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9332A -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단말기, 서버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단말기, 서버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9332A
KR20100079332A KR1020080137772A KR20080137772A KR20100079332A KR 20100079332 A KR20100079332 A KR 20100079332A KR 1020080137772 A KR1020080137772 A KR 1020080137772A KR 20080137772 A KR20080137772 A KR 20080137772A KR 20100079332 A KR20100079332 A KR 20100079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compatible
connection information
channe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7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8484B1 (ko
Inventor
황인성
김후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7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484B1/ko
Publication of KR20100079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locally within server, e.g. reading video streams from disk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04N21/472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using interactive regions of the image, e.g. hot spo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단말기,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 중에서 추천하고자 하는 추천 프로그램에 대한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 1 방송 단말기; 상기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추천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방송 단말기; 및 상기 제 1 방송 단말기와 상기 제 2 방송 단말기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되, 상기 추천 방송 연결 정보는 추천 프로그램명, 추천 채널의 식별 정보 및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관심 분야의 방송 시간 및 채널을 파악하지 못하더라도 다른 사용자로부터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받아서 관심 분야의 방송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 사용자가 관심 분야의 방송 시간 및 채널을 파악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방송 단말기, 서버, 시스템, TV 클라이언트, 채널

Description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단말기, 서버 및 시스템{Broadcasting Terminal,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Broadcast Connec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단말기,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 사용자의 관심 분야에 해당하는 방송을 연결할 수 있는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단말기 사용자의 관심 분야에 해당하는 방송을 연결하기 위한 방송 단말기,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 통신 기술이 발전해 감에 따라 현재의 방송 서비스는 통상적인 지상파 방송, 유선 케이블 방송 등의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지상파 TV 방송, 디지털 유선 케이블 방송,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등의 디지털 방송으로 발전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은 고화질(HD: High Density)의 영상이나 CD(Compact Disk) 수준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고, 디지털 TV 수신기 이외에도 PC, 이동통신 단말기 및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단말기를 통해서도 수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디지털 방송은 단말기 사용자가 디지털 TV 수신기, PC, 이동통신 단 말기 및 PMP 중 어느 하나인 방송 단말기의 TV 시청 버튼을 입력하여 단말기 사용자가 보고자하는 채널의 방송을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다.
종래에 단말기 사용자가 관심 분야(예를 들어, 축구 방송, 야구 방송, 영화 등)의 방송을 제시간에 시청하기 위해서는 단말기 사용자가 TV 편성표 또는 주변의 대중 매체를 통해 관심 분야의 방송 시간 및 채널을 파악한 후, 관심 분야의 방송 시간이 도래하면 방송 단말기를 사용하여 관심 분야의 방송을 시청하여야 했다.
이와 같이 단말기 사용자가 관심 분야의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관심 분야의 방송 시간 및 채널을 미리 파악해야 하기 때문에, 단말기 사용자가 관심 분야의 방송 시간 및 채널을 파악하지 못하면 관심 분야의 방송을 시청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특정 채널의 방송을 추천하기 위한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제 1 단말기에서 생성하여 제 2 방송 단말기에 전송하고, 추천 방송 연결 정보에 해당하는 채널이 제 2 방송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채널이면 제 2 방송 단말기에서 해당 채널을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채널의 방송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도중에 추천 방송 연결 정보 생성키가 입력되면, 특정 채널의 방송에 해당하는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생성하여 다른 방송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송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천 방송 연결 정보에 해당하는 TV 클라이언트가 방송 단말기에 미설치된 경우, 추천 방송 연결 정보에 해당하는 TV 클라이언트 및 채널을 호환할 수 있는 TV 클라이언트 및 채널을 하나 이상 선별하여 방송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연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특정 채널의 방송을 연결할 수 있는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방송 단말기에서 수신한 후, 추천 방송 연결 정보에 해당하는 채널이 방송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채널이면 방송 단말기에서 해당 채널을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채널이 방송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불가능한 채널이면, 방송 단말기가 방송 연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호환 방송 연결 정보를 수신하여 호환 방송에 해당하는 채널을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들 중에 방송 단말기에서 기등록한 관심 분야에 해당하는 추천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으면, 이에 해당하는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방송 단말기에 제공하고, 추천 방송 연결 정보에 해당하는 TV 클라이언트가 방송 단말기에 미설치된 경우, 추천 방송 연결 정보에 해당하는 TV 클라이언트 및 채널을 호환할 수 있는 TV 클라이언트 및 채널을 하나 이상 선별하여 방송 단말기에 제공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에 있어서,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 