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0428A - 나선홈을 이용한 구름마찰 구동방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장치 - Google Patents

나선홈을 이용한 구름마찰 구동방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0428A
KR20100070428A KR1020080128966A KR20080128966A KR20100070428A KR 20100070428 A KR20100070428 A KR 20100070428A KR 1020080128966 A KR1020080128966 A KR 1020080128966A KR 20080128966 A KR20080128966 A KR 20080128966A KR 20100070428 A KR20100070428 A KR 20100070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crew
spiral groove
contact
low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0238B1 (ko
Inventor
김승호
서용칠
김창회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28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238B1/ko
Publication of KR20100070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B66F3/1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with telescopic sle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4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driv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16D3/06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specially adapted to allow axial displacement
    • F16D3/065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specially adapted to allow axial displacement by means of roll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선홈을 이용한 구름마찰 구동방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구름베어링에 의해 각 링크간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동작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나선홈을 이용한 구름마찰 구동방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외경치수가 서로 다른 다수개의 파이프 형상 링크가 외경치수가 가장 작은 링크가 안쪽에 위치되도록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각각의 링크 상단 및 하단에는 상부링부 및 하부링부가 각각 설치되며, 외경치수가 가장 작은 링크내에 동일축을 구비하도록 모터부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스크류가 설치되고, 하부링부에는 인접하는 또다른 링크의 상부링부와 연결되는 체결부 및, 스크류의 나선홈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가 설치되어 모터의 작동에 의해 다수개의 링크가 순차적으로 승하강되는 텔레스코픽 타입의 마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링부 및 하부링부에는 외면접촉용 구름베어링 및, 내면접촉용 구름베어링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부는 하부링부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의 끝단에 설치되어 스크류 나선홈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로울러로 구성되어 있다.
마스트, 구름마찰, 승하강장치, 텔레스코픽, 링크구조

Description

나선홈을 이용한 구름마찰 구동방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장치{Telescopic Mast Device with Rolling Friction of Screw-glove Driving Mechanism}
본 발명은 나선홈을 이용한 구름마찰 구동방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나선축 구동과 링크 인출시의 마찰을 최소화하며, 각 링크들 간의 지지력을 향상시킨 구름마찰을 구비하는 텔레스코픽 마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카메라 높이 조절용 장비 및 방송용 송수신 안테나 설치장비는 텔레스코픽 암(Telescopic Arm), 익스텐더블 안테나(Extendable Antenna)등으로 여러 가지 구동 방식을 이용하였다.
즉, 상기 구동 방식은 유압펌프를 이용한 유압구동방식, 가압기를 이용한 실린더 형태의 공압 구동 방식이 있으며, 강철띠를 사용하여 파이프의 안쪽에서 밀어 올리는 자동차용 안테나가 있다. 또한, 그 외에 드럼에 강철띠를 감아 이를 풀어주어 풀린 강철띠가 외측으로 반원의 형태를 갖추게 하고 이러한 형태의 띠를 대칭으로 배치하여 올려주는 구동장치가 있었다.
