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6181A - 통화 도중 일방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하기 위한 방법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화 도중 일방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하기 위한 방법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6181A
KR20060026181A KR1020040075014A KR20040075014A KR20060026181A KR 20060026181 A KR20060026181 A KR 20060026181A KR 1020040075014 A KR1020040075014 A KR 1020040075014A KR 20040075014 A KR20040075014 A KR 20040075014A KR 20060026181 A KR20060026181 A KR 20060026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rvice
information
service code
par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5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운
전희승
유지원
Original Assignee
(주)필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필링크 filed Critical (주)필링크
Priority to KR1020040075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6181A/ko
Publication of KR20060026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181A/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일방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화 도중 어느 일방으로부터 서비스 코드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서비스 코드에 따른 서비스를 수행하여 상기 일방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상대방의 정보를 상기 일방에게 전달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전달 방법은 소정의 서비스 코드 별 제공 서비스가 기록된 테이블을 유지하는 단계,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간 통화 도중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테이블을 통해 상기 수신된 서비스 코드와 연관된 제공 서비스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제공 서비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와 연관된 소정의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통화 도중 단순히 서비스 코드를 입력하는 동작만으로도 간편히 자신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하거나 또는 상대방의 정보를 쉽게 조회할 수 있는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시스템이 제공된다.
정보 전달, 서비스 코드, 위치 정보, 명함 정보, 거리 정보

Description

통화 도중 일방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ONE'S INFORMATION TO THE OTHER WHILE THEY ARE TALKING OVER TH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달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소정의 서비스 코드 별 제공 서비스가 기록된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위치/거리 정보 전달 서비스의 개략적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명함 정보를 전달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전달 방법을 수행하는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0 : 정보 전달 시스템
601 : 테이블 저장 수단
602 : 서비스 코드 수신 수단
603 : 서비스 식별 수단
604 : 정보 전달 수단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일방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화 도중 어느 일방으로부터 서비스 코드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서비스 코드에 따른 서비스를 수행하여 상기 일방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상대방의 정보를 상기 일방에게 전달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을 즐기거나 메일을 체크할 수도 있고, 또한 자신이 원하는 음악, 사진 등과 같은 컨텐츠를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거나 반대로 업로드할 수도 있는 등,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등장한 서비스의 대부분은 사용자와 통신 사업자 또는 컨텐츠 제공자간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와 사용자간에 적용될 수 있는 서비스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그 결과, 사용자와 사용자간에는 전화 통화, 문자 전송, 파일 전송 등의 단조로운 서비스만이 제공되고 있을 뿐이다.
한편, 최근 등장한 몇몇 서비스는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상에 소정의 서비스 코드를 입력하면, 중간 과정을 생략하고 특정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만 했던 과거의 방식에 비해서 기술적으로 진보한 것이라 하겠으나, 상기 방식은 모두 사용자와 통신 사업자 또는 컨텐츠 제공자간에만 적용되고 있을 뿐이다.
상기와 같은 실정으로 인해, 사용자는 자신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하거나 또는 자신이 필요로 하는 상대방의 정보를 전달받기 위해 많은 어려움을 겪어야만 했다.
또한, 현재 몇몇 이동통신사는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의 일종인 "친구찾기 서비스"와 같은 위치 추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러한 위치 추적 서비스도 일방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상대방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상기 일방에게 제공한다는 점에서, 한 사용자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서비스와는 괴리가 있다.
더욱이, 어느 일방이 상대방의 위치를 알고자 하는 경우는 그 상대방과의 전화 통화중에 발생할 때가 많은데, 종래의 위치 추적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대방과의 전화 통화를 반드시 종료해야 했으므로, 상대방의 위치를 전화 통화 중에 간단히 파악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 다.