중에서 추천하고자 하는 추천 프로그램에 대한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 1 방송 단말기; 상기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추천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방송 단말기; 및 상기 제 1 방송 단말기와 상기 제 2 방송 단말기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되, 상기 추천 방송 연결 정보는 추천 프로그램명, 추천 채널의 식별 정보 및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방송 단말기에 있어서, 명령어를 입력받는 입력부; 기 선택된 채널에서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음향을 출력하는 오디오부; 상기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명 및 상기 기 선택된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명령어가 입력되면 상기 기 설정된 채널을 추천 채널로 설정하고, 상기 기 설정된 채널을 서비스 중인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인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로 설정하며, 상기 방송 중인 프로그램명을 추천 프로그램명으로 설정하며, 상기 추천 채널의 식별 정보, 상기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추천 프로그램명을 포함하는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다른 방송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의하면,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방송 단말기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리스트인 실시간 방송 정보 리스트를 관리하고, 상기 방송 단말기로부터 호환 가능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리스트,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추전 채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호환 방송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추천 클라이언트와 호환될 수 있는 호환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상기 호환 클라이언트에서 서비스하는 호환 채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호환 방송 연결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방송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 사용자가 관심 분야의 방송 시간 및 채널을 파악하지 못하더라도 방송 단말기가 다른 방송 단말기 또는 서버로부터 단말기 사용자의 관심 분야에 해당하는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받아서 관심 분야의 방송을 연결하기 때문에 단말기 사용자가 관심 분야의 방송 시간 및 채널을 파악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른 방송 단말기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추천 방송 연결 정보에 해당하는 방송을 방송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호환할 수 있는 호환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받아서 추천 방송 연결 정보에 해당하는 방송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제 1 방송 단말기(110), 제 2 방송 단말기(120), 유무선 통신망(130) 및 대체 채널 검색 서버(140)를 포함한다.
제 1 방송 단말기(110) 및 제 2 방송 단말기(120)는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과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이하 'SMS'라 칭함),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이하 'MMS'라 칭함) 및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IMS: Instant Messenger Servic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징 클라이언트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및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제 1 방송 단말기(110)는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 중에서 추천하고자 하는 추천 프로그램에 대한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즉, 제 1 방송 단말기(110)는 현재 방송 중인 방송 프로그램 중에서 추천하고자 하는 추천 프로그램의 추천 프로그램명, 추천 프로그램을 방송 중인 추천 채널의 식별 정보 및 추천 채널을 서비스하는 추천 클라이언트의 ID인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예를 들면, ID 등)를 포함하는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생성하여 제 2 방송 단말기(120)에 전송한다. 여기서, 제 1 방송 단말기(110)는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프로그램을 방송 중인 채널, 상기 채널을 서비스하기 위해 실행 중인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및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프로그램명을 각각 추천 채널,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및 추천 프로그램명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제 1 방송 단말기(110)는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SMS 메시지 형태, MMS 메시지 형태 및 인스턴트 메시지 형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메시지 형태로 생성하되,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및 추천 채널의 식별 정보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및 XHTML(Extensible Hypertext Markup Languag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마크업 언어로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에서 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제 2 방송 단말기(120)는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수신하면,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추천 방송 연결 정보는 추천 프로그램명, 추천 채널의 식별 정보 및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2 방송 단말기(120)는 후술할 유무선 통신망(130)을 통해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수신하고,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추천 클라이언트가 기설치되어 있으면 추천 클라이언트를 실행하여 추천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제 2 방송 단말기(120)는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수신한 후, 후술할 도 2의 확인 버튼이 입력된 경우에 추천 클라이언트를 실행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2 방송 단말기(120)는 추천 클라이언트가 미설치되어 있으면 기설치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호환 가능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리스트,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및 추천 채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호환 방송 요청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130)을 통해 호환 방송 검색 서버(140)에 전송한다.
