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8808A - 시멘트 첨가제 및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시멘트 첨가제 및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8808A
KR20100068808A KR1020080127286A KR20080127286A KR20100068808A KR 20100068808 A KR20100068808 A KR 20100068808A KR 1020080127286 A KR1020080127286 A KR 1020080127286A KR 20080127286 A KR20080127286 A KR 20080127286A KR 20100068808 A KR20100068808 A KR 20100068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ment
weight
cement additive
parts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진규
장양
박현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7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8808A/ko
Publication of KR20100068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80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38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C04B24/383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C04B24/386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polyether side cha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028Aspects relating to the mixing step of the mortar preparation
    • C04B40/0039Premixtures of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20Retarders
    • C04B2103/22Set retar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02Water reduc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0Surface-active agents, dispersants
    • C04B2103/402Surface-active agents, dispersants anio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0Surface-active agents, dispersants
    • C04B2103/406Surface-active agents, dispersants non-io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시멘트 첨가제 및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이 개시된다. 개시된 시멘트 첨가제는 셀룰로오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및 응결지연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멘트 첨가제 및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Cement additive for concrete surface treatment and cement composition having same}
시멘트 첨가제 및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셀룰로오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및 응결지연제를 포함하는 시멘트 첨가제 및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이 개시된다.
콘크리트 면처리용 시멘트 조성물에 있어서 셀룰로오스 에테르는 보수성 부여의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셀룰로오스 에테르 중 고점도의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사용할 경우에는 작업성이 열악하여 중저점도의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셀룰로오스 에테르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보수성이 향상되어 시멘트 조성물 표면의 겉마름 현상은 감소하나, 작업성, 물곰보, 작업가능시간(Pot Life)의 개선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셀룰로오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및 응결지연제를 포함하는 시멘트 첨가제 및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셀룰로오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및 응결지연제를 포함하는 시멘트 첨가제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멘트 첨가제는 셀룰로오스 에테르 100중량부에 대하여 계면활성제 0.001~10중량부 및 응결지연제 5.0~40.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는 메틸기 치환도(DS)가 0.27~2.0인 메틸셀룰로오스, 메틸기 치환도(DS)가 0.27~2.50이고 히드록시프로필기 치환도(MS)가 0.02~1.1인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메틸기 치환도(DS)가 0.27~2.40이고 히드록시에틸기 치환도(MS)가 0.03~1.3인 히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에틸기 치환도(MS)가 0.3~5.0인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2중량% 수용액은, 브룩필드 점도계를 사용하여 20℃ 및 20rpm에서 측정된 점도가 10~200,000cps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술포네이트류, 설페이트류, 에스테르류, 아미노 산류 및 비누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에톡실화된 화합물류, 알카놀아미드류, 폴리히드록실 화합물의 에스테르류,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블록 공중합체 및 아민 옥사이드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결지연제는 시멘트/콘크리트용 감수제, 시멘트용 수화지연제, 유기산, 염류, 당류, 다당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시멘트 첨가제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멘트 첨가제의 총 함량은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5.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시멘트 조성물은 콘크리트 면처리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하면, 셀룰로오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및 응결지연제를 포함함으로써 보수성, 작업성 및 작업가능시간이 향상되고 백화 현상이 저감된 시멘트 첨가제 및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시멘트 첨가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구현예에 따른 시멘트 첨가제는 셀룰로오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및 응결 지연제를 포함한다.
상기 시멘트 첨가제는 셀룰로오스 에테르 100중량부에 대하여 계면활성제 0.001~10.0중량부 및 응결지연제 5.0~40.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001중량부 미만이면 시멘트 입자와 물의 젖음성이 낮아져서 바람직하지 않고, 10.0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감수효과가 커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응결지연제의 함량이 5.0중량부 미만이면 시멘트의 응결효과가 낮아져서 바람직하지 않고, 30.0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과도한 응결지연으로 시멘트가 경화되지 않아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는 메틸기 치환도(DS)가 0.27~2.0인 메틸셀룰로오스, 메틸기 치환도(DS)가 0.27~2.50이고 히드록시프로필기 치환도(MS)가 0.02~1.1인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메틸기 치환도(DS)가 0.27~2.40이고 히드록시에틸기 치환도(MS)가 0.03~1.3인 히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에틸기 치환도(MS)가 0.3~5.0인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메틸기 치환도(DS)와 히드록시프로필기 치환도(MS)는, 예를 들어,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의 경우, 각각 하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 의하여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08086103819-PAT00001
Figure 112008086103819-PAT00002
상기와 같은 치환도의 범위를 갖는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포함하는 시멘트 첨가제를 시멘트 조성물로 사용함으로써, 최종 형성된 시멘트 페이스트는 우수한 점도 발현성을 갖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페이스트의 제조를 위한 믹싱 공정시 공기 혼입량이 감소하여 기포 발생이 줄어들므로 우수한 보수성을 갖게 된다.
