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6148A - 진공 청소기의 노즐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의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6148A
KR20100076148A KR1020080134082A KR20080134082A KR20100076148A KR 20100076148 A KR20100076148 A KR 20100076148A KR 1020080134082 A KR1020080134082 A KR 1020080134082A KR 20080134082 A KR20080134082 A KR 20080134082A KR 20100076148 A KR20100076148 A KR 20100076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itator
nozzle
cover
guide
nozz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6013B1 (ko
Inventor
황근배
정경선
현기탁
정창욱
최규천
선창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4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013B1/ko
Publication of KR20100076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 구조를 개선하여 이물의 흡입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노즐에는,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는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를 차폐하는 커버; 상기 노즐 본체에 형성되어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며, 상기 공기 흡입부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사이드 흡입구; 상기 노즐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피청소면으로부터 이물이 분리되도록 하는 아지테이터; 및 상기 커버에 형성되며, 상기 아지테이터를 따라 회전하는 유동이 적어도 상기 사이드 흡입구 측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노즐에 의하면, 노즐에서 흡입된 이물이 청소기 본체 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아지테이터, 가이드 리브, 가이드 홈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의 노즐{The nozzle of vacuum cleaner}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 구조를 개선하여 이물의 흡입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상기 진공 청소기는, 바닥면의 먼지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 노즐이 본체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연결 장치에 의해서 연결되는 캐니스터 방식과, 흡입 노즐이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업라이트 방식으로 구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는,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과, 상기 흡입 노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흡입 모터가 내장되는 본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노즐에는, 이물이 피청소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아 지테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아지테이터는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아지테이터는 피청소면을 가압하거나 긁어 내면서, 이물이 피청소면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종래의 청소기에 의하면, 상기 아지테이터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이물이 흡입 노즐로부터 청소기 본체 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되지 못하고, 흡입 노즐 내부에 맴돌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는 흡입 노즐의 구조를 개선하여 흡입 노즐에 흡입된 이물이 청소기 본체 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노즐에는,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는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를 차폐하는 커버; 상기 노즐 본체에 형성되어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며, 상기 공기 흡입부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사이드 흡입구; 상기 노즐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피청소면으로부터 이물이 분리되도록 하는 아지테이터; 및 상기 커버에 형성되며, 상기 아지테이터를 따라 회전하는 유동이 적어도 상기 사이드 흡입구 측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노즐에는,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는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에 형성되어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며, 상기 공기 흡입부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사이드 흡입구; 상기 노즐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피청소면으로부터 이물이 분리되도록 하는 아지테이터; 상기 아지테이터의 상측을 차폐하는 아지테이터 커버; 상기 아지테이터 커버에 형성되며, 상기 아지테이터를 따라 회전하는 유동을 상기 아지테이터의 후방으로 가이드 하는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아지테이터 커버에 형성되며, 상기 아지테이터를 따라 회전하는 유동을 상기 사이드 흡입구 측으로 가이드 하는 제 2 가이드부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실시예에 따르면, 피청소면으로부터 흡입된 이물이 공기 유동으로부터 청소기 본체 측으로 용이하게 가이드 되므로, 이물의 흡입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물이 가이드부에 의하여 아지테이터의 전방으로 이동된 후, 흡입 유동을 따라 청소기 본체 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부가 아지테이터 커버에 형성되어 이물을 가이드 하므로,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흡입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청소기 노즐 저면의 양측단에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흡입구가 형성되므로, 벽면과 바닥면이 만나는 모서리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노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업라이트 진공 청소기를 제안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진공 청소기(1)에는, 내부에 흡입 모터가 구비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와 연결되며 바닥면의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20)과, 상기 본체(10)와 결합되어 상기 본체(10) 내부로 흡입된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집진 장치(30)와,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핸들(40)과, 상기 핸들(40)에 연결되어 바닥면 이외의 부분의 청소시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동되는 흡입관(50)과, 상기 흡입관(50)을 통하여 흡입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상기 본체(10) 내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연결 호스(6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흡입 노즐(20)은 바닥면과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바닥면의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다. 상기 흡입 노즐(2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노즐 본체(200)와, 상기 노즐 본체(200)의 상측을 차폐하는 상부 커버(210)가 포함된다.
상기 흡입 노즐(20)의 양측에는 상기 흡입 노즐(2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퀴(2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이동바퀴(21)의 사이에는, 상기 본체(10)가 배치되도록 하는 본체 공간부(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20)에는, 상기 본체 공간부(23)의 전방에 제공되며, 상기 흡입 유로관(80)이 연결되는 관 연결부(24)가 형성된다.
