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944B1 - 자가 치유 기능을 겸비한 탄성 퍼티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외벽 균열 보수 공법 - Google Patents

자가 치유 기능을 겸비한 탄성 퍼티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외벽 균열 보수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944B1
KR102519944B1 KR1020230013099A KR20230013099A KR102519944B1 KR 102519944 B1 KR102519944 B1 KR 102519944B1 KR 1020230013099 A KR1020230013099 A KR 1020230013099A KR 20230013099 A KR20230013099 A KR 20230013099A KR 102519944 B1 KR102519944 B1 KR 102519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lastic putty
composition
putty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3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수
Original Assignee
김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수 filed Critical 김관수
Priority to KR1020230013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9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34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4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1/02Polythioethers; Polythioether-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D1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9D1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9D125/08Copolymers of styrene
    • C09D125/14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치유 기능을 겸비한 탄성 퍼티재 조성물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10 내지 20 중량부, 라임스톤(limestone) 2 내지 10 중량부, 벤토나이트(bentonite) 5 내지 10 중량부 및 물 5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가 치유 기능을 겸비한 탄성 퍼티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외벽 균열 보수 공법에 따르면, 높은 수준의 인장강도와 신장률을 보임과 동시에 벤토나이트를 기반으로 하는 수팽윤 기능을 통해 추가적인 균열 발생에 쉽게 대응할 수 있어 자가 치유 능력이 뛰어나다.

Description

자가 치유 기능을 겸비한 탄성 퍼티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외벽 균열 보수 공법{Elastic putty composition with self-healing function and method for repairing concrete outer wall crack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가 치유 기능을 겸비한 탄성 퍼티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외벽 균열 보수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분과 반응하는 성질을 기반으로 균열에 대한 자가 치유 및 보수능력을 갖춘, 신규하고 진보한 탄성 퍼티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외벽 균열 보수 공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물, 시멘트, 모래, 자갈 등의 골재를 구성성분으로 하여, 시멘트와 물이 반응하여 굳어지는 수화 반응을 통해 건조되며 건축 구조물을 형성하는데 이용된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은 재료적 균열, 구조적 균열로 나뉘며 이와 같은 균열들의 원인은 재료적 원인, 시공적 원인, 사용 환경에 따른 원인 및 외력에 따른 원인 등 다양한 원인에 기인한다.
이때, 균열을 방치할 시 하중, 진동이 강도가 약한 균열 부위에 집중되어 균열이 확대될 수 있는 문제와 균열 부위로 수분 및 산소가 스며들어 알칼리성을 유지해야 하는 콘크리트의 pH를 낮추게 되는 문제가 따른다.
이러한 균열을 보수하기 위해 균열을 메꾸는 물질을 충진시키는 퍼티 공법이 적용되고 있는바, 기존의 퍼티 공법은 균열 충진용 퍼티와 상층 형성용 프라이머를 별도로 구비하여 준비 과정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다양한 경력을 보유하고 숙련된 시공자가 요구된다.
