26 2013-04-04 Trudell Medical International Dose counter and medication delivery device
GB201118842D0 (en) * 2011-11-01 2011-12-14 Euro Celtique Sa Dispenser cap arrangement
GB2502791B (en) * 2012-06-06 2014-08-20 Consort Medical Plc Dose indicator device
GB201304784D0 (en) * 2013-03-15 2013-05-01 Euro Celtique Sa Dispenser
US10603450B2 (en) 2014-03-03 2020-03-31 Adherium (Nz) Limited Compliance monitor for a dry powder medicament delivery device
TWI555540B (zh) * 2014-07-24 2016-11-01 心誠鎂行動醫電股份有限公司 可攜式超音波霧化器及其霧化結構
TWI555541B (zh) * 2014-07-24 2016-11-01 心誠鎂行動醫電股份有限公司 可攜式超音波霧化器及其置藥結構
TWI566795B (zh) * 2014-07-24 2017-01-21 心誠鎂行動醫電股份有限公司 可攜式超音波霧化器及其保護結構
CN105031781B (zh) * 2015-06-30 2020-08-07 上海臣邦医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粉雾剂给药装置供药量准确性的方法
USD809127S1 (en) * 2016-04-05 2018-01-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haler refill assembly
US10881818B2 (en) 2016-07-08 2021-01-05 Trudell Medical International Smart oscillating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device
GB201615185D0 (en) * 2016-09-07 2016-10-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 Reset mechanism for an inhaler
CA3036631A1 (en) 2016-12-09 2018-06-14 Trudell Medical International Smart nebulizer
US10384022B2 (en) 2017-02-09 2019-08-20 Packaging Concepts Associates Holdings, Inc. Hand-held dose-dispensing pressurized spray inhaler with child restraint capability
US20210059600A1 (en) * 2017-07-11 2021-03-04 Cipla Limited Adherence-tracking and monitoring device for metered-dose inhaler
CN109481802A (zh) * 2017-09-12 2019-03-19 张海飞 全自动定量气雾吸入装置
US20200384216A1 (en) * 2017-12-18 2020-12-10 Boehringer Lngelheim International Gmbh Device for putting an inhaler into a triggering-ready state
AU2019205865A1 (en) 2018-01-04 2020-07-16 Trudell Medical International Inc. Smart oscillating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device
MX2020013098A (es) 2018-06-04 2021-05-12 Trudell Medical Int Camara de retencion con valvula inteligente.
US20210244896A1 (en) * 2018-06-13 2021-08-12 Puff-Ah Pty Ltd Apparatus for use in delivering respiratory drugs
USD955552S1 (en) 2018-11-14 2022-06-21 Loop Laboratories, LLC Inhalant dispenser
CA3119536A1 (en) 2018-11-14 2020-05-22 Loop Laboratories, LLC Inhalant dispensing system and apparatus
USD901000S1 (en) 2018-11-14 2020-11-03 Loop Laboratories, LLC Inhalant dispenser
USD863531S1 (en) * 2019-01-04 2019-10-15 Optimist Inhaler LLC Metered-dose inhaler mouthpiece
US11712175B2 (en) 2019-08-27 2023-08-01 Trudell Medical International Smart oscillating positive expiratory pressure device with feedback indicia
CN112245726A (zh) * 2020-11-03 2021-01-22 湘潭大学 一种旋转可控式气雾吸入器
WO2022165144A1 (en) * 2021-01-28 2022-08-04 Vitapul Inc Metered dose inhaler
USD1004849S1 (en) 2021-06-08 2023-11-14 Loop Laboratories, LLC Compact atomizer
US11794199B2 (en) 2022-01-20 2023-10-24 Packaging Concepts Associates Holding, Inc. Folding extension nozzle and dispensing assembly
CN117224254B (zh) * 2023-11-13 2024-04-12 科弛医疗科技(北京)有限公司 用于医用器械的计数装置以及医用器械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18380A (en) * 1950-11-18 1954-11-10 Veeder Root Inc Counting mechanism
GB2320489A (en) * 1996-12-20 1998-06-24 Norton Healthcare Ltd Inhaler dose counter
US6082358A (en) * 1998-05-05 2000-07-04 1263152 Ontario Inc. Indicating device for aerosol container
DE19846382C1 (de) * 1998-10-08 2000-07-06 Pari Gmbh Zählwerk und seine Verwendung in Inhalatoren, Verneblern oder ähnlichen Dosieraerosolvorrichtungen
DE29818662U1 (de) * 1998-10-20 2000-03-02 Wischerath Josef Gmbh Co Kg Inhalator
US20030192535A1 (en) * 1999-09-24 2003-10-16 Astrazeneca Ab. Inhaler
FR2799858B1 (fr) 1999-10-19 2002-01-18 Valois Sa Compteur de doses et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incorporant un tel compteur
JP2003513718A (ja) 1999-11-10 2003-04-15 イノベーティブ・ディバイシィーズ・エルエルシー 定量服用吸入器(mdi)と一緒に使用する吸入作動装置
US6328035B1 (en) 2000-05-09 2001-12-11 Iep Pharmaceutical Devices Inc. Pneumatic breath actuated inhaler
DE60326346D1 (de) * 2002-06-21 2009-04-09 Glaxo Group Ltd Betätigungsanzeiger für eine abgabevorrichtung
JP3590848B1 (ja) 2003-05-09 2004-11-17 大塚製薬株式会社 粉末吸入器
ATE382387T1 (de) * 2002-11-04 2008-01-15 Bang & Olufsen Medicom As Abgabevorrichtung
GB0328564D0 (en) * 2003-12-10 2004-01-14 Dunne Stephen T Variable flow discharge metered dose valve
GB0328859D0 (en) 2003-12-12 2004-01-14 Clinical Designs Ltd Dispenser and counter
GB2414187B (en) * 2004-05-21 2007-03-07 Bespak Plc Dispensing apparatus
WO2006051300A1 (en) * 2004-11-10 2006-05-18 Cipla Limited Inhaler
TWI442951B (zh) 2005-04-14 2014-07-01 Astrazeneca Ab 吸入器計量器
US8141550B2 (en) * 2006-08-01 2012-03-27 Trudell Medical International Dispens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6685A (ko) * 2012-12-20 2015-08-25 유로-셀띠끄 소시에떼 아노님 카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92946A1 (en) 2010-08-05
AU2008304706B2 (en) 2013-05-09
RU2479322C2 (ru) 2013-04-20
US8474448B2 (en) 2013-07-02
JP5033094B2 (ja) 2012-09-26
CA2700560A1 (en) 2009-04-02
BRPI0817327A2 (pt) 2015-03-24
EP2196234A4 (en) 2014-12-17
TWI434710B (zh) 2014-04-21
EP2196234A1 (en) 2010-06-16
CN101808687A (zh) 2010-08-18
TW200934539A (en) 2009-08-16
RU2010116286A (ru) 2011-11-10
KR101504574B1 (ko) 2015-03-20
AU2008304706A1 (en) 2009-04-02
CN101808687B (zh) 2012-03-14
JP2009233308A (ja) 2009-10-15
EG26133A (en) 2013-03-24
HK1145153A1 (en) 2011-04-08
WO2009041662A1 (ja) 200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0813A (ko) 정량 분무식 흡입기
AU2019203628B2 (en) Nebulizer, indicator device and container
JP4994859B2 (ja) エアゾール噴射器のトリガー式ヘッドキャップ
JP6559157B2 (ja) ネブライ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