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3231A - 위상차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위상차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3231A
KR20100073231A KR1020080131846A KR20080131846A KR20100073231A KR 20100073231 A KR20100073231 A KR 20100073231A KR 1020080131846 A KR1020080131846 A KR 1020080131846A KR 20080131846 A KR20080131846 A KR 20080131846A KR 20100073231 A KR20100073231 A KR 20100073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quid crystal
retardation
cellulose ester
alignmen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1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유진
박준백
최성혁
조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080131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3231A/ko
Publication of KR20100073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3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2Holograms used as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1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with a spatial distribution of the retardation valu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께방향 리타데이션(Rt)/면방향 리타데이션(R0)이 0.4 이상 0.8 미만인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 상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 상에 위치하는 배향층; 및 상기 배향층 상에 위치하는 액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상차 필름, 배향, 두께방향 리타데이션, 면방향 리타데이션

Description

위상차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A PHASE DIFFERENCE FILM AND A FABR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위상차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께방향 리타데이션(Rt)/면방향 리타데이션(R0)이 0.4 이상 0.8 미만인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을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이하 ‘FPD’라 함)는 최첨단 반도체 기술을 바탕으로 1970년대 이후 계속적인 성장을 거듭하여 현재는 전세계적인 시장을 형성하며 그 규모를 꾸준히 넓혀가고 있다. FPD 중, 특히 이등방성 물질인 액정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evice, 이하 ‘LCD’함)는 그 특성이 우수하여 타 FPD에 비해 늦은 출발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FPD시장에서 가장 각광을 받고 있으며, 그 산업 기반 또한 상당히 두텁다. LCD는 얇고 가벼우며, 저소비전력과 저동작전압 등을 갖추고 있는 것이 최대의 특징이다. 이 때문에 현재 각종 FPD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될 정도로 성장하였으며, 응용분야는 민생분야에서 산업분야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LCD는 저소비전력으로 장시간의 전지구동이 가능하며 저전압에서 동작하므로 직접 IC 구동이 가능하고 구동전자회로의 소형화, 간략화가 가능하다. 또한 LCD는 소자가 얇고, 또한 대형표시에서부터 소형표시까지 가능하며, 표시의 컬러화가 쉽기 때문에 표시기능의 확대, 다양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LCD는 표시 콘트라스트가 보는 방향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아서 시각에 제약을 받는다.
한편, LCD가 본격적으로 전자기기에 채용되기 시작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고 지금까지 30년 정도의 역사에 지나지 않는다. 이 사이에 LCD 기술도 TN-LCD에서 STN-LCD, MIM-LCD, TFT-LCD로 발전하였고, 더불어 LCD의 표시성능도 현저하게 향상되었으며, 박형, 경량, 저소비전력이라는 특징으로 CRT에서는 어려운 새로운 분야에서의 수요를 창출해 왔다. 하지만, TN 모드의 좁은 시야각 문제로 인해 30˚이상의 대형 화면의 LCD에서 사용되기 힘들다. 따라서, 최근에 광시야각 특성을 가지는 다양한 액정 모드가 개발되고 상용화 중이다. 특히 엘지. 필립스. 엘시디와 히타치는 인-플래인 스위칭(In-Plane Switching: IPS) 모드, 후지쯔는 멀티-도메인 버티칼 얼라인먼트(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 MVA), 삼성은 패턴드 버티칼 얼라인먼트(Patterned Vertical Alignment: PVA) 모드를 채용하여 생산 중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높은 공정마진과 낮은 생산비용으로 인해 TV 이외의 중소형 디스플레이와 대형 모니터에도 TN 모드가 대부분 적용되고 있다. 그리고 TN 모드의 단점인 시야각을 향상시키기 위해 후지필름 사의 WV (wide view) 필름이 대부분 적용되고 있다. 즉, 기존 TN 모드는 IPS나 FFS에 비해 시야각 특성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보상필름을 이용해 시야각을 향상시킨 WV-TN 모드가 연구되었고 나아가 보상필름의 특성을 조절하여 시야각 특성을 더욱 개선하였다. 특히 최근에 개발된 WV-EA TN은 시야각 특성이 명암대비비 10:1 이상인 영역이 좌우상하 80°, 80°, 80°, 75°로써 기존 TN 모드가 좌우상하 40°, 40°, 15°, 30°의 시야각 특성보다 크게 개선된 것을 볼 수 있다. 게다가 기존에 WV 필름으로 두 장의 TAC 필름과 점착제를 사용하여 편광판의 두께가 증가되고 점착제로 인한 신뢰성 문제가 발생했는데 최근에는 한 장의 TAC 필름을 사용하여 점착제를 제거하고 TAC필름의 Rt를 조절하여 시야각 보상은 더욱 우수하고 얇게 생산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WV필름을 적용한 TN모드는 상하시야각에서 여전히 많은 약점을 안고 있다. 등록특허 10-0757637에서 두께방향 리타데이션(Rt)와 면방향 리타데이션(Ro)의 비 Rt/Ro가 0.8 내지 4.0 범위의 셀룰로스에스테르 기재층 위에 액정성 화합물의 배향을 고정한 필름특허가 출원 등록되었다.
