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7095A -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7095A
KR20100077095A KR1020080135076A KR20080135076A KR20100077095A KR 20100077095 A KR20100077095 A KR 20100077095A KR 1020080135076 A KR1020080135076 A KR 1020080135076A KR 20080135076 A KR20080135076 A KR 20080135076A KR 20100077095 A KR20100077095 A KR 20100077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filter
pigment particles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electrophoretic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5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남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5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7095A/ko
Publication of KR20100077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70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2001/1678Construction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particle type

Abstract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전입자들을 포함하는 전기영동필름; 전기영동필름에 부착되며, 전기영동필름을 구동하는 어레이 기판; 및 전기영동필름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컬러필터를 포함하며, 컬러필터는 구 형상의 피그먼트 입자들을 포함한다.
전기, 영동, 피그먼트, 구, 형상, 컬러필터

Description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실시예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 EPD)는 유연성(flexibility)과 휴대성이 뛰어나며, 경량 등의 특성을 지닌 전기영동(Electrophoresis : 전기장내에서 하전된 입자가 양극 또는 음극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의 일종이다.
이러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종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얇고 구부리기 쉬운 베이스 필름에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형성하고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의 화소 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수직전계에 의해 전기영동 부유입자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로써 차세대 전자종이로서도 기대되는 표시장치이다.
실시예는 높은 콘트라스트 비를 가지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소자는 하전입자들을 포함하는 전기영동필름; 상기 전기영동필름에 부착되며, 상기 전기영동필름을 구동하는 어레이 기판; 및 상기 전기영동필름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컬러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컬러필터는 구 형상의 피그먼트 입자들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소자의 제조방법은 구 형상의 피그먼트 입자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피그먼트 입자들을 포함하는 컬러필터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컬러필터 조성물을 상기 전기영동필름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하여, 컬러필터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컬러필터 조성물층을 경화시켜 컬러필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소자는 구 형상의 피그먼트 입자들을 포함하는 컬러필터를 포함한다. 피그먼트 입자들은 구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피그먼트 입자들에 의해서, 발생하는 난반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기영동필름이 블랙으로 구현될 때,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대부분은 컬러필터에 의해서 입사되지 않고, 전기영동필름에 흡수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소자는 블랙모드에서 보다 선명한 컬러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피그먼트 입자들은 상당히 작은 직경을 가지는 미세한 입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그먼트 입자들의 직경은 약 20㎚ 내지 약 80㎚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전기영동필름이 화이트를 구현할 때,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효율적으로 전기영동필름에 입사 및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소자는 화이트모드에서 보다 선명한 컬러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소자는 향상된 콘트라스트 비를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기판, 층, 영역, 막 또는 전극 등이 각 기판, 층, 영역, 막 또는 전극 등의 "상(on)"에 또는 "하부(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하부(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부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는 컬러필터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소자는 전기영동필름(100),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200) 및 컬러필터층(300)을 포함한다.
상기 전기영동필름(100)은 하전 염료 입자(charge pigment particle)를 포함하는 캡슐(110) 및 상기 캡슐(110)의 상하에 위치하는 상부 및 하부 보호층(120, 130)을 포함한다.
상기 캡슐(110)은 정극성 전압에 반응하는 블랙 염료 입자(111), 부극성 전압에 반응하는 화이트 염료 입자(112) 및 솔벤트(113)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보호층(120, 130)은 구형의 캡슐(110)의 유동을 차단함과 아울러 캡슐(11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보호층(120, 130)으로, 유연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쉽게 구부러지는 베이스 필름, 또는 유연성을 가지는 금속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200)은 하부 플레이트(210) 위에 게이트 절연막(144)을 사이에 두고 교차하게 형성된 게이트 라인(미도시) 및 데이터 라인(미도시)과, 그 교차부마다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TFT)(TR)와, 그 교차구조로 마련된 셀 영역에 형성된 화소 전극(260)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210)는 유연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쉽게 구부러지는 베이스 필름, 또는 유연성을 가지는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R)는 게이트 전압이 공급되는 게이트 전극(221)과, 상기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소스 전극(241)과, 상기 화소 전극(260)에 접속된 드레인 전극(242)과, 상기 게이트 전극(221)과 중첩되고 상기 소스 전극(241)과 상기 드레인 전극(242) 사이에 채널을 형성하는 액티브층(231)을 구비한다.