2중량%의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수용액은, 브룩필드 점도계를 사용하여 20℃ 및 20rpm에서 측정될 때, 10~200,000cps, 예를 들어, 3,000~100,000cps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점도가 10cps 미만이면 통상적인 사용 범위에서 보수율이 부족하고 증점 효과가 매우 미약하며, 200,000cps를 초과하게 되면 보수성은 향상되나 시멘트 페이스트의 작업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술포네이트류, 예를 들어 알킬벤젠 술포네이트, 알칸 술포네이트, 석유 술포네이트, 리그닌 술포네이트, 에스테르 술포네이트; 설 페이트류, 예를 들어, 알킬 설페이트,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 에스테르류, 예를 들어 술포숙시네이트 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에스테르; 아미노산류, 예를 들어 N-아실화된 아미노산; 및 비누류, 예를 들어 소듐 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에톡실화된 화합물류, 예를 들어 에톡실화된 알코올, 에톡실화된 알킬페놀, 에톡실화된 산, 에톡실화된 에스테르; 알카놀아미드류, 예를 들어 지방산 알카놀아미드, 에톡실화된 알카놀아미드; 폴리히드록실 화합물의 에스테르류, 예를 들어 소르비탄 디스테아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블록 공중합체; 및 아민 옥사이드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시멘트 첨가제를 시멘트 조성물로 사용함으로써, 최종 형성된 시멘트 페이스트는 우수한 작업성 및 물곰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계면활성제는 시멘트 입자의 젖음성, 유화성 및 분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시멘트 페이스트가 콘크리트 표면의 공극에 잘 스며들게 하여 물곰보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응결지연제는 시멘트/콘크리트용 감수제, 시멘트용 수화지연제, 유기산, 염류, 당류, 다당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멘트/콘크리트용 감수제로는 시멘트 혼화제로 사용되는 통상의 감수제, AE감수제, 고성능 감수제 및/또는 고성능 AE감수제 등의 지연형 타입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시멘트용 수화지연제로는 규불화물계, 붕산염계 및/또는 옥시카르본산염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당류로는 말토덱스트린, 덱스트린, 녹말(전분), 글리코겐 또는 삭카로오스(Saccharos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응결지연제를 포함하는 시멘트 첨가제를 시멘트 조성물로 사용함으로써, 시멘트 페이스트의 작업가능시간(pot life)을 연장할 수 있으며 아울러 시멘트 페이스트 형성시 시멘트의 초기 수화에 의해 생성되는 수산화칼슘의 발생량을 저감하여 백화현상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백화현상이란 시멘트가 수화할 때 생성되는 수산화칼슘이 시멘트 페이스트의 표면으로 노출된 후 이것이 공기중의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탄산칼슘을 형성함으로써 시멘트 페이스트의 표면이 하얗게 변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상기 시멘트 첨가제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시멘트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시멘트 첨가제의 총 함량은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5.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함량이 0.01중량부 미만이면 작업성, 물곰보, 작업가능시간 등의 물성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고, 5.0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작업성이 저하되거나 시멘트 수화지연이 과도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시멘트 조성물에 소정량의 물을 첨가하여 일정한 방식으로 혼련함으로써 시멘트 페이스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물은 통상 요구되는 시멘트 페이스트의 시공성(workability)을 확보할 수 있을 만큼 의 양이 첨가된다.
또한, 상기 시멘트 조성물은 콘크리트 면처리용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콘크리트 면처리란 콘크리트면의 요철이나 혹 부위만을 제거한 후 시멘트 페이스트를 얇게 펴발라 페인트나 도배공사전 마감을 끝내는 것을 의미한다.
콘크리트 면처리에서 요구되는 시멘트 페이스트의 주요 성능은 다음과 같다.
(1) 작업성: 넓은 면적에 대해 수작업을 통해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성이 중요하다.
(2) 물곰보: 페인트 공사 등과 같은 마감작업을 위해서는 면이 고르게 나와야 하므로 물곰보 발생이 적어야 한다. 여기서, 물곰보란 콘크리트에 형성되어 있는 공극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시멘트 페이스트가 콘크리트의 공극으로 스며들지 못하고 거품처럼 부풀어 올라 터진 형상을 의미한다.
