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3028A -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을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을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3028A
KR20100073028A KR1020080131606A KR20080131606A KR20100073028A KR 20100073028 A KR20100073028 A KR 20100073028A KR 1020080131606 A KR1020080131606 A KR 1020080131606A KR 20080131606 A KR20080131606 A KR 20080131606A KR 20100073028 A KR20100073028 A KR 20100073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data
cda
platform
stand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1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4111B1 (ko
Inventor
임준호
정호열
김민호
박수준
박선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31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111B1/ko
Priority to US12/505,094 priority patent/US20100161354A1/en
Publication of KR20100073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3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개인 헬스 디바이스 기반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을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개인 헬스 디바이스에 의해 건강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건강 데이터를 자동으로 플랫폼을 거쳐 다양한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에 이용되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인 헬스 디바이스로부터 PHD 표준 개인별 건강 데이터를 수집하여 CDA 표준 데이터로 변환하여 정보 수집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측정 플랫폼 및 전송된 CDA 표준 데이터를 이용해 복합 CDA 표준 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비스에 제공하는 정보 수집 플랫폼을 포함한다.
Figure P1020080131606
헬스 케어, PHD, HL7 CDA, 플랫폼

Description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을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CARE USING UNIVERSAL HEALTH PLATFORM}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개인 헬스 디바이스 기반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을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개인 헬스 디바이스에 의해 건강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건강 데이터를 자동으로 플랫폼을 거쳐 다양한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에 이용되도록 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보다 효율적인 건강관리를 위한 많은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개개인의 건강을 체크할 수 있는 헬스 디바이스, 예를 들어, 혈압계, 혈당계, 체지방 측정기 등과 IT 기술이 융합된 낙상 감지 센서, 약복용 센서, 심전도 측정 센서 등의 기술이 계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헬스 디바이스의 개별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신체의 일부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건강에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다양한 헬스 디바이스들에 대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종래 개인 건강 기기와 관련한 표준으로 ISO/IEEE 11073 PHD(Personal Health Device)(이하, "PHD 표준"이라 함)와 의료 정보 관련 국제 표준으로 HL7 표준이 있다.
PHD 표준은 개인 건강 기기 사이의 상호 운용성을 제공하기 위한 표준으로, 이 표준은 11073-20601 기반 표준 위에 각 개인 건강 기기 별로 특수화 (specialization)를 정의하여, 개인 건강 디바이스들이 플러그 앤 플레이 (plug-and-play)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정의되어 있다.
HL7 표준은 병원의 EHR(Electronic Health Record)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되는 국제 표준으로 임상 및 헬스 데이터와 관련된 표준을 제공한다. HL7 표준은 크게 V2 메시지와 V3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로 구성된다.
헬스케어 통합관리를 위한 상기와 같은 표준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개인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헬스 디바이스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시스템이 구축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각각의 개인 헬스 디바이스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여러 서비스로 전달하고, 복수의 개인 헬스 디바이스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사용자별로 구성할 수 있는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헬스케어 디바이스 관련 국제 표준인 PHD 표준에 따라 수집된 헬스케어 디바이스 데이터를 의료정보 관련 국제 표준인 HL7 CDA 표준으로 변환하는 기술을 적용하여 다양한 서비스와 데이터 레벨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는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을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인 헬스 디바이스로부터 PHD(Personal Health Device) 표준 개인별 건강 데이터를 수집하여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표준 데이터로 변환하여 정보 수집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측정 플랫폼 및 전송된 CDA 표준 데이터를 이용해 복합 CDA 표준 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비스에 제공하는 정보 수집 플랫폼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측정 