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4115A - 만곡된 각막 채널용 절개 장치 - Google Patents

만곡된 각막 채널용 절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4115A
KR20100074115A KR1020107004242A KR20107004242A KR20100074115A KR 20100074115 A KR20100074115 A KR 20100074115A KR 1020107004242 A KR1020107004242 A KR 1020107004242A KR 20107004242 A KR20107004242 A KR 20107004242A KR 20100074115 A KR20100074115 A KR 20100074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a
blade
incision
channel
bla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크 토말라
겝하르트 토말라
Original Assignee
아크리.테크 게엠베하
토말라 카린
토말라 유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크리.테크 게엠베하, 토말라 카린, 토말라 유타 filed Critical 아크리.테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074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41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13Instruments for compensation of ocular refraction ; Instruments for use in cornea removal, for reshaping or performing incisions in the corn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구의 각막(105)에 만곡된 채널을 절개 형성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장치는, 각막(105)의 곡률 반경에 의해 정해지는 반경 방향으로 각막(105) 상에 안착될 수 있는 홀딩 수단(301, 302)과, 만곡된 채널을 절개 형성하기 위한 만곡된 블레이드(303.3)를 구비한 절개 수단(303)을 포함하며, 홀딩 수단(301, 302)은 반경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진행하는 평면에 채널을 절개 형성하기 위한 블레이드(303.3)를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301.2)을 포함하고, 홀딩 수단(301, 302)은 채널을 절개 형성할 시 블레이드(303.3)의 위치를 반경 방향에서 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만곡된 각막 채널용 절개 장치{CUTTING DEVICE FOR A CURVED CORNEAL CHANNEL}
안구의 시력 결함이 각막의 불완전한 형성에 기인한다면, 그 시력 결함은 각막 내 지지 링(support ring)의 이식에 의해 보정된다. 이와 같은 이식을 시술하기 위해서는, 대개는 2개의 반쪽 링인 상기 링을 위한 수용부로서, 각막에 채널들을 절개 형성해야 한다. 이는, 예컨대 펨토 세컨 레이저(femtosecond laser)를 이용하는 매우 정확한 작동 방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예컨대 반원 링으로서 형성된 블레이드 에지를 이용하는 순수 수작업의 기계식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우선 소정의 깊이까지 도달하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개면이 각막에 설정된다. 이에 뒤이어 블레이드의 선단(peak)은 수직 절개면으로 삽입된다.
[특허문헌]
앞서 설명한 링 블레이드는 예컨대 케라비전(Keravision) 사의 미국 특허 US. 5.403.335로부터 공지되었다.
약 180°에 걸쳐 신장되고 수평으로 연장되는 환형 블레이드는 이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되고 중공 실린더로서 형성되는 손잡이와 연결되며, 그에 따라 그 손잡이를 통해 수작업으로 블레이드 유닛에 대한 조작이 이루어진다.
이미 경사진 블레이드의 안착, 설정 위치로의 복귀, 하방 압축 및 수평 가이드와 동시에 가상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블레이드의 회전은, 시술 시 부정확성과, 특히 각막 관통의 높은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블레이드 유닛을 유지하면서 앞서 언급한 단점 및 위험을 제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장치로부터 출발하여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에 지시된 특징들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제18항의 전제부에 따른 방법으로부터 출발하여 청구항 제18항의 특징부에 지시된 특징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기술적 교시는, 각각의 채널을 절개 형성할 시에 블레이드가 자체 회전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안내될 뿐 아니라 축방향으로는 고정됨으로써 정밀한 절개가 실행될 수 있을 때, 각막 채널들의 특히 바람직하고 정밀한 형상이 달성된다는 점에 있다.
본원의 장치의 구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예의 경우 평면도로 볼 때 반원 표면 형태인 2개의 반쪽부(반원판; half-disk)로 나누어진다.
각막과, 접촉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35 dpt로 아치형 만곡된 반구형 컵(spherical cup)으로서 형성된 장치 간의 연결은 바람직하게는 소개술(evacuation)을 통해 이루어진다.
반구형 컵은 자체 표면에 2가지 특성을 보유할 수 있고, 이 특성들은 각각 소정의 반경에 형성된다. 이와 관련한 특성이란 한편으로 둥근 그루브로서 반구형 컵 내에 형성되어 소개될 수 있는 함몰부(depression)일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변위체(displacer) 또는 블랭크 홀더(blank holder)로서 마찬가지로 반원 내에서 연장되는 박벽의 트러프(trough)일 수 있다.