그러나, 실제로 시야각 개선에 좋은 Rt/Ro 범위는 1.1 내지 1.3 범위이고, 셀룰로스에스테르 연신에 의해 이 범위를 구현하기는 지극히 어렵다. 셀룰로스에스테르 필름 연신에 의해 구현되는 범위는 Rt/Ro가 0.4 내지 0.8 또는 2.0 이상이 되는 것이 공정 및 재료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재층 위에 액정성 화합물 배향을 시키려면 배향층이 필요하다. 기재층 자체에 러빙 배향처리하여도 액정이 어느 정도 배향되지만 배향력이 약하여 정면 콘트라스트가 저하될 위험이 크다.
본 발명의 목적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의 두께방향 리타데이션과 면방향 리타데이션을 최적화하여 보다 넓은 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는 위상차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층의 배향을 안정화시켜 정면 콘트라스트비가 향상된 위상차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두께방향 리타데이션(Rt)/면방향 리타데이션(R0)이 0.4 이상 0.8 미만인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 상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 상에 위치하는 배향층; 및 상기 배향층 상에 위치하는 액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의 면방향 리타데이션(R0)이 100 내지 160㎚이고 두께방향 리타데이션(Rt)이 40 내지 1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향층의 두께방향 라티데이션(Rt)이 4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향층이 디스코틱(discotic)형 화합물 또는 콜레스테릭(cholesteric)형 액정성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액정층이 하이브리드 배향의 봉상형 액정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두께방향 리타데이션(Rt)/면방향 리타데이션(R0)이 0.4 이상 0.8 미만인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을 제공하는 단계; b)상기 기재층 상에 배향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c)상기 배향층 상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b)단계가 상기 기재층 상에 디스코틱형 화합물을 스핀코팅하고, 110 내지 130℃에서 열경화하는 단계; 및 상기 열경화된 디스코틱형 화합물을 배향처리하여 배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b)단계가 상기 기재층 상에 콜레스테릭형 액정성 화합물을 스핀코팅하고, 60 내지 100℃에서 열처리한 후, 365㎚ 기준으로 18 내지 22mJ 세기의 자외선을 이용해 광경화하는 단계; 및 상기 광경화된 콜레스테릭형 액정성 화합물을 배향처리하여 배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c)단계가 상기 배향층 상에 하이브리드 배향의 봉상형 액정성 화합물을 스핀코팅하고, 60 내지 100℃에서 열처리한 후, 365㎚ 기준으로 18 내지 22mJ 세기의 자외선을 이용해 경화하여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의 두께방향 리타데이션과 면방향 리타데이션을 최적화하여 보다 넓은 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고, 공정 및 재료 측면에서 실제 구현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은 디스코틱형 화합물 또는 콜레스테릭형 액정성 화합물을 형성한 후, 배향처리하여 배향층을 형성하고, 액정층을 형성하므로, 액정층의 배향을 안정화시켜 정면 콘트라스트비가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상차 필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상차 필름(10)은 기재층(110), 상기 기재층(110) 상에 위치한 배향층(120) 및 상기 배향층(120) 상에 위치한 액정층(130)을 포함한다.
상기 기재층(110)은 두께방향 리타데이션(Rt)/면방향 리타데이션(R0)이 0.4 이상 0.8 미만인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이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상기 액정층의 액정성 화합물의 면방향 리타데이션과 두께방향 리타데이션을 최적화하기 쉬워져 보다 넓은 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은 면방향 리타데이션(R0)이 100 내지 160㎚이고, 두께방향 리타데이션(Rt)이 40 내지 128㎚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두께방향 리타데이션(Rt)는 하기 식 1으로 계산되고, 면 방향 리타데이션(R0)는 하기 식 2로 계산된다.
<식 1>
Rt={(nx-ny)/2-nz}xd
<식 2>
R0=(nx-ny)xd
상기 식 1 및 2에서, nx: 필름 폭방향의 굴절율, ny: 필름 길이 방향의 굴절율, nz: 필름 두께 방향의 굴절율, d: 필름의 두께이다.