상기 액티브층(231)은 상기 소스 전극(241) 및 상기 드레인 전극(242)과 중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소스 전극(241)과 상기 드레인 전극(242) 사이의 채널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액티브층(231) 위에는 상기 소스 전극(241) 및 상기 드레인 전극(242)과 오믹접촉을 위한 오믹콘택층(232)이 더 형성된다. 여기서, 통상적으로 상기 액티브층(231) 및 상기 오믹콘택층(232)을 반도체 패턴230)이라 명명한다.
상기 화소 전극(260)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R)를 보호하는 보호막(250)을 관통하여 상기 드레인 전극(242)을 노출시키는 콘택홀(242)을 통해 상기 드레인 전극(242)과 접촉된다.
상기 컬러필터층(300)은 상기 전기영동필름(100) 상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컬러필터층(300)은 상기 전기영동필름(100) 상에 프린팅될 수 있다. 상기 컬러필터층(300)은 상기 전기영동필름(10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컬러필터층(300)은 통과하는 백색광을 필터링하여, 컬러를 가지는 광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컬러필터층(300)은 청색 컬러필터(B), 녹색 컬러필터(G) 및 적색 컬러필터(R)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컬러필터들은 피그먼트 입자들(310) 및 유기 바인더(32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컬러필터들은 청색 피그먼트 입자들, 녹색 피그먼트 입자들 및 적색 피그먼트 입자들을 포함한다.
상기 피그먼트 입자들(310)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나프탈렌계, 아조계, 안트라퀴논계 및 프탈로시아닌계 염료 또는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피그먼트 입자들(310)은 상기 유기 바인더(320)에 균일하게 분산된다. 따라서, 상기 피그먼트 입자들(310)은 일정한 간격(L)으로 이격된다. 이때, 상기 피그먼트 입자들(310) 사이의 거리(L)는 상기 피그먼트 입자들(310)의 직경(D)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피그먼트 입자들(310)의 표면은 곡면이다. 더 자세하게, 상기 피그먼트 입자들(310)은 구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피그먼트 입자들(310)의 직경(D)은 약 20㎚ 내지 약 80㎚이다.
상기 피그먼트 입자들(310)은 구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피그먼트 입자들(310)에 의한 난반사가 감소된다. 또한, 상기 피그먼트 입자들(310)은 매우 작은 직경(D)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컬러필터들은 높은 투과율을 가진다.
상기 유기 바인더(320)는 산성기를 가지는 중합체일 수 있으며, 상기 유기 바인더(320)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글리세롤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컬러필터층(300) 상에는 공통전극(400)이 배치된다. 상기 공통전극(400)은 상기 화소 전극(260)과 수직전계를 형성한다. 상기 공통전극(400)은 투명하고, 도전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통전극(400)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인듐 틴 옥사이드(induim tin oxide;ITO) 또는 인듐 징크 옥사이드(induim zinc oxide;IZO)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500)는 유연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쉽게 구부러지는 베이스 필름, 또는 유연성을 가지는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500)는 투명하며, 상기 공통전극(400) 및 상기 컬러필터층(300) 등을 보호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컬러필터층(300)은 상기 공통전극(400) 및 상기 전기영동필름(100)층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공통전극(400) 상, 또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500) 상 등과 같은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영동필름(100)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200)에 제 1 접착층(600)에 의해서 접착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500)는 상기 전기영동필름(100)에 제 2 접착층(미도시)에 의해서 접착된다.
