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6346A - 이동통신단말기 및 위치정보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 및 위치정보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6346A
KR20100076346A KR1020080134359A KR20080134359A KR20100076346A KR 20100076346 A KR20100076346 A KR 20100076346A KR 1020080134359 A KR1020080134359 A KR 1020080134359A KR 20080134359 A KR20080134359 A KR 20080134359A KR 20100076346 A KR20100076346 A KR 20100076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lo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9662B1 (ko
Inventor
이영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4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662B1/ko
Publication of KR20100076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48Location-based services which utiliz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targ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14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with services dependent on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15Information service where the information is dependent on the location of the subscri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교환기와의 무선 상향 및 하향 링크 통신을 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현재위치 전송버튼과, 이동통신단말기가 위치한 지점의 위치정보를 탐지하는 위치정보 탐지부와, 사용자가 상기 현재위치 전송버튼을 누를 경우, 위치정보 탐지부를 통해 탐지한 현재의 위치정보를 현재 통화중인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동통신단말기, 미아, 미성년자, 노인, 위치, 표시, GPS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 및 위치정보 전송 방법{Mobile phone and method for wireless transmission of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위치정보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사회 안전망이 형성되고 있다고 하지만,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매년 3~4천명 정도의 미아가 발생된다. 그 중 96% 이상의 아동이 1일 ~ 2일 사이에 안전하게 가정으로 돌아가지만, 아직 상당수의 장기미아가 남아있으며, 이들 장기미아의 대부분은 의사표현이 곤란한 영유아이거나 장애아들이 어서 부모를 찾는데 어려움이 많고, 장기간 아이를 찾지 못하는 경우의 가정은 심리적, 경제적 고통을 겪게 된다.
또한, 성인이라 하더라도 치매 노인 등과 같이 인지 능력이 부족한 경우 자신의 위치를 가족들에게 정확히 알리지 못해 가족들과 헤어져 실종되는 경우 발생해, 가족들은 심리적 고통을 겪게 된다.
어린이 및 치매 노인과 같이 인지 능력이 부족한 사람의 경우, 자신의 집주소나 전화번호 또는 가족 성명 등을 정확히 기억하지 못하고, 기억하고 있다 하더라도, 순간 당황하여 제대로 의사표현이 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결국 미아 또는 실종이 되는 불행을 겪게 된다.
특히, 떨어져 있는 가족과 전화 통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위치를 제대로 의사 표현하지 못해 미아사고나 실종사고를 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어린이 및 치매 노인과 같이 인지 능력이 부족한 사람의 현재 위치를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손쉽게 알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교환기와의 무선 상향 및 하향 링크 통신을 하는 무선 송수신부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현재위치 전송버튼과, 이동통신단말기가 위치한 지점의 위치정보를 탐지하는 위치정보 탐지부와, 사용자가 상기 현재위치 전송버튼을 누를 경우, 위치정보 탐지부를 통해 탐지한 현재의 위치정보를 현재 통화중인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와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간에 콜이 개시되어 통화가 이루어지는 과정과, 사용자가 현재 위치 전송을 요청한 경우,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는 현재의 위치정보를 탐지하는 과정과, 탐지된 위치정보를 통화중인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위치 파악하고자 하는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의 정보를 입력받은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가 교환기에게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위치정보를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교환기가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에게 위치정보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가 현재의 위치정보를 탐지하여 탐지된 위치정보를 상기 교환기에 전송 하는 과정과, 상기 교환기가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를 상기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에 중계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는 수신한 위치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위치정보는 위도 및 경도 정보, 지명 정보, 교환기 섹터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인지 능력이 부족한 사람이 소지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상대방이 수신함으로써, 미아나 실종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무선송수신부(160)는 교환기와의 무선 상향 및 하향 링크 통신을 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송수신부(160)는 교환기로 송신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 송신기와, 교환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 하는 무선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부(150)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5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5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5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110)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사용자에게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한다.