두 특성의 존재 여부는 가능 조건이긴 하지만, 무조건적인 필요 조건은 아니다. 예컨대 일측의 반쪽부에만 그루브가 제공되고 트러프는 배제될 수 있거나, 또는 트러프가 존재하고 그루브는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후자의 예는, 블레이드가 횡력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운 상태에서 각막 내로 삽입되고 그 각막 내에서 계속 안내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본원의 장치는, 약간만 변형되고 선행 기술에 속하는 블레이드 유닛으로서 각막에서 환형으로 연장되는 채널들을 절개 형성하기 위한 상기 블레이드 유닛의 수용을 허용한다. 블레이드 유닛은 본원의 장치에 중심에 위치되어 회전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된다.
각막에서 경우에 따라 필요한 2개의 반경 방향 절개면을 전제 조건으로 하면, 바람직하게는 일측 반경 방향 절개로부터 출발하여 제2 반경 방향 절개에까지 채널을 안내하는 것이 아니라, 삽입될 지지 링의 고정을 이유로 제2 반경 방향 절개 직전까지만 채널을 절개 형성한다.
이어서 블레이드는 손잡이에서 반대 방향의 회전 운동을 통해 회전 복귀하고 채널은 세정된다.
만일 나머지 각막 반쪽부에도 링 채널을 절개 형성해야 한다면, 본원의 장치는 180°만큼 변위 시키기만 하면 되고, 그에 따라 이미 채널이 제공된 각막 반쪽부는 하방 압착되며, 다른 각막 반쪽부는 경우에 따라 들어올려진다.
나머지 각막 반쪽부에도 채널이 제공되고, 절개 블레이드는 제거되었으며, 그리고 채널이 세정되었다면, 이어서 지지 링은 그 반쪽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런 과정은, 하나의 지지 링만이 이식된다고 하더라도, 본원의 장치를 각막으로부터 제거하기 전에 생각해볼 수 있다.
각막에 2개의 반경 방향 절개면이 경우에 따라 존재하는 것을 전제 조건으로 하면, 하나의 반경 방향 절개면에서 필요한 바와 같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2개의 블레이드를, 더욱 정확하게 말하면 시계 방향의 절개를 위한 하나의 블레이드와 시계 반대 방향의 절개를 위한 제2 블레이드를 이용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은, 종속항들과, 동봉한 도면과 관련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지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1 부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절개선 III-III에 따라 도 2의 부재를 절개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장치의 제2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절개선 V-V에 따라 도 4의 제2 부재를 절개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조립된 상태에서 도 4의 절개선 VI-VI에 따라 도 1 및 도 4의 본원의 장치를 절개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1 부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절개선 IX-IX에 따라) 장치의 부재를 절개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장치의 고정 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고정 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장치를 위한 절개 패턴부(cutting pattern)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절개 패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로서 다음에서는 도 1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본원의 장치(100)의 홀딩 수단이 단순한 반구형 컵으로서, 즉 그루브 없이 형성된 반쪽부(101)를 포함하고, 홀딩 수단이 트러프를 구비하여 형성된 제2 반쪽부(102)를 포함하는 그런 변형예가 설명된다. 상기 두 부재(101 및 102)는 각각 반원형 지지판(101.1, 102.1)을 포함한다. 부재(101)는 베어링 수단의 역할을 하는 중심축(101.2)을 구비하고, 이 중심축에는 절개 수단의 중공 실린더(103.1)가 블레이드 유닛(103)의 형태로 회전 내지 선회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각막(105)의 곡률 반경에 의해 정해지는) 반경 방향에 따른 블레이드 유닛(103)의 높이 조정 가능성 및 조정을 위해, 리셉터클 측에서 부재(101) 상에, 편심된 위치에서, 높이 조정 유닛(104)이 형상 잠금 방식으로 이동되거나 선회된다. 높이 조정 유닛(104)은 고정 가능한 마이크로미터 나사(104.1)(micrometer screw)를 포함한다. 마이크로미터 나사(104.1) 상에는, 높이 조정이 가능한 영역을 형성하는 널드 너트(104.2)가 안착된다. 널드 너트(104.2) 상에는 중공 실린더(103.1)에 위치하는 링 그루브(103.2) 내에 끼워 맞춤식으로 맞물리고, 그에 따라 블레이드 유닛(103)을 설정 높이 위치로 이동시켜 고정 유지하는 요크(104.3)(yoke)가 안착된다.
