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8457A -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접속 게이트웨이 선택 방법, 시스템 및 게이트웨이 선택 노드 - Google Patents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접속 게이트웨이 선택 방법, 시스템 및 게이트웨이 선택 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8457A
KR20100068457A KR1020107008484A KR20107008484A KR20100068457A KR 20100068457 A KR20100068457 A KR 20100068457A KR 1020107008484 A KR1020107008484 A KR 1020107008484A KR 20107008484 A KR20107008484 A KR 20107008484A KR 20100068457 A KR20100068457 A KR 20100068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way
service provider
domain name
dns
dns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8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1153B1 (ko
Inventor
홍 리우
Original Assignee
차이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63128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0006845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차이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68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7Selecting a data network PoA [Point of Attac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0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 H04L61/4511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using domain name system [D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88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containing mobile subscriber information, e.g. home subscriber server [H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게이트웨이 선택 방법, 시스템 및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를 공개한다. 상기 방법는,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가 사용자 장비가 송신한 베어러 설정 요구를 수신한 후, DNS분석 요구를 설정시,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상기 베어러 설정 요구에 대응되는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을 DNS분석 요구 중에 캠슐화하여 DNS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DNS서버는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DNS서버는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에 DNS분석 결과를 리턴하고, 그중에는 상기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되는 단계; 상기 어드레스 정보에 의하여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상기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를 선택하여 상기 베어러 설정 요구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안은 로밍 지역 DNS분석 서버가 게이트웨이 선택에 대한 제한을 줄이여, 로밍 지역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에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의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 정보가 저장되지 않더라도 로밍 상태의 사용자 장비가 홈 로케이션 접속 게이트웨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접속 게이트웨이 선택 방법, 시스템 및 게이트웨이 선택 노드{ACCESSING GATEWAY SELECTING METHOD, SYSTEM AND GATEWAY SELECTING IMPLEMENTING NODE OF MOBILE GROUP DOMAIN}
본 발명은 접속 게이트웨이 선택 방법, 시스템 및 게이트웨이 선택 노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접속 게이트웨이 선택 방법, 시스템 및 게이트웨이 선택 노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모바일 패킷 도메인 네트워크의 구조도이다. 그중 GGSN(Gateway GPRS Supporting Node,게이트웨이GPRS지원 노드)는 모바일 통신망과 IP망의 게이트웨이로서 UE(User Equipment, 사용자 장비)에 IP어드레스를 할당하여 UE로 하여금 IP망에 접속되도록 하고, SGSN은 자원 관리와 제어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GGSN를 선택해주어 UE와 GGSN사이의 통신을 위하여 채널을 제공한다. HLR/HSS(Home Location Register 홈 로케이션 레지스터/Home Subscription Storage, 홈 서브스크립션 스토리지)는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Subscription Data)를 저장한다.
도 2에서 도시된바와 같이, 3GPP R7이후에는 사용자 평면 데이터가 직접 무선망과 GGSN사이에서 송신함이 허락되었지만, 시그널링 평면에서는 여전히 SGSN를 통하여 무선망과 접속되는 One Tunnel 구조를 채용한다.
3GPP에서는 모바일 패킷 도메인 구조를 간단화하는 표준화 작업이 진행중이며, 도 3과 도 4에서 도시된것은 출현될 가능성이 비교적 높은 두가지 미래형 모바일 패킷 도메인 네트워크의 구조이다. 그중 PDN GW(패킷 데이터망 게이트웨이)와 Serving GW(서빙 게이트웨이)는 GGSN로부터 진화되어 온것이다. PDN GW는 UE에 IP어드레스를 할당하고, Serving GW의 존재는 PDN GW가 변경되지 않는 정황하에서 사용자의 넓은 범위에서의 이동에 유리하다. MME(이동성 관리 실체)는 SGSN에서 진화되어 온것으로, 자원 관리와 제어를 수행하며 사용자에게 적합한 PDN GW를 선택해준다.
상술한바로 부터 알수 있다싶이, 종래의 모바일 패킷 도메인 네트워크 구조와, 3GPP R7에서 정의한 모바일 패킷 도메인 네트워크 구조, 및 장래에 출현 가능한 모바일 패킷 도메인 네트워크 구조에는 모두 게이트웨이 노드,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Gateway Selection Execution Node, 게이트웨이 선택 노드라고도 함),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 저장 노드(User Subscription Data Storage Node) 등 3개의 논리 노드가 존재한다. 그 상호 관계는 도 5에서 도시된바와 같다.
종래의 모바일 패킷 도메인 네트워크 구조, 3GPP R7에서 정의한 모바일 패킷 도메인 네트워크 구조, 장래에 출현 가능한 모바일 패킷 도메인 네트워크 구조에서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는 모두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부착시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 저장 노드를 통하여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로 송신된다. 사용자가 이동시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가 변경되면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도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 저장 노드를 통하여 새로운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로 송신된다.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가 변경될 경우 새로운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도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 저장 노드를 통하여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로 송신된다. 송신 과정은 도 6에서 도시된바와 같다.