플랫폼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헬스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PHD 표준 개인별 건강 데이터를 분석하는 PHD 메시지 처리 모듈 및 상기 PHD 표준 메시지 처리 모듈에 의해 분석된 이벤트 리포트(Event Report)의 상기 헬스 디바이스의 측정 데이터를 CDA 표준 데이터로 변환하는 HL7 CDA 변환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측정 플랫폼은 PHD 객체(object)의 타입 애트리뷰트(TYPE attribute) 별로 대응되는 LOINC 및 SNOMED CT의 값을 저장한 코드 매핑 테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CDA 표준 데이터는 메타 정보를 기술하는 헤더와 측정 데이터를 기술하는 바디로 구성되고, 상기 메타 정보는 헬스 디바이스의 ID, 모델 명 및 소프트웨어 명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는 상기 이벤트 리포트(Event Report)를 통해 전달된 개인 건강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정보 수집 플랫폼은 전송된 CDA 표준 데이터로부터 유효한 CDA 문서를 생성하는 유효 CDA 생성모듈 및 상기 유효한 CDA 문서로부터 복합 CDA 표준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합 CDA 생성모듈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유효 CDA 생성모듈은 상기 전송된 CDA 표준 데이터에 사용자 정보 및 기관 정보를 추가하여 유효한 CDA 문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복합 CDA 표준 데이터는 사용자별 복합 CDA 표준 데이터와 디바이스별 복합 CDA 표준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인 헬스 디바이스와 상기 측정 플랫폼은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USB 또는 RS-232 (Recommended Standard 232) 중 하나의 통신 방법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측정 플랫폼과 상기 정보 수집 플랫폼은 JMS(Java Message Service) 또는 TCP/IP에 의해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을 이용한 헬스케어 방법은 복수의 헬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된 PHD 표준에 의한 개인별 건강 데이터를 측정 플랫폼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PHD 표준에 의한 개인별 건강 데이터를 분석하여 CDA 표준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변환된 CDA 표준 데이터를 정보 수집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전송된 CDA 표준 데이터를 이용해 복합 CDA 표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CDA 표준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된 PHD 표준 개인별 건강 데이터를 분석 및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 데이터 중 이벤트 리포트(Event Report)의 상기 헬스 디바이스의 측정 데이터를 CDA 표준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을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은 개인의 생활 공간에 설치된 측정 플랫폼을 이용해 PHD 표준 헬스케어 디바이스의 건강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여 정보 수집 플랫폼에 전달하여 개인 건강관련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면서 필요한 서비스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을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은 PHD 표준 및 HL7 CDA 표준에 기초한 것으로 PHD 표준에 의한 헬스케어 디바이스와 HL7 CDA에 의한 서비스의 연동을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인 헬스 디바이스 기반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을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헬스 디바이스 기반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을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인별 헬스 디바이스(110~160), 측정 플랫폼(200), 정보 수집 플랫폼(300)를 포함하며, 개인 생활 영역에 설치된 측정 플랫폼(200)을 이용해 개인별 헬스 디바이스(110~160)로부터 건강 관련 정보를 수집한 후 건강관련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정보 수집 플랫폼(300)에 전송한다. 건강 관련 정보가 필요한 서비스(410, 420, 430)들은 정보 수집 플랫폼(300)과 통신을 통해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개인 건강 관련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헬스 디바이스(110~160)는 가정 또는 모바일 환경에서 개인의 건강 데이터를 측정한다. 이러한 헬스 디바이스(110~160)는 혈압계, 혈당계, 체지방 측정기 등의 기기와 IT기술이 융합된 낙상감지 센서, 약복용 센서, 심전도를 측정하는 바이오 패치 등의 개인 건강 기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헬스 디바이스(110~160)는 ISO/IEEE PHD 국제 표준에 기반하여 동작한다. 또한, 헬스 디바이스(110~160)는 수집된 데이터를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 또는 USB,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와 같은 유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측정 플랫폼(200)에 전송한다.
측정 플랫폼(200)은 다양한 유무선 통신을 사용하는 개인 헬스 디바이스(110~160)의 데이터를 수집하다. 이러한 측정 플랫폼(200)은 사용자가 생활하는 가정 또는 헬스장 등의 장소에 설치되고, 설치된 측정 플랫폼(200)은 근처에 존재하는 PHD 표준 호환의 헬스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임상 관련 국제표준인 HL7 CDA 포맷으로 변환한다.
측정 플랫폼(200)은 건강 관련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변환된 CDA 표준 데이터를 정보 수집 플랫폼(300)에 전송한다.
측정 플랫폼(200)은 개인 건강 기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그비, 블루투스,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이더넷, USB, RS-232의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또한, 측정 플랫폼(200)은 JMS 또는 TCP/IP에 의해 정보수집 플랫 폼(300)과 통신을 수행한다.
