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9271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9271A
KR20100069271A KR1020080127919A KR20080127919A KR20100069271A KR 20100069271 A KR20100069271 A KR 20100069271A KR 1020080127919 A KR1020080127919 A KR 1020080127919A KR 20080127919 A KR20080127919 A KR 20080127919A KR 20100069271 A KR20100069271 A KR 20100069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guide
region
guide plat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9956B1 (ko
Inventor
김희곤
윤병서
신택선
황인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7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956B1/ko
Priority to US12/562,587 priority patent/US8282260B2/en
Priority to EP09012002A priority patent/EP2199838A1/en
Priority to TW098132476A priority patent/TWI479234B/zh
Priority to JP2009261235A priority patent/JP5419085B2/ja
Priority to CN200910261301.9A priority patent/CN101763775B/zh
Publication of KR20100069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 G02B6/0046Tapered light guide, e.g. wedge-shaped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68Arrangements of plural sources, e.g. multi-colour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75Arrangements of multiple light guides
    • G02B6/0078Side-by-side arrangements, e.g. for large area displays
    • G02B6/008Side-by-side arrangements, e.g. for large area displays of the partially overlapping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장치에서, 도광판은 서로 대향하는 입광면 및 대향면과 표시패널의 배면을 마주보는 출광면 및 출광면과 대향하는 후면을 포함한다. 출광면은 입광면에 접하는 비유효 출사영역 및 대향면에 접하는 유효 출사영역을 갖는다. 도광판들은 대향면측 단부가 제1 방향으로 이웃한 도광판의 입광면측 단부 위로 유효 출사영역의 일부까지 중첩되게 배열되어 어레이를 형성한다. 후면은 입광면 인근의 제1 영역, 대향면에 접하는 제2 영역 및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연결하는 제3 영역을 갖고, 제3 영역에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보다 높은 밀도로 광확산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도광판 어레이의 출사광의 휘도 균일성이 향상되어 대면적 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이 향상된다.
도광판, 중첩, 휘도, 영역, 균일성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광판이 적용된 대형 평판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와 같은 평판 표시장치는 영상 표시를 위한 기초가 되는 광을 표시패널에 제공하는 광원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 장치는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된다.
상기 광원 장치는 상기 광원 장치가 포함하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에지 타입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직하 타입 백라이트 어셈블리로 구분된다. 상기 에지 타입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에 도광판을 배치하고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광원이 배치되어 장치를 슬림화 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직하 타입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다수의 램프들 또는 발광다이오드들이 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되어 광 공급량이 크므로 대형의 표시장치에 주로 채택된다.
평판 표시장치에서 가장 큰 기술적 이슈는 장치를 대형화하고 및 슬림하게 제작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대형화하고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이 특히 결정적이다. 또한, 백라이트 광은 휘도 균일성이 매우 좋아야 한다. 그런데 상기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경우 휘도 균일성을 일정 정도 이상 얻기 위해서는 광원과 확산판과 같은 광학부재 사이의 이격 간격이 일정한 거리 이상 필요하여 슬림화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와 같은 광원의 사용 개수가 너무 많아 제조비용 및 소비전력 등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슬림한 구조를 갖고 휘도 균일성이 향상되어 대형화에 유리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광원 및 복수의 도광판들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광원은 상기 영상 표시의 기초가 되는 광을 출사한다. 상기 도광판은 입광면, 대향면, 출광면 및 후면을 포함한다. 상기 입광면은 상기 광원과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광이 입사된다. 상기 대향면은 상기 입광면과 대향한다. 상기 출광면은 비유효 출사영역 및 유효 출사영역을 갖고,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비유효 출사영역은 상기 입광면과 접하며, 상기 유효 출사영역은 상기 비유효 출사영역과 상기 대향면을 연결한다. 상기 후면은 상기 출광면과 대향한다. 상기 도광판들은 상기 대향면측 단부가 제1 방향으로 이웃한 도광 판의 입광면측 단부 위로 상기 유효 출사영역의 일부까지 중첩되게 배치되어 어레이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후면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비유효 출사영역으로부터 상기 도광판들이 중첩된 유효 출사영역에 대응한다.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대향면으로부터 상기 도광판들이 중첩된 유효 출사영역에 대응한다.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연결하며, 상기 제3 영역에서는 상기 도광판들이 중첩되지 않는다. 상기 후면에는 광확산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광확산 패턴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보다 상기 제3 영역에서 더 밀도가 높게 형성된다.
상기 도광판 어레이의 출광 프로파일은 상기 유효 출사영역에서는 휘도가 균일하다. 상기 어레이의 일측 말단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이 중첩되지 않은 제1 영역에서는 상기 입광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균일한 휘도까지 휘도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어레이의 타측 말단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이 중첩되지 않은 제2 영역에서는 상기 입광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균일한 휘도로부터 휘도가 감소될 수 있다.