종래의 모바일 패킷 도메인 네트워크 구조와, 3GPP R7에서 정의한 모바일 패킷 도메인 네트워크 구조, 및 장래에 출현 가능한 모바일 패킷 도메인 네트워크 구조를 막론하고 패킷 도메인 게이트웨이의 선택은 모두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로 완성되며 그 과정은 도 7에서 도시된바와 같으며,
사용자 설비가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에 베어러 설정 요구를 송신하는 단계1;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가 DNS(Domain Name Server, 도메인 네임 서버, DNS로 약칭함)요구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2;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가 DNS서버에 DNS분석 요구를 송신하는 단계3;
DNS서버가 분석한후 게이트웨이 실행 노드에 DNS분석 결과를 리턴하는 단계4;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DNS분석 결과에서 하나의 게이트웨이 노드를 선택하여 베어러 설정 요구의 접속 게이트웨이로 하는 단계5가 포함된다.
단계2에서,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일반적으로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중의 IMSI필드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국가번호와 네트워크 번호를 사용자가 지시한APN((Access Point Name,접속 포인트 네임)의 뒤에 부가하여 DNS분석에 사용되는 APN을 확정한다. 이렇게 되면 로밍 사용자와 로컬 사용자가 사용하는 APN이 같다 하더라도 국가 번호와 네트워크 번호에 의하여 적합한 게이트웨이 노드(통신 사업자는 일반적으로 기타 통신 사업자에 로밍된 자신의 사용자 트래픽(user traffic)이 자신의 게이트웨이 노드에서 처리되기를 희망한다.)의 위치를 획인한다.
단계3에 있어서, 하나의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에는 다른 하나의 통신 사업자가 로밍시 사용되는 APN과 상기 통신 사업자가 가지고있는 국가번호, 네트워크 번호의 모든 조합이 배치되어 그 통신 사업자의 로밍 사용자를 지원한다.
단계1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가 베어러 설정 메시지에서 사용자가 지시한 APN을 명시하지 않으면, 사실상 사용자가 디폴트 APN을 사용하기를 바란다는 것을 표시한다. 이로인해 단계2에서 선택 실행 노드가 DNS분석에 사용되는 APNX를 설정시,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에 배치된 디폴트APN를 사용자가 지시한 APN으로 한다.
단계2에 앞서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에 포함된 필드와 사용자가 송신한 베어러 설정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필드에 의하여 게이트웨이 노드를 선택하면 단계2, 단계3, 단계4, 단계5를 실행할 필요가 없는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송신한 베어러 설정 요구 메시지에는 사용자가 사용하기를 희망하는 게이트웨이 노드의 IP어드레스가 포함되고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도 사용자가 상기 게이트웨이 노드를 사용함을 허락하면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상기 게이트웨이 노드를 선택,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계2에 있어서,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통신 사업자의 구성에 의하여 DNS분석에 사용되는 APNX를 설정시 기타 정보를 부가한다. 예를 들면IMSI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국제 이동국 식별 번호)중의 국가번호와 네트워크 번호 이외의 기타 부분적 내용을 부가시긴다.
단계5 이후, DNS분석 결과에서 게이트웨이 노드의 IP어드레스 또는 IP어드레스 리스트가 제공되지 않아 단계5에서 하나의 게이트웨이 노드를 선택할 수 없거나, 또는 단계5에서 선택된 IP어드레스는 사용 불능시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사용자의 베어러 설정 요구를 거절할수도 있고, 통신 사업자의 구성에 의하여 하나의 게이트웨이 노드(예를 들면 디폴트 게이트웨이 노드)를 선택하거나, 또는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중의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게이트웨이 노드(예를 들면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정보중에 배치된 디폴트 게이트웨이 노드)를 선택하거나, 또는 DNS분석에 사용되는 APNX를 새로 설정하여 단계3, 단계4, 단계5를 중복하는것을 통하여 게이트웨이 노드의 어드레스를 분석할 수 있다.
상술한 분석을 통하여 종래기술에는 아래와 같은 결함이 존재함을 알수 있다.
1) 종래기술에 있어서, 로밍 사용자 장비가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의 게이트웨이 노드에 접속되면 로밍 지역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에는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의 APN(Access Point Name,접속 포인트 네임)네임과 국가번호, 네트워크 번호 및 대응되는 게이트웨이 어드레스가 배치되어야 한다. 이렇게 되면 DNS분석 과정에서 로밍지역 통신 사업자의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의 게이트웨이 노드의 어드레스를 획득할 수 있다. 로밍 지역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에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의 접속 게이트웨이 노드의 어드레스 정보를 배치하지 않았거나, 또는 로밍 지역 DNS서버에 홈 로케이션 접속 게이트웨이와 같은 APN(Access Point Name, 접속 포인트 네임)이 존재하고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의 국가번호, 네트워크 번호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에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의 게이트웨이를 선택해줄 수 없다.
2) 종래 기술의 게이트웨이 선택 방안은 각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의 구성에 대한 요구사항이 비교적 많고, 하나의 통신 사업자에 대응되는 APN과 국가번호, 네트워크 번호 및 대응되는 게이트웨이 어드레스는 복수의 기타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에 배치되어야 하는데 상기 통신 사업자의 게이트웨이 어드레스가 변경되거나 또는 새로운 네트워크 번호가 추가되면 기타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도 수정해야 되므로 데이터 업데이트가 불편하다.
3)하나의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에도적어도 통신 사업자에 대응되는 APN과 국가번호, 네트워크 번호 및 대응되는 게이트웨이 어드레스 등 콘텐츠가 저장되어야 하는데 국가번호, 네트워크 번호는 하나의 통신 사업자에 유일하게 대응되는 것이 아니므로 하나의 통신 사업자에게 복수의 네트워크 번호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렇게 되면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는 국가번호, 네트워크 번호가 다름에 따라 각각 저장해야 되므로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의 저장 공간이 많이 랑비하게 된다.
