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0208A - 요금 징수 방법 - Google Patents

요금 징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0208A
KR20100080208A KR1020080138854A KR20080138854A KR20100080208A KR 20100080208 A KR20100080208 A KR 20100080208A KR 1020080138854 A KR1020080138854 A KR 1020080138854A KR 20080138854 A KR20080138854 A KR 20080138854A KR 20100080208 A KR20100080208 A KR 20100080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authentication
information
user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4474B1 (ko
Inventor
강영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8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474B1/ko
Publication of KR20100080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용카드 또는 현금카드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수도, 가스, 전기 등의 요금을 납부할 수 있는 요금 징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금, 카드, 시스템, 결제

Description

요금 징수 방법{FEE-COLLECTING METHOD}
본 발명은 신용카드/현금카드를 이용하여 선불식, 후불식, 선후불식 겸용으로 수도, 가스, 전기 등의 요금을 편리하게 납부할 수 있는 요금 징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사용 요금을 징수할 때, 검침원이 수용가를 일일이 방문하여 계량기를 통해 검침한 후, 그 상기 검침된 정보를 이용하여 요금을 계산하고 징수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왔다. 상기 방법은 검침원이 일일이 수용가를 방문해야하므로 인력의 낭비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요금을 징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용지에 인쇄하고, 상기 인쇄된 용지를 각각의 사용자에게 우편으로 발송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인쇄된 용지를 지참하고 금융기관을 방문하여 요금을 결제한다. 따라서, 요금을 인쇄하기 위한 용지의 낭비, 인쇄된 용지를 배송하기 위한 비용, 사용자가 직접 은행 또는 요금 납부기관을 찾아야 하는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IC 카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요금을 납부 할 수 있는 요금 징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IC 카드를 충전하거나 이상이 생긴 경우 직접 요금 충전소를 찾아 가지 않고도 편리하게 요금을 납부할 수 있는 요금 징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요금 정보를 인쇄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우편으로 배송하는 배송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금융 기관 및 요금 납부 기관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요금을 납부할 수 있는 요금 징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인들이 많이 소지한 신용 카드 또는 현금 카드로 직접 상기 계량 장치를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고 보안상의 문제의 발생도 적을 뿐만 아니라 기존에 존재하는 금융기관과의 협조만으로도 편리하게 요금을 징수할 수 있는 요금 징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요금 징수 방법은, 계량 장치가 신용 카드 또는 현금 카드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리딩하고, 결제 요청 금액을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 정보 및 결제 요청 금액을 송신하는 사용자 정보 송신 단계와,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가 상기 계량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인증 서버로 송신하고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사용자 인증 요청 단계와,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실행하고, 인증 결과가 포함된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사용자 인증 단계와,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는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입력된 인증 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 인증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성공 여부 판단 단계와,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가 상기 인증 서버에 상기 결제 요청 금액의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결제 승인 요청 단계와,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결제 요청 금액의 승인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포함한 결제 정보를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결제 승인 가능 여부 판단 단계 및 상기 결제 정보가 결제 요청 금액의 결제가 가능하다는 내용을 포함한 경우,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가 상기 결제 요청 금액의 결제를 완료하는 결제 완료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IC 카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요금을 납부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요금 정보를 인쇄하는 비용, 우편으로 배송하는 배송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에너지를 사용한 사용자가 직접 금융 기관 및 요금 납부 기관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요금을 납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일반인들이 많이 소지한 신용 카드 또는 현금 카드로 직접 상기 계량 장치를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고 보안상의 문제 발생할 염려가 적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요금 징수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관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요금 징수 시스템은 계량장치(meter)(100), 요금 납부 관리 서버(200), 인증 서버(300), 이동 단말기(400) 및 카드(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량 장치(100)는 카드 인터페이스부(110), 입력부(120), 통신부(130), 표시부(140), 검출부(150), 메모리(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량 장치(100)는 수도, 전기, 가스 등의 사용량을 측정할 수 있고, 신용 카드 또는 현금 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표시부, 입력부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요금을 납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110)는 상기 카드(500)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70)가 상기 카드(50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리딩할 수 있도록 연결시켜 준다.