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8397A - 토목공사용 저진동 저소음 발파공법 - Google Patents

토목공사용 저진동 저소음 발파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8397A
KR20100078397A KR1020080136651A KR20080136651A KR20100078397A KR 20100078397 A KR20100078397 A KR 20100078397A KR 1020080136651 A KR1020080136651 A KR 1020080136651A KR 20080136651 A KR20080136651 A KR 20080136651A KR 20100078397 A KR20100078397 A KR 20100078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sting
explosives
hole
holes
dr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6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2330B1 (ko
Inventor
김원호
Original Assignee
금강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강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강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6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2330B1/ko
Publication of KR20100078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8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8Tamping methods; Methods for loading boreholes with explosives; Apparatu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3/00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 F42D3/04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for rock bla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5/00Safety arrangements
    • F42D5/04Rendering explosive charges harmless, e.g. destroying ammunition; Rendering detonation of explosive charges harmless
    • F42D5/045Detonation-wave absorbing or 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5/00Safety arrangements
    • F42D5/04Rendering explosive charges harmless, e.g. destroying ammunition; Rendering detonation of explosive charges harmless
    • F42D5/045Detonation-wave absorbing or damping means
    • F42D5/05Blasting m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5/00Safety arrangements
    • F42D5/04Rendering explosive charges harmless, e.g. destroying ammunition; Rendering detonation of explosive charges harmless
    • F42D5/055Silencing means for blast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rilling And Exploitation, And Mining Machines And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공사용 저진동 저소음 발파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파공법은, 발파영역과 보호영역을 결정하는 발파영역설정단계; 발파영역에 다수 개의 발파공을 천공하되 발파영역의 가장자리 부근에서는 열을 맞추어 발파공을 천공하는 발파공천공단계; 발파영역 가장자리 부근의 발파공과 발파공 사이의 공간에 발파공보다 직경이 작은 충격전파홀을 천공하되 폭약이 설치된 발파공에 인접되게 천공하는 전파홀천공단계; 폭약이 설치될 발파공의 바깥쪽 방향 중 보호영역을 향하는 부분에 다수 개의 흡수공을 천공하는 흡수공천공단계; 발파영역의 가장자리 부근에 열을 맞추어 천공된 상기 발파공 내에 폭약이 위치되도록 하는 폭약설치단계; 발파공천공단계와 전파홀천공단계와 흡수공천공단계를 시행한 후 발파공 내에 위치된 폭약을 기폭시키는 기폭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발파공법은, 발파진동을 낮추기 위한 홀(발파공, 흡수공 등)의 수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면서 폭약의 수를 줄여 공사현장 주변의 건물이나 구조물에 전달되는 발파진동과 발파소음을 크게 낮출 수 있고, 더욱 우수한 발파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발파소음의 발생량도 크게 낮출 수 있다.
발파, 폭약, 발파공법, 폭파, 굴착

Description

토목공사용 저진동 저소음 발파공법{THE BLASTING METHOD OF CONSTRUCTION FOR LOW CONCUSSION AND LOW DIN}
본 발명은 토목공사 과정에서 암반 등의 장애물을 제거하기 위해 폭약을 사용해 장애물을 발파하는 토목공사용 발파공법에 관한 것이다.
빌딩, 철도, 항만, 도로의 공사 등 각종 토목공사 과정에서는 암반 등의 장애물이 발견되는 경우가 빈번한데 이러한 장애물(이하 "발파대상물"이라 함)의 제거를 위하여 폭약을 사용한 발파공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폭약을 사용한 발파공법은 발파대상물의 제거에 매우 효과적이지만 발파과정에서 발생되는 강한 진동과 소음은 각종 민원을 발생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발파진동은 공사현장 주변의 건물이나 구조물 안전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발파진동과 발파소음을 줄일 수 있는 발파공법이 안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대표적인 것이 라인드릴링(Line drilling) 공법과 프리스플리팅(Pre-splitting) 공법이다.