상기 화소 전극(260) 및 상기 공통전극(400)에 의해서 형성되는 전계의 특성에 의해서, 상기 캡슐(110) 내측의 하전입자들(111, 112)은 이동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화소 전극(260)에 정(+)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공통전극(400)에 부(-) 극성의 전압이 인가될 때, 상기 블랙 염료 입자(111)는 상기 화소 전극(260)을 향하고, 상기 화이트 염료 입자(112)는 상기 공통전극(400)을 향한다.
따라서, 상기 전기영동필름(100)은 화이트 모드를 구현한다. 이때,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은 상기 컬러필터층(300)을 통과한 후, 상기 전기영동필름(100)에 반사되어, 영상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피그먼트 입자들(310)은 매우 미세한 크기, 즉, 약 20㎚ 내지 약 80㎚의 직경(D)을 가지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L1)을 상기 전기영동필름(100)에 효율적으로 입사시킨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선명한 화이트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화소 전극(260)에 부(-)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공통전극(400)에 정(+) 극성의 전압이 인가될 때, 상기 블랙 염료 입자(111)는 상기 공통전극(400)을 향하고, 상기 화이트 염료 입자(112)는 상기 화소 전극(260)을 향한다.
따라서, 상기 전기영동필름(100)은 블랙 모드를 구현한다. 이때,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L2)은 상기 컬러필터층(300)을 통과한 후, 상기 전기영동필름(100)에 흡수되어 영상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피그먼트 입자들(310)은 구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피그먼트 입자들(310)에 의한 난반사를 줄인다. 따라서, 상기 컬러필터층(300)에 의한 난반사가 감소되고,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은 상기 전기영동필름(100)에 효율적으로 입사되고, 흡수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선명한 블랙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컬러필터 층(300)에 의해서, 컬러를 가지며, 높은 콘트라스트 비를 가지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실시예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따른 공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전기영동필름(100) 상에 컬러필터층(300)이 형성된다. 상기 컬러필터층(300)이 형성되기 위해서, 컬러필터 조성물이 형성된다.
상기 컬러필터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서, 형성된다.
먼저, 피그먼트 덩어리를 볼 밀(ball mill)에 의해서, 분쇄한다. 상기 피그먼트 덩어리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나프탈렌계, 아조계, 안트라퀴논계 및 프탈로시아닌계 염료 또는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볼 밀의 볼은 세라믹 계열의 재료를 사용하고, 피그먼트 덩어리 뿐만 아니라, 솔벤트가 첨가되고, 상기 볼 밀에 의해서, 상기 피그먼트 덩어리를 밀링(milling)한다.
이에 따라서, 구 형상의 피그먼트 입자들이 제공될 수 있다.(S100)
이와는 다르게, 니딩(kneading) 장치에 의해서, 구 형상의 피그먼트 입자들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그먼트 덩어리에 수용성 무기염 및 습윤제가 첨가되고, 이와 같이 형성된 혼합물은 니딩 공정을 거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피그먼트 덩어리는 구 형상의 피그먼트 입자들이 제공된다.
이후, 매쉬(mash)에 의해서, 밀링 또는 니딩된 피그먼트 입자들은 입도 분포에 따라서 1차적으로 분리되고, 원심분리기에 의해서, 2차적으로 분리된다. 이에 따라서, 약 약 20㎚ 내지 약 80㎚의 직경을 가지는 피그먼트 입자들이 제공된다.
