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7366A - 터치센서용 키 유닛 및 센싱유닛 - Google Patents

터치센서용 키 유닛 및 센싱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7366A
KR20100067366A KR1020080125901A KR20080125901A KR20100067366A KR 20100067366 A KR20100067366 A KR 20100067366A KR 1020080125901 A KR1020080125901 A KR 1020080125901A KR 20080125901 A KR20080125901 A KR 20080125901A KR 20100067366 A KR20100067366 A KR 20100067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key
sensing
user
meta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8724B1 (ko
Inventor
백운호
박인식
김성원
Original Assignee
한울정보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울정보기술(주) filed Critical 한울정보기술(주)
Priority to KR1020080125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724B1/ko
Publication of KR20100067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17/9622Capacitive touch switches using a plurality of detector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2017/9602Touch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shape of the sensing electrodes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센서용 키 유닛 및 센싱유닛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황에 따라, <키 패턴의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을 추가로 접촉·배치시켜, 해당 키 패턴의 터치위치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를 대폭 축소시키는 조치>, <센싱패턴의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을 추가로 접촉·배치시켜, 해당 센싱패턴의 터치위치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를 대폭 축소시키는 조치> 등을 탄력적으로 응용·구현하고, 이를 통해, 키 패턴, 센싱패턴 등이 필요한 만큼의 자체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별다른 문제점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 또는 감지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 종래와 달리, 자신의 제어의사(터치동작)를 전자기기 측에 정확하게 전달/접수시키면서, 해당 전자기기를 보다 원활하게 소비/향유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센서용 키 유닛 및 센싱유닛{Key unit and sensing unit for a touch sensor}
본 발명은 터치센서용 키 유닛 및 센싱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키 패턴의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을 추가로 접촉·배치시켜, 해당 키 패턴의 터치위치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를 대폭 축소시키는 조치>, <센싱패턴의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을 추가로 접촉·배치시켜, 해당 센싱패턴의 터치위치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를 대폭 축소시키는 조치> 등을 탄력적으로 응용·구현하고, 이를 통해, 키 패턴, 센싱패턴 등이 필요한 만큼의 자체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별다른 문제점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 또는 감지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 종래와 달리, 자신의 제어의사(터치동작)를 전자기기 측에 정확하게 전달/접수시키면서, 해당 전자기기를 보다 원활하게 소비/향유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터치센서용 키 유닛 및 센싱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전자 및 통신 관련 기술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면서, 터치센서, 예컨대,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일련의 <사용자/전자기기 간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활용하는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폭 넓게 개발·보급되고 있다.
통상, 이러한 전자기기들에 구비되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터치센서, 예컨대,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유닛(1), 센싱유닛(4), 백 라이트 유닛, 인쇄회로기판(7)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터치센서(10)에 채용되는 백 라이트 유닛으로는 자체 발광이 가능한 이엘 시트(6:EL sheet: Electro Luminescence sheet)(도 1에 도시됨), 또는, 광원(9a)(예컨대, LED)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선을 키 유닛(1) 쪽으로 면 발광시키는 LGP(Light Guide Panel), LGF(Light Guide Film) 등의 도광체(9)(도 2에 도시됨)가 융통성 있게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센싱유닛(4)에 구비된 다수의 정전용량 센싱패턴(3)들은 전기연결 라인(5)들을 통해, 전자기기 측 인쇄회로기판(7)의 컨트롤 서킷(7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면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일부, 예컨대, 손가락을 통해, 키 유닛(1)에 구비된 키 패턴(2)들을 터치하고, 이에 기인하여, <자신과 연결된 전자기기 내의 회로단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일련의 정전용량 변화(즉,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해당 정전용량의 변화를 면밀하게 센싱한 후, 그에 상응하는 센싱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센싱신호를 인쇄회로기판(7)의 컨트롤 서킷(7a)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여기서, 앞의 백라이트 유닛, 예를 들어, 이엘 시트(6), 도광체(9) 등은 전 자기기 측으로부터 일련의 전기적인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또는, 광원(9a)으로부터 광선이 출력되는 경우, 그에 따라, 일련의 발광상태를 이루어, 키 유닛(1)의 후광으로 작용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 예컨대, 야간, 흐린 날씨 등의 어두운 환경 하에서도, 밝게 활성화된 키 패턴(2)들을 적절히 확인하면서,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전자기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터치센서(10)는 키 유닛(1)에 구비된 키 패턴(2)을 터치하는 사용자 측 동작을 시발점으로 하여, 일련의 사용자/전자기기 간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키 패턴(2)이 얼마만큼 정확하게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체크/접수할 수 있겠느냐 하는 문제점>은 터치센서(10)의 전체적인 성능을 결정짓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키 패턴(2)은 사용자 측의 터치 편의성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불가피하게 유지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그 터치위치 A1,A2,A3,A4에 따라, 일련의 전위차(또는, 저항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어쩔 수 없이 나타낼 수밖에 없게 된다.
물론, 이처럼, 키 패턴(2)의 터치위치 A1,A2,A3,A4에 따라, 일련의 전위차(또는, 저항차)가 발생하는 상황 하에서, 사용자 측에서는 여러 노력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터치동작을 전자기기 측에 좀더 정확하게 전달/접수시킬 수 없게 되며, 결국, 전체적인 전자기기 사용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심각한 상황에 직면할 수밖에 없게 된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센싱유닛(4)에 구비된 센싱패턴(3) 역시, 키 패턴(2)을 터치하는 사용자 측 동작을 시발점으로 하여, 일련의 사용자/전자기기 간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센싱패턴(3)이 얼마만큼 정확하게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체크/감지할 수 있겠느냐 하는 문제점> 또한 터치센서(10)의 전체적인 성능을 결정짓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센싱패턴(3) 역시, 기본적인 감지기능 실행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불가피하게 유지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그 터치위치 B1,B2,B3,B4에 따라, 일련의 전위차(또는, 저항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어쩔 수 없이 나타낼 수밖에 없게 된다.