제 2 방송 단말기(120)는 호환 방송 검색 서버(140)로부터 추천 클라이언트를 호환할 수 있는 호환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인 호환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및 호환 클라이언트에서 서비스하는 호환 채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호환 방송 연결 정보를 호환 방송 검색 서버(140)로부터 하나 이상 수신한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호환 클라이언트 ID는 호환 가능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리스트의 일부 또는 전부에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하나 이상의 호환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는 제 2 방송 단말기(130)에 기 설치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중 일부에 해당하거나 전부에 해당할 수 있다.
호환 방송 연결 정보를 하나 이상 수신한 제 2 방송 단말기(120)는 하나 이상의 호환 채널의 중계를 순차적으로 시도하여 중계에 성공한 특정 호환 채널이 있으면, 특정 호환 채널의 중계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제 2 방송 단말기(120)는 하나 이상의 호환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클라이언트의 순 차적인 실행을 통해 하나 이상의 호환 채널의 중계를 순차적으로 시도한다.
본 발명에서 하나 이상의 호환 채널의 중계에 실패하면, 제 2 방송 단말기(120)는 하나 이상의 호환 채널이 미지원 채널임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미지원 채널은 제 2 방송 단말기(120)가 가입하지 않은 미가입 채널 또는 유료 채널 등이 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130)은 인터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IPTV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여기서, 유무선 통신망(130)에 대한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유무선 통신망(130)은 제 1 방송 단말기(110)와 제 2 방송 단말기(120) 간의 데이터 송수신 및 제 2 방송 단말기(120)와 호환 방송 검색 서버(14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한다.
호환 방송 검색 서버(140)는 현재 방송 중인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리스트인 실시간 방송 정보 리스트를 실시간 방송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 및 관리한다. 여기서, 실시간 방송 정보 리스트는 도 3과 같이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명,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클라이언트별 채널 및 클라이언트별 채널을 서비스 중인 채널별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호환 방송 검색 서버(140)는 제 2 방송 단말기(120)로부터 호환 방송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호환 방송 연결 정보를 생성하여 제 2 방송 단말기(120)에 전송한다.
이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호환 방송 검색 서버(140)는 호환 방송 요청 정보의 호환 가능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중에서 추천 채널과 동일한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는 호환 채널을 서비스 중인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인 호환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및 호환 채널을 실시간 방송 정보 데이터베이스(142), 즉 실시간 방송 정보 리스트에서 하나 이상 검색한 후, 호환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및 호환 채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호환 방송 연결 정보를 하나 이상 생성하여 제 2 방송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추천 방송 연결 정보는 SMS 메시지 형태, MMS 메시지 형태 및 인스턴트 메시지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추천 프로그램 정보는 SMS 메시지, MMS 메시지 및 인스턴트 중 어느 하나의 메시지 내에 포함된 텍스트로 작성되어 도 2의 "월드컵 예선(한국 : 북한)"과 같이 제 2 방송 단말기(12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반면에,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및 추천 채널은 "TV 정보: /확인[01,05]"과 같이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및 XHTML(Extensible Hypertext Markup Languag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마크업 언어로 작성되어 도 2의 "확인" 버튼만이 디스플레이되고, "확인" 버튼이 입력되면 제 2 방송 단말기(120)는 기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중에서 식별 정보(ID)가 01인 클라이언트를 실행하여 채널 05를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추천 클 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및 추천 채널의 식별 정보의 자릿수를 두 자리로 한정한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을 실제로 적용할 경우에는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및 추천 채널의 식별 정보의 자릿수의 제한을 두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클라이언트의 종류로는 T-DMB 클라이언트, S-DMB 클라이언트, 모바일 실시간 TV 및 인터넷 실시간 TV 등이 있고, 식별 정보(ID)는 01이 T-DMB 클라이언트, 02는 S-DMB, 03은 모바일 실시간 TV 및 04는 인터넷 실시간 TV와 같이 분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및 추천 채널의 식별 정보가 "[01,05]"이면 제 2 방송 단말기(120)는 T-DMB 클라이언트를 실행한 후, T-DMB 클라이언트를 통해 5번 채널에서 방송하고 있는 월드컵 예선(한국 : 북한)을 디스플레이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따른 실시간 방송 정보 리스트는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명과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을 중계하는 클라이언트별 채널 및 클라이언트별 채널을 서비스 중인 채널별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제 2 방송 단말기(120)에서 전송한 호환 가능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리스트에 T-DMB, S-DMB 및 모바일 실시간 TV의 ID인 01, 02 및 03이 포함되어 있고,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가 05(IPTV)이고 추천 채널의 식별 정보가 113이면, 호 환 방송 검색 서버(140)는 호환 가능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중에서 추천 채널과 동일한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는 호환 채널을 서비스 중인 호환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도 3의 01, 02, 03) 및 상기 호환 채널의 식별 정보(05, 16, 16)를 실시간 방송 정보 리스트에서 검색한 후, 호환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및 호환 채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호환 방송 연결 정보를 하나 이상 생성하여 제 2 방송 단말기(120)에 전송한다. 여기서, 호환 방송 검색 서버(140)는 호환 방송 연결 정보를 [01(호환 클라이언트 ID),05(호환 채널)]과 같이 XML 및 XHTM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마크업 언어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호환 방송 검색 서버(140)는 호환 방송 연결 정보를 [01, 05], [02, 16], [03, 16]와 같은 마크업 언어로 생성하여 제 2 방송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방송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방송 단말기(110)는 입력부(410), 디스플레이부(420), 오디오부(430), 메모리부(440), 통신부(450) 및 제어부(460)를 포함한다.
