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7014A -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7014A
KR20100067014A KR1020090034043A KR20090034043A KR20100067014A KR 20100067014 A KR20100067014 A KR 20100067014A KR 1020090034043 A KR1020090034043 A KR 1020090034043A KR 20090034043 A KR20090034043 A KR 20090034043A KR 20100067014 A KR20100067014 A KR 20100067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an body
user
image
thin film
transparent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형창희
강성원
강태욱
김경수
김성은
박형일
임인기
최병건
김정범
황정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00067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인체통신 장치의 전극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도전성 투명 박막을 영상 패널의 표면에 구비한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패널; 상기 영상 패널 상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인체 접촉이 이루어지는 도전성 투명 박막; 및 상기 영상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 중, 상기 도전성 투명 박막 표면에 이루어지는 사용자 인체 접촉에 의해 선택된 영상에 관련된 콘텐츠를 인체통신용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도전성 투명 박막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체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인체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인체통신, 영상 패널, 터치 패널, 도전성 투명 박막

Description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FOR HUMAN BODY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통신 장치의 전극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도전성 투명 박막을 영상 패널의 표면에 구비한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S-072-03, 과제명: 인체통신 컨트롤러 SoC].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순한 영상 표시 장치로써의 기능에 부가적인 다양한 입력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다. 예를 들어, 가장 단순한 부가 기능으로 마우스의 클릭과 같은 사용자의 접촉을 좌표로 인식하는 기능, 연속된 사용자의 접점 이동 상태를 파악하여 패턴이나 글자를 인식하는 기능 등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추가되고 있다. 사용자 접촉 패턴의 인식은 한 번의 접촉으로 여러 번 입력 받아 단계적으로 수행하여 얻을 수 있던 기능을 보다 손쉽게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입력 장치의 기능에 최근에는 사용자에게 촉각을 통해 표현하는 햅틱 디스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영상 표시 장치라는 기본 기능 외에 접촉(혹은 근접)을 통해 단순한 선택부터 진보된 입력 기능까지 입력 기능이 추가되었다. 하지만,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서 직접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의 정보들을 단말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USB, CD 등과 같은 추가적인 물리적 저장 매체를 필요로 하거나 블루투스나 무선랜과 같은 무선 통신 망을 필요로 하였다. 옥외 광고와 같이 많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에 있어서 이러한 저장 매체를 지원하는 것을 많은 어려움이 있어 현재 서비스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의 어려움들을 해소하기 위해 인체통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인체통신은 사람의 인체를 매개로 하여 인체와 접촉하는 두 장치 사이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기술을 적용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사용자가 소유한 이동단말에 쉽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진 인체 통신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특정된 고정 위치에 사용자가 인체를 접촉하기 위한 레이블 형태의 접속수단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고, 디스플레이 되는 내용이 변경되는 경우 접속수단의 위치 들을 변경하여야 하는 불편함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영상 패널 표면의 접촉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자신의 단말로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는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영상 패널;
상기 영상 패널 상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인체 접촉이 이루어지는 도전성 투명 박막; 및
상기 영상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 중, 상기 도전성 투명 박막 표면에 이루어지는 사용자 인체 접촉에 의해 선택된 영상에 관련된 콘텐츠를 인체통신용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도전성 투명 박막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체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인체통신부를 포함하는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는, 상기 도전성 투명 박막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인체 접촉을 감지하고, 상기 영상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 중 상기 사용자 인체 접촉에 의하여 선택된 영상와 관련된 콘텐츠를 획득하여 상기 인체통신부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 상기 도전성 투명 박막은, 상기 영상 패널의 영상 표시면 상의 복수의 영역에 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는, 상기 영상 패널 및 상기 도전성 투명 박막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 및 상기 터치 패널에 의해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는, 상기 도전성 투명 박막과 상기 인체통신부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히 화면상의 접촉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손쉽게 자신의 단말로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 접촉을 위한 레이블 형태의 접촉 수단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사용자의 신체 접촉이 이루어지는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에 대한 표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영상 패널(11)과, 이 영상 패널(11) 상에 형성되는 도전성 투명 박막(12)과, 도전성 투명 박막(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체통신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인체통신 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영상 패널(11) 및 도전성 투명 박막(12) 사이에 터치 패널(15)이 더 구비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상기 도전성 투명 박막(12) 및 인체통신부(13)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성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패널(11)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로서,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등과 같이 당업계에서 잘 알려진 다양한 영상 표시 장치들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투명 박막(12)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다양한 투명 도전성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투명 박막(12)은 상기 영상 패널(11)의 영상 표시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인체통신 시스템의 전극의 역할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인체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전성 투명 박막(12)은 투명한 재료로 구성되므로 상기 영상 패널(11)의 영상 표시면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은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도전성 투명 박막(12)이 영상 패널(11)의 영상 표시면 상의 일부분에 부분적으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도 있다.