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110)는 상기 카드(500)가 삽입되는 구조 또는 마크네틱만을 인식 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카드(500)는 신용 카드 또는 현금 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결제 요청 금액의 입력, 신용 카드 또는 현금 카드의 번호를 입력 또는 인증 번호 등을 입력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입력부(120)는 키패드, 터치 스크린 또는 돔 스위치(dome switch)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0)는 요금 징수와 관련된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요금 징수와 관련된 정보는 사용자 정보, 신용 카드 번호, 결제 요청 금액, 사용자 인증 정보 또는 결제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신용 카드 또는 현금 카드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는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의 성공 또는 실패의 내용을 포함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결제 정보는 결제 금액이 카드의 잔액 또는 사용 가능한 액수보다 많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결제가 가능 또는 불가능하다는 내용을 포함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통신부(130)는 상기 요금 징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200)로 송신하거나 상기 요금 징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요금 징수와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또는 상기 결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인증이 실패한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인증이 실패하였다는 내용을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증의 실패 여부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한다.
상기 검출부(150)는 수도의 사용량, 전기의 사용량 또는 가스의 사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검출부(150)에서 검출된 사용량들, 사용자 인증 정보, 결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카드(50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리딩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불식 또는 후불식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메뉴를 이용하여 결제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20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또는 상기 결제 정보를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200)로부터 결제 금액의 결제가 불가능하다는 내용을 포함한 상기 결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표시부(140)에 결제 금액의 결제가 불가능 하다는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결제 금액의 결제가 완료된 경우에도 동일한 과정에 의해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표시부(140)에 결제 금액의 결제가 완료되었다는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인증이 성공하였다는 내용을 포함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가 입력되면, 앞으로 사용할 에너지량에 해당하는 결제 금액 또는 이미 사용된 에너지량에 해당하는 결제 금액을 입력할 수 있는 메뉴를 상기 표시 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량은 수도인 경우는 수도 사용량, 전기인 경우 전기 사용량, 가스인 경우 가스 사용량 등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상기 메뉴에 결제 금액을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결제 금액을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불식인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앞으로 사용할 에너지량에 해당하는 결제 금액을 입력할 수 있는 메뉴를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앞으로 사용할 에너지량에 해당하는 결제 금액을 상기 메뉴에 입력한다. 반면에, 후불식인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이미 사용된 에너지량에 해당하는 결제 금액을 입력할 수 있는 메뉴를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이미 사용된 에너지량에 해당하는 결제 금액을 상기 메뉴에 입력한다.
후불식인 경우, 상기 계량 장치(100)는 사용자가 사용한 에너지량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200)는 상기 계량 장치(100)로부터 상기 사용한 에너지량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하고, 상기 사용한 에너지량에 해당하는 요금을 계산한다. 상기 사용한 에너지량의 확인은 검침원이 직접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200)는 상기 계산된 요금을 상기 계량 장치(100)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400)로 송신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400)로 송신하는 경우, 사용자는 직접 상기 계량 장치(100)에서 상기 요금을 확인하지 않고도 상기 요금을 알 수 있어 편리하다. 상기 계량 장치(100)로 송신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계량 장치(100)에서 상기 요금을 확인하고 바로 신용카드 또는 현금카드를 이용하여 결제 할 수 있어 편리하다.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200)는 상기 계량 장치(10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정보 또는 결제 금액을 이용하여, 상기 인증 서버(300)로 사용자 인증 또는 결제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면,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300)로 전송하고, 사용자의 인증을 요청한다. 또한,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200)는 상기 결제 금액을 상기 인증 서버(300)로 전송하고, 결제 가능 여부의 판단을 요청한다.