4)종래의 게이트웨이 선택 방안은 로밍 지역 통신 사업자의 DNS에 저장된 정보의 제한을 받아 DNS분석에 활용되지 못하여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가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불리하다.
본 발명 실시예의 목적은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게이트웨이 선택 방법, 시스템 및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를 제공하여 로밍 지역에서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조작을 수행시, 로밍 지역의 DNS분석 서버가 게이트웨이 선택에 대한 제한 및 국가번호, 네트워크 번호에 의하여 게이트웨이 어드레스 분석에 대한 제한을 감소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 실시예가 제공하는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접속 게이트웨이 선택 방법은,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가 사용자 단말이 송신한 베어러 설정 요구를 수신한 후, DNS분석 요구를 설정시,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상기 베어러 설정 요구에 대응되는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을 DNS분석 요구 중에 캠슐화한 후, DNS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DNS서버가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DNS서버가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에 DNS분석 결과를 리턴하고, 상기 DNS분석 결과에는 상기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상기 어드레스 정보에 의하여 상기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를 상기 베어러 설정 요구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로 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가 제공하는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접속 게이트웨이 선택 시스템은,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와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에서 송신된 분석 요구에 의하여 분석을 수행하는 제1DNS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에는DNS분석 요구를 설정시 상기 베어러 설정 요구에 대응되는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을 DNS분석 요구중에 캠슐화하는 제1모듈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가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DNS분석 요구를 설정시 상기 베어러 설정 요구에 대응되는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을 DNS분석 요구중에 캠슐화하는 제1모듈을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안으로부터 알수 있다싶이, 본 발명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통신 사업자의 접속 게이트웨이를 선택시,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 분석 메커니즘을 도입하여 아래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달성한다.
1)로밍 지역 DNS 분석 서버의 게이트웨이 선택에 대한 제한을 줄어되어, 로밍 지역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에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의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 정보가 저장되지 않더라도 로밍 상태인 사용자 단말에 홈 로케이션의 접속 게이트웨이를 선택해줄 수 있겠된다.
2)모 통신 사업자의 게이트웨이 어드레스가 변경되거나, 또는 새로운 네트워크 번호가 추가되거나 기타 관련 정보가 변경되어도 기타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중의 데이터를 수정할 필요가 없다.
3)로밍 지역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가 데이터를 저장하는 원가가 낮아진다.
아래에 첨부도면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서 사용되는 모바일 패킷 도메인 네트워크의 구조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중 3GPP R7에서 정의한 모바일 패킷 도메인 네트워크의 구조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중에 기재된 실현 가능한 미래형 모바일 패킷 도메인 네트워크의 제 1구조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중에 기재된 실현 가능한 미래형 모바일 패킷 도메인 네트워크의 제 2구조도이다.
도 5는 종래기술중 추상화된 모바일 패킷 도메인 네트워크 요소 노드 사이의 상호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중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의 송신 흐름도이다.
도 7은 모바일 패킷 도메인에서 접속 게이트웨이 노드를 선택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게이트웨이 선택 방법의 제 1 실시예1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게이트웨이 선택 방법의 제 2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게이트웨이 선택 방법의 제 3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게이트웨이 선택 시스템 의 제 1실시예의 제 1구조도이다.
도 12는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게이트웨이 선택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의 제 2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게이트웨이 선택 시스템의 제 2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게이트웨이 선택 방법의 제 1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게이트웨이 선택 방법의 제 1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에 대응되는 통신 사업자의 접속 게이트웨이를 선택할 경우,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 분석 메커니즘을 도입하는데 구체적인 과정은,
사용자 장비는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에 베어러 설정 요구를 송신하는 단계101;
DNS분석 요구를 설정시,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응되는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을 DNS분석 요구중에 캠슐화하는 단계 102;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이 포함된 DNS분석 요구를 DNS서버에 송신하는 단계103;
DNS서버가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104;
DNS서버가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에 분석 결과를 리턴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는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되는 단계105; 및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어드레스 정보에 의하여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를 선택하여 베어러 설정 요구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로 하는 단계106을 포함한다.