각 상기 도광판의 출광 프로파일은 상기 제3 영역에서는 상기 균일한 휘도의 광이 출사되고, 상기 제1 영역에서는 상기 입광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균일한 휘도의 광까지 휘도가 증가되고, 상기 제2 영역에서는 상기 입광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균일한 휘도의 광으로부터 휘도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광원을 감싸며 상기 비유효 출사영역을 커버하고, 상 기 후면까지 연장된 반사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상기 반사커버와 상기 입광면의 사이에 배치된 발광다이오드들과, 상기 발광다이오드들이 실장되며 상기 반사커버 위에 배치된 전원전달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디밍(dimming)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밍 구동부는 상기 표시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 또는 색상에 상응하도록 각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출사광의 휘도 또는 색상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바닥판 및 측벽을 갖는 수납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커버는 상기 바닥판에 고정된다. 상기 측벽에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도광판의 가장자리를 구속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 의하면, 대면적 표시패널의 직하부에 복수의 도광판들을 중첩되게 배열하여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대면적 표시장치에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출사광의 휘도 균일성이 향상되고, 도광판의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도광판을 사용함으로써 면광을 형성하기 위한 광학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어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의 두께를 크게 감소실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10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표시장치(100)는 광원(10), 도광판(30)들, 광학시트(50) 및 표시패널(70)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10) 및 상기 도광판(30)들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패널(70)의 하부에 배치되는 모듈을 백라이트 어셈블리(105)로 정의한다.
상기 광원(10)은 광을 출사하고, 상기 도광판(30)은 상기 광을 가이드 하여 면광으로 변환시켜 출사하며, 상기 광학시트(50)는 상기 면광의 휘도 균일성 및 정면 휘도를 향상시켜 출사하며, 상기 표시패널(70)은 상기 광학시트(5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기초로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광원(10)은 발광다이오드(11) 및 전원전달필름(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1)는 청색광을 출사하는 청색 발광체와 상기 청색광을 백색광으로 변환시키는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발광다이오드(11)는 청색 발광체, 녹색 발광체 및 적색 발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색 발광체, 상기 녹색 발광체 및 상기 적색 발광체로부터 각각 출사된 청색광, 녹색광 및 적색광은 상기 도광판(30) 내부에서 혼색되어 상기 도광판(30)으로부터 백색광 으로 출사될 수 있다.
상기 전원전달필름(13)은 플렉시블한 베이스필름 및 상기 베이스필름에 형성된 전원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발광다이오드(11)들이 상기 전원전달필름(13)에 실장되어 구동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105)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광판(30)은 균일한 두께를 갖는 평판 형상을 갖는다. 상기 도광판(30)은 내열성, 내화학성, 기계적 강도 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polymer resin)를 주물성형 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의 예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도광판(30)은 서로 대향하는 입광면(31) 및 대향면(33)과 출광면(35) 및 후면(37)을 포함한다. 상기 입광면(31) 및 상기 대향면(33)은 서로 대향하는 상기 출광면(35) 및 상기 후면(37)을 연결한다. 상기 입광면(31)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11)가 배치된다.
상기 출광면(35)은 비유효 출사영역(NEA01) 및 유효 출사영역(EA01)을 갖는다. 상기 비유효 출사영역(NEA01)은 상기 입광면(31)과 접하며 일정한 폭을 갖는다. 상기 유효 출사영역(EA01)은 상기 비유효 출사영역(NEA01)과 상기 대향면(33)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입광면(31)의 두께는 상기 발광다이오드(11)의두께보다 더 크며, 상기 도광판(30)은 강성을 갖는 플레이트이다. 이와 다르게, 상기 도광판(30)의 슬림화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입광면(31)의 두께는 상기 발광다이오드(11)의 두께보다 작을 수도 있다. 이와 또 다르게, 상기 도광판(30) 대신 광가이드 필름(Light Guiding Film; LGF)을 면광원 형성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광가이드 필름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 필름은 상기 발광다이오드(11)보다 훨씬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광판(30)들은 제1 방향(D01)으로 부분적으로 서로 중첩되게 배열되어 있다. 도 1에는 상기 도광판(30)들이 기울어진 정도가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광판(30)들은 매우 슬림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충분히 길다. 따라서 상기 도광판(30)들이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있지만 상기 도광판(30)의 출광면(35)의 기울기는 거의 무시할 수 있으며, 상기 출광면(35)은 실질적으로 거의 수평으로 배치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1)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직진성이 강하다. 상기 입광면(31)에 입사된 광은 어느 정도 진행한 이후에 상기 도광판(30)에 의해 확산 및 산란되어 상기 도광판(30) 내부에서 균일하게 확산된다. 즉 상기 비유효 출사영역(NEA01)에서는 핫 스팟(hot spot)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비유효 출사영역(NEA01)에서는 상기 발광다이오드(11)에 대응하는 부분과 상기 발광다이오드(11)들 사이에 대응하는 부분의 휘도편차가 매우 크다.
이렇게 상기 비유효 출사영역(NEA01) 휘도 균일성이 일정한 기준값에 미치지 못하는 영역으로 정의된다. 상기 비유효 출사영역(NEA01)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영상표시에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상기 비유효 출사영역(NEA01)은 광을 추출해 내는 영역에서 제외된다. 상기 유효 출사영역(EA01)은 광이 충분히 확산 및 산란된 상태여서 휘도 균일성이 일정한 기준값 이상이 되는 영역으로 정의된다.
