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9327A - 인삼씨 파종기의 정량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인삼씨 파종기의 정량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9327A
KR20100069327A KR1020080127985A KR20080127985A KR20100069327A KR 20100069327 A KR20100069327 A KR 20100069327A KR 1020080127985 A KR1020080127985 A KR 1020080127985A KR 20080127985 A KR20080127985 A KR 20080127985A KR 20100069327 A KR20100069327 A KR 20100069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cap
discharge pipe
ginse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4856B1 (ko
Inventor
강동만
Original Assignee
강동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만 filed Critical 강동만
Priority to KR1020080127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856B1/ko
Publication of KR20100069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20Parts of seeders for conducting and depositing se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4Single-grain seeders with or without suction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번의 작동으로 다수의 인삼씨 종자구멍을 굴토함과 동시에 각각의 종자구멍에 하나의 인삼씨를 파종할 수 있도록 하는 인삼씨 파종기의 정량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량 투입장치의 파손시 간단히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삼씨 파종기의 정량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량투입장치의 배출관을 직접 받침판에 고정시키지 않고, 별도의 고정캡을 받침판에 고정시킨 후 상기 고정캡에 배출관이 끼워져 결합되게 함으로써, 씨앗저장통의 상측에서 배출관의 상부와 이동관을 잡고 강하게 상부로 당길 경우 배출관의 하측이 고정캡에서 분리되는 한편 받침캡에서 이동관도 분리되게 한 후 새로운 배출관과 이동관을 받침캡과 고정캡에 끼워주면 교체가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인삼씨, 파종, 수리, 교체

Description

인삼씨 파종기의 정량 투입장치{Fixed quantity injection device of ginseng seeds sowing machine}
본 발명은 한 번의 작동으로 다수의 인삼씨 종자구멍을 굴토함과 동시에 각각의 종자구멍에 하나의 인삼씨를 파종할 수 있도록 하는 인삼씨 파종기의 정량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량 투입장치의 파손시 간단히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의 인삼씨 파종기로는 하나의 구멍에 하나의 씨앗을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파종했던 폐단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 등록시킨 실용신안 등록 20- 216322호의 인삼씨 파종기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된 등록실용신안 20-216322호로 제시된 인삼씨 파종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손잡이(20)를 전후로 이동시킴에 따라 받침판(40)과 씨앗저장통(30) 사이의 간격이 벌어졌다 좁혀졌다 하면서 씨앗저장통(30)의 인삼씨(1)가 정량 투입장치(70)에서 투입관(11)으로 배출시켜 파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받침판(40)에는 도 2와 같은 정량투입장치(70)를 구성하는 배출관(41)의 하부가 도 3및 도 4와 같이 결합턱(72)과 결합돌기(73)에 의해 고정되게 되고, 상기 배출관(71)의 상부는 4조각으로 형성되는 씨암(75)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씨암(75)의 상부는 원통형의 씨앗 적재부(76)가 형성되게 하며, 상기 배출관(71)의 외측에는 이동관(81)을 끼우되 상기 이동관(81)의 몸체에 형성된 가이드 홈(82)에 배출관(71)의 가이드돌기(74)가 끼워져 이동거리를 한정하게 하고, 상기 이동관(81)의 상부에는 씨암(75) 사이에 위치하고 배출관(71)이 상부로 이동할 때 씨암(75)을 벌려주는 벌림부(85)를 형성하며, 상기 이동관(81)은 씨앗저장통(30)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게 끼워지고, 상기 이동관(81)의 하부는 받침캡(50)을 씌우되 상기 받침캡(50)의 하부는 받침판(40)에 스프링(60)으로 받쳐지게 한다.
이러한 인삼씨 파종기(10)에서 작동손잡이(20)를 전후로 이동시켜 받침판(40)과 씨앗저장통(30) 사이의 간격을 좁히고 넓히는 구조는 본 출원인에 의해 선 등록된 바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원발명의 종래기술인 인삼씨(1)를 투입하는 정량투입장치(70)의 작동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정량투입장치(70)의 배출관(71)은 받침판(40)에 고정되고, 상기 배출관(71)에는 이동관(81)이 끼워진 채로 이동관(81)의 대부분이 씨앗저장통(30)에서 돌출되며, 상기 이동관(81)의 하측으로는 받침돌기(84)와 받침턱(83) 사이에 받침캡(50)이 끼워지게 하되 상기 받침캡(50)은 받침판(40)의 상부에 받쳐지는 스프링(60)으로 받쳐지게 되는 것으로, 이동관(81)은 받침캡(50)을 밀어주는 스프링(60)에 의해 항시 상부로 밀린 상태를 유지하여 벌림부(85)가 씨암(75)을 벌려주지 않은 상태가 되게 하며, 씨앗적재부(76)는 씨앗저장통(30)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게 한다.