물론, 이처럼, 센싱패턴(3)의 터치위치 B1,B2,B3,B4에 따라, 일련의 전위차(또는, 저항차)가 발생하는 상황 하에서도, 사용자 측에서는 여러 노력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터치동작을 전자기기 측에 좀더 정확하게 전달/접수시킬 수 없게 되며, 결국, 전체적인 전자기기 사용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심각한 상황에 직면할 수밖에 없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여러 가지 악조건 하에서, 생산자(전자기기 생산자, 터치센서 생산자 등) 측에서는, 품질의 고급화를 요구하는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없게 됨으로써,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크게 떨어지는 피해를 고스란히 입을 수밖에 없게 되며, 사용자 측 역시, 전체적인 전자기기의 사용품질이 크게 낮아지는 피해를 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키 패턴의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을 추가로 접촉·배치시켜, 해당 키 패턴의 터치위치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를 대폭 축소시키는 조치>, <센싱패턴의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을 추가로 접촉·배치시켜, 해당 센싱패턴의 터치위치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를 대폭 축소시키는 조치> 등을 탄력적으로 응용·구현하고, 이를 통해, 키 패턴, 센싱패턴 등이 필요한 만큼의 자체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별다른 문제점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 또는 감지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 종래와 달리, 자신의 제어의사(터치동작)를 전자기기 측에 정확하게 전달/접수시키면서, 해당 전자기기를 보다 원활하게 소비/향유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좀더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자기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센싱패턴을 구비한 센싱유닛과 연계 동작하는 터치센서용 키 유닛에 있어서, 기저체와; 상기 기저체에 배열된 상태에서, 사용자 측 터치영역을 정의하는 다수의 키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각 키 패턴의 테두리에는 고전도성 금속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용 키 유닛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전자기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키 패턴을 구비한 키 유닛과 연계 동작하는 터치센서용 센싱유닛에 있어서, 기저체와; 상기 기저체에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키 패턴을 터치하는 사용자 측 동작에 기인한 상기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를 센싱하고, 해당 센싱신호를 상기 전자기기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측으로 전달하는 다수의 센싱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각 센싱패턴의 테두리에는 고전도성 금속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용 센싱유닛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황에 따라, <키 패턴의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을 추가로 접촉·배치시켜, 해당 키 패턴의 터치위치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를 대폭 축소시키는 조치>, <센싱패턴의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을 추가로 접촉·배치시켜, 해당 센싱패턴의 터치위치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를 대폭 축소시키는 조치> 등을 탄력적으로 응용·구현시키기 때문에, 본 발명의 본격적인 실시환경 하에서, 키 패턴, 센싱패턴 측에서는 필요한 만큼의 자체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별다른 문제점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 또는 감지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사용자 측에서는 종래와 달리, 자신의 제어의사(터치동작)를 전자기기 측에 정확하게 전달/접수시키면서, 해당 전자기기를 보다 원활하게 소비/향유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센서용 키 유닛 및 센싱유닛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유형을 채용한 터치센서(100)는 예를 들어, 핸드폰, PDP, 게임기 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서로 긴밀하게 연계 동작하는 키 유닛(120), 센싱유닛(130), 전기발광 시트(141), 인쇄회로기판(300)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여, 일련의 <사용자/전자기기 간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써, 활발하게 작용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키 유닛(120)은 키 패턴(12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키 패드(121)와, 이 키 패드(121)의 전면에 배열된 상태에서, 소정의 문자, 숫자 등을 가시적으로 표현하면서, 사용자 측 터치영역을 정의하는 다수의 키 패턴(122)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키 패드(121)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아크릴계 필름 등이 선택될 수 있으며, 키 패턴(122)으로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 예컨대, 페돗 패턴(PEDOT pattern: Poly Ethylene DiOxty Thiospnene pattern)이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센싱유닛(130)은 센싱패턴(13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센싱패드(131)와, 이 센싱패드(131)의 전면에 배열된 상태에서, 전기연결 라인(133)들을 통해, 인쇄회로기판(300)의 컨트롤 서킷(30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는 센싱패턴(132)들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센싱패드(131)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아크릴계 필름 등이 선택될 수 있으며, 센싱패턴(132)으로는 투명 전도성 재질(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의 패턴, 바람직하게, ITO 패턴 또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 예컨대, 페돗 패턴(PEDOT pattern: Poly Ethylene DiOxty Thiospnene pattern)이 융통성 있게 선택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센싱패턴(132)들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일부, 예컨대, 손가락을 통해, 키 유닛(120) 측 키 패턴(122)들을 터치하고, 이에 기인하여, <자신(132)과 연결된 전자기기 내의 회로단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일련의 정전용량 변화(즉,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해당 정전용량의 변화를 면밀하게 센싱한 후, 그에 상응하는 센싱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센싱신호를 인쇄회로기판(300)의 컨트롤 서킷(300a)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때, 앞의 전기발광 시트(141), 예를 들어, 이엘 시트는 전자기기 측으로부터 일련의 전기적인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그에 따라, 자체적인 발광상태를 이루어, 키 패턴(122)의 발광을 위한 백 라이트로 작용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 예컨대, 야간, 흐린 날씨 등의 어두운 환경 하에서도, 밝게 활성화된 키 패턴(122)들을 적절히 확인하면서,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전자기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센서(100)는 키 유닛(120)에 구비된 키 패턴(122)을 터치하는 사용자 측 동작을 시발점으로 하여, 일련의 사용자/전자기기 간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키 패턴(122)이 얼 마만큼 정확하게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체크/접수할 수 있겠느냐 하는 문제점>은 터치센서(100)의 전체적인 성능을 결정짓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키 패턴(122: 예컨대, 페돗 패턴)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물론, 이처럼,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키 패턴(12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 각 키 패턴(122)의 터치위치 A1,A2,A3,A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키 패턴(122) 측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편의성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A1,A2,A3,A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사용자 측에서는 종래와 달리, 자신의 제어의사(터치동작)를 전자기기 측에 보다 정확하게 전달/접수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전자기기 사용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되며, 생산자(전자기기 생산자, 터치센서 생산자 등) 측 역시, 품질의 고급화를 요구하는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폭 넓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센싱유닛(130)에 구비된 센싱패턴(132) 역시, 키 패턴(122)을 터치하는 사용자 측 동작을 시발점으로 하여, 일련의 사용자/전자기기 간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센싱패턴(132)이 얼마만큼 정확하게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체크/감지할 수 있겠느냐 하는 문제점> 또한 터치센서(100)의 전체적인 성능을 결정짓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에서, 앞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각 센싱패턴(13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34)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34)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센싱패턴(132: 예컨대, ITO 패턴, 페돗 패턴 등)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물론, 이처럼, 센싱패턴(13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센싱패턴(13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34)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 상황 하에서, 각 센싱패턴(132)의 터치위치 B1,B2,B3,B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34)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센싱패턴(132) 측에서는 기본적인 감지기능 실행을 위 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B1,B2,B3,B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도, 사용자 측에서는 종래와 달리, 자신의 제어의사(터치동작)를 전자기기 측에 보다 정확하게 전달/접수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전자기기 사용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되며, 생산자(전자기기 생산자, 터치센서 생산자 등) 측 역시, 품질의 고급화를 요구하는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폭 넓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유형 하에서, 터치센서(101)는 서로 긴밀하게 연계 동작하는 키 유닛(120a), 센싱유닛(130a), 도광체(151), 인쇄회로기판(300)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앞의 