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8523A -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8523A
KR20100068523A KR1020080126913A KR20080126913A KR20100068523A KR 20100068523 A KR20100068523 A KR 20100068523A KR 1020080126913 A KR1020080126913 A KR 1020080126913A KR 20080126913 A KR20080126913 A KR 20080126913A KR 20100068523 A KR20100068523 A KR 20100068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uffler device
exhaust gas
oxidation catalyst
muff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8371B1 (ko
Inventor
조연제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6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371B1/ko
Publication of KR20100068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01N13/10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exhaust mani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30/00Combination of silencers and other devices
    • F01N2230/02Exhaust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30/00Combination of silencers and other devices
    • F01N2230/04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머플러 장치는, 엔진의 배기매니폴드와 연통하는 인렛파이프(5)가 연결되고 길이방향의 일측에 개방측부(21a)를 갖는 제1 하우징(21); 외기와 연통하는 아웃렛파이프(24)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하우징(21)의 개방측부(21a)와 서로 마주하는 대응 개방측부(22a)를 갖는 제2 하우징(22); 및 일단부가 상기 제1 하우징(21)의 개방측부(21a)와 제1 고정수단(25)을 매개로 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하우징(22)의 개방측부(22a)와 제2 고정수단(26)을 매개로 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1 하우징(21)으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22)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유해물질을 저감시키는 산화촉매장치(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출가스 규제 물질인 미세먼지, 질소산화물 등을 저감시킬 수 있게 하는 산화촉매장치를 제공하여 신환경규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산화촉매장치의 탈부착, 청소 등과 같은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차량, 분리, 머플러, 장치

Description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Detachable muffler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출가스 규제 물질인 미세먼지(PM; Particulate Matter), 질소산화물(Nox) 등을 저감시켜 신환경규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게 하는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머플러 장치(1)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2), 제1,2 격판(3,4), 인렛파이프(5)(Inlet Pipe), 2개의 미드파이프(6)(Mid Pipe) 및 아웃렛파이프(7)(Outlet Pipe)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원통(2)은 축선을 따라 상기 제1,2 격판(3,4)에 의해 나뉘어져 있으며 양단부가 측판(2a)에 의해 닫혀있다. 상기 원통(2)의 일측 측판(2a)과 제1 격판(3), 상기 제1 격판(3)과 제2 격판(4) 및 상기 제2 격판(2)과 원통(2)의 타측 격판(2a) 사이의 각 공간은 차례로 제1 격실(8), 제2 격실(9) 및 제3 격실(10)이라 불린다. 상기 제1 격판(3)에는 2개의 관통홀(3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격판(4)에는 4개의 관통홀(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렛파이프(5)는 일단부가 엔진의 배기매니폴드(미도시)와 연결되어 있 고 타단부는 상기 제1 격실(8) 안으로 침입되어 있으며, 그 제1 격실 안으로 침입된 상기 인렛파이프(5)의 타단부에는 다수 개의 배기공(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두 미드파이프(6)는 상기 제1 격실(8)과 제3 격실(10)이 연통되도록 각각 상기 제1,2 격판(3,4)의 해당 관통홀(3a,4a)에 끼워져 있으며, 상기 제3 격실(10) 안으로 침입된 상기 각 미드파이프(6)의 일단부에는 다수 개의 배기공(6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아웃렛파이프(7)는 일단부가 외기와 통해 있고 타단부는 상기 제2 격실(9) 안으로 침입되어 있으며, 그 제2 격실 안으로 침입된 상기 아웃렛파이프의 타단부에는 다수 개의 배기공(7a)이 형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엔진의 배기매니폴드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상기 인렛파이프(5)의 각 배출공(5a)을 통해 제1 격실(8) 안으로 유입된다. 