이 상태에서 작동손잡이(20)를 전진시켜 씨앗저장통(30)을 상부로 이동시키 면 씨앗저장통(30)에서 씨앗적재부(76)가 인삼씨(1)에 파묻히게 되며, 다시 작동손잡이(20)를 후진시키면 씨앗저장통(30)이 하부로 이동하면서 씨앗적재부(76)가 노출되게 되고, 이때 씨앗적재부(76)에는 하나의 인삼씨(1)가 적재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작동손잡이(20)를 더 후진시키면 씨앗저장통(30)이 하부로 이동하면서 받침캡(50)을 눌러주게 되고, 받침캡(50)이 눌리면 스프링(60)을 압착시키며 이동관(81)을 하부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동관(81)의 하부 이동시 벌림부(85)가 씨암(75)을 사방으로 벌려주면서 이동하게 되므로, 씨암(75)이 모아졌을 때 형성되는 씨앗적재부(76)에 올려진 인삼씨(1)는 씨암(75)이 벌려졌을 때 배출관(71)의 내부를 타고 투입관(11)으로 전달되어 파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작동손잡이(20)를 원위치시키면 씨앗저장통(30)이 상부로 이동하며 받침캡(50)을 눌러주지 않게 되나, 받침캡(50)은 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면서 이동관(81)을 상부로 이동시켜 벌림부(85)가 씨암(75)을 벌리지 않도록 하며, 이때 정량투입장치(70)의 상측은 씨앗저장통(30)의 인삼씨(1)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정량투입장치(70)는 씨암(75)이 원활히 모아지고 인삼씨(1)를 받친 상태에서 씨암(75)이 벌어져 하나의 인삼씨(1)가 파종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나, 씨앗적재부(76)에 하나 이상의 인삼씨(1)가 올려지는 경우가 발생되고, 또한 씨암(75)이 외측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질 때 인삼씨(1)가 배출관(71)의 내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씨암(75)의 벌어짐이나 오므려짐을 방해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이 경우 씨암(75)이 휘어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인삼씨(1)의 정량 투입에 방해를 주 게 된다.
이 같이 씨암(75)이 손상되는 경우 이를 수리하기 위해서는 씨앗저장통(30)을 분리하여 제거한 후 배출관(71)에 끼워진 투입관(11)을 빼내고, 배출관(71)을 받침판(40)에서 완전히 분리시킨 후 그 자리에 새로운 정량투입장치(70)를 끼우고, 다시 투입관(11)과 씨앗저장통(30)을 결합시켜 주어야 한다.