입력부(410)는 단말기 사용자의 명령어를 입력받아 제어부(460)에 전달하기 위한 입력수단으로서, 키보드, 키패드 및 마우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입력부(410)는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추천 방송 연결 정보 생성키를 포함하고,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추천 방송 연결 정보 생성키가 입력되 면, 이에 대한 입력 신호를 제어부(460)에 전달한다. 여기서, 추천 방송 연결 정보는 현재 방송 중인 방송 프로그램 중에서 추천하고자 하는 추천 프로그램의 추천 프로그램명, 추천 프로그램을 방송 중인 추천 채널의 식별 정보 및 추천 채널을 서비스하는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420)는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기 선택된 채널에서 방송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오디오부(430)는 디스플레이부(420)에서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음향을 출력한다.
메모리부(440)는 디스플레이부(420)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프로그램 명 및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통신부(450)는 유무선 통신망(130)을 경유하여 제 2 방송 단말기(110)와의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수행, 즉 다른 방송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통신부(450)는 후술할 제어부(460)에서 생성한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다른 단말기인 제 2 방송 단말기(120)에 전송한다.
제어부(460)는 입력부(410)를 통해 입력되는 단말기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메모리부(440)에 저장된 구동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제 1 방송 단말기(110)의 전반적인 기능의 실행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명령어 즉, 추천 방송 연결 정보 생성키가 입력되면 제어부(460)는 기 설정된 채널을 추천 채널로 설정하고, 기 설정된 채널을 서비스 중인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인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로 설정하며, 방 송 중인 프로그램명을 추천 프로그램명으로 설정하며, 추천 채널의 식별 정보,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및 추천 프로그램명을 포함하는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제어부(460)는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통신부(450)를 통해 제 2 방송 단말기(120)에 전송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어부(460)는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SMS 메시지 형태, MMS 메시지 형태 및 인스턴트 메시지 형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메시지 형태로 생성하되,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및 추천 채널의 식별 정보는 XML 및 XHTM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마크업 언어로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호환 방송 검색 서버의 내부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호환 방송 검색 서버(140)는 제 1 서버 메모리부(510), 제 1 서버 통신부(520) 및 제 1 서버 제어부(530)를 포함한다.
제 1 서버 메모리부(510)는 호환 방송 검색 서버(140)의 구동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제 1 서버 통신부(520)는 유무선 통신망(130)을 경유하여 제 2 방송 단말기(120)와의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제 1 서버 통신부(520)는 제 2 방송 단말기(120)로부터 호환 방송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호환 방송 연결 정보를 제 2 방송 단말기(120)에 전송한다.