상기 단계 102는,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 특징과 접속 포인트 네임을 사용하여 베어러 설정 요구에 대응되는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을 설정하는 단계; 및
특히는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 저장 노드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에 하나의 필드를 추가하여 사용자 장비에 대응되는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 특징을 저장하여APN분석에 부가되어야 하는 통신 사업자 특정 접미사(suffix)로 하고,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DNS서버를 이용하여 APN분석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특정 접미사를 사용자 장비에서 송신된 베어러 설정 요구중에 포함된 APN의 뒤자리에 부가하여 DNS분석에 사용되는 APN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 저장 노드에서 사용자 장비에 대응되는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 특징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 저장 노드는 사용자 장비에 대응되는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 특징이 포함되는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를 저장하여,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가 사용자 서브스크립션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 특징을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 저장 노드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에 하나의 필드를 추가하여 사용자 장비에 대응되는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 특징을 저장하여 APN분석에 부가하여야 하는 통신 사업자 특정 접미사로 하고, 상기 특정 접미사는 게이트웨이 선택 노드에서 DNS서버를 이용하여 APN분석을 수행하기 전에 부가되어야 한다. 상기 특정 접미사는 길이가 변동 가능한 문자열(character string)(표준화 과정에서는 상기 문자열의 최대 길이를 규정하여 관련 메시지의 사이즈를 제어할 수 있다.)일 수 있다. 통신 사업자는 "chinamobile.com"과 유사한 문자열(통신 사업자 자신의 도메인 네임)을 사용하여 상기 필드의 값으로 하면 DNS분석 과정에서 DNS분석 요구를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에 전송(轉送)하여 최종적으로 통신 사업자의 접속 게이트웨이 노드의 어드레스를 획득한다. 통신 사업자에게 있어서, 더욱 넓은 확장 애플리케이션이 가능하며, 모 통신 사업자에 놓고 보면 복수의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을 배치하여 각 도메인 네임이 각자의 접속 게이트웨이에 대응되게 한다. 예를 들면 "chinamobile1.com", "chinamobile2.com"등으로 배치될 수 있다.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의 분석 메커니즘을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가 접속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과정중에 도입하고,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을 편리하게 배치하는 것을 통하여, 접속 게이트웨이 노드를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어, 접속 게이트웨이의 선택이 다시는 로밍 지역 DNS서버의 제한을 받지 않게 되어 통신 사업자로 하여금 더욱 편리하게 로밍 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DNS분석 요구를 설정하기 전에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가 베어러 설정 요구중에 사용자 장비가 지시한 접속 포인트 네임이 포함 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사용자 장비가 송신한 베어러 설정 요구중에 사용자 장비가 지시한 접속 포인트 네임이 포함되면,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상기 접속 포인트 네임을 접속 포인트 네임으로 하여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을 설정한다. 사용자 장비가 송신한 베어러 설정 요구에 사용자 장비가 가리킨 접속 포인트 네임이 포함되지 않으면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에 배치된 디폴트 접속 포인트 네임을 접속 포인트 네임으로 하여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을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가 DNS분석 요구를 설정할 경우, 베어러 설정 요구에 대응되는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의 설정에 사용되는 정보에는 국제 모바일 사용자 식별 번호(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중의 국가번호 및/또는 네트워크 번호, 또는 국가번호와 네트워크 번호 이외의 기타 정보가 더 포함되어 베어러 설정 요구에 대응되는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게이트웨이 선택 방법의 제 2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사용자 장비의 로밍 지역 또는 홈 로케이션의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이고, DNS서버는 로밍 지역 또는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이고, 로밍 지역 또는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에는 사용자 장비에 대응되는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 및 상기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가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실현 과정은 도 9에서 도시된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가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에 베어러 설정 요구를 송신하는 단계201;
DNS분석 요구를 설정시,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응되는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을 DNS분석 요구중에 캠슐화하는 단계202;
게이트웨이 선택 샐행 노드는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이 포함된 DNS분석 요구를 로밍 지역 또는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에 송신하는 단계203;
로밍 지역 또는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에 대하여 조회하고, DNS서버는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에 의하여 검색하여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를 획득하는 단계204;
로밍 지역 또는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는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에 분석 결과를 리턴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는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되는 단계205;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어드레스 정보에 의하여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를 선택하여 베어러 설정 요구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로 하는 단계206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게이트웨이 선택 방법의 제 3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는 로밍 상태이고,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사용자 장비가 로밍 지역에서의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이고, DNS서버는 상기 로밍 지역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이고, 로밍 지역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에는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 및 상기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예의 실현 과정은 도 10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301에서, 사용자 장비가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에 베어러 설정 요구를 송신한다.
단계302에서, DNS분석 요구를 설정시,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응되는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을 DNS분석 요구중에 캠슐화한다.
단계303에서,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이 포함된 DNS분석 메시지 요구를 로밍 지역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에 송신한다.
단계304에서, 로밍 지역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에 대하여 조회하고, 상기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 정보(즉 사용자 장비가 베어러 요구중에 지시한 APN네임에 대응되는 DNS 입구(DNS Entry))가 획득되지 못한다.
단계305에서, 로밍 지역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는 상기 분석 요구를 상급 DNS서버에 전송하고, 표준화된 DNS재귀 조회(Recursive Query) 방법에 의하여 상기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 정보가 획득될 때까지 DNS재귀적 분석(recursive parsing)을 수행한다.
본 단계에 있어서, 표준화된 도메인 네임 분석(domain name resolution)을 채용하기 때문에 상기 도메인 네임이 합법적이기만 하면 분석을 완성하고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 노드의 어드레스를 획득할 수 있다(다른DNS 서버에서 분석할 수 있는지 막론하고, 상기 분석 요구는 최종적으로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의 서버에 전송(轉送)할 수 있으며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를 획득한다). 상기 운영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은 세계적으로 유일한 것이므로 통신 사업자은 복수의 도메인 네임을 배치하는 것을 통하여 각 도메인 네임이 서로 다른 접속 게이트웨이에 대응되게 하여 국가 번호와 네트워크 번호를 통하여 접속 게이트웨이 노드를 확인하는 결함을 극복했다.
로밍 지역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에서 서비스 설정 요구중 사용자 장비가 지시한 APN에 대응되는 DNS Entry를 검출하지 못하면(일반적으로 상기 사용자가 로밍 사용자이기 때문이다.) 표준화된 DNS재귀 조회 방법에 의하여 DNS재귀적 분석을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가 소속된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중에 대응되는 DNS Entry가 존재하면 정확한 분석 결과는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에 송신되어,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접속 게이트웨이의 IP어드레스를 획득하게 된다.