상기 비유효 출사영역(NEA01)은 상기 핫 스팟을 개선하고, 후술될 반사커버(15)에 의해 커버되며, 상기 도광판(30)과 상기 반사커버(15)의 조립을 견고하게 하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제1 방향(D01)으로 상기 비유효 출사영역(NEA01)의 폭과 상기 유효 출사영역(EA01)의 폭의 비는 서로 무관하며 독립적으로 결정된다.
상기 비유효 출사영역(NEA01)의 폭은 상기 핫 스팟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11)들의 이격 간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다이오드(11)들 간격을 Lp라 하면, 상기 비유효 출사영역(NEA01)은 대략 (1/2)Lp 이상 2Lp 이하로 하면 상기 핫 스팟을 고려하여 적절한 폭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다이오드들 사이의 간격이 5mm 이상 6mm 이하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고, 상기 비유효 출사영역(NEA01)은 대략 3um 이상 6um 이하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유효 출사영역(EA01)의 폭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5) 전체의 목표 휘도를 달성할 수 있는 수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효 출사영역(EA01)의 폭은, 본 실시예와 같이, 일렬로 상기 발광다이오드(11)들이 배열된 단일 LED 모듈의 광량으로 상기 목표 휘도를 달성할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1)의 광량이 증가할수록, 상기 광학시트(50)가 고휘도 광을 통과시킬수록 및 상기 표시패널(70)의 투과율이 증가할수록 상기 유효 출사영역(EA01)의 폭은 증가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납용기((40)의 측면(43)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장치(100)는 수납용기(40) 및 반사커버(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용기(40)는 상기 광원(10) 및 상기 도광판(30)들을 수납한다. 상기 수납용기(40)는 바닥판(41) 및 측벽(43)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판(41)에 상기 도광판(30)들이 서로 일부가 중첩되게 배열된다. 상기 도광판(30)들이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므로 상기 도광판(30)들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광판(3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측벽(43)의 내측면에는 고정돌기(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44)는 상기 제1 방향(D01)과 직교하는 제2 방향(D02)의 측벽(43)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44)는 경사면을 갖고, 상기 도광판(30)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고정돌기(44)의 아래로 배치되어 상기 수납용기(40)에 견고하게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광판(30)들의 수직방향 유동이 방지된다.
상기 도광판(30)의 상기 입광면(31)측 단부는 상기 반사커버(15)에 삽입된다. 상기 반사커버(15)는 상기 발광다이오드(11)를 둘러싸며 상기 비유효 출사영역(NEA01) 및 상기 후면(37)의 상기 제1 영역(LA01) 및 상기 제2 영역(LA02)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반사커버(15)는 형태가 고정되도록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반사커버(15)는 플렉시블한 시트타입일 수 있다. 상기 전원전달필름(13)은 상기 반사커버(15) 상에 배치될 수 잇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반사커버(15)들은 상기 바닥판(41)에 스크류(45)에 의해 체결 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30)의 입광면(31)측 단부를 상기 반사커버(15)에 삽입시켜 상기 도광판(30)과 상기 수납용기(40)를 조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커버(15)의 일면에 상기 도광판(15)의 수평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스토퍼(stopper)(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광판(30)들의 상기 바닥판(41)에 대한 기울기는 과장되어 있으며, 상기 반사커버(15)는 실질적으로 상기 바닥판(41)에 접촉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도광판(30)의 후면(37)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후면(37)에는 광확산 패턴, 예를 들어, 인쇄 도트(dot)(38) 또는 피라미드 형상의 홈 또는 돌기와 같은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30) 내부에서 확산 및 산란되는 광은 상기 후면(37)에서 난반사되어 대부분의 광이 상기 출광면(35)으로 출사될 수 있다. 일부의 광은 상기 후면(37)을 투과하여 누설될 수 있고, 누설광은 상기 반사커버(15) 및 후술될 도 1에 도시된 반사시트(57)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상기 후면(37)에 입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후면(37)에 인쇄 도트(38)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쇄 도트(38)는, 예를 들어, 화이트 잉크와 광확산제가 혼합된 잉크 블렌드를 상기 후면(37)에 프린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상기 도광판(30)들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부가 중첩되어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광판(30)의 대향면(33)측 단부가 이웃한 도광판(30)의 입광면(31)측 단부 위에 상기 유효 출사영역(EA01)의 일부까지 중첩되게 배열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향면(33) 에 접하는 후면(37)은 이웃한 도광판(30)의 상기 비유효 출사영역(NEA01) 전체와 상기 유효 출사영역(EA01)의 일부와 중첩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후면(37)은 이웃한 도광판(30)과의 중첩여부에 따라 제1 영역(LA01), 제2 영역(LA02) 및 제3 영역(LA03)으로 구분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영역(LA01)은 상기 비유효 출사영역(NEA01)으로부터 상기 도광판(30)들이 중첩된 유효 출사영역(EA01)에 대응된다. 상기 제2 영역(LA02)은 상기 대향면(33)으로부터 상기 도광판(30)들이 중첩된 유효 출사영역(EA01)에 대응된다. 상기 제3 영역(LA03)은 상기 제1 영역(LA01)과 상기 제2 영역(LA02)을 연결하며, 상기 도광판(30)들이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대응된다. 상기 제1 영역(LA01)은 상기 비유효 출사영역(NEA01)에 접하며 일정한 폭을 갖는다. 상기 제2 영역(LA02)은 상기 대향면(33)에 접하며 일정한 폭을 갖는다.
