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9059A - 공동 주택의 수직덕트 고정부재 - Google Patents

공동 주택의 수직덕트 고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9059A
KR20100069059A KR1020080127620A KR20080127620A KR20100069059A KR 20100069059 A KR20100069059 A KR 20100069059A KR 1020080127620 A KR1020080127620 A KR 1020080127620A KR 20080127620 A KR20080127620 A KR 20080127620A KR 20100069059 A KR20100069059 A KR 20100069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duct
link
fixing member
links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평수
Original Assignee
김평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평수 filed Critical 김평수
Priority to KR1020080127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9059A/ko
Publication of KR20100069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0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 주택 즉 아파트 등에 설치되어 주방 혹은 화장실에서 발생하는 악취 가스를 배출하는 수직 덕트를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공동주택에 시공 설치되며, 화장실 주방에서 발생하는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수직덕트에 있어서, 일단에 결속판이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결합링크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링크가 결합되어 상기 수직덕트에 끼워지는 링 형태로 구성되는 고정구; 상기 연결링크의 좌, 우측단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좌측 및 우측 결합링크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부재; 상기 좌,우측 결합링크의 결속판에 끼워지며, 수직덕트에 끼워졌을 때 각 링크가 수직덕트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는 조임부재;로 구성되며, 여기서 수직덕트를 감싸는 고정구가 3개의 링크로 이루어져 조임부재를 조였을 때 각 링크가 동일한 힘으로 수직덕트를 압압하도록 하는 것이다.
오염공기 배기, 고정부재, 수직덕트, 연결링크