정보 수집 플랫폼(300)은 각 측정 플랫폼(200)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비스(410, 420, 430)에서 필요로 하는 사용자 별 측정 데이터 또는 디바이스 별 측정 데이터를 구성한다. 이를 통해 정보 수집 플랫폼(300)은 각각의 서비스(410, 420, 430)로 필요한 건강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정보 수집 플랫폼(300)은 JMS 또는 TCP/IP에 의해 통신을 수행한다.
서비스(410, 420, 430)는 개인 헬스 디바이스(110~160)로부터 측정된 개인 건강 데이터를 전달 받아 목적하던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개인 건강 기반 서비스의 예로는 원격/화상진료, 안전환경 모니터링, 응급환자 관리, 약복용 도우미, 실버케어 자가건강관리, 고령자 재활 프로그램 등이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에 필요한 설정을 관리하기 위해 관리서버가 구비된다. 관리자가 설정한 내용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정보수집 플랫폼(300)은 해당 내용을 통하여, 개인 헬스 디바이스(110~16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모아서 서비스로 전달한다.
관리서버는 헬스 디바이스(110~160), 측정 플랫폼(200), 정보수집 플랫폼(300) 및 서비스(410, 420, 430)를 관리한다.
헬스 디바이스(110~160) 관리는 디바이스 타입 관리 및 디바이스 인스턴스 관리를 포함한다.
측정 플랫폼(200) 관리는 설치 장소 및 연결 관리, CDA 헤더 관리, 측정단말 플랫폼 모니터링을 포함한다.
정보수집 플랫폼(300) 관리는 사용자 정보 관리, 사용자 별 디바이스 관리, 디바이스 별 사용자 관리, 복합 CDA 생성 관리, 정보수집 플랫폼 모니터링을 포함한다.
그리고 서비스(410, 420, 430) 관리는 서비스 등록 및 연결 관리와 서비스 별 복합 CDA 지정 관리를 포함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측정 플랫폼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측정 플랫폼(200)은 통신 관리 모듈(210), PHD 메시지 처리 모듈(220), HL7 CDA 변환 모듈(230), 코드 매핑 테이블(240) 및 데이터 송신 모듈(250)을 포함한다.
통신 관리 모듈(210)은 각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연결된 개인 헬스 디바이스(110~160)와의 통신을 관리한다. 즉, 개인 헬스 디바이스(110~160)로부터 전송 받은 메시지를 PHD 메시지 처리 모듈(220)로 전달하고, PHD 메시지 처리 모듈(220)의 처리 결과 메시지를 해당 헬스 디바이스가 연결된 통신 프로토콜로 전송한다.
PHD 메시지 처리 모듈(220)은 PHD 표준에 따라 디바이스로부터 받은 메시지 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 메시지를 통신 관리 모듈(210)을 통하여 개인 헬스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PHD 메시지 처리 모듈(220)은 연합 요청(Association Request), 구성 (Configuration), 겟 서비스(Get Service), 이벤트 리포트(Event Report) 및 연합 해제 (Association Release) 등과 같은 메시지를 처리한다.
PHD 메시지 처리 모듈(220)은 개인 헬스 디바이스가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에 따라 에이전트(agent) 주도 방식과 매니저(manager) 주도 방식을 모두 지원한다. 개인 헬스 디바이스가 PM-Store나 스캐너(Scanner) 객체를 포함할 경우, PM-Store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스캐너의 OperationalState를 활성화 시켜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PHD 메시지 처리 모듈(220)은 이벤트 리포트 메시지를 통하여 전송된 개인 헬스 디바이스의 측정 데이터를 HL7 CDA 변환 모듈(230)로 전달한다. 이렇게 전달된 헬스 디바이스의 측정 데이터는 HL7 CDA 포맷 변환을 거쳐 정보수집 플랫폼 (300)으로 전달된다. HL7 CDA 변환 모듈(230)로 전달되는 PHD의 이벤트 리포트 메시지의 예는 다음과 같다.
0xE7 0x00 APDU CHOICE Type (PrstApdu)
0x00 0x3A CHOICE.length = 58
0x00 0x38 OCTET STRING.length = 56
0x43 0x21 invoke-id = 0x4321 (start of DataApdu. MDER encoded.)