이에 대한 선행기술로 한국 등록 특허 제 10-2037809호(발명의 명칭: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균열 보수 방법)가 등록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보수할 부위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면서 세척하는 단계; 상기 보수할 부위의 파임 또는 균열 부위를 복구하는 단계; 및 상기 보수할 부위에 외부용 수성페인트를 도장하여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구하는 단계는, 상기 보수할 부위에 몰탈을 충전하고 경화시켜 단면을 복구하는 단계;와, 상기 보수할 부위에 퍼티재를 도포하는 단계;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단계를 실시하며, 상기 몰탈은, 아세트아세틸화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수지 에멀젼, 탄산칼슘 및 수용성 히드라진 유도체를 포함한 몰탈 강화제와 레미탈을 혼합한 것이며, 상기 퍼티재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에멀젼 30~40 중량%, 유기 티타늄 화합물로 표면처리가 된 탄산칼슘 40~50 중량%, 음이온성 수성 폴리우레탄 에멀젼 5~10 중량%, 부식억제제 0.05~0.3 중량%, 경화지연제 1~5 중량% 및 증점제 13~20 중량%를 포함한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기 티타늄 화합물로 표면처리가 된 탄산칼슘은, 유기 티타늄 화합물 1 중량부, 유기용매 1~1,000 중량부 및 계면활성제 0.05~0.3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표면처리제;와 수계 탄산칼슘;을 혼합하고 건조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균열 보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 따르면 균열 부위에 몰탈 또는 퍼티를 주입하여 보수하는 공법 및 퍼티의 조성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때 이용되는 우레탄 퍼티는 탄성이 우수하나 오일링 현상 때문에 수성페인트 도장 후 유분 얼룩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성페인트 도장 시 유분 얼룩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퍼티의 기능을 강화하여 크랙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신규하고 진보한 퍼티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 방법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 특허 제 10-2037809호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분 얼룩의 생성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분과 반응하여 자가 치유 능력을 나타내는 탄성 퍼티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균열 보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 퍼티재 조성물의 접착력, 내구성 및 침투성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탄성 퍼티재 조성물의 침투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치유 기능을 겸비한 탄성 퍼티재 조성물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10 내지 20 중량부, 라임스톤(limestone) 2 내지 10 중량부, 벤토나이트(bentonite) 5 내지 10 중량부 및 물 5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아크릴 단량체 및 관능성 단량체가 공중합된 아크릴 바인더(Acrylic binder) 10 내지 2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methacrylate)를 포함하는 유동성 조절제 1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가 치유 기능을 겸비한 탄성 퍼티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외벽 균열 보수 공법에 따르면,
1) 높은 수준의 인장강도와 신장률을 보임과 동시에 벤토나이트를 기반으로 하는 수팽윤 기능을 통해 추가적인 균열 발생에 쉽게 대응할 수 있어 자가 치유 능력이 뛰어나며,
2) 아크릴 바인더 및 티타늄디옥사이드 첨가에 따라 접착력 및 내구성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침투성을 높이고,
3) 유동성 조절제의 첨가에 따라 탄성 퍼티재 조성물의 침투성을 보다 강화할 수 있어 미세한 균열 부위에 대한 침투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탄성 퍼티재 조성물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균열 보수 공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탄성 퍼티재 조성물을 이용한 균열 보수 공법이 수행된 균열 부위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유동성 조절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탄성 퍼티재 조성물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자가 치유 기능을 겸비한 탄성 퍼티재(4) 조성물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10 내지 20 중량부, 라임스톤(limestone) 2 내지 10 중량부, 벤토나이트(bentonite) 5 내지 10 중량부 및 물 5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는 투명성, 접착성, 유연성이 우수한 에틸렌과 아세트산의 공중합 수지로써, 광선 투과율이 높고 항장력과 신장력이 크며 부착 시 먼지가 적게 발생한다. 저온에 굳지 않고 고온에 흐물대지 않아 모든 계절에 사용할 수 있으며, 내산화성이 강하고 독성이 없고 인장강도와 신장률이 뛰어나다는 장점을 가진다.
라임스톤은 석회암이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석회암을 분쇄한 파우더를 라임스톤이라고 부른다. 무기 필러로서 탄성 퍼티재(4)의 인장강도를 높임과 동시에 표면에 부드러운 피막감을 제공하고, 백색의 컬러감을 높일 수 있는 물질이다.
벤토나이트는 운모와 같은 결정구조를 하는 단사정계에 속하는 광물인 몬모릴로나이트가 주로 들어있는 점토이다. 흡습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수분 흡수와 함께 팽창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균열의 추가 발생으로 인한 누수 발생 시 수분 흡수와 함께 부피가 팽창되어 추가 균열 부위(2)를 메꾸는 자가 치유, 즉 자체 보수 능력을 갖추어 추가적인 크랙에 대한 방어 성능을 제공하는 물질이다.
물은 본 발명의 탄성 퍼티재(4) 조성물의 용매로 투입되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탄성 퍼티재(4) 조성물은 수계 성질을 나타내기 때문에 탄성 퍼티재(4) 조성물로 마감된 균열 부위(2)의 표면에 수성 페인트 도장이 수행되더라도 표면에 유분 얼룩이 발생하지 않아 보다 깔끔한 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탄성 퍼티재(4) 조성물에 따르면, 높은 수준의 인장강도와 신장률을 보임과 동시에 벤토나이트를 기반으로 하는 수팽윤 기능을 통해 추가적인 균열 발생에 쉽게 대응할 수 있어 자가 치유 능력이 뛰어나며, 표면에 대한 수성 페인트 마감 시에도 지저분한 유분 얼룩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탄성 퍼티재(4) 조성물의 구성에 따른 물성을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탄성 퍼티재(4) 조성물이며, 비교예는 종래의 탄성 퍼티재(4) 조성물이다.