단계 306에서, 로밍 지역 통신 사업자 DNS서버의 상급 DNS서버는 DNS분석 결과를 리턴한다.
단계307에서, 로밍 지역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는 상급 DNS서버가 리턴한 DNS분석 결과가 수신된 후,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에 상기 분석 결과를 리턴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는 사용자 장비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된다.
단계308에서,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가 어드레스 정보에 의하여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를 선택하여 베어러 설정 요구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로 한다.
그리고 설명해야 할것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기술안은 종래기술중의 게이트웨이 선택 방안과 모순되지 않으며, 종래의 기술안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가 베어러 설정 요구 메시지에서 사용자가APN을 명시하지 않으면 사실상 사용자가 디폴트 APN을 사용하기를 희망한다는 것을 표시하므로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DNS분석에 사용되는 APN을 설정시,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중에 배치된 디폴트APN을 사용자가 지시한 APN으로 하여 사용한다.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여전히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중에 포함된 필드와 사용자가 송신한 베어러 설정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필드에 의하여 접속 게이트웨이를 선택한다. 이런 상황하에서 후속적인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을 삽입하는 단계 및 분석 과정이 필요없게 되어 종래의 게이트웨이 선택 과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장비가 송신한 베어러 설정 요구 메시지중에 사용자가 희망하는 접속 게이트웨이의 IP어드레스가 포함되고,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에서 사용자가 상기 접속 게이트웨이를 사용하는 것을 허락하면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상기 접속 게이트웨이를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통신 사업자의 구조에 의하여 DNS분석에 사용되는 APN을 설정시 기타 정보를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IMSI중의 국가번호와 네트워크 번호를 제외한 부분의 내용 등을 부가할 수 있다.
DNS분석 결과에서 게이트웨이 노드의 IP어드레스 또는 IP어드레스 리스트를 제공하지 않아 하나의 접속 게이트웨이를 선택할 수 없거나 또는 선택된 접속 게이트웨이의 IP어드레스는 사용불능이면,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사용자의 베어러 설정 요구를 거절할 수도 있고, 로밍 지역 통신 사업자의 배치에 의하여 하나의 접속 게이트웨이(예를 들면 디폴트 접속 게이트웨이)를 선택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중의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접속 게이트웨이(예를 들면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중에 배치된 디폴트 접속 게이트웨이)를 선택할 수도 있고 또는 새로운 DNS분석에 사용되는 APN을 설정한 다음 DNS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통하여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한다. DNS분석에 사용되는 APN을 새로 설정시,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종래기술 중의 설정 방법을 사용하여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의 IMSI필드 중에 포함된 사용자의 국가번호 및/또는 네트워크 번호를 사용자가 지시한 APN의 뒤자리에 부가하여 DNS분석에 사용되는 APN을 확인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방법을 이용하여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을 DNS분석 요구중에 설정하여 DNS서버에서 분석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통신 사업자는 "APN분석에 부가되어야 하는 통신 사업자의 특정 접미사" 필드의 값을 변경하는 것을 통하여 기타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에 배치된 DNS Entry가 자동적으로 무효화되게 한다. 또는 특정 사용자가 다음번 베어러 설정시 다른 하나의 게이트웨이 노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는 무효화된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을 부가하여 접미사로 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거절한다.
본 발명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게이트웨이 선택 시스템의 제 1 실시예
도 11에 도시된바와 같이 본 실시예가 제고하는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게이트웨이 선택 시스템는,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1)과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가 송신한 분석 요구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는 제1DNS서버(2)를 포함한다.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1)에는 DNS분석 요구를 설정시, 베어러 설정 요구에 대응되는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을 DNS분석 요구중에 캠슐화하는 제1모듈(11)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게이트웨이 선택 시스템에는 아래와 같은 두가지 상황이 존재할 수 있다.
1) 제1DNS서버는 로밍 지역 또는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로 사용되고, 만약 제1DNS서버중에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 및 상기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 정보가 저장되면, DNS분석을 수행시, 상기 제1DNS서버에 대하여 조회하고,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에 의하여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 정보를 검색하여 획득된 이후, 게이트웨이 실행 노드에 리턴한다.
2)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DNS서버는 로밍 지역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이고, 만약 제1DNS서버중에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 및 상기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가 저장되지 않으면 DNS분석을 수행시, DNS분석 요구를 제2DNS서버에 송신하고, 표준화된 도메인 네임 분석 방식을 통하여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하고, 그중 제2서버는 제1서버의 상급 서버이고, 표준화 DNS재귀 조회 방법에 의하면 관련된 제2DNS서버는 하나 또는 여러개일수 있다.
본 발명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게이트웨이 선택 시스템의 제 2 실시예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웨이 선택 시스템 실시예1과의 다른점(도면에서는 도 11과 다른 곳 만을 도시했다.)은 사용자 장비에 대응되는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 특징이 포함된 서브스크립션 데이터를 을 저장하고 상기 서브스크립션 데이터를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에 송신하는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 저장 노드(4)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의 실시예
본 실시예의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종래의 게이트웨이 선택실행 노드중에 DNS분석 요구를 설정시, 베어러 설정 요구에 대응되는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을 DNS분석 요구중에 캠슐화한다.