상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은 아세틸기 치환도가 1 내지 3, 프로피오닐기 치환도가 0.7 내지 0.9인 원료를 유기용매에 녹여 용액유연을 한 후, 잔류용매가 25 내지 35%인 상태에서 가열하여, 폭 방향으로 1.1 내지 1.5배 텐터 연신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기용매는 메틸클로라이드 및 메틸알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층(110)의 두께는 4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편광판용 광학 지지체로서 PVA 편광자 보호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110) 상에 위치하는 배향층(120)은 두께방향 라티데이션(Rt)은 4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상기 액정층(130)의 배향을 안정화시켜, 정면 콘트라스트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배향층(120)은 디스코틱(discotic)형 화합물 또는 콜레스테릭(cholesteric)형 액정성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디스코틱형 액성정 화합물은 디스크 형태의 강직 구조인 방향족 코어(core) 둘레에 유연구조인 알킬기가 치환된 유기물이다. 상기 디스코틱형 화합물의 예로는 폴리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콜레스테릭형 액정성 화합물은 콜레스테릭기(C27H45-)를 갖는 콜레스테롤 유도체이다. 콜레스테릭형 액정성 화합물은 선광성, 선택광 산란, 원편광 이색성 등의 특수한 광학적 성질을 가지며, 그 광학적 성질은 전압 인가나 온도 변화 등으로 예민하게 변화한다.
상기 배향층(120)을 상기 기재층(110) 상에 형성하는 단계는 배향층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배향층 조성물을 배향처리하여 배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향층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배향층 조성물이 디스코틱형 화합물일 경우, 상기 기재층 상에 디스코틱형 화합물을 스핀코팅하고, 110 내지 130℃에서 열경화하는 단계; 및 상기 열경화된 디스코틱형 화합물을 배향처리하여 배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향층 조성물이 콜레스테릭형 액정성 화합물일 경우, 상기 기재층 상에 콜레스테릭형 액정성 화합물을 스핀코팅하고, 60 내지 100℃에서 열처리한 후, 365㎚ 기준으로 18 내지 22mJ 세기의 자외선을 이용해 광경화하는 단계; 및 상기 광경화된 콜레스테릭형 액정성 화합물을 배향처리하여 배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향층(120)의 두께는 0.3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배향층으로서 러빙처리가 용이하며 충분한 Rt 값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배향층(120) 상에 위치하는 액정층(130)은 하이브리드 배향의 봉상형 액정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액정층이 하이브리드 배향이므로, 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봉상형 액정이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 쪽은 낮은 틸트이고, 상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과 멀어질수록 높은 틸트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액정층(130)의 광축은 상기 기재층(110)의 광축과 서로 직교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정층(130)을 상기 배향층(120) 상에 형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배향층 상에 하이브리드 배향의 봉상형 액정성 화합물을 스핀코팅하고, 60 내지 100℃에서 열처리한 후, 365㎚ 기준으로 18 내지 22mJ 세기의 자외선을 이용해 경화하여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정층(130)의 두께는 0.3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TN 모드의 시야각을 충분히 보상할 리타데이션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시험예, 및 실시예 등을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에 기재된 제조예, 시험예, 및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 1, 2, 비교예 1 및 2: 위상차 필름의 제조
<실시예 1>
아세틸기 치환도가 2, 프로피오닐기 치환도가 0.8인 원료를 메틸클로라이드 및 메틸알콜로 이루어진 유기용매에 녹여 용액 유연을 하였다. 그 후, 잔류 용매가 30%인 상태에서, 140℃온도에서 가열하면서, 폭방향으로 1.3배 텐터 연신을 하여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 상에 바스프사의 LC242와 LC756을 혼합한 자외선 경화형 콜레스테릭형 액정성 화합물을 코팅한 후, 80℃에서 3분 동안 열처리를 한 후, 365nm 기준으로 20mJ 세기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하였다. 상기 경화된 콜레스테릭형 액정성 화합물 상에 러빙 배향처리를 하여 배향층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배향층 상에 머크사의 자외선 경화형 하이브리드 배향의 봉상형 액정을 코팅하고, 80℃에서 3분 동안 열처리를 한 후, 365nm 기준으로 20mJ 세기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하여 액정층을 제조하였다. 이때, 액정층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과 광축이 서로 직교가 되도록 배치하였다.
상기 위상차 필름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의 Rt/R0는 0.7이고, 배향층의 R0은 0㎚이고, Rt는 50㎚이고, 액정층의 R0는 60㎚이고, 하이브리드 배향에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 쪽은 3˚, 에어(Air) 쪽은 87˚인 선형분포특성의 틸트(tilt)각 분포를 갖는다.