라인드릴링(Line drilling) 공법은 발파영역 내에 발파공을 형성하고, 발파영역의 외측에 열을 맞추어 흡수공을 촘촘하게 천공하여 발파에 의한 충격파가 흡수공으로 인해 감쇄됨으로써 발파진동이 공사현장 주변의 건물이나 구조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공법이다.
이러한 라인드릴링 공법의 단점은 흡수공을 촘촘하게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흡수공의 천공작업이 요구되고, 이로 인하여 공사기간의 지연이 발생되고, 비용이 크게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된다는 것이다.
또, 발파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는 한계치가 낮고, 발파소음의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프리스플리팅(Pre-splitting) 공법은 발파영역 내에 발파공을 형성하되 발파영역의 가장자리 부근에서는 열을 맞추어 발파공을 형성하고 이 발파영역의 가장자리 부근에 위치되는 발파공에 폭약을 우선 설치하여 이 가장자리 부근을 먼저 발파시켜 발파영역이 주변의 건물이나 구조물과 분리되도록 파단한 후 분리된 발파영역을 후속 발파시킴으로써 발파진동이 공사현장 주변의 건물이나 구조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공법이다.
이러한 프리스플리팅 공법은 라인드릴링 공법에 비하여 천공될 홀의 갯수가 적지만 여전히 많은 홀의 천공이 요구되고, 발파영역이 주변의 건물이나 구조물과 분리되도록 발파시킬 때 발생되는 진동이 공사현장 주변의 건물이나 구조물에 그대 로 전달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 발파대상물에 균열이나 취약한 부분이 있을 경우 발파영역의 분리를 위한 발파작업에 의해 발파영역이 파단될 때 파단선이 발파공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균열을 따라 형성되거나 상대적으로 취약한 부분을 따라 형성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는 한계치가 낮고, 발파소음의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파소음을 감쇄시키기 위하여 라인드릴링(Line drilling) 공법이나 프리스플리팅(Pre-splitting) 공법을 시행하면서 발파공의 상부를 전색물 및 발파매트로 차단하고 있으나 그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여 여전히 발파소음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전색물이나 발파매트를 사용한 발파소음의 감쇄 효과에 한계가 있는 것은 그러한 것들은 발파로 인해 발생된 소음을 감쇄시키는 것일 뿐 소음의 발생량 자체를 줄일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파진동을 낮추기 위하여 천공되는 홀(발파공, 흡수공 등)의 수를 크게 줄일 수 있고, 공사현장 주변의 건물이나 구조물에 전달되는 발파진동은 더욱 낮출 수 있으면서 발파효과는 더욱 우수하며, 발파소음의 발생량도 크게 낮출 수 있는 토목공사용 저진동 저소음 발파공법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발파영역의 가장자리 부근에 열을 맞추어 다수 개의 발파공을 천공하고, 이 발파공 내에서 폭약을 발파하여 발파영역이 주변의 건물 및 구조물과 분리되도록 한 후 발파영역을 발파하는 방법을 사용하되 발파영역의 가장자리 부근에 형성된 발파공과 발파공 사이에 충격파가 집중되도록 하는 충격전파홀을 천공하며, 가장자리 부근의 발파공 외측에 다수 개의 흡수공을 천공하여 발파진동을 낮추기 위하여 천공되는 홀(발파공, 흡수공 등)의 수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면서 폭약의 수를 줄여 공사현장 주변의 건물이나 구조물에 전달되는 발파진동과 발파소음을 크게 낮출 수 있도록 하고, 발파효과는 더욱 우수하도록 하며, 발파소음의 발생량도 크게 낮출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발파공법은, 발파 효과를 얻으려는 발파영역과 발파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보호영역을 결정하는 발파영역설정단계;
발파영역에 다수 개의 발파공을 천공하되 발파영역의 가장자리 부근에서는 열을 맞추어 다수 개의 발파공을 천공하는 발파공천공단계;
발파영역 가장자리 부근의 발파공과 발파공 사이의 공간에 발파공보다 직경이 작은 충격전파홀을 천공하되 폭약이 설치된 발파공에 인접되게 천공하는 전파홀천공단계;
폭약이 설치될 발파공의 바깥쪽 방향 중 보호영역을 향하는 부분에 다수 개의 흡수공을 천공하는 흡수공천공단계;
발파공 내에 폭약이 위치되도록 하는 폭약설치단계;
발파공천공단계와 전파홀천공단계와 흡수공천공단계를 시행한 후 발파공에 설치된 폭약을 기폭시키는 기폭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발파영역의 가장자리 부근에 열을 맞추어 다수 개의 발파공을 천공하고, 이 발파공 내에서 폭약을 발파하여 발파영역이 주변의 건물 및 구조물과 분리되도록 파단한 후 발파영역을 후속 발파하는 방법을 사용하되 발파영역의 가장자리 부근에 형성된 발파공과 발파공 사이에 충격파가 집중되도록 하는 충격전파홀을 천공하며, 가장자리 부근의 발파공 외측에 다수 개의 흡수공을 천공하다.