이에, 통화 도중 간단한 입력만으로도 일방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간편하게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이 요청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통화 도중 단순히 서비스 코드를 입력하는 동작만으로도 간편히 자신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하거나 또는 상대방의 정보를 쉽게 조회할 수 있는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시스템은 통화 도중 일방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음성, 문자, 사진, 멀티미디어 등을 포함한 단말에서 수신가능한 형태의 메시지의 형태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전달받은 정보를 빠르고 쉽게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시스템은 사용자가 통화 도중 단순히 서비스 코드를 입력하는 동작만으로도 간편히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하거나 상대방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시스템은 사용자가 통화 도중 단순히 서비스 코드를 입력하는 동작만으로도 간편히 자신의 명함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하거나 상대방의 명함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시스템은 사용자가 상대방과의 통화 도중 원하는 데이터를 상대방에게 전달하고, 상대방은 통화 도중 상기 전달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달 방법은 소정의 서비스 코드 별 제공 서비스가 기록된 테이블을 유지하는 단계,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간 통화 도중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테이블을 통해 상기 수신된 서비스 코드와 연관된 제공 서비스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제공 서비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와 연관된 소정의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소정의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소정의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음성, 문자, 사진, 멀티미디어 등을 포함한 단말에서 수신가능한 형태의 메시지의 형태로 전달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식별된 제공 서비스는 LBS(Location Based Service) 기반의 위치 정보 전달 서비스이고, 상기 소정의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의 현재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달 방법은 소정의 서비스 코드 별 제공 서비스가 기록된 테이블을 유지하는 단계,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간 통화 도중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테이블을 통해 상기 수신된 서비스 코드와 연관된 제공 서비스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제공 서비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와 연관된 소정의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달 시스템은 소정의 서비스 코드 별 제공 서비스가 기록된 테이블을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 저장 수단,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간 통화 도중,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코드를 수신하기 위한 서비스 코드 수신 수단, 상기 테이블을 통해 상기 수신된 서비스 코드와 연관된 제공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서비스 식별 수단 및 상기 식별된 제공 서비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와 연관된 소정의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정보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달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사용자의 제1 사용자 단말기(110)와 제2 사용자의 제2 사용자 단말기(12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정보 전달 시스템(100)과 연결된다. 정보 전달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간 통화가 진행되고 있는 중 어느 일방으로부터 서비스 코드를 수신하면, 그 수신된 서비스 코드에 따른 서비스를 수행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11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120)로 정보를 전달한다. 사용자가 상대방과 통화 중 전화기의 버튼(숫자 버튼 등)을 누르면, 상기 눌려진 버튼에 따른 다이얼 톤 신호가 정보 전달 시스템(100)으로 전달되고, 정보 전달 시스템(100)은 상기 다이얼 톤 신호를 해석하여 사용자가 누른 버튼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통화 중 누른 버튼의 조합에 따라, 정보 전달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입력한 서비스 코드가 무엇인지를 해석한다. 정보 전달 시스템(100)은 소정의 서비스 코드 별 제공 서비스가 기록된 테이블을 유지하고, 상기 테이블을 통해 수신된 서비스 코드에 따른 제공 서비스를 식별한다.
정보 전달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코드에 따른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소정의 정보 서버(130)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코드에 따른 서비스가 위치 정보 전달 서비스인 것으로 식별된 경우, 정보 전달 시스템(100)은 정보 서버(130)로 제2 사용자의 위치 정보 검색을 요청하고, 정보 서버(130)로부터 제2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제1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서버(130)는 LBS(Location Based Service) 사업자가 운영하는 위치 정보 제공 서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코드에 따른 서비스가 명함 정보 전달 서비스인 것으로 식별된 경우, 정보 전달 시스템(100)은 정보 서버(130)로 제1 사용자의 명함 정보 검색을 요청하고, 정보 서버(130)로부터 제1 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전송받아 제2 사용자에게 전달하거나 제2 사용자에게 정보 전달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서버(130)는 제1 사용자로부터 기설정된 명함 정보를 저장, 유지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수단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달 방법은 소정의 정보 전달 시스템에서 제공될 수 있다.