상기 관 연결부(24)는 상기 흡입 유로관(80)과 연결되는 연결 파이프(225 : 도3 참조)의 단부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10)는 상기 흡입 노즐(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는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흡입 노즐(20)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노즐(20)의 후측에는 상기 본체(10)의 회전을 위하여 조작 가능한 회전 레버(22)가 제공된다.
사용자가 발을 사용하여 상기 회전 레버(22)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핸들(40)을 잡고 상기 본체(10)를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본체(10)가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자신의 키높이에 맞게 상기 본체(10)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면서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흡입 노즐(20)과 연결되어 상기 흡입 노즐(20)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본체(10) 내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흡입 유로관(80)이 제공된다. 상기 흡입 유로관(80)은 유동이 자유로운 플레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저면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아지테이터 커버의 저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노즐 본체(200)에는, 상기 노즐 본체(200)의 하부에 제공되며 상기 노즐 본체(200)의 측방에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하부 케이스(220)가 포함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220)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사이드 흡입구(232)가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 흡입구(232)는 상기 하부 케이스(22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케이스(220)는 상기 노즐 본체(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하부 케이스(220)는 상기 노즐 본체(200)의 일부분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노즐 본체(200)에는,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과정에서 피청소면으로부터 이물을 분리하는 아지테이터(240)가 포함된다. 상기 아지테이터(240)는 상기 노즐 본체(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 본체(200)에는, 상기 아지테이터(240)가 상기 하부 케이스(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아지테이터 고정부(241)가 제공된다. 상기 아지테이터 고정부(241)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220)의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아지테이터(240)는 구동 모터(미도시)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지테이터(240)의 일측과 상기 구동 모터의 사이에는,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이 상기 아지테이터(240)에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전달 부재(244)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 부재(244)에는 벨트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 부재(244)는 상기 구동 모터에 제공되는 모터축(미도시)과 아지테이터의 외주면에 동시에 둘러지며, 동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인장력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지테이터(240)의 상측에는, 상기 아지테이터(240)를 커버하는 아지테이터 커버(249)가 제공된다. 상기 아지테이터 커버(249)의 상부는 상기 아지테이터(240)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지테이터 커버(249)에 별도의 도면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아지테이터 커버(249)는 상기 상부 커버(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잇을 것이다. 즉, 상기 아지테이터 커버(249)는 상기 상부 커버(210)의 일부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지테이터 커버(249)의 내측에는, 상기 아지테이터(24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이물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리브(242)가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242)는 상기 아지테이터(24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다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242)는 상기 아지테이터 커버(249)의 내측면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242)의 일측면은 상기 아지테이터 커버(249)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리브(242)의 타측면은 상기 아지테이터(240)의 회전 반경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리브(242)에는, 중앙부에 위치하는 제 1 리브(242a)와, 이물이 사이드 유로(231:도 6 참조)측으로 이동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2 리브(242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리브(242a)는 상기 아지테이터 커버(249)의 전후방으로 배열되어 이물을 포함한 공기가 상기 아지테이터 커버(249)의 후방으로 가이드 되도록 한다.
상기 제 2 리브(242b)는 상기 아지테이터 커버(249)의 양측 방향으로 α 만큼 경사지게 배열된다. 즉, 상기 제 2 리브(242b)는 상기 아지테이터 커버(249)의 전후방을 잇는 수직 가상선(249a)에 대하여 양측 방향으로 α 만큼 경사지게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리브(242b)는 상기 아지테이터 커버(249)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경사 리브(242a)가 경사지게 배열됨으로써 이물은 상기 노즐 본체(200)의 양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가이드 될 수 있다. 상기 제 2 리브(242b)는 경사지게 배열되는 점에서, 경사 리브(242b)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노즐 본체(200)의 저면에는, 공기의 흡입을 가이드 하는 저면 가이드(243)가 제공된다. 상기 저면 가이드(243)는 상기 하부 케이스(220)의 가로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다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저면 가이드(243)에 의하여, 부피가 큰 이물의 흡입이 제한되며 이물이 상기 아지테이터(240)에 엉켜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저면 가이드(243)에 의하여 가이드 되는 공기는 공기 흡입부(243)를 통하여 상기 노즐 본체(200)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아지테이터 커버(249)의 상측에는, 상기 노즐 본체(200)로 흡입되는 공기 중 적어도 일부의 유동을 위하여 유로를 제공하는 사이드 유로 커버(230)가 제공된다. 상기 사이드 유로 커버(230)는 상기 아지테이터 커버(249)의 양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유로 커버(230)의 내부에는 상기 사이드 유로(231)가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 유로 커버(230)의 하측에는 상기 사이드 흡입구(232)가 형성된 다. 상기 사이드 흡입구(23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사이드 유로 커버(230)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케이스(220)의 양측부에는, 상기 아지테이터 고정부(241)가 결합되는 결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흡입구(232)에서 흡입된 공기는 상기 결합 공간을 통하여 상기 사이드 유로 커버(230)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사이드 흡입구(23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아지테이터 고정부(241)가 고정되어야 할 하부 케이스(220)의 공간을 통하여 이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흡입 노즐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3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청소기 본체의 흡입 모터(미도시)가 작동하면, 이물을 포함한 공기는 상기 공기 흡입부(245)를 통하여 상기 흡입 노즐(2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지테이터(240)는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아지테이터(24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흡입부(245)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의 대부분(이하 "메인 유동")은 메인 유로(226)를 거쳐 상기 연결 파이프(225) 측으로 이동된다. 그러나, 흡입된 공기 중 일부(이하 "분지 유동")는 회전되는 아지테이터(240)를 따라 가이드 되면 서 상기 아지테이터(240)의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분지 유동은 상기 가이드 리브(242)에 의하여 가이드 된다.