따라서 발파진동을 낮추기 위하여 천공되는 홀(발파공, 흡수공 등)의 수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면서 폭약의 수를 줄여 공사현장 주변의 건물이나 구조물에 전달되는 발파진동과 발파소음을 크게 낮출 수 있고, 더욱 우수한 발파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발파소음의 발생량도 크게 낮출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발파진동이 주변의 건물이나 구조물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 발파소음도 감소시키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발파영역의 가장자리를 먼저 발파하여 발파영역이 공사현장 주변의 건물이나 구조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분리되도록 한 후 발파영역을 발파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파공법은, 발파 효과를 얻으려는 발파영역(1)과 발파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보호영역을 결정하는 발파영역설정단계를 갖는다.(도 1에서 경계표시선(2)의 안쪽이 발파영역(1)이고, 바깥 쪽이 보호영역이다.)
또, 발파영역에 다수 개의 발파공(10)을 천공하되 발파영역(1)의 가장자리 부근에서는 열을 맞추어 다수 개의 발파공(10)을 천공하는 발파공천공단계를 갖는다.
이러한 면에서 본 발명의 공법은 프리스플리팅 공법과 유사하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법은, 별도의 수단이 없다면 발파영역이 발파에 의해 파단되도록 할 때 즉, 발파영역의 가장자리를 먼저 발파할 때 이 발파에 의한 발파진동이 주변의 건물이나 구조물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폭약이 설치될 발파공(10)의 바깥쪽 방향 중 보호영역을 향하는 부분에 다수 개의 흡수공(20)을 천공한다.
즉, 발파영역의 가장자리를 파단하기 위한 발파로 인한 진동이 흡수공(20)에 의해서 감쇄되어 공사현장 주변의 건물이나 구조물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런데 흡수공(20)을 통한 발파진동의 감쇄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흡수공(20)이 천공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 흡수공(20)이 완전히 연결된 형태가 될 수는 없기 때문에 발파진동을 감쇄하는데 한계가 있다.(흡수공(20)을 천공함에 있어 도 6과 같이 복수 개의 열을 맞추어서 천공하되 위쪽 열에 천공된 흡수공(20)의 영역과 아래 쪽 열에 천공된 흡수공(20)의 영역을 직선으로 표시하였을 때 겹쳐지는 영역이 발생되도록 천공하여 진동 감쇄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흡수공(20)과 흡수공(20) 사이로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할 수는 없으며, 이 경우 너무 많은 흡수공(20)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발파영역의 파단을 위해서 많은 위치에 폭약이 설치될 수밖에 없으며, 이는 곧 많은 발파공(10)의 형성과 설치되는 폭약의 양이 많아지는 결과로 이어진다.(많은 양의 폭약이 발파됨에 따라 발파진동과 발파 소음이 강하게 발생될 수밖에 없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또 다른 문제점은 암석 등의 발파대상물에 크랙이 있거나 상대적으로 취약한 부분이 있을 경우 발파에 의한 파단선이 계획대로 형성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오랜 연구와 노력 끝에 본 출원의 발명자는, 도 1과 같이 발파영역 가장자리 부근의 발파공(10)과 발파공(10) 사이의 공간에 발파공(10)보다 직경이 작은 충격전파홀(30)을 천공하되 폭약이 설치된 발파공(10)에 인접되게 천공하는 구조를 안출하였다.