상기 장치들은 필수적인 부대장비들이 있어야 하므로, 이로 인하여 시스템이 복잡해지며, 스프링을 이용한 시스템에서는 무게가 많이 나가는 중량물은 올려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압 및 공압 구동방식에는 탑재물의 중량은 큰 문제가 되지 않으나, 장치의 부품중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실(seal) 소재가 극한환경(방사선, 화학물질, 온도등)하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들을 해결하고 시스템을 간단히 할 수 있는 기계적인 구동 방식만을 채택한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나 아직까지는 국내외적으로 개발된 예가 없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수단으로, 외경치수가 서로 다른 다수개의 원통형 링크를 외경치수가 가장 작은 링크가 안쪽에 위치하도록 순차적으로 삽입하고, 상기 각각의 링크 상단에 다수개의 홈이 형성된 상부링을 장착하며, 상기 각각의 링크 하단에 집합체 홀더를 장착함과 동시에 집합체 홀더내에 링크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집합체를 장착하고, 상기 외경치수가 가장 작은 링크내에 링크와 동일축을 구비하는 나선축을 베어링으로 지지하며, 상기 나선축 하단에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기어를 장착하여 모터에 의한 나선축의 회전으로 외경치수가 서로 다른 다수개의 링크를 순차적으로 상/하 이동시키도록 구성하여,
원자력발전소의 방사선,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화학제조공정, 고온발생장소 등과 같은 극한환경에서 이용가능 하도록 한 것(특허등록 제 0235184 호)도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기출원하여 등록받은 건으로, 이와 같은 발명은 기계 적 구조만으로 형성되어 있어 극한환경에서의 재료변화로 인한 작동불능을 극소화하고, 부대장비를 간소화하며, 장비의 단순화로 소형화함과 동시에 무게를 경량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이변화에 따라 수정이 가능하므로 사용이 용이하나,
각 링크의 승하강시, 링크와 링크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되고, 이러한 마찰력에 의해 모터의 효율이 저하될 뿐 만 아니라, 정확한 높이로의 제어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각각의 링크는 상단에 설치된 상부링과 하단에 설치된 집합체의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어, 승하강 높이가 높을수록 상단에 위치한 링크와 하단에 위치한 링크 사이의 지지력에 문제가 발생되며 이로 인해 수직으로 승하강되는 것이 아니라, 일측방향으로의 기울어짐 현상이 발생되어 최상단에 탑재된 탑재물의 이탈 및 정위치 이동을 할 수 없게 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구름베어링에 의해 각 링크간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동작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나선홈을 이용한 구름마찰 구동방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링크의 상단에 장방향 길이의 지지하우징을 구비하는 상부링을 삽입설치하여 링크 승강시의 링크간 지지력을 향상시킨 나선홈을 이용한 구름마찰 구동방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성을 구비하여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고, 구름베어링의 설치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나선홈을 이용한 구름마찰 구동방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크류의 나선홈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를 로울러 타입으로 형성하여, 이동부의 이동성을 향상시키고 스크류와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는 나선홈을 이용한 구름마찰 구동방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압 및 공압장치에서 필수적으로 있어야 하는 부대장비 등을 간소화하고, 극한환경에서 무리 없이 견디며, 높은 위치로의 탑재물 이동을 자유롭게 함과 동시에 이동이 용이하고,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는 나선홈을 이용한 구름마찰 구동방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크류의 나선홈내를 이동로울러가 이동되도록 하여, 링크의 승하강시 스크류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을 최소화한 나선홈을 이용한 구름마찰 구동방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외경치수가 서로 다른 다수개의 파이프 형상 링크가 외경치수가 가장 작은 링크가 안쪽에 위치되도록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각각의 링크 상단 및 하단에는 상부링부 및 하부링부가 각각 설치되며, 외경치수가 가장 작은 링크내에 동일축을 구비하도록 모터부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스크류가 설치되고, 하부링부에 는 인접하는 또 다른 링크의 상부링부와 연결되는 체결부 및, 스크류의 나선홈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가 설치되어 모터의 작동에 의해 다수개의 링크가 순차적으로 승하강되는 텔레스코픽 타입의 마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링부는 설치된 링크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내측에 위치하는 또 다른 링크의 외면을 지지하는 외면접촉용 구름베어링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링부는 설치된 링크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외측에 위치하는 또다른 링크의 내면을 지지하는 내면접촉용 구름베어링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는 하부링부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의 끝단에 설치되어 스크류 나선홈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로울러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일측 링크와 이에 인접하는 또 다른 링크가 구름베어링에 의해 지지 및 접촉되도록 되어 있어, 모터부에 의한 링크의 승하강시 발생되는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링크의 승하강 