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7367A - 터치센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센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7367A
KR20100067367A KR1020080125902A KR20080125902A KR20100067367A KR 20100067367 A KR20100067367 A KR 20100067367A KR 1020080125902 A KR1020080125902 A KR 1020080125902A KR 20080125902 A KR20080125902 A KR 20080125902A KR 20100067367 A KR20100067367 A KR 20100067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wall
touch sensor
sealing
adhesive
resis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한용
천재욱
신지원
Original Assignee
조한용
신지원
천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한용, 신지원, 천재욱 filed Critical 조한용
Priority to KR1020080125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7367A/ko
Publication of KR20100067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3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항막 방식의 터치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영역의 가장자리에 밀봉벽을 구비한 터치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저항막 방식의 터치 센서는, 제1부재와, 제1부재와 일정한 간격으로 분리되어 배치된 가요성 제2부재와, 제1부재의 터치 감지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간격스페이서를 포함한다.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이에는 터치 감지영역의 둘레를 따라서 제1 밀봉벽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밀봉벽에서 일정거리 외측으로 이격되어 제2밀봉벽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밀봉벽과 제2 밀봉벽 사이의 간격에는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겹합하기 위한 접착재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제2 밀봉벽의 일부를 제거하여,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할 경우 제1밀봉벽과 제2 밀봉벽 사이의 공기가 접착재가 삽입될 때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센서, 터치스크린, 밀봉벽, 접착, 통기 구멈

Description

터치센서 및 그 제조방법{TOUCH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OUCH SENSOR}
본 발명은 저항막 방식의 터치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영역의 가장자리에 밀봉벽을 구비한 터치센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밀봉벽을 구비한 저항막 방식 터치센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 센서는 물체 표면의 접촉된 위치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장치이다. 터치 센서에는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초음파 방식, 그리고 적외선 방식 등이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센서에는 4 선 방식과 5 선 방식이 있다. 4 선 방식이나 5 선 방식의 터치 센서는 저항성 막에 등전위 분포를 형성하기 위하여 가장자리에 전극이 인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이 대한민국에 특허출원한 출원번호 제10-2008-74107호에는 저항패턴을 이용한 3선 방식의 터치센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명세서에 개시된 저항패턴 방식의 터치센서는 가장자리에 전극이 인쇄되어 있지 않다.
최근 저항막 방식의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함께 많이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되는 터치 센서(통상 터치 스크린이라고 부른다)는 투명한 재질로 되어 있다. 터치 센서는 ITO(indium tin oxide), TAO(tin antimony oxide), TO(tin oxide), ZnO(zinc oxide)와 같은 재료로 된 투명한 전도성(저항성) 막이 코팅된 유리 기판이나 투명한 합성수지 시트를 사용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의 저항막 방식의 터치센서는 하부기판으로 저항성 막(11)이 코팅된 제1부재(10)와 상부 커버로 저항성막(31)이 코팅된 가요성의 제2부재(30) 사이에 복수의 간격스페이서(40)가 배치되어 있다. 간격스페이서(40)는 제2부재(30)의 표면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제1부재(10)의 저항성막(11)과 제2부재(30)의 저항성 막(31)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접착성 밀봉부재(20)로 제1부재(10)와 제2부재(30)의 가장자리를 결합하여, 터치 센서의 내부 공간으로 이물질이나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2부재가 평평하게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접착성 밀봉부재로는 양면 접착테이프가 많이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의 터치 센서는 접착성 밀봉부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견고하게 결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터치 센서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 접착재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이에 상대적인 위치 변화가 생겨서 터치 입력이 불규칙적으로 되거나, 얼라인먼트가 변하게 되어 정확한 터치 위치의 좌표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제1부재에 양면 접착테이프를 부착하고 박리 스트립을 벗겨내고서 제1부재를 부착하여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하여 불량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즉, 제1부재의 상부에 제2부재를 부착시킬 때 한번에 정확한 결합 위치를 잡지 못하면 접착된 후에 제2부재의 접착 위치를 변경하기가 곤란하여 제조 불량이 발생한다.