마지막으로 설명 할것은: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을 설명하기 위해서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해서가 아니다. 비록 상기 실시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진행했지만 본 영역의 종업자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본 발명에 대해 각종 변동과 변형을 진행할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이러한 수정과 변형이 본 청구항의 보호범위 및 동등한 기술 범위내에 있을때 본 발명은 이러한 변동과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16)

  1.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접속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사용자 장비가 송신한 베어러 설정 요구가 수신된 후, DNS분석 요구를 설정시, 상기 베어러 설정 요구에 대응되는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을 DNS분석 요구중에 캠슐화하여 DNS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DNS서버는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DNS서버는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에 DNS분석 결과를 리턴하고, 상기 DNS분석 결과에는 상기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되는 단게; 및
    상기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상기 어드레스 정보에 의하여 상기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를 선택하여 상기 베어러 설정 요구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접속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가 사용자 장비가 송신한 베어러 설정 요구를 수신하기 전에,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 저장 노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응되는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 특징이 포함된 서브스크립션 데이터를 상기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접속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로밍 지역 또는 홈 로케이션의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이고, 상기 DNS서버는 로밍 지역 또는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이고, 상기 로밍 지역 또는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에는 상기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 및 상기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 분석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로밍 지역 또는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에 대하여 조회하고, 상기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에 의하여 검색하여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접속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로밍 지역에서의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이고, 상기 DNS서버는 로밍 지역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이고, 상기 로밍 지역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에는 상기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 및 상기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 분석을 수행하는 것은,
    로밍 지역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는 상기 분석 요구를 상급 DNS서버에 송신하고, 표준화 도메인 네임 분석 방식을 통하여 상기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접속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러 설정 요구에 대응되는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을 DNS분석 메시지중에 캠슐화하는 것은,
    상기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상기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 특징과 접속 포인트 네임을 사용하여 상기 베어러 설정 요구에 대응되는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접속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DNS분석 요구를 설정하기 전에,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상기 베어러 설정 요구중에 사용자 장비가 지시한 접속 포인트 네임이 포함 되었는 지를 판단하고, 사용자 장비가 송신한 베어러 설정 요구중에 사용자 장비가 지시한 접속 포인트 네임이 포함되면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상기 접속 포인트 네임을 접속 포인트 네임으로 하여 상기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을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 장비가 송신한 베어러 설정 요구중에 사용자 장비가 지시한 접속 포인트 네임이 포함되지 않으면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중에 배치된 디폴트 접속 포인트 네임을 접속 포인트 네임으로 하여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접속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DNS분석 요구를 설정시, 상기 베어러 설정 요구에 대응되는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을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정보는,
    국제 모바일 사용자 식별 코드중의 국가번호 및/또는 네트워크 번호, 또는 국가번호와 네트워크 번호 이외의 기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접속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DNS분석 요구를 설정하기 전에,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베어러 설정 요구중에 사용자 장비가 사용하기를 희망하는 접속 게이트웨이의 IP어드레스가 포함되었는 지를 판단하고, 사용자 장비가 송신한 베어러 설정 요구중에 사용자 장비가 사용하기를 희망하는 접속 게이트웨이의 IP어드레스가 포함되고,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에서도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접속 게이트웨이를 사용하는 것을 허락하면,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직접 베어러 설정 요구중에 포함된 접속 게이트웨이의 IP어드레스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접속 게이트웨이를 선택하여 베어러 설정 요구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로 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접속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NS분석 결과중에 게이트웨이 노드의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게이트웨이 노드는 연결될 수 없는 것이면 상기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사용자 장비의 베어러 설정 요구를 거절하거나 또는 로밍 지역 통신 사업자의 배치 방법에 의하여 디폴트 접속 게이트웨이를 선택하여 사용자 장비의 베어러 설정 요구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로 하고, 또는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중의 정보에 의하여 하나의 접속 게이트웨이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기 베어러 설정 요구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로 하고, 또는 분석 요구를 새로 설정하여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를 분석하는 조작을 다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접속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요구를 새로 설정하는 조작에서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는 사용자 서브스크립션 데이터중 국제 모바일 사용자 식별 코드 필드에 포함된 사용자 장비의 국가번호 및/또는 네트워크 번호를 사용자 장비가 지시한 접속 포인트 네임의 뒤자리에 부가하여 하나의 분석 요구를 새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접속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상기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 특징은 각각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의 서로 다른 타입의 사용자 장비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접속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는 방법.
  12.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와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가 송신한 분석 요구를 분석하는 제1DNS서버를 포함하는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접속 게이트웨이 선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에는 DSN분석 요구 설정시, 상기 베어러 설정 요구에 대응되는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을 DNS분석 요구중에 캠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접속 게이트웨이 선택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DNS서버는 로밍 지역 또는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이고, 상기 제1DNS서버에는 상기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 및 상기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 정보가 저장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접속 게이트웨이 선택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DNS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DNS서버는 상기 제1DNS서버의 상급 DNS서버이고;
    상기 제1DNS서버는 로밍 지역 통신 사업자의 DNS서버이고, 상기 제1DNS서버에는 상기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 및 상기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에 대응되는 접속 게이트웨이의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되지 않고;
    상기 제1DNS서버와 제2DNS서버는 분석 요구 메시지중의 통신 사업자 도메인 네임에 대해 표준화된 도메인 네임 분석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접속 게이트웨이 선택 시스템.