Description

공동 주택의 수직덕트 고정부재{Vertical duct Fixing member for Apartment}
본 발명은 공동 주택 즉 아파트 등에 설치되어 주방 혹은 화장실에서 발생하는 악취 가스를 배출하는 수직 덕트를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개의 링크가 자유로이 움직이며 수직덕트를 조였을 때 3개의 지점에서 동일한 힘으로 지지함으로써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한 공동 주택의 수직덕트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특히 고층 아파트에는 화장실, 주방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 가스, 연기, 먼지 등의 오염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 덕트 즉 수직덕트가 설치된다.
이러한 수직덕트는 상단부에 무동력 혹은 동력 흡출기가 장착되고, 각층 다시 말해, 각 가정에 배관 되어 오염 공기를 운반하는 분배관이 갖추어진 구성으로, 링체로 이루어진 고정구에 의해 층 바닥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구는 보통 링 형상으로 고정구를 감싼 다음 각층의 바닥 혹은 천정에 고정되는데, 그 일 예를 살펴보면 국내 실용신안 등록 0430182호의 고정구가 있다.
상기 실 예의 고정구는 건물 내 건식 입상형 에어 덕트를 상·하로 이음 결합시 층간 바닥면에 고정 결합시키도록 형성된 고정 지지구에 있어서,
상·하로 개구된 원형 링 형상의 몸체 일측에는 절개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와 대칭되는 반대편에는 내, 외경 단부가 완전히 절취 되지 않은 절개홈이 마련되며, 몸체 내경측 단부는 상부로 솟아올라 '산(山)' 모양처럼 형성되되, 에어덕트를 밀착 및 압박하도록 라운딩 처리된 만곡 형태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하부 바닥면을 형성하는 외경측 지지면 상에는 다수개의 결합통공이 구비된 것으로,
상기 개구부는 절개된 양단부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되, 면상 일측에 체결공을 형성한 체결판이 경사면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구성이다.
또 다른 실시 예로 국내 특허 636633호의 고정구가 있다.
이 고정구는 건물 내의 공기조화 시스템을 위해 형성되는 건식 입상형 에어 덕트 시스템에 있어서,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띠 형상의 링고리 일측에 양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절단홈이 형성된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의 하단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외측으로 퍼지는 한편, 지면과 수평으로 형성되는 띠 형상의 링 고리에 양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절단홈과 동일한 지점에 체결부가 형성되고, 체결부 반대 지점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지지판이 구비된 구성이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고정구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상기의 고정구들은 작업자가 수직덕트에 끼우기 위해 벌리거나 오므리기 어렵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고정구들은 절단홈 혹은 절개홈이 형성된 부위가 내, 외측으로 꺾이면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는데, 이를 작업자가 힘으로 꺾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둘째, 꺾여진 고정구를 다시 오므려 고정하는 경우 고정구는 원형이 아닌 타원이 됨으로써, 수직덕트가 조여지는 부위가 층마다 달라 수직덕트의 정확한 고정 시공이 어렵다.
셋째, 종래의 고정구는 반복적인 사용이 불가능하다.
상기의 고정구들은 대다수가 철제로 이루어져 있어 한번 꺾인 부위는 원상태로 회복되기 어렵고 따라서 재사용을 다시 이 부위를 꺾는 경우 꺾임 각도가 더 심해지고 그 각도만큼 내경이 좁아짐으로써 수직덕트에 끼우기 어렵고, 이것이 반복되는 경우 절단의 우려가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링체로 구성된 고정구를 분할하여 각각이 별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쉽게 벌리고 오므려 설치할 수 있는 공동 주택의 수직덕트 고정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직덕트에 끼워 조였을 때 각 링크의 중심이 수직덕트를 누르게 됨으로써 삼각 지점에서 안정적으로 수직덕트를 지지하여 설치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의 수직덕트 고정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구의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며 작업성이 뛰어나 그에 따르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수직덕트 고정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시공 설치되며, 화장실 주방에서 발생하는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수직덕트에 있어서, 일단에 결속판이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결합링크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링크가 결합하여 상기 수직덕트에 끼워지는 링 형태로 구성되는 고정구; 상기 연결링크의 좌, 우측단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좌측 및 우측 결합링크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부재; 상기 좌, 우측 결합링크의 결속판에 끼워지며, 수직덕트에 끼워졌을 때 각 링크가 수직덕트에 완전 히 밀착되도록 하는 조임부재; 로 구성되며, 여기서 수직덕트를 감싸는 고정구가 3개의 링크로 이루어져 조임부재를 조였을 때 각 링크가 동일한 힘으로 수직덕트를 압압하도록 하는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은 좌우측 결합링크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링크로 구성되어 수직덕트에 결합하였을 때 이들이 3방향에서 동일한 힘으로 수직덕트를 압압함으로써 수직덕트가 안정적으로 시공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좌우측 결합링크가 힌지부재에 의해 연결링크에 연결되어 이를 중심으로 좌우측 결합링크가 자유로이 회전함으로써 이들을 벌려 수직덕트에 끼우기 쉽고, 다시 오므려 조이기 쉬운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시공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제작 및 시공이 용이하여 그에 따르는 비용이 절감할 수 있는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평면도 