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2709A - 혈당강하 작용을 갖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혈당강하 작용을 갖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2709A
KR20100072709A KR1020080131197A KR20080131197A KR20100072709A KR 20100072709 A KR20100072709 A KR 20100072709A KR 1020080131197 A KR1020080131197 A KR 1020080131197A KR 20080131197 A KR20080131197 A KR 20080131197A KR 20100072709 A KR20100072709 A KR 20100072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extract
administration
blood glucose
diabe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1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기
박금주
박승희
진휘승
김은호
이용화
남궁우
윤동영
Original Assignee
정산생명공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산생명공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산생명공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1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2709A/ko
Publication of KR20100072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27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2Adenophor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Abstract

본 발명은 구기자나무, 전호 및 사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혈당강하 작용을 갖는 항당뇨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구기자, 전호, 사삼, 항당뇨, 혈당강하.

Description

혈당강하 작용을 갖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iabetics by hyperglycemic action}
본 발명은 구기자나무, 전호 및 사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혈당강하 작용을 갖는 항당뇨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과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췌장 베타 세포의 인슐린의 분비 능력 및 조직에 대한 인슐린 작용성의 감소로 심각한 내분비 장애를 유발하는 대사증후군 중의 하나이다. WHO에서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전 세계적으로 성인의 당뇨병 발생률은 1995년 4.0%에서 2025년에는 5.4%로 증가하여 2030년에는 약 3억 6천명 이상의 당뇨병 환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에서도 생활양식이 바뀌고 육류위주의 식습관 및 운동부족 현상이 증가하면서 당뇨병의 발생률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당뇨병은 세포들이 포도당을 정상적으로 이용하는 능력에 장애가 생겨 혈당치가 증가하고, 포도당이 혈액 내에 축적되어 과량의 당분이 소변으로 배출되는 대사성 질환이다. 당뇨병의 주원인은 인슐린의 부족이며, 인슐린의 절대량이 부족한 경우나 또는 인슐린 외의 다른 호르몬이 많이 분비되어 인슐린의 양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경우를 포 함한다. 당뇨병은 당질대사 이상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당뇨로 인한 만성적인 고혈당은 당뇨병성 망막병증, 신경병증, 신증 및 동맥경화증의 2차 합병증을 유도하기 때문에 당뇨병 환자의 치료에서 혈당조절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현재 당뇨병 치료를 위해 설포닐우레아계, 비구아나이드계, 아마릴과 같은 치료제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치료제들은 효과가 제한적이며, 저혈당 유발, 간독성, 젖산뇨증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는 위험을 갖는다. 따라서, 부작용의 위험이 낮고 치료 효능 및 안전성이 높은 당뇨병 치료제나 혈당 강하 활성 물질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당뇨병의 완치법은 아직 확립되지 못했고 이용되고 있는 다수의 치료제의 사용에 부작용에 따른 제한이 많기 때문에 비교적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을 이용하여 혈당을 조절하고, 이에 의해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효과도 갖는 치료제 및 기능성 식품 소재를 개발하는 연구가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항당뇨 활성을 갖는 천연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구기자나무, 전호 및 사삼이 우수한 혈당강하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기자나무, 전호 및 사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혈당강하 작용을 갖는 항당뇨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기자나무, 전호 및 사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당뇨 조성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기자나무, 전호 및 사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당뇨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동일한 중량으로 혼합된 구기자나무, 전호 및 사삼의 복합물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다.
구기자 나무(Lycium chinense MILL)는 저지대의 민가 부근이나 바닷가에서 자라는 관엽관목으로 예부터 본초강목에서 면역증강 및 강장제로 사용하였으며 그 열매와 잎은 건위, 폐결핵, 당뇨 등에 쓰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박종희. 2000. 상용약용식물도감. 신일상사. 36; Kim OK. 2008. J of Korean Oil Chemists’soc. 25:73-82).