한편, 상기 제1 방향으로 양측 단부들, 예를 들어, 좌측 단부에 배치된 도광판(30)의 제1 영역(LA01) 및 우측 단부에 배치된 도광판(30)의 제2 영역(LA02)은 다른 도광판(30)과 중첩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좌측 및 우측 단부들에 각각 배치된 제1 영역(LA01) 및 제2 영역(LA02)에 대응하는 출광면(35)은 상기 도광판(30)들이 중첩된 제1 영역(LA01) 및 제2 영역(LA02)의 출광면의 휘도보다 낮은 휘도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쇄 도트(38)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후면(37)에 불균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쇄 도트(38)는 상기 제1 영역(LA01)에 제1 밀도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영역(LA02)에 제2 밀도로 형성되 며, 상기 제3 영역(LA03)에 상기 제1 밀도 및 상기 제2 밀도보다 큰 제3 밀도로 형성된다. 상기 인쇄 도트의 밀도가 더 클수록 상기 출광면(35)으로부터 출사되는 광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제3 영역(LA03)에 대응하는 출광면(35)은 상기 제1 영역(LA01) 및 상기 제2 영역(LA02)에 대응하는 출광면(30)의 휘도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입광면(31)에 가까울수록 상기 발광다이오드(11)로부터 도달하는 광량이 크므로 상기 제1 영역(LA01) 및 상기 제2 영역(LA02)의 출광 프로파일(profile)을 대칭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밀도는 상기 제1 밀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의 폭의 비율은 상기 유효 출사영역(EA01)의 전체 폭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1영역(LA01) 및 상기 제 2영역(LA02)의 폭은 서로 동일한 것이 이론적으로 바람직하지만, 상기 제2 영역(LA02)의 말단의 빛샘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영역(LA01)이 상기 제2 영역(La02)보다 폭이 더 클 수도 있다. 상기 제1 영역(LA01)은 급격한 휘도 변화가 일어나는 영역이다. 따라서 상기 제1 영역(LA01)의 폭이 과도하게 작으면 상기 제1 영역의 광확산 패턴(38)의 튜닝(tuning)을 통한 휘도분포 조절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도광판(30)의 길이가 짧아지면 원가 절감 및 모듈의 두께가 감소되는 장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장점과 상기 휘도조절 문제를 적절히 타협하여 상기 제1 영역(LA01) 및 상기 제2 영역(LA02)의 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영역(LA01) 및 상기 제2 영역(LA02)은 대략 20mm 이상 30 이하인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상기 광확산 패턴(38)의 기능이 현저히 상승되는 경우, 상기 제1 영 역(LA01) 및 상기 제2 영역(LA02)의 폭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105)의 위치에 따른 출사광의 휘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세로축은 출사광의 휘도를 도시하고, 가로축은 상기 도광판(30)들의 위치를 표시한다. 상기 가로축으로부터 상기 도광판(30)의 상기 입광면(31)으로부터 상기 대향면(33)까지의 거리는 약 120mm 인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그래프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그래프는 상기 각 도광판(30)의 출사광을 개별적으로 관측한 결과를 도시한다. 도 6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그래프는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5) 전체의 출사광을 관측한 결과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각 상기 도광판(30)의 휘도 그래프의 경우, 상기 제3 영역(LA03)에 대응하는 출광면(35), 즉 대략 상기 도광판(30)의 가운데 부분에서는 출사광의 휘도가 균일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LA01)에 대응하는 출광면(35)에서는 상기 입광면(3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휘도가 증가하여 대략 상기 제3 영역(LA03)의 휘도와 비슷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LA02)에 대응하는 출광면(35)에서는 상기 대향면(33)에 근접할수록, 즉 상기 입광면(3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휘도가 대략 상기 제3 영역(LA03)의 휘도로부터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백라이트 어셈블리(105)에 의하면 상기 유효 출사영역(EA01) 전체적으로 균일한 출사광이 출사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비하여 상기 대향면(33)으로 누설되는 광량이 감소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광판(30)들의 배열된 어레이에서 상기 좌측 말단 및 우측 말단의 도광판(30)들의 제1 영역(LA01) 및 제2 영역(LA02)을 제외하고는 이웃한 도광판(30)들의 상기 제1 영역(LA01) 및 상기 제2 영역(LA02)은 중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어레이의 말단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 영역(LA01)의 출사광 그래프와 상기 제2 영역(LA02)의 출사광 그래프를 합한 것이 실재의 출사광 그래프가 된다. 중첩된 상기 제1 영역(LA01) 및 상기 제2 영역(LA02)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휘도는 상기 제3 영역(LA03)의 출사광의 휘도와 거의 비슷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5) 전체의 출사광 휘도 그래프를 관찰하면, 상기 도광판(30)들의 어레이에서 가장자리에 배치된 도광판(30)들의 단부들을 제외하고는 상기 유효 출사영역(EA01)으로부터 비교적 균일한 휘도를 갖는 출사광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도광판(30) 어레이의 좌측 말단에 배치된 제1 영역(LA01)에서는 상기 입광면(3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유효 출사영역(EA01)의 휘도까지 휘도가 증가된다. 