[실시예]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20g, 라임스톤 10g, 벤토나이트 10g 및 물 60g을 혼합하여 탄성 퍼티재(4)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아크릴 에멀전 20g, 라임스톤 10g, 탄산칼슘 10g 및 물 60을 혼합하여 아크릴계 퍼티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능평가 수행 방법>
부착강도 :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각각의 조성물을 대상으로 한국산업표준 KS M 6010 시험방법에 따라 재령 14일이 되는 시점에서 부착강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인장강도 :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각각의 조성물을 대상으로 한국산업표준 KS F 3211 시험방법에 따라 재령 14일이 되는 시점에서 인장강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신장률 :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각각의 조성물을 대상으로 한국산업표준 KS F 3211 시험방법에 따라 재령 7일이 되는 시점에서 신장률 시험을 실시하였다.
표 1은 시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실시예 비교예
부착강도(N/cm2) 160 85
인장강도(MPa) 1.5 1.2
신장률(%) 502 336
상술한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탄성 퍼티재(4) 조성물은 비교예의 탄성 퍼티재(4) 조성물에 비하여 부착강도, 인장강도 및 신장률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탄성 퍼티재(4) 조성물은 아크릴 단량체 및 관능성 단량체가 공중합된 아크릴 바인더(Acrylic binder) 10 내지 2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탄성 퍼티재(4) 조성물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10 내지 20 중량부, 상기 아크릴 바인더(Acrylic binder) 10 내지 20 중량부, 라임스톤(limestone) 2 내지 10 중량부, 벤토나이트(bentonite) 5 내지 10 중량부 및 물 5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아크릴 바인더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와 혼합됨에 따라 탄성 퍼티재(4)의 접착력을 높임과 동시에 인장강도와 신장률을 높이며, 나아가 내구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이다. 이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를 단독 사용하는 것에 비해 아크릴 바인더를 혼합 사용함에 따라 탄성 퍼티재(4)의 탄성 및 부착력, 나아가 내구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더불어 아크릴 바인더는 아크릴 단량체 및 관능성 단량체가 공중합되어 뛰어난 물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때 바람직하게 아크릴 단량체는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이고, 관능성 단량체는 스티렌(styrene)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적용된 용어 “공중합(copolymerization)”이란, 2종 혹은 그 이상의 단량체를 혼합, 중합하여 공중합체를 합성하는 반응으로, 단일 중합체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아크릴 바인더 첨가에 따라 접착력 및 내구성 향상이라는 장점은 살리면서, 아크릴계 바인더의 단점인 오일링 현상을 해결하여 도장 후에 표면에 유분에 의한 얼룩이 생기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탄성 퍼티재(4) 조성물은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5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탄성 퍼티재(4) 조성물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10 내지 20 중량부, 라임스톤(limestone) 2 내지 10 중량부, 벤토나이트(bentonite) 5 내지 10 중량부,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5 내지 10 중량부 및 물 5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티타늄디옥사이드는 본 발명의 탄성 퍼티재(4)로 하여금 흰색 바탕 컬러를 제공함과 동시에 탄성 퍼티재(4)의 인장강도를 높이며, 나아가 입자의 크기가 매우 작고 침투성이 뛰어나 미세 균열에도 침투를 가능케 한 장점이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 티타늄디옥사이드는 직경이 1 내지 100nm일 수 있다.
이러한 티타늄디옥사이드가 첨가됨에 따라 본 발명의 탄성 퍼티재(4) 조성물의 인장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미세 균열에 대한 침투성을 보다 향상시켜 미세한 균열에 대한 보강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균열 보수 공법의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탄성 퍼티재(4) 조성물을 이용한 균열 보수 공법이 수행된 균열 부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술한 탄성 퍼티재(4)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외벽 균열 보수 공법은, 전처리 단계(S1), 프라이머(3) 도포 단계(S2), 탄성 퍼티재(4) 충진 단계(S3)를 포함할 수 있다.