전호(Angelica decursiva)는 여러해살이 풀로 전국의 산과 들에서 자라며, 일본, 만주, 중국, 대만 및 인도차이나에 널리 분포한다. 전호의 뿌리 및 열매에는 푸라녹소우마린(furanoxoumarine)류의 노다케닌(nodakenine), 만니톨, 쿠마린류의 데쿠르신, 데쿠르시놀 등의 성분이 존재하며, 청열(淸熱), 해독(解毒), 산풍(散風), 소담(消痰), 하기(下氣)의 효능을 가지며, 풍열두통(風熱頭痛), 담열천(痰熱喘), 구역(嘔逆), 흉격만민(胸膈滿悶)을 치료하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육창수. 1982. 임상응용. 845-846; 배기환. 2000. 한국의 약용식물(The medicinal plants of Korea). 교학사. 371).
사삼(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Hara)은 알칼로이드가 주성분으로 주로 보중(補中), 익기(益氣), 화담(化痰), 양음(養陰), 청폐(淸肺), 복통, 두통 등에 사용되는 초롱꽃과 식물로 알려져 있다(Song GY, et al. Mol Pharmacol 72:1599-1606).
본 발명의 이전에 전호 및 사삼이 항당뇨 효능을 갖는다는 것을 보고된 바 없으며, 특히, 구기자나무, 전호 및 사삼의 복합 추출물의 항당뇨 효능에 관해서는 전혀 알려진 바 없었다. 구기자나무, 전호 및 사삼은 각각 스트렙토조토신에 의해 유도된 당뇨병 모델 쥐에서 혈당 강하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들이 조합되는 경우 현저하게 상승된 혈당 강하 효과를 보였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과 같은 친수성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의해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로 추출된 수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복합 추출물은 추출에 의해 수득되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수득되는 건조물 또는 추출액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항당뇨 조성물에 포함된 구기자나무, 전호 및 사삼의 복합 추출물은 동일한 중량으로 혼합된 구기자나무, 전호 및 사삼으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동일한 중량으로 혼합된 구기자나무, 전호 및 사삼에 총 중량의 약 10배의 물을 첨가하고 100℃에서 4시간씩 2회 가온추출하여 여과하고, 회수된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제조된 분말형 수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당뇨 조성물은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당뇨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글루코만난,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트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기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오로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마그네슘 스테라에리트 및 광물유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정제, 캡슐, 과립제, 환제, 현탁액, 시럽 등의 다양한 제형으로 제형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구기자나무, 전호 및 사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당뇨 조성물을 포함하는 혈당강하용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당뇨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은 어류, 육류, 음료, 초콜렛, 스낵류, 과자류,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비타민 복합체, 발효식품 등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능성 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항당뇨 조성물을 포함하는 혈당강하용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에서 허용가능한 통상적인 식품 첨가제, 예를 들면, 향미제, 풍미제, 착색제, 충진제, 안정화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혈당강하용 기능성 식품은 혈당 조절에 장애를 갖는 당뇨병 환자 등에서 당뇨병 치료를 보조하여 그 치료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기자나무, 전호 및 사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 함하는 항당뇨 조성물은 체내에서 원활한 당대사를 유도하여 당뇨병에 따른 급격한 체중감소를 억제하고 혈당을 조절하여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항당뇨 조성물은 또한 부작용에 대한 우려 없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투여되거나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약용식물 추출물의 제조
구기자나무, 전호 및 사삼을 각각 300g씩 준비하고, 증류수 3L에 넣고 100℃에서 4시간씩 2회 가온추출하고 여과하여 여액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구기자나무, 전호 및 사삼 추출물의 분말을 제조하였다. 또한, 구기자나무, 전호 및 사삼을 동일한 중량으로 혼합하고, 상기와 동일한 조건 하에 추출, 여과 및 동결건조하여 복합 추출물의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약용식물 추출물의 인비보 항당뇨 활성
본 실시에서는 스트렙토조토신에 의해 유발된 당뇨병을 갖는 당뇨 쥐를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구기자나무, 전호 및 사삼 추출물 및 이들의 복합 추출물의 항당뇨 활성을 조사하였다.