단계(S201)에서 상기 정보 전달 시스템은 소정의 서비스 코드 별 제공 서비스가 기록된 테이블을 유지한다.
도 3은 상기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테이블은 서비스의 종류, 상위 서비스 코드, 하위 서비스 코드 및 그에 따른 제공 서비스를 내부 항목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단계(S202)에서 제1 사용자는 제2 사용자와의 전화 통화 중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상의 버튼 조작을 통해 특정 서비스 코드를 입력하며, 단계(S203)에서 상기 정보 전달 시스템은 이렇게 입력된 서비스 코드를 수신한다.
도 3을 예로 들면, 제1 사용자는 위치/거리 정보 전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상의 "*", "6", "7"을 차례로 입력한 후, 1) 내 위치 확인을 위해 "0"을 입력하거나 2) 통화 상대방인 제2 사용자에게 자신의 위치를 전달하기 위해 "1"을 입력하거나 3) 제2 사용자의 위치를 전달받기 위해 "2"를 입력하거나 4) 자신의 위치와 제2 사용자의 위치간 거리 정보를 전달받거나 이를 제2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4"를 입력할 수 있다.
단계(S204)에서 상기 정보 전달 시스템은 상기 테이블을 통해 수신된 서비스 코드와 연관된 제공 서비스를 식별한다.
도 3을 예로 들면, 상기 정보 전달 시스템은 "*14"에 이어 "9"를 수신한 경우, 상기 테이블을 통해 그 수신된 서비스 코드가 상대방의 명함 정보를 전달받는 서비스와 연관되어 있음을 식별할 수 있다.
단계(S205)에서 상기 정보 전달 시스템은 상기 식별된 제공 서비스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와 연관된 소정의 정보를 제2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또한, 이와 달리 상기 정보 전달 시스템은 단계(S205)에서 상기 식별된 제공 서비스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와 연관된 소정의 정보를 제1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정보는 별도의 망사업자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예를 들어, 위치/지리 정보 등), 사용자가 기설정한 정보(예를 들어, 명함 정보 등), 사용자가 이동중에 새로이 획득한 정보 또는 통화중에 획득하거나 입력하는 정보(예를 들어, 사진, 동영상 등) 등의 다양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정보의 전달은 통화 도중 수행될 수도 있고, 통화 완료 직전 또는 직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정의 정보는 통화 상대인 제2 사용자에게 음성, 문자, 사진, 멀티미디어 등을 포함한 단말에서 수신가능한 형태의 메시지의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통화 도중 일방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음성, 문자, 사진, 멀티미디어 등을 포함한 단말에서 수신가능한 형태의 메시지의 형태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전달받은 정보를 빠르고 쉽게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205)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정보 전달 시스템은 소정의 정보 서버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식별된 제공 서비스가 위치 정보 전달 서비스인 것으로 식별된 경우, 상기 정보 전달 시스템은 LBS(Location Based Service) 사업자가 운영하는 위치 정보 제공 서버로 제2 사용자의 위치 정보 검색을 요청하고, 상기 위치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제2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제1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식별된 제공 서비스가 명함 정보 전달 서비스인 경우, 상기 정보 전달 시스템은 제1 사용자로부터 기설정된 명함 정보를 저장, 유지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수단을 통해 제1 사용자의 명함 정보 검색을 수행하고, 상기 검색 결과 추출된 제1 사용자의 명함 정보를 제2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단계(S201) 내지 단계(S205)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통화 도중 단순히 서비스 코드를 입력하는 동작만으로도 간편히 자신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하거나 또는 상대방의 정보를 쉽게 조회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통화 도중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서비스 코드를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상에 입력할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IVR(Interactive Voice Response: 대화식 음성 응답) 메뉴 방식에 따른 음성 안내를 통해 통화 도중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와 연관된 서비스 코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가 SVD(Simultaneous Voice and Data) 단말 또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단말과 같이 통화 도중 데이터 채널의 형성이 가능한 단말 기종인 경우라면, 사용자는 음성 통화 도중 별개의 데이터 채널을 통해 제공된 메뉴 형식에 따라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204)에서 식별된 제공 서비스는 LBS(Location Based Service) 기반의 위치/거리 정보 전달 서비스이고, 단계(S205)에서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상기 소정의 정보는 제1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제2 사용자의 현재 위치, 또는 제1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제2 사용자의 현재 위치간 거리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통화 도중 단순히 서비스 코드를 입력하는 동작만으로도 간편히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하거나 상대방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는 상기와 같은 위치/거리 정보 전달 서비스의 개략적인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사용자(410)는 제2 사용자(420)와의 전화 통화 중, 위치/거리 정보 전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이에 대응하는 서비스 코드(430)를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상에 입력할 수 있다(S202).
