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5527A - 키 시트 - Google Patents

키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5527A
KR20100075527A KR1020107008797A KR20107008797A KR20100075527A KR 20100075527 A KR20100075527 A KR 20100075527A KR 1020107008797 A KR1020107008797 A KR 1020107008797A KR 20107008797 A KR20107008797 A KR 20107008797A KR 20100075527 A KR20100075527 A KR 20100075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sheet
metal plate
light
key 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8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지 야마시타
마사토시 와키사카
Original Assignee
선아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아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선아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75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5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9/00Layers
    • H01H2209/01Increasing rigidity; Anti-cree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9/00Layers
    • H01H2209/068Properties of the membrane
    • H01H2209/07Properties of the membrane metall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28Printed information
    • H01H2219/03Printed information in transparent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28Printed information
    • H01H2219/034Coloured are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8Actuators composed of different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2Telephone handset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적으로 강성 및 형상 안정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재료 또는 두께 등에 선택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짐과 함께, 조작성이 양호한 키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키 시트는, 복수의 키를 갖는 키 시트에 있어서, 금속판과, 상기 금속판의 대부분을 덮도록, 상기 금속판의 표면에 고착시킨 키 탑부를 갖고, 상기 키 탑부는, 시트 형상 베이스부와, 이 시트 형상 베이스부의 표면에 각각 볼록 형상으로 형성한 상기 복수의 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키 시트 {KEY SHEET}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 (소위 PHS 도 포함한다), 휴대 정보 단말 (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ce 등), 휴대 오디오, 가전 제품용 리모트 컨트롤러, 키보드 등의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키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금속판을 사용한 키 시트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금속제의 조작판에, 가압 변위 가능한 가압 조작편을 형성하는 분할 홈을 형성한 누름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의 도면 등 참조).
또한 특허문헌 2 에는,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지는 보강편을 금속 박판의 판두께 방향으로 금속 박판에 인접하게 형성한 누름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의 도면 등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5633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44924호
특허문헌 1 의 누름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에서는, 금속제의 조작판에 의해, 누름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 전체에 강성·형상 안정성이 부가된다 (특허문헌 1 의 [0038] 등 참조). 이 때문에, 이 금속제 조작판의 재료 또는 두께 등의 선택에 제한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 의 누름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에서는, 조작판의 표면 또는 피복층의 표면이 평탄하다 (특허문헌 1 의 도 2, 도 10 등 참조). 이 때문에, 이 조작판을 만진 경우에, 각 키의 경계를 인식하지 못하고 키 이외의 영역을 눌러 버리는 경우나, 특정한 키를 누르고자 함에도 불구하고 인접한 다른 키가 눌려 반응해 버리는 경우 (키의 누름 실수) 도 있어, 이 누름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는 조작성이 나빴다.
특허문헌 2 의 누름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에서는, 금속 박판에 의해, 누름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 전체에 강성·형상 안정성이 부가된다 (특허문헌 2 의 [0020] 등 참조). 이 때문에, 이 금속 박판의 재료 또는 두께 등의 선택에 제한이 있었다. 또한 보강편은, 금속 박판의 굴곡, 움푹 패임 등을 방지하거나 하는 형상 안정성을 부가하는 역할을 갖기 때문에 (특허문헌 2 의 [0020] 등 참조), 이 보강편의 재료 또는 두께 등의 선택에 제한이 있었다. 또한 보강편을 필름 형상 수지로 형성하는 경우에, 이 보강편이 어느 정도 금속 박판을 덮을 것인가가 불명하다. 또한 금속 박판에 의해, 누름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 전체에 강성·형상 안정성이 부가되기 때문에, 보강편이 누름 버튼 스위치용 커버 시트 전체에 강성·형상 안정성을 부가하는 경우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전체적으로 강성 및 형상 안정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재료 또는 두께 등의 선택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짐과 함께, 조작성이 양호한 키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련된 키 시트는,
복수의 키를 갖는 키 시트에 있어서,
금속판과,
상기 금속판의 대부분을 덮도록 상기 금속판의 표면에 고착시킨 키 탑부를 갖고,
상기 키 탑부는, 시트 형상 베이스부와, 이 시트 형상 베이스부의 표면에 각각 볼록 형상으로 형성한 상기 복수의 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키 시트는, 금속판과, 상기 금속판의 대부분을 덮도록 상기 금속판의 표면에 고착시킨 키 탑부를 가지므로, 키 탑부가 금속판의 대부분을 덮어 고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키 탑부 또는 금속판의 어느 일방의 재료 또는 두께 등을, 키 탑부 또는 금속판의 어느 일방이 강성 및 형상 안정성을 갖도록 결정하면, 키 시트 전체에 강성 및 형상 안정성을 부가할 수 있고, 타방의 부재 (키 탑부 또는 금속판) 의 재료 또는 두께 등은, 강성 및 형상 안정성 등에 제한되지 않고 적절히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타방의 부재의 재료 또는 두께 등의 선택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즉, 일방의 부재에 의해, 키 시트 전체에 강성 및 형상 안정성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키 탑부 및 금속판의 재료 또는 두께 등을, 키 시트 전체가 강성 및 형상 안정성을 갖도록 결정하면, 키 탑부 및 금속판의 재료 또는 두께 등의 선택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키 탑부가 금속판의 대부분을 덮어 금속판에 고착되는 구조는, 전체적으로 강성 및 형상 안정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재료 또는 두께 등의 선택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구조가 된다. 또한 상기 키 탑부는, 시트 형상 베이스부와, 이 시트 형상 베이스부의 표면에 각각 볼록 형상으로 형성한 상기 복수의 키를 갖고, 볼록 형상으로 형성한 키는 각각 볼록부가 된다. 이 볼록부에 의해, 이 키 시트의 표면은 입체적이 된다. 또한 이 볼록부가 키이므로, 키의 경계가 확실해져, 키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키 이외의 영역을 눌러 버리는 경우나 키의 누름 실수도 없기 때문에 조작성도 양호하다.