이어서, 배기가스는 상기 제1 격실(8)로부터 두 미드파이프(6)를 통해 제2 격실(9)을 건너뛴 후, 그 두 미드파이프(6)의 각 배기공(6a)을 통해 제3 격실(10)로 유입된다. 이어서, 배기가스는 상기 제3 격실(10)로부터 상기 제2 격판(4)의 나머지 두 관통홀(4a)을 통해 제2 격실(9)로 유입된다. 이어서, 배기가스는 상기 제2 격실(9)로부터 상기 아웃렛파이프(7)의 각 배기공(7a)을 통해 대기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배기가스는 상기 인렛파이프(5)로부터 제1 격실(8), 제3 격실(10) 및 제2 격실(9)을 통해 아웃렛파이프(7)로 배출되면서 배출압력이 단계적으로 낮아지게 되며, 그에 따라 외기로 배출되는 시점에서의 배출가스의 배출소음은 크게 줄어들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머플러 장치(1)는 단순히 배출가스의 소음규제만 을 고려한 구조이었기 때문에 배출가스 규제 물질인 미세먼지, 질소산화물 등을 저감시킬 수 없어 신환경규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머플러 장치(1)는 미세먼지, 질소산화물 등을 걸러내거나 제거하는 산화촉매장치, 예컨대 디젤산화촉매장치(DOC; Diesel Oxidation Caralyst), 디젤미세먼지필터(DPF; Diesel Paticulate Filter) 등이 제공되지 않은 데다, 구조적으로도 복잡하여 제작비용의 증가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의 불편을 수반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배출가스 규제 물질인 미세먼지, 질소산화물 등을 저감시킬 수 있게 하는 산화촉매장치를 제공하여 신환경규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게 하고, 그와 동시에 상기 산화촉매장치의 탈부착, 청소 등과 같은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하는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머플러 장치 내에 산화촉매장치를 설치한 데 따른 배기압력의 상승요인을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해소할 수 있게 하는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머플러장치로부터 엔진의 헤드커버 쪽으로 고온의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산화촉매장치 또는 이를 포함하는 머플러장치의 청소시 이들로부터 엔진의 헤드커버 쪽으로 분진이 떨어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하는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매연에 의한 오염도의 증가로 머플러장치 내의 배기압력이 정상범위를 초과할 시 경고램프를 점등하고, 허용범위를 초과할시 서비스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게 하는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엔진의 배기매니폴드와 연통하는 인렛파이프가 연결되고 길이방향의 일측에 개방측부를 갖는 제1 하우징; 외기와 연통하는 아웃렛파이프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개방측부와 서로 마주하는 대응 개방측부를 갖는 제2 하우징; 및 일단부가 상기 제1 하우징의 개방측부와 제1 고정수단을 매개로 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하우징의 개방측부와 제2 고정수단을 매개로 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유해물질을 저감시키는 산화촉매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웃렛파이프는 하단부가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로 침입된 상태로 상기 제2 하우징의 길이방향의 내측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그 침입부분에는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산화촉매장치는 디젤산화촉매장치(DOC; Diesel Oxidation Caralyst) 또는 디젤미세먼지필터(DPF; Diesel Paticulate Filter), 또는 이들의 조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머플러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의 열이 엔진의 헤드커버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상기 머플러 장치의 청소시 분진이 엔진의 헤드커버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3 고정수단을 매개로 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차단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머플러 장치 내의 매연축적 정도를 알릴 수 있도록 경고장치를 더 포함하며, 이 경고장치는 연결파이프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부분과 연통되게 고정되고 운전실 내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고장치는 상기 연결파이프를 통해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와, 상기 압력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마이콤과, 상기 머플러 장치 내의 배기가스 압력이 상기 마이콤의 기설정된 배기가스의 정상압력을 초과할시 점등되는 경고램프와, 상기 머플러 장치 내의 배기가스 압력이 상기 마이콤의 기설정된 배기가스의 허용압력을 초과할 시 점등되는 서비스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출가스 규제 