부재(101)는 블레이드 유닛(103) 및 높이 조정 유닛(104)을 구비하지 않은 상태로 각막(105) 상에 배향되어 위치 결정되고, 진공 성형에 의해 (적합한 채널들(101.3)을 통해) 상기 각막 상에 고정된다. 이어서, 절개 깊이가 조정될 수 있고 부재(101)의 분리 에지(101.4)에서 안내되는 블레이드(미도시)에 의해, 채널 지름 내지 지지 링 지름에 적합하게 조정된 2개의 절개면이 각막(105)에 제공된다. 다시 말하면, 그로 인해 상기 부재(101)는 상기 절개면들을 위한 절개 패턴부를 형성한다.
다음 단계에서는 예컨대 수직의 세로방향 가이드들(101.5, 102.2)을 통해 부재(102)는 부재(101)와 연결되고, 트로프(102.3)는, (반경 방향 절개면과 동일 평면에서) 부재(101) 및 부재(102)의 두 반구형 컵 반쪽부(101.1, 102.1)가 동일한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각막(105) 안쪽으로 밀착된다. 이에 뒤이어 부재(102)의 반구형 컵(102.1)은 마찬가지로 적합한 채널들(102.4)을 통한 소개술에 의해 각막(105)과 견고하게 결합된다.
달리 말하면, 트로프(102.3)는 블랭크 홀더 유닛을 형성하고, 이런 블랭크 홀더 유닛은 채널을 절개 형성할 시에 블레이드(103.3)가 통과하는 블레이드 이동 공간의 영역에 정렬되며, 각막(105)의 부분으로서 실제 절개 시에 채널이 제공되지 않을 부분을 블레이드 이동 공간으로부터 그 외부로 변위시킨다.
그에 따라 롤러 베어링 및/또는 평면 베어링이 구비된 블레이드 유닛(103)은 부재(101)의 중심축(101.2) 상으로 이동된다. 이와 관련하여 블레이드 유닛(103)은, 원호형 블레이드(103.3)가 트로프(102.3)의 원호에 적합하게 도달하는 방식으로 위치 결정된다.
블레이드(103.3)의 높이 조정은 앞서 설명한 높이 조정 유닛(104)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에 뒤이어 블레이드 선단(103.4)은, 블레이드 유닛(103)의 손잡이(103.5)에서 수작업으로 야기되는 회전 또는 선회 운동에 의해, 각막(105)의 트러프 측 반쪽부의 하방 압축에 의해 개방되는 선단벽(105.1) 내로 삽입되고, 약 180°의 원주에서 채널이 절개 형성된다. 블레이드(103.3)는 선회 방향 전환에 의해 회전 복귀되고, 높이 조정 수단(104)은 부재(101) 및 블레이드 유닛(103)으로부터 인출되고 블레이드 유닛(103)은 중심축(101.2)으로부터 제거된다. 부재(102)는 환기되면서, 각막(105) 및 부재(101)로부터 들어올려진다. 부재(101)도 환기되면서 마찬가지로 각막(105)으로부터 제거되거나 또는 180°만큼 회전되어, 반경 방향 절개면에 대한 정확성을 유지하면서, (앞서 절개 형성된) 채널이 제공된 각막(105)의 반쪽부 상에 안착되며, 조립뿐 아니라 (제2 채널의 절개 형성 후) 분해는 공지된 방식으로 실시된다.
절개 형성된 두 채널이 세정된 후에는, 제공되는 지지 링을 이식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에서는 도 7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200)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이 장치(200)는 구성과 작동 방식이 기본적으로 장치(100)에 상응하며, 그에 따라 반복을 피하기 위해 앞의 설명이 참조 되며, 다음에서는 차이점만이 다루어진다. 특히 동일한 형식의 구조 부재에는 100의 값만큼 증가된 도면 부호가 제공된다. 다음에서 반대되는 사항이 설명되지 않는 한, 상기 구조 부재의 특징과 관련하여 분명히 앞의 설명이 참조된다.