0x01 0x01 CHOICE(Remote Operation Invoke | Confirmed Event Report)
0x00 0x32 CHOICE.length = 50
0x00 0x00 obj-handle = 0 (MDS object)
0x00 0x00 0x00 0x00 event-time = 0
0x0D 0x1D event-type = MDC_NOTI_SCAN_REPORT_FIXED
0x00 0x28 event-info.length = 40
0xF0 0x00 ScanReportInfoFixed.data-req-id = 0xF000
0x00 0x00 ScanReportInfoFixed.scan-report-no = 0
0x00 0x02 ScanReportInfoFixed.obs-scan-fixed.count = 2
0x00 0x20 ScanReportInfoFixed.obs-scan-fixed.length = 32
0x00 0x01 ScanReportInfoFixed.obs-scan-fixed.value[0].obj-handle = 1
0x00 0x0C ScanReportInfoFixed.obs-scan-fixed.value[0]. obs-val-data.length = 12
0xFF 0x00 0x02 0x70 Simple-Nu-Observed-Value = 62.4
0x20 0x07 0x02 0x01 Absolute-Time-Stamp = 2007-02-01T12:10:0000
0x12 0x10 0x00 0x00
0x00 0x02 ScanReportInfoFixed.obs-scan-fixed.value[1].obj-handle = 2
0x00 0x0C ScanReportInfoFixed.obs-scan-fixed.value[1]. obs-val-data.length = 12
0xFF 0x00 0x01 0x00 Simple-Nu-Observed-Value = 25.6
0x20 0x07 0x02 0x01 Absolute-Time-Stamp = 2007-02-01T12:10:0000
0x12 0x10 0x00 0x00
HL7 CDA 변환 모듈(230)은 PHD 표준 데이터로 전송된 개인 건강 데이터를 HL7 CDA 표준 데이터으로 변환하여 전달한다.
이렇게 변환된 CDA는 문서의 메타정보를 기술하는 헤더와 측정 데이터를 기술하는 바디로 구성된다.
메타정보를 기술하는 CDA의 헤더는 다음과 같다. PHD의 MDS 객체로부터 전달된 디바이스의 ID 및 모델 명, 소프트웨어 명 등은 author의 extension id 및 assignedAuthroingDevice에 기록된다. 기타 ID, 코드(code), 기관 정보(custodian) 등의 정보는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을 사용하여 기록한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ClinicalDocument xmlns="urn:hl7-org:v3">
<typeId extension="POCD_HD000040" root="2.16.840.1.113883.1.3"/>
<id root="1.2.826.0.1.3680043.8.497.1"/>
<code code="11492-6" codeSystem="2.16.840.113883.6.1" codeSystemName="LOINC" displayName="History &amp; physical note"/>
<effectiveTime value="20081008095517+0900"/>
<confidentialityCode/>
<recordTarget>
<patientRole>
<id root="1.2.826.0.1.3680043.8.497.3"/>
<addr></addr>
<telecom use="HP" value=""/>
<patient>
<name></name>
<administrativeGenderCode code=""/>
</patient>
</patientRole>
</recordTarget>
<author>
<time value="20081008095517+0900"/>
<assignedAuthor>
<id extension="11000001" root="1.2.826.0.1.3680043.8.497.5"/>
<assignedAuthoringDevice>
<manufacturerModelName>deviceModelName
</manufacturerModelName>
<softwareName>deviceSoftwareName</softwareName>
</assignedAuthoringDevice>
</assignedAuthor>
</author>
<custodian>
<assignedCustodian>
<representedCustodianOrganization>
<id root="1.2.826.0.1.3680043.8.497.7"/>
<name></name>
<addr></addr>
</representedCustodianOrganization>
</assignedCustodian>
</custodian>
<component>
<structuredBody>
...
</structuredBody>
</component>
</ClinicalDocument>
또한, CDA 바디에는 PHD의 이벤트 리포트를 통하여 전달된 실제 개인 건강 정보를 기록한다. CDA 바디의 예는 다음과 같다.