또한 상기 도광판(30) 어레이의 우측 말단에 배치된 제2 영역(LA02)에서는 상기 입광면(3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휘도가 상기 유효 출사영역(EA01)의 휘도로부터 감소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5)는 반사시트(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시트(57)는 상기 바닥판(41)과 상기 후면(37)의 사이, 예를 들어, 상기 바닥판(41)과 상기 반사커버(1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시트(57)는 본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도광판(30)들 대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반사시트(57)는 각 상기 도광판(30) 마다 배치되어 상기 반사커버(15)에 일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광학시트(50)는 상기 측벽(43)에 형성된 단턱부(4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광학시트(50)는 확산시트(51) 및 상기 확산시트(51) 위에 적층되는 집광시트들(53, 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산시트(51) 및 집광시트들(53, 55)의 매수는 출사광의 요구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광학시트(50)는 확산판을 더 포함하거나 반사편광시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장치(100)는 상기 광학시트(50)의 가장자리를 누르며 상기 수납용기(40)와 결합되는 미들 프레임(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70)은 상기 미들 프레임(60)에 형성된 단턱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70)은 화소들이 형성된 어레이 기판(71)과, 칼라필터가 형성된 대향 기판(75)과 이들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100)는 구동부(7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79)는 신호전달필름(77)에 의해 상기 표시패널(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구동부(9)는 상기 표시패널(70)을 구동시키는 구동신호 및 상기 광원(10)을 제어하는 광원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79)는 상기 전원전달필름(13)을 통해 상기 발광다이오드(11)에 상기 광원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10)은 상기 발광다이오드(11)를 포함하므로, 상기 사기 광원(10)은 상기 광원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표시패널(70)에 표시되는 영상에 상응하게 2차원 로컬디밍(2D local dimming) 또는 3 웨이 로컬디밍(3way local dimming)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다이오드(11)가 화이트 LED인 경우 상기 발광다이오드(11)마다 휘도를 조절하는 2차원 로컬디밍이 적용될 수 있고, 상기 발광다이오드(11)가 적녹청(RGB) 광을 각각 출사하는 RGB LED인 경우 상기 발광다이오드(11)마다 휘도 및 출사광의 색상을 제어하는 3웨이 로컬디밍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광원(10)이 냉음극형광램프(CCFL)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CCFL에는 상기 2차원 로컬디밍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탑샤시(80)는 상기 표시패널(70)의 유효 표시영역을 노출시키며 상기 수납용기(4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105)의 이상적인 조건에서 출사광의 휘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에서 상기 도광판(30)의 상기 유효 출사영역(EA01)을 단위블록으로 정의한다. 상기 단위블록의 출사광의 제1 휘도 그래프(LG1)는 전술한 것과 같이 대칭적으로 나타난다. 상기 단위블록들의 제1 휘도 그래프(LG1)들이 중첩된 백라이트 어셈블리(105)의 제2 휘도 그래프(LG2)는 가장자리를 제외하고는 균일한 휘도 분포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상기 제1 휘도 그래프(LG1)들은 이상적인 조건을 가정하고 시뮬레이션한 결과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105)에서 각 도광판(30)의 출사광의 휘도 분포가 비대칭적인 경우 백라이트 어셈블리(105)의 휘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105)에서 각 도광판(30)별로 디밍을 하는 경우 백라이트 어셈블리(105)의 출사광의 휘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실재의 경우 휘도 균일성을 저해하는 불안정 요소들, 예들 들어, 상기 도광판(30)들을 서로 중첩되게 조립하는 공정에서 조립공차, 상기 도광판(30)의 상기 대향면(33)으로 광이 누설되는 빛샘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단위블록의 출사광의 분포의 비대칭성과 같은 요소가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상기 불안정 요소들은 상기 도광판(30)의 상기 대향면(33)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휘도를 급격히 변경시켜 휘도 균일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도광판(30)별로 상기 발광다이오드(11)들의 휘도가 조절되는 2차원 로컬디밍(local dimming)을 하는 경우에도 상기 대향면(33)에서 계단형으로 상기 제2 휘도 그래프(LG2)가 형성되어 도광판(30)의 윤곽이 시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단위블록들을 전술한 것과 같이 중첩적으로 배열하여 상기한 불안정 요소들에 불구하고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5)의 출사광의 휘도 균일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상기 제1 영역(LA01) 및 상기 제2 영역(LA02)의 각각의 출사광의 분포가 대칭적이지 않지만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5)에서는 상기 제1 영역(LA01) 및 상기 제2 영역(LA02)이 중첩된 휘도가 나타난다. 따라서 비대칭성이 완화되며,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05)의 상기 제2 휘도 그래프(LG2)는 약간의 진폭은 있지만 비교적 양호한 휘도 균일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약간의 진폭은 상기 광학시트(50)로 인해 거의 균일한 휘도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0은 텐덤형 백라이트 어셈블리(305)의 출사광의 휘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설명된 텐덤형 백라이트 어셈블리(305)에서 각 도광 판(330)별로 디밍을 하는 경우 텐덤형 백라이트 어셈블리(305)의 출사광의 휘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텐덤형 백라이트 어셈블리(305)는 도광판(330)들의 비유효 출사영역(NEA01)에 단턱부를 형성하고, 상기 단턱부에 이웃한 도광판(330)의 대향면(333)측 단부를 배치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텐덤형 백라이트 어셈블리(305)에서는 본 발명과 다르게 유효 출사영역(EA01)들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도광판(330)의 유효 출사영역(EA01)의 제3 휘도 그래프(LG3)가 비대칭성, 빛샘 및 로컬디밍의 경우 상기 텐덤형 백라이트 어셈블리(305)의 제4 휘도 그래프(LG4)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광판(330)들의 대향면(333)들에서 단차가 형성되는 계단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계단형으로 형성된 제4 휘도 그래프(LG4)는 상기 광학시트(50)를 사용하여도 그 휘도 불균일성을 완화하기가 어렵고 불충분하여 휘도 균일성이 크게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0에서 설명된 텐덤형 백라이트 어셈블리(305)와 본 실시예의 백라이트 어셈블리(105)에서 도광판(30)의 대향면(33)으로 누설되는 광을 관측한 그래프이다.
