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5851A - 분리막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분리막 세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65851A KR20100065851A KR1020080124422A KR20080124422A KR20100065851A KR 20100065851 A KR20100065851 A KR 20100065851A KR 1020080124422 A KR1020080124422 A KR 1020080124422A KR 20080124422 A KR20080124422 A KR 20080124422A KR 20100065851 A KR20100065851 A KR 201000658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ffuser
- cleaning
- inner tube
- air
- exteri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B01D2321/185—Ae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으로 구성된 산기관의 내, 외관 중 하나가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또는, 이동)되고, 이 운동에 따라 내관의 산기구와 외관의 산기구, 내관의 배출구와 외관의 배출구가 서로 일치되거나 불일치되어 개폐되므로, 분리막을 세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산기구를 개방하여 세정공기를 분출할 수 있고, 그러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산기구를 폐쇄하여 원수 중의 이물질(부유물 등)이 산기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방지할 수 있으며, 내관의 내부에 적체된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배출구를 개방하여 이물질을 세정액에 의하여 씻어 내는 식으로 배출할 수 있는 분리막 세정장치를 제공한다.
개폐, 분리막, 산기관, 세정, 폐수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정공기를 이용하여 수처리용 처리조 안에 설치되는 분리막 유닛의 분리막(침지형의 분리막)을 세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수를 처리함에 있어 침지형의 분리막을 이용하여 부유물과 같은 각종의 이물질을 분리하는 방법은 가열이나 상변화를 이용하는 분리법에 비하여 많은 장점이 있는데, 이 장점 중 하나는 분리막의 세공 크기에 따라 원하는 일정한 수질의 처리수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이다. 또, 분리막을 이용하면 가열 등의 조작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열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미생물 등을 이용하는 분리공정에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 들어서는 폐수처리만이 아닌, 음용수의 처리, 제약 및 산업분야에서의 분리공정 등에도 분리막을 이용하여 그 활용범위가 점차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침지형의 분리막을 이용하는 처리공정에서, 중요한 운전인자 중 하나는 바로 세정공기의 공급이다. 즉, 원수(처리 전의 물) 중의 이물질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분리막의 표면은 이물질에 의하여 오염이 진행되는데,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서는 분리막에 세정공기를 공급하여 분리막을 세정하여야 하는 것이다.
세정공기의 공급에는 산기관이 이용되는데, 이 산기관은 처리조 안에 유닛화한 상태로 설치되는 분리막 유닛의 하측에 배치되어 이 분리막 유닛을 향하여 세정공기를 분출한다.
그러나 이전까지의 산기관을 보면 원수 중의 이물질이 산기구(세정공기 분출구)를 통하여 산기관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없어 이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하여 관로의 폐색이 진행되고, 이에 따라 세정공기가 한쪽으로 치우쳐 분출되는 등 분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분리막을 원활하게 세정할 수 없었으며, 결국 분리막의 오염을 증가시켜 분리막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산기관의 관로가 폐색되는 것을 적극 방지할 수 있는 분리막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정공기 발생수단과; 이 세정공기 발생수단으로부터 세정공기를 공급받아 처리조 안의 분리막 유닛을 향하여 분출하는 산기관을 포함하고, 이 산기관은 세정공기가 분출되는 산기구를 가지는 외관과; 이 외관 속에 회전운동 할 수 있게 끼워지며 내부를 세정공기 수송로로 하고 상기 외관의 산기구와 대응하는 산기구가 마련된 내관을 포함하며, 상기 내관은 구동수단에 의하여 정/역회전되고, 상기 내관과 외관의 산기구는 상기 구동수단에 의한 내관의 움직임에 따라 일치되거나 불일치되어 여닫히는 분리막 세정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내관은 외관 속에 회전운동 할 수 있게 끼워지는 것이 아닌, 왕복운동 할 수 있게 끼워질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는 상기 내관이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되지 않고 