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7981A - 입체인쇄 계기명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입체인쇄 계기명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7981A
KR20100067981A KR1020080126609A KR20080126609A KR20100067981A KR 20100067981 A KR20100067981 A KR 20100067981A KR 1020080126609 A KR1020080126609 A KR 1020080126609A KR 20080126609 A KR20080126609 A KR 20080126609A KR 20100067981 A KR20100067981 A KR 20100067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ic
dot array
transparent resin
array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3962B1 (ko
Inventor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엠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엠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엠컴퍼니
Priority to KR1020080126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962B1/ko
Publication of KR20100067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8Structurally-combined 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기명판에 있어서, 투명수지시트상에 투명수지재 0.1~0.4mm 직경의 반구형 볼록렌즈들이 배열된 전면 렌즈도트배열층을 형성하고, 상기 투명수지시트의 이면상에 상기 반구형 볼록렌즈보다 직경이 적은 그래픽 돌출도트들을 배열하되 상기 볼록렌즈내에 그래픽 돌출도트가 위치되도록 배열한 후면 그래픽도트배열층을 형성하며, 상기 후면 그래픽도트배열층 상에는 바탕면 인쇄층이 형성되게 입체인쇄 계기명판(2)을 구성한 것으로, 계기명판을 제작하는데 있어 성형과 같은 후가공 공정없이 인쇄공정만으로 고품위의 입체 원근감을 형성할 수 있으며 평면인쇄를 통해 제품디자인 입체표현에 다양성도 제공해준다.
계기명판, 입체인쇄, 투명수지시트, 반구형 볼록렌즈, 그래픽 돌출도트

Description

입체인쇄 계기명판 및 그 제조방법{3-DIMENSIONAL PRINTING NAMEPLAT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자동차 및 가전부품의 명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자, 숫자, 눈금 등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명판에 시인성도 확보되며 선명한 입체 원근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입체인쇄 계기명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자동차 및 가전부품의 명판에는 문자, 숫자, 눈금 등이 표시되며, 이러한 명판의 고급화를 위해 그 명판에 입체감이 부여되도록 하는 노력을 많이 기울이고 있다.
명판에 입체감이 부여되도록 제작하는 종래 방법의 일예로는, 명판용 시트에 원하는 내용을 인쇄하고, 이를 다시 열성형, 압공성형, 사출성형 등과 같은 후가공공정을 거쳐서 입체형성 명판을 완성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은 몇단계의 성형공정을 거치므로 그 만큼의 원가상승이 있고, 비용관계로 각 성형틀이 임의대로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다양한 종류의 입체감이 표현된 명판을 제작하는데 곤란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성형과 같은 후가공 공정없이 인쇄공정만으로 고품위의 입체 원근감을 형성할 수 있는 입체인쇄 계기명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면인쇄를 통해 제품디자인 입체표현에 다양성을 부여함과 아울러 공정의 간소화와 원가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입체인쇄 계기명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계기명판에 있어서, 투명수지시트상에 투명수지재 0.1~0.4mm 직경의 반구형 볼록렌즈들이 배열된 전면 렌즈도트배열층을 형성하고, 상기 투명수지시트의 