또한, 양면 접착테이프를 사용하여 접착할 경우 양면 접착 테이프의 가장자리만을 사용하므로 가장자리 이외의 부분은 버리게 되어 재료의 낭비를 가져와서 제조 원가를 상승시킨다.
또한, 장시간 사용시 밀봉부재(20)에 의한 밀봉이 깨지게 되는 경우 터치센서의 내부로 습기나 이물질이 침투하여 터치센서가 손상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저항막 방식의 터치 센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터치센서의 내부로 외부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접착성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터치센서의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하여 터치센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저항막 방식의 터치 센서는, 제1부재와, 제1부재와 일정한 간격으로 분리되어 배치된 가요성 제2부재와, 제1부재의 터치 감지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간격스페이서를 포함한다.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이에는 터치 감지영역의 둘레를 따라서 제1 밀봉벽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밀봉벽에서 일정거리 외측으로 이격되어 제2밀봉벽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밀봉벽과 제2 밀봉벽 사이의 간격에는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겹합하기 위한 접착재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제2 밀봉벽의 일부를 제거하여,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할 경우 제1밀봉벽과 제2 밀봉벽 사이의 공기가 접착재가 삽입될 때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밀봉벽과 제2 밀봉벽은 제1 부재에 상기 복수의 간격스페이서를 인쇄에 의하여 형성할 때 동시에 형성하고 경화시킨 후, 제2부재에 인쇄에 의하여 접착재를 도포한 후에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하여, 제1밀봉벽과 제2밀봉벽 사이의 간격으로 접착재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저항막 방식의 터치센서는, 제1밀봉벽과 제2밀봉벽 사이에 접착제가 삽입되어 있어서 접착재의 접착 면적이 넓어져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감지영역이 밀봉벽들에 의하여 둘러 싸여 있으므로 외부의 이물질이 터치 센서 내부의 터치 감지영역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저항막 방식의 터치센서 제조방법은, 저항성 막이 코팅된 제1부재의 가장자리와 터치감지 영역 사이의 둘레를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제1밀봉벽 및 제2 밀봉벽을 형성하는 단계와, 저항성 막이 코팅된 제2부재의 가장자리와 터치 영역 사이의 제1밀봉벽과 제2밀봉벽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위치 에 접착재를 도포하는 단계와, 제2부재에 도포된 접착재가 제1밀봉벽과 제2밀봉벽 사이의 간격에 삽입되도록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 제조방법은, 제1 밀봉벽과 제2 밀봉벽은 인쇄에 의하여 형성하고, 인쇄된 제1밀봉벽 및 제2밀봉벽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를 인쇄에 의하여 도포하고,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한 후에 제1밀봉벽과 제2밀봉벽 사이에 삽입된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밀봉벽, 제2밀봉벽, 및 접착제는 아크릴을 포함하는 재료를 사용할 경우 UV 경화 방법을 사용한다.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할 경우, 제1밀봉벽과 제2 밀봉벽 사이의 간격으로 접착재가 삽입될 때 제1밀봉벽 및 제2밀봉벽 사이의 공기가 외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외측에 위치한 제2밀봉벽의 일부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부재의 터치 영역의 간격스페이서를 인쇄할 때 간격스페이서와 동일한 재질(통상 아크릴)로 제1밀봉벽 및 제2밀봉벽 동시에 인쇄하고 경화시킨다. 제2부재에 접착재를 인쇄한 후에 제1부재와 결합하고, 제1밀봉벽과 제2밀봉벽 사이의 간격에 삽입된 접착재를 경화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저항막 방식의 터치센서는 접착성 양면 테이프 대신에, 터치감지 영역 둘레에 형성된 이중의 밀봉벽과 밀봉벽 사이의 간격에 삽입된 접착재를 구비한다. 상기의 겹합구조는 접착면적을 확대하여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견고하게 결합시키고, 이중의 밀봉벽은 외부의 이물질이 터치영역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 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항막 방식의 터치센서 제조방법은, 접착성 양면 테이프로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하는 번잡한 공정을 인쇄공정으로 단순화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의 일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의 터치센서는 저항성막이 코팅된 판형상의 제1부재(10)와, 제1부재(10)와 일정한 간격으로 분리되어 배치된 판형상의 가요성 제2부재(30)와, 제1부재(10)의 터치 감지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간격스페이서(40)를 포함한다. 제1부재(10)와 제2부재(30) 사이에는 터치영역으로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제1부재(10)와 제2부재(30)를 결합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1밀봉벽(51)과 제2밀봉벽(52)이 고정되어 있다. 제1밀봉벽(51)과 제2밀봉벽(52)은 제1부재(10)의 터치영역과 가장자리 사이에 일정한 간격(55)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2부재(30)에 도포된 접착재(60)가 제1밀봉벽(51)과 제2밀봉벽(52) 사이의 간격(55)에 삽입되어 제1부재(10)와 제2부재(30)를 결합시킨다.
