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8759A - 래치회로를 이용한 전력절감용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래치회로를 이용한 전력절감용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8759A
KR20100068759A KR1020080127224A KR20080127224A KR20100068759A KR 20100068759 A KR20100068759 A KR 20100068759A KR 1020080127224 A KR1020080127224 A KR 1020080127224A KR 20080127224 A KR20080127224 A KR 20080127224A KR 20100068759 A KR20100068759 A KR 20100068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supply
power
signal
latch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명효
김종현
백주원
김기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27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8759A/ko
Publication of KR20100068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7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02M1/08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for the simultaneous control of series or parallel connected semiconductor devices
    • H02M1/092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for the simultaneous control of series or parallel connected semiconductor devices the control signals being transmitted optic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래치회로를 이용한 전력절감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교류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에서 입력된 직류전원을 변압 및 평활시켜 부하측에 공급하는 주전원부와, 상기 주전원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전원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공급전원 차단신호가 입력되는 제1신호입력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공급전원 연결신호가 입력되는 제2신호입력부와, 상기 제1,2신호입력부에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주전원부의 공급전원을 개폐시키는 래치회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발명의 래치회로를 이용한 전력절감용 전원공급장치는 스위치부와 구동회로를 대신하여 주전원부를 ON/OFF 시킬 수 있는 래치회로를 적용시킴으로써, 기존의 스위치부에서 발생하는 구동 손실 및 도통 손실 없이 최소의 래치회로 구동 손실만 발생하므로 전원공급장치의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원공급장치, 래치회로, 포토커플러, 트랜지스터, 논리게이트

Description

래치회로를 이용한 전력절감용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FOR POWER SAVING USING LATCH CIRCUIT}
본 발명은 래치회로를 이용한 전력절감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전원을 개폐하기 위해 릴레이나 능동스위치 대신 래치회로를 상기 주전원에 적용시켜 구동 및 도통 손실에 의한 전력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래치회로를 이용한 전력절감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공급장치는 전자기기 내에 형성되거나 별도의 어댑터로 구비되어 외부에서 제공되는 교류전원을 사용 목적에 적합하게 강압하고 정류 및 평활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근래의 거의 모든 전자기기에는 상기 전자기기를 작동시키는 주전원 외에 보조전원이 별도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보조전원은 상기 전자기기의 주전원이 꺼져있는 대기상태(Standby Mode)에서 리모콘이나 스위치버튼을 통해 상기 전자기기의 주전원을 다시 켤 수 있도록 스위치와 구동회로 및 마이컴에 소량의 대기전력을 항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전원공급장치에서 주전원을 ON/OFF 시키기 위해서는 마이컴 및 구 동회로에 의해 스위치가 개폐되어야 상기 주전원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전원공급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원공급장치는 교류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1)와, 상기 필터부(1)를 통과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정류부(2)와, 상기 정류부(2)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개폐시키는 스위치부(3)와, 상기 스위치부(3)를 통해 입력되는 직류전원을 변압 및 평활시켜 부하측에 공급하는 주전원부(4)와, 상기 스위치부(3)의 개폐를 작동시키는 구동회로부(5)와, 상기 구동회로부(5)를 제어하는 제어부(6)와, 상기 구동회로부(5) 및 제어부(6)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전원공급장치는 건물 내의 콘센트나 휴대용 배터리 등의 외부 전원이 입력되면, 리모콘이나 버튼 등을 통해 제어부(6)에 신호를 보내고, 신호를 입력받은 상기 제어부(6)는 구동회로부(5)를 작동시켜 스위치부(3)가 개폐되도록 하여 주전원부(4)를 ON/OFF 시킨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원공급장치는 주전원부(4)를 ON/OFF 시키기 위해서는 릴레이나 능동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스위치부(3)와 상기 스위치부(3)를 구동시키는 구동회로부(5)가 필수적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스위치부(3) 및 구동회로부(5)는 제어부(6)에 의한 작동시 구동 손실 및 도통 손실이 발생하여 전력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데, 특히 전원 용량이 증가할수록 전력 손실이 더욱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위치부(3)로 사용되는 릴레이나 능동스위치는 제품의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므로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저하되고, 상기 스위치부(3)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회로가 추가로 구성되야 하므로 구현회로가 복잡해지고, 제품의 부피를 최소화 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치부 및 구동회로부에서 발생하는 구동 손실 및 도통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치 내부에 구성되는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여 