또한 상기 금속판은, 상기 복수의 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표시부를 갖고,
상기 키 탑부는, 상기 표시부를 포함하는 금속판의 적어도 일부를 이 키 탑부를 개재하여 시인 (視認) 할 수 있도록 투광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판은, 상기 복수의 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표시부를 갖고, 상기 키 탑부는, 상기 표시부를 포함하는 금속판의 적어도 일부를 이 키 탑부를 개재하여 시인할 수 있도록 투광성을 가지므로, 상기 표시부를 포함하는 금속판의 적어도 일부가 키 탑부를 개재하여 시인되고, 키 시트는 금속조(調)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키는, 서로 이간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는, 서로 이간되어 위치함으로써, 키의 가압 조작시에 있어서의 변위량을 크게 할 수 있고, 또한 인접하는 키에 대한 영향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 키가 매우 근접해 있으면, 키의 경도 (傾倒) 나 하방으로의 이동시에, 이웃하는 키의 영향에 의해 변위량이 적어지는 경우나, 인접하는 키도 영향을 받아 경도되거나, 하방으로 이동해 버리는 경우가 있으나, 이 키 시트는 이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이간되어 위치함으로써, 입체감이 증가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키 시트는,
상기 표시부가 갖는 문자, 기호 또는 도형은, 다수의 투광성 구멍의 집합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부가 갖는 문자, 기호 또는 도형은, 다수의 투광성 구멍의 집합체로 형성함으로써, 이 표시부는 신규한 인상을 준다. 또한, 이 표시부가 갖는 문자 등이, 이 문자 등을 하나의 관통공으로 표현하면 누락되어 버리는 영역 (소위, 「섬」) 이 있는 문자 등인 경우에, 이 문자 등을 컷 문자 등의 형상의 관통공으로 표현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신규한 인상을 주는 표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키 시트는 보다 신규한 인상을 주는 키 시트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키 시트는,
상기 투광성 구멍은, 슬릿 형상 투광성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광성 구멍은, 슬릿 형상 투광성 구멍임으로써, 이 표시부는 보다 신규한 인상을 준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키 시트는,
상기 투광성 구멍은, 벌레 먹은 형상의 투광성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광성 구멍은, 벌레 먹은 형상의 투광성 구멍임으로써, 이 표시부는 보다 신규한 인상을 준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키 시트는,
상기 투광성 구멍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착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광성 구멍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착색함으로써, 표시부가 컬러풀해져, 표시부는 신규한 인상을 준다. 특히 착색한 영역과 투광성 구멍의 상승 (相乘) 효과에 의해, 표시부는 보다 신규한 인상을 준다. 이 때문에, 이 키 시트는 보다 신규 디자인의 금속조의 키 시트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키 시트는,
복수의 누름자를 상기 금속판의 이면측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키 시트가 누름자를 상기 금속판의 이면측에 가짐으로써, 누름자가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클릭감 발생부를 가압할 수 있으므로, 이 키 시트를 사용한 전자 기기에서는 클릭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키 시트는, 전체적으로 강성 및 형상 안정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재료 또는 두께 등에 선택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짐과 함께, 조작성이 양호한 키 시트가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키 시트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키 시트의 단면 (斷面)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키 시트 표시부의 4 (착색 전) 라는 숫자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키 시트 표시부의 4 (착색 후) 라는 숫자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키 시트의 단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키 시트 표시부의 4 (착색 전) 라는 숫자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키 시트 표시부의 4 (착색 후) 라는 숫자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것이나 대응하는 것, 총칭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형태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하기의 실시형태로 변경 (예를 들어 구성 요소 (부재 등) 의 생략 또는 부가, 구성 요소의 형상의 변경 등) 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 1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키 시트 (1) 에 대해,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2 에서는, 키 시트 (1) 의 단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슬릿 형상 투광성 구멍 (23) 등을 알기 쉽게 표현하였다. 또한 도 2 에 있어서, 총칭할 수 있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총칭한 부호 (12 등) 를 부여하였다.
또한 키 (12) 는, 키 (12a), 키 (12b), 키 (12c) ··· 를 총칭한 표현으로서, 복수의 키 중 어느 하나의 키를 가리킨다. 표시부 (22) 는, 표시부 (22a), 표시부 (22b), 표시부 (22c) ··· 를 총칭한 표현으로서, 복수의 표시부 중 어느 하나의 표시부를 가리킨다. 슬릿 형상 투광성 구멍 (23) 은, 슬릿 형상 투광성 구멍 (23a), 슬릿 형상 투광성 구멍 (23b), 슬릿 형상 투광성 구멍 (23c) ··· 을 총칭한 표현으로서, 복수의 슬릿 형상 투광성 구멍 중 어느 하나의 슬릿 형상 투광성 구멍을 가리킨다.
도 1 이나 도 2 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키 시트 (1) 는, 소정 위치에 복수의 키 (12) 를 갖는 키 시트 (1) 에 있어서, 사변형 형상 (각 모서리가 둥글게 되거나 또는 찌그러지거나 한 대략 사변형 형상도 포함한다. 이하, 동일) 의 금속판 (20) 과, 금속판 (20) 의 대부분을 덮도록 금속판 (20) 의 표면에 고착시킨 사변형 형상의 키 탑부 (10) 를 갖는다.
키 시트 (1) 에서는, 키 탑부 (10) 가 금속판 (20) 의 대부분을 덮어 고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키 탑부 (10) 또는 금속판 (20) 의 어느 일방의 재료 또는 두께 등을, 키 탑부 (10) 또는 금속판 (20) 의 어느 일방이 강성 및 형상 안정성을 갖도록 결정하면, 키 시트 (1) 전체에 강성 및 형상 안정성을 부가할 수 있어, 타방의 부재 (키 탑부 (10) 또는 금속판 (20)) 의 재료 또는 두께 등은, 강성 및 형상 안정성 등에 제한되지 않고 적절히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타방의 부재의 재료 또는 두께 등의 선택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즉, 일방의 부재에 의해 키 시트 (1) 전체에 강성 및 형상 안정성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키 탑부 (10) 및 금속판 (20) 의 재료 또는 두께 등을 키 시트 (1) 전체가 강성 및 형상 안정성을 갖도록 결정하면, 키 탑부 (10) 및 금속판 (20) 의 재료 또는 두께 등의 선택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키 탑부 (10) 가 금속판 (20) 의 대부분을 덮어 금속판 (20) 에 고착되는 구조는, 전체적으로 강성 및 형상 안정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재료 또는 두께 등의 선택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구조가 된다. 예를 들어 키 탑부 (10) 가 경질이고, 이 키 탑부 (10) 에 의해 키 시트 (1) 전체에 강성 및 형상 안정성을 부가하는 경우에는, 금속판 (20) 에 유연한 금속을 사용하거나, 금속판 (20) 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금속판 (20) 에 의해 키 시트 (1) 전체에 강성 및 형상 안정성을 부가하는 경우에는, 시트 형상 베이스부 (11) 를 유연한 재료로 형성하거나, 시트 형상 베이스부 (11) 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키 탑부 (10) 가 금속판 (20) 의 대부분을 덮고 있는 구조는, 전체적으로 강성 및 형상 안정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재료 또는 두께 등의 선택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구조가 된다. 또한 금속판 (20) 에 흠집이 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키 탑부 (10) 는, 시트 형상 베이스부 (11) 와, 이 시트 형상 베이스부 (11) 의 표면에 각각 볼록 형상으로 형성한 복수의 키 (12) 를 갖는다.