즉, 발파공(10)에서 폭약이 기폭되었을 때 충격파에 의해 충격전파홀(30)과의 사이가 쉽게 터지면서 충격전파홀(30) 방향(발파영역 가장자리 부근에 형성된 발파공(10)과 발파공(10)이 연결되는 방향이 됨)으로 충격파가 집중되어 뻗어나가도록 하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다른 부분으로는 충격파가 크게 뻗어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충격전파홀(30)을 통한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폭약이 설치되는 발파공(10) 주변 중 동일한 방향을 향해 복수 개의 충격전파홀(30)을 천공하되 폭약이 설치되는 발파공(10)에서 멀어질수록 충격전파홀(30)의 직경을 작게 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충격파가 직경이 작은 충격전파홀(30) 방향으로 뻗어나갈수록 충격파의 집중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발파공(10), 흡수공(20), 충격전파홀(30)을 갖는 구조는 적은 양의 폭약으로도 발파영역을 파단하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발파진동과 발파소음이 적게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발파영역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발파공(10)의 수를 줄일 수 있다.(발파공(10)에 비하여 충격전파홀(30)은 그 크기가 작은데 크기가 큰 홀보다 작은 홀을 천공하는 것이 훨씬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저진동 저소음 발파공법은, 발파 효과를 얻으려는 발파영역과 발파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보호영역을 결정하는 발파영역설정단계를 갖는다.
또, 발파영역에 다수 개의 발파공(10)을 천공하되 발파영역의 가장자리 부근에서는 열을 맞추어 다수 개의 발파공(10)을 천공하는 발파공천공단계를 갖는다.
또, 발파영역 가장자리 부근의 발파공(10)과 발파공(10) 사이의 공간에 발파공(10)보다 직경이 작은 충격전파홀(30)을 천공하되 폭약이 설치된 발파공(10)에 인접되게 천공하는 전파홀천공단계를 갖는다.
또, 폭약이 설치될 발파공(10)의 바깥쪽 방향 중 보호영역을 향하는 부분에 다수 개의 흡수공(20)을 천공하는 흡수공천공단계를 갖는다.
또, 발파영역의 가장자리 부근에 열을 맞추어 천공된 발파공(10) 내에 폭약이 위치되도록 하는 폭약설치단계를 갖는다.
또, 발파공천공단계와 전파홀천공단계와 흡수공천공단계를 시행한 후 발파공(10)에 설치된 폭약을 기폭시키는 기폭단계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폭단계를 시행하기 전 발파에 의한 충격파의 진동 을 흡수하는 진동흡수재(40)를 흡수공(20)에 설치하는 흡수재설치단계를 시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흡수재(40)로는 스펀지, 우레탄수지, 폴리스틸렌 재질의 파이프 등 이미 공지된 다양한 진동흡수재(4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발파진동이 공사현장 주변의 건물이나 구조물에 전달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폭약이 기폭되었을 때 충격파가 충격전파홀(30) 방향으로 더욱 확실하게 집중되면서 다른 부분으로는 충격파가 더욱 약하게 전달되도록 발파공(10)에 파단경로설정체(5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파단경로설정체(50)는 도 3과 같이 폭약이 위치될 수 있는 중공부(51)를 가지며, 이 중공부(51)의 측면이 상, 하로 길게 개방되어 있어 중공부(51)에서 발생된 충격파가 측면의 개방된 부분(52)을 통해 퍼져나가도록 된 형태로 구현된다.
위와 같은 파단경로설정체(50)는 폭약설치단계에서 폭약이 설치되는 발파공(10)에 삽입, 설치되는 것인데 충격파가 퍼져나가도록 할 방향으로 파단경로설정체(50)의 개방된 부분(52)이 위치되도록 설치한다.