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를 분해한 평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의 수직덕트 고정부재(10)는 적어도 3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자유로이 움직이는 고정구(100)와, 상기 고정구(100)를 연결하는 힌지부재(200)와, 수직덕트(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조여질 수 있도록 하는 조임부재(3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의 고정 부재(10)가 적용되는 상기 수직덕트(1)는 공동주택 특히 고층 아파트 혹은 각종 건축 구조물에 시공 설치되는 것으로, 각 가정의 화장실, 주방에 배관 되는 분배관을 가지고 환풍기 혹은 가스렌즈 후드의 ON, OFF에 따라 악취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최상단부에 무동력 혹은 동력 흡출기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기 수직덕트(10)는 크기 및 모양에 관여치 않으며, 층간 각 덕트의 이음부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고정부재(100)는 층간 수직덕트의 이음부 등에 끼워져 각 층의 바닥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천정 혹은 후술하는 실 예와 같이 벽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구(100)는 3개의 링크가 결합되어 하나의 링이 구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각각의 링크는 120°로 구성된다.
물론 이러한 구성이 본 발명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이나, 적용되는 덕트의 크기에 따라서는 3개 이상 즉 4개, 5개 등으로 분할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3개가 하나의 단위체로 구성되는 상기 링크는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좌우측 결합링크(122)(124)와 이들에 연결되는 연결링크(126)로 구성된다.
상기 각 링크(120)(140)(160)는 안착판(120a)(140a)(160a)과 이 안착판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수직덕트(1)를 감싸게 되는 수직판(120b)(140b)(160b)으로 이루어진 "ㄴ" 형상이다.
좌, 우측 결합링크(122)(124)는 작업자가 이들을 잡고 벌린 다음 수직덕트(10)에 끼워 오므린 후 각각에 구비된 결속판(122)(142)에 후술하는 조임부재(300)를 끼워 조립하는 구성이다.
상기 결속판(122)(142)들은 각 링크의 안착판(120a)(140a) 일부를 상방으로 90°로 절곡하여 서로 맞대어지도록 하고, 각 결속판(122)(142)에는 구멍(124)(144)이 천공되어 여기에 조임부재가 끼워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좌, 우측 결합링크(120)(140)의 안착판 타단 즉 결속판(124)(144)이 형성된 반대편 단부에는 통공(126)(146)이 형성되어 연결링크(160)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링크(160)는 좌, 우측 결합링크(120)(140)를 연결함과 동시에 이들 좌.우측 결합링크(120)(140)가 벌어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연 결링크(160)의 안착판(160a) 좌, 우측 단부에는 상기 통공(126)(146)에 대응하는 힌지공(162)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부재(200)는 좌, 우측 결합링크(120)(140)의 통공(124)(146)과 연결링크(160)의 힌지공(162)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첨부된 도 6과 같이 보울트(220)와 너트(222)가 이용된다.
첨부된 도 7은 상기 힌지부재(200)의 다른 실시 예로 통공(124)(146)과 힌지공(162)을 관통하는 리벳(240)이 사용된 경우로. 리벳 이외에 핀(pin)을 끼워 사용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 8은 상기 힌지부재(200)의 또 다른 실시 예로, 힌지부재(200)를 일체화시킨 구성이다.
예컨대, 도면과 같이 연결링크(160)의 안착판(160a) 일부를 "ㄷ"형상으로 따내 하방으로 절곡한 다음 이 절곡편(164)을 좌, 우측 결합링크(120)(140)의 통공(126)(146)에 끼워 이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조임부재(300)는 기본적으로 보울트와 너트를 이용한다.
다른 실시 예로, 좌우측 결속판(122)(142) 중 어느 하나의 구멍에 나사산 즉 암나사를 가공하여 보울트가 체결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다른 형태는 좌우측 결속판(122)(142) 중 어느 일측에 너트를 융착하는 방법도 있다.
또 다른 형태로 보울트가 아니 끼워 맞춤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일측 결속판에 결합핀을 일체로 구비하고, 이 결합핀에 형성된 요홈에 스냅링을 끼워 결 합하는 방식도 있다.
첨부된 도 9는 본 발명 고정부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형태는 연결링크(160)의 후방 측에 브라켓트(180)를 구비하여 벽면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 브라켓트를 벽면에 맞대어 앙카 보울트 등을 박아 취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는 설치공으로 층간 바닥 혹은 천정 등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제작 중 혹은 설치 천공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고정부재(10)는 수직덕트(1)에 끼워져 각 층의 바닥에 고정되어 수직덕트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좌우측 결합링크(120)(140)를 잡고 벌리면 이들 좌우측 결합링크가 힌지부재(200)를 중심으로 도 4와 같이 벌어진다.
좌우측 결합링크(120)(140)가 벌어진 다음 이를 수직덕트에 끼워 다시 오므리면 역시 좌우측 결합링크는 힌지부재(200)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결합판(122)(142)에 조임부재(300)를 끼워 조임 함으로써 조립을 완료한다.
물론 상기 설치공(2)에 앙카 볼트나 기타 다른 부재를 이용하여 바닥에 고정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3개의 링크로 고정된 수직덕트는 각 링크의 수직판이 각각 즉 3개의 방향에서 동일한 힘으로 수직덕트를 눌러줌으로써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를 분해한 평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일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직덕트 10 : 고정부재
100 : 고정구 120 : 좌측 결합링크
140 : 우측 결합링크 160 : 연결링크
200 : 힌지부재 300 : 조임부재