상기 인체통신부(13)는 인체통신을 위한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영상 패널(10)에 표시되는 영상 중, 상기 도전성 투명 박막(12) 표면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인체 접촉에 의해 선택된 영상에 관련된 콘텐츠를 인체통신용 신호 로 변환하여, 상기 도전성 투명 박막(12)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체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한편,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동작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도 5의 1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16) 상기 도전성 투명 박막(12)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인체 접촉을 감지하고, 상기 영상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 중 상기 사용자 인체 접촉에 의하여 선택된 영상와 관련된 콘텐츠를 획득하여 상기 인체통신부(13) 전달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더 추가되는 터치 패널(15)은 통상의 터치스크린에 사용되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장치로서 상기 도전성 투명 박막(12)과 영상 패널(1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15)은 상기 도전성 투명 박막(12) 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위치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좌표정보)를 생성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어부(도 4의 16)는, 상기 영상 패널(11)에 표시되는 영상 및 상기 터치 패널(15)에 의해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광고용 전광판으로 사용는 경우, 사용자(21)가 디스플레이 장치(10)에 표시되고 있는 광고에 관심을 갖고 그에 대한 다양한 콘텐츠를 추가로 얻고 싶을 때, 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영상 표시면(본 발명에 따르면 도전성 투 명 전극)에 접촉을 하게 되면, 사용자(21)로 하여금 인체통신을 통하여 '광고 관련 콘텐츠'(예를 들면, 음악, 게임, 쿠폰, 동영상, 사진 등)를 자신의 단말(22)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특히, 도 2에서와 같이 터치 패널을 적용한 실시형태에서는, 표시되는 영상의 여러부분에 각기 다른 내용의 콘텐츠를 다운받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즉, 제어부(도 5의 16)는 터치 패널로부터 사용자가 접촉하는 위치의 정보(위치 좌표)를 얻을 수 있으므로 영상 패널로부터 해당 위치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이 어떤 내용인지 미리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사용자가 접촉하여 선택하고자 하는 영상이 어떤것인지 파악하여 해당 영상에 관련된 콘텐츠를 인체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22)로 다운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영상 패널 상에 여러 영역에 분리된 형태의 도전성 투명 박막을 설치한 경우에도 설치된 영역마다 인체 접촉시 다른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21)가 도전성 투명 박막(도 1의 12)에 접촉하면, 그 접촉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에 관련된 콘텐츠를 사용자(21)의 인체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휴대 단말(30)에 전송한다.
먼저, 사용자 휴대 단말(30)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휴대 단말(30)은 인체통신 모듈(인체통신을 위한 송수신 기능 모듈)이 내장된 각종 단말기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 사용자 입력부(32), 인체통신부(33), 저장부(34), 디스플레이부(35), 사운드 출력부(36), 촉각 출력부(Haptic Output Part)(37), 및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관리부(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서, 기존의 인체통신용 휴대 단말기와 기본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휴대 단말(30)은 인체통신의 진행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서, 비쥬얼 피드백, 오디오 피드백, 진동과 같은 촉각 피드백(Haptic Feedback)(진동의 크기나, 주파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진행 상황을 알려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휴대 단말(30)은 인체통신을 통하여 수집된 다양한 콘텐츠를 저장부(34)에 저장하여 관리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광고 관련 콘텐츠를 쉽게 관리하고 재생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적용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1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도전성 투명 박막(12), 인체통신부(13), 제어부(16), 미디어 저장부(17), 네트워크 연결부(18), 및 전원부(49)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전성 투명 박막(12)은 사용자의 인체 접촉을 받는 부분으로 인체통신 시스템에서의 전극에 해당한다.
제어부(16)는 도전성 투명 박막(12)에 사용자의 인체접촉이 있는지를 감지하고, 만약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면 사용자의 접촉에 의하여 선택된 영상(즉, 사용 자가 접촉한 위치에 해당하는 영상)에 관련된 콘텐츠(이하, '사용자접촉 관련 콘텐츠'라 한다)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10)가 광고용 전광판으로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접촉 관련 콘텐츠에는 광고 콘텐츠, 쿠폰, 해당 광고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액세스 코드, 인터넷 주소(예약 사이트의 인터넷 주소, 광고되고 있는 콘텐츠 구매 사이트의 인터넷 주소 등) 등 광고에 관련된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6)는 미디어 저장부(17)에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 관련 콘텐츠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의 접촉이 발생는 경우 저장된 관련 콘텐츠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사용자접촉 관련 콘텐츠)를 검색하여 인체통신부(13)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외부 콘텐츠 제공 서버(51)에 접속하기 위해 네트워크(50)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연결부(18)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는 네트워크 연결부(18)를 통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51)로부터 광고 관련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미디어 저장부(17)에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의 접촉이 발생하면 저장된 콘텐츠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사용자접촉 관련 콘텐츠)를 검색하여 인체통신부(13)에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6)는 새로운 영상이 영상 패널(도 1의 11)에 디스플레이될 때마다, 콘텐츠 제공 서버(51)로부터 해당 영상 관련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16)가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된 이후에 네트워크 연결부(18)를 통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51)에 접속하여 사용자접촉 관련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인체통신부(13)에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인체통신부(13)는 인체통신을 위한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특히 제어부(16)에서 획득된 사용자접촉 관련 콘텐츠를 인체통신용 신호로 변환하여 도전성 투명 박막(12)을 통하여 사용자 인체(21) 측으로 전송한다. 이렇게 전송된 광고 관련 콘텐츠는 사용자의 인체를 통하여 사용자 휴대 단말(30)에 전달된다.
한편, 전원이 공급될 수 없는 장소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 내부에 전원부(19)를 추가적으로 구비시킴으로써, 장소적 제약을 극복하고 디스플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현재 보고 있는 화면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로 바로 전달하는 있도록 영상 패널 상에 전극, 즉 도전성 투명 박막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옥외 광고와 같은 단순한 영상 정보에서 사용자의 접촉을 통해 관심을 인식하고 이를 통해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박물관과 같은 곳에서 전시물에 대한 보다 많은 정보를 원하는 관람자에게 접촉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로 전달함으로써 단순한 정보를 얻고자하는 관람자에게 방해를 주지 않고 다양한 관람객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컴퓨터와 이동 기기 사이에 정보 전달 또한 접촉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인체를 채널로 접촉되어 있는 기기들 간의 네트워크 구성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예로,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된 모니터 를 사용하게 되면, 노트북과 데스크탑, 데스크탑과 데스크탑, 노트북과 노트북, 노트북과 이동 단말, 데스크탑과 이동 단말 사이의 데이터 이동을 위해 종래와 같이 이동식 저장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모니터 상에서 이동을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모니터에서 선택함으로써 보조 케이블이나 이동식 저장 장치 없이도 데이터 전달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 및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디스플레이 장치 11: 영상 패널
12: 도전성 투명 박막 13: 인체통신부
14: 연성 회로 기판 15: 터치 패널