이러한 파단경로설정체(50)는 진동을 흡수하는 재질로 구현할 수도 있고, 철재 등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파단경로설정체(50) 중 충격파가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려 는 부분(보호영역으로 향하는 부분)과 발파공(10) 사이에 틈새(5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기폭에 의한 충격파가 파단경로설정체(50)에 의해 감쇄되어 발파대상물(암반 등의 장애물)에 전달되는 충격을 줄여주기 위한 것이다.
이때의 파단경로설정체(50)는 철재 등으로 구현하여도 발파진동을 줄여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파단경로설정체(50)의 두께가 얇다면 폭약의 기폭에 의해 충격파가 발생되었을 때 파단경로설정체(50)와 발파공(10) 사이의 틈새(53) 간격이 좁아지는 등의 형태로 파단경로설정체(50)의 변형이 발생되면서 충격파가 보호영역에 크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폭약을 어떠한 형태로 설치하는 것인지의 여부에 따라 발파의 효과와 발파진동 및 발파소음의 감쇄 효과 등에는 큰 차이가 발생되는데 동일한 구조를 종래의 발파구조에 적용할 때보다 본 발명의 구조에 적용할 때 그 효과는 더욱 크게 발생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폭약설치단계에서 폭약을 설치할 때 상부의 폭약과 하부의 폭약이 각각 평행선상에 위치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폭약을 비닐팩 등에 넣어서 도면에서와 같이 매달아 놓는 형태 등으로 위치시킬 수 있음)
동일한 선상에서 발파가 이루어지면 집중되어 퍼져나가는 충격파가 특정 지점에서 서로 마주하게 됨에 따라 발파진동의 감쇄 효과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각각 의 폭약이 발파되어 발생되는 파단선이 확실하게 연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폭약설치단계에서 발파공(10)의 상부와 하부에 폭약(60)을 설치하고, 상부에 위치된 폭약의 위쪽을 차단하여 하부의 폭약과 상부의 폭약 사이에 공기층이 존재하도록 하며, 상부의 폭약 위쪽에는 전색물(70)을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전색물(70)로는 모래나 점토 등 이미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전색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지상으로 확산되는 발파소음을 크게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격파가 집중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 4 및 도 5와 같이 내측에 폭약을 설치할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몸체(81)를 가지며, 이 몸체(81)의 중공부(82)에서 폭약이 기폭될 경우 충력파에 의해서 발사되도록 몸체에 삽입된 정(83)을 가지고 있는 정발사체(80)를 발파공(10)을 따라 설치하는 발사체설치단계를 폭약설치단계를 시행하기 전에 시행할 수 있다.
이때 폭약설치단계에서는 정발사체(80)의 중공부(82)에 폭약을 설치하여 발파공(10) 내에 폭약이 위치된 형태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충격파가 정발사체(80) 방향으로 퍼져나가되 정발사체(80)의 정이 발파대상물을 직접 가격함으로써 충격파가 더욱 집중되는 결과를 얻 을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정발사체(80)의 몸체(81)에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에 정이 단순히 삽입되어 있는 형태이어서 기폭에 의한 충격파로 정이 발사되도록 된 형태이다.
상기와 같은 정발사체(80)는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취약한 부분이나 균열이 산재되어 있는 발파대상물을 발파할 때 효과적이다.