도광체(151), 예컨대, LGP(Light Guide Panel), LGF(Light Guide Film) 등은 광원(155: 예컨대, LED)으로부터 광선이 출력되는 경우, 그에 따라, 일련의 면 발광상태를 형성하여, 키 유닛(120a)에 구비된 키 패턴(122)의 백 라이트로 작용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 예컨대, 야간, 흐린 날씨 등의 어두운 환경 하에서도, 밝게 활성화된 키 패턴(122)들을 적절히 확인하면서,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전자기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변화된 환경(즉, 도 3의 전기발광 시트(141)가 도 4의 도광 체(151)로 변화된 환경) 하에서도, 본 발명에서는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키 패턴(122: 예컨대, 페돗 패턴)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센싱패턴(13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34)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도 동일하게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34)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센싱패턴(132: 예컨대, ITO 패턴, 페돗 패턴 등)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이처럼,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키 패턴(12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키 패턴(122)의 터치위치 A1,A2,A3,A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키 패턴(122) 측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편의성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A1,A2,A3,A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센싱패턴(13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센싱패턴(13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34)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센싱패턴(132)의 터치위치 B1,B2,B3,B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센싱패턴(132) 측에서는 기본적인 감지기능 실행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B1,B2,B3,B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환경 하에서도, 사용자 측에서는 종래와 달리, 자신의 제어의사(터치동작)를 전자기기 측에 보다 정확하게 전달/접수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전자기기 사용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되며, 생산자(전자기기 생산자, 터치센서 생산자 등) 측 역시, 품질의 고급화를 요구하는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폭 넓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유형을 채용한 터치센서(102)는 예를 들어, 핸드폰, PDP, 게임기 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서로 긴밀하게 연계 동작하는 키 유닛(120b), 센싱유닛(130b), 전기발광 시트(140), 인쇄회로기판(300)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여, 일련의 <사용 자/전자기기 간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써, 활발하게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키 유닛(120b) 및 센싱유닛(130b)을 이루는 키 패턴(122) 및 센싱패턴(124)들은 키 패드(121)를 기저체로 공유하면서, 해당 키 패드(121)의 전·후면을 각기 점유하는 구조를 취하게 되며, 결국, 이러한 구조 하에서, 키 패드(121)는 키 수단으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까지도 융통성 있게 동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키 유닛(120b)은 키 패턴(12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키 패드(121)와, 이 키 패드(121)의 전면에 배열된 상태에서, 소정의 문자, 숫자 등을 가시적으로 표현하면서, 사용자 측 터치영역을 정의하는 다수의 키 패턴(122)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키 패드(121)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아크릴계 필름 등이 선택될 수 있으며, 키 패턴(122)으로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 예컨대, 페돗 패턴(PEDOT pattern: Poly Ethylene DiOxty Thiospnene pattern)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싱유닛(130b)은 센싱패턴(124)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키 패드(121)와, 이 키 패드(121)의 후면에 배열된 상태에서, 전기연결 라인(125)들을 통해, 인쇄회로기판(300)의 컨트롤 서킷(30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는 센싱패턴(124)들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센싱패턴(124)으로는 투명 전도성 재질(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의 패턴, 바람직하게, ITO 패턴 또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 예컨대, 페돗 패턴(PEDOT pattern: Poly Ethylene DiOxty Thiospnene pattern)이 선 택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센싱패턴(124)들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일부, 예컨대, 손가락을 통해, 키 유닛(120b) 측 키 패턴(122)들을 터치하고, 이에 기인하여, <자신(131)과 연결된 전자기기 내의 회로단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일련의 정전용량 변화(즉,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해당 정전용량의 변화를 면밀하게 센싱한 후, 그에 상응하는 센싱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센싱신호를 인쇄회로기판(300)의 컨트롤 서킷(300a)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때에도, 앞의 전기발광 시트(141), 예를 들어, 이엘 시트는 전자기기 측으로부터 일련의 전기적인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그에 따라, 자체적인 발광상태를 이루어, 키 패턴(122)의 발광을 위한 백 라이트로 작용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 예컨대, 야간, 흐린 날씨 등의 어두운 환경 하에서도, 밝게 활성화된 키 패턴(122)들을 적절히 확인하면서,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전자기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변화된 환경(즉, 키 유닛(120b) 및 센싱유닛(130b)이 키 패드(121)를 기저체로 공유하는 변화된 환경) 하에서도, 본 발명에서는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 에 놓인 키 패턴(122: 예컨대, 페돗 패턴)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센싱패턴(124)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26)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도 동일하게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26)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센싱패턴(124: 예컨대, ITO 패턴, 페돗 패턴 등)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이처럼,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키 패턴(12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키 패턴(122)의 터치위치 A1,A2,A3,A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키 패턴(122) 측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편의성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A1,A2,A3,A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센싱패턴(124)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센싱패턴(124)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6)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센싱패턴(124)의 터치위치 B1,B2,B3,B4별 전위차(또 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6)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센싱패턴(124) 측에서는 기본적인 감지기능 실행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B1,B2,B3,B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환경 하에서도, 사용자 측에서는 종래와 달리, 자신의 제어의사(터치동작)를 전자기기 측에 보다 정확하게 전달/접수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전자기기 사용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되며, 생산자(전자기기 생산자, 터치센서 생산자 등) 측 역시, 품질의 고급화를 요구하는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폭 넓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유형 하에서, 터치센서(103)는 서로 긴밀하게 연계 동작하는 키 유닛(120c), 센싱유닛(130c), 도광체(151), 인쇄회로기판(300)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키 유닛(120c) 및 센싱유닛(130c)은 키 패드(121)를 기저체로 공유하면서, 해당 키 패드(121)의 전·후면을 각기 점유하는 구조를 취하게 되며, 결국, 이러한 구조 하에서, 키 패드(121)는 키 수단으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까지도 융통성 있게 동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변화된 환경(즉, 도 5의 전기발광 시트(141)가 도 6의 도광체(151)로 변화된 환경) 하에서도, 본 발명에서는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키 패턴(122: 예컨대, 페돗 패턴)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센싱패턴(124)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26)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도 동일하게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26)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센싱패턴(124: 예컨대, ITO 패턴, 페돗 패턴 등)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이처럼,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키 패턴(12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키 패턴(122)의 터치위치 A1,A2,A3,A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키 패턴(122) 측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편의성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A1,A2,A3,A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센싱패턴(124)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센싱패턴(124)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6)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센싱패턴(124)의 터치위치 B1,B2,B3,B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센싱패턴(124) 측에서는 기본적인 감지기능 실행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B1,B2,B3,B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환경 하에서도, 