물질인 미세먼지, 질소산화물 등을 저감시킬 수 있게 하는 산화촉매장치를 제공하여 신환경규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게 함과 아울 러, 상기 산화촉매장치의 탈부착, 청소 등과 같은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웃렛파이프의 하단부를 머플러 장치의 제2 하우징의 내부에 침입시킨 상태로 머플러 장치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배치하여, 산화촉매장치를 설치한 데 따른 배기압력의 상승요인을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해소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플러 장치의 하부에 차단부를 제공하여, 머플러장치로부터 엔진의 헤드커버 쪽으로 고온의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산화촉매장치 또는 이를 포함하는 머플러장치의 청소시 이들로부터 엔진의 헤드커버 쪽으로 분진이 떨어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운전실(또는 캐빈) 내에 경고장치를 제공하여, 매연에 의한 오염도의 증가로 머플러장치 내의 배기압력이 정상범위를 초과할 시 경고램프를 점등하고, 허용범위를 초과할시 서비스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머플러 장치에 이상 발생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의 실시예를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하기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종래 기술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2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제1 하우징(21), 제2 하우징(22) 및 산화촉매장치(23)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하우징(21)은 엔진의 배기매니폴드(미도시)와 연통하는 인렛파이프(5)가 연결되고 길이방향의 일측에 개방측부(21a)를 갖는다. 상기 제2 하우징(22)은 외기와 연통하는 아웃렛파이프(24)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하우징(21)의 개방측부(21a)와 서로 마주하는 대응 개방측부(22a)를 갖는다.
상기 산화촉매장치(23)는 일단부가 상기 제1 하우징(21)의 개방측부(21a)와 제1 고정수단(25)을 매개로 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하우징(22)의 개방측부(22a)와 제2 고정수단(26)을 매개로 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1 하우징(21)으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22)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유해물질을 저감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본구성에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로 더 한정될 수 있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고정수단(25)은 상기 제1 하우징(21)의 개방측부(21a)와 상기 산화촉매장치(23)의 일단부 간의 기밀을 위한 밀봉링(30)과, 상기 밀봉링(30)과 함께 상기 제1 하우징(21)의 개방측부(21a)와 상기 산화촉매장치(23)의 일단부를 감싸는 탈착 가능한 클램프(3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정수단(26)은 상기 제1 고정수단(25)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하우징(22)의 개방측부(22a)와 상기 산화촉매장치(23)의 타단부 간의 기밀을 위한 밀봉링(30)과, 상기 밀봉링(30)과 함께 상기 제2 하우징(22)의 개방측부(22a)와 상기 산화촉매장치(23)의 타단부를 감싸는 탈착 가능한 클램프(3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웃렛파이프(24)는 하단부가 상기 제2 하우징(22)의 내부로 침입된 상태로 상기 제2 하우징(22)의 길이방향의 내측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그 침입부분에는 다수 개의 통공(24a)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은 아웃렛파이프 배치구조는 머플러 장치(20)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에 의한 소음의 레벨을 낮출뿐만 아니라, 상기 머플러 장치(20) 내에 걸리는 배기압력을 적정범위 내로 낮춰주어 배기가스의 원활한 배출을 유도한다. 또한, 상기 아웃렛파이프(24)가 상기 제2 하우징(22)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형태의 머플러 장치(20)가 로더(Loader) 등과 같은 건설 중장비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머플러 장치(20)는 상기 아웃렛파이프(24)의 테일 부분(tail pert)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어 해당 중장비의 운전자가 시야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산화촉매장치(23)는 공지된 디젤산화촉매장치(DOC; Diesel Oxidation Caralyst) 또는 디젤미세먼지필터(DPF; Diesel Paticulate Filter), 또는 이들의 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21)의 하부에는 상기 머 플러 장치(20)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의 열이 엔진의 헤드커버(미도시)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상기 