이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세정장치는 상기 산기관에 세정액을 공급하여 이 산기관의 내부를 세정하는 세정액 공급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내관은 세정액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외관은 이 내관의 배출구와 대응하는 배출구가 마련될 수 있는데, 이 내관과 외관의 배출구는 일치하여 열린 때 상기 산기구가 불일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세정장치는 상기 외관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배출되는 세정액을 상기 처리조 밖으로 수송하는 세정액 배출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정공기 발생수단, 세정공기가 분출되는 산기구를 가지며 상기 세정공기 발생수단으로부터 세정공기를 공급받아 처리조 안의 분리막 유닛을 향하여 분출하는 산기관, 이 산기구를 여닫는 산기구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분리막 세정장치가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세정장치는 상기 산기관에 세정액을 공급하여 이 산기관 내부를 세정하는 세정액 공급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산기관은 세정액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배출구는 배출구 개폐수단에 의하여 여닫힐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세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세정장치는 적어도 한 개의 산기관(10)을 포함하는데, 이 산기관(10)은 원수(처리 전의 물)의 처리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처리조(2)의 내부에 구비된다. 처리조(2)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분리막 (침지형의 분리막)을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는 분리막 유닛(4)이 설치되는데, 이 분리막 유닛(4)의 하측에는 산기관(10)의 눕혀진 상태로 배치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산기관(1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산기관(10)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이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기관(10)은 내관(12) 및 이 내관(12)의 바깥 둘레를 감싸는 외관(14)에 의하여 이중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둘 중 외관(14)은 복수 개의 마운팅수단에 의하여 주변의 구성물(예를 들어, 처리조(2)의 바닥이나 분리막 유닛(4)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내관(12)과 외관(14)은 둘 모두 그 직경이 일정한 일직선형의 파이프로 구성되고, 이에 내관(12)은 외관(14) 속에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물론, 필요한 경우, 내관(12)과 외관(14) 사이에는 내관(12)의 회전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내관(12)과 외관(14)은 세정공기가 분출되는 산기구(12a)(14a)를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씩 가지는데, 외관(14)의 산기구(14a)(이하, 외측 산기구라 한다)는 분리막 유닛(4)과 대향하고 있도록 외관(14)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내관(12)의 산기구(12a)(이하, 내측 산기구라 한다)는 이 같은 외측 산기구(14a)와 대응하여 내관(12)의 회전운동에 따라 이 외측 산기구(14a)와 일치 또는 불일치하도록 마련된다. 물론, 산기구(12a)(14a)는 이렇게 서로 일치하느냐 불 일치하느냐에 따라 열리고 닫히게 된다.
또한, 내관(12)과 외관(14)은 그 양 끝 부분 중 한쪽(도 1에서 보아 좌측)에 배출구(12b)(14b)가 적어도 한 개씩 형성되는데, 이 내관(12)의 배출구(12b)(이하, 내측 배출구라 한다)와 외관(14)의 배출구(14b)(이하, 외측 배출구라 한다)도 산기구(12a)(14a)와 마찬가지로 대응관계를 이루어 내관(12)의 회전운동에 따라 일치되거나 불일치되고, 이 일치 또는 불일치 여부에 따라 개폐가 결정된다. 이때, 배출구(12b)(14b)는 산기관(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적체되는 각종 이물질(원수 중의 부유물 등)을 세정액에 의하여 씻어 낸 후, 이 세정액과 함께 배출하기 위한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산기구(12a)(14a)의 맞은편 부분에 위치되고, 아울러 서로 일치된 때 산기구(12a)(14a)의 경우에는 불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즉, 역으로 말하면, 산기구(12a)(14a)가 일치된 때에는 배출구(12b)(14b)가 불일치되게 한 것이다. 물론, 내관(12)의 회전각도에 따라서는 산기구(12a)(14a)와 배출구(12b)(14b) 모두 서로 불일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세정장치는 또, 세정공기 발생수단(20), 내관 구동수단(30), 세정액 공급수단(40) 및 세정액 배출라인(50)을 그 구성요소로서 더 포함한다.