  15. 제12항 또는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에 대응되는 홈 로케이션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 특징을 포함하는 서브스크립션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서브스크립션 데이터를 상기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에 송신하는 서브스크립션 데이터 저장 노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접속 게이트웨이 선택 시스템.
  16.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에 있어서,
    DNS분석 요구를 설정시, 베어러 설정 요구에 대응되는 통신 사업자의 도메인 네임을 DNS분석 요구중에 캠슐화하는 제1모듈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선택 실행 노드.
KR1020107008484A 2007-10-23 2008-10-20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접속 게이트웨이 선택 방법, 시스템 및 게이트웨이 선택 노드 KR1011111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710176228.6 2007-10-23
CN200710176228.6A CN101420762B (zh) 2007-10-23 2007-10-23 接入网关的选择方法、系统及网关选择执行节点
PCT/CN2008/072753 WO2009065335A1 (fr) 2007-10-23 2008-10-20 Procédé et système de sélection de passerelle d'accès et nœud mettant en œuvre la sélection de passerelle de domaine de groupe 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457A true KR20100068457A (ko) 2010-06-23
KR101111153B1 KR101111153B1 (ko) 2012-02-24

Family

ID=40631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484A KR101111153B1 (ko) 2007-10-23 2008-10-20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접속 게이트웨이 선택 방법, 시스템 및 게이트웨이 선택 노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995334B2 (ko)
EP (1) EP2205040B1 (ko)
JP (1) JP5068855B2 (ko)
KR (1) KR101111153B1 (ko)
CN (1) CN101420762B (ko)
BR (1) BRPI0819467A2 (ko)
RU (1) RU2462840C2 (ko)
WO (1) WO20090653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671A (ko) 2017-11-14 2019-05-22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특정 기능의 호출에 응답하는 api 서버의 도메인 최적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83229B (zh) * 2008-05-15 2013-01-09 杭州茂力半导体技术有限公司 多放电灯并联驱动电路及驱动方法
EP2494828A1 (en) * 2009-10-30 2012-09-0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ccess control node and domain name ser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96669B2 (en) 2010-04-02 2015-03-31 Nominum, Inc. Internet improvement platform with learning module
KR101561474B1 (ko) * 2010-12-23 2015-10-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량의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소량의 상향 링크 데이터 수신 방법
US8769060B2 (en) 2011-01-28 2014-07-01 Nominu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DNS services
CN102781004B (zh) * 2011-05-10 2017-05-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选择网关的方法及装置
US9210645B2 (en) 2012-05-18 2015-12-08 Industrial Technology Reseach Institute Method for dynamically controlling data paths, MTC gateway and network device using the same
CN102893638B (zh) 2012-06-13 2016-09-28 华为技术有限公司 获取服务网关的方法及移动管理节点、数据网关及系统
CN102932496B (zh) * 2012-10-10 2017-03-29 瑞斯康达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管理域名系统信息的方法和系统
US9215123B1 (en) 2013-03-15 2015-12-15 Nominum, Inc. DNS requests analysis
US10164989B2 (en) 2013-03-15 2018-12-25 Nominum, Inc. Distinguishing human-driven DNS queries from machine-to-machine DNS queries
CN104253873B (zh) * 2013-06-25 2017-03-2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域名访问方法、终端及域名访问系统
CN104754559B (zh) * 2013-12-27 2019-01-08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dns查询方法及网元
US9870534B1 (en) 2014-11-06 2018-01-16 Nominum, Inc. Predicting network activities associated with a given site
CN104468866B (zh) * 2014-12-26 2017-11-21 陈晨 一种无线局域网中多网关终端快速漫游方法
CN105072154B (zh) * 2015-07-09 2019-01-15 广州华多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网络应用接入方法及其设备
US10425887B2 (en) 2015-11-10 2019-09-24 Blackberry Limited Gateway selection controlled by network
JP6719996B2 (ja) * 2016-07-01 2020-07-08 株式会社ソラコム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CN106535166B (zh) * 2016-11-25 2020-02-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数据业务处理方法及装置
CN109787907A (zh) * 2017-11-14 2019-05-21 北京星河星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云智能dns调度系统及其用户接入和域名解析方法
CN112911596A (zh) * 2018-05-22 2021-06-04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接入方法、相关装置及系统
WO2019237288A1 (zh) * 2018-06-13 2019-12-19 深圳前海达闼云端智能科技有限公司 域名解析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R3086482B1 (fr) * 2018-09-25 2020-09-11 Sagemcom Energy & Telecom Sas Procede de gestion d’itinerance par transfert multi-reseaux
WO2020034378A1 (en) * 2018-10-12 2020-02-20 Zte Corporation Location reporting for mobile devices
CN111132266B (zh) * 2018-10-30 2021-12-14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终端接入方法、系统和云服务器
CN109617780A (zh) * 2019-01-29 2019-04-12 新华三技术有限公司 接入网络的方法、装置、终端设备及机器可读存储介质
CN111953806B (zh) * 2020-07-13 2023-05-12 深信服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链路选择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4697266A (zh) * 2020-12-31 2022-07-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虚拟机接入方法、终端及存储介质
CN112887441B (zh) * 2021-01-08 2023-04-07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域名解析方法、终端和dns服务器