사용자 측에서는 종래와 달리, 자신의 제어의사(터치동작)를 전자기기 측에 보다 정확하게 전달/접수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전자기기 사용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되며, 생산자(전자기기 생산자, 터치센서 생산자 등) 측 역시, 품질의 고급화를 요구하는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폭 넓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유형을 채용한 터치센서(104)는 예를 들어, 핸드폰, PDP, 게임기 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설치된 상태에 서, 서로 긴밀하게 연계 동작하는 키 유닛(120d), 센싱유닛(130d), 인쇄회로기판(300)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여, 일련의 <사용자/전자기기 간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써, 활발하게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센싱유닛(130d)을 이루는 센싱패턴(142)들은 앞의 실시예들과 다르게, 전기발광 시트(141), 예컨대, 이엘 시트의 전면을 점유하는 변화된 구조를 취하게 되며, 결국, 이러한 구조 하에서, 전기발광 시트(141)는 기존, 백 라이트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까지도 융통성 있게 동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키 유닛(120d)은 키 패턴(12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키 패드(121)와, 이 키 패드(121)의 전면에 배열된 상태에서, 소정의 문자, 숫자 등을 가시적으로 표현하면서, 사용자 측 터치영역을 정의하는 다수의 키 패턴(122)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키 패드(121)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아크릴계 필름 등이 선택될 수 있으며, 키 패턴(122)으로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 예컨대, 페돗 패턴(PEDOT pattern: Poly Ethylene DiOxty Thiospnene pattern)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싱유닛(130d)은 센싱패턴(14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전기발광 시트(141)와, 이 전기발광 시트(141)의 전면에 배열된 상태에서, 전기연결 라인(143)들을 통해, 인쇄회로기판(300)의 컨트롤 서킷(30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는 센싱패턴(142)들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센싱패턴(142)으로는 투명 전도성 재질(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의 패턴, 바람직하게, ITO 패턴 또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 예컨대, 페돗 패턴(PEDOT pattern: Poly Ethylene DiOxty Thiospnene pattern)이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센싱패턴(14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전기발광 시트(141)(참고로, 전기발광 시트(141)는 예컨대, 도전성 투명전극층, 발광층(또는, 형광층), 절연층(또는, 유전층), 배면전극층, 보호층 등이 일체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되며, 이에 관한 세부내역은 당업계의 기술적 상식에 속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는 전자기기 측으로부터 일련의 전기적인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그에 따라, 자체적인 발광상태를 이루어, 키 패턴(122)의 발광을 위한 백 라이트로 작용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 예컨대, 야간, 흐린 날씨 등의 어두운 환경 하에서도, 밝게 활성화된 키 패턴(122)들을 적절히 확인하면서,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전자기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또한, 이 상황에서, 센싱패턴(142)들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일부, 예컨대, 손가락을 통해, 키 유닛(120d) 측 키 패턴(122)들을 터치하고, 이에 기인하여, <자신(142)과 연결된 전자기기 내의 회로단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일련의 정전용량 변화(즉,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해당 정전용량의 변화를 면밀하게 센싱한 후, 그에 상응하는 센싱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센싱신호를 인쇄회로기판(300)의 컨트롤 서킷(300a)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변화된 환경(즉, 전기발광 시트(141)가 백 라이트로써의 역할 및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을 동시 수행하는 변화된 환경) 하에서도, 본 발명에서는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키 패턴(122: 예컨대, 페돗 패턴)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센싱패턴(14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44)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도 동일하게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44)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센싱패턴(142: 예컨대, ITO 패턴, 페돗 패턴 등)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이처럼,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키 패턴(12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키 패턴(122)의 터치위치 A1,A2,A3,A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키 패턴(122) 측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편의성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A1,A2,A3,A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센싱패턴(14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센싱패턴(14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44)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센싱패턴(142)의 터치위치 B1,B2,B3,B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44)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센싱패턴(142) 측에서는 기본적인 감지기능 실행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B1,B2,B3,B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환경 하에서도, 사용자 측에서는 종래와 달리, 자신의 제어의사(터치동작)를 전자기기 측에 보다 정확하게 전달/접수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전자기기 사용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되며, 생산자(전자기기 생산자, 터치센서 생산자 등) 측 역시, 품질의 고급화를 요구하는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폭 넓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유형을 채용한 터치센서(105)는 예를 들어, 핸드폰, PDP, 게임기 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설치된 상태에 서, 서로 긴밀하게 연계 동작하는 키 유닛(120e), 센싱유닛(130e), 인쇄회로기판(300)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여, 일련의 <사용자/전자기기 간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써, 활발하게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센싱유닛(130e)을 이루는 센싱패턴(152)들은 앞의 실시예들과 다르게, 도광체(151)의 전면을 점유하는 변화된 구조를 취하게 되며, 결국, 이러한 구조 하에서, 도광체(151)는 기존, 백 라이트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까지도 융통성 있게 동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키 유닛(120e)은 키 패턴(12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키 패드(121)와, 이 키 패드(121)의 전면에 배열된 상태에서, 소정의 문자, 숫자 등을 가시적으로 표현하면서, 사용자 측 터치영역을 정의하는 다수의 키 패턴(122)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키 패드(121)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아크릴계 필름 등이 선택될 수 있으며, 키 패턴(122)으로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 예컨대, 페돗 패턴(PEDOT pattern: Poly Ethylene DiOxty Thiospnene pattern)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싱유닛(130e)은 센싱패턴(15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도광체(151)와, 이 도광체(151)의 전면에 배열된 상태에서, 전기연결 라인(153)들을 통해, 인쇄회로기판(300)의 컨트롤 서킷(30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는 센싱패턴(152)들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센싱패턴(152)으로는 투명 전도성 재질(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의 패턴, 바람직하게, ITO 패턴 또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 예 컨대, 페돗 패턴(PEDOT pattern: Poly Ethylene DiOxty Thiospnene pattern)이 선택될 수 있으며, 도광체(151)로는 예컨대, 플라스틱 사출물 형태의 LGP(Light Guide Panel),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계 수지 등과 같은 절연성 필름 형태의 LGF(Light Guide Film)가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센싱패턴(15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도광체(151)는 광원(155: 예컨대, LED)으로부터 광선이 출력되는 경우, 그에 따라, 일련의 면 발광상태를 형성하여, 키 유닛(120e)에 구비된 키 패턴(122)의 백 라이트로 작용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 예컨대, 야간, 흐린 날씨 등의 어두운 환경 하에서도, 밝게 활성화된 키 패턴(122)들을 적절히 확인하면서,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전자기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또한, 이 상황에서, 센싱패턴(152)들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일부, 예컨대, 손가락을 통해, 키 유닛(120e) 측 키 패턴(122)들을 터치하고, 이에 기인하여, <자신(152)과 연결된 전자기기 내의 회로단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일련의 정전용량 변화(즉,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해당 정전용량의 변화를 면밀하게 센싱한 후, 그에 상응하는 센싱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센싱신호를 인쇄회로기판(300)의 컨트롤 서킷(300a)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변화된 환경(즉, 도광체(151)가 백 라이트로써의 역할 및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을 동시 수행하는 변화된 환경) 하에서도, 본 발명에서 는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키 패턴(122: 예컨대, 페돗 패턴)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센싱패턴(15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도 동일하게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센싱패턴(152: 예컨대, ITO 패턴, 페돗 패턴 등)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이처럼,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키 