높이를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조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름베어링을 구비하고 장방향 길이를 구비하는 상부링부를 링크 상부에 설치하여, 구름베어링의 설치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하고, 구름베어링에 의한 링크의 접촉 시, 지지력을 향상시켜 링크를 안정적으로 승하강 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링크를 기준으로 상단 및 하단을 구름베어링에 의해 지지하도록 되어 있어, 이웃하는 또 다른 링크와의 유격발생을 최소화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 링크를 기준으로 상단에 위치하는 구름베어링은 상기 링크의 내측에 위치하는 또 다른 링크의 외부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하단에 위치하는 구름베어링은 상기 링크의 외측에 위치하는 또 다른 링크의 내부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이웃하는 또 다른 링크들간의 상하단 유격을 일정하게 함과 동시에, 이를 통해 링크의 수직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류에 형성된 나선홈을 따라 이동부의 로울러가 이동되도록 되어 있어 스크류와 이동부의 마찰력이 최소화됨과 동시에, 이동부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자력시설 및 화학제조공정과 같은 극한지역에서 시설물들을 점검하는데 필요한 카메라 높이 조절용 장비 및 방송용 송수신 안테나 설치장비 등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 다양한 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계적 구조만으로 형성되어 있어 극한환경에서의 재료변화로 인한 작동불능을 극소화하고, 부대장비를 간소화하며, 장비의 단순화로 소형화함과 동시에 무게를 경량화 할 수 있으며, 높이변화에 따라 수정이 가능하므로 사용이 용이한 점이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내 부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도 2 의 A 부 상세도를, 도 4 는 도 2 의 B 부 상세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링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링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와 이동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와 모터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외경치수가 서로 다른 다수개의 파이프 형상 링크가 외경치수가 가장 작은 링크가 안쪽에 위치되도록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각각의 링크 상단 및 하단에는 상부링부 및 하부링부가 각각 설치되며, 외경치수가 가장 작은 링크내에 동일축을 구비하도록 모터부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스크류가 설치되고, 하부링부에는 인접하는 또다른 링크의 상부링부와 연결되는 체결부 및, 스크류의 나선홈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가 설치되어 모터의 작동에 의해 다수개의 링크가 순차적으로 승하강되는 텔레스코픽 타입의 마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링부(10)는 설치된 링크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내측에 위치하는 또다른 링크의 외면을 지지하는 외면접촉용 구름베어링(20)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링부(30)는 설치된 링크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외측에 위치하는 또 다른 링크의 내면을 지지하는 내면접촉용 구름베어링(40)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50)는 하부링부(30)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핀(51)과, 상기 고정핀(51)의 끝단에 설치되어 스크류 나선홈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로울러(5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링크(60)는 파이프 형상을 구비하며, 외경치수가 작은 링크가 외경치수가 큰 링크 내로 삽입되어 있다. 즉, 상기 링크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치수가 가장 작은 제 1 링크(61)는 외경치수가 제 1 링크(61) 보다 약간 더 큰 제 2 링크(62)내로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링크(62)는 외경치수가 약간 더 큰 제 3 링크(63)내로 삽입됨과 동시에 제 3 링크(63)는 제 4 링크(64)내로, 제 4 링크(64)는 제 5 링크(65)내로, 제 5 링크는……, 순차적으로 삽입장착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링크 상부 끝단에는 상부링부(10)가 고정되고, 하부 끝단에는 하부링부(30)가 고정되며, 상기 하부링부(30)에는 체결부(70) 및 이동부(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부링부(10)와 하부링부(30)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링크와 일체화된다.
상기 상부링부(10)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내로 삽입되고 링크 하단방향으로 장방향 길이를 구비하는 지지하우징(11)과, 상기 지지하우징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외면접촉용 구름베어링(20)이 지지되며 링크 상단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링하우징(12)과, 상기 지지하우징의 하부 끝단부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체결부가 결합되는 체결홈(13)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하우징(11)은 외부면이 설치되는 링크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링크상 부에 삽입설치되며, 지지하우징(11)의 장방향 길이(L)는 링크의 길이(높이)에 대하여 약 1/10∼1/3 정도의 길이를 구비하는 것이 구름베어링에 의한 링크간의 지지력을 고려할 경우, 수직 승하강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상기 링하우징(12)은 설치되는 링크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지지후우징(11)과 결합되어 내부에 외면접촉용 구름베어링(20)이 설치되는 공간(14)을 구비한다.