이후, 상기 피그먼트 입자들, 유기 바인더 및 분산제가 용매에 혼합되고, 초음파 분산법에 의해서, 상기 피그먼트 입자들은 상기 유기 바인더, 상기 분산제 및 상기 용매에 분산되어, 컬러필터 조성물이 형성된다.(S200)
상기 유기 바인더는 산성기를 가지는 중합체일 수 있으며, 상기 유기 바인더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글리세롤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유기 바인더는 단량체 형태로 상기 컬러필터 조성물에 혼합되고, 이후의 광경화 공정 등에 의해서, 위와 같은 중합체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상기 피그먼트 입자들의 상기 유기 바인더 및 상기 용매로의 분산을 돕는다. 상기 분산제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폴리카르본산 에스테르, 불포화 폴리아미드, 폴리카르본산, 폴리 카르본산 알킬 아민여, 폴리아크릴계 분산제, 폴리에틸렌이민계 분산제 및 폴리우레탄계 분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용매의 예로서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과 같은 알콜류, 디클로로에틸 에테러, n-부틸 에테르, 디이소아밀 에테르 및 메틸페닐 에테르 등과 같은 에테르류 및 메틸 셀로소르브 아세테이트, 에틸 셀로소르브 아세테이트 또는 디에틸 셀로소 르브 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셀로소르브 아세테이트류 등을 들 수 있다.
이후, 상기 컬러필터 조성물은 상기 전기영동필름(100)에 잉크젯(ink-jet) 방식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분사되고, 상기 전기영동필름(100) 상에 컬러필터 조성물층이 형성된다.
이후, 상기 컬러필터 조성물층은 열 및/또는 광 경화 공정에 의해서 경화되고, 상기 전기영동필름(100) 상에 컬러필터층(300)이 형성된다.(S300)
이와는 다르게, 상기 컬러필터층(300)은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영동필름(100) 상에 컬러필터 조성물이 코팅되고, 마스크 공정에 의해서, 패터닝되어 상기 컬러필터층(30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부 플레이트(210)상에 게이트 전극(221) 및 게이트 배선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전극(221) 및 상기 게이트 배선을 덮는 게이트 절연막(220)이 형성된다.
이후,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액티브층(231) 및 오믹콘택층(232)이 형성되고, 이후,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데이터 라인, 상기 오믹콘택층(232) 상에 소오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242)이 형성된다.
이후, 상기 데이터 라인, 상기 소스 전극(241) 및 상기 드레인 전극(242)을 덮는 보호막(250)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막(250) 상에 화소 전극(260)이 형성되어,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200)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500) 상에 투명 도전막이 증착되어 공통전극(400)이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200)에 상기 컬러필터층(300)이 형성된 전기영동필름(100)이 라미네이팅된다.
이후, 상기 전기영동필름(100) 상에 상기 공통전극(400)이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500)가 라미네이팅된다.
이로써,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가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약 20㎚ 내지 약 80㎚의 직경을 가지는 구 형상의 피그먼트 입자들(310)을 포함하는 컬러필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선명한 블랙 모드 및 화이트 모드를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향상된 콘트라스트 비를 가지는 컬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험예
안트라퀴논계 염료 덩어리를 볼 밀에 의해서 12시간 동안 밀링하고, 매쉬 및 원심 분리기를 사용하여, 약 80㎚의 직경을 가지는 구 형상의 피그먼트 입자들을 형성하였다.
이후,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에탄올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구 형상의 피그먼트 입자들을 첨가하고, 초음파법에 의해서 분산시켰다.
이와 같이 형성된 컬러필터 조성물#1을 전기영동필름 상에 코팅하고, 자외선으로 경화시켜, 컬러필터#1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실험예와 동일한 염료 덩어리를 플래너터리 밀에 의해서 분쇄하고,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에탄올에 분쇄된 피그먼트 입자들을 첨가하고, 초음파법에 의해서 분산시켰다. 이때, 분쇄된 피그먼트 입자들은 각진 형상을 가졌다.
이와 같이 형성된 컬러필터 조성물#2를 전기영동필름 상에 코팅하고, 자외선으로 경화시켜, 컬러필터#2를 형성하였다.
동일한 조건에서, 비교예와 실험예의 휘도 및 색좌표를 조사하여, 표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예의 콘트라스트 비가 더 향상됨을 알 수 있다.