패턴(12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키 패턴(122)의 터치위치 A1,A2,A3,A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키 패턴(122) 측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편의성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A1,A2,A3,A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센싱패턴(15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센싱패턴(15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센싱패턴(152)의 터치위치 B1,B2,B3,B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센싱패턴(152) 측에서는 기본적인 감지기능 실행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B1,B2,B3,B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환경 하에서도, 사용자 측에서는 종래와 달리, 자신의 제어의사(터치동작)를 전자기기 측에 보다 정확하게 전달/접수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전자기기 사용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되며, 생산자(전자기기 생산자, 터치센서 생산자 등) 측 역시, 품질의 고급화를 요구하는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폭 넓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 및 도 10(참고로, 도 10은 도 9를 뒤집어 보인 도면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유형을 채용한 터치센서(106)는 예를 들어, 핸드폰, PDP, 게임기 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서로 긴밀하게 연계 동작하는 키 유닛(120f), 센싱유닛(130f), 인쇄회로기판(300)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 을 취하여, 일련의 <사용자/전자기기 간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써, 활발하게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키 유닛(120f) 및 센싱유닛(130f)을 이루는 키 패턴(122) 및 센싱패턴(152)들은 도광체(151)를 기저체로 공유하면서, 해당 도광체(151)의 전·후면을 각기 점유하는 구조를 취하게 되며, 결국, 이러한 구조 하에서, 도광체(151)는 백 라이트 수단으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키 수단으로써의 역할,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까지도 융통성 있게 동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면부호 400은 광원(155)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을 도광체(151)의 전면으로 반사시켜, 해당 광선의 출력휘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반사판을 의미하며, 도면부호 401은 광원(155)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을 확산시켜, 해당 광선의 출력휘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광선확산 유도패턴을 의미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키 유닛(120f)은 키 패턴(12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도광체(151)와, 이 도광체(151)의 전면에 배열된 상태에서, 소정의 문자, 숫자 등을 가시적으로 표현하면서, 사용자 측 터치영역을 정의하는 다수의 키 패턴(122)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도 9 참조). 이 경우에도, 도광체(151)로는 예컨대, 플라스틱 사출물 형태의 LGP(Light Guide Panel),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계 수지 등과 같은 절연성 필름 형태의 LGF(Light Guide Film)가 선택될 수 있으며, 키 패턴(122)으로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 예컨대, 페돗 패턴(PEDOT pattern: Poly Ethylene DiOxty Thiospnene pattern)이 선택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센싱유닛(130f)은 센싱패턴(15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도광체(151)와, 이 도광체(151)의 후면에 배열된 상태에서, 전기연결 라인(153)들을 통해, 인쇄회로기판(300)의 컨트롤 서킷(30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는 센싱패턴(152)들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도 10 참조).
이 경우에도, 센싱패턴(152)으로는 투명 전도성 재질(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의 패턴, 바람직하게, ITO 패턴 또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 예컨대, 페돗 패턴(PEDOT pattern: Poly Ethylene DiOxty Thiospnene pattern)이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센싱패턴(15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도광체(151)는 광원(155: 예컨대, LED)으로부터 광선이 출력되는 경우, 그에 따라, 일련의 면 발광상태를 형성하여, 키 유닛(120e)에 구비된 키 패턴(122)의 백 라이트로 작용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 예컨대, 야간, 흐린 날씨 등의 어두운 환경 하에서도, 밝게 활성화된 키 패턴(122)들을 적절히 확인하면서,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전자기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센싱패턴(152)들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일부, 예컨대, 손가락을 통해, 키 유닛(120f) 측 키 패턴(122)들을 터치하고, 이에 기인하여, <자신(152)과 연결된 전자기기 내의 회로단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일련의 정전용량 변화(즉,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해당 정전용량의 변화를 면밀하게 센싱한 후, 그에 상응하는 센싱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센싱신 호를 인쇄회로기판(300)의 컨트롤 서킷(300a)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변화된 환경(즉, 키 유닛(120f) 및 센싱유닛(130f)이 도광체(151)를 기저체로 공유하는 변화된 환경) 하에서도, 본 발명에서는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키 패턴(122: 예컨대, 페돗 패턴)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센싱패턴(15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도 동일하게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센싱패턴(152: 예컨대, ITO 패턴, 페돗 패턴 등)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이처럼,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키 패턴(12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키 패턴(122)의 터치위치 A1,A2,A3,A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 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키 패턴(122) 측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편의성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A1,A2,A3,A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센싱패턴(15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센싱패턴(15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센싱패턴(152)의 터치위치 B1,B2,B3,B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센싱패턴(152) 측에서는 기본적인 감지기능 실행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B1,B2,B3,B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환경 하에서도, 사용자 측에서는 종래와 달리, 자신의 제어의사(터치동작)를 전자기기 측에 보다 정확하게 전달/접수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전자기기 사용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되며, 생산자(전자기기 생산자, 터치센서 생산자 등) 측 역시, 품질의 고급화를 요구하는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폭 넓게 향유할 수 있게 된 다.
한편, 도 11 및 도 12(참고로, 도 12는 도 11을 뒤집어 보인 도면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유형을 채용한 터치센서(107)는 예를 들어, 핸드폰, PDP, 게임기 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서로 긴밀하게 연계 동작하는 키 유닛(120g), 센싱유닛(130g), 인쇄회로기판(300)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여, 일련의 <사용자/전자기기 간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써, 활발하게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키 유닛(120g) 및 센싱유닛(130g)을 이루는 키 패턴(122) 및 센싱패턴(152)들은 각기 위·아래로 누적 배치된 제 1 및 제 2 도광체(151,156)를 기저체로 활용하면서, <제 1 도광체(151)의 전면을 점유하는 구조>(키 패턴(122)의 경우)(도 11 참조), <제 2 도광체(156)의 후면을 점유하는 구조>(센싱패턴(152)의 경우)(도 12 참조)를 취하게 되며, 결국, 이러한 구조 하에서, 제 1 및 제 2 도광체(151,156)는 각기 백 라이트 수단으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키 수단으로써의 역할>,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까지도 융통성 있게 동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면부호 400은 광원(155)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을 제 1 및 제 2 도광체(151,156)의 전면으로 반사시켜, 해당 광선의 출력휘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반사판을 의미하고, 도면부호 401은 광원(155)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을 확산시켜, 해당 광선의 출력휘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광선확산 유도패턴을 의미하며, 도면부호 157,158은 광원(155)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을 키 패 턴(122)들로 집중·출력시키는 광선집중 유도패턴을 의미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키 유닛(120g)은 키 패턴(12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제 1 도광체(151)와, 이 제 1 도광체(151)의 전면에 배열된 상태에서, 소정의 문자, 숫자 등을 가시적으로 표현하면서, 사용자 측 터치영역을 정의하는 다수의 키 패턴(122)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도 11 참조). 이 경우에도, 제 1 도광체(151)로는 예컨대, 플라스틱 사출물 형태의 LGP(Light Guide Panel),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계 수지 등과 같은 절연성 필름 형태의 LGF(Light Guide Film)가 선택될 수 있으며, 키 패턴(122)으로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 예컨대, 페돗 패턴(PEDOT pattern: Poly Ethylene DiOxty Thiospnene pattern)이 선택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센싱유닛(130g)은 센싱패턴(15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제 2 도광체(156)와, 이 제 2 도광체(156)의 후면에 배열된 상태에서, 전기연결 라인(153)들을 통해, 인쇄회로기판(300)의 컨트롤 서킷(30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는 센싱패턴(152)들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도 12 참조).
