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8617B1 -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8617B1
KR100588617B1 KR1020030065085A KR20030065085A KR100588617B1 KR 100588617 B1 KR100588617 B1 KR 100588617B1 KR 1020030065085 A KR1020030065085 A KR 1020030065085A KR 20030065085 A KR20030065085 A KR 20030065085A KR 100588617 B1 KR100588617 B1 KR 100588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5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8601A (ko
Inventor
김현석
이재관
임우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30065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8617B1/ko
Publication of KR20050028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8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8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861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호가 유지된 상태에서 미리 지정된 키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생성하여 페이징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통해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페이징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통해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통화를 하고 있는 상태에서 통화호를 종료하지 않고도 상대방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위치 정보, 이동 통신 단말기, 통화, 위급 상황

Description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OUNTERPART DURING TELEPHONE CONVERS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데이터 흐름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정된 범위의 위치 정보만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데이터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대방의 동의가 있는 경우에만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데이터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발신자 단말기
120 : 착신자 단말기
130a, 130b : 기지국(BTS)
140a, 140b : 교환기(MSC)
150 : 단문 메시지 서버(SMSC)
160 : 위치 정보 서버
본 발명은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 통화 상대방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급 상황에 놓여진 상대방에게 신속한 도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과학 기술의 발전과 경제 수준의 향상은 이동 통신 서비스 이용의 대중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이동 통신 서비스는 음성통화, 문자 메시지 등의 기본 서비스뿐 아니라 무선 인터넷 서비스, 위치 추적 서비스 등으로 그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이중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추적 기능은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에 등록된 셀(Cell) 위치를 이용하는 방법,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에 의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통해 제공되고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가 존재하는 셀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은 셀의 반경 정 도의 오차를 가지므로 다소 그 정확도가 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 퀄컴(Qualcomm)사의 CDMA 모뎀칩인 MSM 3300에 GPSOne 이라는 GPS 측위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이를 장착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CDMA에 의한 데이터 통신과 함께 기지국 또는 위성으로부터의 GPS 신호를 이용하여 보다 빠르고 정확한 위치확인이 가능하게 되었다.그러나, 이와 같은 위치 추적 기능은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간의 전화 통화중에는 이용할 수 없고, 무선 인터넷이나 단문 메시지를 통해 요청할 경우에만 제공할 수 있도록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통화를 하고 있는 상태에서 통화호를 종료하지 않고도 상대방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 또는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통해 제공할 수 있어 이동망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린이 유괴 등의 위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범법자의 금품 요구를 위한 전화 통화시 즉시 범법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신속한 위급 상황 대처가 가능한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 분실의 경우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화 통화만 수행하면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분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회수를 용이하게 하는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와 통화호가 연결된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화호가 유지된 상태에서 미리 지정된 키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상기 키 버튼에 상응하는 키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것임-, 상기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페이징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통해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페이징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통해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상응하는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상응하는 기지국 PN 정보, GPS 좌표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시스템, 장치 및 기록매체가 제공된다..여기서, 상기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상응하는 기지국 PN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상응하는 GPS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지도 이미지 중에서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지도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지도 이미지에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가 중첩된 형태로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서, 상기 위치 정보는 텍스트 형태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상응하여 위치 정보 제공 범위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 제공 범위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서 통화호가 설정된 상대방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화호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페이징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통해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것임-,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상응하는 기지국 PN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상응하는 GPS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를 조합하여 제3 위치 정보(즉,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위치 정보를 페이징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시스템, 장치 및 기록매체가 제공된다.본 발명에 따른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은 사전에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 제공 범위 지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 제공 범위 지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3 위치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 제공 범위 지정 정보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위치 정보 제공 요청에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위치 정보 서비스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위치 정보 서비스 가입자가 아닌 경우, 위치 정보 서비스를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제1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와 통화호가 연결된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와 통화호가 설정된 상태에서 미리 지정된 키 버튼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 상기 키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생성하는 수단-여기서, 상기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상 기 키 버튼에 상응하는 키 값을 포함함-, 상기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페이징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통해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수단, 상기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페이징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통해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상응하는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은 기지국(BTS : Base Transceiver Station)(130a, 130b), 교환기(MSC : Mobile Switching Center)(140a, 140b), 단문 메시지 서버(SMSC : Short Message Service Center)(150) 및 위치 정보 서버(160)를 포함한다.기지국(130a, 130b)은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및 무선 신호의 송, 수신 등을 수행하여 가입자 단말기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직접 결합되는 망 종단 장치이다. 기지국(130a, 130b)은 RF 무선 처리부와 CDMA 신호를 처리하는 채널 및 제어기로 이루어진 기저대역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지국(130a, 130b)의 각 유니트(unit)는 Interface unit, CDMA mod/Demod unit, Transceiver unit, RF unit, GPS unit 등과 같은 기능을 한다. 도 1에는 발신 기지국(130a)과 착신 기지국(130b)으로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나, 이는 발신측과 착신측을 구분하기 위한 것일 뿐 양자는 동일한 장치일 수 있다.