머플러 장치(20)의 청소시 분진이 엔진의 헤드커버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3 고정수단(27)을 매개로 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차단부(3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35)의 열차단 기능은 고온의 열에 취약한 엔진의 주변부품들의 경화, 변형 등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제3 고정수단(27)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21)의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나사공(미도시)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보스(27a)와, 상기 차단부(35)의 해당 측부를 관통하여 해당 보스(27a)의 나사공에 체결되는 볼트(27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 볼트(27b)와 상기 차단부(35)의 해당측부 사이에는 상기 차단부(35)와 상기 보스(27a) 간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와셔(27c)가 더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35)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21)에 인접하게 고정함과 아울러 청소시 분진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6개측부 중 상측부와 길이방향의 내측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2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머플러 장치(20) 내의 매연축적 정도를 알릴 수 있도록 경고장치(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경고장치(40)는 연결파이프(41)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1 하우징(21) 또는 상기 제2 하우징(22)의 일부분과 연통되게 고정되고 운전실(또는 캐빈) 내에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경고장치(40)는 상기 연결파이프(41)를 통해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미도시)와, 상기 압력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마이콤(미도시)과, 상기 머플러 장치(20) 내의 배기가스 압력이 상기 마이콤의 기설정된 배기가스의 정상압력을 초과할시 점등되는 경고램프(40a)와, 상기 머플러 장치(20) 내의 배기가스 압력이 상기 마이콤의 기설정된 배기가스의 허용압력을 초과할 시 점등되는 서비스램프(40b)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램프(40a,40b)는 서로 다른 색을 발산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21)의 인렛파이프(5)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상태로 엔진의 상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인렛파이프(5)에 의해 기본적으로 지지되면서, 상기 각각의 제1,2 하우징(21,22)의 양측에 구비되는 마운팅브래킷(45)을 매개로 하여 엔진룸의 케이스(미도시)에 추가적으로 지지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의 작용을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고장치 없이 산화촉매장치(23)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엔진이 가동되면, 엔진의 배기매니폴드와 연결된 머플러 장치(20)의 인렛파이프(5)를 통해 제1 하우징(21)의 내부로 배기가스가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1 하 우징(21)으로부터 엔진의 헤드커버(미도시) 쪽으로 방출되는 열은 상기 제1 하우징(21)의 하부에 구비된 차단부(35)에 의해 차단된다.
이어서, 유입된 배기가스는 상기 제1 하우징(21)으로부터 산화촉매장치(23), 예컨대 디젤산화촉매장치 또는 디젤미세먼지필터를 통해 제2 하우징(22)으로 배출된다. 이때, 배기가스는 상기 디젤산화촉매장치 또는 디젤미세먼지필터에 접촉되어 유해가스(예컨대, 질소산화물, 또는 미세먼지)가 제거된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21)으로부터 유입된 고압의 배기가스는 상기 산화촉매장치(23)를 거치면서 배기압력이 낮아짐으로써 소음도 줄어든 상태로 상기 제2 하우징(22)으로 배출된다.
이어서, 상기 제2 하우징(22)으로 유입되는 배출가스는 아웃렛파이프(24)의 하단부에 형성된 다수 개의 통공(24a)을 통해 상기 아웃렛파이프(24) 내로 유입되어 대기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2 하우징(22)으로 유입된 배출가스는 상기 아웃렛파이프(24)의 하단부가 상기 제2 하우징(22)의 내측으로 경사져 있어 상기 아웃렛파이프(24)의 하단부 내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이후, 엔진을 장기간에 걸쳐 가동시켜 머플러 장치(20)의 기대정비기일이 다가오면, 상기 머플러 장치(20)의 제1,2 고정수단(25,26) 중 적어도 하나를 해제시켜 상기 산화촉매장치(23) 내의 매연 축적물을 진공청소기 등과 같은 청소도구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이때, 상기 머플러 장치(20)로부터 산화촉매장치(23)를 분리할 시 엔진의 헤드커버(미도시) 쪽으로 떨어지는 미세먼지는 상기 제1 하우징(21)의 하부에 구비된 차단부(35) 상에 쌓이게 되고 상기 청소도구에 의한 청소작업시 함께 제거된다. 그런 다음, 상기 산화촉매장치(23)를 다시 상기 제1,2 고정수 단(25,26)을 이용하여 고정시켜 재사용하면 된다.