이면상에 상기 반구형 볼록렌즈보다 직경이 적은 그래픽 돌출도트들을 배열하되 상기 볼록렌즈내에 그래픽 돌출도트가 위치되도록 배열한 후면 그래픽도트배열층을 형성하며, 상기 후면 그래픽도트배열층 상에는 바탕면 인쇄층이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인쇄 계기명판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입체인쇄 계기명판 제조방법에 있어서, 0.2~5mm 두께의 투명수지시트상에 투명수지재 UV도토인쇄로 0.1~0.4mm 직경의 반구형 볼록렌즈들을 배열하여 전면 렌즈도트배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투명수지시트의 이면상에 CMYK 그래픽 도트인쇄로 상기 반구형 볼록렌즈보다 직경이 적은 그래픽 돌출도트들 을 배열하되 상기 볼록렌즈내에 그래픽 돌출도트가 위치되도록 배열하여 후면 그래픽도트배열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명판에 입체적인 원근감을 부여함에 있어 성형과 같은 후가공 공정없이 인쇄공정만으로도 고품위의 입체 원근감을 형성할 수 있으며, 평면인쇄를 통해 제품디자인 입체표현에 다양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명판에 입체적인 원근감을 부여함에 있어 공정의 간소화와 함께 원가절감을 실현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계기명판을 구성함에 있어 인쇄공정만으로 눈어림거림이 없이 선명하고 확대된 고품위의 입체적 원근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서 공정 단순화로 부품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계기명판은 가전제품이나 자동차용 계기판넬에 적용되는 것이므로 문자, 숫자, 눈금 등의 표시정보에 대한 시인성도 확보되도록 구현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인쇄 계기명판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전면 렌즈도트배열층의 볼록렌즈들 배열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4a 및 도 4b에서의 전면 렌즈도트배열층의 볼록렌즈들과 후면 그래픽도트배열층의 그래픽 돌출도트간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인쇄 계기명판(2)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수지시트(10), 전면 렌즈도트배열층(12), 후면 그래픽도트배열층(14)으로 구성하며, 바탕면 인쇄층(16)도 포함한다.
투명수지시트(10)는 PC, PET, PMMA 등의 투명수지재질로 된 시트로서 0.2~5mm 두께를 가진다. 상기 투명수지시트(10)는 상면 및 후면에 대응 형성될 반구형 볼록렌즈(12a) 및 그래픽 돌출도트(14a)의 지지면 역할을 함과 동시에 입체 원근감이 형성되도록 하는 두께 역할도 도모한다.
투명수지시트(10)상에는 투명수지재 0.1~0.4mm 직경의 반구형 볼록렌즈(12a)들이 배열된 전면 렌즈도트배열층(12)을 투명수지시트(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게 구성한다. 상기 반구형 볼록렌즈(12a)들이 배열된 전면 렌즈도트배열층(12)은 액상 투명수지재를 이용하여 UV도트인쇄방식으로 투명수지시트(10)상에 인쇄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 렌즈도트배열층(12)을 형성하는 반구형 볼록렌즈(12a)의 형상은 마치 풀잎에 맺힌 다소 퍼진 이슬과 같이 바닥면은 평편하고 상부단면은 원호형태이다.
인간이 입체감이나 원근감 등을 느낄 수 있는 것은 눈과 눈 사이의 거리가 평균 6.2cm인 두개의 눈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즉 각각의 눈은 서로 다른 상을 보게 되므로 인해 물체의 입체감을 느끼게 되는데 반구형 볼록렌즈(12a)는 이러한 시지각의 원리를 응용한 도구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구형 볼록렌즈(12a)의 직경 0.1~0.4mm에서, 그 직경이 0.1mm미만이면 투명수지시트(10)에 형성되는 후면 그래픽도트배열층(14)의 그래픽 돌출도트(14a)를 형성하기가 어렵다. 이는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그래픽 돌출도트(14a)가 반구형 볼록렌즈(12a)의 직경보다 더 작아야 하기 때문이다. 또 반구형 볼록렌즈(12a)의 직경이 0.4mm를 초과하면 시지각 원리에 따른 입체효과를 떨어뜨린다.
그리고 전면 렌즈도트배열층(12)에 배열된 인접 반구형 블록렌즈(12a)들 간의 이격거리는 0.1~0.2mm가 바람직하다.