제 1 서버 제어부(530)는 서버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 1 서버 메모리부(510)에 저장된 구동 프로그램을 실행 및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제 1 서버 제어부(530)는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리스트인 실시간 방송 정보 리스트를 관리하고, 제 2 방송 단말기(120)로부터 호환 가능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리스트,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추전 채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호환 방송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추천 클라이언트와 호환될 수 있는 호환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상기 호환 클라이언트에서 서비스하는 호환 채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호환 방송 연결 정보를 생성하여 제 2 방송 단말기(120)로 전송하도록 제 1 서버 통신부(52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 1 서버 제어부(530)는 호환 방송 연결 정보를 XML 및 XHTM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마크업 언어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방송 단말기(610), 유무선 통신망(620) 및 방송 연결 정보 제공 서버(6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방송 단말기(610)는 방송 연결 정보 제공 서버(630)에 추천받고자 하는 추천 방송 분야를 기등록하고, 방송 연결 정보 제공 서버(630)로부터 추천 방송 분야에 해당하는 추천 프로그램명, 추천 프로그램을 방송 중인 추천 채널의 식별 정보 및 추천 채널을 서비스하는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방송 단말기(61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제 2 방송 단말기(120)와 같이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추천 클라이언트가 기설치되어 있으면 추천 클라이언트를 실행하여 추천 채널의 중계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추천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기설치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호환 가능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리스트,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및 추천 채널의 식별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620)을 통해 방송 연결 정보 제공 서버(630)에 전송한다.
방송 단말기(610)는 방송 연결 정보 제공 서버(630)로부터 추천 클라이언트를 호환할 수 있는 호환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및 호환 클라이언트에서 서비스하는 호환 채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호환 방송 연결 정보를 방송 연결 정보 제공 서버(630)로부터 하나 이상 수신한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호환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는 호환 가능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리스트의 일부 또는 전부에 포함될 수 있다.
호환 방송 연결 정보를 하나 이상 수신한 방송 단말기(610)는 하나 이상의 호환 채널의 중계를 순차적으로 시도하여 중계에 성공한 특정 호환 채널이 있으면, 특정 호환 채널의 중계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유무선 통신망(620)은 방송 단말기(610)와 방송 연결 정보 제공 서버(63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한다.
방송 연결 정보 제공 서버(630)는 현재 방송 중인 방송들의 정보 리스트인 실시간 방송 정보 리스트를 실시간 방송 정보 데이터베이스(632)에 저장 및 관리하 고, 방송 단말기(610)에서 기등록한 추천 방송 분야를 저장한다.
방송 연결 정보 제공 서버(630)는 실시간 방송 정보 리스트에 방송 단말기(610)에서 기등록한 추천 방송 분야에 해당하는 추천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으면 추천 프로그램명, 추천 프로그램을 방송 중인 추천 채널의 식별 정보 및 추천 채널을 서비스하는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생성하여 방송 단말기(61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추천 방송 분야가 축구 중계이고 실시간 방송 정보에 "월드컵 예선(한국 : 북한)"과 같이 축구 중계가 포함되어 있으면, 방송 연결 정보 제공 서버(630)는 추천 프로그램 명인 "월드컵 예선(한국 : 북한)", 월드컵 예선(한국 : 북한)을 방송 중인 추천 채널 및 추천 채널을 서비스하는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생성하여 방송 단말기(610)에 전송하는 것이다. 여기서, 방송 연결 정보 제공 서버(630)는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SMS 메시지 형태, MMS 메시지 형태 및 인스턴트 메시지 형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메시지 형태로 생성하되, 추천 클라이언트 ID 및 추천 채널은 XML 및 XHTM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마크업 언어로 작성한다.
한편, 방송 연결 정보 제공 서버(630)는 방송 단말기(610)로부터 호환 가능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리스트,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및 추천 채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호환 방송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호환 방송 연결 정보를 생성하여 방송 단말기(610)에 전송한다.
이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방송 연결 정보 제공 서버(630)는 호환 방송 요청 정보의 호환 가능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중에서 추천 채널과 동일한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는 호환 채널을 서비스 중인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인 호환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및 호환 채널의 식별 정보를 실시간 방송 정보 데이터베이스(632), 즉 실시간 방송 정보 리스트에서 하나 이상 검색한 후, 호환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및 호환 채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호환 방송 연결 정보를 하나 이상 생성하여 방송 단말기(610)로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송 연결 정보 제공 서버의 내부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송 연결 정보 제공 서버(630)는 제 2 서버 메모리부(710), 제 2 서버 통신부(720) 및 제 2 서버 제어부(730)를 포함한다.