상세히, 상기 분지 유동 중 일부는 상기 제 1 리브(242a)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상기 아지테이터(240)의 후방으로 이동되며, 메인 유로(226)에 합류될 수 있다 (w1 방향).
그리고, 상기 분지 유동 중 나머지는 상기 제 2 리브(242b)에 의하여 상기 아지테이터 커버(249)의 양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사이드 흡입구(232)의 일측을 따라 상기 사이드 유로(231)로 유입된다.
상기 사이드 유로(231)는 상기 노즐 본체(100)의 일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아지테이터(240)의 전방으로 회전되는 유동은 상기 아지테이터(240)의 전방에 머무르지 않고 상기 가이드 리브(242)에 의하여 용이하게 가이드 되어 상기 메인 유로(226) 및 사이드 유로(231)에 합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 유로(226,231)에 합류되어 이동되는 이물은 상기 아지테이터(240)의 후방에 형성되는 합지 유로(250)에서 합쳐지며, 상기 연결 파이프(225)를 거쳐 상기 본체(10)로 이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아지테이터 커버의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저면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아지테이터 커버(349)에는, 상기 아지테이터(240)를 따라 회전되는 이물을 가이드 하는 제 1 가이드 홈(342a) 및 제 2 가이드 홈(342b)이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가이드 홈(342a)은 상기 아지테이터 커버(349)의 전후방을 향하여 형성되어 이물을 포함한 공기가 상기 아지테이터 커버(249)의 후방으로 가이드 되도록 한다.
상기 제 2 가이드 홈(342b)는 상기 아지테이터 커버(249)의 양측 방향으로 β만큼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가이드 홈(342b)은 상기 아지테이터 커버(349)의 전후방을 잇는 수직 가상선(349a)에 대하여 양측 방향으로 β만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 홈(342b)에 의하여 가이드 되는 공기는 상기 사이드 흡입구(232)를 따라 상기 사이드 유로(231)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2 가이드 홈(342b)이 경사지게 배열됨으로써 이물은 상기 노즐 본체(200)의 양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가이드 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 홈(342b)은 경사지게 배열되는 점에서, 경사 홈(342b)이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홈(342)의 단부에는, 공기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가이드 단(342c)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단(342c)은 공기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라운 드지게 형성된다.
제 2 실시예에서의 공기 유동은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그것과 유사하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상기 공기 흡입부(245)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 메인 유동은 상기 메인 유로(226)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일부 분지 유동은 회전되는 아지테이터(240)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 때, 공기는 상기 가이드 홈(342)의 내부를 따라 가이드 된다.
상기 제 1 가이드 홈(342a)을 따라서 이동되는 공기는 상기 아지테이터(240)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메인 유로(226)에 합쳐지며(w3 방향), 상기 제 2 가이드 홈(342b)에 의하여 가이드 되는 공기는 상기 아지테이터 커버(349)의 양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사이드 유로(231)를 따라서 이동된다(w4 방향).