세정공기 발생수단(20)은 세정공기를 발생시키는 블로워(blower)를 포함하는데, 이 블로워는 처리조(2)의 외부에 구비되고, 공급라인(60)을 매개로 내관(12)과 연결되어 일정한 압력의 세정공기를 공급한다.
참고로, 공급라인(60)은 내관(12)의 양단 중 다른 쪽(도 1에서 보아 우측)의 중심에 이 내관(12)의 회전운동을 방해함이 없도록 연결된 본관(main pipe), 이 본관에서 갈라져 나온 두 개의 지관(branch pipe)로 구성되는데, 이 두 지관 중 하나는 세정공기 발생수단(20)과 연결된다.
내관 구동수단(30)은 구성요소로서 수중모터를 포함한다. 이 수중모터는 처리조(2)의 내부에서 내관(12)의 양단 중 한쪽(도 1에서 보아 좌측)에 그 모터 축이 연결되어 내측 산기구(12a)와 외측 산기구(14a), 또 내측 배출구(12b)와 외측 배출구(14b)가 일치되거나 불일치되도록 내관(12)을 양쪽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참고로, 수중모터는 일반적인 모터로도 대체가 가능한데, 이 경우 모터는 처리실(2)의 외부에 구비되고, 내관 구동수단(30)은 이 모터의 동력, 즉 회전력을 내관(12)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기구를 더 포함한다. 이때, 동력 전달기구는 체인 또는 벨트를 이용하는 감기전동 타입일 수도 있고, 기어를 이용하는 기어전동 타입일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타입이어야 할 이유는 없는 것이므로 회전력을 정확히 전달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어떠한 타입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세정액 공급수단(40)은 내관(12)에 산기관(10)의 내부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액을 공급하는 것인바, 세정액으로서 정수를 제공하는 세정액 공급원으로부터 세정액을 공급받아 일정한 압력으로 압송하는 펌프를 포함한다. 이러한 펌프는 공급라 인(60)을 매개로 내관(12)과 연결된다. 즉, 펌프는 공급라인(60)의 두 지관 중 나머지와 연결되는 것이다.
세정액 배출라인(50)은 유연성 있는 호스로 구성되고 외측 배출구(14b)에 연결되어 이 외측 배출구(14b)를 통하여 이물질과 함께 배출되는 세정액을 처리조(2) 밖으로 수송한다. 이렇게 배출되는 세정액은 처리조(2)로 회수되게 할 수도 있다.
다음에서는,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세정장치의 작동을 살펴보겠다.
1. 분리막의 세정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세정장치는 내관 구동수단(30)을 작동시킴으로써 내측 산기구(12a)와 외측 산기구(14a)가 일치되도록 내관(12)을 회전시키면 산기구(12a)(14a)가 열린다. 이때, 산기구(12a)(14a)와 배출구(12b)(14b) 간의 위치관계에 따라, 내측 배출구(12b)와 외측 배출구(14b)는 불일치되어 닫힌다.
이렇게 산기구(12a)(14a)가 개방된 상태에서, 세정공기 발생수단(20)을 작동시키면, 이 세정공기 발생수단(20)에 의하여 발생되는 공기는 공급라인(60)을 따라 내관(12)으로 수송되고, 이후 산기구(12a)(14a)를 통하여 분출된다. 즉, 공급라인(60)을 경유하여 세정공기 수송로로서의 역할을 하는 내관(12)의 관로를 따라 수송되는 중 분리막 유닛(4)을 향하여 분출되는 것이다.(도 4a 참조) 물론, 이때의 산기구(12a)(14a)로부터 분출되는 세정공기는 분리막 유닛(4)의 분리막을 세정한다.