부품의 작동을 위한 구현회로를 간단히 할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래치회로를 이용한 전력절감용 전원공급장치는 교류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에서 입력된 직류전원을 변압 및 평활시켜 부하측에 공급하는 주전원부와, 상기 주전원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전원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공급전원 차단신호가 입력되는 제1신호입력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공급전원 연결신호가 입력되는 제2신호입력부와, 상기 제1,2신호입력부에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주전원부의 공급전원을 개폐시키는 래치회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신호입력부는 포토다이오드 및 포토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도통되는 제1포토커플러와, 상기 제1포토커플러의 입출력단에 각각 위치하는 제1입력단저항 및 제1출력단저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신호입력부는 포토다이오드 및 포토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도통되는 제2포토커플러와, 상기 제2포토커플러의 입출력단에 각각 위치하는 제2입력단저항 및 제2출력단저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래치회로부는 상기 제1신호입력부로부터 공급전원 차단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주전원부의 공급전원을 차단하는 래치회로와, 상기 제2신호입력부로부터 공급전원 연결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주전원부의 공급전원을 연결하는 리셋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래치회로는 상기 공급전원 차단신호에 의해 교번 동작하여 래치상태를 유지하는 제1트랜지스터 및 제2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저항 및 제1콘덴서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저항 및 제2콘덴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리셋수단은 NPN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래치회로를 이용한 전력절감용 전원공급장치는 교류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에서 입력된 직류전원을 변압 및 평활시켜 부하측에 공급하는 주전원부와, 상기 주전원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전원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공급전원 개폐신호가 입력되는 신호입력부와, 상기 신호입력부에 입력되는 개폐신호와 기준신호를 비교하여 소정의 논리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서 출력되는 논리신호에 따라 상기 주전원부의 공급전원을 개폐시키는 래치회로부를 포함하 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신호입력부는 포토다이오드 및 포토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도통되는 포토커플러와, 상기 포토커플러의 입출력단에 각각 위치하는 입력단저항 및 출력단저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비교부는 입력 신호의 논리에 따라 출력을 제어하는 논리게이트로 구성되며, 공급전원 차단신호를 출력하는 AND게이트와, 공급전원 연결신호를 출력하는 XOR게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래치회로부는 상기 비교부로부터 논리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주전원부의 공급전원을 차단하는 래치회로와, 상기 비교부로부터 논리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주전원부의 공급전원을 연결하는 리셋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래치회로는 상기 공급전원 차단신호에 의해 교번 동작하여 래치상태를 유지하는 제1트랜지스터 및 제2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저항 및 제1콘덴서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저항 및 제2콘덴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리셋수단은 NPN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발명의 래치회로를 이용한 전력절감용 전원공급장치는 스위치부와 구동회로를 대신하여 주전원부를 ON/OFF 시킬 수 있는 래치회로를 적용시킴으로써, 기존의 스위치부에서 발생하는 구동 손실 및 도통 손실 없이 최소의 래치회로 구동 손실만 발생하므로 전원공급장치의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릴레이나 능동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스위치부를 대신하여 주전원부에 회로구성이 간단한 래치회로를 적용시킴으로써, 제품의 제조비용이 절감되어 가격 경쟁력이 확보하고, 구현회로를 간단히 하여 제품의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래치회로를 이용한 전력절감용 전원공급장치는 교류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100)와, 상기 필터부(100)를 통과한 교류전 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정류부(300)와, 상기 정류부(300)에서 입력된 직류전원을 변압 및 평활시켜 부하측에 공급하는 주전원부(500)와, 상기 주전원부(5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0)와, 상기 제어부(700)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전원공급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상기와 같은 전체적인 구성은 이미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일반적인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이 포함되는 래치회로와 이를 적용한 주전원부(50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주전원부에 적용되는 래치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래치(Latch)회로(a)와 논-래치(Non-latch)회로(b)를 도시하고 있으며, 래치상태에서는 대부분 IC 구동전원(Vcc)을 접지시켜 IC 동작을 멈추게 하고, 때로는 IC의 기준 전압원(Vref) 또는 피드백 전압(Vfd)을 접지시켜 출력제어를 멈추게 하여 주전원을 차단시킨다.
가장 안정적인 방법은 구동 전원(Vcc)을 접지시키고, 초기 충전회로의 충전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회로를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한 방법이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래치회로는 입력 S1에 초기 펄스신호가 인가되면, 트랜지스터 Q1과, Q2가 교번으로 켜지면서 래치상태를 유지하지만, 논-래치회로는 입력 S1에 구동할 수 있는 일정 전압을 계속적으로 인가하여야 한다.