2-1. 동물 사육 및 당뇨병 유도
6주령의 수컷 Sprague-Dawley(SD) 쥐를 셈타코(경기도, 대한민국)로부터 구입하여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쥐들을 습도 50%, 온도 22±1℃로 유지되는 동물실험실에서 사육하였으며 물과 시료를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공급하였다.
상기와 같이 사육된 쥐를 12시간 절식시킨 후 0.1M 시트레이트 완충액(pH 4.5)에 용해시킨 65mg/kg의 스트렙토조토신(STZ)을 복강투여하여 당뇨병을 유도하였다. 스트렙토조토신은 포도당과 유사한 구조를 가져서 췌장 베타-세포의 세포막에서 GLUT2에 의해 베타-세포 안으로 유입되고 베타 세포의 인슐린 분비능과 관련된 당수송 및 당대사 과정에 관여하는 DNA를 알킬화 함으로서 베타세포의 손상 및 파괴를 유발하고 인슐린의 분비를 억제하여 혈당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Wang Z., et al. 1998. Diabetes 47:50-56; Wilson GL, et al. 1988. Diabetes 37:213-216; Lenzen S. 2008. Diabetologia 51: 216-226). STZ의 투여 6일 후에 쥐들을 12시간 동안 절식시키고 꼬리 정맥으로부터 채혈을 통해 얻은 전혈에서 혈당을 측정하여 350mg/dL 이상의 혈당수치가 나오는 개체를 선별해 사용하였다. 혈당측정은 혈당측정기 (Roche, Germany)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2. 경구 당 부하 검사(OGTT: Oral Glucose Tolerance Test)
식후 고혈당증은 당뇨의 가장 흔한 증세 중의 하나이며 이러한 고혈당은 인 슐린의 작용성을 감소시키고 췌장기능을 저하시켜 인슐린의 분비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식후 고혈당은 궁극적으로는 공복 혈당에도 영향을 주므로 당뇨병의 증세를 더욱 악화시키게 된다(George D. 2004. Clinical Therapeutics 26: 889-901). 구기자나무, 전호 및 사삼이 식후 고혈당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2-1에서 STZ에 의해 당뇨병이 유발된 쥐에 포도당을 투여한 후 시험 대상 추출물을 차례로 경구 투여하여 시간별로 혈액을 채취하고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혈당변화를 측정하였다.
(1) 개별 약용식물 추출물
상기 2-1에서 준비된 당뇨 쥐를 각각 전호(A01), 구기자나무(A02) 및 사삼(A03) 및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각 군의 쥐에 2g/kg의 포도당을 미리 경구투여하고 10분 후에 실시예 1에서 준비된 전호 추출물(A01), 구기자나무 추출물(A02), 또는 사삼 추출물(A03) 300 mg/kg을 경구투여하였다. 대조군(DC)에는 추출물을 대신하여 증류수를 투여하였고, 투여 시점을 기준으로(0 시간), 투여 1시간 및 2시간 후에 혈액을 채취한 후 혈당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가 도 1에 도시된다.
포도당의 투여 1시간 후에 모든 실험군에서 최고의 혈당치를 나타냈으며 투여 전(0시간)에 비해 투여 후 1시간에서의 혈당이 당뇨병 대조군인 DC군은 225±37 mg/dl, A01군은 134±9 mg/dl, A02군은 138±1 mg/dl, A03군은 200±23 mg/dl이 상승하여 DC군에 비해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 모두에서 혈당상승이 억제되었다. 특히, A01군은 DC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혈당 상승 억제 효과를 보였고 A02군의 혈당저하 효과는 Kim 등(Kim KS. et al. 1998. J App Pharmacol. 6: 378-382)의 보고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포도당 투여 후 1시간에서의 급격한 혈당 상승 후 포도당 투여 2시간 후에 투여 전(공복) 혈당으로 회복되는 정도를 비교했을 때 투여 전에 비해 DC군은 116±42 mg/dl, A01군은 39±28 mg/dl, A02군은 38±11 mg/dl, A03군은 56±11 mg/dl의 혈당이 상승된 것으로 나타나 3가지 추출물 모두 당뇨병 대조군에 비해 2시간에서의 혈당강하 효과가 역시 탁월함을 확인했다.