도 7은 (도 1의 도면에 상응하는 반쪽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200)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제1 부재(101)에 비해 약간 변형된 제1 부재(201)가 이용된다.
앞서 설명한 변형예에 대한 차이점은, 반경 방향 절개면이 설정된 후, 블레이드(103.3)의 안착을 위해 각막(105)의 선단벽(105.1)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막(105)이 실제로 채널이 제공되지 않을 측면에서 트러프(102.3)에 의해 하방 압착되지 않는다는 점에 있다. 오히려, 각막(105)의 선단벽(105.1)을 들어올리고 그에 따라 블레이드(103.3)의 안착을 위해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블레이드(103)의 곡률에 적합한 그루브(201.6)와, 이 그루브와 연결된 흡입 채널들(201.7)을 통해 각막(105)의 측면이 그루브(201.6) 안쪽으로 (다시 말해 도 7에서는 상부 방향으로) 흡입된다.
달리 말하면, 그루브(201.6) 및 흡입 채널들(201.7)은 리프팅 유닛의 구성요소이고, 리프팅 유닛은 채널을 절개 형성 시에 블레이드(103.3)가 통과하는 블레이드 이동 공간의 영역에 정렬되고, 각막(105)의 부분으로서 실제 절개 시에 채널이 제공될 부분을 블레이드 이동 공간 내로 상승시킨다.
그런 다음 이어서 블레이드(103.3)는 제1 변형예에서와 유사하게 높이 조정 장치(104)를 통해 (그루브(201.6)의 높이에) 위치 결정되고 선단벽(105.1)에 안착되며, (그에 따라 그루브(201.6)에 위치하며), 채널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절개 형성된다.
이때, 그루브 내로 각막(105)의 충분한 흡입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루브의 개방 단부는 덮개부(예: 포일 등)로 덮일 수 있다. 그런 다음 덮개부는 채널의 절개 형성 시에 관통된다.
자명한 사실로서 상기 변형예의 경우 제2 부재(102)는 반드시 요구되지는 않는다. 특히 트러프도 제공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환형의 제2 부재가 (블레이드 유닛(103)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중심축(201.2)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본원의 장치를 지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에서는 도 8 내지 도 13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300)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상기 장치(300)는 구성 및 작동 방식에서 기본적으로 장치(100)에 상응하며, 그에 따라 반복을 피하기 위해 앞의 설명이 참조 되며, 여기서는 차이점만이 다루어진다. 특히 동일한 구조 부재에는 200의 값만큼 증가한 도면 부호가 제공된다. 다음에서 반대되는 사항이 설명되지 않는 한, 상기 구조 부재의 특징과 관련하여 분명히 앞의 설명이 참조된다.
상기 변형예의 경우 본원의 장치(300)의 홀딩 수단은 간단한 반구형 컵으로서, 즉 그루브 없이 형성되는 반쪽부(301)를 포함하고, 그에 반해 제2 반쪽부(302)는 여기서도 트로프 형태의 블랭크 홀더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두 부재(301 및 302)는 상호 간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며, 각각의 반원형 지지판(301.1, 302.1)을 형성한다.
구조 부재(301, 302)는 베어링 수단의 역할을 하는 베어링 부시(301.2)를 포함하며, 이 베어링 부시 내에는 블레이드 유닛(303) 형태인 절개 수단의 핀(303.1)(pin) 형태로 형성되는 샤프트 수단이 회전 내지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핀(303.1)의 단부로서 각막(105)을 향해 있는 말단 단부는 베어링 부시(301.2)의 정지면(301.8)에 안착되며, 그럼으로써 핀(303.1)의 위치는 반경 방향(R) 내에서 정해진다.
블레이드 유닛(303)은 손잡이(303.5)를 포함하고, 이 손잡이에는 블레이드(303.3)가 고정된다. 손잡이(303.5)는 재차 반회전 부재(303.6)(anti-rotation element)를 통해 회전은 불가능하지만 길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핀(303.1)과 연결된다.