제1 사용자(410)가 입력한 서비스 코드(430)는 정보 전달 시스템에 전송되며(S203), 상기 정보 전달 시스템은 서비스 코드(430)에 따른 서비스를 식별하여(S204), LBS(Location Based Service) 사업자가 운영하는 위치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제2 사용자(420)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제1 사용자(410)에게 전달할 수 있다 (S205). 또한, 상기 정보 전달 시스템은 상기 위치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제1 사용자(410)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제2 사용자(42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보 전달 시스템은 제1 사용자(410) 또는 제2 사용자(420)의 위치 정보를 콜백(callback) URL(44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전달 시스템은 단계(S206)에서 제1 사용자(410) 또는 제2 사용자(420)로부터 콜백 URL(440)을 통한 연결 요청을 수신한 경우, 단계(S207)에서 제1 사용자(410) 또는 제2 사용자(420)의 현재 위치와 연관된 상세 정보의 목록(450)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세 정보는 상기 현재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교통 수단, 상기 현재 위치로의 이동 경로, 상기 현재 위치에 근접한 교통시설(예를 들어, 버스/지하철 정류장 등), 또는 상기 현재 위치에 근접한 음식점, 서점, 영화관, 각종 오락 시설 등의 편의 시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별된 제공 서비스는 명함 정보 전달 서비스이고, 상기 소정의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가 기설정한 명함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화 통화 중에 어느 일방이 명함 정보 전달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코드를 입력하면, 자신의 기설정된 명함 정보가 상대방에게 전달되거나 상대방의 기설정된 명함 정보가 자신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통화 도중 단순히 서비스 코드를 입력하는 동작만으로도 간편히 자신의 명함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하거나 상대방의 명함 정보를 전달받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상기와 같이 명함 정보를 전달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명함 정보는 사진, 이름, 이메일 주소, 핸드폰 번호, 사무실 번호 등과 같은 개인의 신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명함 정보는 음성, 문자, 사진, 멀티미디어 등을 포함한 단말에서 수신가능한 형태의 메시지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전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달 시스템(600)은 테이블 저장 수단(601), 서비스 코드 수신 수단(602), 서비스 식별 수단(603) 및 정보 전달 수단(60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테이블 저장 수단(601)은 소정의 서비스 코드 별 제공 서비스가 기록된 테이블을 저장한다. 도 3은 상기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테이블은 서비스의 종류, 상위 서비스 코드, 하위 서비스 코드 및 그에 따른 제공 서비스를 내부 항목으로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코드 수신 수단(602)은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간 통화 도중, 제1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코드를 수신한다. 도 3을 예로 들면, 제1 사용자는 위치/거리 정보 전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상의 "*", "6", "7"을 차례로 입력한 후, 1) 내 위치 확인을 위해 "0"을 입력하거나 2) 통화 상대방인 제2 사용자에게 자신의 위치를 전달하기 위해 "1"을 입력하거나 3) 제2 사용자의 위치를 전달받기 위해 "2"를 입력하거나 4) 자신의 위치와 제2 사용자의 위치간 거리 정보를 전달받거나 이를 제2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4"를 입력할 수 있으며, 서비스 코드 수신 수단(602)은 이렇게 입력된 서비스 코드를 수신하게 된다.