즉, 씨암(75)이 손상되는 경우 씨앗저장통(30)을 분리한 후 정량투입장치(70)를 받침판(40)에서 분리 제거하고 새로운 정량투입장치를 끼워주어야 하므로, 수리에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인삼씨 파종기에서 씨앗저장통에 담긴 인삼씨를 하나씩 파종시키도록 하는 정량투입장치가 손상되는 경우 정량투입장치를 모두 교체하여 수리하지 않고, 씨앗저장통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배출관을 빼내어 제거한 후 새로운 배출관을 끼워줌으로써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정량투입장치의 씨암이 손상되는 경우 누구나 간단히 이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삼씨 파종기의 정량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량투입장치의 배출관을 직접 받침판에 고정시키지 않고, 별도의 고정캡을 받침판에 고정시킨 후 상기 고정캡에 배출관이 끼워져 결합되게 함으로써, 씨앗저장통의 상측에서 배출관의 상부와 이동관을 잡고 강하게 상부로 당길 경우 배출관의 하측이 고정캡에서 분리 되는 한편 받침캡에서 이동관도 분리되게 한 후 새로운 배출관과 이동관을 받침캡과 고정캡에 끼워주면 교체가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고정캡을 받침판에 끼워 고정시킨 후 상기 고정캡에 끼워지게 배출관을 형성함으로써, 씨앗저장통의 상부로 돌출된 배출관과 이동관을 집게로 잡고 강하게 당기게 되면 받침판에 고정된 고정캡에서 배출관이 분리되어 빠지게 되고, 씨앗저장통의 하부에 받쳐진 받침캡에서 이동관도 빠지게 되므로, 손상된 배출관과 이동관을 제거한 후 새로운 배출관과 이동관을 고정캡에 간단히 끼워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삼씨 파종기의 정량투입장치를 간단히 수리할 수 있어, 정량투입장치의 손상에 따른 수리시간과 인력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집게를 이용하여 정량투입장치를 간단히 제거한 후 새로운 정량투입장치를 끼우면 손상된 정량투입장치의 수리가 완료되는 것으로. 정량투입장치의 손상시 이를 간단히 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작동손잡이의 작동으로 지면에 여러 개의 구멍을 뚫고, 각각의 구멍에 하나의 인삼씨를 파종하는 인삼씨 파종기에 있어서, 씨앗저장통에 담긴 인삼씨를 하나씩 구멍으로 파종하는 정량투입장치가 손상되는 경우 이를 간단히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인삼씨 파종기에서 씨앗저장통의 상측으로 정량투입장치의 배출관과 이동관을 분리시켜 제거한 후 새로운 배출관과 이동관을 끼워 주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작동손잡이를 전후로 이동시킴에 따라 씨앗저장통과 받침판 사이의 간격을 벌리거나 좁혀주어 씨앗저장통에 담긴 인삼씨가 정량투입장치를 통하여 파종될 수 있도록 하는 인삼씨 파종기에 있어서, 외측으로 고정턱과 고정돌기가 형성된 고정캡을 받침판에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캡의 내측으로 배출관을 끼우되 배출관의 하측으로 형성된 결합턱이 고정캡의 상부에 받쳐지고 결합돌기는 고정캡의 내측에 걸쳐지게 하며, 상기 배출관에는 외측으로 이동관을 끼우되 상기 이동관에는 스프링에 탄지된 받침캡을 끼워주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정량투입장치는 씨앗저장통의 상부로 돌출된 이동관을 강하게 집게로 잡고 상부로 당기게 되면, 이동관과 배출관이 상부로 이동하는 힘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배출관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고정캡에서 분리되어 배출관의 분리가 이루어지며, 이와 동시에 이동관이 상부로 이동할 때 받침캡이 씨앗저장통에 닿게 되어 이동관만 빠져 나오게 된다.
즉, 정량투입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관과 배출관만을 씨앗저장부의 상측을 통하여 제거할 수 있고, 인삼씨 파종기의 받침판에는 고정캡만이 끼워져 있게 되며, 이 상태에서 씨암이 손상되지 않은 배출관과 이동관을 역방향으로 끼워주게 되면, 정량투입장치의 교체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작동 손잡이(20)를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써 씨앗저장통(30)에 담긴 인삼씨(1)가 투입관(11)을 통하여 파종이 이루어지게 하는 인삼씨 파종기(100)에 있어서, 상기 인삼씨 파종기(100)의 받침판(40)에 고정된 상태에서 작동 손잡이(20)의 전후 이동에 따라 씨앗저장통(30)에 담긴 인삼씨(1)를 하나씩 투입관(11)으로 배출시키는 정량투입장치(70a)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정량투입장치(70a)의 손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간단히 교체 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작동 손잡이(20)를 전후로 이동시킴에 따라 씨앗저장통(30)과 받침판(4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면서 씨앗저장통(30)에 담긴 인삼씨(1)가 정량투입장치(70a)를 거쳐 투입관(11)에서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삼씨 파종기(100)의 구조는 본 출원인에 의해 선 등록 된 실용신안 20-216322호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조와 작동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단지 본원발명의 정량투입장치(70a)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작동손잡이(20)의 전후진에 따라 씨앗저장통(30)의 인삼씨(1)를 배출관(71a)에서 투입관(11)으로 배출시켜 파종이 이루어지게 하는 정량투입장치(70a)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정량투입장치(70a)는 배출관(71a)과, 이동관(81), 그리고 고정캡(91)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기존의 정량투입장치(70)와 비교할 때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도면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정량투입장치(70a)는 받침판(40)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캡(91)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캡(91)에 끼워져 결합되는 배출관(71a)을 구비하며, 상기 배출관(71a)에 외삽되게 끼워지는 이동관(81)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이동관(81)에는 받침캡(50)을 끼워 고정시키되 상기 받침캡(50)은 스프링(60)에 의해 받침판(40)에서 받쳐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고정캡(91)은 외측으로 고정턱(92)과 고정돌기(93)를 형성하여, 받침판(40)의 하측에서 받침판(40)을 관통하게 끼워줄 경우 고정턱(92)과 고정돌기(93) 사이에 받침판(40)이 고정되는 것으로, 고정캡(91)은 받침판(40)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턱(92)이 받침판(40)의 하측에 받쳐져 있어, 상측으로는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고정캡(91)의 하측에는 투입관(11)을 끼워준다.