(각막(105)의 곡률 반경에 의해 정해지는) 반경 방향(R)에 따라 블레이드 유닛(303)의 높이 조정 가능성 및 조정을 위해, 손잡이(303.5)에서 각막(105)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단부에 높이 조정 유닛(104)이 제공된다. 높이 조정 유닛(104)은 회전 가능하면서 축방향으로는 손잡이(303.5)와 견고하게 체결된 나사 휠(내지 널드 너트)(304.2)을 포함한다. 또한, 나사 휠은 핀(303.1)의 단부 측 나사와 나사 체결된다. 그리고 이런 나사 휠(304.2)을 통해서 블레이드 유닛(303)은 반경 방향(R)에서 원하는 설정 높이 위치(각막(105) 위쪽)로 이동되어 고정 유지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나사 휠(104.2)을 위한 고정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고정부에 의해 한번 조정된 위치의 조정이 억제된다. 상기 고정부는 경우에 따라서는 생략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블레이드 유닛(303)의 작동 시에 조정 불량은 반회전 부재(303.6)로 인해 손잡이(303.5)를 통해 억제되기 때문이다.
구조 부재(301, 302)는 고정 부재(306)의 (도 10 및 도 11에 더욱 상세하게 도시된) 고정 링(306.1)을 통해 고정 유지된다. 고정 링(306.1)은 우선 각막(105)에 안착되어 배향된다. 이어서 흡입 채널들(306.2)을 통해 부압이 생성되며, 이 부압을 통해 고정 링(306.1)은 각막(105) 상에 고정된다.
고정 링(306.1)은 자체 내측면에 톱니 기어부(306.3), 예컨대 평 기어부나, 또는 여타의 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이런 톱니 기어부를 통해 구조 부재(301, 302)는 (적합한 대응 부재에 의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 링(306.1)과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링(306.1)이 각막(105) 상에 배향되어 위치 결정되고, 진공 성형에 의해 상기 각막 상에 고정된 후에, 고정 링(306.1) 내에는 우선적으로 (도 12 및 도 13에 더욱 상세하게 도시된) 절개 패턴부(307)가 삽입된다.
절개 패턴부(307)는 자체 외부 원주부에 톱니 기어부(307.1)를 포함하고, 이 톱니 기어부는 고정 링(306.1)의 톱니 기어부(306.3)와 상호 작용하며, 그에 따라 절개 패턴부(307)를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 링(306.1)과 결합한다. 이어서 흡입 채널들(307.2)을 통해 부압이 생성되며, 이 부압을 통해 절개 패턴부(307)는 각막(105) 상에 고정된다.
이어서, 절개 깊이가 조정될 수 있고 절개 패턴부(307)의 개구부(307.3)를 통해 안내되는 블레이드(미도시)에 의해서, 채널 지름 내지 지지 링 지름에 맞춰 조정된 2개의 절개면이 각막(105)에 제공된다.
그 다음 단계에서, 절개 패턴부(307)가 고정 링(306.1)으로부터 제거되고, 구조 부재(301, 302)는 고정 링(306.1) 내에 삽입된다. 이는, 트러프(302.3)가 (앞서 제공된 반경 방향 절개면과 동일 평면에서) 반구형 컵 반쪽부(301.1)가 각막(105)에 안착될 때까지 각막(105) 내로 밀착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뒤이어 구조 부재(301, 302)는 소개술에 의해 (적합한 채널들(301.3 및 302.4)을 통해) 각막(105)과 견고하게 결합된다.
달리 말하면, 트러프(302.3)는 블랭크 홀더 유닛을 형성하며, 이 블랭크 홀더 유닛은 채널을 절개 형성할 시에 블레이드(303.3)가 통과하는 블레이드 이동 공간의 영역에 정렬되고, 각막(105)의 부분으로서 실제 절개 시에 채널이 제공되지 않을 부분을 블레이드 이동 공간으로부터 그 외부로 변위시킨다.
그런 다음 블레이드 유닛(303)은 핀(303.1)과 함께 베어링 부시(301.2) 내로 삽입된다(베어링 부시는 경우에 따라 대응하는 롤러 베어링 및/또는 평면 베어링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블레이드 유닛(303)은, 원호형 블레이드(103.3)가 끼워 맞춤 방식으로 트러프(302.3)의 원호 내에 도달하는 방식으로 위치 결정된다.
블레이드(303.3)의 높이 조정은 앞서 설명한 높이 조정 유닛(304)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뒤이어 블레이드 선단(303.4)은 블레이드 유닛(303)의 손잡이(303.5)에서 수작업으로 야기되는 회전 또는 선회 운동에 의해, 각막(105)의 트러프 측 반쪽부의 하방 압축에 의해 개방되는 선단벽(105.1) 내로 삽입되고, 약 180°의 원주에서 채널이 절개 형성된다.