교환기(140a, 140b)는 이동 통신 서비스의 제공에 가장 중요한 망 구성장치로서 유선통신기능(PSTN/ISDN)과 이동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유/무선 복합 디지털 교환기이다. 교환기(140a, 140b)의 기능으로는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기능, 가입자의 착발신 호처리 기능,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기능, 기존망과 타망의 연동 기능 등이 있다. 도 1에는 발신 교환기(140a)와 착신 교환기(140b)로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나, 이는 발신측과 착신측을 구분하기 위한 것일 뿐 양자는 동일한 장치일 수 있다.단문 메시지 서버(150)는 착/발신 단문의 저장 및 전달, 망 접속 기능 및 서비스 제공자와의 접속 기능 등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위치 정보 서버(160)는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통화 상대방의 위치 정보를 발신자 단말기(110) 또는 착신자 단말기(120)로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위치 정보 서버(160)는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송한 사용자 단말기(110 또는 120)의 사용자가 위치 정보 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확인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당해 사용자가 위치 정보 서비스 가입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과금을 수행하기 위해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은 고객 정보 관리 장치(CS : Customer Care System), 인가/인증/과금(AAA :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장치, 과금 처리 장치(BS : Billing System)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에는 본 발명과 직접 관련된 구성 요소만이 도시되었으나,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이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에는 발신자 단말기(110)와 착신자 단말기(120)의 형태로 이동 통신 단말기만이 도시되었으나, 개인 휴대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이 통신 기능을 부가한 장치라면 아무런 제한 없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데이터 흐름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10에서 발신자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20)는 전화 통화를 수행한다. 발신자 단말기(110)와 착신자 단말기(120)간에 통화호가 설정되어 상호간에 트래픽 채널을 통해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은 주지의 사항이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화 통화 수행 중에, 발신자 단말기(110)는 발신자 단말기 사용자(즉, 발신자)로부터 미리 지정된 키 버튼(예를 들어, 77*)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15).
미리 지정된 키 버튼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210으로 진행하여 착신자 단말기(120)와의 전화 통화가 계속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미리 지정된 키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단계 220으로 진행하여, 별도의 트래픽 채널을 통해 발신 교환기(140a - 이하 교환기(140) 로 칭함)로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송한다. 즉, 발신자 단말기(110)와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과는 다중 트래픽 채널(예를 들어, 음성 신호 송수신을 위한 제1 트래픽 채널과 위치 정보 제공 요청 등을 위한 제2 트래픽 채널)이 설정된다. 발신자 단말기(110)가 교환기(140)로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에는 발신자 단말기(110)가 미리 지정된 키 버튼에 상응하는 키 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키 값을 별도의 트래픽 채널을 통해 교환기(140)로 전송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225에서 교환기(140)는 단계 220을 통해 수신한 위치 정보 제공 요청에 포함된 키 값이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위한 적절한 키 값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 적절한 키 값인 경우 발신자 단말기(110)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등)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위치 정보 서버(160)로 전송한다. 단계 225는 단문 메시지 서버(150)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일 수도 있으나, 여기서는 단계 225가 교환기(140)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단계 230에서 위치 정보 서버(160)는 단계 225를 통해 수신된 위치 정보 제공 요청에 포함된 발신자 단말기(110) 정보를 이용하여 당해 발신자가 위치 정보 가입자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당해 발신자가 위치 정보 가입자인지 여부에 대한 검사는 별도의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당해 발신자가 위치 정보 가입자인 경우 단계 235에서 위치 정보 서버(160)는 착신자 단말기(120)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예를 들어, 기지국 PN 정보, GPSOne 정보 등)를 추출한다. 물론, 위치 정보 서버(160)는 당해 기초 데이터를 임의의 장치(예를 들어, 착신 기지국 등)에 요청하여 제공받을 수도 있다.