상기 외면접촉용 구름베어링(20)은 상부링부 내측에 위치하는 링크 즉, 외면접촉용 구름베어링이 설치된 링크보다 작은 직경을 구비하고 링크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또 다른 링크의 외부면에 접촉되어 직경이 작은 링크의 승하강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링하우징(12)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고 링크의 외부면에 고르게 접촉되도록 다수 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상부링부(10)는 각 링크의 상부에 결합될 시, 지지하우징(11)은 링크내로 삽입되고, 링하우징(12)은 링크의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하부링부(30)는 링크의 하부끝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의 하부끝단에 결합되고 내면접촉용 구름베어링(40)을 구비하는 홀더(31)와, 상기 홀더(31)에 일체로 설치되어 링크내부에 삽입설치되고 이동부(50)와 체결부(70)가 연결되는 집합체(32)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내면접촉용 구름베어링(40)은 홀더(31)의 외부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구비하고 다수 개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홀더(31)에는 다수개의 설치홈(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설치홈(33)내에는 내면접촉용 구름베어링(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50)는 스크류(80)의 회전작동시, 스크류에 형성된 나선홈(81)을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결합 등에 의해 집합체(32)에 고정핀(51)이 일체로 연결되고, 고정핀(51)의 끝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이동로울러(52)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이동로울러(52)는 스크류의 나선홈내로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스크류의 회전구동시, 스크류의 나선홈을 따라 이동된다. 이와 같은 이동부(50)는 로울러 베어링을 사용할 수도 있고, 집합체에 다수 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70)는 링크와 링크를 연결하는 것으로,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71)에 의해 일측단이 스크류의 나사산(82)에 접촉되도록 하부링부(30)에 설치되는 접촉대(72)와, 상기 접촉대(72)와 연결되고 하부링부(30)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링타입의 연결대(73)와, 상기 접촉대(72)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연결대(73)에 일측단이 고정설치되고 타측단이 하부링부의 집합체(32)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대(7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70)는 스프링(71), 접촉대(72), 연결대(73) 및, 결합대(74)가 한 조를 이루도록 설치되고, 2∼3 개조가 집합체(32)내에 층층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체결부(70)는 링크와 하부링부의 결합시,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의 하단에 형성된 개방홈(60a)을 통해 체결부의 결합대(74)가 링크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된다. 즉, 각 링크의 하단에는 돌출된 결합대(74)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부가 개방된 개방홈(60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체결부는 스크류의 회전작동에 의해 스크류에 형성된 나선홈을 따라 이동부가 이동될 때,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접촉대가 내측방향(스크류방향)으로 밀리어 스크류의 나사산에 접촉대의 끝단이 접촉되어 이동되며, 스크류의 상단부분 또는 스크류를 벗어날 경우,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접촉대가 내측방향(스크류방향)으로 밀리어 돌출되면, 접촉대의 이동에 의해 연결대가 이동되어 이와 연결된 결합대를 외측방향(링크의 외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또다른 링크의 상부링부에 형성된 체결홈내로 결합대를 삽입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결합대와 체결홈의 결합에 의해 일측 링크의 하부가 이에 인접한 또 다른 링크의 상부에 연결되어 링크들이 일체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 끝단에 상부링부가 고정되고 하부 끝단에 하부링부가 고정된 다수개의 링크가 점차 외경이 축소되도록 삽입설치되며, 각각의 링크들은 상부링부의 링하우징에 의해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외경치수가 큰 링크내에 외경치수가 작은 링크가 위치하게 설치된다.
상기 스크류(80)와 모터부(90)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부(90)의 구동력이 체인, 풀리, 기어, 벨트 등의 전달수단에 의해 스크류(80)에 전달되어 스크류(80)가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크류의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 제 0235184 호에 의해 공지되어 있으며, 모터부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수단은 주지의 기술수단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을 이용하여 탑재물을 임의의 높이까지 이동시킬 경우, 외경치수가 가장 작은 링크 즉, 제 1 링크(61) 안쪽에 스크류(80)를 배치하여 베어링 지지하고, 상기 스크류(80)를 모터부에 의해 구동하여 스크류(80)를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모터부에 의해 스크류(80)가 회전되면 제 1 링크(61)의 하부링부에 고정된 이동부가 회전하는 스크류의 나선홈(81)을 따라 상부로 이동되어 제 1 링크(61)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각각의 링크 하단에 조립되어 있는 하부링부들의 위치는 제 1 링크의 하부링부만 스크류의 하단부에 진입되어 있는 초기상태가 되고, 다른 나머지 링크들의 하부링부는 스크류에서 벗어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제 1 링크(61)가 스크류의 상부로 이동되며, 제 1 링크(61)의 하부링부내에 장착된 체결부의 접촉대 역시, 스크류의 나사산과 접촉되면서 상부로 이동된다. 이때, 제 1 링크의 외부면은 제 2 링크의 상부링부에 설치된 외면접촉용 구름베어링(20)에 의해 접촉지지되며 이동된다.