분리막의 세정을 중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세정공기 발생수단(2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아울러 내관 구동수단(30)을 작동시킴으로써 내측 산기구(12a)와 외측 산기구(14a)가 불일치됨과 동시에 내측 배출구(12b)와 외측 배출구(14b) 또한 불일치되도록 내관(12)을 회전시켜 산기구(12a)(14a)와 배출구(12b)(14b)를 닫는다.(도 4b 참조) 이때, 원수 중의 이물질은 산기관(10) 내부로의 유입이 방지된다.
참고로, 외측 배출구(14b)에는 세정액 배출라인(50)이 연결되므로, 이물질은 산기구(12a)(14a)만을 닫더라도 산기관(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없다.
살펴본 분리막 세정과정에 따르면, 내관(12)은 외측 산기구(14a) 및 외측 배출구(14b)를 여닫는 개폐부재로서 기능하는 것을 알 수 있는바, 내관 구동수단(30)과 함께 산기구 개폐수단 및 배출구 개폐수단을 구성한다.
2. 산기관(10)의 세정
산기구(12a)(14a)를 닫아 두더라도 이물질은 산기관(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데, 이물질이 적체되면 세정공기의 분출이 원활하지 않게 되므로, 이 경우에는 내측 산기구(12a)와 외측 산기구(14a)는 불일치되어 닫히고 내측 배출구(12b)와 외측 배출구(14b)는 일치되어 열리도록 내관(12)을 회전시키고, 세정액 공급수단(40)을 작동시킨다. 이때, 이 세정액 공급수단(40)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액은 공급라 인(60)을 경유하여 내관(12)으로 수송되고, 이후 배출구(12b)(14b), 세정액 배출라인(50)을 순차적으로 지나 배출된다.(도 4c 참조) 물론, 내관(12) 속에 있던 이물질은 세정액에 의하여 씻겨 나가게 되며, 이 세정액과 함께 배출된다.
세정액 공급수단(40)은 세정약품 공급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산기관(10)을 아래의 순서로 세정하면 세정효과를 높일 수 있다.
① 산기구(12a)(14a)와 배출구(12b)(14b)를 닫은 상태에서, 내관(12)에 세정약품 공급
② 일정한 시간 경과 후, 산기구(12a)(14a)와 배출구(12b)(14b)를 열고 내관(12)에 세정액(정수) 공급
이와 같은 세정방식에 의하면 이물질을 세정약품에 불릴 수 있으므로 이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된다.
한편, 산기구(12a)(14a)를 통하여 분출되는 세정공기 및 배출구(12b)(14b)를 통하여 배출되는 세정액은 분출되거나 배출되는 중 내관(12)과 외관(14) 사이의 틈으로 누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내측 산기구(12a)와 내측 배출구(12b)에는 내관(12)과 외관(14) 사이에 위치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링 타입의 기밀부재가 각각 장착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세정장치는 제어수단에 의하 여 다음과 같은 운전방식으로 자동화를 이룰 수 있다. 참고로, 제어수단은 구성요소로서 내관(12)의 내부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센서 및 이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측정값을 미리 설정하여 둔 값(설정치)과 비교하고 결과에 따라 해당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1. 분리막의 세정
분리막 세정모드를 선택하면 세정공기 발생수단(20)이 작동된다. 그 후, 측정값(내관(12) 속의 압력)이 설정치(예를 들어, 세정공기의 공급이 없을 시의 내관(12) 속 평균압력)를 초과하면, 내관 구동수단(30)은 제어부의 컨트롤에 따라 산기구(12a)(14a)가 열리도록 작동된다. 즉, 내관(12) 속의 압력이 세정공기에 의하여 상승되어 일정 수치를 초과하면 산기구(12a)(14a)를 개방하는 것이다.