단계 240에서 위치 정보 서버(160)는 단계 235를 통해 추출한 위치 산출 기초 데이터를 이용하여 착신자 단말기(120)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예를 들어, 위도 및 경도를 나타내는 좌표 정보)를 생성한다. 착신자 단말기(120)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는 예를 들어, GPS 좌표 데이터를 이용한 위치 정보 생성 방식,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방식에 의한 추정 위치 정보 생성 방식 등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물론 다양한 방법을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단계 245에서 위치 정보 서버(160)는 단계 240을 통해 생성된 착신자 단말기(120)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를 교환기(140)로 전송한다. 교환기(140)는 단계 250에서 상술한 별도의 트래픽 채널을 이용하여 단계 245를 통해 수신한 위치 정보를 발신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단계 255에서 발신자 단말기(110)는 단계 250을 통해 수신한 위치 정보를 표시부(예를 들어, 액정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물론, 단계 255는 발신자 단말기(110)가 교환기(140)로부터 수신한 정보가 위치 정보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표시부에 지도 형태(도 3a 참조), 텍스트 형태(도 3b 참조) 등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물론, 착신자도 상술한 과정을 통해 발신자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상술한 과정을 통해 발신자 및/또는 착신자는 상대방과의 전화 통화 수행중에 상대방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이하,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위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형태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3a는 발신자 단말기(110) 표시부에 착신자 단말기(120)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가 지도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자(또는 착신자)는 전화 통화 중에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함으로써 착신자 단말기(120)(또는 발신자 단말기(110)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를 지도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위치 정보를 지도 형태로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위치 정보 서버(160)로부터는 좌표 정보만을 수신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 내에 미리 저장된 지도상에 표시하는 방법이나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지도 정보까지 모두 제공받는 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그리고, 발신자 단말기(110)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정보는 지도 정보, 복수의 기능 버튼(예를 들어, 저장, 삭제 및 상세보기)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버튼은 발신자가 당해 위치 정보를 전화 통화의 종료후에도 계속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고, 삭제 버튼은 발신자가 전화 통화 중에 당해 위치 정보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며, 상세보기 버튼은 착신자 단말기(120)의 상세 위치 정보(예를 들어, 위도 및 경도를 포함하는 상세 좌표 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에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다. 특정 기능 버튼은 발신자 단말기(110)의 키 버튼을 이용하여 선택될 수 있다. 발신자는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분실한 경우,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화 통화를 시도하여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쉽게 되찾을 수 있다. 또한, 착신자도 자신의 자녀가 유괴된 경우 등에 범법자로부터의 협박 전화를 수신하는 것만으로도 범법자(또는 자신의 자녀)의 위치를 쉽게 알 수 있어 신속한 위기 대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신자 번호, 현재 위치 등의 텍스트 위치 정보와 복수의 기능 버튼을 포함하는 텍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제까지 전화 통화 중에 이루어지는 위치 정보 제공 요청 및 위치 정보 전송이 복수의 트래픽 채널을 통해 이루어지는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페이징 채널 및 트래픽 채널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더 제공한다.