한편,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산화촉매장치(23)와 함께 상기 머플러 장치(20) 내의 매연축적 정도를 알릴 수 있게 하는 경고장치(40)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엔진이 가동되면, 앞서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머플러 장치(20)를 통과하는 배기가스는 상기 산화촉매장치(23), 예컨대 디젤산화촉매장치 또는 디젤미세먼지필터에 접촉되어 유해가스(예컨대, 질소산화물, 또는 미세먼지)가 제거된다.
그런 다음, 엔진을 일정기간에 걸쳐 가동시켜 매연의 축적에 의해 머플러 장치(20) 내의 배기가스 압력이 높아지면, 운전실(또는 캐빈) 내의 경고장치(40)에 구비된 압력감지센서(미도시)로부터 마이콤(미도시)으로 출력신호가 전달된다.
그러면, 마이콤(미도시)은 그 출력신호가 기설정된 정상압력 이상일 때의 것인지, 아니면 허용압력 초과일 때의 것인지를 판단한다. 그 판단결과, 그 출력신호가 정상압력 이상으로 판정되면 경고램프(40a)를 점등시키고, 허용압력 초과로 판정되면 서비스램프(40b)를 점등시킨다.
상기 경고장치(40)의 서비스램프(40b)가 점등되면, 작업자는 앞서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2 고정수단(25,26) 중 적어도 하나를 해제시켜 상기 산화촉매장치(23) 내의 매연 축적물을 진공청소기 등과 같은 청소도구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그런 다음, 상기 산화촉매장치(23)를 다시 상기 제1,2 고정수단(25,26)을 이용하여 고정시켜 재사용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머플러 장치의 일측면을 보여주는 개략 부분단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머플러 장치의 타측면을 보여주는 개략 부분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인렛파이프 20: 머플러 장치
21: 제1 하우징 21a, 22a: 개방측부
22: 제2 하우징 23: 산화촉매장치
24: 아웃렛파이프 24a: 통공
25: 제1 고정수단 26: 제2 고정수단
27: 제3 고정수단 27a: 보스
27b: 볼트 27c: 와셔
30: 밀봉링 31: 클램프
35: 차단부 40: 경고장치
40a: 경고램프 40b: 서비스램프
41: 연결파이프

Claims (6)

  1. 엔진의 배기매니폴드와 연통하는 인렛파이프(5)가 연결되고 길이방향의 일측에 개방측부(21a)를 갖는 제1 하우징(21);
    외기와 연통하는 아웃렛파이프(24)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하우징(21)의 개방측부(21a)와 서로 마주하는 대응 개방측부(22a)를 갖는 제2 하우징(22); 및
    일단부가 상기 제1 하우징(21)의 개방측부(21a)와 제1 고정수단(25)을 매개로 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하우징(22)의 개방측부(22a)와 제2 고정수단(26)을 매개로 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1 하우징(21)으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22)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유해물질을 저감시키는 산화촉매장치(23);
    를 포함하는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렛파이프(24)는 하단부가 상기 제2 하우징(22)의 내부로 침입된 상태로 상기 제2 하우징(22)의 길이방향의 내측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그 침입부분에는 다수 개의 통공(24a)이 형성된 것인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촉매장치(23)는 디젤산화촉매장치(DOC; Diesel Oxidation Caralyst), 또는 디젤미세먼지필터(DPF; Diesel Paticulate Filter), 또는 이들의 조합된 형태인 것인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21)의 하부에는 상기 머플러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의 열이 엔진의 헤드커버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상기 머플러 장치의 청소시 분진이 엔진의 헤드커버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3 고정수단(27)을 매개로 하여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차단부(35)가 더 구비된 것인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플러 장치 내의 매연축적 정도를 알릴 수 있도록 경고장치(40)를 더 포함하며, 이 경고장치는 연결파이프(41)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1 하우징(21) 또는 상기 제2 하우징(22)의 일부분과 연통되게 고정되고 운전실 내에 제공된 것인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장치(40)는 상기 연결파이프(41)를 통해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와, 상기 압력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마이콤과, 상기 머플러 장치 내의 배기가스 압력이 상기 마이콤의 기설정된 배기가스의 정상압력을 초과할시 점등되는 경고램프(40a)와, 상기 머플러 장치 내의 배기가스 압력이 상기 마이콤의 기설정된 배기가스의 허용압력을 초과할 시 점등되는 서비스램프(40b)을 포함하는 것인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