이 경우에도, 센싱패턴(152)으로는 투명 전도성 재질(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의 패턴, 바람직하게, ITO 패턴 또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 예컨대, 페돗 패턴(PEDOT pattern: Poly Ethylene DiOxty Thiospnene pattern)이 선택될 수 있으며, 제 2 도광체(156)로는 예컨대, 플라스틱 사출물 형태의 LGP(Light Guide Panel),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계 수지 등과 같은 절연성 필름 형태의 LGF(Light Guide Film)가 융통성 있게 선택될 수 있다.
이때, <키 패턴(12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제 1 도광체(151)> 및 <센싱패턴(15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제 2 도광체(156)>는 광원(155: 예컨대, LED)으로부터 광선이 출력되는 경우, 그에 따라, 일련의 면 발광상태를 형성하여, 키 유닛(120g)에 구비된 키 패턴(122)의 백 라이트로 작용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 예컨대, 야간, 흐린 날씨 등의 어두운 환경 하에서도, 밝게 활성화된 키 패턴(122)들을 적절히 확인하면서,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전자기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센싱패턴(152)들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일부, 예컨대, 손가락을 통해, 키 유닛(120g) 측 키 패턴(122)들을 터치하고, 이에 기인하여, <자신(152)과 연결된 전자기기 내의 회로단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일련의 정전용량 변화(즉,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해당 정전용량의 변화를 면밀하게 센싱한 후, 그에 상응하는 센싱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센싱신호를 인쇄회로기판(300)의 컨트롤 서킷(300a)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변화된 환경(즉, 키 유닛(120g) 및 센싱유닛(130g)이 제 1 도광체(151) 및 제 2 도광체(156)를 기저체로 활용하는 변화된 환경) 하에서도, 본 발명에서는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 성 금속라인(123)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키 패턴(122: 예컨대, 페돗 패턴)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센싱패턴(15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도 동일하게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센싱패턴(152: 예컨대, ITO 패턴, 페돗 패턴 등)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이처럼,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키 패턴(12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키 패턴(122)의 터치위치 A1,A2,A3,A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키 패턴(122) 측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편의성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A1,A2,A3,A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센싱패턴(15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센싱패턴(15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센싱패턴(152)의 터치위치 B1,B2,B3,B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센싱패턴(152) 측에서는 기본적인 감지기능 실행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B1,B2,B3,B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환경 하에서도, 사용자 측에서는 종래와 달리, 자신의 제어의사(터치동작)를 전자기기 측에 보다 정확하게 전달/접수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전자기기 사용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되며, 생산자(전자기기 생산자, 터치센서 생산자 등) 측 역시, 품질의 고급화를 요구하는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폭 넓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유형을 채용한 터치센서(108)는 예를 들어, 핸드폰, PDP, 게임기 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서로 긴밀하게 연계 동작하는 키 유닛(120h), 센싱유닛(130h), 인쇄회로기판(300)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여, 일련의 <사용자/전자기기 간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써, 활발하게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키 유닛(120h) 및 센싱유닛(130h)을 이루는 키 패턴(122) 및 센싱패턴(152)들은 각기 위·아래로 누적 배치된 제 1 및 제 2 도광체(151,156)를 기저체로 활용하면서, <제 1 도광체(151)의 전면을 점유하는 구조>(키 패턴(122)의 경우), <제 2 도광체(156)의 전면을 점유하는 구조>(센싱패턴(152)의 경우)를 취하게 되며, 결국, 이러한 구조 하에서, 제 1 및 제 2 도광체(151,156)는 각기 백 라이트 수단으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키 수단으로써의 역할>, <정전용량 센싱수단으로써의 역할>까지도 융통성 있게 동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면부호 400은 광원(155)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을 제 1 및 제 2 도광체(151,156)의 전면으로 반사시켜, 해당 광선의 출력휘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반사판을 의미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키 유닛(120h)은 키 패턴(12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제 1 도광체(151)와, 이 제 1 도광체(151)의 전면에 배열된 상태에서, 소정의 문자, 숫자 등을 가시적으로 표현하면서, 사용자 측 터치영역을 정의하는 다수의 키 패턴(122)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제 1 도광체(151)로는 예컨대, 플라스틱 사출물 형태의 LGP(Light Guide Panel),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계 수지 등과 같은 절연성 필름 형태의 LGF(Light Guide Film)가 선택될 수 있으며, 키 패턴(122)으로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 예컨대, 페돗 패턴(PEDOT pattern: Poly Ethylene DiOxty Thiospnene pattern)이 선택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센싱유닛(130h)은 센싱패턴(152)의 기저체로 작 용하는 제 2 도광체(156)와, 이 제 2 도광체(156)의 전면에 배열된 상태에서, 전기연결 라인(153)들을 통해, 인쇄회로기판(300)의 컨트롤 서킷(30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는 센싱패턴(152)들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센싱패턴(152)으로는 투명 전도성 재질(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의 패턴, 바람직하게, ITO 패턴 또는 전도성 폴리머 패턴, 예컨대, 페돗 패턴(PEDOT pattern: Poly Ethylene DiOxty Thiospnene pattern)이 선택될 수 있으며, 제 2 도광체(156)로는 예컨대, 플라스틱 사출물 형태의 LGP(Light Guide Panel),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계 수지 등과 같은 절연성 필름 형태의 LGF(Light Guide Film)가 융통성 있게 선택될 수 있다.