<structuredBody>
<component>
<section>
<code code="29545-1" codeSystem="2.16.840.1.113883.6.227" codeSystemName="LOINC" displayName="Physical findings"/>
<title>Physical findings</title>
<author>
<time value="20081008095517+0900"/>
<assignedAuthor>
<id extension="11000001" root="1.2.826.0.1.3680043.8.497.5"/>
<assignedAuthoringDevice>
<manufacturerModelName> deviceModelName </manufacturerModelName>
<softwareName> deviceSoftwareName </softwareName>
</assignedAuthoringDevice>
</assignedAuthor>
</author>
<entry>
<observation classCode="OBS" moodCode="EVN">
<code code="11289-6" codeSystem="2.16.840.1.113883.11.19341" codeSystemName="LOINC" displayName="Body Temperature "/>
<effectiveTime value="20081008095518+0900"/>
<value value="25.0"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type="PQ"/>
</observation>
</entry>
</section>
</component>
</structuredBody>
HL7 CDA 변환 모듈(230)은 정보수집 플랫폼(300)에서 여러 헬스 디바이스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통합하기 위하여, 각 헬스 디바이스의 정보를 섹션(section)에 기술하고, 실제 측정된 데이터는 관측 애트리뷰트(observation attribute)에 기록한다. 각 observation의 code는 코드 매핑 테이블(Code mapping table)(240)을 참조하여 변환되고, 이벤트 리포트를 통하여 전달된 실제 측정 값은 value 값으로 기록된다. 헬스 디바이스로부터 복수 개의 측정 값이 전달된 경우에는 복수 개의 observation attribute를 기록한다.
코드 매핑 테이블(Code mapping table)(240)은 PHD 객체(object)의 타입 애트리뷰트(TYPE attribute) 별로 대응되는 LOINC 및 SNOMED CT의 값을 저장한 테이블이다. (PHD object의 Type attribute는 ISO/IEEE 11073-10101 nomenclature 값을 기반으로 해당 object가 어떤 값을 측정하는지를 기술한다.)
HL7 CDA 변환 모듈(230)은 해당 정보를 참조하여, 이벤트 리포트로 전송된 각 객체의 측정 값 마다 올바른 code 값을 할당한다.
PHD TYPE codeSystem codeSystemName code displayName
MDC_PART_SCADA |MDC_TEMP_BODY 2.16.840.113883.6.1 LOINC 11289-6 Body Temperature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변환된 CDA 문서는 데이터 송신모듈(250)을 통하여 정보수집 플랫폼(300)으로 전달된다. 측정 플랫폼(200)과 정보수집 플랫폼(300) 사이의 통신은 TCP/IP 기반의 JMS 통신을 사용한다. 데이터 송신모듈(250)은 측정 플랫폼(200)이 구동되는 경우에 정보수집 플랫폼(300)과의 연결을 수행한 이후, CDA 문서가 변환될 때 마다 변환된 CDA 문서를 정보수집 플랫폼(300)으로 전달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보수집 플랫폼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정보수집 플랫폼(300)은 통신 관리 모듈(310), 유효(Valid) CDA 생성모듈(320), 복합 CDA 생성모듈(330) 및 정보 제공모듈(350)을 포함한다.
통신 관리 모듈(310)은 정보수집 플랫폼(300)에 연결을 요청한 측정 플랫 폼(200)들을 관리하고, 이들로부터 전달되는 CDA 문서를 수집한다.
Valid CDA 생성 모듈(320)은 측정 플랫폼(200)에서 변환된 CDA 문서에 대해 사용자 정보(recordTarget) 및 기관 정보(custodian) 등을 추가하여 유효한 CDA 문서를 생성한다. 사용자 정보는 각각의 헬스 디바이스 별로 할당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다. 즉, 변환된 CDA 문서의 author id의 extension attribute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id, 이름 등의 정보를 recordTarget에 추가한다. 이때, 사용자 정보 및 기관 정보 등은 관리자를 통하여 중앙의 관리 서버(미도시)에서 관리되고, 정보수집 플랫폼(300)은 관리 서버와의 통신을 통하여 해당 정보에 접근한다. 복수가 아닌 단일의 정보수집 플랫폼(300)에서만 사용자 및 기관 정보에 접근함으로써, 해당 정보에 대한 접근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복합 CDA 생성 모듈(330)은 측정된 개인 건강 데이터를 서비스에서 필요한 단위로 구성한다. 복합 CDA 생성 모듈(330)은 크게 사용자 별 복합 CDA 생성과 디바이스 별 복합 CDA 생성으로 구분된다.
사용자 별 복합 CDA 생성은 일정 시간 동안 혹은 기준 디바이스의 데이터가 발생할 때까지 사용자에게 할당된 모든 헬스 디바이스의 측정 데이터를 하나의 CDA 문서로 구성한다. 복수 개의 디바이스로부터의 측정 데이터를 하나의 CDA 문서로 구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디바이스 별로 새로운 section을 생성하고, 해당 section의 디바이스 정보를 author로 기술한다.