따라서 논-래치회로는 구동신호를 계속 인가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래치회로를 적용하기로 하며, 이러한 래치회로의 적용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제1실시 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래치회로가 적용된 주전원부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에 적용된 주전원부(500)는 제어부(700)로부터 공급전원 차단신호가 입력되는 제1신호입력부(520)와, 상기 제어부(700)로부터 공급전원 연결신호가 입력되는 제2신호입력부(540)와, 상기 제1신호입력부(520)) 및 제2신호입력부(540)에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주전원부(500)의 공급전원을 개폐시키는 래치회로부(5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신호입력부(520)는 포토다이오드 및 포토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도통되는 제1포토커플러(522)와, 상기 제1포토커플러(522)의 입출력단에 각각 위치하는 제1입력단저항(524) 및 제1출력단저항(5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신호입력부(540)는 포토다이오드 및 포토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도통되는 제2포토커플러(542)와, 상기 제2포토커플러(542)의 입출력단에 각각 위치하는 제2입력단저항(544) 및 제2출력단저항(5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1,2신호입력부(520,540)는 신호의 절연을 위해 포토 커플러가 사용되며, 포토다이오드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포토트랜지스터가 도통되고, 상기 포토트랜지스터가 도통되면 제1,2출력단저항(526,546)에 펄스전압이 생성되어 신호 S1이 래치회로부(560)에 전달된다.
상기 래치회로부(560)는 상기 제1신호입력부(520)로부터 공급전원 차단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주전원부(500)의 공급전원을 차단하는 래치회로와, 상기 제2신호입력부(540)로부터 공급전원 연결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주전원부(500)의 공급전원을 연결하는 리셋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래치회로는 상기 공급전원 차단신호에 의해 교번 동작하여 래치상태를 유지하는 제1트랜지스터(562) 및 제2트랜지스터(566)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562)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저항(563) 및 제1콘덴서(564)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566)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저항(567) 및 제2콘덴서(56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래치회로의 경우, 래치상태가 되면 외부의 입력이 없이는 다시 정상동작 상태로 복귀할 수 없으므로 정상동작 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추가적인 수단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상기 래치회로의 리셋수단인 NPN형 트랜지스터(565)가 상기 제2신호입력부(540)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주전원부(500)는 제1신호입력부(520)에서 발생된 펄스전압이 래치회로에 입력되어 제1트랜지스터(562) 및 제2트랜지스터(566)를 교번 작동시켜 래치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주전원부(500)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전력 손실은 구동을 위한 초기 충전에 의해서만 발생하므로 손실은 미 미하고, 래치회로의 특성상 전류가 흐르지 않아도 동작 상태를 그래로 유지하기 때문에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주전원부(500)에 다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래치회로부(560)에 포함된 리셋수단을 작동시키는데, 상기 리셋수단인 NPN형 트랜지스터(565)는 제2신호입력부(540)에서 발생된 신호 S2를 전달받아 턴-온 되어 래치회로의 제1콘덴서(564)를 방전시켜 상기 래치회로를 리셋(래치해제상태)시킴으로써 상기 주전원부(500)에 다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다.
《제2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래치회로가 적용된 주전원부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에 적용된 주전원부(500)는 제어부(700)로부터 공급전원 개폐신호가 입력되는 신호입력부(530)와, 상기 신호입력부(530)에 입력되는 개폐신호와 기준신호를 비교하여 소정의 논리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550)와, 상기 비교부(550)에서 출력되는 논리신호에 따라 상기 주전원부(500)의 공급전원을 개폐시키는 래치회로부(5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신호입력부(530)는 포토다이오드 및 포토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도통되는 포토커플러(532)와, 상기 포토커플러(532)의 입출력단에 각각 위치하는 입력단저항(534) 및 출력단저항(5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신호입력부(530)는 신호의 절연을 위해 포토커플러(532)가 사용되며, 포토다이오드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포토트랜지스터가 도 통되고, 상기 포토트랜지스터가 도통되면 출력단저항(536)에 펄스전압이 생성되어 신호 S3이 래치회로부(570)에 전달된다.