<실시예 2>
아세틸기 치환도가 2, 프로피오닐기 치환도가 0.8인 원료를 메틸클로라이드 및 메틸알콜로 이루어진 유기용매에 녹여 용액 유연을 하였다. 그 후, 잔류 용매가 30%인 상태에서, 140℃온도에서 가열하면서, 폭방향으로 1.3배 텐터 연신을 하여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배향층으로서 디스코틱형 화합물인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고분자를 분자량 50,000으로 합성한 후, MEK:NMP 비율이 9:1인 유기용매로 용해하여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디스코틱형 화합물을 상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 상에 코팅하고, 120℃에서 5분 동안?열 경화하였다. 상기 경화된 디스코틱형 화합물 상에 러빙 배향처리를 하여 배향층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88147718-PAT00001
이어서, 상기 배향층 상에 머크사의 자외선 경화형 하이브리드 배향의 봉상형 액정을 코팅하고, 80℃에서 3분 동안 열처리를 한 후, 365nm 기준으로 20mJ 세기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하여 액정층을 제조하였다. 이때, 액정의 광축과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의 광축이 서로 직교가 되도록 배치하였다.
상기 위상차 필름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의 Rt/R0는 0.7이고, 배향층의 R0은 0㎚이고, Rt는 50㎚이고, 액정층의 R0는 60㎚이고, 하이브리드 배향에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 쪽은 3˚, 에어(Air) 쪽은 87˚인 선형분포특성의 틸트(tilt)각 분포를 갖는다.
<비교예 1>
아세틸기 치환도가 2, 프로피오닐기 치환도가 0.8인 원료를 메틸클로라이드 및 메틸알콜로 이루어진 유기용매에 녹여 용액 유연을 하였다. 그 후, 잔류 용매가 30%인 상태에서, 140℃온도에서 가열하면서, 폭방향으로 1.2배 텐터 연신을 하여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을 제조하였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의 리타데이션을 측정한 결과 550nm 파장 기준으로 Rt/Ro = 0.9이었다.
이어서, 배향층으로서 디스코틱형 화합물을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 리이미드 고분자를 분자량 50,000으로 합성한 후, MEK:NMP 비율이 9:1인 유기용매로 용해하여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디스코틱형 화합물을 상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 상에 코팅하고, 120℃에서 5분 동안 열 경화하였다. 상기 경화된 디스코틱형 화합물 상에 러빙 배향처리를 하여 배향층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머크사의 자외선 경화형 하이브리드 배향의 봉상형 액정을 코팅하고, 80℃에서 3분 동안 열처리를 한 후, 365nm 기준으로 20mJ 세기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하여 액정층을 제조하였다. 이때, 액정층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과 광축이 서로 직교가 되도록 배치하였다.
상기 위상차 필름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의 Rt/R0는 0.9이고, 배향층의 R0은 0㎚이고, Rt는 50㎚이고, 액정층의 R0는 60㎚이고, 하이브리드 배향에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 쪽은 3˚, 에어(Air) 쪽은 87˚인 선형분포특성의 틸트(tilt)각 분포를 갖는다.
<비교예 2>
후지사의 WV 위상차 필름을 비교예 2로 제공하였다.
시험예: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LCD의 특성 평가
유전율 이방성 Δε> 0이고, 액정의 굴절율이 각각 ne=1.6, no=1.5이며, 액정 패널의 두께가 4.5㎛인 LCD 패널과 실시예 1, 2, 비교예 1 및 2의 위상차 필름을 각각 포함하는 LCD를 제조하였다. 상기 LCD에서는 도 3와 같이 편광소자를 45 °각도로 놓았으며, 편광소자의 투과축과 LCD 패널의 광축이 수직하게 되도록 배치하였다. LCD패널의 상하 모두 도 3와 같이 LCD 패널, 셀룰로스에스테르 기재층, 배향층, 액정층, 편광소자 순서로 적층하였다. 편광소자로는 PVA에 요오드 염착한 것을 길이 방향으로 5배 연신한 필름을 사용하였고, 실시예 1, 2, 비교예 1 및 2의 위상차 필름과 PVA접착제로 부착한 후 다시 점착제(소켄사)를 사용하여 LCD 패널에 부착하였다. 또한, 편광소자의 투과축과 액정층 광축이 수직하게 놓이도록 배치하였으며, 편광소자의 투과축과 셀룰로스에스테르 지지체의 광축이 평행하도록 배치하였다.