블레이드(103.3)는 선회 방향 전환에 의해 회전 복귀되고, 블레이드 유닛(303)은 제거된다. 구조 부재(301, 302)는 환기되고, 고정 링(306.1) 및 각막(105)으로부터 들어올려지며, 경우에 따라서는 180°만큼 회전되고, 다시 반경 방향 절개면에 대한 정확성을 유지하면서 각막(105)에 안착되며, 그리고 조립뿐 아니라, (제2 채널의 절개 형성 후) 분해는 공지된 방식으로 실시된다.
고정 링에는 구조 부재(301, 302)의 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눈금 또는 마커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런 마커는 경우에 따라 이미 반경 방향 절개면을 설정할 시에도 절개 패턴부(307)에 의해 이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반경 방향 절개면에 대한 정확성을 유지하는, 구조 부재들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한다.
절개 형성된 두 채널이 세정된 후에는, 제공되는 지지 링을 이식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다음에서는 도 14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400)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상기 장치(400)는 구성 및 작동 방식에서 기본적으로 장치(300)에 상응하며, 그에 따라 반복을 피하기 위해 앞의 설명이 참조 되며, 여기서는 차이점만이 다루어진다. 특히 동일한 구조 부재에는 100의 값만큼 증가한 도면 부호가 제공된다. 다음에서 반대되는 사항이 설명되지 않는 한, 상기 구조 부재의 특징과 관련하여 분명히 앞의 설명이 참조된다.
도 14는 (도 8의 도시에 상응하는 부분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400)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변형예의 경우 높이 조정 유닛은 교환 가능한 스페이서 링(404)에 의해 실현된다. 스페이서 링을 통해서는 블레이드(303.3)의 높이 조정이 반경 방향(R)에서 실행될 수 있다.
블레이드 유닛(403)은, 핀(403.1)이 손잡이(403.5)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점에서만 블레이드 유닛(303)과 차이가 있다.

Claims (21)

  1. 안구의 각막(105)에 만곡된 채널을 절개 형성하기 위한 장치이며,
    - 상기 각막(105)의 곡률 반경에 의해 정해지는 반경 방향에서 상기 각막(105)에 안착될 수 있는 홀딩 수단(101, 102; 201; 301, 302)과,
    - 만곡된 채널을 절개 형성하기 위한 만곡된 블레이드(103.3; 303.3; 403.3)를 구비한 절개 수단(103; 303; 403)을 포함하며,
    - 상기 홀딩 수단(101, 102; 201; 301, 302)은 반경 방향에 횡방향으로 진행하는 평면에서 채널을 절개 형성하기 위한 상기 블레이드(103.3; 303.3; 403.3)를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101.2; 201.2; 301.2)을 포함하는, 안구의 각막에 만곡된 채널을 절개 형성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 상기 홀딩 수단(101, 102; 201; 301, 302)은, 반경 방향에서 채널을 절개 형성할 시에 상기 블레이드(103.3; 303.3; 403.3)의 위치를 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 상기 홀딩 수단(101, 102; 201; 301, 302)은 블랭크 홀더 유닛(102.3; 302.3)을 포함하고,
    - 상기 블랭크 홀더 유닛(102.3; 302.3)은 채널을 절개 형성할 시에 상기 블레이드(103.3; 303.3; 403.3)가 통과하는 블레이드 이동 공간의 영역에 정렬되며,
    - 상기 블랭크 홀더 유닛(102.3; 302.3)은, 상기 각막(105)의 부분으로서 실제 절개 시에 채널이 제공되지 않을 부분을 상기 블레이드 이동 공간으로부터 그 외부로 변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 홀더 유닛은 상기 블레이드(103.3; 303.3; 403.3)를 수용하기 위해 트러프 형태로 형성되는 구간(102.3; 30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홀딩 수단(201)은 리프팅 유닛(201.6, 201.7)을 포함하고,
    - 상기 리프팅 유닛(201.6, 201.7)은 채널을 절개 형성할 시에 상기 블레이드(103.3)가 통과하는 블레이드 이동 공간의 영역에 정렬되며,