서비스 식별 수단(603)은 상기 테이블을 통해 상기 수신된 서비스 코드와 연관된 제공 서비스를 식별한다. 도 3을 예로 들면, 서비스 코드 수신 수단(602)이 "*14"에 이어 "9"를 수신한 경우, 서비스 식별 수단(603)은 테이블 저장 수단(601)에 저장된 테이블을 통해 그 수신된 서비스 코드가 상대방의 명함 정보를 전달받는 서비스와 연관되어 있음을 식별할 수 있다.
정보 전달 수단(604)은 상기 식별된 제공 서비스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와 연관된 소정의 정보를 제2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또한, 이와 달리 정보 전달 수단(604)은 상기 식별된 제공 서비스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와 연관된 소정의 정보를 제1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달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통화 도중 단순히 서비스 코드를 입력하는 동작만으로도 간편히 자신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하거나 또는 상대방의 정보를 쉽게 조회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전달 방법을 수행하는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컴퓨터 장치(700)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720)과 롬(ROM: Read Only Memory)(7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7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7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7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램(7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램(720) 및 롬(7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 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7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7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7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 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76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7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7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7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한편,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통화 도중 단순히 서비스 코드를 입력하는 동작만으로도 간편히 자신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하거나 또는 상대방의 정보를 쉽게 조회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통화 도중 일방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음성, 문자, 사진, 멀티미디어 등을 포함한 단말에서 수신가능한 형태의 메시지의 형태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전달받은 정보를 빠르고 쉽게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통화 도중 단순히 서비스 코드를 입력하는 동작만으로도 간편히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하거나 상대방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통화 도중 단순히 서비스 코드를 입력하는 동작만으로도 간편히 자신의 명함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하거나 상대방의 명함 정보를 전달받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0)

  1.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일방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서비스 코드 별 제공 서비스가 기록된 테이블을 유지하는 단계;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간 통화 도중,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테이블을 통해 상기 수신된 서비스 코드와 연관된 제공 서비스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제공 서비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와 연관된 소정의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소정의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음성, 문자, 사진, 멀티미디어를 포함한 단말에서 수신가능한 형태의 메시지의 형태로 전달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제공 서비스는 LBS(Location Based Service) 기반의 위치 정보 전달 서비스이고,
    상기 소정의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의 현재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콜백(callback) URL로 전달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콜백 URL을 통한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현재 위치와 연관된 상세 정보의 목록을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세 정보는 상기 현재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교통 수단, 상기 현재 위치로의 이동 경로, 상기 현재 위치에 근접한 교통시설 및 상기 현재 위치에 근접한 편의 시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제공 서비스는 명함 정보 전달 서비스이고,
    상기 소정의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가 기설정한 명함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방법.
  6.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일방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서비스 코드 별 제공 서비스가 기록된 테이블을 유지하는 단계;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간 통화 도중,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테이블을 통해 상기 수신된 서비스 코드와 연관된 제공 서비스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제공 서비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와 연관된 소정의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방법.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제공 서비스는 LBS(Location Based Service) 기반의 거리 정보 전달 서비스이고,
    상기 소정의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제2 사용자의 현재 위치간 거리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방법.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9.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일방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서비스 코드 별 제공 서비스가 기록된 테이블을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 저장 수단;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간 통화 도중,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코드를 수신하기 위한 서비스 코드 수신 수단;
    상기 테이블을 통해 상기 수신된 서비스 코드와 연관된 제공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서비스 식별 수단; 및
    상기 식별된 제공 서비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와 연관된 소정의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정보 전달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10.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일방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서비스 코드 별 제공 서비스가 기록된 테이블을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 저장 수단;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간 통화 도중,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코드를 수신하기 위한 서비스 코드 수신 수단;
    상기 테이블을 통해 상기 수신된 서비스 코드와 연관된 제공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서비스 식별 수단; 및
    상기 식별된 제공 서비스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용자와 연관된 소정의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정보 전달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달 시스템.