상기 비교부(550)는 입력 신호의 논리에 따라 출력을 제어하는 논리게이트로 구성되며, 공급전원 차단신호를 출력하는 AND게이트(552)와, 공급전원 연결신호를 출력하는 XOR게이트(5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래치회로부(570)는 상기 비교부(550)로부터 논리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주전원부(500)의 공급전원을 차단하는 래치회로와, 상기 비교부(550)로부터 논리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주전원부(500)의 공급전원을 연결하는 리셋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래치회로는 상기 공급전원 차단신호에 의해 교번 동작하여 래치상태를 유지하는 제1트랜지스터(572) 및 제2트랜지스터(576)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572)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저항(573) 및 제1콘덴서(574)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576)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저항(577) 및 제2콘덴서(57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래치회로의 경우, 래치상태가 되면 외부의 입력이 없이는 다시 정상동작 상태로 복귀할 수 없으므로 정상동작 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추가적인 수단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상기 래치회로의 리셋수단인 NPN형 트랜지스터(575)가 상기 비교부(550)의 XOR게이트(554)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주전원부(500)는 신호입력부(530)에서 발생된 펄스전압이 비교부(550)의 AND게이트(552)를 통해 차단신호가 래치회로에 입력되어 제1트랜지스터(572) 및 제2트랜지스터(576)를 교번 작동시켜 래치상태를 유지 하게 되므로 상기 주전원부(500)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전력 손실은 구동을 위한 초기 충전에 의해서만 발생하므로 손실은 미미하고, 래치회로의 특성상 전류가 흐르지 않아도 동작 상태를 그래로 유지하기 때문에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주전원부(500)에 다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래치회로부(570)에 포함된 리셋수단을 작동시키는데, 상기 리셋수단인 NPN형 트랜지스터(575)는 비교부(550)의 XOR게이트(554)에서 발생된 신호 S3을 전달받아 턴-온 되어 래치회로의 제1콘덴서(574)를 방전시켜 상기 래치회로를 리셋(래치해제상태)시킴으로써 상기 주전원부(500)에 다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상술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 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형상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 예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라면 하기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주전원부에 적용되는 래치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래치회로가 적용된 주전원부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래치회로가 적용된 주전원부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필터부 2: 정류부
3: 스위치부 4: 주전원부
5: 구동회로부 6: 제어부
7: 보조전원부
100: 필터부 300: 정류부
500: 주전원부 700: 제어부
900: 보조전원부
520: 제1신호입력부 522: 제1포토커플러
524: 제1입력단저항 526: 제1출력단저항
540: 제2신호입력부 542: 제2포토커플러
544: 제2입력단저항 546: 제2출력단저항
560: 래치회로부 562: 제1트랜지스터
563: 제1저항 564: 제1콘덴서
565: NPN형 트랜지스터 566: 제2트랜지스터
567: 제2저항 568: 제2콘덴서
530: 신호입력부 532: 포토커플러
534: 입력단저항 536: 출력단저항
550: 비교부 552: AND게이트
554: XOR게이트
570: 래치회로부 572: 제1트랜지스터
573: 제1저항 574: 제1콘덴서
575: NPN형 트랜지스터 576: 제2트랜지스터
577: 제2저항 578: 제2콘덴서

Claims (12)

  1. 교류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100)와, 상기 필터부(100)를 통과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정류부(300)와, 상기 정류부(300)에서 입력된 직류전원을 변압 및 평활시켜 부하측에 공급하는 주전원부(500)와, 상기 주전원부(5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0)와, 상기 제어부(700)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900)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부(500)는
    상기 제어부(700)로부터 공급전원 차단신호가 입력되는 제1신호입력부(520)와;
    상기 제어부(700)로부터 공급전원 연결신호가 입력되는 제2신호입력부(540)와;
    상기 제1신호입력부(520)) 및 제2신호입력부(540)에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주전원부(500)의 공급전원을 개폐시키는 래치회로부(5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회로를 이용한 전력절감용 전원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입력부(520)는
    포토다이오드 및 포토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도통되는 제1포토커플러(522)와,
    상기 제1포토커플러(522)의 입출력단에 각각 위치하는 제1입력단저항(524) 및 제1출력단저항(5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회로를 이용한 전력절감용 전원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신호입력부(540)는
    포토다이오드 및 포토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도통되는 제2포토커플러(542)와,
    상기 제2포토커플러(542)의 입출력단에 각각 위치하는 제2입력단저항(544) 및 제2출력단저항(5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회로를 이용한 전력절감용 전원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회로부(560)는
    상기 제1신호입력부(520)로부터 공급전원 차단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주전원부(500)의 공급전원을 차단하는 래치회로와,
    상기 제2신호입력부(540)로부터 공급전원 연결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주전원부(500)의 공급전원을 연결하는 리셋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회로를 이용한 전력절감용 전원공급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회로는
    상기 공급전원 차단신호에 의해 교번 동작하여 래치상태를 유지하는 제1트랜지스터(562) 및 제2트랜지스터(566)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562)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저항(563) 및 제1콘덴서(564)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566)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저항(567) 및 제2콘덴서(56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회로를 이용한 전력절감용 전원공급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수단은 NPN형 트랜지스터(56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회로를 이용한 전력절감용 전원공급장치.