(3) 말림성: 시멘트 페이스트를 콘크리트면에 0.05mm이하의 두께로 초벌 도포를 한 다음 재벌 도포를 할 경우 초벌 도포된 시멘트 페이스트가 말려 나오지 않아야 한다.
(4) 닦임성: 붓질시 물이 묻은 붓에 의해 도포된 시멘트 페이스트가 닦여 나오지 않아야 한다.
(5) 작업가능시간(Pot Life): 콘크리트 면처리 작업시 작업가능시간이 길어야 하며, 통상 1시간 정도의 작업가능시간을 필요로 한다.
(6) 백화현상: 콘크리트 면처리는 콘크리트면에 시멘트 페이스트를 0.05mm의 두께로 얇게 바르는 것이므로 이러한 콘크리트 면처리 작업에 의해 백화현상이 쉽게 발생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시멘트의 초기 수화시 생성된 수산화칼슘이 콘크리트 면처리 작업 과정에서 붓질에 의해 시멘트 페이스트의 표면으로 노출될 경우에는 상기 노출된 수산화칼슘이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탄산칼슘을 형성하므로 백화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면처리 작업시 이러한 백화현상의 저감도 필요하게 된다.
이하, 실시예들을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 시멘트 조성물(1)의 제조
셀룰로오스 에테르(삼성정밀화학주식회사의 PMC-30US(DS:1.45, MS:0.24), 2중량% 수용액 점도 30,000cps) 91중량부, 술폰산염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한농화성 제조, 코레물 OS-125) 1중량부 및 감수제(이건실업社의 ECONEX MEGAPA NN 99-PR: 지연형 고성능 감수제) 8중량부를 혼합하여 시멘트 첨가제를 제조하였다. 시멘트(아세아 시멘트사의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제조된 시멘트 첨가제를 0.525중량부 외할로 혼합하여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시멘트 조성물(2)의 제조
술폰산염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1중량부 대신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1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멘트 첨가제를 제조하였다. 그후, 상기 제조된 시멘트 첨가제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시멘트 조성물(3)의 제조
감수제 8중량부 대신에 다당류(삼양제넥스社의 제네덱스) 8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멘트 첨가제를 제조하였다. 그후, 상기 제조된 시멘트 첨가제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시멘트 조성물(4)의 제조
술폰산염형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1중량부 및 감수제 8중량부 대신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1중량부 및 다당류(삼양제넥스社의 제네덱스) 8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멘트 첨가제를 제조하였다. 그후, 상기 제조된 시멘트 첨가제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5~1-8: 시멘트 조성물(5)의 제조
셀룰로오스 에테르(삼성정밀화학주식회사의 PMC-30US) 대신에 셀룰로오스 에테르(삼성정밀화학주식회사의 PMC-40US (DS:1.45, MS:0.24), 2중량% 수용액 점도 40,000cps)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1-4의 각각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멘트 첨가제를 제조하였다. 그후, 상기 제조된 각각의 시멘트 첨가제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1: 시멘트 조성물(6)의 제조
계면활성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상기 실시예 1-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셀룰로오스 에테르 및 감수제를 각각 92중량부 및 8중량부씩 혼합하여 시멘트 첨가 제를 제조하였다. 그후, 상기 제조된 시멘트 첨가제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2: 시멘트 조성물(7)의 제조
응결지연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상기 실시예 1-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셀룰로오스 에테르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각각 99 중량부 및 1중량부씩 혼합하여 시멘트 첨가제를 제조하였다. 그후, 상기 제조된 시멘트 첨가제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3: 시멘트 조성물(8)의 제조
계면활성제와 응결지연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셀룰로오스만으로 구성된 시멘트 첨가제를 제조하였다. 그후, 상기 제조된 시멘트 첨가제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멘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시멘트 첨가제의 조성을 정리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구분 시멘트 첨가제의 조성(중량부)
셀룰로오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응결지연제
PMC-30US PMC-40US 음이온성 비이온성 감수제 다당류
실시예 1-1 91 - 1 - 8 -
실시예 1-2 91 - - 1 8 -
실시예 1-3 91 - 1 - - 8
실시예 1-4 91 - - 1 - 8
실시예 1-5 - 91 1 - 8 -
실시예 1-6 - 91 - 1 8 -
실시예 1-7 - 91 1 - - 8
실시예 1-8 - 91 - 1 - 8
비교예 1-1 92 - - - 8 -
비교예 1-2 99 - 1 - - -
비교예 1-3 100 - - - - -
평가예
실시예 1-1~1-8 및 비교예 1-1~1-3에서 각각 제조한 시멘트 조성물을 건비빔한 다음, 건비빔된 각각의 시멘트 조성물 100중량부를 물 45중량부에 흩뿌려 3분 이내에 전량 투입하였다. 건비빔된 시멘트 조성물을 물에 전량 투입한 후 약 10분간 숙성시킨 다음, 수작업으로 믹싱하여 시멘트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시멘트 페이스트 시료를 채취하여 보수성, 작업성, 물곰보, 닦임성, 말림성, 작업가능시간 및 백화현상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보수성: 지름 100mm, 높이 10mm인 링 하단부에 5A 필터 1장을 깐 다음, 상기 링에 충분히 혼련된 페이스트를 채운 후 30분 후에 5A 필터(필터 사이즈: 직 경 150mm)에 물이 흡수되어 퍼져 나간 직경을 측정하여 보수성을 평가하였다. 즉, 보수성은 하기 수학식 3에 의하여 구해졌다.