복수의 키 (12) 는 시트 형상 베이스부 (11) 에서 연결되어, 키 탑부 (10) 는 1 장의 시트 형상이 된다. 볼록 형상으로 형성한 키 (12) 는 볼록부가 되므로, 키 탑부 (10) 는 복수의 볼록부를 갖게 된다. 이 볼록부에 의해, 이 키 시트 (1) 는 표면이 입체적으로 된다. 또한, 이 볼록부가 키 (12) 이므로, 키 (12) 의 경계가 확실해져, 키 (12) 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키 (12) 이외의 영역을 눌러 버리는 경우나 키 (12) 의 누름 실수도 없기 때문에, 조작성도 양호하다.
키 (12) 는, 각각 기능 키, 텐 (ten) 키, 다방향 키 등의 키가 된다. 도 1 과 같이, 키 (12a) 는 기능 키가 되고, 키 (12h) 는 텐 키가 되고, 키 (12t) 는 다방향 키 (여기서는 확정 키의 기능도 갖는다) 가 된다.
키 (12) 의 형상은 직육면체, 삼각기둥 또는 원기둥 등의 기둥 형상 외에 적절히 결정할 수 있고, 높이도 자유인데, 예를 들어 1.0 ㎜ 이상 높게 하면 입체감이 증가된다. 또한 예를 들어 2.0 ㎜ 보다 높게 (2.0 ㎜ 는 포함하지 않는다) 하면 더욱 입체감이 증가된다.
또한 키 (12) 는, 각각 서로 이간되어 위치함으로써, 키 (12) 의 가압 조작시에 있어서의 변위량을 크게 할 수 있고, 또한 인접하는 키 (12) 에 대한 영향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 키 (12) 가 매우 근접해 있으면, 키 (12) 의 경도나 하방으로의 이동시에, 이웃하는 키 (12) 의 영향에 의해 변위량이 적어지는 경우나, 인접하는 키 (12) 도 영향을 받아 경도되거나, 하방으로 이동해 버리는 경우가 있으나, 이 키 시트 (1) 는 이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이간되어 위치함으로써, 입체감이 증가된다. 이간의 거리 (볼록부 사이의 거리) 는, 예를 들어 1.0 ㎜ 이상으로 한다.
키 탑부 (10) 는 경질이다. 즉, 키 탑부 (10) 는 경질 키 탑부이다. 또한 키 탑부 (10) (경질 키 탑부) 는, 복수의 키를 동시에 가압 조작할 때에 방해가 되지 않을 정도의 가요성 및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 탑부 (10) 는, 경질 합성 수지를 재료로 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키 탑부 (10) 에는, 아크릴계, 에폭시계, 비닐계, 실리콘계 등의 투광성을 갖는 전자파 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열가소성 수지·열경화성 수지로서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PC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의 투광성을 갖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파 경화성 수지란, 전자파가 조사되면 경화되는 수지로서, 자외선 경화성 수지 (UV 경화성 수지), 가시광선 경화성 수지 등이 있다.
키 탑부 (10) 는, 단일의 경질 합성 수지를 재료로 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시트 형상 베이스부 (11) 와 복수의 키 (12) 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키 탑부 (10) 는, 1 이상의 부재 및 또는 1 이상의 층 등을 적절히 조합하고, 특히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여, 하나의 부재로서 형성해도 된다.
키 탑부 (10) 의 재료, 두께 및 경도 등의 여러 조건은, 이 키 탑부 (10) 가 키 시트 (1) 전체에 강성 및 형상 안정성을 부가하도록 결정한다. 또한, 금속판 (20) 이 키 시트 (1) 전체에 강성 및 형상 안정성을 부가하거나 하는 경우에는, 키 탑부 (10) 의 특히 시트 형상 베이스부 (11) 는 유연성을 갖거나, 얇아도 된다. 단, 양호한 조작감을 확보하기 위해, 키 (12) 는 경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키 탑부 (10) 는, 표시부 (22) 를 포함하는 금속판 (20) 의 대부분을 덮도록, 금속판 (20) 의 표면에 고착되어 있다. 키 탑부 (10) 는, 시트 형상 베이스부 (11) 와, 이 시트 형상 베이스부 (11) 의 표면에 각각 볼록 형상으로 형성한 복수의 키 (12) 를 갖기 때문에, 키 탑부 (10) 는 금속판 (20) 의 키 (12) 바로 아래의 영역에 추가하여 다른 영역도 덮게 된다. 금속판 (20) 의 대부분을 덮는다는 것은, 면일하게 덮거나 하는 금속판 (20) 의 전체면을 덮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대부분은, 예를 들어 키 탑부 (10) 에 의해서만 키 시트 (1) 에 강성 및 형상 안정성을 부가하는 경우에, 이 부가에 지장이 없는 넓이의 영역 (예를 들어 금속판 (20) 의 90 퍼센트 이상의 영역) 이 된다. 또한 대부분은, 예를 들어 금속판 (20) 에서 키 시트 (1) 에 강성 및 형상 안정성을 부가하는 경우에, 복수의 표시부 (22) 및 복수의 키 (12) 를 모두 포함하는 영역이 된다. 표시부 (22) 는, 상세하게는 후술하겠으나, 복수의 키 (12) 각각에 대응하도록 복수 금속판 (20) 에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키 탑부 (10) 는, 전체적으로 투광성을 갖도록 유색 투명 또는 무색 투명하다. 이 키 탑부 (10) 와 금속판 (20) 은 접하여 있으므로, 금속판 (20) (특히, 표시부 (22)) 은, 투광성 키 탑 (10) (시트 형상 베이스부 (11) 및 각 키 (12)) 을 개재하여 시인된다. 이로써, 키 시트 (1) 는 전체적으로 금속조를 갖게 된다.
키 시트 (1) 는, 표시부 (22) 를 포함하는 금속판 (20) 의 적어도 일부를 이 키 탑부 (10) 를 개재하여 시인할 수 있도록 투광성을 가지면 된다. 예를 들어 금속판 (20) 의 표시부 (22) 와 그 주변 영역 (주변 영역이란, 예를 들어 키 (12) 바로 아래의 영역을 말한다) 을 제외한 다른 영역을 가리도록, 키 탑부 (10) 는 도장 등의 가식 (加飾) 이 되어, 투광성을 갖지 않는 부분이 있어도 된다. 표시부 (22) 를 포함하는 금속판 (20) 의 적어도 일부가 키 탑부를 개재하여 시인되면, 키 시트 (1) 는 금속조를 갖게 된다.