이와 같이 제 1 링크의 하부링부내에 장착된 접촉대가 스크류를 벗어나게 되면, 접촉대는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제 2 링크의 상부링부에 형성된 체결홈내로 삽입되므로 제 1 링크(61)와 제 2 링크(62)는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스크류의 나선홈을 따라 이동하는 제 1 링크의 이동부가 스크류의 나선홈을 따라 상승하여 스크류의 경사진 상단 또는 스크류를 벗어나게 되면, 제 1 링크의 체결부에 의해 제 1 링크와 결합된 제 2 링크의 이동부가 스크류의 나선홈내로 삽입되어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나선홈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결국, 스크류의 나선홈에는 두 개의 하부링부가 같이 진입된 상태로 링크가 상승하게 되며,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해 제 3, 제 4, 제 5 … 링크가 상승하여 탑재물이 임의의 높이까지 이동된다.
상기 제 2,3,4,5 … 링크의 상승시 각각의 링크는 상부링부에 설치된 내면접촉용 구름베어링 및 하부링부에 설치된 외면접촉용 구름베어링에 링크의 상하부가 지지되며, 각각의 링크는 마찰력을 최소화하면서 승강되게 된다.
이와 같은 스크류의 작동, 스크류 나선홈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의 작동 및, 체결부에 의한 링크간의 결합/분리원리에 대해서는 특허 제 0235184 호에 의해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탑재물의 하강 작동순서는 모터부의 구동을 역회전 작동시키면 스크류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올라가는 링크 순서의 반대 순서로 링크가 순차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 은 도 2 의 A 부 상세도
도 4 는 도 2 의 B 부 상세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링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링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와 이동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와 모터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링크부와 하부링부의 결합관계를 보인 예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링부 (11) : 지지하우징
(12) : 링하우징 (13) : 체결홈
(14) : 공간 (20) : 외면접촉용 구름베어링
(30) : 하부링부 (31) : 홀더
(32) : 집합체 (33) : 설치홈
(40) : 내면접촉용 구름베어링 (50) : 이동부
(51) : 고정핀 (52) : 이동로울러
(60) : 링크 (60a) : 개방홈
(70) : 체결부 (71) : 스프링
(72) : 접촉대 (73) : 연결대
(74) : 결합대 (80) : 스크류
(81) : 나선홈 (82) : 나사산
(90) : 모터부

Claims (4)

  1. 외경치수가 서로 다른 다수개의 파이프 형상 링크가 외경치수가 가장 작은 링크가 안쪽에 위치되도록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각각의 링크 상단 및 하단에는 상부링부 및 하부링부가 각각 설치되며, 외경치수가 가장 작은 링크내에 동일축을 구비하도록 설치되어 모터부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스크류가 설치되고, 하부링부에는 인접하는 링크의 상부링부와 연결되는 체결부 및, 스크류의 나선홈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가 설치되어 모터의 작동에 의해 다수개의 링크가 순차적으로 승하강되는 텔레스코픽 타입의 마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링부는 설치된 링크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내측에 위치하는 또다른 링크의 외면을 지지하는 외면접촉용 구름베어링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링부는 설치된 링크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외측에 위치하는 또다른 링크의 내면을 지지하는 내면접촉용 구름베어링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는 하부링부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의 끝단에 설치되어 스크류 나선홈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로울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홈을 이용한 구름마찰 구동방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상부링부는 링크 내측으로 삽입되고 링크 하단방향으로 장방향 길이를 구비하는 지지하우징과, 상기 지지하우징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외면접촉용 구름베어링이 지지되며 링크 상단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링하우징과, 상기 지지하우징의 하부 끝단부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체결부가 결합되는 체결홈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하우징은 링크상부에 삽입설치되며, 지지하우징의 장방향 길이(L)는 링크의 길이(높이)에 대하여 1/10∼1/3 의 길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홈을 이용한 구름마찰 구동방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장치.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하부링부는 링크의 하부끝단에 결합되고 내면접촉용 구름베어링을 구비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일체로 설치되어 링크내부에 삽입설치되고 이동부와 체결부가 연결되는 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로울러 베어링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홈을 이용한 구름마찰 구동방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장치.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스프링에 의해 일측단이 스크류의 나사산에 접촉되도록 하부링부에 설치되는 접촉대와, 상기 접촉대와 연결되고 하부링부내에 위치하도록 설치 되는 링타입의 연결대와, 상기 접촉대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연결대에 일측단이 고정설치되고 타측단이 하부링부이 설치된 링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대로 구성되며,
    상기 체결부는 스프링, 접촉대, 연결대 및, 결합대가 한 조를 이루도록 설치되고, 2∼3 개조가 집합체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홈을 이용한 구름마찰 구동방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장치.