또한 전면 렌즈도트배열층(12)의 반구형 볼록렌즈(12a)들의 배열은 도 4a에 도시된 정배열이나 도 4b에 도시된 격자배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b에서와 같이 격자배열을 하게되면 반구형 볼록렌즈(12a)들을 보다 촘촘하게 배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투명수지시트(10)의 이면상에 전면 렌즈도트배열층(12)을 구성하는 반구형 볼록렌즈(12a)보다 직경이 적은 그래픽 돌출도트(14a)들이 배열된 후면 그래픽도트배열층(14)을 일체로 형성한다. 이때 각 그래픽 돌출도트(14a)는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각 볼록렌즈(12a)내에 위치되도록 배열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래픽 돌출도트(14a)들이 확대되고 입체적 원근감을 갖는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그래픽 돌출도트(14a)는 반구형 볼록렌즈(12a)의 직경보다 적어야 되고 반구형 볼록렌즈(12a)내에 위치되어야 하는 바, 하나의 반구형 볼록렌즈(12a)에는 적어 도 하나의 그래픽 돌출도트(14a)가 위치되어진다. 또 그래픽 돌출도트(14a)는 도트 하나마다 CMYK(Cyan-Magenta-Yellow-blacK) 색소를 각기 채색표현하게 되므로 실제 구현에 적합한 높은 해상도를 각기 위해서는 하나의 반구형 볼록렌즈(12a)에 최대 4개의 돌출도트(14a)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그러므로 하나의 반구형 볼록렌즈(12a)내의 그래픽 돌출도트(14a)의 형성 갯수는 1~4개가 바람직하며, 그중 해당 제품에 요구되는 해상도에 적합한 갯수로 선정되어진다. 도 5a 및 도 5b에서는 하나의 반구형 볼록렌즈(12a)에 3개의 그래픽 돌출도트(14a)를 형성한 일예를 보여주고 있다. 3개의 그래픽 돌출도트(14a)마다는 CMYK중 적절한 안료색상이 인쇄방식으로 채색되어진다.
본원 발명자는 전면 렌즈도트배열층(12)의 볼록렌즈(12a)들의 배열과 후면 그래픽도트배열층(14)의 그래픽 돌출도트(14a)들의 배열을 서로 경사지게 구성하는 것이 보다 선명한 입체효과를 나타내는데 보다 유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입체효과를 나타내는데는 후면 그래픽도트배열층(14)의 돌출도트(14a)을 배열 기준으로 하는 전면 렌즈도트배열층(12)의 볼록렌즈(12a)들 배열의 배열각(α)이 0~180°까지 가능하나, 눈 어림거림 현상이 없이 선명한 입체효과를 느낄 수 있게 해주는 것은 상기 배열각(α)이 0~45°범위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4a 및 도 4b에서는 전면 렌즈도트배열층(12)의 배열구조와 아울러 전면 렌즈도트배열층(12)의 볼록렌즈(12a)들 배열각(α)에 대해서도 함께 보여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그래픽 돌출도트(14a)들을 갖는 후면 그래픽도트배열층(14)은 투명수지시트(10)의 이면상에 CMYK(Cyan-Magenta-Yellow-blacK) 그래픽 도트인쇄방식으로 형성되어진다. 그래픽 돌출도트(14a)는 반구형 볼록렌즈(12a)와는 다르게 그 평단면형태가 원형이나 다각형으로도 가능하며, 확대표시되는 무늬의 대상체가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후면 그래픽도트배열층(14)상에 바탕면 인쇄층(16)이 인쇄형성됨으로써 도 1과 같은 입체인쇄 계기명판(2)이 완성된다. 상기 바탕면 인쇄층(16)에는 해당 명판에 관련된 문자, 숫자, 눈금 등의 표시정보들이 포함되어 있다.