(2) 구기자나무, 전호 및 사삼의 복합 추출물
구기자나무, 전호 및 사삼 각각의 추출물 대신 이들의 복합 추출물을 상이한 농도로 투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혈당 변화를 측정하였다. 상기 구기자나무, 전호 및 사삼의 복합 추출물(이하, '복합 추출물'이라 함)이 유입되는 포도당의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농도별로 알아보기 위하여 STZ로 당뇨병을 유발시킨 당뇨 쥐를 4개의 군, 당뇨 대조군(DC), 250 mg/kg의 복합 추출물을 투여할 AD1군, 500 mg/kg의 복합 추출물을 투여할 AD2군 및 글라벤클라미드 6.25 mg/kg을 투여할 약물 대조군(PC)으로 나누고, 포도당을 경구 투여한 후 시간별로 채혈하여 혈당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2에 도시한다.
포도당의 투여 1시간 후에 모든 실험군에서 최고의 혈당치를 나타냈으며 투여 전(0시간)에 비해 투여 후 1시간에서의 혈당이 당뇨대조군인 DC군은 225±37 mg/dl, 250mg/kg의 복합 추출물을 투여한 AD1군은 120±13 mg/dl, 500mg/kg의 복합 추출물을 투여한 AD2군은 68±27 mg/dl, 약물대조군인 PC군은 72±8 mg/dl로 상승 하였으며, 특히 AD2군은 PC군과 마찬가지로 DC군에 비해 유의적인 혈당 상승 억제 효과를 보였다. 또한 당뇨 대조군은 투여 후 1시간에서 고혈당 상태가 되며 포도당 투여 2시간이 지난 후에도 투여 전에 비해 116±42 mg/dl의 혈당이 상승한 반면 AD1, AD2 및 PC 군의 혈당 상승은 각각 29±9 mg/dl, -5±12 mg/dl 및 29±7 mg/dl로 투여 전(0시간) 혈당과 비슷한 수치로 회복됨을 보였다.
하기의 표 1은 복합 추출물의 투여가 포도당 투여에 의한 혈당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해 계산된 혈당상승곡선의 곡선하 면적(Area under the curve: AUC)을 나타낸다.
표 1. 스트렙토조토신 유도 당뇨 쥐에서 혈당 증가 반응의 AUC에 대한 복합 추출물 투여의 효과.
대상 AUC (mg·min/dl)
DC 283.0±57.0
AD1 134.0±8.2
AD2 65.5±29.0**
PC 89.0±6.5**
DC: 당뇨병 대조군, AD1: 복합 추출물 250 mg/kg 투여군, AD2: 복합 추출물 500 mg/kg 투여군, PC: 글리벤클라미드 6.25 mg/kg 투여군. 실험군을 당뇨병 대조군과 비교하여 혈당 변화를 평균 ± 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P<0.05, **P<0.01, ***P<0.001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DC군은 283.0±57.0 mg·min/dl의 AUC 면적값을 보인 반면 AD1군은 134.0±8.2 mg·min/dl, AD2군은 65.5±29.0 mg· min/dl, PC군은 89.0±6.5 mg·min/dl로 AUC의 값이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구기자나무, 전호 및 사삼의 개별 추출물 300mg/kg에 의한 OGTT 결과(도 1)와 비교시 구기자나무, 전호 및 사삼의 복합 추출물은 더 적은 용량(250 mg/kg)으로 보다 우수한 혈당강하 효능을 갖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복합 추출물의 투여가 개별 추출물보다 더 효과적으로 당의 유입으로 인한 고혈당을 억제시키고 빠른 속도로 원래의 혈당으로 회복시키는 작용을 하며, 따라서, 식후 고혈당의 조절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2-3. 혈당 변화에 대한 효과
(1) 단회 투여 후 혈당 변화 측정
STZ 유발 당뇨 쥐를 (1)당뇨 대조군(DC), (2)구기자나무, 전호 및 사삼의 복합 추출물(이하, '복합 추출물'이라 함) 100 mg/kg 투여군 (AD1), (3) 복합 추출물 500mg/kg 투여군(AD2), (4)글리벤클라미드 6.25mg/kg(한독약품, 한국) 투여군(PC)군으로 나누었다(n=4/군). 각 군의 해당 추출물 또는 약물을 단회 경구 투여하고 그로부터 0, 1, 2, 3, 4 시간 경과 시점에 혈액을 채취한 후 혈당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가 하기 표 2에 표시된다.