(S1) 전처리 단계
가장 처음으로, 표면에 균열이 발생한 구조물의 표면, 즉 균열 부위(2)를 포함하는 대상면(1)에 대한 전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전처리라 함은 대상면(1)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고르지 못한 표면을 평탄하게 정리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처리로써 대상면(1)에 존재할 수 있는 먼지, 콘크리트 조각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때 블로잉, 브러싱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더불어 표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 표면에 별도의 평탄화 처리를 함께 수행하여 평탄하고 고르지 못한 표면에 대한 정리를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대상면(1)에 포함된 균열 부위(2)에 수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균열 부위의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공지의 표면 전처리 과정 등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S2) 프라이머 도포 단계
이어서, 균열 부위(2)에 프라이머(3)를 도포하고 경화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이용되는 프라이머(3)는 아크릴계 수지, EVA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 실리콘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그러나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프라이머(3)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10 내지 20 중량부,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5 내지 10 중량부 및 물 70 내지 9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어, 높은 수준의 수분산성, 신장률, 인장강도를 나타냄과 동시에 뛰어난 침투성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프라이머(3)는 바람직하게 0.1 내지 0.5mm의 두께로 도포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프라이머(3)의 도포는 1회 내지 3회 반복 수행될 수 있으며, 반복 수행 시 마다 건조 및 경화 역시 반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S3) 탄성 퍼티재 충진 단계
마지막으로, 프라이머(3)가 도포된 균열 부위(2)에 상술한 본 발명의 탄성 퍼티재(4) 조성물을 충진하고 경화하여 외벽 균열 보수를 마무리하게 된다.
이때 균열 부위(2)를 채우도록 탄성 퍼티재(4) 조성물을 균열 부위(2)에 충진하고 경화를 수행하게 되며, 나아가 균열 부위(2)를 포함한 대상면(1)에 본 발명의 탄성 퍼티재(4) 조성물을 추가로 도포하여 표면을 마감 처리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탄성 퍼티재(4) 조성물의 침투력을 보다 강화함과 동시에 혼합성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의 탄성 퍼티재(4)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methacrylate)를 포함하는 유동성 조절제 1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탄성 퍼티재(4) 조성물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10 내지 20 중량부, 라임스톤(limestone) 2 내지 10 중량부, 벤토나이트(bentonite) 5 내지 10 중량부, 상기 유동성 조절제 1 내지 10 중량부 및 물 5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동성 조절제의 유효 성분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는 폴리카르본산계(Poly carboxylic) 유동화제에 속하는 물질로서, 종래의 리그닌계/나프탈렌계/멜라민계 유동화제에 비해 탁월한 감수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슬럼프 로스가 적다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첨가에 따라 본 발명의 탄성 퍼티재(4) 조성물의 침투성을 보다 강화할 수 있어 미세한 균열 부위(2)에 대한 침투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더하여 이러한 본 발명의 탄성 퍼티재(4) 조성물의 침투력을 보다 강화하고 나아가 균질한 주입을 가능케 하기 위해, 상술한 유동성 조절제는 캡슐화(Encapsulation)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유동성 조절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술한 유동성 조절제는, 1차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S11), 2차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S12), 유동성 조절제를 완성하는 단계(S13)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S11) 1차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먼저, 정제수 70 내지 90 중량부, 아세트산(Acetic acid) 1 내지 10 중량부, 키토산(Chitosan) 5 내지 20 중량부, 폴리솔베이트 20(Polysorbate 20) 1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하여 1차 물질을 제조한다.
정제수는 1차 물질의 용매로서 첨가되는 것으로, 다시 말해 용해된 이온, 미생물, 고체입자 등의 불순물이 제거된 정제수를 선택하여 이용함으로써 탄성 퍼티재(4)의 오염 또는 변질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다.
아세트산은 다른 말로써 초산이라고도 하며, 자극성이 강한 냄새를 가진 무색의 액체로 물, 알코올, 에테르 등에 용해될 뿐 아니라 유기 화합물을 녹일 수 있다. 즉, 아세트산은 후술할 키토산이 정제수에 보다 잘 혼합될 수 있도록 첨가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 제조되는 아세트산 수용액의 농도는 1 내지 2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조절 가능할 것이다.