상기 인증 서버(300)는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200)로부터 사용자 인증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포함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200)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인증 서버(300)는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200)로부터 결제 가능 여부의 판단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결제 금액이 상기 신용카드 또는 상기 현금 카드로 결제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포함한 결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200)로 송신한다.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200)는 상기 인증 서버(300)로부터 사용자 인증에 실패하였다는 내용이 포함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계량 장치(100)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계량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140)에 사용자 인증이 실패하였다는 내용을 표시한다. 반면에,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200)는 상기 인증 서버(300)로부터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였다는 내용이 포함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인증 서버(300)로 입력된 결제 금액의 결제가 가능한지 여부의 판단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200)는 상기 인증 서버(300)로부터 상기 결제 금액의 결제가 불가능 하다는 내용을 포함한 결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계량 장치(100)로 상기 결제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계량 장치(100)는 상기 결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140)에 상기 결제 금액의 결제가 불가능하다는 내용을 표시한다. 반면에,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200)는 상기 인증 서버(300)로부터 상기 결제 금액의 결제가 가능하다는 내용을 포함한 결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계량 장치(100)로 상기 결제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계량 장치(100)는 상기 결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140)에 상기 결제 금액의 결제가 가능하다는 내용을 표시한다.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200)는 상기 인증 정보 또는 상기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요청 금액의 결제 가능 여부 및 결제 완료 여부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400)는 휴대폰, PDA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기기들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요금 징수 시스템은 별도의 IC 카드가 필요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IC 카드를 충전하거나 이상이 생긴 경우 직접 요금 충전소를 찾아 가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요금 징수 시스템은 요금 정보를 인쇄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 고, 우편으로 배송하는 배송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금융 기관 및 요금 납부 기관을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요금 징수 시스템은 일반인들이 많이 소지한 신용 카드 또는 현금 카드로 직접 상기 계량 장치를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고 보안상의 문제도 적으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를 운영하는 사업소는 별도의 추가 비용이나 인프라 구축의 필요없이 기존에 존재하는 금융기관과의 협조만으로도 요금을 징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요금 징수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에 관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구체적으로는 선불식으로 요금을 징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한 신용카드 또는 현금카드를 이용하여 계장장치에 자신의 정보를 입력한다.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신용카드를 직접 카드 인터페이스에 연결 또는 직접 자신의 신용카드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계량 장치는 상기 신용카드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리딩하여 요금 납부 관리 서버로 송신한다(S200). 상기 S200과정 이전에, 상기 계량장치의 표시부에 선불식 또는 후불식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메뉴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가 상기 계량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인증 서버로 송신하고 사용자 인증을 요청한다(S210).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 자 인증을 실행하고, 사용자 인증 결과를 포함한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로 송신한다(S220). 상기 인증 정보는 사용자 인증의 성공 또는 실패에 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는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입력된 인증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의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S230). 상기 판단 결과, 사용자 인증에 실패한 경우,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는 사용자 인증에 실패하였다는 내용을 포함한 인증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계량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계량 장치는 표시부에 사용자 인증에 실패하였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결제 요청 부결 메시지를 표시한다(S240). 상기 인증 결과 정보는 상기 인증 정보를 분석한 결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자 인증의 성공 또는 실패에 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는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였다는 내용을 포함한 인증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계량장치로 송신한다(S250).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로부터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였다는 내용을 포함한 상기 인증 결과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계량 장치는 표시부에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였다는 내용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앞으로 사용할 에너지량에 해당하는 결제 요청 금액을 입력할 수 있는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입력부를 이용하여 상기 메뉴에 결제 요청 금액을 입력하면, 상기 계량 장치는 상기 결제 요청 금액을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로 송신한다(S260). 