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4404A - 버튼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버튼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4404A
KR20100074404A KR1020080132816A KR20080132816A KR20100074404A KR 20100074404 A KR20100074404 A KR 20100074404A KR 1020080132816 A KR1020080132816 A KR 1020080132816A KR 20080132816 A KR20080132816 A KR 20080132816A KR 20100074404 A KR20100074404 A KR 20100074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button input
input device
keypad
dom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2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4855B1 (ko
Inventor
김재홍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2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855B1/ko
Publication of KR20100074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4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튼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투명 키패드; 투명 키패드의 하측에 위치하며 전도성을 가지는 투명 돔 스위치; 투명 돔 스위치의 하측에 위치하여투명 키패드를 통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투명 돔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투명 전극; 및 투명 전극의 하측에 위치하여 투명 키패드를 통해 표시될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돔 스위치, 디스플레이 패널, 버튼

Description

버튼 입력 장치{Apparatus for button input}
본 발명은 버튼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모니터, TV 등 여러가지 전자기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시키기 위한 입력 수단으로 버튼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버튼 입력 장치에 구비되는 키패드는 탄성재질로 성형되며 사용자가 작동부분을 용이하게 접촉하도록 그 표면에 문자, 숫자, 기호, 도형 등이 인쇄된다.
다양한 정보의 표시가 가능한 버튼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입력 장치는, 투명 키패드; 상기 투명 키패드의 하측에 위치하며 전도성을 가지는 투명 돔 스위치; 상기 투명 돔 스위치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투명 키패드를 통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투명 돔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투명 전극; 및 상기 투명 전극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투명 키패드를 통해 표시될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 키패드의 하측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치시켜 키패드를 통해 다양한 문자, 숫자, 기호, 영상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전도성 및 광투과성을 가지는 돔 스위치를 이용하여 버튼 입력에 따른 클릭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튼 입력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입력 장치의 구성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버튼 입력 장치는 투명 키패드(100), 투명 돔 스위치(200), 투명 전극(300) 및 디스플레이 패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400)은 투명 키패드(100)를 통해 표시될 문자, 기호, 숫자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예를 들어, 투명 키패드(100)는 투명 아크릴(acrylic) 수지 등과 같은 광투과성을 가지는 플라스틱(plastic) 계열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400)은 액정 패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은 제어 유닛(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투명 키패드(100)를 통해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정보도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4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상측에 위치하는 투명 키패드(100)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투명 키패드(100)에 표시되는 정보가 고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400)로부터 나오는 광이 투명 키패드(10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투명 키패드(100)와 디스플레이 패널(400) 사이에 위치하는 투명 돔 스위치(200) 및 투명 전극(300)은 광투과성을 가진다.
또한, 투명 돔 스위치(200)는 투명 키패드(100)의 하측에 위치하며, 탄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투명 전극(300)은 투명 돔 스위치(200)의 하측에 위치하며, 전기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전극(300)은 광투과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ITO(indium tin oxide)나 IZO(indium zinc oxid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투명 돔 스위치(200)는 투명 키패드(10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형태가 변 형되어 돔 형태의 중앙 부분이 하측으로 이동하며, 그에 따라 상기 돔 형태의 중앙 부분 중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 전극(300)에 접촉되게 된다.
투명 돔 스위치(200) 및 투명 전극(300)이 전기 전도성을 가지므로, 상기 투명 키패드(10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돔 스위치(200)와 투명 전극(300)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투명 돔 스위치(200)와 투명 전극(300)의 전기적인 접촉을 감지함으로써, 투명 키패드(10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의 버튼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투명 키패드(100)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탄성에 의해 투명 돔 스위치(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 및 위치로 복원되며, 그에 따라 투명 돔 스위치(200)와 투명 전극(300)은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투명 돔 스위치(200)를 이용해 사용자의 버튼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버튼 입력 시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투명 돔 스위치(200)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투명 돔 스위치(200)는 투명 돔 구조물(210)과 전도성 박막(2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투명 돔 구조물(210)은 탄성 및 광투과성을 가지며, 예를 들어 투명하고 