여기서 「금속조」란, 일반적으로 금속색/메탈릭색의 총칭으로 여겨지는 실버색만을 말하는 것은 아니며, 금속판 (20) 자체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적절한 색으로 착색된 유색 메탈릭색, 예를 들어 소위 메탈릭 레드, 메탈릭 그린 등을 포함한다. 금속조가 유색 메탈릭색을 가리키는 경우에는, 키 탑부 (10) 는 무색 투명하고, 금속판 (20) 은 상기 유색 메탈릭색으로 착색된다. 또한 키 탑부 (10) 를 유색 투명으로 하고, 금속판 (20) 을 실버색 등의 메탈릭색으로 하여 전체적으로 유색 메탈릭색으로 해도 된다.
또한, 키 시트 (1) 전체 (본 발명에 있어서, 거의 전체도 포함한다) 에 대해, 금속판 (20) 전체 (본 발명에 있어서, 거의 전체도 포함한다) 를 키 탑 (10) 을 개재하여 시인할 수 있으면, 키 시트 (1) 의 고급감이 증가된다. 또한 이와 같은 키 시트 (1) 는, 저렴하고 또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키 탑부 (10) 는, 예를 들어 전자파 경화성 수지를 사용하고, 키 (12) 에 대응하는 복수의 오목부를 갖는 형 (型) 을 이용한 금속판 (20) 의 표면에 대한 인쇄 (소위 그라비아 인쇄 또는 몰드 인쇄 등) 또는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여, 금속판 (20) 을 인서트한 인서트 성형 등의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하여 금속판 (20) 의 표면에 직접 형성한다. 또한, 재료를 전자파 경화성 수지로 하는 경우, 전자파를 재료에 조사하기 위해, 상기 형을 투명 등으로 한다.
이와 같은 형성 방법에 의하면, 액상의 재료가 경화될 때에 키 탑부 (10) 가 금속판 (20) 에 직접 고착된다. 또한 고착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키 탑부 (10) 의 형성 전에 미리 금속판 (20) 의 표면에 화학적 또는 물리적인 표면 (개질)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또한 이와 같은 형성 방법에 의한 키 탑부 (10) 의 형성시에, 키 탑부 (10) 의 액상 재료의 점성 등의 여러 조건에 따라서는, 재료가 슬릿 형상 투광성 구멍 (23) 등의 후술하는 투광성 구멍 (광을 통과시킬 만큼 깊게 형성한 구멍인 경우에는 표면측으로부터 형성한 구멍) 에 침입한다. 이 때문에 구멍 메움체 (13) 가 형성되고, 키 시트 (1) 는, 이 구멍 메움체 (13) 를 갖는다. 이 구멍 메움체 (13) 는, 당연히 투광성을 갖는 편이 좋다. 이 구멍 메움체 (13) 는, 구멍을 모두 메운 것이 아니어도 된다. 이 구멍 메움체 (13) 는, 형성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금속판 (20) 은, 기본적으로 1 장의 금속 박판 (21) 에, 복수의 키 (12)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표시부 (22) 만을 형성한 것이다. 금속 박판 (21) 은, 금속판 (20) 이 키 시트 (1) 전체에 강성 및 형상 안정성을 부가하는 경우에는, 스테인리스강 (SUS), 티탄, 구리 등의 비교적 경도가 높고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갖는 금속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키 탑부 (10) 가 키 시트 (1) 전체에 강성 및 형상 안정성을 부가하거나 하는 경우에는, 금속 박판 (21) 은, 상기 조건에 들어맞지 않는 금속인 금, 은, 바나듐 등의 비교적 유연한 귀금속이어도 된다. 또한 금속판 (20) 은, 키 탑부 (10) 가 키 시트 (1) 전체에 강성 및 형상 안정성을 부가하는 경우, 또한 키 시트 (1) 의 박형화를 지향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두께 0.1 ㎜ 이하, 특히 0.05 ㎜ 미만이 바람직하다. 금속판 (20) 의 두께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으며, 금속판 (20) 이 키 시트 (1) 전체에 강성 및 형상 안정성을 부가하기 위해 0.1 ㎜ 이상으로 해도 된다.
표시부 (22) 는, 대응하는 키를 조작하였을 때에, 키 시트 (1) 를 장착한 전자 기기 (여기서는 휴대 전화기) 에, 입력되는 명령의 종별 및 또는 입력되는 문자 (숫자를 포함한다) 등을 표현한 것이다.
표시부 (22) 는, 1 이상의 문자, 1 이상의 기호 또는 1 이상의 도형 등이거나, 이들의 조합이다. 예를 들어 표시부 (22j) 는 「7」, 「P」, 「Q」, 「R」 및 「S」를 갖고, 표시부 (22n) 는 「3」, 「D」, 「E」 및 「F」를 갖고, 표시부 (22t) 는, 상하 좌우 4 방향을 향한 4 개의 삼각 화살표 도형 및 중앙에 위치하는 동그라미 도형을 갖는다. 기본적으로 표시부 (22) 와 키는, 1 대 1 로 대응된다.
표시부 (22) 는, 대응하는 키 (12) 의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영역 내측에 수용되는 장소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표시부 (22) 는, 대응하는 키 (12) 를 조작할 때에, 상기 전자 기기에 입력되는 명령의 종별 및 또는 상기 전자 기기에 입력되는 문자 등을, 이 표시부 (22) 에 의해 키 조작자가 인식할 수 있는 장소에 위치한다. 이 조건을 만족하는 한, 표시부 (22) 는, 상기 영역으로부터 그 일부가 돌출된 위치 또는 상기 영역 밖의 위치여도 된다.
도 3 과 같이, 표시부 (22) 가 갖는 문자, 기호 또는 도형은, 다수 (5 이상, 바람직하게는 9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이하 동일) 의 슬릿 형상 투광성 구멍 (23) 의 집합체로 형성하였다. 슬릿 형상 투광성 구멍 (23) 은, 슬릿 형상의 투광성 구멍 (금속 박판 (21) 에 형성한 관통공, 광을 통과시킬 만큼 깊게 형성한 구멍 또는 스퍼터 등에 의해 형성한 미세한 관통공의 집합) 이다. 더욱 상세하게 말하면, 표시부 (22) 가 갖는 문자, 기호 또는 도형은, 복수의 직선 형상의 슬릿 형상 투광성 구멍 (23a, 23b, 23c, ····) 을 배열하여 (특히 평행으로 배열하여) 형성하였다. 여기서, 직선 형상의 슬릿 형상 투광성 구멍 (23) 은, 슬릿 형상 투광성 구멍 (23) 과 같이 다소의 요철이 있어도 된다.