제 2 서버 메모리부(710)는 방송 연결 정보 제공 서버(630)의 구동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고, 방송 단말기(610)의 추천 방송 분야를 저장한다.
제 2 서버 통신부(720)는 유무선 통신망(620)을 경유하여 방송 단말기(610)와의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제 2 서버 통신부(720)는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방송 단말기(610)에 전송하고, 방송 단말기(610)로부터 호환 가능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리스트,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및 추천 채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호환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및 호환 채널의 식별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한 호환 방송 연결 정보를 방송 단말기(610)에 전송한다.
제 2 서버 제어부(730)는 서버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 2 서버 메모리부(710)에 저장된 구동 프로그램을 실행 및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2 서버 제어부(730)는 현재 방송 중인 방송들의 정보 리스트인 실시간 방송 정보 리스트를 실시간 방송 정보 데이터베이스(632)에 관리 및 저장하며, 실시간 방송 정보 리스트에 추천 방송 분야에 해당하는 추천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으면, 추천 프로그램명, 추천 프로그램을 방송 중인 추천 채널의 식별 정보 및 추천 채널을 중계할 수 있는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제 2 서버 통신부(720)를 통해 방송 단말기(610)에 전송한다.
또한, 제 2 서버 제어부(730)는 호환 가능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리스트,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및 추천 채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호환 방송 요청 정보를 제 2 서버 통신부(720)를 통해 수신하면, 호환 가능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중에서 추천 채널과 동일한 프로그램, 즉 추천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는 호환 채널을 서비스 중인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인 호환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및 호환 채널을 실시간 방송 정보 데이터베이스(632), 즉 실시간 방송 정보 리스트에서 하나 이상 검색한 후, 호환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및 호환 채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호환 방송 연결 정보를 하나 이상 생성하여 방송 단말기(632)로 전송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 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단말기 및 방송 시스템 분야에 적용되어, 단말기 사용자가 관심 분야의 방송 시간 및 채널을 파악하지 못하더라도 방송 단말기가 다른 방송 단말기 또는 서버로부터 단말기 사용자의 관심 분야에 해당하는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받아서 관심 분야의 방송을 연결하기 때문에 단말기 사용자가 관심 분야의 방송 시간 및 채널을 파악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발생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방송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호환 방송 검색 서버의 내부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송 연결 정보 제공 서버의 내부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제 1 방송 단말기 120: 제 2 방송 단말기
130, 620: 유무선 통신망 140: 호환 방송 검색 서버
410: 입력부 420: 디스플레이부
430: 오디오부 440: 메모리부
450: 통신부 460: 제어부
510: 제 1 서버 메모리부 520: 제 1 서버 통신부
530: 제 1 서버 제어부 610: 방송 단말기
630: 방송 연결 정보 제공 서버 710: 제 2 서버 메모리부
720: 제 2 서버 통신부 730: 제 2 서버 제어부

Claims (9)

  1.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 중에서 추천하고자 하는 추천 프로그램에 대한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 1 방송 단말기;
    상기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추천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방송 단말기; 및
    상기 제 1 방송 단말기와 상기 제 2 방송 단말기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유무선 통신망
    을 포함하되, 상기 추천 방송 연결 정보는 추천 프로그램명, 추천 채널의 식별 정보 및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상기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리스트인 실시간 방송 정보 리스트를 관리하고, 상기 제 2 방송 단말기로부터 호환 방송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호환 방송 연결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호환 방송 검색 서버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제 2 방송 단말기는 상기 추천 클라이언트가 미설치된 경우, 상기 호환 방송 검색 서버로 상기 호환 방송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호환 방송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시 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환 방송 요청 정보는,
    호환 가능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리스트, 상기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상기 추전 채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호환 방송 연결 정보는,
    상기 추천 클라이언트와 호환될 수 있는 호환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호환 클라이언트가 서비스하는 호환 채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송 단말기는,
    상기 호환 채널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호환 채널의 중계를 순차적으로 시도하여 중계에 성공한 특정 호환 채널이 있으면 상기 특정 호환 채널의 중계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호환 채널의 중계에 실패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호환 채널이 미지원 채널임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6. 방송 단말기에 있어서,
    명령어를 입력받는 입력부;
    기 선택된 채널에서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음향을 출력하는 오디오부;
    상기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명 및 상기 기 선택된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명령어가 입력되면 상기 기 설정된 채널을 추천 채널로 설정하고, 상기 기 설정된 채널을 서비스 중인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인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로 설정하며, 상기 방송 중인 프로그램명을 추천 프로그램명으로 설정하며, 상기 추천 채널의 식별 정보, 상기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추천 프로그램명을 포함하는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다른 방송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천 방송 연결 정보를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및 인스턴트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메시지 형태로 생성하되, 상기 추천 클라이언트 식별 정보 및 상기 추천 채널을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및 XHTML(Extensible Hypertext Markup Languag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마크업 언어로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 단말기.