그리고,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복수 개의 이벤트 리포트가 전달된 경우, 각각 의 이벤트 리포트 마다 새로운 엔트리(Entry)를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하나의 이벤트 리포트 내에 복수 개의 측정 데이터가 전달된 경우, 복수 개의 Observation을 기술한다. 이와 같은 CDA 문서 구조를 통하여, 서비스에서는 각각의 디바이스에서 측정 데이터가 전송된 단위에 대한 정보까지 파악할 수 있다.
디바이스 별 복합 CDA 생성은 일정 시간 동안 혹은 측정 데이터가 발생할 때마다 해당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하나의 CDA 문서로 구성한다. 해당 디바이스의 정보는 section의 author에 기술된다.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된 이벤트 리포트 별로 새로운 엔트리가 생성되고, 각 엔트리 내에 이벤트 리포트를 통하여 전달된 Observation들을 기술한다.
각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별로 복합 CDA를 구성하는 방식 및 복합 CDA 구성 시간 등에 대한 정보는 관리자를 통하여 관리 서버(미도시)에서 관리된다. 정보수집 플랫폼(300)은 관리 서버와의 통신을 통하여 해당 정보에 접근함으로써, 서비스에서 필요로 하는 단위에 따라 복합 CDA를 구성한다.
정보 제공 모듈(350)은 각각의 사용자 및 디바이스 별로 구성된 복합 CDA 문서를 필요로 하는 서비스로 전달한다. 관리자는 관리 서버(미도시)를 통하여 서비스 목록 및 각 서비스 별 연결 방법을 관리하고, 서비스 별로 수집할 복합 CDA 문서들을 지정한다. 정보 제공 모듈(350)은 관리 서버에 설정된 정보를 통하여, 정보수집 플랫폼(300)이 구동될 때 등록된 서비스들과 연결을 수행하고, 복합 CDA 문서 가 생성될 때, 이를 지정된 서비스들로 전송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인 헬스 디바이스 기반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을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측정 플랫폼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보 수집 플랫폼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측정 플랫폼 210 :통신관리모듈
220 : PHD 메시지 처리모듈 230 : HL7 CDA 변환모듈
240 : 코드 매핑 테이블 250 : 데이터 송신모듈
300 : 정보 수집 플랫폼 310 : 통신관리모듈
320 : 유효 CDA 생성모듈 330 : 복합 CDA 생성모듈
340 : DB 350 : 정보제공모듈

Claims (14)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인 헬스 디바이스로부터 PHD(Personal Health Device) 표준 개인별 건강 데이터를 수집하여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표준 데이터로 변환하여 정보 수집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측정 플랫폼; 및
    전송된 CDA 표준 데이터를 이용해 복합 CDA 표준 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비스에 제공하는 정보 수집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을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플랫폼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헬스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PHD 표준 개인별 건강 데이터를 분석하는 PHD 메시지 처리 모듈; 및
    상기 PHD 표준 메시지 처리 모듈에 의해 분석된 이벤트 리포트(Event Report)의 상기 헬스 디바이스의 측정 데이터를 CDA 표준 데이터로 변환하는 HL7 CDA 변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을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플랫폼은
    PHD 객체(object)의 타입 애트리뷰트(TYPE attribute) 별로 대응되는 LOINC 및 SNOMED CT의 값을 저장한 코드 매핑 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을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DA 표준 데이터는
    메타 정보를 기술하는 헤더와 측정 데이터를 기술하는 바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을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정보는
    헬스 디바이스의 ID, 모델 명 및 소프트웨어 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을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이벤트 리포트(Event Report)를 통해 전달된 개인 건강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을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 플랫폼은
    전송된 CDA 표준 데이터로부터 유효한 CDA 문서를 생성하는 유효 CDA 생성모듈; 및
    상기 유효한 CDA 문서로부터 복합 CDA 표준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합 CDA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을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CDA 생성모듈은
    상기 전송된 CDA 표준 데이터에 사용자 정보 및 기관 정보를 추가하여 유효한 CDA 문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을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CDA 표준 데이터는
    사용자별 복합 CDA 표준 데이터와 디바이스별 복합 CDA 표준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을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인 헬스 디바이스와 상기 측 정 플랫폼은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USB 또는 RS-232 (Recommended Standard 232) 중 하나의 통신 방법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을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플랫폼과 상기 정보 수집 플랫폼은
    JMS(Java Message Service) 또는 TCP/IP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을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12. 복수의 헬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된 PHD 표준에 의한 개인별 건강 데이터를 측정 플랫폼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PHD 표준에 의한 개인별 건강 데이터를 분석하여 CDA 표준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변환된 CDA 표준 데이터를 정보 수집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전송된 CDA 표준 데이터를 이용해 복합 CDA 표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을 이용한 헬스케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CDA 표준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된 PHD 표준 개인별 건강 데이터를 분석 및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건강 데이터 중 이벤트 리포트(Event Report)의 상기 헬스 디바이스의 측정 데이터를 CDA 표준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을 이용한 헬스케어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별 건강 데이터를 측정 플랫폼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USB 또는 RS-232 (Recommended Standard 232) 중 하나의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개인별 건강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을 이용한 헬스케어 방법.