표 2. 스트렙토조토신 유도 당뇨 쥐에서 공복 혈당 수준에 대한 복합 추출물의 투여의 효과.
대상 혈당 (mg/dl)
처리전 수준 처리후 수준
공복 혈당 1시간 후 2시간 후 3시간 후 4시간 후
DC 437.3±28 453.6±21 448.2±24 443.3±28 419.8±20
AD1 414.0±19 364.7±14** 408.6±16 392.0±2** 358.0±35
AD2 401.0±28 360.0±21 381.0±31 371.5±5*** 351.5±16
PC 443.1±38 430.3±22* 394.4±18 382.3±22*** 401.5±36
DC: 당뇨병 대조군, AD1: 복합 추출물 100 mg/kg 투여군, AD2: 복합 추출물 500 mg/kg 투여군, PC: 글리벤클라미드 6.25 mg/kg 투여군. 실험군을 당뇨병 대조군과 비교하여 혈당 변화를 평균 ± 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P<0.05, **P<0.01, ***P<0.001
DC군의 공복혈당은 437.3±28 mg/dl, AD1군은 414.0±19 mg/dl, AD2군은 401.0±28 mg/dl, PC군은 443.1±38 mg/dl이었으며 복합 추출물 투여 1시간 후에 AD1군은 364.7±14 mg/dl로 공복 혈당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복합 추출물 투여 3시간 후에 DC군은 443.3±28 mg/dl로 초기 공복혈당과 거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AD1군은 392.0±2 mg/dl, AD2군은 371.5±5 mg/dl, PC군은 382.3±22 mg/dl로 유의성 있는 혈당강하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STZ로 유도한 당뇨 쥐에서 복합 추출물의 투여는 공복 혈당을 저하시키는 효능을 갖는 것으로 확인했으며, 이 효과는 약물대조군인 PC의 효과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 4주 투여 후 공복혈당 및 혈당 변화 측정
STZ로 유발한 당뇨 쥐에서 복합 추출물의 단회 투여가 공복 시 혈당강하 효과 및 포도당에 의한 급격한 혈당 상승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1 및 표 2). 이에 복합 추출물의 장기투여가 투여기간 동안 공복 혈당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STZ로 당뇨를 유발시킨 쥐에 4주 동안 복합 추출물을 투여하고 1주마다 혈당 변화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350mg/dL이상의 혈당을 갖는 STZ 유발 당뇨쥐를 상기 (1)에서와 같이 4개의 군, DC, AD1, AD2 및 PC군으로 나눈 후 4주 동안 해당 추출물 또는 약물을 음수로 매일 공급하였다. 일주일 간격으로 12시간 절식 후 공복 혈당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3에 도시된다.