투명수지시트(10)상에 형성된 전면 렌즈도트배열층(12)과 투명수지시트(10)의 이면상에 형성된 후면 그래픽 도트배열층(14)의 작용에 의해서 그래픽 돌출도트(14a)가 선명하게 확대된 칼라의 입체감이 형성되는데, 계기명판(2)의 특성상 바탕면 인쇄층(16)에 인쇄된 표시정보의 시인성을 부분적 또는 선택적으로 확보해줄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는 도 2에 도시된 입체인쇄 계기명판(2)에서와 같이 후면 그래픽도트배열층(14)의 그래픽 돌출도트(14a)들이 부분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바탕면 인쇄층(16)의 표시정보가 있는 부분에 해당하는 시인성확보 구간(18)에는 그래픽 돌출도트(14a)들이 형성되지 않도록 인쇄처리를 하면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도 3에 도시된 입체인쇄 계기명판(2)에서와 같이 전면 렌즈도트배열층(12)의 반구형 볼록렌즈(12a)들과 후면 그래픽도트배열층(14)의 그 래픽 돌출도트(14a)들 모두를 부분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바탕면 인쇄층(16)의 표시정보가 있는 부분에 해당하는 후면 그래팩도트배열층(14) 및 전면 렌즈도트배열층(12)내의 시인성 확보 구간(18)(20)에는 대응 그래픽 돌출도트(14a)들 및 반구형 렌즈(12a)들이 형성되지 않도록 인쇄처리를 하면 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예 따른 입체인쇄 계기명판(2)을 채용한 계기판넬의 일예도이다.
도 6 및 도 7에서, 참조번호 "30"은 계기판넬이고, "32"는 입체인쇄 계기명판(2)과는 별도의 문자판이고, "34"는 지침바늘, "36"은 발광다이오드, "38"은 프리즘이다.
도 7에서와 같이 계기판넬(30)의 바닥면에 입체인쇄 계기명판(2)를 설치하고 그 상방에 시인성이 필요한 문자판(32)를 이격시켜 장착하게 되면 입체인쇄 계기명판(2)에 의한 더 원근감에 문자판(32)의 원근감이 가미되어서 더 큰 원근감을 느낄 수 있으며, 후면 그래픽 돌출도트(14a)들의 입체 확대효과도 느낄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실제 제작된 입체인쇄 계기명판(2)의 일예 사진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계기판넬을 제작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체인쇄 계기명판의 단면 구성도,
도 4a 및 도 4b는 전면 렌즈도트배열층의 볼록렌즈들 배열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도 4a 및 도 4b에서의 전면 렌즈도트배열층의 볼록렌즈들과 후면 그래픽도트배열층의 돌출도트간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예 따른 입체인쇄 계기명판을 채용한 계기판넬의 일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실제 제작된 입체인쇄 계기명판 사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입체인쇄 계기명판 (10)-- 투명수지시트
(12)-- 전면 렌즈도트배열층 (12a)-- 반구형 볼록렌즈
(14)-- 후면 그래픽도트배열층 (14a)-- 그래픽 돌출도트
(16)-- 바탕면 인쇄층 (18)(20)-- 시인성 확보 구간
(30)-- 계기판넬 (36)-- 발광다이오드
(38)-- 프리즘

Claims (8)

  1. 계기명판에 있어서,
    투명수지시트상에 투명수지재 0.1~0.4mm 직경의 반구형 볼록렌즈들이 배열된 전면 렌즈도트배열층을 형성하고, 상기 투명수지시트의 이면상에 상기 반구형 볼록렌즈보다 직경이 적은 그래픽 돌출도트들을 배열하되 상기 볼록렌즈내에 그래픽 돌출도트가 위치되도록 배열한 후면 그래픽도트배열층을 형성하며, 상기 후면 그래픽도트배열층 상에는 바탕면 인쇄층이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인쇄 계기명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렌즈도트배열층의 반구형 볼록렌즈들의 배열은 정배열과 격자배열중의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인쇄 계기명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렌즈도트배열층의 볼록렌즈들 배열은 상기 후면 그래픽도트배열층의 그래픽 돌출도트의 배열 기준으로 0~45°범위내에서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인쇄 계기명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볼록렌즈 내에는 후면 그래픽도트배열층의 그래픽 돌출도트 1~4개가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인쇄 계기명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수지시트는 0.2~5mm 두께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인쇄 계기명판.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면 인쇄층에 인쇄된 표시정보의 시인성 확보를 위해 상기 전면 렌즈도트배열층의 반구형 볼록렌즈들과 상기 후면 그래픽도트배열층의 돌출도트들은 부분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인쇄 계기명판.