도 12 및 도 13에서 세로축은 출사광의 휘도를 나타내고 가로축은 유효 출사영역(EA01)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12에 도시된 그래프는 하나의 도광판(30)에 대해 관측한 출사광 휘도 결과를 나타낸다. 도 13에 도시된 그래프는 두 개의 도광판(30)을 중첩시키고 관측한 출사광의 휘도 결과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텐덤형 백라이트 어셈블리(305)의 경우 상기 유효 출사영역(EA01)이 서로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유효 출사영역(EA01) 전체적으로 출사광의 휘도가 균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대향면(333)에 인접하여도 출사광의 휘도는 감소되지 않고 상기 대향면(333)으로 누설되는 빛샘이 본 실시예의 백라이트 어셈블리(105)에 비하여 매우 큰 것을 알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텐덤형 도광판(330)의 휘도 그래프에서 휘도가 급격히 증가되는 피크점은 상기 대향면(333)에 대응하는 위치이며, 이러한 휘도 피크는 상기 대향면(333)으로 빛샘이 현저한 것을 나타낸다.
반면, 실선으로 표시된 본 실시예의 도광판(30)의 휘도 그래프는 대향면(33)에 근접할수록 출사광의 휘도가 감소되며, 그 결과 상기 대향면(33)으로 빛샘의 양도 크게 감소되어 휘도 피크가 현저히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휘도 피크는 상기 광학시트(50)로서 확산시트 2 매 및 프리즘시트 2매를 사용하여 거의 시인되지 않게 할 수 있었다. 또한, 전술한 것과 같이 도광판(30)의 내부에 광확산제를 첨가하면 상기 휘도 피크로 인한 휘선은 더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시예의 백라이트 어셈블리(105) 및 표시장치(100)에 의하면, 복수의 도광판(30)들을 중첩시켜 상기 표시패널(70)의 배면에 배치함으로써 대면적 표시장치(100)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백라이트 광의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켜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실시예 2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는 도광 판(530)의 일부가 절곡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된 백라이트 어셈블리(105) 및 표시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광판(530)은 두께가 균일하다. 비유효 출사영역(NEA01), 상기 제1 영역(LA01) 및 상기 제2 영역(LA02)은 수납용기의 바닥판과 나란하며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영역(LA02)은 이웃한 도광판(530)의 제1 영역(LA01)의 상부에 배치되므로 상기 제2 영역(LA02)은 상기 제1 영역(LA01)보다 상기 바닥판을 기준으로 높이가 더 크다. 상기 제3 영역(LA03)은 상기 제1 영역(LA01)과 상기 제2 영역(LA02)을 연결시키며 상기 제1 영역(LA01) 및 상기 제2 영역(LA02)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영역(LA01) 및 상기 제2 영역(LA02)이 상기 바닥판과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5는 실시예 3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는 도광판(630)의 형상이 쐐기형으로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된 백라이트 어셈블리(105) 및 표시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광판(630)은 입광면(631)으로부터 대향면(633)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되어 쐐기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도광판(630)은 상기 제1 영 역(LA01)보다 상기 제2 영역(LA02)이 더 얇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영역(LA01)과 상기 제2 영역(LA02)이 중첩된 두께가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6은 실시예 4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는 도광판(730)의 일부가 절곡되고 쐐기 형상으로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된 백라이트 어셈블리(105) 및 표시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광판(730)은 입광면(731)으로부터 대향면(733)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되어 쐐기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도광판(730)은 상기 제1 영역(LA01)보다 상기 제2 영역(LA02)이 더 얇게 형성된다. 또한, 비유효 출사영역(NEA01), 상기 제1 영역(LA01) 및 상기 제2 영역(LA02)은 수납용기의 바닥판과 나란하며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영역(LA02)은 이웃한 도광판(730)의 제1 영역(LA01)의 상부에 배치되므로 상기 제2 영역(LA02)은 상기 제1 영역(LA01)보다 상기 바닥판을 기준으로 높이가 더 크다. 상기 제3 영역(LA03)은 상기 제1 영역(LA01)과 상기 제2 영역(LA02)을 연결시키며 상기 제1 영역(LA01) 및 상기 제2 영역(LA02)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영역(LA01) 및 상기 제2 영역(LA02)이 상기 바닥판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쐐기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 시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 의하면, 표시패널의 직하부에 복수의 도광판들을 중첩되게 배열하여 대면적 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을 사용함으로써 면광을 형성하기 위한 광학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어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의 두께를 크게 감소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텔레비전과 같은 대형 표시장치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납용기의 측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도광판의 후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위치에 따른 출사광의 휘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이상적인 조건에서 출사광의 휘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각 도광판의 출사광의 휘도 분포가 비대칭적인 경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휘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각 도광판별로 디밍을 하는 경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출사광의 휘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텐덤형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출사광의 휘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설명된 텐덤형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각 도광판별로 디밍을 하는 경우 텐덤형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출사광의 휘도 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0에서 설명된 텐덤형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본실시예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도광판의 대향면으로 누설되는 광을 관측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실시예 2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3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4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광원 11 : 발광다이오드