키입력부(13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하며, 특히, 현재위치 전송버튼(131)을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가 현재위치 전송버튼(131)을 누르면 제어부(100)는 현재 이동통신단말기가 위치한 지점의 위치정보를 상대편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위치정보 탐지부(120)는 현재 이동통신단말기가 위치한 지점의 위치정보를 탐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하여 위치정보 탐지부는 GPS 모듈, 네비게이션 모듈, 교환기 탐지 모듈 등으로 이루어져, 위도 및 경도 정보, 지명 정보, 교환기 섹터 정보 등의 위치정보를 탐지할 수 있다.
위치정보 탐지부(120)가 GPS모듈로 구현될 경우에는 다수의 GPS위성으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여 계산된 현재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탐지할 수 있으며, 네비게이션 모듈로 구현될 경우에는 GPS정보로부터 계산된 위도 및 경도의 위치에 있는 지명 정보(예컨대, 도로명, 번지수, 건물명 등)를 탐지할 수 있으며, 교환기 탐지 모듈로 구현될 경우에는 현재 이동통신단말기가 상향 및 하향 통신하고 있는 교환기의 섹터 정보를 탐지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각 기능부의 하드웨어와의 데이터 통신을 담당하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통신 및 인터페이스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어부(100)는 사용자 본인 또는 상대방 요청이 있을 경우, 위치정보 탐지부(120)를 통해 탐지된 위치정보를 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이하, 도 2에서는 통화 중에 사용자 본인 요청에 의해 현재의 이동통신단말기 위치정보를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 과정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며, 도 3에서는 통화 상태가 아닌 상태에서 상대방 요청에 의해 현재의 이동통신단말기 위치정보를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본인 요청에 의해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와 소정의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와 콜이 개시(S201)되어 통화가 이루어지면, 통화가 이루어지는 동안 사용자가 현재 위치 전송버튼을 눌러 현재위치 전송을 요청했는지를 판정(S202)한다.
사용자가 현재 위치 전송 버튼을 눌러 현재위치 전송 요청 판정날 경우에는,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는 현재의 위치정보를 탐지(S203)한다. 상기 위치정보로는 GPS 모듈을 통한 위도 및 경도 정보, 네비게이션 모듈을 통한 지명 정보, 교환기 탐지 모듈을 통한 교환기 섹터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탐지된 현재 위치정보를 통화중인 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S204)한다. 통화 종료(S205)가 될 때까지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주기적으로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통화중인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로 지속적으로 전송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10세이하의 어린이나 치매 노인과 같이 인지 능력이 부족한 사람의 경우, 자신의 위치를 상대방에게 통화로 전송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현재 위치 전송 버튼을 누름으로써 자신의 현재 위치를 상대방에게 손쉽게 알려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대방 요청에 의해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대방이 특정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알고자 한다면,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자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정보(예컨대, 전화번호 등)를 입력한 후 위치정보 전송 요청을 한다.
위치 파악하고자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이하,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라 함)의 정보 입력(S301)과 함께 위치 정보 전송을 요청(S302)받은 이동통신단말기(이하,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라 함)는, 현재 위치 파악하고자 하는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의 정보와 함께 위치정보 전송 요청(S303)을 교환기로 한다.
교환기는 상기 수신한 정보를 가진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로 현재 위치정보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S304)한다.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는 현재의 위치정보를 탐지(S305)한다. 상기 위치정보로는 GPS 모듈을 통한 위도 및 경도 정보, 네비게이션 모듈을 통한 지명 정보, 교환기 탐지 모듈을 통한 교환기 섹터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는 탐지한 위치정보를 교환기로 전송(S306)하며, 교환기는 수신한 위치정보를 위치정보 전송을 요청한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로 중계 전송(S307)한다.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는 수신한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화면에 표시(S308)한다. 이러한 위치정보는 화면뿐만 아니라 음성 안내로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정보 전송 및 화면 표시 과정은 위치정보 전송 요청이 종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반복되어,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에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 경로가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 범위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균등 범위에도 미침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본인 요청에 의해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대방 요청에 의해 자신의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7)

  1. 교환기와의 무선 상향 및 하향 링크 통신을 하는 무선 송수신부;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현재위치 전송버튼;
    이동통신단말기가 위치한 지점의 위치정보를 탐지하는 위치정보 탐지부;
    사용자가 상기 현재위치 전송버튼을 누를 경우, 위치정보 탐지부를 통해 탐지한 현재의 위치정보를 현재 통화중인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위도 및 경도 정보, 지명 정보, 교환기 섹터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와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간에 콜이 개시되어 통화가 이루어지는 과정;
    사용자가 현재 위치 전송을 요청한 경우,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는 현재의 위치정보를 탐지하는 과정;
    탐지된 위치정보를 통화중인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통화 종료가 이루어질 때까지 주기적으로 위치정보를 탐지하여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에게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
  5. 위치 파악하고자 하는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의 정보를 입력받은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가 교환기에게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위치정보를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하는 과정;
    상기 교환기가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에게 위치정보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가 현재의 위치정보를 탐지하여 탐지된 위치정보를 상기 교환기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교환기가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를 상기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에 중계 전송하는 과정;
    상기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는 수신한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위치정보 전송 요청이 종료될 때까지 위치정보 전송 및 화면표시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에 사용자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동 경로가 실시간으로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위도 및 경도 정보, 지명 정보, 교환기 섹터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 전송 방법.