이때, <키 패턴(12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제 1 도광체(151)> 및 <센싱패턴(152)의 기저체로 작용하는 제 2 도광체(156)>는 광원(155: 예컨대, LED)으로부터 광선이 출력되는 경우, 그에 따라, 일련의 면 발광상태를 형성하여, 키 유닛(120h)에 구비된 키 패턴(122)의 백 라이트로 작용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 예컨대, 야간, 흐린 날씨 등의 어두운 환경 하에서도, 밝게 활성화된 키 패턴(122)들을 적절히 확인하면서,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전자기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센싱패턴(152)들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일부, 예컨대, 손가락을 통해, 키 유닛(120h) 측 키 패턴(122)들을 터치하고, 이에 기인하여, <자 신(152)과 연결된 전자기기 내의 회로단자>와 <사용자> 사이에서 일련의 정전용량 변화(즉,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해당 정전용량의 변화를 면밀하게 센싱한 후, 그에 상응하는 센싱신호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센싱신호를 인쇄회로기판(300)의 컨트롤 서킷(300a)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자기기 측에서, 사용자의 조작의사에 상응하는 일련의 동작을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변화된 환경(즉, 키 유닛(120h) 및 센싱유닛(130h)이 제 1 도광체(151) 및 제 2 도광체(156)를 기저체로 활용하는 변화된 환경) 하에서도, 본 발명에서는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키 패턴(122: 예컨대, 페돗 패턴)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센싱패턴(152)의 외곽 테두리에 전기적인 균일성 부여를 위한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을 추가로 접촉·배치시키는 조치도 동일하게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내측에 놓인 센싱패턴(152: 예컨대, ITO 패턴, 페돗 패턴 등)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이루게 된다.
이처럼, 각 키 패턴(12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키 패턴(12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키 패턴(122)의 터치위치 A1,A2,A3,A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23)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키 패턴(122) 측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편의성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A1,A2,A3,A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센싱패턴(152)의 외곽 테두리에 해당 센싱패턴(152)의 전기 전도도 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이 추가로 접촉·배치된 개선된 상황 하에서도, 각 센싱패턴(152)의 터치위치 B1,B2,B3,B4별 전위차(또는, 저항차)는 고전도성 금속라인(154)의 전기적인 영향 하에, 자연스럽게 대폭 축소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센싱패턴(152) 측에서는 기본적인 감지기능 실행을 위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사이즈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치위치 B1,B2,B3,B4에 따른 전위차(또는, 저항차) 문제점>을 전혀 발생시키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사용자 측 터치동작을 매우 정확하게(정밀하게) 체크/접수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환경 하에서도, 사용자 측에서는 종래와 달리, 자신의 제어의사(터치동작)를 전자기기 측에 보다 정확하게 전달/접수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전자기기 사용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융통 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되며, 생산자(전자기기 생산자, 터치센서 생산자 등) 측 역시, 품질의 고급화를 요구하는 최근의 사용자 욕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을 폭 넓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은 터치센서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유형의 전자/전기 기기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유형에 따른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유형에 따른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유형에 따른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유형에 따른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유형에 따른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유형에 따른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도시한 예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유형에 따른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유형에 따른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유형에 따른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를 도시 한 예시도.

Claims (6)

  1. 전자기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센싱패턴을 구비한 센싱유닛과 연계 동작하는 터치센서용 키 유닛에 있어서,
    기저체와;
    상기 기저체에 배열된 상태에서, 사용자 측 터치영역을 정의하는 다수의 키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각 키 패턴의 테두리에는 고전도성 금속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용 키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도성 금속라인은 키 패턴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용 키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도성 금속라인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용 키 유닛.
  4. 전자기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키 패턴을 구비한 키 유닛과 연계 동작하는 터치센서용 센싱유닛에 있어서,
    기저체와;
    상기 기저체에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키 패턴을 터치하는 사용자 측 동작에 기인한 상기 전자기기의 정전용량 변화를 센싱하고, 해당 센싱신호를 상기 전자기기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측으로 전달하는 다수의 센싱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각 센싱패턴의 테두리에는 고전도성 금속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용 센싱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도성 금속라인은 상기 센싱패턴의 전기 전도도보다 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용 센싱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도성 금속라인은 금, 은, 또는, 구리 재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용 센싱유닛.
KR1020080125901A 2008-12-11 2008-12-11 터치센서용 키 유닛 및 센싱유닛 KR100998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901A KR100998724B1 (ko) 2008-12-11 2008-12-11 터치센서용 키 유닛 및 센싱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901A KR100998724B1 (ko) 2008-12-11 2008-12-11 터치센서용 키 유닛 및 센싱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366A true KR20100067366A (ko) 2010-06-21
KR100998724B1 KR100998724B1 (ko) 2010-12-07

Family

ID=42366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901A KR100998724B1 (ko) 2008-12-11 2008-12-11 터치센서용 키 유닛 및 센싱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724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4882A2 (en) 2012-03-02 2014-06-05 Microsoft Corporation Pressure sensitive key normalization
US8850241B2 (en) 2012-03-02 2014-09-30 Microsoft Corporation Multi-stage power adapter configured to provide low power upon initial connection of the power adapter to the host device and high power thereafter upon notification from the host device to the power adapter
US8873227B2 (en) 2012-03-02 2014-10-28 Microsoft Corporation Flexible hinge support layer
US8949477B2 (en) 2012-05-14 2015-02-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ccessory device architecture
US8952892B2 (en) 2012-11-01 2015-02-10 Microsoft Corporation Input location correction tables for input panels
US9064654B2 (en) 2012-03-02 2015-06-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put device
US9075566B2 (en) 2012-03-02 2015-07-07 Microsoft Technoogy Licensing, LLC Flexible hinge spine
US9304549B2 (en) 2013-03-28 2016-04-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 mechanism for rotatable component attachment
US9360893B2 (en) 2012-03-02 2016-06-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ut device writing surface
US9426905B2 (en) 2012-03-02 2016-08-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nection device for computing devices
US9824808B2 (en) 2012-08-20 2017-11-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witchable magnetic lock
US9870066B2 (en) 2012-03-02 2018-01-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put device
US10031556B2 (en) 2012-06-08 2018-07-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experience adaptation
US10107994B2 (en) 2012-06-12 2018-10-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ide field-of-view virtual image projector
US10156889B2 (en) 2014-09-15 2018-12-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ductive peripheral retention device
USRE48963E1 (en) 2012-03-02 2022-03-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nection device for computing devices

Cited B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4948B2 (en) 2012-03-02 2016-04-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nsing user input at display area edge
US8854799B2 (en) 2012-03-02 2014-10-07 Microsoft Corporation Flux fountain
WO2014084882A2 (en) 2012-03-02 2014-06-05 Microsoft Corporation Pressure sensitive key normalization
US8850241B2 (en) 2012-03-02 2014-09-30 Microsoft Corporation Multi-stage power adapter configured to provide low power upon initial connection of the power adapter to the host device and high power thereafter upon notification from the host device to the power adapter