분리막 세정모드를 해제하면 산기구(12a)(14a)와 배출구(12b)(14b)가 닫히도록 내관 구동수단(30)이 작동되고, 그 뒤 측정값이 설정치(예를 들어, 세정공기 분출 시 내관(12) 속 평균압력)를 초과하면 제어부의 컨트롤에 의하여 세정공기 발생수단(20)의 작동이 정지된다.
2. 산기관(10)의 세정
산기관 세정모드를 선택하면 세정액 공급수단(40)이 작동된다. 그 후, 측정값이 설정치(예를 들어, 세정액의 공급이 없을 시의 내관 속 평균압력)를 초과하면 제어부의 컨트롤에 따라 배출구(12b)(14b)가 열리도록 내관 구동수단(30)이 작동된 다.
산기관 세정모드를 해제하면 산기구(12a)(14a)와 배출구(12b)(14b)가 닫히도록 내관 구동수단(30)이 작동되고, 그 뒤 측정값이 설정치(예를 들어, 세정액 분출 시 내관(12) 속 평균압력)를 초과하면 제어부에 의하여 세정액 공급수단(40)의 작동이 정지된다.
위와 같은 운전방식에 따르면 산기관(10)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위에서는 자동화 운전 중 세정공기 발생수단(20)(또는, 세정액 공급수단(40))과 내관 구동수단(30)의 선후 작동관계에 대하여 센서를 이용하여 정립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센서 대신 타이머를 이용하여 설정시간이 경과되면(예를 들어, 수 초 후) 해당 구성이 작동하도록 할 수도 있겠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세정장치와 유사하게 구성되는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로, 다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도면의 경우에도 해당 부분만을 도시하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세정장치의 주요 부분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 리막 세정장치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그 작용은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내관(12)이 외관(14) 속에서 왕복운동을 하고, 이 움직임에 따라 산기구(12a)(14a)와 배출구(12b)(14b)가 열리고 닫힌다는 점만이 상이하다.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산기관(10)의 내관(12)과 외관(14)은 직경이 일정한 일직선형의 파이프로 구성되므로, 내관(12)은 외관(14) 속에서 회전운동만을 할 수 있는 것이 아닌, 외관(14)의 길이를 따라 왕복운동을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는 구성 면에서 볼 때 내관 구동수단만이 제1실시예의 그것과 상이하다.
제2실시예의 내관 구동수단은 실린더를 포함하는데, 이 실린더는 피스톤로드가 내관(12)의 양단 중 한쪽(도 5a 내지 도 5c에서 보아 좌측)에 연결되어 이 내관(12)을 이동시킨다.
참고로, 도 5b는 도 5a의 상태(산기구(12a)(14a)는 열리고 배출구(12b)(14b)는 닫힌 상태)에서 내관(12)을 외관(14)의 길이를 따라 한쪽 방향으로 이동시켜 산기구(12a)(14a)와 배출구(12b)(14b)가 모두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5c는 내관(12)을 도 5b와 반대로 이동시켜 산기구(12a)(14a)는 닫히고 배출구(12b)(14b)는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세정장치의 주요 부분을 보인 횡단면도이다. 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세정장치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 여 외관(14)이 회전운동을 하고, 이 외관(14)의 회전운동에 따라 산기구(12a)(14a)와 배출구(12b)(14b)가 여닫힌다는 점만이 상이하다.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는 없으나, 제3실시예의 내관(12)은 길이가 외관(14)에 비하여 길고, 외관(14)의 경우에는 양단 모두가 터진 구조를 가져 내관(12)의 바깥둘레 중 양단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를 감싼다.
제1실시예의 경우에는 내관(12)이 가동물이고 외관(14)이 고정되었으나, 제3실시예는 내관(12)이 마운팅수단에 의하여 주변구성물에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외관(14)이 가동물의 역할을 한다. 이때, 마운팅수단은 두 개 구비되고, 내관(14)의 노출 부분인 양단 부분에 각각 위치된다.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내관 구동수단(30) 대신에 외관 구동수단이 적용된다. 외관 구동수단은 수중모터를 포함하고, 이 밖으로는 수중모터의 모터 축에 장착된 구동기어, 이 구동기어와 맞물리도록 외관(14)의 바깥둘레에 장착된 종동기어를 더 포함한다.