즉, 복수의 통화자(즉, 발신자 및 착신자)간의 전화 통화 중에 제1 통화자가 미리 지정된 키 버튼을 입력한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는 별도의 트래픽 채널을 통해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교환기(140)로 전송하고, 위치 정보 서버(160)로부터 교환기(140)를 경유하여 페이징 채널을 통해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전화 통화 중에 페이징 채널을 통해 수신된 정보는 위치 정보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통화자(즉, 발신자 및 착신자)간의 전화 통화 중에 제1 통화자가 미리 지정된 키 버튼을 입력한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는 페이징 채널을 통해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교환기(140)로 전송하고, 위치 정보 서버(160)로부터 교환기(140)를 경유하여 트래픽 채널을 통해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는 페이징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야 하며, 전화 통화 중에 트래픽 채 널을 통해 음성 신호(및 음향 신호) 이외의 신호가 수신된 경우 이를 위치 정보로 인식할 수 있다.또한, 복수의 통화자(즉, 발신자 및 착신자)간의 전화 통화 중에 제1 통화자가 미리 지정된 키 버튼을 입력한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는 페이징 채널을 통해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교환기(140)로 전송하고, 위치 정보 서버(160)로부터 교환기(140)를 경유하여 페이징 채널을 통해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이동 통신 단말기는 페이징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야 하며, 전화 통화 중에 페이징 채널을 통해 수신된 정보는 위치 정보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정된 범위의 위치 정보만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지정된 범위의 위치 정보만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은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단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착신자(또는 발신자)는 착신자 단말기(120)(또는 발신자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교환기(140)를 경유하여 위치 정보 서버(160)로 위치 정보 제공 범위 지정 정보를 전송한다. 위치 정보 제공 범위 지정 정보는 위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제공하지 않도록 지정하거나 정확도의 정도를 지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정확도의 정도를 낮음 으로 설정한 경우 상대방에게 제공되는 위치 정보가 약 100m의 오차를 가지도록 하거나 광의의 지역 명칭 만을 표시(예를 들어, 서울시 강남구)할 수 있다(즉,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의 상호 보완 단계를 간략화 함). 또한, 정확도의 정도를 높음으로 설정한 경우 상대방에게 제공되는 위치 정보가 약 10m의 오차를 가지도록 하거나 협의의 지역 명칭까지 표시(예를 들어, 서울시 강남구 강남역 사거리)할 수 있다(즉,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의 상호 보완 단계를 충실하게 함). 위치 정보 제공 범위 지정 정보는 인터넷 등을 통해서도 위치 정보 서버(160)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420에서 위치 정보 서버(160)는 단계 410을 통해 수신된 위치 정보 제공 범위 지정 정보를 당해 착신자(또는 발신자)에 상응하여 저장한다.
이후의 단계는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단계 240을 통해 생성되고 단계 250을 통해 발신자 단말기(110)로 전송되는 위치 정보는 단계 420을 통해 저장된 위치 정보 제공 범위 지정 정보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대방의 동의가 있는 경우에만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5를 상대방의 동의가 있는 경우에만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은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단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발신자 단말기(110)로부터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수신된 경우, 위치 정보 서버(160)는 착신자 단말기(120)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를 발신자 단말기(110)로 제공하기 전에, 단계 510에서 착신 교환기(140b)를 경유하여 착신자 단말기(510)로 위치 정보 제공에 대한 동의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 520에서 착신자 단말기(120)는 착신자에 의해 입력된 동의 여부 정보를 착신 교환기(140b)를 경유하여 위치 정보 서버(160)로 전송한다.