도 4은 실시예 1의 위상차 필름을 포함한 LCD 패널의 시야각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5는 실시예 2의 위상차 필름을 포함한 LCD 패널의 시야각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6는 비교예 1의 위상차 필름을 포함한 LCD 패널의 시야각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7은 비교예 2의 위상차 필름을 포함한 LCD 패널의 시야각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를 포함하는 LCD 패널의 시야각이 비교예 1 및 2를 포함하는 LCD 패널의 시야각보다 넓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상차 필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상차 필름의 하이브리드 배향을 설명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위상차 필름의 하이브리드 배향을 설명한 개념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위상차 필름을 포함한 LCD 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 2의 위상차 필름을 포함한 LCD 패널의 시야각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6은 비교예 1의 위상차 필름을 포함한 LCD 패널의 시야각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7은 비교예 2의 위상차 필름을 포함한 LCD 패널의 시야각을 측정한 결과이다.

Claims (9)

  1. 두께방향 리타데이션(Rt)/면방향 리타데이션(R0)이 0.4 이상 0.8 미만인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
    상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 상에 위치하는 배향층; 및
    상기 배향층 상에 위치하는 액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은 면방향 리타데이션(R0)이 100 내지 160㎚이고 두께방향 리타데이션(Rt)이 40 내지 1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향층의 두께방향 라티데이션(Rt)은 4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향층은 디스코틱(discotic)형 화합물 또는 콜레스테 릭(cholesteric)형 액정성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하이브리드 배향의 봉상형 액정성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6. a)두께방향 리타데이션(Rt)/면방향 리타데이션(R0)이 0.4 이상 0.8 미만인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층을 제공하는 단계;
    b)상기 기재층 상에 배향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c)상기 배향층 상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기재층 상에 디스코틱형 화합물을 스핀코팅하고, 110 내지 130℃에서 열경화하는 단계; 및
    상기 열경화된 디스코틱형 화합물을 배향처리하여 배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기재층 상에 콜레스테릭형 액정성 화합물을 스핀코팅하고, 60 내지 100℃에서 열처리한 후, 365㎚ 기준으로 18 내지 22mJ 세기의 자외선을 이용해 광경화하는 단계; 및
    상기 광경화된 콜레스테릭형 액정성 화합물을 배향처리하여 배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배향층 상에 하이브리드 배향의 봉상형 액정성 화합물을 스핀코팅하고, 60 내지 100℃에서 열처리한 후, 365㎚ 기준으로 18 내지 22mJ 세기의 자외선을 이용해 경화하여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080131846A 2008-12-23 2008-12-23 위상차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732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846A KR20100073231A (ko) 2008-12-23 2008-12-23 위상차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846A KR20100073231A (ko) 2008-12-23 2008-12-23 위상차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231A true KR20100073231A (ko) 2010-07-01

Family

ID=42636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1846A KR20100073231A (ko) 2008-12-23 2008-12-23 위상차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32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2005B2 (ja) 偏光素子、液晶パネル、液晶テレビおよび液晶表示装置、ならびに偏光素子の製造方法
CN106461845B (zh) 层叠体及其制造方法、偏振片、液晶显示装置、有机el显示装置
JP6427340B2 (ja) 光学異方性層とその製造方法、積層体とその製造方法、偏光板、液晶表示装置及び有機el表示装置
JP4847673B2 (ja) 正および負の複屈折リタデーションフィルムを含む補償板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
US873043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retardation film formed of liquid crystalline polyimide having photoreactive group
JP2015038598A (ja) 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070056055A (ko) Lcd 교차 편광판을 통한 빛의 누출의 제거를 위한 보상필름
WO200706978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WO2009078227A1 (ja) 液晶表示装置
JP5911666B2 (ja) 光学的補償フィルム
TW200846729A (en) Laminate,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10062475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2001055573A5 (ko)
CN104342167A (zh) 聚合性液晶组合物及其显示器件
JP2009086260A (ja) 位相差フィルム
JP2000066192A (ja) 光学素子用フィルム
KR101756563B1 (ko) 중합성 액정 화합물, 액정 조성물, 고분자 재료와 그 제조 방법 및 필름
JP4413117B2 (ja) 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液晶表示装置及び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1188125A (ja) 位相差フィルム
JPH10332933A (ja) 光学異方素子
JP2006056822A (ja) 液晶性ジ(メタ)アクリレート化合物及びこれを用いた位相差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並びに液晶表示装置
KR20100073751A (ko) O-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4081622A (ja) 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ならびに、位相差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2009244770A (ja) 光学補償フィルム及び液晶表示装置
KR20100073231A (ko) 위상차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