살펴본 제3실시예에서는 외관(14)이 내측 산기구(12a)와 내측 배출구(12b)를 여닫는 개폐부재로서의 기능을 하므로, 외관(14)과 외관 구동수단은 산기구 개폐수단과 배출구 개폐수단을 구성한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를 이용하여 내관(12)이 아닌, 외관(14)이 왕복운동을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이때의 실린더는 외 관(14)에 그 피스톤로드가 연결된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세정장치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산기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산기관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산기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세정장치의 주요 부분을 보인 종단면도로서 산기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분리막 세정장치의 주요 부분을 보인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 처리조 4 : 분리막 유닛
10 : 산기관 12 : 내관
12a : 내관의 산기구 12b : 내관의 배출구
14 : 외관 14a : 외관의 산기구
14b : 외관의 배출구 20 : 세정공기 발생수단
30 : 내관 구동수단 40 : 세정액 공급수단
Claims (7)
- 세정공기 발생수단, 이 세정공기 발생수단으로부터 세정공기를 공급받아 처리조 안의 분리막 유닛을 향하여 분출하는 산기관을 포함하고,상기 산기관은, 세정공기가 분출되는 산기구를 가지는 외관, 이 외관 속에 회전운동 할 수 있게 끼워지며 내부를 세정공기 수송로로 하고 상기 외관의 산기구와 대응하는 산기구가 마련된 내관을 포함하며,상기 내관은, 구동수단에 의하여 정/역회전되고,상기 내관과 외관의 산기구는, 상기 구동수단에 의한 내관의 움직임에 따라 일치되거나 불일치되어 여닫히는 분리막 세정장치.
- 세정공기 발생수단, 이 세정공기 발생수단으로부터 세정공기를 공급받아 처리조 안의 분리막 유닛을 향하여 분출하는 산기관을 포함하고,상기 산기관은, 세정공기가 분출되는 산기구를 가지는 외관, 이 외관 속에 왕복운동 할 수 있게 끼워지며 내부를 세정공기 수송로로 하고 상기 외관의 산기구와 대응하는 산기구가 마련된 내관을 포함하며,상기 내관은, 구동수단에 의하여 이동되고,상기 내관과 외관의 산기구는, 상기 구동수단에 의한 내관의 움직임에 따라 일치되거나 불일치되어 여닫히는 분리막 세정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산기관에 세정액을 공급하여 이 산기관의 내부를 세정하는 세정액 공급수단을 더 포함하는 분리막 세정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내관은, 세정액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며,상기 외관은, 상기 내관의 배출구와 대응하는 배출구가 마련되고,상기 내관과 외관의 배출구는, 일치하여 열린 때 상기 산기구가 불일치하도록 배치된 분리막 세정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외관의 배출구에는 배출되는 세정액을 상기 처리조 밖으로 수송하는 세정액 배출라인이 연결된 분리막 세정장치.