높은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폴리머(polymer)로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투명 돔 구조물(210)은 실리콘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박막(220)은 투명 돔 구조물(210)의 하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투명한 전기 전도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돔 구조물(210)의 하측면에 광이 투과할 수 있을 정도의 얇은 두께를 가지는 금속막을 형성하여 전도성 박막(220)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ITO(indium tin oxide)나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 금속을 투명 돔 구조물(210)의 하측면 상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탄성 및 광투과성을 가지는 폴리머로 이루어진 시트(212)를 진공 성형이나 핫-프레스(hot-press) 또는 사출 성형 등을 통해 복수의 돔 구조물들(211)을 형성하고, 상기 돔 구조물들(211)이 형성된 시트(212)의 배면에 전도성 물질을 얇은 두께로 증착 또는 라미네이팅(laminating)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투명 돔 스위치(200)를 제조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입력 장치의 구성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들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버튼 입력 장치의 구성 중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투명 전극(300) 중 투명 돔 스위치(200)의 중앙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310)이 돔 형태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투명 전극(300)의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310)은 투명 키패드(100)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투명 돔 스위치(200)와 투명 전극(300)의 전기적인 접촉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키패드(100)에 압력이 가해지면, 투명 돔 스위치(200)의 중앙 부분이 하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하측으로 이동된 투명 돔 스위치(200)의 중앙 부분 중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 전극(300) 중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310)에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투명 키패드(100)의 하측면에는 가압 돌기(1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가압 돌기(110)는 투명 키패드(100)에 가해지는 압력이 투명 돔 스위치(200)의 중앙 부분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투명 키패드(100)에 표시되는 영상이 가압 돌기(110)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압 돌기(110)는 광투과성을 가지는 투명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 돌기(110)는 투명 키패드(100)와 동일한 물질인 투명 아크릴(acrylic) 수지 등과 같은 광투과성을 가지는 플라스틱(plastic) 계열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가압 돌기(110)와 투명 키패드(100)가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는 경우, 가압 돌기(110)는 투명 키패드(100)와 함께 사출 성형되어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압 돌기(110)는 투명 키패드(100)에 표시되는 영상이 왜곡되지 않도록 하는 비교적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키패드(100)에 압력이 가해지면, 가압 돌기(110)가 투명 돔 스위치(200)의 중앙 부분을 눌러 하측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하측으로 이동된 투명 돔 스위치(200)의 중앙 부분 중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 전극(300)에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투명 전극(300)의 상측면에 접촉 패드(320)가 형성 될 수 있으며, 접촉 패드(320)는 투명 전극(300)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접촉 패드(320)는 광투과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패드(320)는 투명 전극(300)과 동일한 물질인 ITO 또는 IZO와 같은 투명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투명 키패드(100)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접촉 패드(320)는 투명 돔 스위치(200)와 투명 전극(300)의 전기적인 접촉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키패드(100)에 압력이 가해지면, 투명 돔 스위치(200)의 중앙 부분이 하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하측으로 이동된 투명 돔 스위치(200)의 중앙 부분 중 적어도 일부분이 접촉 패드(320)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며, 접촉 패드(320)를 통해 투명 돔 스위치(200)와 투명 전극(300)이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도 10은 복수의 키패드들을 포함하는 버튼 입력 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 10에 도시된 버튼 입력 장치의 구성 중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상측에 투명 전극(300)이 위치하며, 투명 전극(300)의 상측에 복수의 투명 돔 스위치들(200)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투명 돔 스위치들(200)의 상측에는 복수의 투명 키패드들(100)이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00)은 복수의 투명 키패드들(100) 각각의 위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들 각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들이 그에 대응되는 투명 키패드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입력 장치의 구성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투명 돔 스위치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투명 돔 스위치의 제조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입력 장치의 구성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버튼 입력 장치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의 단면 구조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입력 장치의 구성에 대한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버튼 입력 장치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의 단면 구조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입력 장치의 구성에 대한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버튼 입력 장치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의 단면 구조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복수의 키패드들을 포함하는 버튼 입력 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Claims (14)