키토산은 게, 가재, 새우 등의 갑각류로부터 얻을 수 있는 키틴(Chitin)에 40~50%의 수산화나트륨용액을 가하여 탈아세틸화(Deacetylation)한 천연고분자물질로서, 무독성, 무공해성, 생분해성의 특성을 포함하고 있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쳐 응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와 같은 키토산은 유동성 조절제,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동성 조절제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들을 감싸는 피막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폴리솔베이트 20은 잘 혼합되지 않는 물질들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유화 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계면활성제의 일종으로, 상술한 1차 물질의 구성 성분은 물론이거니와 본 발명의 유동성 조절제의 혼합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물질들을 혼합하기 위해 종래의 믹서, 교반기, 균질기(Homogenizer) 등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혼합 방법에 있어서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음을 밝히도록 한다.
(S12) 2차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다음으로, 1차 물질 70 내지 85 중량부, 에탄올(Ethanol) 10 내지 20 중량부,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methacrylate) 1 내지 10 중량부, 폴리메르캅탄(Polymercaptan)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2차 물질을 제조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차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에 대해 서술하자면, 에탄올 10 내지 20 중량부,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1 내지 10 중량부, 폴리메르캅탄 1 내지 5 중량부를 충분히 섞은 다음 상술한 1차 물질과 혼합하여 2차 물질을 제조할 수 있다.
더하여, 2차 물질의 조성에 대해 설명하자면, 에탄올은 휘발성을 가지고 있는 유기 용매의 한 종류로,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메르캅탄과 1차 물질의 혼합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탁월한 유동성을 부가하여 양호한 시공성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폴리메르캅탄은 탄성 퍼티재(4)의 경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물질로써, 탄성 퍼티재(4)의 경화 과정이 저해되거나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S13) 유동성 조절제를 완성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2차 물질 90 내지 99 중량부, 라우릴베타인(Lauryl betaine)을 포함하는 혼합성 개선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고 성형 및 건조하여 유동성 조절제를 완성한다.
이때 유동성 조절제를 완성하는 단계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술한 2차 물질과 라우릴베타인을 포함하는 혼합성 개선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고 저온의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에 적하하여 적당한 크기의 입자로 성형시켜준다. 성형이 종료된 2차 물질은 체를 이용하여 걸러 주고, 동결 건조 처리하여 유동성 조절제를 완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에틸아세테이트는 매니큐어, 네일 리무버, 접착제 등에 사용될 수 있는 달콤한 과일 향을 내는 무색의 맑은 액체로서, 키토산을 용해시키지 않으면서도 매우 낮은 융점을 가지고 있는 까닭에 키토산의 고형화를 가능케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성형된 입자의 크기에 있어서 별도의 제한을 두지는 않으나, 통상의 알약 또는 캡슐의 형태로 1 내지 2cm의 길이로 조절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되는 체 역시 성형된 입자의 크기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0.5 내지 1cm의 직경의 체를 이용하여 고르고 뭉침이 없는 유동성 조절제를 완성할 수 있다.
더불어, 동결 건조 처리를 통해 본 발명의 유동성 조절제가 다량의 기공을 포함하는 다공성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때 동결 건조 처리를 위해 종래의 동결건조장치가 수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혼합성 개선제의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라우릴베타인은 양이온기와 음이온기 모두를 포함하고 있어 pH의 고저에 따라 양이온 또는 음이온으로 해리될 수 있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에 속하며, 독성이 적은 까닭에 인체에 자극적이지 않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라우릴베타인을 포함하는 혼합성 개선제가 첨가됨에 따라 유동성 조절제 나아가, 본 발명의 탄성 퍼티재(4)가 보다 균일한 조성을 이루도록 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되는 유동성 조절제는, 단순 혼합 방식으로 제조되는 유동성 조절제에 비해 탄성 퍼티재(4)에 실제로 도달할 수 있는 유동화제 및 경화제 성분의 양이 증가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유동성 조절제는 구성 물질의 방출 시기를 조절할 수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혼입 단계에서는 유동성 조절제가 활성화되지 않아 기능이 저해되거나 반감되는 현상을 방지하되, 탄성 퍼티재(4)의 주입 및 충진 시점에서 외력에 의해 가해지는 진동에 의해 피막이 파괴됨에 따라 주입된 탄성 퍼티재(4)의 물성을 향상시키며, 나아가 경화 속도를 촉진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유동성 조절제의 구성에 따른 물성을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유동성 조절제를 포함하는 탄성 퍼티재의 실시예 1 내지 2로 구성되어 있고, 대조예는 유동성 조절제를 포함하지 않는 탄성 퍼티재이다.