KR1020040075014A 2004-09-20 2004-09-20 통화 도중 일방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하기 위한 방법및 그 시스템 KR200600261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014A KR20060026181A (ko) 2004-09-20 2004-09-20 통화 도중 일방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하기 위한 방법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014A KR20060026181A (ko) 2004-09-20 2004-09-20 통화 도중 일방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하기 위한 방법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181A true KR20060026181A (ko) 2006-03-23

Family

ID=37137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014A KR20060026181A (ko) 2004-09-20 2004-09-20 통화 도중 일방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하기 위한 방법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61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0416A1 (en) * 2006-04-10 2007-10-25 Microsoft Corporation Voip client information
KR101158403B1 (ko) * 2009-09-04 2012-06-22 김교문 통화호 연결중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1375A (ja) * 1999-01-05 2000-07-18 Nec Corp 個人情報送受信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20050028601A (ko) * 2003-09-19 2005-03-2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48735A (ko) * 2003-11-20 2005-05-2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중 위치 정보 송수신 방법
KR20060010071A (ko) * 2004-07-27 2006-02-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음성통화 중 파일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1375A (ja) * 1999-01-05 2000-07-18 Nec Corp 個人情報送受信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20050028601A (ko) * 2003-09-19 2005-03-2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통화중 상대방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48735A (ko) * 2003-11-20 2005-05-2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중 위치 정보 송수신 방법
KR20060010071A (ko) * 2004-07-27 2006-02-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음성통화 중 파일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0416A1 (en) * 2006-04-10 2007-10-25 Microsoft Corporation Voip client information
RU2447596C2 (ru) * 2006-04-10 2012-04-10 Майкрософт Корпорейшн КЛИЕНТСКАЯ VoIP ИНФОРМАЦИЯ
KR101369583B1 (ko) * 2006-04-10 2014-03-04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문맥 정보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1158403B1 (ko) * 2009-09-04 2012-06-22 김교문 통화호 연결중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5651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automating interactive voice response system interaction
US87508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leaving an outgoing caller message
US201500247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Outgoing Caller Messages
US7660587B2 (en) Communications from hypertext documents
CN105554324B (zh) 支持将语音呼叫转换成数据对话的蜂窝电话系统
TW200407733A (en) Application catalog on an application server for wireless devices
JPWO2006025461A1 (ja) 通話を伴うプッシュ型情報通信システム
JP2003115951A (ja) 話題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話題情報提供方法
KR102033674B1 (ko) 전자 장치를 위한 인터넷 기반 ars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62799A (ko) 키워드 정보 제공 방법
KR100586263B1 (ko) 내용기반 검색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14239407A (ja) 通話管理システム、通話管理方法及び通話管理プログラム
KR100477061B1 (ko) 착신자의 착신 상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1277499B (zh) 通信终端
KR20060026181A (ko) 통화 도중 일방의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하기 위한 방법및 그 시스템
KR100794524B1 (ko) 문자 메시지로 주문된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및방법
KR100678336B1 (ko) 지도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시스템
JP3773705B2 (ja) 地図情報システム及び地図配信方法
KR101065890B1 (ko) 폰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99282B1 (ko) 전화통화시 데이터의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JP6015728B2 (ja) 電話システム、ユーザ端末及び音声通信プログラム
KR100596746B1 (ko) 착신자의 통화 상태에 따라 발신자에게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4221902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その情報提供方法
KR100639905B1 (ko) 전화 통화 도중 통화자간 정보를 웹 서버에 전달하기 위한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15240B1 (ko) Dmb와 연동하여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