  8.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방송 단말기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현재 방송 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리스트인 실시간 방송 정보 리스트를 관리하고, 상기 방송 단말기로부터 호환 가능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리스트, 추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추전 채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호환 방송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추천 클라이언트와 호환될 수 있는 호환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 상기 호환 클라이언트에서 서비스하는 호환 채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호환 방송 연결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방송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환 방송 연결 정보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및 XHTML(Extensible Hypertext Markup Languag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마크업 언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KR1020080137772A 2008-12-31 2008-12-31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단말기, 서버 및 시스템 KR101528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772A KR101528484B1 (ko) 2008-12-31 2008-12-31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단말기, 서버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772A KR101528484B1 (ko) 2008-12-31 2008-12-31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단말기, 서버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332A true KR20100079332A (ko) 2010-07-08
KR101528484B1 KR101528484B1 (ko) 2015-06-17

Family

ID=42640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7772A KR101528484B1 (ko) 2008-12-31 2008-12-31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단말기, 서버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4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719A (ko) * 2017-09-22 2019-04-01 정우주 개인방송 컨텐츠 추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901B1 (ko) * 2004-11-09 2007-01-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디지털데이터방송 간의 전자프로그램안내정보 변환장치 및 그 방법
KR101154964B1 (ko) * 2005-06-02 2012-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정보 송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서버,방송 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70865A (ko) * 2005-12-29 2007-07-04 주식회사 팬택 디엠비 환경에서 선호하는 방송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및이동통신 단말기
KR100846284B1 (ko) * 2006-05-19 2008-07-16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 정보 공유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719A (ko) * 2017-09-22 2019-04-01 정우주 개인방송 컨텐츠 추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8484B1 (ko) 201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1337B2 (en) Media synchronization within home network using set-top box as gateway
US7134133B1 (en) Method, system, and software for creating and utilizing broadcast electronic program guide templates
EP291002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interactive service
JP2019071622A (ja) 送信装置、送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1883228A1 (en) A broadcast system with a local electronic service guide generation
CN101690211A (zh) 个人化交互媒体指南应用程序的系统和方法
KR20020067593A (ko) 리모트 컨트롤 유닛상에 확장 콘텐트 정보를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Baba et al. Seamless, synchronous, and supportive: welcome to hybridcast: an advanced hybrid broadcast and broadband system
JP2007116669A (ja) サブ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コンテンツ関連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US20130205343A1 (en) Method &amp; Apparatus for an Enhanced Television Viewing Experience
KR100856585B1 (ko) 양방향 텔레비전 시스템
EP378064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KR20140123523A (ko) 인터넷 액세스에 의해 또는 인터넷 액세스 없이 디지털 tv 수신기로 전송되는 컨텐츠를 복수의 포터블 장치로 동기화하기 위한 시스템
JP2012244340A (ja) 受信機連携システム
US9197937B1 (en) Automatic on-demand navigation based on meta-data broadcast with media content
KR101528484B1 (ko) 방송 연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단말기, 서버 및 시스템
KR101982152B1 (ko) 방송 수신 장치에서 방송 서비스와 연동되어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브젝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110330B2 (ja) 放送受信端末、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端末
WO20120156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media using social media guidance applications
KR100668530B1 (ko) 예약에 의한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 제공방법
KR100979865B1 (ko) Iptv 환경에서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N101273562A (zh) 在通信网络中共享广播服务信息的方法和系统
KR100679399B1 (ko) 데이터방송을 이용한 시청률 조사방법
JP2012114509A (ja) 映像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1077893A (ja) コンテンツ送信装置、コンテンツ受信装置及びコンテンツ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