휘도(cd/㎡) 색좌표(x) 색좌표(y) 콘트라스트 비
실험예(화이트) 1180 0.2925 0.6263 5.40
실험예(블랙) 218.6 0.305 0.602
비교예(화이트) 1090 0.2925 0.6245 3.73
비교예(블랙) 292.5 0.3027 0.6064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컬러필터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실시예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따른 공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Claims (8)

  1. 하전입자들을 포함하는 전기영동필름;
    상기 전기영동필름에 부착되며, 상기 전기영동필름을 구동하는 어레이 기판; 및
    상기 전기영동필름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컬러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컬러필터는 구 형상의 피그먼트 입자들을 포함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그먼트 입자들의 직경은 20㎚ 내지 80㎚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필터는 상기 피그먼트 입자들을 둘러싸는 유기 바인더를 포함하며,
    상기 피그먼트 입자들은 상기 유기 바인더에 분산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그먼트 입자들 사이의 간격은 상기 피그먼트 입자들의 직경보다 더 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5. 구 형상의 피그먼트 입자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피그먼트 입자들을 포함하는 컬러필터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컬러필터 조성물을 상기 전기영동필름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하여, 컬러필터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컬러필터 조성물층을 경화시켜 컬러필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그먼트 입자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피그먼트를 볼 밀을 사용하여, 밀링하는 단계; 및
    상기 밀링된 피그먼트 입자들의 입도 분포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필터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피그먼트 입자들을 유기바인더 및 용매에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필터 조성물은 분산제를 더 포함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080135076A 2008-12-27 2008-12-27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770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076A KR20100077095A (ko) 2008-12-27 2008-12-27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076A KR20100077095A (ko) 2008-12-27 2008-12-27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095A true KR20100077095A (ko) 2010-07-07

Family

ID=42638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076A KR20100077095A (ko) 2008-12-27 2008-12-27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70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0199A2 (ko) * 2010-09-03 2012-03-08 주식회사 이미지앤머터리얼스 전기 영동 입자들,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미지 시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0199A2 (ko) * 2010-09-03 2012-03-08 주식회사 이미지앤머터리얼스 전기 영동 입자들,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미지 시트
WO2012030199A3 (ko) * 2010-09-03 2012-05-03 주식회사 이미지앤머터리얼스 전기 영동 입자들,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미지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63851A (zh) 液晶显示器
JP4368157B2 (ja) カラーフィルター用緑色顔料、緑色顔料分散体、感光性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ー、及び、液晶パネル
US6275280B1 (en) LCD with spacers hav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including compression stress
CN100346212C (zh) 反射型液晶显示器件及其制造方法
CN1967335B (zh) 显示器件及其制造方法
CN105446000B (zh) 护眼式液晶显示装置的制作方法
CN1719316A (zh) 滤色片和其制造方法、电光学装置以及电子机器
JP4368158B2 (ja) 感光性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ー、及び、液晶パネル
CN1410815A (zh) 液晶显示装置
KR101980062B1 (ko) 감광성 착색 조성물, 경화물, 착색 스페이서, 화상 표시 장치
CN1274432A (zh) 光敏黑色基体组合物及其制法
TW201111907A (en) Colored photosensitive composition, color fil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624544A (zh) 液晶显示器件及其制造方法
CN102483479A (zh) 滤色器及具备其的图像显示装置
CN103700688A (zh) 彩膜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614473A (zh) 滤色器基片及其制造方法和液晶显示器
CN1773314A (zh) 薄膜构图装置及使用其制造滤色片阵列基板的方法
CN1719289A (zh) 滤色片和其制造方法、电光学装置以及电子机器
CN1913155A (zh) 液晶显示器件和其制造方法
CN1514280A (zh) 液晶显示器的滤色器和使用该滤色器的液晶显示器
CN105676543A (zh) 用于制造液晶显示设备的方法
KR20120123713A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8020953A (zh) 彩色滤光基板及其制作方法、液晶显示面板
CN101051140A (zh) 制造液晶显示装置的方法
KR20100077095A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