그리고 고정캡(91)의 상측에서 끼워지는 배출관(71a)은 하측으로 결합돌기(76a)와 결합턱(72a)이 형성되게 되며, 상기 배출관(71a)을 고정캡(91)에 끼울 경우 결합돌기(73a)와 결합턱(72a) 사이에 고정캡(91)이 끼워지게 되는 것으로, 결합턱(72a)에 의해 배출관(71a)은 하측으로 밀리지 않고 끼워지게 되며, 강제로 배출관(71a)을 상측으로 당길 경우 결합돌기(73a)의 결합력이 해제되면서 고정캡(91)과 분리되어 상측으로 빠지게 된다.
여기서 배출관(71a)의 상측에는 4조각으로 형성되는 씨암(75)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씨암(75)의 상부는 원통형의 씨앗 적재부(76)가 형성되게 하며, 상기 배출관(71a)의 외측에는 이동관(81)을 끼우되 상기 이동관(81)의 몸체에 형성된 가이드 홈(82)에 배출관(71a)의 가이드돌기(74)가 끼워져 이동거리를 한정하게 하고, 상기 이동관(81)의 상부에는 씨암(75) 사이에 위치하고 배출관(71a)이 상부로 이동할 때 씨암(75)을 벌려주는 벌림부(85)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관(81)의 하부 외측으로 형성된 받침돌기(84)와 받침턱(83) 사이에는 받침캡(50)을 끼워주되 상기 받침캡(50)의 하부는 받침판(40)과의 사이에 끼워진 스프링(60)으로 받쳐지게 하며, 상기 배출관(71a)에 끼워진 이동관(81)은 씨앗저장통(30)에 끼워져 있게 된다.
여기서 씨앗저정통(30)에서는 정량투입장치(70a)의 상측에 돌출되어 끼워지게 되고, 상기 정량투입장치(70a)는 여러 개가 설치되어 한 번의 작동시 여러 개의 인삼씨(1)가 파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정량투입장치(70a)에 대하여 그 작동을 설명하기로 하며, 그에 앞서 씨앗저장통(30)에는 인삼씨(1)가 채워져 있게 되고, 작동 손잡이(20)가 중앙에 놓인 위치에서, 도 9와 같이 정량투입장치(70a)의 상측이 씨앗저장통(30)의 인삼씨(1)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중앙에 놓인 작동 손잡이(20)를 전진시키면 씨앗저장통(30)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정량투입장치(70a)의 선단에 형성된 씨앗적재부(76)가 도 10과 같이 인삼씨(1)에 파묻히게 되고, 다시 작동손잡이(20)를 후진시켜 중앙에 놓이게 하면 씨앗저장통(30)이 하부로 이동하면서 정량투입장치(70a)의 씨앗적재부(76)가 도 11과 같이 인삼씨(1)에서 상부로 노출되게 되고, 이때 씨앗적재부(76)에는 인삼씨(1)가 올려져 있게 된다.
그리고 작동손잡이(20)를 더 후진시키면 씨앗저장통(30)이 하부로 이동하면서 받침캡(50)을 눌러주게 되고, 받침캡(50)이 씨앗저장통(30)에 의해 눌리게 되면 스프링(60)을 압착시키며 받침캡(50)을 이동시키게 되므로, 받침캡(50)이 끼워져 고정된 이동관(81)을 하부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와 같이 이동관(81)이 하부로 이 동할 때 배출관(71a)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이동관(81)의 하부 이동시 도 12와 같이 벌림부(85)가 씨암(75)을 사방으로 벌려주면서 이동하게 된다.