단계 530에서 위치 정보 서버(160)는 단계 520을 통해 수신된 동의 여부 정보가 위치 정보 제공에 대한 동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단계 235로 진행한다. 그러나, 동의 여부 정보가 위치 정보 제공에 대한 거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위치 정보를 발신자 단말기(110)로 제공하지 않고 단계를 종료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통화를 하고 있는 상태에서 통화호를 종료하지 않고도 상대방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 또는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통해 제공할 수 있어 이동망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린이 유괴 등의 위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범법자의 금품 요구를 위한 전화 통화시 즉시 범법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신속한 위급 상황 대처가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 분실의 경우 분실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화 통화만 수행하면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분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회수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제1 이동 통신 단말기와 통화호가 연결된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화호가 유지된 상태에서 미리 지정된 키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기 위하여 상기 키 버튼에 상응하는 키 값을 포함하는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페이징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통해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페이징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통해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상응하는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상응하는 기지국 PN 정보, GPS 좌표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상응하는 기지국 PN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상응하는 GPS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지도 이미지 중에서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지도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지도 이미지에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가 중첩된 형태로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에서,
    상기 위치 정보는 텍스트 형태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상응하여 위치 정보 제공 범위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 제공 범위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6.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서 통화호가 설정된 상대방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화호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페이징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통해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상응하는 기지국 PN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상응하는 GPS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페이징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사전에 제2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 제공 범위 지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 제공 범위 지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 제공 범위 지정 정보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제공 요청에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 정보가 포함된 경우,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 자가 위치 정보 서비스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위치 정보 서비스 가입자가 아닌 경우, 위치 정보 서비스를 중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9.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제1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와 통화호가 연결된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와 통화호가 설정된 상태에서 미리 지정된 키 버튼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
    상기 키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키 버튼에 상응하는 키 값을 포함하는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생성하는 수단;
    상기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페이징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통해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수단;
    상기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페이징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통해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상응하는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0. 통화호가 설정된 상대방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이동 통신 단말기와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호가 설정을 수행하는 수단;
    상기 통화호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페이징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통해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상응하는 기지국 PN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상응하는 GPS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위치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수단; 및
    상기 제2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페이징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11.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대방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호가 유지된 상태에서 미리 지정된 키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상대방측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기 위하여 상기 키 버튼에 상응하는 키 값을 포함하는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페이징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통해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페이징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통해 상기 상대방측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상응하는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30065085A 2003-09-19 2003-09-19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588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085A KR100588617B1 (ko) 2003-09-19 2003-09-19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085A KR100588617B1 (ko) 2003-09-19 2003-09-19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601A KR20050028601A (ko) 2005-03-23
KR100588617B1 true KR100588617B1 (ko) 2006-06-13

Family

ID=37385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5085A KR100588617B1 (ko) 2003-09-19 2003-09-19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86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662B1 (ko) 2008-12-26 2015-05-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및 위치정보 전송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6181A (ko) * 2004-09-20 2006-03-23 (주)필링크 통화 도중 일방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하기 위한 방법및 그 시스템
KR101421729B1 (ko) * 2007-12-11 2014-07-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위치확인 알림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45282B1 (ko) 2013-06-03 2019-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중인 상대방의 정보를 검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164A (ko) * 1998-04-02 1999-11-05 이계철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164A (ko) * 1998-04-02 1999-11-05 이계철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특허1999-007916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662B1 (ko) 2008-12-26 2015-05-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및 위치정보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601A (ko) 2005-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9819B2 (en) Control and messaging during emergency calls
US20130203373A1 (en) Emergency messaging between citizens and authorities
CN103348709A (zh) 无线通信网络中的ue、网络节点和客户端节点中的方法
KR20060050012A (ko) 무선 긴급 호출을 위한 네트워크 지원을 제공하는 방법 및그 장치
US20110159845A1 (en) Automated locating of a mobile station without an alert at the mobile station
US200701351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network identification by a mobile subscriber unit
US8301111B2 (en) Method of and system for setting up a telephone call
JP6355122B2 (ja) 移動端末の地理的位置を通信する方法およびその移動端末
KR100588617B1 (ko)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01026408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users
KR20060036164A (ko) 해외 로밍중인 이동통신단말에 대한 친구찾기서비스제공방법
US20060223584A1 (en) Notify me service in wireless networks
CN100512501C (zh) 移动智能用户国际漫游时的信息通知方法、系统及设备
KR100738208B1 (ko) 통화중인 상대방과의 통신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서비스제공서버
KR100584640B1 (ko) 유선 전화에 대한 발신 정보 제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587717B1 (ko)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위치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50790A (ko) 이동통신서비스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JP2000209640A (ja) 位置情報確認機能付き簡易型携帯電話機及び簡易型携帯電話システム
JP2005130267A (ja) 携帯端末及び電話システム
KR101069399B1 (ko)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861216B1 (ko) 위치 기반의 보호 대상체 관리 방법
KR20050072002A (ko) 위치정보에 기반하는 선택적 메시지 전송 또는 호연결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GB2389741A (en) Transmission of loc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user defined identifiers
KR101119277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자 상황 표시 방법
JP2001359148A (ja) 通信加入者の位置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通信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コンピュータ、およ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