15 : 반사커버 30 : 도광판
31 : 입광면 33 : 대향면
35 : 출광면 37 : 후면
38 : 인쇄 도트 40 : 수납용기
50 : 광학시트 60 : 미들 프레임
70 : 표시패널 80 : 탑샤시
100 : 표시장치 105 : 백라이트 어셈블리
NEA01 : 비유효 출사영역 EA01 : 유효 출사영역
LA01 : 제1 영역 LA02 : 제2 영역
LA03 : 제3 영역 305 : 텐덤형 백라이트 어셈블리

Claims (17)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영상 표시의 기초가 되는 광을 출사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과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광이 입사되는 입광면과,
    상기 입광면과 대향하는 대향면과,
    상기 입광면과 접하는 비유효 출사영역 및 상기 비유효 출사영역과 상기 대향면을 연결하는 유효 출사영역을 갖고,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과 마주보는 출광면과,
    상기 출광면과 대향하는 후면을 포함하며,
    상기 대향면측 단부가 제1 방향으로 이웃한 입광면측 단부 위로 상기 유효 출사영역의 일부까지 중첩되게 배열되어 어레이를 형성하는 복수의 도광판들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은
    상기 비유효 출사영역으로부터 상기 도광판들이 중첩된 유효 출사영역에 대응하며, 광확산 패턴이 형성된 제1 영역;
    상기 대향면으로부터 상기 도광판들이 중첩된 유효 출사영역에 대응하며, 광확산 패턴이 형성된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연결하며 상기 도광판들이 중첩되지 않 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보다 더 밀도가 높게 광확산 패턴이 형성된 제3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패턴은 상기 후면에 인쇄된 인쇄 도트(dot), 상기 후면에 형성된 홈 및 돌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내부에 분산된 광산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어레이의 출광 프로파일은 상기 유효 출사영역에서는 휘도가 균일하고, 상기 어레이의 일측 말단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이 중첩되지 않은 제1 영역에서는 상기 입광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균일한 휘도까지 휘도가 증가되고, 상기 어레이의 타측 말단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이 중첩되지 않은 제2 영역에서는 상기 입광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휘도가 상기 균일한 휘도로부터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각 상기 도광판의 출광 프로파일은 상기 제3 영역에서는 상기 균일한 휘도를 갖고, 상기 제1 영역에서는 상기 입광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균일한 휘도까지 휘도가 증가되고, 상기 제2 영역에서는 상기 입광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균일한 휘도로부터 휘도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면으로 누설되는 광량은 상기 입광면으로 입사한 광의 10 퍼센트(%)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을 감싸며 상기 비유효 출사영역을 커버하고, 상기 후면까지 연장된 반사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반사커버와 상기 입광면의 사이에 배치된 발광다이오드들;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들이 실장되며, 상기 반사커버 위에 배치된 전원전달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 또는 색상에 상응하도록 각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출사광의 휘도 또는 색상을 조절하는 디밍(dimming)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커버가 고정되는 바닥판; 및
    상기 도광판의 가장자리를 구속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측벽을 갖는 수납용 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상기 반사커버의 사이에 배치된 반사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입광면과 상기 대향면에서 두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이 서로 평행하여 평탄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입광면과 상기 대향면에서 두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서로 평행하며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입광면으로부터 상기 대향면으로 근접할수록 두께가 감소되는 쐐기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이 서로 평행하여 평탄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입광면으로부터 상기 대향면으로 근접할수록 두께가 감소되는 쐐기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서 로 평행하며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과 상기 표시패널의 사이에 배치된 광학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80127919A 2008-12-16 2008-12-16 표시장치 KR101539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919A KR101539956B1 (ko) 2008-12-16 2008-12-16 표시장치
US12/562,587 US8282260B2 (en) 2008-12-16 2009-09-18 Display apparatus
EP09012002A EP2199838A1 (en) 2008-12-16 2009-09-22 Display apparatus
TW098132476A TWI479234B (zh) 2008-12-16 2009-09-25 顯示裝置
JP2009261235A JP5419085B2 (ja) 2008-12-16 2009-11-16 表示装置
CN200910261301.9A CN101763775B (zh) 2008-12-16 2009-12-16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919A KR101539956B1 (ko) 2008-12-16 2008-12-16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271A true KR20100069271A (ko) 2010-06-24
KR101539956B1 KR101539956B1 (ko) 2015-07-29

Family

ID=42062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919A KR101539956B1 (ko) 2008-12-16 2008-12-16 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82260B2 (ko)
EP (1) EP2199838A1 (ko)
JP (1) JP5419085B2 (ko)
KR (1) KR101539956B1 (ko)
CN (1) CN101763775B (ko)
TW (1) TWI4792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463A (ko) * 2009-07-28 2011-0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101316267B1 (ko) * 2010-11-18 2013-10-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
KR101704046B1 (ko) * 2011-02-28 2017-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변속단 표시장치