  7. 교류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100)와, 상기 필터부(100)를 통과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정류부(300)와, 상기 정류부(300)에서 입력된 직류전원을 변압 및 평활시켜 부하측에 공급하는 주전원부(500)와, 상기 주전원부(5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0)와, 상기 제어부(700)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900)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부(500)는
    상기 제어부(700)로부터 공급전원 개폐신호가 입력되는 신호입력부(530)와;
    상기 신호입력부(530)에 입력되는 개폐신호와 기준신호를 비교하여 소정의 논리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550)와;
    상기 비교부(550)에서 출력되는 논리신호에 따라 상기 주전원부(500)의 공급전원을 개폐시키는 래치회로부(5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회로를 이용한 전력절감용 전원공급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입력부(530)는
    포토다이오드 및 포토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도통되는 포토커플러(532)와,
    상기 포토커플러(532)의 입출력단에 각각 위치하는 입력단저항(534) 및 출력단저항(5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회로를 이용한 전력절감용 전원공급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550)는 입력 신호의 논리에 따라 출력을 제어하는 논리게이트로 구성되며,
    공급전원 차단신호를 출력하는 AND게이트(552)와,
    공급전원 연결신호를 출력하는 XOR게이트(5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회로를 이용한 전력절감용 전원공급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회로부(570)는
    상기 비교부(550)로부터 논리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주전원부(500)의 공급전원을 차단하는 래치회로와,
    상기 비교부(550)로부터 논리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주전원부(500)의 공급전원을 연결하는 리셋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회로를 이용한 전력절감용 전원공급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회로는
    상기 공급전원 차단신호에 의해 교번 동작하여 래치상태를 유지하는 제1트랜지스터(572) 및 제2트랜지스터(576)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572)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저항(573) 및 제1콘덴서(574)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576)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저항(577) 및 제2콘덴서(57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회로를 이용한 전력절감용 전원공급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수단은 NPN형 트랜지스터(57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회로를 이용한 전력절감용 전원공급장치.
KR1020080127224A 2008-12-15 2008-12-15 래치회로를 이용한 전력절감용 전원공급장치 KR201000687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224A KR20100068759A (ko) 2008-12-15 2008-12-15 래치회로를 이용한 전력절감용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224A KR20100068759A (ko) 2008-12-15 2008-12-15 래치회로를 이용한 전력절감용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759A true KR20100068759A (ko) 2010-06-24

Family

ID=42366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224A KR20100068759A (ko) 2008-12-15 2008-12-15 래치회로를 이용한 전력절감용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87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1933A1 (ko) * 2012-10-15 2014-04-24 Lee Jae Jin 부하에 직류전원을 끊김 없이 공급하는 무정전 직류전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1933A1 (ko) * 2012-10-15 2014-04-24 Lee Jae Jin 부하에 직류전원을 끊김 없이 공급하는 무정전 직류전원장치
US9685821B2 (en) 2012-10-15 2017-06-20 Jae Jin Lee Uninterruptable DC power supply providing seamless DC power to loa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5193B2 (ja) 電力入力を備えた回路構成及び電力入力回路を制御する動作方法
US6414864B1 (en) Circuit for reducing standby power of electric apparatus
US7779278B2 (en) Primary side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ultra-low idle power operation
US7770039B2 (en) Primary side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ultra-low idle power operation
US7772718B2 (en) Master/slave outlet system
EP1239573A1 (en) Overvoltage-protective device for power system, AC/DC converter and DC/DC converter constituting the power system
JP2007014193A (ja) デュアルゲート双方向hemtをもつ効率的な突入電流制限回路
TWM574786U (zh) 電力轉換器及一次控制器
US8531058B2 (en) Electrical appliance
US20100090534A1 (en) Self-stopping electrical appliance
US20120235657A1 (en) Soft-start circuit
CN101874342A (zh) 电容性电源
TW202209799A (zh) 可節能之電源供應器和相關電子系統
KR20100068759A (ko) 래치회로를 이용한 전력절감용 전원공급장치
US8497665B2 (en) Drop power supply circuit
JP4993510B2 (ja) 省電力電源装置
KR102138942B1 (ko) 트라이액 모듈
KR100804742B1 (ko)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소모 절감 장치
KR101661319B1 (ko) 스위치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대기전력 저감을 위한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CN217352758U (zh) 一种用于智能马桶的低待机功耗电路
JP2000308257A (ja) 電源回路
JP5328220B2 (ja) Dc電源装置
KR100668110B1 (ko) 자동 스위치 장치
KR100549283B1 (ko) 전자 제품의 전원 차단 스위치
KR20230063750A (ko) 하이브리드 스위치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