  7. 입체인쇄 계기명판 제조방법에 있어서,
    0.2~5mm 두께의 투명수지시트상에 투명수지재 UV도토인쇄로 0.1~0.4mm 직경의 반구형 볼록렌즈들을 배열하여 전면 렌즈도트배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투명수지시트의 이면상에 CMYK 그래픽 도트인쇄로 상기 반구형 볼록렌즈보다 직경이 적은 그래픽 돌출도트들을 배열하되 상기 볼록렌즈내에 그래픽 돌출 도트가 위치되도록 배열하여 후면 그래픽도트배열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인쇄 계기명판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그래픽도트배열층 상에 표시정보를 포함하는 바탕면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인쇄 계기명판 제조방법.
KR1020080126609A 2008-12-12 2008-12-12 입체인쇄 계기명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083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609A KR101083962B1 (ko) 2008-12-12 2008-12-12 입체인쇄 계기명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609A KR101083962B1 (ko) 2008-12-12 2008-12-12 입체인쇄 계기명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981A true KR20100067981A (ko) 2010-06-22
KR101083962B1 KR101083962B1 (ko) 2011-11-21

Family

ID=42366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609A KR101083962B1 (ko) 2008-12-12 2008-12-12 입체인쇄 계기명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39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551B1 (ko) 2015-06-12 2016-07-21 유한회사 대구특수금속 하프미러 투과형 차량용 계기명판 제조방법 및 그를 위한 스크린인쇄용 잉크
KR101667387B1 (ko) 2015-11-26 2016-10-28 유한회사 대구특수금속 하프미러 투과형 차량용 계기명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0546A (ja) * 1999-04-26 2000-11-07 Denso Corp 計器及びその目盛り盤
JP2008134164A (ja) * 2006-11-29 2008-06-12 Nippon Seiki Co Ltd 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3962B1 (ko) 2011-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7834B2 (en) Curved dead front display
MX2011007308A (es) Lamina para fotografia integral por reflexion total.
US11951727B2 (en) Resin decorative part and dial plate
US10996084B2 (en) Resin decorative part and dial plate
CN205862023U (zh) 一种裸眼立体印刷品
CN103029468B (zh) 在印品表面形成凸起立体光栅图文的制作方法及其制品
JP6115981B2 (ja) 透明スクリーン、及び透明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KR102183418B1 (ko) 입력 장치
KR101083962B1 (ko) 입체인쇄 계기명판 및 그 제조방법
JP4413264B1 (ja) 装飾表示体
JP5689588B2 (ja) 発光パネル装置に用いる3dパネル版
JP2011028073A (ja) 可変表示印刷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94974A (ko) 사출레진 하부에 형성된 인쇄 패턴층을 포함한 입체시트 및 그 입체시트 제조방법
CN103057337B (zh) 在印品表面形成局部立体光栅图文的制作方法及其制品
JP5342192B2 (ja) 文字板構造
CN105929550A (zh) 一种裸眼立体印刷品及其制作方法
US10467931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ar window graphic
JP5115793B2 (ja) 表示板
JP5845567B2 (ja) マイクロレンズ装飾体
KR101366660B1 (ko) 부분적으로 입체 패턴이 형성된 시트
CN207607825U (zh) 一种具有3d效果的印刷薄膜
JP2007078583A (ja) 計器用文字盤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7043313A1 (ja) 装飾表示体
JP3608786B1 (ja) レンズプレートを用いた立体装飾体
JP2002196709A (ja) 透過照明式表示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