<실시예 1>
유동성 조절제로서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를 준비하였다.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20g, 라임스톤 10g, 벤토나이트 10g, 유동성 조절제 5g 및 물 55g을 혼합하여 탄성 퍼티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정제수 80g, 아세트산 2g, 키토산 15g, 폴리솔베이트 20 3g을 혼합하여 1차 물질 100g을 제조하였다.
1차 물질 80g, 에탄올 10g,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5g, 폴리메르캅탄 5g을 혼합하여 2차 물질 100g을 제조하였다.
2차 물질 98g, 라우릴베타인 2g을 혼합하고 성형 및 건조하여 유동성 조절제 100g을 제조하였다.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20g, 라임스톤 10g, 벤토나이트 10g, 유동성 조절제 5g 및 물 55g을 혼합하여 탄성 퍼티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대조예>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20g, 라임스톤 10g, 벤토나이트 10g 및 물 60g을 혼합하여 탄성 퍼티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능평가 수행 방법>
2. 유동성: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각각의 조성물을 대상으로 한국산업표준 KS F 2432 시험방법에 따라 유동성을 측정하였다.
표 2는 유동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실시예 1 실시예 2 대조예
유동성(초) 17 19 23
상술한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의 탄성 퍼티재는 대조예에 비하여 유동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하여, 실시예 1 내지 2의 비교 처리를 통해, 실시예 1보다 다양한 물질의 혼합 조성으로 이루어진 실시예 2이 보다 탁월한 유동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치유 기능을 겸비한 탄성 퍼티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외벽 균열 보수 공법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 대상면 2: 균열 부위
3: 프라이머 4: 탄성 퍼티재

Claims (8)

  1. 자가 치유 기능을 겸비한 탄성 퍼티재 조성물으로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10 내지 20 중량부, 라임스톤(limestone) 2 내지 10 중량부, 벤토나이트(bentonite) 5 내지 10 중량부,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methacrylate)를 포함하는 유동성 조절제 1 내지 10 중량부 및 물 5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성 조절제는,
    정제수 70 내지 90 중량부, 아세트산(Acetic acid) 1 내지 10 중량부, 키토산(Chitosan) 5 내지 20 중량부 및 폴리솔베이트 20(Polysorbate 20) 1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하여 1차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1차 물질 70 내지 85 중량부, 에탄올(Ethanol) 10 내지 20 중량부,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methacrylate) 1 내지 10 중량부 및 폴리메르캅탄(Polymercaptan)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2차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2차 물질 90 내지 99 중량부 및 라우릴베타인(Lauryl betaine)을 포함하는 혼합성 개선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고 성형 및 건조하여 유동성 조절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퍼티재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아크릴 단량체 및 관능성 단량체가 공중합된 아크릴 바인더(Acrylic binder) 10 내지 20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10 내지 20 중량부, 상기 아크릴 바인더(Acrylic binder) 10 내지 20 중량부, 라임스톤(limestone) 2 내지 10 중량부, 벤토나이트(bentonite) 5 내지 10 중량부, 상기 유동성 조절제 1 내지 10 중량부 및 물 5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퍼티재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바인더에서,
    상기 아크릴 단량체는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이고,
    상기 관능성 단량체는 스티렌(styrene)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퍼티재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5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10 내지 20 중량부, 라임스톤(limestone) 2 내지 10 중량부, 벤토나이트(bentonite) 5 내지 10 중량부, 상기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5 내지 10 중량부, 상기 유동성 조절제 1 내지 10 중량부 및 물 5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퍼티재 조성물.