Claims (7)

  1. 공동주택에 시공 설치되며, 화장실 주방에서 발생하는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수직덕트에 있어서,
    일단에 결속판이 각각 구비된 좌측 및 우측 결합링크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링크가 결합되어 상기 수직덕트에 끼워지는 링 형태로 구성되는 고정구;
    상기 연결링크의 좌, 우측단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좌측 및 우측 결합링크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부재;
    상기 좌,우측 결합링크의 결속판에 끼워지며, 수직덕트에 끼워졌을 때 각 링크가 수직덕트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는 조임부재;로 구성되며,
    여기서 수직덕트를 감싸는 고정구가 3개의 링크로 이루어져 조임부재를 조였을 때 각 링크가 동일한 힘으로 수직덕트를 압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의 수직덕트 고정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의 각 링크는 층간 바닥에 놓여지는 안착판과, 이 안착판과 일체로 수직으로 절곡되어 수직덕트에 밀착되는 수직판으로 이루어지며, 좌우측 결합링크의 결속판은 안착판의 일부를 상방으로 절곡하여 이들 결속판이 맞대어진 상태에서 조임부재가 끼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의 수직덕트 고정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의 링크가 3개 또는 그 이상으로 분할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의 수직덕트 고정부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결합링크의 안착판 각각에 통공을 형성하고, 연결링크의 좌우측 단부에 힌지공을 형성하여 이들을 관통하여 힌지부재가 끼워지도록 하는 공동 주택의 수직덕트 고정부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결합링크의 결속판 각각에 구멍을 형성하여 이 구멍에 조임부재가 끼워지도록 하는 공동 주택의 수직덕트 고정부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볼트, 리벳, 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의 수직덕트 고정부재.
  7.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의 안착판 좌우측 단부를 "ㄷ"형상으로 따내 이를 하방으로 절곡하여 이 절곡편을 좌우측 결합링크의 통고에 끼워 좌우측 결합링크를 이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 주택의 수직덕트 고정부재.
KR1020080127620A 2008-12-16 2008-12-16 공동 주택의 수직덕트 고정부재 KR201000690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620A KR20100069059A (ko) 2008-12-16 2008-12-16 공동 주택의 수직덕트 고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620A KR20100069059A (ko) 2008-12-16 2008-12-16 공동 주택의 수직덕트 고정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059A true KR20100069059A (ko) 2010-06-24

Family

ID=42367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620A KR20100069059A (ko) 2008-12-16 2008-12-16 공동 주택의 수직덕트 고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90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2710B2 (en) Method for attaching flooring to a drain assembly
KR102286742B1 (ko)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US7296634B2 (en) Decorative support panel
KR200429678Y1 (ko)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연결고정밴드
KR20080112783A (ko) 층막음 입상관 고정구
KR200438815Y1 (ko) 수직배기덕트 연결 및 지지겸용 밴드
KR20100069059A (ko) 공동 주택의 수직덕트 고정부재
KR200391150Y1 (ko) 건축용 입상관 고정구
US8714506B2 (en) Mounting assembly for electrical fixture
KR101109368B1 (ko) 에어 덕트
JP5466500B2 (ja) 通水管継手
JP5780802B2 (ja) ダクト接続継手
KR200446654Y1 (ko)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 클램프
KR100635929B1 (ko)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연결밴드 일체형 고정지지부재
KR200479751Y1 (ko) 에어덕트 시스템의 플랜지 연결구조를 갖는 슬리브
KR200430183Y1 (ko) 입상형 에어덕트용 브이밴드
JP3966706B2 (ja) 排水桝
KR200438130Y1 (ko) 배기덕트의 누설방지용 브이밴드
JP2008082613A (ja) 竪型給排気システム
CN219829940U (zh) 安装支架以及传感器组件
KR100956699B1 (ko) 공기 조화용 확산체 고정장치
KR20110121289A (ko)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입상덕트 고정구조
KR200195021Y1 (ko) 배기덕트 슬리브와 배기덕트 슬리브의 설치구조
KR100501431B1 (ko) 공기조화기용 확산체 고정장치
JP2008184866A (ja) 地下施設用天井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