KR1020080134359A 2008-12-26 2008-12-26 이동통신단말기 및 위치정보 전송 방법 KR101519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359A KR101519662B1 (ko) 2008-12-26 2008-12-26 이동통신단말기 및 위치정보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359A KR101519662B1 (ko) 2008-12-26 2008-12-26 이동통신단말기 및 위치정보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346A true KR20100076346A (ko) 2010-07-06
KR101519662B1 KR101519662B1 (ko) 2015-05-13

Family

ID=42638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359A KR101519662B1 (ko) 2008-12-26 2008-12-26 이동통신단말기 및 위치정보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6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1834B2 (en) 2011-01-10 2014-05-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s route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473917B2 (en) 2012-10-29 2016-10-18 Innovid Co., Ltd Address-based social safety network system of smart grid infrastructur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291B1 (ko) 1999-06-25 2001-11-01 윤종용 긴급구조 서비스를 위한 위치정보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0588617B1 (ko) 2003-09-19 2006-06-1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47870B1 (ko) 2005-08-09 2006-11-23 고광용 위치정보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위치정보제공서버 및 위치정보 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1834B2 (en) 2011-01-10 2014-05-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s route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518834B2 (en) 2011-01-10 2016-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s route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473917B2 (en) 2012-10-29 2016-10-18 Innovid Co., Ltd Address-based social safety network system of smart grid infrastructur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9662B1 (ko) 2015-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9819B2 (en) Control and messaging during emergency calls
CN101044747B (zh) 在移动设备中管理铃声的方法和装置
US20060217105A1 (en)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location and multimedia data using a wireless device
US10446016B2 (en) Advanced mobile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KR20060019744A (ko) UWB(Ultra-Wideband) 신호를 이용한 긴급구조 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90475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긴급 메시지 송출 방법
CN101753487A (zh) 一种发送和接收摩斯密码的移动电子装置
CN108476386B (zh) 行动装置的广播通讯方法及无线电云端系统的通讯方法
KR20070024322A (ko) 이통 통신사의 비상착신 서비스 서버 및 그 서비스 방법
WO2011033870A1 (ja) 通信装置
KR101519662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위치정보 전송 방법
KR20090113645A (ko)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긴급호출기 및긴급호출기를 이용한 긴급호출방법
KR100627655B1 (ko) 무선 id 및 데이터 발송장치를 사용한 긴급상황 구조요청방법
JP2005341600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11561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긴급신호 송수신 방법
JPH06311093A (ja) 携帯電話装置
KR10114454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이탈 알람 동작 방법
KR200376302Y1 (ko) 노약자 보호용 휴대용 단말기
JP4789895B2 (ja) 通信装置
JP3959227B2 (ja) 位置情報送信システム
JP2007019933A (ja) 携帯電話機
JP2008211471A (ja) 通報方法、通報システム及び通報プログラム
KR20050014362A (ko) 비상시 보호자 휴대폰과 자동으로 연결되는 노약자휴대폰과 운영시스템
KR100974895B1 (ko) 농아인용 정보 제공 시스템
JP2005277903A (ja)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