  1. 투명 키패드;
    상기 투명 키패드의 하측에 위치하며, 전도성을 가지는 투명 돔 스위치;
    상기 투명 돔 스위치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투명 키패드를 통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투명 돔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투명 전극; 및
    상기 투명 전극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투명 키패드를 통해 표시될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버튼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돔 스위치는
    투명 돔 구조물; 및
    상기 투명 돔 구조물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전도성 박막을 포함하는 버튼 입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돔 구조물은 광투과성을 가지는 폴리머(polymer)로 구성되는 버튼 입력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돔 구조물은 아크릴(acrylic)로 구성되는 버튼 입력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박막은 광투과성 및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되는 버튼 입력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박막은 상기 투명 돔 구조물의 하측면 상에 금속을 증착 또는 라미네이팅(laminating)하여 형성되는 버튼 입력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극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로 구성되는 버튼 입력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극 중 상기 투명 돔 스위치와 접촉되는 부분은 돔 형태를 가지는 버튼 입력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극 상에 형성되어 상기 투명 돔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접촉 패드를 더 포함하는 버튼 입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패드는 광투과성을 가지는 버튼 입력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키패드는 아크릴로 구성되는 버튼 입력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키패드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이 변화되는 버튼 입력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키패드의 하측면에 형성된 가압 돌기를 더 포함하는 버튼 입력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돌기는 광투과성을 가지는 버튼 입력 장치.
KR1020080132816A 2008-12-24 2008-12-24 버튼 입력 장치 KR101534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816A KR101534855B1 (ko) 2008-12-24 2008-12-24 버튼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816A KR101534855B1 (ko) 2008-12-24 2008-12-24 버튼 입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404A true KR20100074404A (ko) 2010-07-02
KR101534855B1 KR101534855B1 (ko) 2015-07-07

Family

ID=42636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2816A KR101534855B1 (ko) 2008-12-24 2008-12-24 버튼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8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468B1 (ko) * 2011-02-24 2013-02-26 주식회사 마블덱스 영상기기의 채널 변경 방법
US8890667B2 (en) 2010-12-17 2014-11-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haptic information, and button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302A (ja) * 1994-06-27 1996-01-19 Fujikura Ltd タッチキー
JP2004014143A (ja) * 2002-06-03 2004-01-15 Seiko Precision Inc 照光式スイッチ
KR100540780B1 (ko) * 2004-12-15 2006-01-11 주식회사 삼영테크놀로지 일체형 아크릴 터치패드가 구비된 일체형 아크릴 키패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90667B2 (en) 2010-12-17 2014-11-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haptic information, and button having the same
KR101237468B1 (ko) * 2011-02-24 2013-02-26 주식회사 마블덱스 영상기기의 채널 변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4855B1 (ko) 201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42041A1 (en)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TWI465964B (zh) 觸控式鍵盤及其製造方法
KR100856206B1 (ko) 키 패드 및 키 패드 어셈블리
US6924789B2 (en) User interface device
EP1918954B1 (en) Keypad Assembly
CA2824594C (en) Temporary keyboard having some individual keys that provide varying levels of capacitive coupling to a touch-sensitive display
WO2005076117A1 (ja) タッチスクリーン式入力装置
JP5658687B2 (ja) センサー一体照光式キーシート
US20060017708A1 (en) Input device
TW201044431A (en) Mechanical keypad with touch pad function
JP2002202855A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20110181445A1 (en) Key sheet
CN101488409B (zh) 可动触点体及使用该可动触点体的开关
KR20160088491A (ko) 가변 디스플레이 장치
US20090153497A1 (en) User interface device and input element
KR101534855B1 (ko) 버튼 입력 장치
JP2012068724A (ja) 入力装置
EP2224315B1 (en) Keypad assembly using optical shutter and light guide pane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CN101604206A (zh) 键盘装置及笔记本电脑
JP2012059168A (ja) パネル型入力装置
JP2011065407A (ja) タッチパネル
JP2014071791A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た入力装置
KR20110002546A (ko) 터치 패널
US20140054154A1 (en) Ultra-thin computer input device
JP2014093010A (ja) タッチ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