Claims (7)

  1. 영상 패널;
    상기 영상 패널 상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인체 접촉이 이루어지는 도전성 투명 박막; 및
    상기 영상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 중, 상기 도전성 투명 박막 표면에 이루어지는 사용자 인체 접촉에 의해 선택된 영상에 관련된 콘텐츠를 인체통신용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도전성 투명 박막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체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인체통신부
    를 포함하는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투명 박막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인체 접촉을 감지하고, 상기 영상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 중 상기 사용자 인체 접촉에 의하여 선택된 영상와 관련된 콘텐츠를 획득하여 상기 인체통신부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투명 박막은,
    상기 영상 패널의 영상 표시면 상의 복수의 영역에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패널 및 상기 도전성 투명 박막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패널 및 상기 도전성 투명 박막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 및 상기 터치 패널에 의해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투명 박막과 상기 인체통신부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0034043A 2008-12-10 2009-04-20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0670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253 2008-12-10
KR20080125253 2008-1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014A true KR20100067014A (ko) 2010-06-18

Family

ID=42365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043A KR20100067014A (ko) 2008-12-10 2009-04-20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70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612B1 (ko) * 2015-03-26 2016-09-09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터치패드 및 인체통신패드 일체형 이중패드, 및 이중패드를 이용한 인체통신 스마트키 시스템
KR20200138466A (ko) * 2019-05-29 2020-12-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접촉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라이프 로그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장치, 그것에 의해 획득된 라이프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는 엣지 장치, 및 사용자 장치와 엣지 장치를 포함하는 인체통신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612B1 (ko) * 2015-03-26 2016-09-09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터치패드 및 인체통신패드 일체형 이중패드, 및 이중패드를 이용한 인체통신 스마트키 시스템
KR20200138466A (ko) * 2019-05-29 2020-12-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접촉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라이프 로그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장치, 그것에 의해 획득된 라이프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는 엣지 장치, 및 사용자 장치와 엣지 장치를 포함하는 인체통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877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ity-responsive display materials
EP2464082B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70048717A1 (en) Electronic book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60279533A1 (en) Electronic book reading apparatus
JP2006216542A (ja) キーディスプレイ部が結合されたキー入力装置及びそれを提供するデジタル装置
EP1621982A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KR20080052373A (ko) 인체통신을 이용한 미디어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방법
WO2010016957A2 (en) Information management and display system
EA200101042A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рекламы в сети интернет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монитора, включающего в себя основной и вспомогательный дисплеи
KR20130089921A (ko)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동작 방법
WO2016013068A1 (ja) 触感データ処理装置、触感提供システム、及び触感データ処理方法
CN111680232A (zh) 页面展示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TW201643682A (zh) 修改電子紙顯示裝置的內容
TW201643859A (zh) 提供內容至電子紙顯示裝置
CN106486009B (zh) 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输入方法
JP4915824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コンテンツ提供方法、サーバ、通信端末、およびコンテンツ取得方法
KR20100067014A (ko) 인체통신용 디스플레이 장치
CN107452288B (zh) 电子装置和电子广告的播放及互动方法
CN101996449A (zh) 一种终端信息发布系统
KR20150035100A (ko) 스크롤 반응형 광고배너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US20110145108A1 (en) Method for obtaining information relating to a product,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system related thereto
Serif et al. Mobile information access in the real world: A story of three wireless devices
CN102385449A (zh) 便携式电子设备和触摸控制方法
CN113204724A (zh) 创建互动信息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TW201131426A (en) Keyboards and method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