KR1020080128966A 2008-12-18 2008-12-18 나선홈을 이용한 구름마찰 구동방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장치 KR100990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966A KR100990238B1 (ko) 2008-12-18 2008-12-18 나선홈을 이용한 구름마찰 구동방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966A KR100990238B1 (ko) 2008-12-18 2008-12-18 나선홈을 이용한 구름마찰 구동방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428A true KR20100070428A (ko) 2010-06-28
KR100990238B1 KR100990238B1 (ko) 2010-10-29

Family

ID=42368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966A KR100990238B1 (ko) 2008-12-18 2008-12-18 나선홈을 이용한 구름마찰 구동방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2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00424A2 (en) 2010-06-18 2011-12-28 Samsung SDS Co. Ltd. Anti-malware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2437197A2 (en) 2010-07-21 2012-04-04 Samsung SD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OC-based anti-malware service
WO2015023007A1 (ko) * 2013-08-12 2015-02-19 Cho Jae-Sik 텔레스코픽 마스트
CN113735019A (zh) * 2021-09-06 2021-12-03 徐州天泓传动设备有限公司 一种应用电动推杆的升降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5184B1 (ko) 1997-12-26 1999-12-15 김성년 나선홈을 응용한 승하강 마스트
DE60110412T2 (de) 2000-05-22 2006-03-02 Ideassociates (Iom) Ltd., Douglas Teleskopische struktu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00424A2 (en) 2010-06-18 2011-12-28 Samsung SDS Co. Ltd. Anti-malware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2437197A2 (en) 2010-07-21 2012-04-04 Samsung SD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OC-based anti-malware service
WO2015023007A1 (ko) * 2013-08-12 2015-02-19 Cho Jae-Sik 텔레스코픽 마스트
CN113735019A (zh) * 2021-09-06 2021-12-03 徐州天泓传动设备有限公司 一种应用电动推杆的升降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0238B1 (ko) 201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04677B2 (en) Lifting apparatus for highly mounted equipment
KR100990238B1 (ko) 나선홈을 이용한 구름마찰 구동방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장치
EP2212492B1 (en) Strap driven field mast
RU1836283C (ru) Телескопическа труба
KR101513932B1 (ko) 받침틀
KR101589715B1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CN202054574U (zh) 室内升降装置
US6074075A (en) Centering device for high mast lighting system
CN102654278A (zh) 一种升降杆及照明装置
KR970002118A (ko) 전자렌지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US3911267A (en) Combination mast and light raising signalling means and lowering apparatus
KR101611238B1 (ko) 볼나사를 이용한 무대 설비의 와이어 구동 장치
CN112960594B (zh) 升降装置、定位设备和腔室设备
KR101474695B1 (ko) Dd모터를 이용한 z축 스테이지
KR101812072B1 (ko) 컨베이어 벨트 및 원통형 부재 인양 시스템
KR20130001749A (ko) 전동식 텔리스코픽 승하강 시스템
JP2019078083A (ja) 水門開閉装置
CN216112858U (zh) 升降装置、定位设备和腔室设备
KR101254456B1 (ko) 동시전개식 텔리스코픽 승하강 시스템
KR100535654B1 (ko) 판스프링을 이용한 리프터
KR102295332B1 (ko) 맨홀프레임 높이조절식 밸브실
KR20090090091A (ko) 수직 신장장치
KR101788174B1 (ko) 다단 리프터
KR100235184B1 (ko) 나선홈을 응용한 승하강 마스트
KR100242488B1 (ko) 텔레스코픽 다단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