KR1020080131606A 2008-12-22 2008-12-22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을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274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606A KR101274111B1 (ko) 2008-12-22 2008-12-22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을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US12/505,094 US20100161354A1 (en) 2008-12-22 2009-07-17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health care using universal health plat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606A KR101274111B1 (ko) 2008-12-22 2008-12-22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을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028A true KR20100073028A (ko) 2010-07-01
KR101274111B1 KR101274111B1 (ko) 2013-06-13

Family

ID=42267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1606A KR101274111B1 (ko) 2008-12-22 2008-12-22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을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161354A1 (ko)
KR (1) KR10127411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523B1 (ko) * 2012-10-30 2014-07-08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저사양 하드웨어에 구현될 수 있는 ieee 11073 메시지 파싱 방법, 이에 기반한 헬스케어 게이트웨이
KR101451106B1 (ko) * 2012-10-24 2014-10-16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포터블 헬스케어 게이트웨이 장치
KR101707446B1 (ko) * 2016-01-29 2017-02-1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ISO/IEEE 11073 표준 프로토콜과 oneM2M 표준 프로토콜 간의 변환 방법
EP3220326A1 (en) 2016-03-15 2017-09-20 Hidea Solutions Co., Ltd. System for managing objects for care with dual parameter
KR101853465B1 (ko) * 2016-08-18 2018-06-20 (주)세주에프에이 보폭 산출과 nfc 기능을 갖는 러닝머신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8127A2 (en) 2009-06-16 2010-12-23 Medicomp Systems, Inc. Caregiver interface for electronic medical records
CN102656584B (zh) * 2009-12-16 2016-01-27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通用医疗设备驱动器适配器
EP2609645A4 (en) * 2010-08-24 2016-07-06 Sion Power Corp ELECTRICALLY NOT CONDUCTIVE MATERIALS FOR ELECTROCHEMICAL CELLS
US8672874B2 (en) * 2010-12-22 2014-03-18 Roche Diagnoistics Operations, Inc. Communication protocol that supports pass-thru communication
US9162032B2 (en) 2011-03-21 2015-10-20 William Ray Lynch, JR. Systems and methods for diagnosing and treating sleep disorders
US8786432B2 (en) 2011-11-30 2014-07-2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 airborne trigger
US10319466B2 (en) * 2012-02-20 2019-06-11 Medicomp Systems, Inc Intelligent filtering of health-related information
US9479886B2 (en) * 2012-07-20 2016-10-25 Qualcomm Incorporated Scalable downmix design with feedback for object-based surround codec
US9761229B2 (en) 2012-07-20 2017-09-1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audio object clustering
US10430906B2 (en) 2013-03-15 2019-10-01 Medicomp Systems, Inc. Filtering medical information
US11837340B2 (en) 2013-03-15 2023-12-05 Medicomp Systems, Inc. Electronic medical records system utilizing genetic information
US9626438B2 (en) 2013-04-24 2017-04-18 Leaf Group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content popularity based on searches
US9389754B2 (en) 2013-05-14 2016-07-12 Demand Media, Inc. Generating a playlist based on content meta data and user parameters
KR101966752B1 (ko) 2017-12-21 2019-04-0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헬스 데이터의 의료기관 중계 시스템
US11637353B2 (en) 2018-12-27 2023-04-25 Sion Power Corporation Electrodes, heaters, sensors, and associated articles and methods
US11322804B2 (en) 2018-12-27 2022-05-03 Sion Power Corporation Isolatable electrodes and associated articles and methods
KR20210077285A (ko) 2019-12-17 2021-06-2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중계 시스템
KR102554423B1 (ko) * 2021-07-01 2023-07-12 (주)컴헤어 안마겸용 기능성 샴푸대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56380A1 (en) * 2004-05-14 2005-11-17 Accelere, Inc. Patient recruitment method and system