즉, 씨암(75)이 모아진 상태로 씨앗적재부(76)에 인삼씨(1)가 올려지게 되나, 배출관(71a)을 고정시킨 상태로 이동관(81)을 하부로 이동시키면, 씨암(75)이 노출되면서 사방으로 벌어지게 되고, 씨암(75)이 사방으로 벌어지면 인삼씨(1)는 도 13과 같이 배출관(71a)의 내부를 타고 투입관(11)으로 전달되어 파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작동손잡이(20)를 중앙으로 원위치시키면 씨앗저장통(30)이 상부로 이동하며 받침캡(50)을 눌러주지 않게 되나, 받침캡(50)은 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면서 이동관(81)을 상부로 이동시켜 벌림부(85)가 씨암(75)을 벌리지 않도록 하며, 이때 정량투입장치(70a)의 상측은 씨앗저장통(30)의 인삼씨(1)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정량투입장치(70a)는 씨암(75)이 하나의 인삼씨(1)를 받쳐주는 경우 파손이나 손상이 발생치 않으나, 인삼씨(1)가 두 개 이상 올려지거나, 인삼씨(1)의 걸림으로 인하여 씨암(75)이 벌어질 때 씨암(75)이 파손 되거나 휘어져 손상을 입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 같이 정량투입장치(70a)의 씨암(75)이 손상되는 경우 기존에는 정량투입장치(70)를 완전히 교체해 주어야 하나, 본 발명에서는 고정캡(91)에서 배출관(71a)과 이동관(81)을 분리시켜 간단히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씨앗저장통(30)의 상부로 돌출된 정량투입장치(70a)의 상부를 집게로 잡아 강하게 당기게 되면, 배출관(71a)의 하측에 형성된 결합돌기(73a)가 고정캡(91)에서 이탈하면서 배출관(71a)이 분리되게 되고, 이동관(81)의 외측에 끼워진 받침캡(50)은 씨앗저장통(30)에 닿아 이동관(81)이 받침캡(50)에서 이탈하여 분리되게 된다.
즉 인삼씨 파종기(100)에서 별다른 부속의 분해나 분리 없이, 단지 씨앗저장통(30)의 상부로 돌출된 정량투입장치(70a)를 집게로 당기게 되면, 고정캡(91)을 제외한 부분이 간단히 상부로 빠지면서 분리되게 된다.
이렇게, 배출관(71a)과 이동관(81)을 분리시켜 제거한 후에는 손상되지 않은 씨암(75)을 갖는 배출관(71a)과 이동관(81)을 씨앗저장통(30)의 상부에서 받침캡(50)의 내부와 고정캡(91)을 내부를 향하여 강하게 밀어주게 되면, 배출관(71a)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73a)가 고정캡(91)에 끼워져 고정되는 동시에 받침캡(50)도 이동관(81)의 외측에 끼워져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량투입장치(70a)의 씨암(75)이 손상되었을 경우 씨앗저장통(30)의 상측으로 배출관(71a)과 이동관(81)을 빼내어 제거한 후 새로운 배출관(71a)과 이동관(81)을 끼워 고정시키면 되므로, 정량투입장치(70a)의 손상시 교체와 수리가 간단히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기존 인삼씨 파종기 사시도
도 2는 기존 정량투입장치 사시사진
도 3은 기존 정량투입장치의 설치상태 요부 단면도
도 4는 기존 정량투입장치에서 인삼씨가 배출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인삼씨 파종기 사시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정량투입장치 사시사진
도 7은 본 발명 정량투입장치의 일부 분해사진
도 8은 본 발명 정량투입장치의 분해 사진
도 9내지 도 13은 본 발명 정량투입장치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 정량 투입장치의 분리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0 : 인삼씨 파종기 20 : 작동 손잡이
30 : 씨앗저장통 40 : 받침판
50 : 받침캡 60 : 스프링
70,70a : 정량투입장치 71,71a : 배출관
72,72a : 결합턱 73,73a : 결합돌기
75 : 씨암 81 : 이동관
85 : 벌림부 91 : 고정캡

Claims (2)

  1. 작동손잡이의 작동으로 씨앗저장통과 받침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인삼씨가 정량투입장치를 통하여 파종되게 하는 인삼씨 파종기에 있어서,
    받침판(40)에 고정캡(91)을 끼워 고정시키되 상기 고정캡(91)의 하측으로 인삼씨(1)가 배출되는 투입관(11)이 끼워지게 하고,
    상기 고정캡(91)의 상측에는 배출관(71a)을 끼워 고정시키되 상기 배출관(71a)의 상측에는 4조각으로 형성되는 씨암(75)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씨암(75)의 상부는 원통형의 씨앗 적재부(76)가 형성되게 하며,