KR1020080126913A 2008-12-15 2008-12-15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 KR101528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913A KR101528371B1 (ko) 2008-12-15 2008-12-15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913A KR101528371B1 (ko) 2008-12-15 2008-12-15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523A true KR20100068523A (ko) 2010-06-24
KR101528371B1 KR101528371B1 (ko) 2015-06-12

Family

ID=42366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913A KR101528371B1 (ko) 2008-12-15 2008-12-15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3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3797A2 (ko) * 2010-08-17 2012-02-23 (주)에스와이리더 디스플레이 패널용 박막필름의 재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박막필름 재단방법
KR20120073091A (ko) 2010-12-24 2012-07-0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중장비 배기가스 배출장치의 마운팅장치
WO2013103169A1 (ko) * 2012-01-06 2013-07-11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중장비용 배기가스 저감장치
US8905188B2 (en) 2012-11-23 2014-12-09 Hyundai Motor Company Muffler for mot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0430A (ja) * 1995-12-21 1997-06-30 Cataler Kogyo Kk 触媒コンバータ
JPH10141050A (ja) * 1996-11-07 1998-05-26 Hino Motors Ltd 触媒内蔵マフラ
JP4392217B2 (ja) * 2003-10-08 2009-12-24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マフラの支持構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3797A2 (ko) * 2010-08-17 2012-02-23 (주)에스와이리더 디스플레이 패널용 박막필름의 재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박막필름 재단방법
WO2012023797A3 (ko) * 2010-08-17 2012-06-07 (주)에스와이리더 디스플레이 패널용 박막필름의 재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박막필름 재단방법
KR20120073091A (ko) 2010-12-24 2012-07-0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중장비 배기가스 배출장치의 마운팅장치
WO2013103169A1 (ko) * 2012-01-06 2013-07-11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중장비용 배기가스 저감장치
US9504960B2 (en) 2012-01-06 2016-11-29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Exhaust gas reduction device for heavy equipment
US8905188B2 (en) 2012-11-23 2014-12-09 Hyundai Motor Company Muffler for mot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8371B1 (ko) 2015-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1192B1 (ko) 배기 가스 처리 장치
US8365518B2 (en) Construction machine
KR101571579B1 (ko) 배기 가스 처리 장치
US8549847B2 (en) Exhaust gas purifying device
US4709549A (en) Assembly for engine exhaust gas particulate filter traps
JP4927796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KR20110029106A (ko) 배기 가스 처리 장치
US20110154810A1 (en) Engine device
JP2010043572A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5535696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KR20100068523A (ko) 차량의 분리 가능한 머플러 장치
WO2017039268A1 (ko) 배기가스 정화 시스템 및 이의 모니터링 방법
KR20100095858A (ko) 배기가스 여과 장치
KR101294061B1 (ko) 차량용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CN112253295A (zh) 一种大功率柴油发动机尾气后处理装置
JP4933493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6252236B2 (ja) トラクタ
JP2012117462A (ja) 建設機械の排気浄化装置
KR101850550B1 (ko) 건설기계용 dpf 커버 조립체
KR20090069430A (ko) 차량의 머플러 장치
KR100637767B1 (ko) 디젤입자필터 카세트
JP2009197618A (ja) エンジン異常検知システム、およびエンジン異常判定方法
RU146238U1 (ru) Нейтрализатор выхлопных газов двигателя
CN110593992A (zh) 过滤器单元
KR200287761Y1 (ko) 자동차 배기가스 매연 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