표시부 (22) 가 갖는 문자, 기호 또는 도형을 투광성 구멍으로 형성함으로써, 표시부 (22) 는 투광성을 갖는 투광성 표시부가 된다. 또한 표시부 (22) 가 갖는 문자, 기호 또는 도형은, 1 이상의 투광성 구멍으로 형성하면 되는 경우도 있다. 투광성 구멍은, 에칭 등의 적절한 방법으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표시부 (22) 가 투광성을 갖는 경우, 키 시트 (1) 를 하방으로부터 조광하였을 때에, 광이 표시부 (22) 의 문자, 기호 또는 도형을 통과하여, 이 문자, 기호 또는 도형을 어두운 곳에서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 (22) 는, 금속 박판 (21) 에 도장 또는 인쇄 등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 4 와 같이, 투광성 구멍 주위의 전부 (또한, 적어도 일부이면 된다)
를 착색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웃하는 슬릿 형상 투광성 구멍 (23) 의 사이를 착색하였다. 또한 「4」라는 숫자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도록, 즉, 표시부 (22) 가 갖는 문자, 기호 또는 도형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도록, 슬릿 형상 투광성 구멍 (23) 의 주변을 착색하였다. 이 때문에, 표시부 (22) 는 금속 박판 (21) 의 표면을 인쇄, 도장 또는 각종 성막 방법 등에 의해 착색한 착색 영역 (24) 을 갖는다. 또한, 투광성 구멍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착색하면 되고, 예를 들어 상기 착색 중 어느 일방의 착색을 실시해도 된다. 또한 금속판 (20) 에 금속조가 남도록, 금속 박판 (21) 표면의 다른 영역을, 가식을 위해 적절히 인쇄, 도장 또는 각종 성막 방법 등에 의해 착색해도 된다. 이 경우, 금속판 (20) 은, 금속 박판 (21) 의 표면을 가식을 위해 착색한 가식 영역을 갖는다. 이와 같은 키 시트는, 참신한 디자인이 된다.
또한 금속 박판 (21)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투명재로 코팅해도 된다. 이 경우, 금속판 (20) 은 금속 박판 (21) 의 표면 (가식 영역 및 또는 착색 영역을 적절히 포함한다) 을 코팅한 코팅 영역을 갖는데, 코팅 영역의 표면을 금속 박판 (21) 의 표면이라고 표현한다.
키 시트 (1) 는 추가로 누름자층 (30) 을 갖는다. 누름자층 (30) 은, 베이스부 (31) 와 복수의 키 (12) 각각의 하방에 위치하는 복수의 누름자 (32) 로 이루어진다. 각 키 (12) 의 하방에 위치하는 누름자 (32) 의 수는, 각 키의 기능에 따라 상이하다. 예를 들어 텐 키 등에 대응하는 누름자 (32) 는 하나이지만, 방향 키인 키 (12t) 에 대응하는 누름자 (32) 는, 중심 및 상하 좌우의 장소에 위치하도록 5 개가 된다.
누름자층 (30) 은, 금속판 (20) 의 이면에 직접 형성함으로써 금속판 (20) 의 이면에 직접 고착시킨다. 누름자층 (30) 은,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한 후에 접착제 또는 점착재 등의 적절한 고착 수단을 이용하여 금속판 (20) 의 이면에 직접 고착시켜도 된다. 누름자층 (30) 은, 금속판 (20) 의 이면과의 사이에 어떠한 부재, 층을 개재하여 고착, 즉 간접 고착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누름자층 (30) 은 금속판 (20) 의 이면측에 형성 (고착) 되고, 누름자 (32) 가 금속판 (20) 의 이면측에 형성된다. 이로써, 키 시트 (1) 는 복수의 누름자 (32) 를 금속판 (20) 의 이면측에 갖는다.
누름자층 (30) 은, 실리콘 고무, 각종 엘라스토머재, 전자파 경화성 수지 등의 각종 합성 수지를 재료로 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누름자층 (30) 은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름자층 (30) 은, 베이스부 (31) 를 갖지 않고 복수의 누름자 (32) 만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누름자 (32) 는, 키 시트 (1) 를 기기에 장착한 경우에,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클릭감 발생부와 거리를 두고 대향되거나 맞닿아 대향된다. 클릭감 발생부는 탄성 변형 가능하고, 기기의 기판 상에 형성된다. 클릭감 발생부는, 예를 들어 메탈 돔 및 단락 (短絡) 용 접점 등에 의해 구성되는 스위치부이다.
키 시트 (1) 가 누름자 (32) 를 금속판 (20) 의 이면측에 가짐으로써, 누름자 (32) 가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클릭감 발생부를 가압할 수 있으므로, 이 키 시트 (1) 를 사용한 전자 기기에서는 클릭감을 발생시킬 수 있다.