도3을 참조하면, 제1밀봉벽(51)과 제2밀봉벽(52)은 제1부재(10)에 간격스페이서(40)를 인쇄할 때 동시에 인쇄하고 UV 경화시켜서 형성한다. 제1밀봉벽(51)과 제2밀봉벽(52)의 높이는, 간격스페이서(40)의 높이는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간격스페이서(40) 보다 약간 높게할 수도 있다.
터치 센서의 제1부재(10)와 제2부재(30)를 결합하기 위하여, 가장자리에 접착재(60)가 인쇄된 제2부재(30)를 제1부재의 상부에 적층하고 가압할 때, 제1밀봉벽(51)과 제2밀봉벽(52) 사이의 간격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가 없을 경우, 접착제(60)가 제1밀봉벽(51)과 제2밀봉벽(52) 사이의 간격으로 잘 삽입되지 못하게 된다. 도4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2밀봉벽(52)이 둘레를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일부가 제거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1밀봉벽(51)과 제2밀봉벽(52) 사이의 공기를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53)가 형성된 형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항막 방식의 터치센서의 다른 실시예로, 제1부재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서 복수의 밀봉벽(54)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5에 도시된 형태의 제1부재를 사용하는 터치센서는, 복수의 밀봉벽(54)에 대응하는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서 접착제가 도포된 제2부재를 제1부재의 복수의 밀봉벽 사이의 간격(56)에 삽입되도록 하여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한다. 복수의 밀봉벽(54)은 제1 부재(10)에 간격스페이서(40)를 인쇄할 때 동시에 인쇄하고 UV 경화시켜서 형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실시의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부재(10)로 유리나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하부기판을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저항막이 코팅된 투명한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먼저 제1부재(10)의 가장자리에서 단자가 연결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가장자리 부분의 저항성 막을 에칭에 의하여 제거한다. 도 6의 (a)에 도 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발명자가 발명한 저항패턴 방식의 터치센서에 사용되는 선형의 저항패턴(11)을 에칭한 것을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4선 방식이나 5선 방식의 저항막 터치 센서의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의 적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6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부재(10)의 가장자리에는 제1밀봉벽(51)과 제2밀봉벽(52)을, 터치 감지영역(150)에는 제2부재(30)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스페이서(40)를 인쇄에 의하여 동시에 형성한다. 밀봉벽(51, 52) 및/또는 간격스페이서(4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밀봉벽(51, 52)들과 간격스페이서(40)는 아크릴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스크린 프린팅, 오프셋 프린팅, 스텐실링(stenciling), 사진 석판술, 잉크젯 프린팅 등과 같은 방법으로 적당한 높이가 되도록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제1밀봉벽(51)과 제2밀봉벽(52) 사이의 간격(55)은 0.5 내지 1 mm 범위이고, 높이는 10 내지 100 미크론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스페이서(40)는 직경이 1 내지 100 미크론, 높이는 5 내지 50 미크론의 범위이고, 간격스페이서(40) 사이의 간격은 약 1 센티미터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에 의하여 형성된 가장자리에 형성된 밀봉벽(51, 52)과 터치 감지영역에 형성된 간격스페이서(40)는 자외선에 노출시켜서 경화시킨다.