DC군은 4주 동안 투여 전(0주) 혈당인 385±9 mg/dl을 마지막주인 4주까지 365±6 mg/dl로 비슷하게 유지하였으며, AD1군은 투여 전 혈당인 349±9 mg/dl 과 비슷한 혈당 수치를 3주차까지 유지하고 4주차에서 260±8 mg/dl로 혈당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AD2군은 투여 전 혈당인 430±10 mg/dl에서 1주 투여 후 312±22 mg/dl로 혈당이 27.4% 감소하였으며 2주 및 3주차에도 각각 328±27 mg/dl, 270±21 mg/dl로 유의성 있는 혈당 감소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복합 추출물의 혈당강하 효과는 단회 투여보다 장기 투여에서 더 크며, 활성성분의 축적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Obatomi DK, et al. 1994. J Ethnopharmacol 43: 13-17; Peungvicha P, et al. 1998. J Ethnopharmacol 60: 27-32).
2-3. 체중변화에 대한 효과
일반적으로, 당뇨병의 경우, 인슐린의 부재 및 작용성 감소로 혈당이 조절되 지 않고 당이 조직 내로 공급되지 못하여 에너지원을 만들기 위해 근육 및 간조직에서의 당 신생이 활발히 일어나는 등 당 대사의 변화를 초래하여 체중 감소가 유발된다(Pain VM, et al. 1974. J Biol Chem 249: 4510-4514; Francesca P, et. al. 2007. International Congress Series 1303 : 138-145). 혈당 강하 효과를 갖는 구기자나무, 전호 및 사삼의 복합 추출물의 투여가 체중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상기 2-2에 기재된 바와 같이, STZ 유도 당뇨 쥐에 복합 추출물을 4주간 투여하면서, 1주 간격으로 혈당과 함께, 체중을 측정하였다. 결과가 하기 표 3에 표시된다.
표 3. 스트렙토조토신 유도 당뇨 쥐에서 체중 변화에 대한 복합 추출물의 효과.
대상 체중 (g) 체중변화 (g) (-)
초기 종료시
DC 201.0±9 180.5±2 20.5±7
AD1 216.7±15 200.0±20 16.6±5*
AD2 259.0±36 254.5±50 4.5±13**
PC 243.1±13 227.0±6 13.0±5*
DC: 당뇨병 대조군, AD1: 복합 추출물 100 mg/kg 투여군, AD2: 복합 추출물 500 mg/kg 투여군, PC: 글리벤클라미드 6.25 mg/kg 투여군. 실험군을 당뇨병 대조군과 비교하여 혈당 변화를 평균 ± 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P<0.05, **P<0.01, ***P<0.001
4주 동안 DC군은 201.0±9 g에서 180.5±2 g으로 10.2%의 체중 감소율을 나 타내었으며 AD1군은 216.7±15 g에서 200.0±20 g으로 7.7%, AD2군은 259.0±36에서 254.5±50 로 1.7%의 체중감소율을 나타내어 복합추출물이 당뇨대조군에 비해 체중감소를 유의성 있게 억제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C군은 243.1±13 g에서 227.0±6 g으로 5.3%의 체중감소를 보여 AD2 시료의 체중감소 억제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은 체내의 원활한 당대사를 유도하여 당뇨로 인한 급격한 체중감소를 억제하고 혈당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1은 스트렙토조토신(STZ)에 의해 유도된 당뇨병 쥐의 경구 당 부하 검사(OGTT)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용식물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효과를 도시한다. DC: 당뇨병 대조군, A01: 전호 추출물 300 mg/kg 투여군, A02: 구기자나무 추출물 300 mg/kg 투여군, A03: 사삼 추출물 300 mg/kg 투여군. 실험군을 당뇨병 대조군과 비교하여 혈당 변화를 평균 ± 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P<0.05, **P<0.01, ***P<0.001
도 2는 스트렙토조토신(STZ)에 의해 유도된 당뇨병 쥐의 경구 당 부하 검사(OGTT)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용식물의 복합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효과를 도시한다. DC: 당뇨병 대조군, AD1: 복합 추출물 250 mg/kg 투여군, AD2: 복합 추출물 500 mg/kg 투여군, PC: 글리벤클라미드 6.25 mg/kg 투여군. 실험군을 당뇨병 대조군과 비교하여 혈당 변화를 평균 ± 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P<0.05, **P<0.01, ***P<0.001
도 3은 스트렙토조토신(STZ)에 의해 유도된 당뇨병 쥐에서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약용식물의 복합 추출물의 4주 투여에 따른 공복 혈당에 대한 효과를 도시한다. DC: 당뇨병 대조군, AD1: 복합 추출물 100 mg/kg 투여군, AD2: 복합 추출물 500 mg/kg 투여군, PC: 글리벤클라미드 6.25 mg/kg 투여군. 실험군을 당뇨병 대조군과 비교하여 혈당 변화를 평균 ± 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P<0.05, **P<0.01, ***P<0.001

Claims (5)

  1. 구기자나무, 전호 및 사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당뇨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동일한 중량으로 혼합된 구기자나무, 전호 및 사삼의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것인 항당뇨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물, 친수성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의해 추출된 것인 항당뇨 조성물.