US9304949B2 (en) 2012-03-02 2016-04-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nsing user input at display area edge
US8873227B2 (en) 2012-03-02 2014-10-28 Microsoft Corporation Flexible hinge support layer
KR20140131345A (ko) * 2012-03-02 2014-11-12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압력 감지 키 정규화
US8896993B2 (en) 2012-03-02 2014-11-25 Microsoft Corporation Input device layers and nesting
US8903517B2 (en) 2012-03-02 2014-12-02 Microsoft Corporation Computer device and an apparatus having sensors configured for measuring spatial information indicative of a position of the computing devices
US8935774B2 (en) 2012-03-02 2015-01-13 Microsoft Corporation Accessory device authentication
US8947864B2 (en) 2012-03-02 2015-02-03 Microsoft Corporation Flexible hinge and removable attachment
US9047207B2 (en) 2012-03-02 2015-06-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 power state
US9064654B2 (en) 2012-03-02 2015-06-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put device
US9075566B2 (en) 2012-03-02 2015-07-07 Microsoft Technoogy Licensing, LLC Flexible hinge spine
US9098117B2 (en) 2012-03-02 2015-08-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lassifying the intent of user input
US9111703B2 (en) 2012-03-02 2015-08-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nsor stack venting
US9116550B2 (en) 2012-03-02 2015-08-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kickstand
US9134807B2 (en) 2012-03-02 2015-09-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sure sensitive key normalization
US9134808B2 (en) 2012-03-02 2015-09-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kickstand
US9146620B2 (en) 2012-03-02 2015-09-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ut device assembly
US9158384B2 (en) 2012-03-02 2015-10-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hinge protrusion attachment
US9158383B2 (en) 2012-03-02 2015-10-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orce concentrator
US9176901B2 (en) 2012-03-02 2015-1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ux fountain
US9176900B2 (en) 2012-03-02 2015-1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hinge and removable attachment
US9360893B2 (en) 2012-03-02 2016-06-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ut device writing surface
US9268373B2 (en) 2012-03-02 2016-02-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hinge spine
US9275809B2 (en) 2012-03-02 2016-03-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camera angle
US9298236B2 (en) 2012-03-02 2016-03-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stage power adapter configured to provide a first power level upon initial connection of the power adapter to the host device and a second power level thereafter upon notification from the host device to the power adapter
WO2014088614A3 (en) * 2012-03-02 2014-09-12 Microsoft Corporation Pressure sensitive keys
WO2014088614A2 (en) * 2012-03-02 2014-06-12 Microsoft Corporation Pressure sensitive keys
EP2820518A4 (en) * 2012-03-02 2015-12-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SURE SENSITIVE TOUCH STANDARDIZATION
USRE48963E1 (en) 2012-03-02 2022-03-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nection device for computing devices
US9411751B2 (en) 2012-03-02 2016-08-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Key formation
US9426905B2 (en) 2012-03-02 2016-08-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nection device for computing devices
US9460029B2 (en) 2012-03-02 2016-10-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sure sensitive keys
US9465412B2 (en) 2012-03-02 2016-10-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ut device layers and nesting
US9619071B2 (en) 2012-03-02 2017-04-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puting device and an apparatus having sensors configured for measuring spatial information indicative of a position of the computing devices
US9618977B2 (en) 2012-03-02 2017-04-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ut device securing techniques
US9678542B2 (en) 2012-03-02 2017-06-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ple position input device cover
US9710093B2 (en) 2012-03-02 2017-07-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sure sensitive key normalization
US9766663B2 (en) 2012-03-02 2017-09-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 for component attachment
US9793073B2 (en) 2012-03-02 2017-10-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acklighting a fabric enclosure of a flexible cover
US10963087B2 (en) 2012-03-02 2021-03-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sure sensitive keys
KR20200071775A (ko) * 2012-03-02 2020-06-19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압력 감지 키 정규화가 적용된 입력 디바이스 및 키보드
US9852855B2 (en) 2012-03-02 2017-12-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sure sensitive key normalization
US9870066B2 (en) 2012-03-02 2018-01-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put device
US9904327B2 (en) 2012-03-02 2018-02-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hinge and removable attachment
US9946307B2 (en) 2012-03-02 2018-04-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lassifying the intent of user input
US10013030B2 (en) 2012-03-02 2018-07-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ple position input device cover
US9959241B2 (en) 2012-05-14 2018-05-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accessory device architecture that passes via intermediate processor a descriptor when processing in a low power state
US9348605B2 (en) 2012-05-14 2016-05-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accessory device architecture that passes human interface device (HID) data via intermediate processor
US8949477B2 (en) 2012-05-14 2015-02-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ccessory device architecture
US10031556B2 (en) 2012-06-08 2018-07-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experience adaptation
US10107994B2 (en) 2012-06-12 2018-10-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ide field-of-view virtual image projector
US9824808B2 (en) 2012-08-20 2017-11-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witchable magnetic lock
US8952892B2 (en) 2012-11-01 2015-02-10 Microsoft Corporation Input location correction tables for input panels
US9304549B2 (en) 2013-03-28 2016-04-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 mechanism for rotatable component attachment
US10156889B2 (en) 2014-09-15 2018-12-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ductive peripheral reten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8724B1 (ko) 201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724B1 (ko) 터치센서용 키 유닛 및 센싱유닛
US9230753B2 (en) Illuminated touch keyboard
CN104995839B (zh) 输入装置、电子设备和传感器片
CN203012648U (zh) 发光键盘
FI124221B (fi) Käyttäjäsyötejärjestely ja siihen liittyvä valmistusmenetelmä
KR100804550B1 (ko) 키패드 어셈블리
CN102044368B (zh) 开关组件
US9077345B2 (en) Capacitive sensing apparatus
US20140138227A1 (en) Illuminated keyboard
CN108021282A (zh) 具有力触摸功能的电子设备
US8692784B2 (en) Illuminant human interface device
JP2012230677A (ja) 外付け型タッチ式キーボード
US9704671B2 (en) Luminous keyboard
CN205845770U (zh) 按键装置、键盘及薄膜电路板
US20090109068A1 (en) Touch control input device, and compute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202433856U (zh) 触摸位置感测面板和触摸感测装置
US9323399B2 (en) Capacitive touch pad with adjacent touch pad electric field suppression
CN203931897U (zh) 发光键盘的基板
US20110304484A1 (en) Light guide having a capacitive sensing grid and related methodology
CN104979124A (zh) 应用于键盘背光具有遮蔽效果的软性电路板
JP2011248871A (ja) タッチ式透明キーボード
KR100870229B1 (ko) 베이스필름에 터치패널과 el램프패널이 일체화되어결합되어 있는 발광터치 스위치 모듈 및 그 제조방법
US20110310020A1 (en) Touch-type transparent keyboard
CN201903863U (zh) 整合式输入装置
KR100974291B1 (ko) 발광형 정전용량 터치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