다음으로, 도 6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부재(30)의 가장자리에 접착재(60)를 인쇄에 의하여 도포한다. 접착재(60)로 제1 및 제2 밀봉벽(51, 52)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접착재(60)는 제2부재(30)가 제1부재(10)에 결합 될 때 제1밀봉벽(51)과 제2밀봉벽(52) 사이의 간격(55)에 대응하는 위치에 인쇄에 의하여 도포한다. 제2부재(30)의 저항성 막(31)이 코팅된 면이 제1부재(110)의 저항성 막(11)이 코팅된 면을 향하도록 제2부재(30)를 제1부재(110)의 상부에 배치하다.
다음으로, 도 6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부재(30)에 도포된 접착재(60)가 제1부재(10)의 제1 및 제2 밀봉벽(51, 52) 사이의 간격(55)으로 삽입되도록 제2부재(30)를 가압한다. 접착재(60)로 아크릴을 사용한 경우에는 자외선 접착재(60)를 자외선에 노출시켜서 경화시킨다. 제1 및 제2밀봉벽(51, 52)은 제1부재에 고정되어 있고, 제2부재(30)에 도포된 접착재(60)가 제1 및 제2 밀봉벽(51, 52) 사이의 간격(55)으로 삽입되어 경화되면서 제1부재(10)와 제2부재(30)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 및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터치센서는 휴대폰, 네비게이션 장치, 노트북과 같은 전자 장치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터치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의 일실시예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의 제1부재에 형성된 제1밀봉벽 및 제2밀봉벽의 일실시예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의 제1부재에 형성된 제1밀봉벽 및 제2밀봉벽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의 제1부재에 형성된 복수의 밀봉벽을 도시하는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의 제조방법의 설명도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제1부재 11, 31 저항성 막
20 접착성 밀봉부재 30 제2부재
40 스페이서
51 제1밀봉벽 52 제2밀봉벽
54 복수의 밀봉벽
150 터치영역

Claims (17)

  1.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일정한 간격으로 분리되어 배치된 가요성 제2부재와, 제1부재의 터치 감지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간격스페이서와,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가장자리가 결합된 저항막 방식의 터치센서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가장자리와 터치 감지영역 사이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이에 고정된 제1 밀봉벽과, 상기 제1 밀봉벽과 일정거리 외측으로 이격되어 고정된 제2밀봉벽과, 상기 제1 밀봉벽과 제2 밀봉벽 사이의 간격에 삽입된 접착재를 더 포함하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봉벽은 일부가 제거되어, 제1밀봉벽과 제2 밀봉벽 사이의 간격으로 접착재가 삽입될 때 내부의 공기가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된 저항막 방식의 터치센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벽 및 제2 밀봉벽은 상기 제1부재에서 제2부재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된 저항막 방식의 터치센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봉벽과 제2 밀봉벽은 제1 부재에 상기 복수의 간격스페이서를 인쇄에 의하여 형성할 때 동시에 형성되고, 상기 접착재는 제2부재에 인쇄에 의하여 접착재를 도포한 후에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적층하여 제1밀봉벽과 제2밀봉벽 사이에 삽입된 저항막 방식의 터치센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봉벽, 제2밀봉벽, 접착재는 아크릴을 포함하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센서.
  6.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일정한 간격으로 분리되어 배치된 가요성 제2부재와, 제1부재의 터치 감지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간격스페이서와,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가장자리가 결합된 저항막 방식의 터치센서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가장자리와 터치 감지영역 사이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이에 고정된 복수의 밀봉벽과, 상기 복수의 밀봉벽 사이의 간격에 삽입된 접착재를 더 포함하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센서.
  7. 제6항에 있어서,
    밀봉벽은 제1 부재에 상기 복수의 간격스페이서를 인쇄에 의하여 형성할 때 동시에 형성되고, 상기 접착재는 제2부재에 인쇄에 의하여 접착재를 도포한 후에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적층하여 복수의 제2밀봉벽 사이에 삽입된 저항막 방식의 터 치센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밀봉벽 및 접착재는 아크릴을 포함하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센서.