즉, 충격파가 한 방향으로 향하더라도 균열 또는 상대적으로 취약한 부분이 산재되어 있으면 그 부분에서 파단선이 집중절으로 발생되므로 원하는 파단선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 해소를 위해 정발사체(80)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정발사체(80)의 정은 도 4와 같이 끝부분이 납작한 평정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90은 발파소음을 줄여주는 통상의 발파매트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토목공사용 저진동 저소음 발파공법을 설명하기 위해 발파공과 흡수공과 충격전파홀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토목공사용 저진동 저소음 발파공법을 설명하기 위해 발파공과 충격전파홀의 단면을 도시한 개략도
A : 평단면도
B : 정단면도
도 3은 파단경로설정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 파단경로설정체의 사시도
B : 파단경로설정체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C : 파단경로설정체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
도 4는 정발사체를 설명하기 위한 정발사체의 개략도
도 5는 정발사체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 평단면도(A-A 단면도)
B : 정단면도
도 6은 복수 개의 열을 맞추어 흡수공이 천공되어 있되 위쪽 열에 형성된 흡수공의 영역과 아래 쪽 영역에 천공된 흡수공의 영역을 직선으로 표시하였을 때 겹쳐지는 영역이 발생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발파영역 2. 경계표시선
10. 발파공 20. 흡수공
30. 충격전파홀 40. 진동흡수재
50. 파단경로설정체 51. 중공부
52. 개방된 부분 53. 틈새
60. 폭약 70. 전색물
80. 정발사체 81. 몸체
82. 중공부 83. 정
90. 발파매트

Claims (9)

  1. 폭약을 사용하여 암석 등을 발파하는 공법에 있어서,
    발파 효과를 얻으려는 발파영역과 발파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보호영역을 결정하는 발파영역설정단계;
    상기 발파영역에 다수 개의 발파공을 천공하되 발파영역의 가장자리 부근에서는 열을 맞추어 다수 개의 발파공을 천공하는 발파공천공단계;
    발파영역 가장자리 부근의 발파공과 발파공 사이의 공간에 발파공보다 직경이 작은 충격전파홀을 천공하되 폭약이 설치된 발파공에 인접되게 천공하는 전파홀천공단계;
    폭약이 설치될 발파공의 바깥쪽 방향 중 보호영역을 향하는 부분에 다수 개의 흡수공을 천공하는 흡수공천공단계;
    발파영역의 가장자리 부근에 열을 맞추어 천공된 상기 발파공 내에 폭약이 위치되도록 하는 폭약설치단계;
    상기 발파공천공단계와 전파홀천공단계와 흡수공천공단계를 시행한 후 발파공 내에 위치된 폭약을 기폭시키는 기폭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저진동 저소음 발파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폭단계를 시행하기 전 발파에 의한 충격파의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흡수재를 흡수공에 설치하는 흡수재설치단계를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저진동 저소음 발파공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홀천공단계에서 폭약이 설치되는 발파공 주변 중 동일한 방향을 향해 복수 개의 충격전파홀을 천공하되 폭약이 설치되는 발파공에서 멀어질수록 충격전파홀의 직경을 작게 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저진동 저소음 발파공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폭약설치단계에서 폭약이 위치될 수 있는 중공부를 가지며, 이 중공부의 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파단경로설정체를 폭약이 설치되는 발파공에 설치하되 충격파가 퍼져나가도록 할 방향으로 파단경로설정체의 개방된 부분이 위치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저진동 저소음 발파공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폭약설치단계에서 발파공의 상부와 하부에 폭약을 설치하고, 상부에 위치된 폭약의 위쪽을 차단하여 하부의 폭약과 상부의 폭약 사이에 공기층이 존재하도록 하며, 상부의 폭약 위쪽에는 전색물을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저진동 저소음 발파공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폭약설치단계에서 폭약을 설치할 때 상부의 폭약과 하부의 폭약이 각각 평행선상에 위치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저진동 저소음 발파공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공천공단계에서 복수 개의 열을 맞추어 흡수공을 천공하되 위쪽 열에 천공된 흡수공의 영역과 아래 쪽 열에 천공된 흡수공의 영역을 직선으로 표시하였을 때 겹치는 영역이 발생되도록 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저진동 저소음 발파공법.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측에 폭약을 설치할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몸체를 가지며, 이 몸체 의 중공부에서 폭약이 기폭될 경우 충력파에 의해서 발사되도록 몸체에 삽입된 다수 개의 정을 가지고 있는 정발사체를 발파공을 따라 설치하는 발사체설치단계를 폭약설치단계를 시행하기 전에 시행하고,
    상기 폭약설치단계에서는 정발사체의 중공부에 폭약을 설치하여 발파공 내에 폭약이 위치된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저진동 저소음 발파공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정은 끝부분이 납작한 평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공사용 저진동 저소음 발파공법.