상기 결제 요청 금액을 입력하는 단계(S260)는 사용자 정보를 송신하는 (S200)단계 이전에 또는 동시에 실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시스템의 구현에 따라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는 상기 인증 서버에 상기 결제 요청 금액의 결제 승인을 요청한다(S270).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결제 요청 금액의 결제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포함한 결제 정보를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로 송신한다(S280).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결제 요청 금액이 신용 카드의 결제 가능 금액보다 큰지 여부를 기준으로 결제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정보는 사용자의 신용도가 좋은지 여부에 따른 결제 가능 여부 또는 신용 카드 등의 사용 가능한 잔액이 결제 요청 금액보다 많은지 여부에 따른 결제 가능 여부의 판단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는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입력된 상기 결제 정보를 분석하여 결제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S290). 상기 판단 결과, 결제 요청 금액의 결제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는 상기 결제 요청 금액의 결제가 불가능 하다는 내용을 포함한 결제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계량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계량 장치는 표시부에 결제가 불가능 하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결제 요청 부결 메시지를 표시한다(S240). 반면에, 상기 판단 결과, 결제 요청 금액의 결제가 가능한 경우,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는 상기 인증 서버에 상기 결제 요청 금액의 결제를 요청한다.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결제가 완료되었다는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는 결제가 완료되었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결제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계량 장치로 전송한다(S300). 상기 계량 장치는 결제가 완료되었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상기 결제 결과 정보가 입력되면, 표시부에 결제 요청 금액의 결제가 완료되었다는 내용을 표시한다(S310).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요금 징수 방법은 별도의 IC 카드가 필요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IC 카드를 충전하거나 이상이 생긴 경우 직접 요금 충전소를 찾아 가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금 징수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에 관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구체적으로는 후불식으로 요금을 징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계량 장치는 사용자가 사용한 에너지량을 계산하고, 저장부에 저장한다(S400). 상기 S400 단계 이전에, 상기 계량장치의 표시부에 선불식 또는 후불식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메뉴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량은 수도 사용량, 전기 사용량, 가스 사용량 등이 될 수 있고, 에너지량의 계산은 검침일을 기준으로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검침일은 1달 단위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요금 납부 관리 서버는 상기 계량 장치로부터 상기 저장된 에너지량을 수신하고, 상기 저장된 에너지량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환산한다(S410).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는 상기 환산된 금액을 상기 계량 장치 또는 이동 단말기로 송신한다(S420). 상기 수도, 전기, 가스 등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상기 계량 장치 또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서 자신이 납부하여야할 금액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금액을 확인한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한 신용카드 또는 현금카드를 이용하여 계장장치에 자신의 정보를 입력한다.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신용카드를 직접 카드 인터페이스에 연결 또는 직접 자신의 신용카드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계량 장치는 상기 신용카드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리딩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결제 요청 금액에 관한 정보를 상기 요금 납부 관 리 서버로 송신한다(S430). 상기 결제 요청 금액의 입력은 사용자가 입력부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가 상기 계량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인증 서버로 송신하고 사용자 인증을 요청한다(S440).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실행하고, 사용자 인증 결과를 포함한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로 송신한다(S450). 상기 인증 정보는 사용자 인증의 성공 또는 실패에 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는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입력된 인증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의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S460). 상기 판단 결과, 사용자 인증에 실패한 경우,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는 사용자 인증에 실패하였다는 내용을 포함한 인증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계량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계량 장치는 표시부에 사용자 인증에 실패하였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결제 요청 부결 메시지를 표시한다(S470). 상기 인증 결과 정보는 상기 인증 정보를 분석한 결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자 인증의 성공 또는 실패에 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는 상기 인증 서버에 상기 결제 요청 금액의 결제 승인을 요청한다(S480).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결제 요청 금액의 결제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포함한 결제 정보를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로 송신한다(S490). 