WO2014199676A1 (ja) * 2013-06-10 2014-12-18 シャープ株式会社 導光体及びそれを備えた面状発光装置
WO2016022476A1 (en) * 2014-08-04 2016-02-11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Tiled assemblies for a high dynamic range display panel
KR101685989B1 (ko) * 2016-01-04 2016-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1119263B2 (en) 2017-06-22 2021-09-14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age specific illumination of image printed on optical waveguide
US10161864B1 (en) 2017-06-22 2018-12-25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age specific illumination of image printed on optical waveguide
US11249240B2 (en) 2017-06-22 2022-02-15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age specific illumination of image printed on optical waveguide
US10168279B1 (en) 2017-06-22 2019-01-01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age specific illumination of image printed on optical waveguide
US10082460B1 (en) 2017-06-22 2018-09-25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age specific illumination of image printed on optical waveguide
US10539732B2 (en) 2017-06-22 2020-01-21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age specific illumination of image printed on optical waveguide
JP7110574B2 (ja) * 2017-09-29 2022-08-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発光パネル
CN111796357B (zh) * 2019-04-04 2022-07-26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与制造所述显示装置的方法
WO2023169256A1 (zh) * 2022-03-10 2023-09-14 芜湖美的厨卫电器制造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及其组装工艺以及电器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725A (ja) * 1989-06-02 1991-01-11 Mitsubishi Petrochem Co Ltd バックライト装置
JPH0894851A (ja) * 1994-09-22 1996-04-12 Nippon Chemitec Kk 導光板とその面型照明体
JP3373427B2 (ja) * 1998-03-31 2003-02-04 日東樹脂工業株式会社 タンデム型面光源装置
JP2001184929A (ja) * 1999-12-24 2001-07-06 Nec Corp 面状光源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JP2001312916A (ja) * 2000-02-24 2001-11-09 Sony Corp 面光源装置
JP2002133907A (ja) * 2000-10-25 2002-05-10 Seiko Epson Corp 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装置
JP4049624B2 (ja) * 2001-07-27 2008-02-20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面光源装置、画像表示装置及び導光板
JP2004206916A (ja) * 2002-12-24 2004-07-22 Yoshihiro Sakai 面状光源
CN1690794A (zh) * 2004-04-28 2005-11-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液晶显示器模组
WO2006004160A1 (ja) * 2004-07-07 2006-01-12 Fuji Photo Film Co., Ltd. 導光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面状照明装置並びに棒状照明装置
JP2006134748A (ja) * 2004-11-08 2006-05-25 Mitsubishi Rayon Co Ltd タンデム型面光源装置
US7311431B2 (en) * 2005-04-01 2007-12-25 Avago Technologies Ecbu Ip Pte Ltd Light-emitt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adjacent, overlapping light-guide plates
WO2008050509A1 (fr) * 2006-10-27 2008-05-02 Sharp Kabushiki Kaisha Dispositif source de lumière, dispositif de rétroéclairage et afficheur à cristaux liqui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24869A (en) 2010-07-01
CN101763775B (zh) 2014-04-02
EP2199838A1 (en) 2010-06-23
KR101539956B1 (ko) 2015-07-29
US20100149788A1 (en) 2010-06-17
US8282260B2 (en) 2012-10-09
JP5419085B2 (ja) 2014-02-19
CN101763775A (zh) 2010-06-30
JP2010145990A (ja) 2010-07-01
TWI479234B (zh)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9956B1 (ko) 표시장치
JP4413186B2 (ja) 面状光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US7905613B2 (en) LED backligh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reof
US718898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device
US8520164B2 (en)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light guide plate
US8414173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US8636401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US8436963B2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KR20070043102A (ko) 점광원용 광 가이드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표시 장치
WO2005028950A1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2009012192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2004342587A (ja) バックライ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US9016923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JP2010097909A (ja) バックライト及び液晶表示装置
WO2014192658A1 (ja) 導光板、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2005222814A (ja) 面状光源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US8400581B2 (en) Back 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CN110632698A (zh) 照明装置和显示装置
CN101418931A (zh) 背光组件
WO2010004797A1 (ja) 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11074410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102002458B1 (ko) 액정표시장치
JP4417138B2 (ja) 面状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KR20140017958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0978257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