US20220286431A1 (en) * 2021-03-08 2022-09-08 Cisco Technology, Inc. Dns resolver-assisted domain name-based access control
CN115190105B (zh) * 2021-04-06 2024-03-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和通信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4901A (en) * 1996-07-23 1998-12-29 Cisco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erless internet protocol address discovery using source address of broadcast or unicast packet
CN1074561C (zh) * 1998-12-04 2001-11-07 谢建平 采用全数字码给上网的计算机分配地址的方法
US7251826B1 (en) * 1999-06-07 2007-07-31 Register.Com, Inc. Domain manager for plural domains and method of use
US7392034B2 (en) * 2000-12-04 2008-06-24 Nokia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to a serving network element
JP3601464B2 (ja) * 2001-03-13 2004-12-15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網における移動端末管理システム、移動端末管理方法および端末
EP1246479A1 (en) * 2001-03-26 2002-10-02 Lucent Technologies Inc. GPRS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CA2462701A1 (en) * 2001-10-05 2003-04-17 Nokia Corporation Address transition and message correlation between network nodes
US20040122976A1 (en) * 2002-10-24 2004-06-24 Ashutosh Dutta Integrated mobility management
US8645408B2 (en) * 2003-02-18 2014-02-04 Apple Inc. Discovery of application server in an IP network
JP3894189B2 (ja) * 2003-11-19 2007-03-14 日本電気株式会社 中継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無線通信用プログラム
EP1587272A1 (en) * 2004-04-13 2005-10-19 Alcatel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 distribution in a wireless data network
CN100346596C (zh) * 2004-07-23 2007-10-31 华为技术有限公司 多媒体广播/组播服务业务激活的方法
JP4375740B2 (ja) * 2004-10-08 2009-12-0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通信接続方法
US20070113290A1 (en) * 2004-11-08 2007-05-17 Olivier Charles Method of detecting and preventing illicit use of certain network protocols without degrading legitimate use thereof
KR20060093306A (ko) * 2005-02-21 2006-08-24 (주)넷피아닷컴 로컬 도메인 네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EP2950583B1 (en) * 2005-05-12 2020-06-03 Apple Inc. Using an access point name to select an access gateway node
CN100512294C (zh) * 2005-09-28 2009-07-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选择网关通用分组无线服务支持节点的方法
US20070180090A1 (en) * 2006-02-01 2007-08-02 Simplicita Software, Inc. Dns traffic switch
CN100450309C (zh) * 2006-06-02 2009-01-07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移动通信网络中被叫业务的承载网络模式的选择方法
CN101212393B (zh) * 2006-12-29 2010-10-13 华为技术有限公司 介质无关切换消息的传输方法、系统及设备
CN100466846C (zh) * 2007-01-08 2009-03-04 华为技术有限公司 接入归属地分组数据网络的方法和系统
US7694016B2 (en) * 2007-02-07 2010-04-06 Nominum, Inc. Composite DNS zones
US20080273680A1 (en) * 2007-05-04 2008-11-06 Ido Eli Zohar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communication using alternative identifi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671A (ko) 2017-11-14 2019-05-22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특정 기능의 호출에 응답하는 api 서버의 도메인 최적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95334B2 (en) 2015-03-31
EP2205040B1 (en) 2017-03-22
JP2010541508A (ja) 2010-12-24
EP2205040A4 (en) 2014-03-19
CN101420762B (zh) 2011-02-23
RU2010112648A (ru) 2011-10-10
KR101111153B1 (ko) 2012-02-24
BRPI0819467A2 (pt) 2015-05-05
RU2462840C2 (ru) 2012-09-27
EP2205040A1 (en) 2010-07-07
US20100303009A1 (en) 2010-12-02
WO2009065335A1 (fr) 2009-05-28
CN101420762A (zh) 2009-04-29
JP5068855B2 (ja)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1153B1 (ko) 모바일 패킷 도메인의 접속 게이트웨이 선택 방법, 시스템 및 게이트웨이 선택 노드
US9264948B2 (en) Method and device for accessing and obtaining user equipment context and user equipment identity
JP4991969B2 (ja) アクセスポイント名の加入構成の更新方法及び装置
US10595187B2 (en) System and method of selective packet data network gateway discovery
CN100466846C (zh) 接入归属地分组数据网络的方法和系统
US9179289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accessing
US8831606B2 (en) Mobile terminal registration method in a radio network
CN110557744B (zh) 订阅事件的方法与网络功能网元
US11659621B2 (en) Selection of IP version
US8625617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updating packet data network gateway information
US9584466B2 (en) Method of establishing an IP connection in a mobile network and various corresponding equipment items
KR20100053691A (ko) 사용자 고정 ip 어드레스를 어드레싱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JP7171729B2 (ja) システム、移動体通信ネットワーク構成要素、ネットワーク機能を選択するための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機能を登録するための方法
WO2019192985A1 (en) Access node selection in 5g network for non-3gpp and non-cellular access, also indicating regional requirement according to lawful interception
CN115299021B (zh) 服务于用户设备或pdu会话的分布式网络功能的暴露和发现
CN110324807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功能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381495B (zh) 漫游限制方法及装置
WO2018030349A1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キシサーバ
CN113473454A (zh) 接入本地网络的方法和相关设备
KR20130060967A (ko) LTE 가입자 Multiple PDN 기반 ODB 적용을 통한 데이터서비스 방법
JP6078683B1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キシ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