그리고, 상기 각 유로(226,231)를 따라서 이동된 공기는 상기 합지 유로(250)에서 합쳐져서 상기 연결 파이프(225)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가이드 리브(242) 및 가이드 홈(342)은 흡입 노즐 내부의 공기가 가이드 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이들을 통칭하여 "가이드부"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 1 리브 및 제 1 가이드 홈은 "제 1 가이드부"라 칭하고, 상기 제 2 리브 및 제 2 가이드 홈은 "제 2 가이드부"라 칭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흡입 노즐(20)에 흡입된 공기는 용이하게 상기 본체(1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 노즐(20)에 사이드 유로(231)가 형성되므로, 바닥면과 벽면 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모서리부의 청소가 용이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노즐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저면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아지테이터 커버의 저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3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저면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노즐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Claims (10)

  1.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는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를 차폐하는 커버;
    상기 노즐 본체에 형성되어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며, 상기 공기 흡입부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사이드 흡입구;
    상기 노즐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피청소면으로부터 이물이 분리되도록 하는 아지테이터; 및
    상기 커버에 형성되며, 상기 아지테이터를 따라 회전하는 유동이 적어도 상기 사이드 흡입구 측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커버의 내측면을 따라 돌출되는 가이드 리브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함몰되는 가이드 홈이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커버의 전방에 대하여 양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에는 상기 아지테이터가 상기 노즐 본체에 결합되도록 하는 아지테이터 고정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사이드 흡입구는 상기 아지테이터 고정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
  6. 공기 흡입부가 형성되는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에 형성되어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며, 상기 공기 흡입부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사이드 흡입구;
    상기 노즐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피청소면으로부터 이물이 분리되도록 하는 아지테이터;
    상기 아지테이터의 상측을 차폐하는 아지테이터 커버;
    상기 아지테이터 커버에 형성되며, 상기 아지테이터를 따라 회전하는 유동을 상기 아지테이터의 후방으로 가이드 하는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아지테이터 커버에 형성되며, 상기 아지테이터를 따라 회전하는 유동을 상기 사이드 흡입구 측으로 가이드 하는 제 2 가이드부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제 2 가이드부는 가이드 리브 또는 가이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아지테이터 커버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복수 개가 제공되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흡입구는 상기 노즐 본체의 양측 저면에 형성되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부를 따라 가이드 되는 유동이 이동하는 메인 유로;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를 따라 가이드 되는 유동이 이동하는 사이드 유로가 더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1020080134082A 2008-12-26 2008-12-26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101006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082A KR101006013B1 (ko) 2008-12-26 2008-12-26 진공 청소기의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082A KR101006013B1 (ko) 2008-12-26 2008-12-26 진공 청소기의 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148A true KR20100076148A (ko) 2010-07-06
KR101006013B1 KR101006013B1 (ko) 2011-01-05

Family

ID=42637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082A KR101006013B1 (ko) 2008-12-26 2008-12-26 진공 청소기의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0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42926A (zh) * 2016-07-11 2016-09-21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地刷的底板、地刷组件和吸尘器
EP3485773A4 (en) * 2016-08-25 2019-07-03 LG Electronics Inc. -1- VACUUM NOZZ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660B1 (ko) * 2018-07-13 2020-03-30 (주)아이포바인 진공 청소기용 이물질 흡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3673A1 (en) 2002-01-25 2003-08-07 Alton James R Vacuum cleaner nozzle assembly having edge-cleaning ducts
GB2441495A (en) 2006-09-09 2008-03-12 Vax Ltd Suction diversion channel in vacuum cleaner hea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42926A (zh) * 2016-07-11 2016-09-21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地刷的底板、地刷组件和吸尘器
EP3485773A4 (en) * 2016-08-25 2019-07-03 LG Electronics Inc. -1- VACUUM NOZZLE
JP2019521810A (ja) * 2016-08-25 2019-08-0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掃除機のノズル
US10638901B2 (en) 2016-08-25 2020-05-05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6013B1 (ko) 201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88521A1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102613447B1 (ko) 청소기
KR101006013B1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20100088360A (ko) 아지테이터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101054999B1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102083800B1 (ko) 진공 청소기
KR20210020780A (ko) 청소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KR101055910B1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US20090320235A1 (en) Suction head for vacuum cleaner
KR101004544B1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EP3777628A1 (en) Cleaner head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1039491B1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20070087357A (ko) 진공 청소기
KR101055961B1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JP2019504715A (ja) 真空掃除機
KR101223324B1 (ko) 진공 청소기 흡입 노즐의 높이 조절 구조
KR101246483B1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KR101055046B1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KR100934135B1 (ko) 진공 청소기
KR101199398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KR20090069651A (ko) 진공 청소기
JPH07231866A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及び吸口体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101282449B1 (ko)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JP3701528B2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KR20100076131A (ko) 진공 청소기의 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