    상기 배출관(71a)의 외측에는 이동관(81)을 끼우되 상기 이동관(81)의 몸체에 형성된 가이드 홈(82)에 배출관(71a)의 형성된 가이드돌기(74)가 끼워져 결합되게 하는 한편 상기 이동관(81)의 상부에는 씨암(75) 사이에 위치하여 이동관(81)이 이동할 때 씨암(75)을 벌려주는 벌림부(85)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관(81)의 하부 외측으로 받침캡(50)을 끼우되 상기 받침캡(50)의 하측으로 받침판(40)과의 사이에 스프링(60)으로 받쳐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씨 파종기의 정량 투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캡(91)은 외측으로 고정턱(92)과 고정돌기(93)를 형성하여 받침판(40)에 끼워져 고정되게 하고, 상기 고정캡(91)에 끼워지는 배출관(71a)에는 결합턱(72a)을 형성시켜 고정캡(91)의 상부에 받쳐지게 하며, 상기 배 출관(71a)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73a)는 고정캡(91)에 걸쳐지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씨 파종기의 정량 투입장치.
KR1020080127985A 2008-12-16 2008-12-16 인삼씨 파종기의 정량 투입장치 KR101054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985A KR101054856B1 (ko) 2008-12-16 2008-12-16 인삼씨 파종기의 정량 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985A KR101054856B1 (ko) 2008-12-16 2008-12-16 인삼씨 파종기의 정량 투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327A true KR20100069327A (ko) 2010-06-24
KR101054856B1 KR101054856B1 (ko) 2011-08-05

Family

ID=42367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985A KR101054856B1 (ko) 2008-12-16 2008-12-16 인삼씨 파종기의 정량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8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048A (ko) 2014-08-19 2016-02-29 길복환 인삼씨 낱개분리기 및 인삼씨 파종기
CN106489378A (zh) * 2016-11-09 2017-03-15 钟山县公安镇力发水果种植专业合作社 一种颗粒状种子播种机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322Y1 (ko) 2000-09-26 2001-03-15 강동만 인삼씨 파종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048A (ko) 2014-08-19 2016-02-29 길복환 인삼씨 낱개분리기 및 인삼씨 파종기
CN106489378A (zh) * 2016-11-09 2017-03-15 钟山县公安镇力发水果种植专业合作社 一种颗粒状种子播种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4856B1 (ko) 201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796107U (zh) 园林用种子播种器
KR101054856B1 (ko) 인삼씨 파종기의 정량 투입장치
KR20150085163A (ko) 작물 파종기
CN201479578U (zh) 可调穴距型孔的精量穴播器
KR20070093644A (ko) 다품종 파종기
KR20090103655A (ko) 막대형 비닐봉지 커피믹스 인출장치
KR101506846B1 (ko) 씨앗 심는 삽
CN116195406B (zh) 玉米播种机
KR200466348Y1 (ko) 롤식 파종기의 씨앗통 착탈구조
CN104380884A (zh) 一种挤压旋转式播种器
CN206165145U (zh) 一种玉米点播器
KR102029279B1 (ko) 씨앗 보식기
CN107283852B (zh) 一种插针加热针笼
KR200216322Y1 (ko) 인삼씨 파종기
KR20200139889A (ko) 육묘판 씨앗 파종기
JP2004283035A (ja) 種まき器
CN209017429U (zh) 一种农业种植播种器
CN217884430U (zh) 一种油菜单粒播种器
CN212876647U (zh) 一种农业辅助播种装置
US3144170A (en) Dispensing devich with article releasing means
CN109757165A (zh) 一种水稻小区机械化移栽的方法
CN218483221U (zh) 一种棉花种子精播机
KR20200032775A (ko) 원터치 방식에 의해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한 측조시비기용 잠금장치
CN214282138U (zh) 一种便携式肥料播撒器
KR200254749Y1 (ko) 파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