금속판 (20) 의 이면에 누름자층 (30) 을 직접 형성하는 경우, 누름자층 (30) 은, 예를 들어 누름자 (32) 에 대응하는 복수의 오목부를 갖는 형을 이용한 금속판 (20) 의 이면에 대한 인쇄 (그라비아 인쇄 또는 몰드 인쇄 등) 또는 금속판 (20) 을 인서트한 인서트 성형 등의 형성 방법에 의해 일체 형성함으로써 금속판 (20) 의 이면에 일체적으로 형성한다. 또한, 재료를 전자파 경화성 수지로 하는 경우, 전자파를 재료에 조사하기 위해, 상기 형을 투명 등으로 한다. 이와 같은 형성 방법에 의하면, 액상의 재료가 경화될 때에 누름자층 (30) 이 금속판 (20) 에 직접 고착된다. 또한, 고착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누름자층 (30) 의 형성 전에 미리 금속판 (20) 의 이면에 화학적 또는 물리적인 표면 (개질)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또한 누름자층 (30) 을 미리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한 후에 금속판 (20) 의 이면에 고착시키는 경우에는, 누름자층 (30) 은, 실리콘 고무나 각종 엘라스토머 등을 재료로 한 사출 성형 등에 의해 누름자 (32) 를 갖는 시트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것을 접착제 또는 점착재 등의 적절한 고착 수단을 이용하여 금속판 (20) 의 이면에 고착 (직접 고착 또는 간접 고착) 시킨다. 또한, PET 나 PC 제의 필름재에 전자파 경화성 수지를 사용하여 누름자 (32) 를 형성한 것을 금속판 (20) 의 이면에 접착제 또는 점착재 등의 적절한 고착 수단을 사용하여 금속판 (20) 의 이면에 고착시켜도 된다. 고착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금속판 (20) 의 이면 및 또는 누름자층 (30) 의 표면 (도 2 에 있어서의 상면) 에 화학적 또는 물리적인 표면 (개질)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투광성 키 탑 (10) 과 누름자층 (30) 의 형성은 어느 쪽이 먼저여도 상관없지만, 누름자층 (30) 의 형성은 키 탑부 (10) 와 동시에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누름자층 (30) 과 키 탑부 (10) 를, 금속판 (20) 을 개재하여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누름자층 (30) 과 키 탑부 (10) 를, 금속판 (20) 을 감싸도록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금속판 (20) 의 이면에 누름자층 (30) 을 직접 형성하는 경우, 누름자층 (30) 의 액상 재료의 점성 등의 여러 조건에 따라서는, 재료가 슬릿 형상 투광성 구멍 (23) 등의 투광성 구멍 (광을 통과시킬 만큼 깊게 형성한 구멍인 경우에는 이면측으로부터 형성한 구멍) 에 침입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구멍 메움체가 형성되고, 키 시트 (1) 는, 이 구멍 메움체를 갖는 경우가 있다. 이 구멍 메움체는, 당연히 투광성을 갖는다. 이 구멍 메움체는, 구멍을 모두 메운 것이 아니어도 된다. 이 구멍 메움체는, 형성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누름자층 (30) 은, 키 시트 (1) 를 아래로부터 조사한 광이 투광성 표시부를 투과시키도록, 투명재 등에 의해 형성되어 투광성을 갖는다.
키 (12) 를 손가락으로 가압 조작하면, 키 (12) 는 하방으로 이동함과 함께 (다방향 키 (12t) 의 방향 입력인 경우에는, 경도됨과 함께), 키 탑부 (10), 금속판 (20) 및 누름자층 (30) 이 변형되고, 누름자 (32) 가 클릭감 발생부를 가압하여 변형시킨다. 이로써, 클릭감이 발생한다. 또한 손가락을 키 (12) 에서 떼면, 키 탑부 (10) 와 금속판 (20) 과 누름자층 (30) (베이스부 (31) 를 갖는 경우) 과 클릭감 발생부 (누름자 (32) 가 맞닿은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복원력에 의해, 키 시트 (1) 는 가압 조작 전의 상태로 되돌아온다. 이와 같은 키 (12) 의 가압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키 탑부 (10), 금속판 (20) 및 누름자층 (30) 등의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두께 등) 및 재료 등을 결정하여, 키 시트 (1) 를 형성한다. 키 시트 (1) 는, 강성 및 형상 안정성이 부가되어 있으므로, 분할이 없는 조작 개구부로부터 키 시트 (1) 의 대부분이 노출되도록 기기에 장착된다.
키 시트 (1)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키 탑부 (10) 가 투광성을 가지므로, 금속조를 가짐과 함께 표면이 입체적으로 된다. 또한 복수의 키 (12) 를 인쇄나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 형성 방법의 형편상, 키 (12) 의 사이 및 주변부에 박육부가 어쩔 수 없이 생겨 버린다. 이 박육부를 시트 형상 베이스부 (11) 의 키 (12) 바로 아래 이외의 부분으로 생각하면, 키 탑부 (10) 를 상기 인쇄나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해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키 탑부 (10) 는, 시트 형상 베이스부 (11) 와, 이 시트 형상 베이스부 (11) 의 표면에 각각 볼록 형상으로 형성한 복수의 키 (12) 를 갖고, 이 키 탑부 (10) 를 금속판 (20) 의 표면에 고착시키므로, 키 탑부 (10) 의 형성에 인쇄, 인서트 성형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금속판 (20) 의 키에 상당하는 부분에만 직접 키 탑부를 형성할 때에 문제가 되는 키 탑부의 위치 맞춤 등이 불필요해져, 키 시트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가 키 (12) 이므로, 키 (12) 의 경계가 확실해져, 키 (12) 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키 (12) 이외의 영역을 눌러 버리는 경우도 없기 때문에, 조작성도 양호하다. 이상으로부터, 이 키 시트 (1) 는, 금속조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입체감을 갖는다는 신규한 인상을 줌과 동시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더욱 조작성이 양호한 키 시트가 된다.
표시부 (22) 가 갖는 문자, 기호 또는 도형을 다수의 투광성 구멍의 집합체로 형성함으로써, 특히 슬릿 형상 투광성 구멍 (23) 으로 형성함으로써, 이 표시부 (22) 는 보다 신규한 인상을 준다. 또한, 표시부 (22) 가 갖는 문자, 기호 또는 도형은, 직선 형상의 슬릿 형상 투광성 구멍 (23a, 23b, 23c, ····) 을 평행하게 배열하여 형성한 것임으로써, 이 표시부 (22) 는 신규한 인상을 준다. 또한 표시부 (22) 가 갖는 문자, 기호 또는 도형을 다수의 투광성 구멍의 집합체인 슬릿 형상 투광성 구멍 (23) 으로 형성함으로써, 이 표시부 (22) 가 갖는 문자 등이, 이 문자 등을 하나의 관통공으로 표현하면 누락되어 버리는 영역이 있는 문자 등인 경우에, 이 문자 등을 컷 문자 등의 형상의 관통공으로 표현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신규한 인상을 주는 표시부 (22) 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키 시트 (1) 는, 보다 신규한 인상을 주는 키 시트가 된다.
투광성 구멍 (슬릿 형상 투광성 구멍 (23))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착색함으로써 표시부 (22) 가 컬러풀해져, 표시부 (22) 는 신규한 인상을 준다. 특히, 이웃하는 투광성 구멍의 사이를 착색하거나, 표시부 (22) 가 갖는 문자, 기호 또는 도형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도록 투광성 구멍의 주변을 착색하거나, 양자를 착색함으로써, 표시부 (22) 는 신규한 인상을 준다. 특히 착색한 영역과 투광성 구멍의 상승 효과에 의해, 표시부 (22) 는 보다 신규한 인상을 준다. 이 때문에, 이 키 시트 (1) 는, 보다 신규 디자인의 금속조의 키 시트가 된다.