    - 상기 리프팅 유닛(201.6, 201.7)은, 상기 각막(105)의 부분으로서 실제 절개 시에 채널이 제공될 부분을 상기 블레이드 이동 공간 내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유닛은 상기 블레이드(103.3)를 수용하기 위해 트러프 형태로 형성되는 구간(20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유닛은, 트러프 형태로 형성되는 구간(201.6) 내로 상기 각막(105)의 부분으로서 실제 절개 시에 채널이 제공될 부분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 수단(20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높이 조정 유닛(104; 304; 404)이 제공되며, 이 높이 조정 유닛을 통해서는, 상기 각막(105)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103.3; 303.3; 403.3)의 위치가 반경 방향에 따라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정 유닛(104; 304)은 상기 각막(105)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103.3; 303.3)의 위치를 반경 방향에 따라 조정하는 나사 수단(104.1, 104.2; 30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정 유닛은, 상기 각막(105)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403.3)의 위치를 반경 방향에 따라 조정하는, 교환 가능한 스페이서 부재(4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홀딩 수단(101, 102; 201; 301, 302)은 상기 블레이드(103.3; 303.3; 403.3)를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수단(101.2; 301.2)을 포함하며,
    - 상기 베어링 수단(101.2; 301.2)은 실제 절개 중에 상기 블레이드(103.3; 303.3; 403.3)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블레이드(103.3; 303.3; 403.3)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 상기 절개 수단(103; 303; 403)은 상기 블레이드(103.3; 303.3; 403.3)가 고정되는 손잡이 수단(103.1, 103.5; 303.5; 403.5)을 포함하며,
    - 상기 손잡이 수단(103.1, 103.5; 303.5; 403.5)은 실제 절개 중에 상기 블레이드(103.3; 303.3; 403.3)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베어링 수단(101.2; 301.2)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 상기 손잡이 수단(103.1, 103.5; 303.5; 403.5)은 샤프트 부재(303.1; 403.1)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수단은 베어링 부시(301.2)를 포함하며,
    - 상기 샤프트 부재(303.1; 403.1)는 실제 절개 중에 상기 블레이드(303.3; 403.3)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베어링 부시(301.2)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수단(101, 102; 201; 301, 302)은 상기 각막(105)에 상기 가이드 수단(101.2; 201.2; 301.2)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101.3, 102.4; 30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 상기 고정 수단(306)은 부압에 의해 안구에 고정될 수 있는 링 모양 부재(306.1)를 포함하며,
    - 상기 가이드 부재(301.2)는 특히 톱니 기어부(306.3)를 통해 상기 링 모양 부재(306.1)와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안구의 각막(105)에 만곡된 채널을 절개 형성하기 위한 기구 세트이며,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장치(300, 400)와,
    - 상기 각막(105)에 반경 방향으로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면을 제공하기 위한 절개 패턴부(307)를 포함하는 상기 기구 세트에 있어서,
    - 홀딩 수단(301, 302)은 상기 각막(105)에 고정 수단(301.2) 및 절개 패턴부(307)를 선택에 따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306)을 포함하는 기구 세트.
  16. 제15항에 있어서,
    - 상기 고정 수단(306)은 부압에 의해 안구에 고정될 수 있는 링 모양 부재(306.1)를 포함하며,
    - 가이드 수단(302.1) 및/또는 상기 절개 패턴부(307)는 특히 톱니 기어부(306.3, 307.1)를 통해서 상기 링 모양 부재(306.1)와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세트.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패턴부(307)는 특히 부압에 의해 안구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세트.