상기 결제 정보는 사용자의 신용도가 좋은지 여부에 따른 결제 가능 여부 또는 신용 카드 등의 사용 가능한 잔액이 결제 요청 금액보다 많은지 여부에 따른 결제 가능 여부의 판단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는 상 기 인증 서버로부터 입력된 상기 결제 정보를 분석하여 결제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S500). 상기 판단 결과, 결제 요청 금액의 결제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는 상기 결제 요청 금액의 결제가 불가능 하다는 내용을 포함한 결제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계량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계량 장치는 표시부에 결제가 불가능 하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결제 요청 부결 메시지를 표시한다(S470). 반면에, 상기 판단 결과, 결제 요청 금액의 결제가 가능한 경우,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는 상기 인증 서버에 상기 결제 요청 금액의 결제를 요청한다.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결제가 완료되었다는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는 결제가 완료되었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결제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계량 장치로 전송한다(S510). 상기 계량 장치는 결제가 완료되었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상기 결제 결과 정보가 입력되면, 표시부에 결제 요청 금액의 결제가 완료되었다는 내용을 표시한다(S520).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요금 징수 방법은 별도의 IC 카드가 필요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IC 카드를 충전하거나 이상이 생긴 경우 직접 요금 충전소를 찾아 가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요금 징수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관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요금 징수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에 관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금 징수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일실시예에 관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

Claims (10)

  1. 계량 장치가 신용 카드 또는 현금 카드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리딩하고, 결제 요청 금액을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 정보 및 결제 요청 금액을 송신하는 사용자 정보 송신 단계;
    요금 납부 관리 서버가 상기 계량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인증 서버로 송신하고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사용자 인증 요청 단계;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실행하고, 인증 결과가 포함된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사용자 인증 단계;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는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입력된 인증 정보를 분석하고, 사용자 인증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성공 여부 판단 단계;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가 상기 인증 서버에 상기 결제 요청 금액의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결제 승인 요청 단계;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결제 요청 금액의 승인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포함한 결제 정보를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결제 승인 가능 여부 판단 단계;및
    상기 결제 정보가 결제 요청 금액의 결제가 가능하다는 내용을 포함한 경우,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가 상기 결제 요청 금액의 결제를 완료하는 결제 완료 단계를 포함하는 요금 징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완료 단계는,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가 상기 인증 서버에 상기 결제 요청 금액의 결제를 요청하고, 상기 인증 서버가 결제를 완료하고, 결제가 완료되었다는 내용을 포함한 결제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 징수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완료 단계는,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가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입력된 상기 결제 결과 정보를 상기 계량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계량 장치가 표시부에 결제가 완료되었다는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 징수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 송신 단계는,
    계량 장치가 신용 카드 또는 현금 카드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리딩하고, 상기 리딩된 사용자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결제 승인 요청 단계는,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인증의 성공 여부의 판단 결과를 포함한 인증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계량 장치로 송신하는 인증 결과 정보 송신 단계 및 상기 인증 결과 정보가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였다는 내용을 포함한 경우, 상기 계량 장치는 결제 요청 금액을 입력받고, 상기 결제 요청 금액에 관한 정보를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결제 요청 금액 송신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 징수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 송신 단계 이전에,
    상기 계량 장치는 사용자가 사용한 에너지량을 계산하여 저장부에 저장 또는 요금 납부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는 상기 계량 장치로부터 수신된 에너지량에 해당하는 결제 금액을 계산하는 단계;및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가 상기 결제 금액을 상기 계량 장치 또는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 징수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승인 가능 여부 판단 단계는,
    상기 인증 서버가 상기 결제 요청 금액이 신용 카드의 결제 가능 금액보다 큰지 여부를 기준으로 결제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 징수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장치의 표시부에 선불식 또는 후불식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메뉴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 징수 방법.