볼록 형상으로 형성한 키 (12) 는 볼록부가 되므로, 키 (12) 의 조작자는 볼록부에 의해 키 (12) 를 인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금속판 (20) 측에서 키 (12) 의 영역을 조작자에게 인식시킬 필요도 없고, 금속판 (20) 의 디자인 (표시부 (23) 의 위치, 크기, 형상 등) 을 어느 정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키 (12) 가 볼록부로 되므로, 키 시트의 표면이 평탄한 경우에 비해 클릭감의 전달이 양호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키 시트 (1) 는 조작감이 양호해진다. 이는, 특히 키 탑부 (10) 가 경질인 경우에 그렇다고 할 수 있다.
키 (12) 는 볼록부가 되고, 그 주위가 박육부 (시트 형상 베이스부 (11)) 로 되므로, 키 (12) 를 가압 조작하면, 볼록부와 박육부의 경계로부터 그 주위 (박육부측의 주위) 의 영역에 걸쳐 변형되어, 키 (12) 가 하방으로 이동한다 (키 (12) 가 다방향 키인 경우에는 경도된다). 이 때문에, 키 (12) 의 가압 조작시에 있어서의, 키 탑부 (10) 중의 금속판 (20) 을 가압하는 가압 영역의 면적이 커진다. 이 때문에 조작감이 양호해지고, 예를 들어 키를 누르기 쉽게 하기 위해, 키를 구획하는 분할 홈 등을 금속판에 형성할 필요도 없어진다. 이는, 특히 키 탑부 (10) 가 경질인 경우에 말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 (22) 는, 금속판 (20) 에 형성하지 않고, 키 탑부 (10) (특히 키 (12) 의 표면) 에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은 키 시트는, 참신한 디자인이 된다. 키 (12) 의 표면에 표시부를 형성하고, 키 탑부 (10) 가 투광성을 갖는 키 시트는, 입체적이고 참신한 디자인이 된다. 이 경우, 표시부를 조광할 수 있도록, 금속판 (20) 에 투광성 구멍을 형성하면 된다. 키 탑부 (10) 또는 금속판 (20) 에 상기에서 설명한 것 이외의 다른 가식을 실시해도 된다. 구멍 메움체 (13), 키 탑부 (10) 및 누름자층 (30) 은, 적절히 투광성을 갖지 않아도 된다.
(제 2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인쇄,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해 키 탑부 (10) 를 금속판 (20) 의 표면에 직접 형성하였으나,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사출 성형 등에 의해 투광성 키 탑부 (110) 를 단일의 합성 수지를 재료로 하여 미리 별체로 형성하고, 금속판 (20) 의 표면에 접착제 또는 점착재 등을 사용하여 고착시켰다. 이로써 도 5 와 같이, 구멍 메움체 (13) 에 상당하는 것이 형성되지 않는다. 단, 구멍 메움체 (예를 들어 투광성을 갖는다) 를 별도 형성해도 된다.
투광성 키 탑부 (110) 는, PET (폴리우레탄테레프탈레이트) 시트, 우레탄 시트 등의 베이스 (이 경우, 시트 형상 베이스부 (111) 의 하부에 상당한다) 의 표면에, 키 (112) 및 시트 형상 베이스부 (111) 의 상부를 인쇄,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해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키 (112) 및 시트 형상 베이스부 (111) 의 상부는, 전자파 경화성 수지 등의 경질 합성 수지를 재료로 한다. 재료의 경화시에 키 (112) 및 시트 형상 베이스부 (111) 의 상부는 베이스에 융착되어, 직접 고착된다. 고착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베이스의 표면에 화학적 또는 물리적인 표면 (개질)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투광성 키 탑부 (110) 는, 상기 베이스 (이 경우, 시트 형상 베이스부 (111) 에 상당한다) 의 표면에 별체로서 미리 사출 성형 등에 의해 형성한 복수의 키 (112) 를 접착제 또는 점착재 등을 사용하여 직접 고착시켜 형성해도 된다. 고착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베이스 및 또는 키 (12) 의 고착면에 화학적 또는 물리적인 표면 (개질)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고착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투광성 키 탑부 (110) 의 이면 및 또는 금속판 (120) 의 표면에 화학적 또는 물리적인 표면 (개질)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상기와 같이, 투광성 키 탑부 (110) 를 미리 별체로 형성하고, 금속판 (20) 의 표면에 접착제 또는 점착재 등의 고착 수단을 사용하여 고착시켰으므로, 금속판 (120) 의 키에 상당하는 부분에만 직접 키 탑부를 형성할 때에 문제가 되는 키 탑부의 위치 맞춤 등이 불필요해져, 키 시트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다른 구성 요소 (투광성 키 탑부 (110) 를 포함한다) 등의 설명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준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5 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제 1 실시형태의 부호에 100 을 더하여 부호를 부여하였다.
(제 1 또는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
상기 제 1 또는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슬릿 형상 투광성 구멍 (23) 을 평행하게 형성하였으나, 반드시 이웃끼리의 슬릿이 평행해지도록 형성할 필요는 없다. 또한 투광성 구멍은, 예를 들어 도 6 이나 도 7 과 같이, 벌레 먹은 형상의 투광성 구멍 (223) 의 집합이어도 된다. 본 변형예는, 투광성 구멍으로서 벌레 먹은 형상의 투광성 구멍 (223) 을 채용한 것이다. 또한 투광성 구멍은, 예를 들어 원형, 다각형 등의 비교적 작고 규칙적인 형상의 점으로 해도 된다.
다수의 벌레 먹은 형상의 투광성 구멍 (223) 의 집합은, 이 집합 중 적어도 일부의 투광성 구멍의 크기 및 형상이 각각 상이한 부정형의 투광성 구멍 (도 6 및 도 7 참조) 의 집합이다.
표시부 (22) 가 갖는 문자, 기호 또는 도형은, 금속 박판 (221) 에 형성한 벌레 먹은 형상의 투광성 구멍 (223a, 223b, 223c, ····) 에 의해 형성하였다.
또한 도 7 과 같이, 이웃하는 벌레 먹은 형상의 투광성 구멍 (223) 의 사이를 적절히 인쇄 또는 도장 등에 의해 착색하였다. 또한 도 7 과 같이, 「4」라는 숫자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도록, 즉, 표시부가 갖는 문자, 기호 또는 도형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도록, 벌레 먹은 형상의 투광성 구멍 (223) 의 주변을 착색하였다. 이 때문에 표시부 (22) 는, 금속 박판 (221) 의 표면을 착색한 착색 영역 (224) 을 갖는다. 또한, 벌레 먹은 형상의 투광성 구멍 (223)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착색하면 된다.