KR1020080136651A 2008-12-30 2008-12-30 토목공사용 저진동 저소음 발파공법 KR101092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651A KR101092330B1 (ko) 2008-12-30 2008-12-30 토목공사용 저진동 저소음 발파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651A KR101092330B1 (ko) 2008-12-30 2008-12-30 토목공사용 저진동 저소음 발파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397A true KR20100078397A (ko) 2010-07-08
KR101092330B1 KR101092330B1 (ko) 2011-12-09

Family

ID=42639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6651A KR101092330B1 (ko) 2008-12-30 2008-12-30 토목공사용 저진동 저소음 발파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23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787B1 (ko) * 2010-08-16 2011-06-13 태진건설 주식회사 분산장약을 이용한 수평 발파공법
KR101244360B1 (ko) * 2010-09-30 2013-03-25 흥도이엔지 주식회사 진동 차단을 위한 발파공법
CN103234404A (zh) * 2013-05-03 2013-08-07 贵州新联爆破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爆破震动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514B1 (ko) 2018-10-01 2019-05-23 김재희 터널의 발파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787B1 (ko) * 2010-08-16 2011-06-13 태진건설 주식회사 분산장약을 이용한 수평 발파공법
KR101244360B1 (ko) * 2010-09-30 2013-03-25 흥도이엔지 주식회사 진동 차단을 위한 발파공법
CN103234404A (zh) * 2013-05-03 2013-08-07 贵州新联爆破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爆破震动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2330B1 (ko) 201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4375B2 (ja) エアギャップを有する爆薬チューブ管、及びこれを用いた岩盤発破工法
KR101092330B1 (ko) 토목공사용 저진동 저소음 발파공법
KR20120034545A (ko) 터널 발파 천공을 최소화하는 발파패턴을 가지는 발파구조
CN109029167A (zh) 基坑v型掏槽爆破方法
CN103499255A (zh) 一种低损伤定向聚能护壁爆破方法
KR102268422B1 (ko) 대지 경계선에서 소음 진동 저감을 위한 뉴 라인드릴링 공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암발파 공법
KR101995174B1 (ko) 미진동 암반파쇄구조
JPH1193559A (ja) 引張破壊を利用した岩盤切断方法
CN105423832A (zh) 一种厚壁砖烟囱定向窗的爆破施工方法
KR102131823B1 (ko) 코어장비를 이용한 무진동 굴착 방법
KR101392158B1 (ko) 발파 진동의 전파를 차단하는 발파공의 진동차단 방향 조절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발파공법
KR100682049B1 (ko) 소간격공과 대간격공을 이용한 진동제어 노천발파방법
CN111219190B (zh) 采用聚能水压爆破定向切顶的方法
KR20190123557A (ko) 대구경 다단 방진공을 활용한 터널 진동제어 발파공법
KR20040011893A (ko) 폭약 발파장치 및 방법
CN110879020A (zh) 聚能水压爆破装置
KR100885925B1 (ko) 대단면 원통형 구조물인 사일로의 발파해체 방법
KR101511223B1 (ko) 6 자유면을 이용한 노천 발파 공법
KR100359895B1 (ko) 발파진동 차단을 위한 불연속면대역 방진공법
KR20040075612A (ko) 발파용 라이너 및 이를 이용한 발파방법
KR101950200B1 (ko) 소음 및 암석비산 방지 안전매트
KR20120072730A (ko) 분산 발파장치 및 방법
CN104792237A (zh) 一种隧洞爆破方法
CN104481544B (zh) 巷道帮臌的钻孔爆破卸压方法
KR100531985B1 (ko) 라인 드릴링공을 이용한 발파진동 차단을 위한 굴착구조및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