  8.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카드를 연결하기 위한 카드 인터페이스부와,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결제 요청 금액 또는 신용카드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수도의 사용량, 전기의 사용량 또는 가스의 사용량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 및 상기 사용자 정보, 결제 요청 금액 또는 신용카드 번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송신하거나 사용한 에너지량을 계산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계량 장치;및
    상기 계량 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사용자 정보, 결제 요청 금액 또는 신용카드 번호를 상기 결제 정보를 인증 서버로 송신하기 위한 요금 납부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요금 징수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요금 납부 관리 서버는,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사용자 인증에 성공 또는 실패했다는 내용을 포함한 인증 정보 또는 결제 승인에 성공 또는 실패했다는 내용을 포함한 결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인증 정보 또는 상기 결제 정보의 내용을 반영한 인증 결과 정보 또는 결제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계량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인증 정보 또는 상기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요청 금액의 결제를 관리하기 위한 요금 납부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요금 징수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장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계량 장치의 제어부는,
    선불식 또는 후불식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 징수 시스템.
KR1020080138854A 2008-12-31 2008-12-31 요금 징수 방법 KR101044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854A KR101044474B1 (ko) 2008-12-31 2008-12-31 요금 징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854A KR101044474B1 (ko) 2008-12-31 2008-12-31 요금 징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208A true KR20100080208A (ko) 2010-07-08
KR101044474B1 KR101044474B1 (ko) 2011-06-27

Family

ID=42641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854A KR101044474B1 (ko) 2008-12-31 2008-12-31 요금 징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4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4342A (ko) * 2014-03-05 2015-09-15 주식회사 앤피디 구독자 수금관리 시스템 및 수금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963B1 (ko) * 2015-02-13 2016-06-09 (주) 지비스 수도 자동 검침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887A (ko) * 1998-08-25 2000-03-15 유영춘 가스 요금 자동 징수 시스템
KR100482407B1 (ko) * 2002-10-18 2005-04-11 강민수 카드 정보를 이용한 인증 수행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0776989B1 (ko) * 2007-04-18 2007-11-21 지윤영 선불 카드식 가스공급제어장치
KR100891193B1 (ko) * 2007-04-18 2009-05-04 박신욱 카드 선결제 수도 계량기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4342A (ko) * 2014-03-05 2015-09-15 주식회사 앤피디 구독자 수금관리 시스템 및 수금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4474B1 (ko) 2011-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54579A1 (en) Compact Payment Terminal
EP2495707A2 (en) Utility meter for paying a utility bill
JP2008513902A (ja) 両替取引を容易に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134685B1 (ko) 휴대폰을 이용한 선불 가상계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07784748A (zh) 一种基于分布式记账的自助收费终端
KR20170015655A (ko) 각국 화폐별 비트코인 환전단말 및 이를 이용한 비트코인 환전방법
KR101044474B1 (ko) 요금 징수 방법
KR101029594B1 (ko) 무인정보 단말기와 환전거래 웹사이트를 이용한 환전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무인정보 단말기
CN105590205B (zh) 一种具有外汇兑换系统的电子钱包
AU2008232465A1 (en) Bill payment system
KR20120115844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공과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20038646A (ja) 精算システム、両替システム
KR20130043521A (ko) 교통카드 시스템을 이용한 마일리지 충전 및 충전 마일리지 사용방법
KR20130033051A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전자 승차권 발권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54626B1 (ko) 선불식 전기요금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
CN210691382U (zh) 一种多功能缴费装置
KR101764950B1 (ko) 자금 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101195141B1 (ko) 선불카드를 이용한 송금방법
CN112950216A (zh) 基于数字货币的交易方法及装置
KR100725822B1 (ko) 지능형 교통 시스템에서의 통합요금징수 네트워크 및통합요금징수방법
KR20100131864A (ko) 은행업무 자동화 단말장치를 이용한 전자화폐 처리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210044050A (ko) 고속도로 무인요금 결제용 제품 통합결제시스템
JP3538154B2 (ja) 電力等使用量計測課金システム及び電力等使用量計測課金方法
KR100707670B1 (ko)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공공요금 납부 방법
TW201101213A (en) A new payment system for the transaction with a variable fare rate (or non-flat fare 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