보수성(%) = 200-(30분 경과후 물에 젖은 필터 영역의 직경).
(2) 작업성: 콘크리트 표면에 상기 제조된 시멘트 페이스트를 바른 후, 흙손으로 얇게 펼치는 동안 흙손이 저항없이 잘 밀리는지에 대해 평가를 한것으로 5점법으로 수치화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작업성이 좋음을 의미한다.
(3) 물곰보: 콘크리트 표면에 상기 제조된 시멘트 페이스트를 얇게 바른 후, 물이 묻은 붓으로 붓질을 했을 때, 콘크리트 표면의 공극에서 비누거품과 같이 기포가 생성되어 터지는 현상의 발생 횟수를 세어 평가하였다.
(4) 닦임성: 콘크리트 표면에 상기 제조된 시멘트 페이스트를 얇게 바른 후, 물이 묻은 붓으로 붓질을 할 때 시멘트 페이스트가 벗겨져 내리는가에 대해 육안으로 평가하여, 5점법으로 수치화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닦임성에 대한 저항이 커서 닦임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5) 말림성: 콘크리트 표면에 상기 제조된 시멘트 페이스트를 얇게 바를 때, 콘크리트와 시멘트 페이스트간의 접착성이 좋지 않아 벗겨지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평가하여, 5점법으로 수치화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말림성에 저항이 커 벗겨지지 않음을 의미한다.
(6) 작업가능시간(pot life): 작업가능시간은 시멘트 조성물을 물과 믹싱하여 시멘트 페이스트를 제조한 다음,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를 10분간격으로 콘크리 트 표면에 발라 작업성의 손실없이 재믹싱이 가능하며 작업이 가능한지에 대해 평가하였다. 작업성이 3점이하가 되는 시간을 작업가능시간으로 규정하였다.
(7) 백화현상: 석고보드 하지에 상기 제조된 시멘트 페이스트를 얇게 바른 다음, 12시간 경화한 후에 시멘트 페이스트 표면이 하얗게 변하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평가하고 아울러 상기 표면에서의 CaCO3의 생성여부를 평가하였다. CaCO3의 생성 여부는 표면을 긁어낸 시료에 대해 X선 회절장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표 2]
구분 시멘트 조성물의 성능
보수성(%) 작업성 물곰보(ea) 닦임성 말림성 작업가능시간(min) 백화현상
실시예 1-1 91.54 4 11 4 4 90
실시예 1-2 92.31 4 20 4 4 80
실시예 1-3 92.46 4.5 8 4 4 110
실시예 1-4 93.15 4 19 4 4 100
실시예 1-5 94.25 4 25 4 4 80
실시예 1-6 95.16 3 28 4 4 90
실시예 1-7 95.45 3.5 20 4 4 90
실시예 1-8 95.42 3 24 4 4 70
비교예 1-1 93.58 3 35 4 4 80
비교예 1-2 92.99 2.5 26 4 4 50 多少有
비교예 1-3 95.40 2.5 40 4 4 40 多少有
본 발명은 도면 및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셀룰로오스 에테르, 계면활성제 및 응결지연제를 포함하는 시멘트 첨가제.