KR20060045404A (ko) * 2004-09-01 2006-05-17 주식회사 케이티 유비쿼터스 네트워킹 기술 기반하에 온/오프라인 서비스를연계한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7353063B2 (en) * 2004-12-22 2008-04-01 Cardiac Pacemakers, Inc. Generating and communicating web content from within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7827234B2 (en) * 2005-01-10 2010-1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ivacy entitlement protocols for secure data exchange, collection, monitoring and/or alerting
US20080046292A1 (en) * 2006-01-17 2008-02-21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Platform for interoperable healthcare data exchange
KR100738160B1 (ko) 2006-07-24 2007-07-10 학교법인 한세대학교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 재활시스템
KR20080022302A (ko) * 2006-09-06 2008-03-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기기 인터페이스 서버
KR20080068606A (ko) * 2008-06-09 2008-07-23 한상현 노인 건강체력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106B1 (ko) * 2012-10-24 2014-10-16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포터블 헬스케어 게이트웨이 장치
KR101415523B1 (ko) * 2012-10-30 2014-07-08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저사양 하드웨어에 구현될 수 있는 ieee 11073 메시지 파싱 방법, 이에 기반한 헬스케어 게이트웨이
KR101707446B1 (ko) * 2016-01-29 2017-02-1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ISO/IEEE 11073 표준 프로토콜과 oneM2M 표준 프로토콜 간의 변환 방법
EP3220326A1 (en) 2016-03-15 2017-09-20 Hidea Solutions Co., Ltd. System for managing objects for care with dual parameter
KR101853465B1 (ko) * 2016-08-18 2018-06-20 (주)세주에프에이 보폭 산출과 nfc 기능을 갖는 러닝머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4111B1 (ko) 2013-06-13
US20100161354A1 (en)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111B1 (ko) 유니버셜 헬스 플랫폼을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283470B1 (ko) Iptv 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2655516B (zh) 一种基于通用接入网络的远程医疗方法及系统
Martíez et al. Seamless integration of ISO/IEEE11073 personal health devices and ISO/EN13606 electronic health records into an end-to-end interoperable solution
US201102959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ying patient information
KR20090085404A (ko)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생체정보 전달 시스템
CN102090930B (zh) 住所健康照护服务管理装置
KR101695130B1 (ko) 스마트 환경에서의 실버타운 회원을 위한 건강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92845B1 (ko) 표준 의료 정보를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
BR102016010619A2 (pt) Hospital breed automation system and methods for carrying out signals and correlation and real-time data processing
KR101192842B1 (ko) 표준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Galarraga et al. Standards for medical device communication: X73 PoC-MDC
Lipprandt et al. OSAMI-D: An open service platform for healthcare monitoring applications
CN116157053A (zh) 病人监护仪及其设备信息管理方法
Lubrin et al. An architecture for wearable, wireless, smart biosensors: The motecare prototype
Kumpusch et al. A Mobile Phone Based Telemonitoring Concept for the Simultanous Acquisition of Biosignals Physiological Parameters
de Toledo et al. Towards e-Health device interoperability: the Spanish experience in the telemedicine research network
KR20110086653A (ko) 건강 증진 유케어 시스템
KR101192843B1 (ko) 표준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Reina-Tosina et al. Home health telecare and the elderly in Spain: technologies involved and methodological issues
Nasri et al. IoT platform for healthcare system: protocols interoperability
Yu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al-time bio signals management system based on HL7 FHIR for healthcare services
KR20110119998A (ko) U-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1526984B1 (ko)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유저 단말 및 그 유저 단말을 이용한 헬스 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98543A (ko) 건강 관리 스테이션을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