  4. 제1항에 따른 항당뇨 조성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따른 항당뇨 조성물을 포함하는, 혈당강하용 기능성 식품.
KR1020080131197A 2008-12-22 2008-12-22 혈당강하 작용을 갖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000727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197A KR20100072709A (ko) 2008-12-22 2008-12-22 혈당강하 작용을 갖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197A KR20100072709A (ko) 2008-12-22 2008-12-22 혈당강하 작용을 갖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2709A true KR20100072709A (ko) 2010-07-01

Family

ID=42635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1197A KR20100072709A (ko) 2008-12-22 2008-12-22 혈당강하 작용을 갖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270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57720A (zh) * 2012-06-07 2012-09-12 北京绿源求证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治疗糖尿病性血脂异常的中药
CN103784554A (zh) * 2014-01-12 2014-05-14 周生国 一种治疗湿热蕴肾证肾结核的中药组合物
CN104784521A (zh) * 2015-03-21 2015-07-22 高萍 一种保健饮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57720A (zh) * 2012-06-07 2012-09-12 北京绿源求证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治疗糖尿病性血脂异常的中药
CN103784554A (zh) * 2014-01-12 2014-05-14 周生国 一种治疗湿热蕴肾证肾结核的中药组合物
CN104784521A (zh) * 2015-03-21 2015-07-22 高萍 一种保健饮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74958B (zh) 一种具有降尿酸功效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750988B1 (ko) 천연물유래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당뇨 또는혈당조절이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328668B1 (ko) 비만억제 활성과 혈당강하 효능이 있는 꾸지뽕 및 의이인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6228250B2 (ja) 多糖消化阻害剤
KR102002298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190566A9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1976941B1 (ko) 토종 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1583547B1 (en) Anti-obesity ingredients from medicinal plants and their composition
KR20100072709A (ko) 혈당강하 작용을 갖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90103239A (ko)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 효과적인 포도근 추출물을포함하는 조성물
KR100685472B1 (ko) 식초 가공 인삼제제를 이용한 제2형 당뇨병과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0342228A (ja) ヤーコン・桑葉配合茶
CN110876717A (zh) 一种可稳定血糖制品的制备方法
KR100773246B1 (ko) 연령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억제 및 혈당강하용 조성물
KR102265793B1 (ko) 금어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당 강하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0473529B1 (ko) 순기산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210393730A1 (en) Herbal composition for reducing uric acid and the use in reducing uric acid, body fat, and blood glucose thereof
KR102507569B1 (ko) 돌외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돌외잎 추출물
TWI387461B (zh) 野薑花(hedychium coronarium koenig)地上部份於降低血糖之用途;野薑花地上部份之萃取物及組合物與其用途
US20220193171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mixture extract of coptis rhizome and schizonepeta tenuifolia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KR101207991B1 (ko) 비만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478150B1 (ko)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용 건강보조식품
KR101904819B1 (ko) 여주와 마늘을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 Jis-1로 발효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 또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22104A (ko) 개모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강화, 근력증가 또는 근감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66478A (ko) 원감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 보호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