  18. 안구의 각막(105)에 만곡된 채널을 절개 형성하기 위한 방법이며,
    - 홀딩 수단(101, 102; 201; 301, 302)은 상기 각막(105)의 곡률 반경에 의해 정해지는 반경 방향에서 상기 각막(105)에 안착되고,
    - 만곡된 블레이드(103.3; 303.3; 403.3)를 포함하는 절개 수단(103; 303; 403)에 의해, 상기 각막(105)에 만곡된 채널이 절개 형성되며,
    - 상기 블레이드(103.3; 303.3; 403.3)는 반경 방향에 횡방향으로 진행하는 평면에 채널을 절개 형성할 시에 상기 홀딩 수단(101, 102; 201; 301, 302)의 가이드 수단(101.2; 201.2; 301.2)에 의해 안내되는,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03.3; 303.3; 403.3)의 위치는 반경 방향에서 채널을 절개 형성할 시에 상기 홀딩 수단(101, 102; 201; 301, 302)에 의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채널을 절개 형성할 시에 상기 각막(105)의 부분으로서 실제 절개 시에 채널이 제공되지 않을 부분이, 블랭크 홀더 유닛(102.3; 302.3)에 의해, 채널의 절개 형성 시 상기 블레이드(103.3; 303.3; 403.3)가 통과하는 블레이드 이동 공간으로부터 그 외부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채널을 절개 형성할 시에, 상기 각막(105)의 부분으로서 실제 절개 시에 채널이 제공될 부분이, 리프팅 유닛(201.6)에 의해, 특히 부압에 의해, 채널을 절개 형성할 시에 상기 블레이드(103.3)가 통과하는 블레이드 이동 공간 내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막(105)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103.3)의 위치는 반경 방향에 따라 높이 조정 유닛(104; 304; 404)을 통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07004242A 2007-07-26 2008-07-28 만곡된 각막 채널용 절개 장치 KR201000741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35447A DE102007035447A1 (de) 2007-07-26 2007-07-26 Vorrichtung für die Verwendung eines kreisförmigen Messers zum Schneiden eines ebenso geformten Kanals in die Hornhaut des Auges
DE102007035447.0 2007-07-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115A true KR20100074115A (ko) 2010-07-01

Family

ID=40028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242A KR20100074115A (ko) 2007-07-26 2008-07-28 만곡된 각막 채널용 절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211089A1 (ko)
EP (1) EP2173292A1 (ko)
KR (1) KR20100074115A (ko)
DE (1) DE102007035447A1 (ko)
WO (1) WO20090130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76819A (zh) * 2014-04-23 2014-08-13 王超庆 角膜移植钻台架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5838B2 (ja) 1992-04-10 2003-06-09 ケラビジョ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角膜の真空センタリングガイドおよび解剖装置
US5405355A (en) * 1993-09-10 1995-04-11 Vitrophage, Inc. Method of radial keratotomy employing a vibrating cutting blade
US6197038B1 (en) * 1997-11-17 2001-03-06 O'donnell, Jr. Francis E. Apparatus for lamellar keratoplasty
US20010053917A1 (en) * 2000-06-16 2001-12-20 Chwen-Yih Lin Non-plane cut microkeratome and method of performing non-plane keratotomy
US6649061B2 (en) * 2000-12-28 2003-11-18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Membrane process for separating sulfur compounds from FCC light naphtha
FR2820026B1 (fr) * 2001-02-01 2004-02-06 Gilbert Cohen Dispositif pour le traitement ocula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7035447A1 (de) 2009-01-29
EP2173292A1 (de) 2010-04-14
US20100211089A1 (en) 2010-08-19
WO2009013023A1 (de) 200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0301A (en) Cam guided corneal trephine
US5441511A (en) Keratotome for performing arcuate incisions
US4423728A (en) Cam-guided trephine
US7922735B2 (en) Device for cutting the cornea of an eye
US5486188A (en) Keratoscopic surgical instrument for making radial and arcuate corneal incisions
US4750491A (en) Trephine and method
EP0147318B1 (fr) Appareil chirurgical pour kératotomie radiaire
CA2211538A1 (en) Patella clamp apparatus
JPS6133588B2 (ko)
AU2005220247A1 (en) Acetabular rim cutter
US5312428A (en) Corneal punch and method of use
US6045562A (en) Cornea surgical operation apparatus
US4763651A (en) Trephine and method
US20070083221A1 (en) Precision trephine
KR20100074115A (ko) 만곡된 각막 채널용 절개 장치
GB2242835A (en) Surgical knife
KR20150092723A (ko) 스카이빙 공구
US20220009119A1 (en) Cutting apparatus
US5084059A (en) Cornea trephine instrument
US5092874A (en) Penetrating keratoplasty trephination press
US5226905A (en) Instrument for surgery of the cornea
US200200655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removal of a corneal graft
CA2947413A1 (en) Device for facilitating artificial prosthesis installation with measured applied pressure and method therefor
US9402746B2 (en) Device for facilitating artificial prosthesis installation with measured applied pressure and method therefor
JP2002136540A (ja) 患者の眼に角膜を移植するため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