  2. 제1항에 있어서,
    셀룰로오스 에테르 100중량부에 대하여 계면활성제 0.001~10.0중량부 및 응결지연제 5.0~40.0중량부를 포함하는 시멘트 첨가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는 메틸기 치환도(DS)가 0.27~2.0인 메틸셀룰로오스, 메틸기 치환도(DS)가 0.27~2.50이고 히드록시프로필기 치환도(MS)가 0.02~1.1인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메틸기 치환도(DS)가 0.27~2.40이고 히드록시에틸기 치환도(MS)가 0.03~1.3인 히드록시에틸메틸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에틸기 치환도(MS)가 0.3~5.0인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시멘트 첨가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2중량% 수용액은, 브룩필드 점도계를 사용하여 20℃ 및 20rpm에서 측정된 점도가 10~200,000cps인 시멘트 첨가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시멘트 첨가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술포네이트류, 설페이트류, 에스테르류, 아미노산류 및 비누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시멘트 첨가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에톡실화된 화합물류, 알카놀아미드류, 폴리히드록실 화합물의 에스테르류,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블록 공중합체 및 아민 옥사이드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시멘트 첨가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결지연제는 시멘트/콘크리트용 감수제, 시멘트용 수화지연제, 유기산, 염류, 당류, 다당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시멘트 첨가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멘트 첨가제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첨가제의 총 함량은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5.0중량부인 시멘트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콘크리트 면처리용인 시멘트 조성물.
KR1020080127286A 2008-12-15 2008-12-15 시멘트 첨가제 및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KR201000688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286A KR20100068808A (ko) 2008-12-15 2008-12-15 시멘트 첨가제 및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286A KR20100068808A (ko) 2008-12-15 2008-12-15 시멘트 첨가제 및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808A true KR20100068808A (ko) 2010-06-24

Family

ID=42367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286A KR20100068808A (ko) 2008-12-15 2008-12-15 시멘트 첨가제 및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88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3421A1 (en) 2012-12-14 2014-06-1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dditive for hydraulically setting mixtures
CN104129943A (zh) * 2014-08-18 2014-11-05 四川恒泽建材有限公司 湿拌砂浆外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17007455A1 (en) * 2015-07-07 2017-01-12 1/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Plugging and abandoning a well using extended-life cement composition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3421A1 (en) 2012-12-14 2014-06-1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dditive for hydraulically setting mixtures
EP2911993A1 (en) * 2012-12-14 2015-09-02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dditive for hydraulically setting mixtures
CN104129943A (zh) * 2014-08-18 2014-11-05 四川恒泽建材有限公司 湿拌砂浆外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17007455A1 (en) * 2015-07-07 2017-01-12 1/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Plugging and abandoning a well using extended-life cement compositions
GB2555318A (en) * 2015-07-07 2018-04-25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Plugging and abandoning a well using extended-life cement composiions
US10655047B2 (en) 2015-07-07 2020-05-19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Plugging and abandoning a well using extended-life cement composi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3278B2 (en) Repair compound and methods of use
KR101653972B1 (ko) 하이브리드 섬유를 포함한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US9315643B2 (en) Self priming spackling compound
CN107540304A (zh) 一种复合型水泥基渗透结晶型防水材料
CN103553538B (zh) 建筑室内深层渗透固化无损伤防水剂
CN105542072A (zh) 一种适用于强碱环境的混凝土内养护剂及其制备方法
KR20110089657A (ko) 시멘트 첨가제 조성물 및 상기 첨가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KR20100068808A (ko) 시멘트 첨가제 및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시멘트 조성물
KR20120091697A (ko) 콘크리트 면처리용 시멘트 조성물
KR101862594B1 (ko) 벽면 미장용 시멘트계 모르타르 조성물.
KR102010587B1 (ko) 견출용 시멘트 조성물
KR102033179B1 (ko) 스킴코트 모르타르용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스킴코트 모르타르 조성물
KR20110082858A (ko) 스킴코트 모르타르의 첨가제 조성물 및 상기 첨가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스킴코트 모르타르 조성물
JP2011026146A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
CN1511892A (zh) 一种保温吸音抗裂内墙腻子及其制备方法
KR102109750B1 (ko) 분산성이 향상된 석고 플라스터용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211440A (zh) 一种露骨料混凝土的制备方法及其使用的露骨料水洗剂
KR100833921B1 (ko) 석고 플라스터의 첨가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19944B1 (ko) 자가 치유 기능을 겸비한 탄성 퍼티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외벽 균열 보수 공법
KR20050041458A (ko) 고기능성 바이오 스프레이 미장용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조성물
KR102601921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외벽 균열 보수용 탄성 퍼티 조성물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공법
KR102414943B1 (ko) 수축 저감형 초조강 및 조강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유지보수공법
KR102449813B1 (ko) 균열보수 성능을 갖는 표면강화제 조성물
EP3553043B1 (de) Verwendung von celluloseether-compounds zur verlängerung der offenen zeit und verbesserung der benetzbarkeit von zementären mörteln
KR102130477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