  5. 제 1항의 탄성 퍼티재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외벽 균열 보수 공법으로서,
    구조물의 균열 부위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전처리를 수행하는, 전처리 단계;
    상기 균열 부위에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경화하는, 프라이머 도포 단계;
    상기 프라이머가 도포된 균열 부위에 상기 탄성 퍼티재 조성물을 충진하고 경화하는, 탄성 퍼티재 충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외벽 균열 보수 공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30013099A 2023-01-31 2023-01-31 자가 치유 기능을 겸비한 탄성 퍼티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외벽 균열 보수 공법 KR102519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3099A KR102519944B1 (ko) 2023-01-31 2023-01-31 자가 치유 기능을 겸비한 탄성 퍼티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외벽 균열 보수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3099A KR102519944B1 (ko) 2023-01-31 2023-01-31 자가 치유 기능을 겸비한 탄성 퍼티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외벽 균열 보수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9944B1 true KR102519944B1 (ko) 2023-04-11

Family

ID=85976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3099A KR102519944B1 (ko) 2023-01-31 2023-01-31 자가 치유 기능을 겸비한 탄성 퍼티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외벽 균열 보수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9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560B1 (ko) 2024-01-18 2024-05-20 일원엔지니어링(주) 아스팔트 포장도로 균열 보수제 및 그 보수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8350A (ko) * 2008-06-13 2011-03-1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경량 벽 보수 컴파운드
KR102037809B1 (ko) 2019-05-13 2019-10-29 김은정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균열 보수 방법
KR102323907B1 (ko) * 2021-05-14 2021-11-10 드림종합건설 주식회사 균열 보수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8350A (ko) * 2008-06-13 2011-03-1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경량 벽 보수 컴파운드
KR102037809B1 (ko) 2019-05-13 2019-10-29 김은정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균열 보수 방법
KR102323907B1 (ko) * 2021-05-14 2021-11-10 드림종합건설 주식회사 균열 보수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560B1 (ko) 2024-01-18 2024-05-20 일원엔지니어링(주) 아스팔트 포장도로 균열 보수제 및 그 보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972B1 (ko) 하이브리드 섬유를 포함한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EP1562874B1 (fr) Composition pour enduit de jointoiement pour elements de construction et procede de realisation d un ouvrage
EP2361234B1 (de) Verfahren zur applikation von polymermodifizierten nassbetonmischungen
CN105542072B (zh) 一种适用于强碱环境的混凝土内养护剂及其制备方法
CN104177554B (zh) 一种环保型丙烯酸酯灌浆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EP2558541B1 (de) Oberflächenbehandlung von zementären untergründen
Cui et al. Research and application of multi-functional acrylic resin grouting material
KR101056825B1 (ko) 수성바인더 수지를 이용한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CN107778397A (zh) 一种双凝胶结构的遇水膨胀密封止水材料及制备方法
CN112110703A (zh) 一种防水抗渗修补砂浆及施工方法与应用
CN101362641A (zh) 一种防水砂浆
KR102519944B1 (ko) 자가 치유 기능을 겸비한 탄성 퍼티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외벽 균열 보수 공법
DE102010041291A1 (de) Beschichtungsmittel zur Herstellung von Wasser führenden Infrastrukturbeschichtungen
KR100732234B1 (ko) 침투성 복합 방수제
JPH07267703A (ja) コンクリート、モルタル用防水強化混和剤
KR100830437B1 (ko) 그라우트 조성물
DE10331758B4 (d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einer nicht abgebundenen Betonmischung und Verwendung eines Gemisches als Betonverdicker
KR102342746B1 (ko) 콘크리트 균열 보수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공법
KR0153865B1 (ko) 고분자 시멘트 방수제
CN112374846A (zh) 一种砂岩灌浆无机凝胶材料及其制备方法
CN110668761A (zh) 一种水利工程专用混凝土
CN109988511A (zh) 灌浆堵水胶及其制备方法
KR102470511B1 (ko) 포졸란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가교형 비산먼지 경화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601921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외벽 균열 보수용 탄성 퍼티 조성물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공법
DE2449211B2 (de) Mischung zur Herstellung eines zementgebundenen Baustoffs und seine Verwend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