  9. 저항성 막이 코팅된 제1부재의 가장자리와 터치감지 영역 사이의 둘레를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제1밀봉벽 및 제2 밀봉벽을 형성하는 단계와,
    저항성 막이 코팅된 가요성 제2부재의 가장자리와 터치 영역 사이의 제1밀봉벽과 제2밀봉벽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위치에 접착재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제2부재에 도포된 접착재가 상기 제1밀봉벽과 제2밀봉벽 사이의 간격에 삽입되도록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센서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벽과 제2 밀봉벽은 인쇄에 의하여 형성하고, 인쇄된 제1밀봉벽 및 제2밀봉벽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센서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를 인쇄에 의하여 도포하고,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한 후에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센서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봉벽, 제2밀봉벽, 및 접착제는 아크릴을 포함하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센서 제조방법.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밀봉벽은 제1밀봉벽의 외측에 위치하고, 제1밀봉벽과 제2 밀봉벽 사이의 간격으로 접착재가 삽입될 때 내부의 공기가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제2밀봉벽의 일부가 제거된 저항막 방식의 터치센서 제조방법.
  14. 저항성 막이 코팅된 제1부재의 가장자리와 터치감지 영역 사이의 둘레를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밀봉벽을 형성하는 단계와,
    저항성 막이 코팅된 가요성 제2부재의 가장자리와 터치감지 영역 사이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복수의 밀봉벽과 대응하는 위치에 연속적으로 접착재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제2부재에 도포된 접착재가 상기 복수의 밀봉벽 사이의 간격에 삽입되도록 하여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센서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벽은 인쇄에 의하여 형성하고, 인쇄된 복수의 밀봉벽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센서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인쇄에 이하여 도포하고,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한 후에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센서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벽 및 접착제는 아크릴을 포함하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센서 제조방법.
KR1020080125902A 2008-12-11 2008-12-11 터치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673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902A KR20100067367A (ko) 2008-12-11 2008-12-11 터치센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902A KR20100067367A (ko) 2008-12-11 2008-12-11 터치센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367A true KR20100067367A (ko) 2010-06-21

Family

ID=42366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902A KR20100067367A (ko) 2008-12-11 2008-12-11 터치센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73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8536A (ko) * 2014-02-20 2015-08-28 헹하오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터치 디스플레이
US9372364B2 (en) 2013-09-03 2016-06-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72364B2 (en) 2013-09-03 2016-06-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098536A (ko) * 2014-02-20 2015-08-28 헹하오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터치 디스플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3850B2 (en) Touch screen and manufacturing method
CN102455821B (zh) 输入装置及输入装置的制造方法
US9207819B2 (en) Touch sensing display panel and touch sens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JP5618581B2 (ja) プロテクターウィンドを有するタッチスクリーンモジュール
US20110005662A1 (en) Method for Fabricating Multilayer Panels
JP5134327B2 (ja) 表示装置
TWI484878B (zh) A bonded structure, a touch display with a bonded structure and a method of fitting it
TWI599923B (zh) 觸控面板之製造方法
CN111966244A (zh) 触控显示屏及其贴合方法
EP3229117B1 (en) Touch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unit thereof
KR20150145211A (ko) 터치 패널용 윈도우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윈도우
KR100950194B1 (ko) 터치 패널
JP2005115729A (ja) 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1944880B1 (ko) 터치 기판, 터치 패널 및 이를 갖는 터치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67367A (ko) 터치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0942742B1 (ko) 터치 패널
CN101251782B (zh) 一种触控面板及应用其的显示器
KR102153975B1 (ko) 터치 스크린 본딩 부재 및 그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표시패널 제조방법
JP2015049847A (ja) 入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携帯機器
KR101336252B1 (ko) 접촉위치와 누름힘 측정용 터치입력구조 및 그 제조방법
JP2004302546A (ja) タッチパネル
KR101356777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00049204A (ko) 터치센서 및 그 제조방법
JP4346437B2 (ja) パネル型入力装置及び接着構造
KR100469357B1 (ko) 터치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