투광성 구멍이 벌레 먹은 형상의 투광성 구멍 (223) 임으로써, 슬릿 형상 투광성 구멍을 투광성 구멍에 채용한 경우와는 상이한 신규한 인상의 표시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변형예의 키 시트는, 슬릿 형상 투광성 구멍을 투광성 구멍에 채용한 경우와는 상이한 신규한 인상의 키 시트가 된다. 또한 벌레 먹은 형상의 투광성 구멍 (223)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착색하였으므로, 슬릿 형상 투광성 구멍을 투광성 구멍에 채용한 경우와는 상이한 신규한 인상의 표시부를 형성할 수 있어, 이 변형예의 키 시트는, 슬릿 형상 투광성 구멍을 투광성 구멍에 채용한 경우와는 상이한 신규한 인상의 키 시트가 된다.
또한, 벌레 먹은 형상의 투광성 구멍 (223) 은, 벌레 먹은 형상의 투광성 구멍 (223a), 벌레 먹은 형상의 투광성 구멍 (223b), 벌레 먹은 형상의 투광성 구멍 (223c) ··· 을 총칭한 표현으로서, 복수의 벌레 먹은 형상의 투광성 구멍 중 어느 하나의 벌레 먹은 형상의 투광성 구멍을 가리킨다.
그 밖의 구성 요소 및 효과 등의 설명에 대해서는, 투광성 구멍을 슬릿 형상 투광성 구멍으로 한 경우의 상기 설명에 준하므로, 생략한다.
1 : 키 시트 10 : 투광성 키 탑부
11 : 시트 형상 베이스부 12 : 키
20 : 금속판 21 : 금속 박판
22 : 표시부 23 : 슬릿 형상 투광성 구멍
24 : 착색 영역 30 : 누름자층
31 : 베이스부 32 : 누름자
101 : 키 시트 110 : 투광성 키 탑부
111 : 시트 형상 베이스부 112 : 키
120 : 금속판 121 : 금속 박판
123 : 슬릿 형상 투광성 구멍 130 : 누름자층
131 : 베이스부 132 : 누름자
221 : 금속 박판 223 : 벌레 먹은 형상의 투광성 구멍
224 : 착색 영역

Claims (8)

  1. 복수의 키를 갖는 키 시트에 있어서,
    금속판과,
    상기 금속판의 대부분을 덮도록 상기 금속판의 표면에 고착시킨 키 탑부를 갖고,
    상기 키 탑부는, 시트 형상 베이스부와, 이 시트 형상 베이스부의 표면에 각각 볼록 형상으로 형성한 상기 복수의 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상기 복수의 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표시부를 갖고,
    상기 키 탑부는, 상기 표시부를 포함하는 금속판의 적어도 일부를 이 키 탑부를 개재하여 시인할 수 있도록 투광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서로 이간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갖는 문자, 기호 또는 도형은, 다수의 투광성 구멍의 집합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구멍은, 슬릿 형상 투광성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구멍은, 벌레 먹은 형상의 투광성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구멍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착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누름자를 상기 금속판의 이면측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시트.
KR1020107008797A 2007-10-29 2008-09-29 키 시트 KR201000755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81020A JP2009110778A (ja) 2007-10-29 2007-10-29 キーシート
JPJP-P-2007-281020 2007-10-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527A true KR20100075527A (ko) 2010-07-02

Family

ID=40590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797A KR20100075527A (ko) 2007-10-29 2008-09-29 키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245133A1 (ko)
EP (1) EP2207192A1 (ko)
JP (1) JP2009110778A (ko)
KR (1) KR20100075527A (ko)
CN (1) CN101855690A (ko)
WO (1) WO20090574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0220B2 (ja) * 2009-12-28 2013-10-30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キートップ構造、電子機器およびキートップ構造の製造方法
JP2012094426A (ja) * 2010-10-28 2012-05-17 Shin Etsu Polymer Co Ltd キーシートの製造方法
CN105757992B (zh) * 2014-12-15 2020-11-03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液体加热器及其控制面板结构
CN106152199A (zh) * 2015-04-15 2016-11-23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金属面板组件及具有其的电磁炉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2413A (ja) * 1990-07-26 1992-11-19 Mitsubishi Electric Corp 自照式キーボードスイッチ
JP3103833B2 (ja) * 1994-08-10 2000-10-30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照光式押釦スイッチ装置
JP4679226B2 (ja) * 2004-10-28 2011-04-27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シート
JP4473752B2 (ja) 2005-03-04 2010-06-02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シート
JP2006318766A (ja) * 2005-05-12 2006-11-24 Sunarrow Ltd 切れ文字でない抜き文字を有するキートップ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728771B2 (ja) * 2005-10-24 2011-07-20 サンアロー株式会社 キー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07192A1 (en) 2010-07-14
JP2009110778A (ja) 2009-05-21
WO2009057402A1 (ja) 2009-05-07
CN101855690A (zh) 2010-10-06
US20100245133A1 (en) 2010-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03833B2 (ja) 照光式押釦スイッチ装置
JP4473752B2 (ja) 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シート
US802232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keypad structure having a transparent keycap and keypad structure having a transparent keycap
US7781690B2 (en) Key she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818133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member for a push button switch
JP2014099245A (ja) キーシート、遮光性導光シート、押釦スイッチおよびキーシートの製造方法
KR20070046179A (ko) 하프미러 가식을 시행한 키 시트 및 키 톱
JP4190568B1 (ja) 携帯端末
KR20100075527A (ko) 키 시트
US20100170775A1 (en) Keypad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2182108A (ja) キーパッド構造およびキーパッド構造の製造方法
JP4113784B2 (ja) 押釦スイッチ用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90178906A1 (en) Keypad panel assembly having arrays of micropores
US20090173609A1 (en) Process for keycaps capable of guiding light laterally
KR100762402B1 (ko) 필름 탄성에 의하여 키감을 구현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및 그 제조방법
JP2011243555A (ja) キーパッドプランジャー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102865A (ko) 전자기기 입력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588263B1 (ko) 입체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JP3320277B2 (ja) 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
KR100964208B1 (ko) 일체형 키패드 및 키패드 제조방법
JP5619369B2 (ja) シートスイッチ
KR100919976B1 (ko)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KR200282132Y1 (ko) 셀룰라폰용 키패드
JP2002150868A (ja) キースイッチ
KR20050118079A (ko) 플라스틱 시트를 이용한 휴대폰용 키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