- 세정공기 발생수단,세정공기가 분출되는 산기구를 가지며 상기 세정공기 발생수단으로부터 세정공기를 공급받아 처리조 안의 분리막 유닛을 향하여 분출하는 산기관,상기 산기구를 여닫는 산기구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분리막 세정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상기 분리막 세정장치는, 상기 산기관에 세정액을 공급하여 이 산기관의 내부를 세정하는 세정액 공급수단을 더 포함하고,상기 산기관은, 세정액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며,상기 배출구는, 배출구 개폐수단에 의하여 여닫히는 분리막 세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4422A KR101004055B1 (ko) | 2008-12-09 | 2008-12-09 | 분리막 세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4422A KR101004055B1 (ko) | 2008-12-09 | 2008-12-09 | 분리막 세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65851A true KR20100065851A (ko) | 2010-06-17 |
KR101004055B1 KR101004055B1 (ko) | 2010-12-31 |
Family
ID=42365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24422A KR101004055B1 (ko) | 2008-12-09 | 2008-12-09 | 분리막 세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04055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7010B1 (ko) * | 2019-01-14 | 2019-07-05 | 주식회사 그린환경 | 수처리용 역세형 살수여과상 |
KR101997015B1 (ko) * | 2019-01-14 | 2019-07-05 | 주식회사 그린환경 | 수처리용 송기형 살수여과상 |
KR102020849B1 (ko) * | 2019-03-21 | 2019-09-11 | 주식회사 미래환경연구원 | 수처리용 중력 급수형 살수여과상 |
KR102062232B1 (ko) * | 2019-03-21 | 2020-01-03 | 주식회사 미래환경연구원 | 수처리용 공기 압송형 살수여과상 |
KR102063858B1 (ko) * | 2019-03-21 | 2020-01-08 | 주식회사 미래환경연구원 | 수처리용 중력 역세형 살수여과상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39479A (ko) | 2021-04-07 | 2022-10-17 | 주식회사 삼일이엔씨 | 오폐수처리용 침지형 분리막 모듈 세척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846013B2 (en) | 2001-11-19 | 2005-01-25 | Autoliv Asp, Inc. | Airbag inflator diffuser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
JP2004313845A (ja) * | 2003-04-11 | 2004-11-11 |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 曝気装置 |
KR200396853Y1 (ko) | 2005-07-12 | 2005-09-27 | 임은태 | 산기관 |
-
2008
- 2008-12-09 KR KR1020080124422A patent/KR101004055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7010B1 (ko) * | 2019-01-14 | 2019-07-05 | 주식회사 그린환경 | 수처리용 역세형 살수여과상 |
KR101997015B1 (ko) * | 2019-01-14 | 2019-07-05 | 주식회사 그린환경 | 수처리용 송기형 살수여과상 |
KR102020849B1 (ko) * | 2019-03-21 | 2019-09-11 | 주식회사 미래환경연구원 | 수처리용 중력 급수형 살수여과상 |
KR102062232B1 (ko) * | 2019-03-21 | 2020-01-03 | 주식회사 미래환경연구원 | 수처리용 공기 압송형 살수여과상 |
KR102063858B1 (ko) * | 2019-03-21 | 2020-01-08 | 주식회사 미래환경연구원 | 수처리용 중력 역세형 살수여과상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04055B1 (ko) | 2010-12-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04055B1 (ko) | 분리막 세정장치 | |
KR101012753B1 (ko) | 배압형성부를 갖는 밸러스트수 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 |
JP6079898B2 (ja) | バラスト水処理装置 | |
WO2014103881A1 (ja) | 内視鏡洗浄消毒装置、内視鏡の洗浄方法 | |
WO2017098990A1 (ja) | 膜分離装置 | |
JP6759731B2 (ja) | バラスト水処理装置 | |
JP2016107247A (ja) | 管路洗浄装置および管路洗浄方法 | |
KR20140058082A (ko) | 역세장치의 회전만으로 백프러싱을 하는 바스켓형의 필터링시스템 | |
JP2017018932A (ja) | バラスト水処理システムおよびバラスト水処理方法 | |
JPH1043789A (ja) | 散気管の清掃装置 | |
WO2015068245A1 (ja) | バラスト水処理装置 | |
WO2014118926A1 (ja) | バラスト水処理装置 | |
JP6296070B2 (ja) | バラスト水処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 |
KR20140065795A (ko) | 다중노즐을 갖는 자동역세장치의 효율형 bwms 필터링 시스템. | |
JP2008302323A (ja) | 汚染水曝気装置及び汚染水浄化装置 | |
KR20130072505A (ko) | 막여과장치 | |
KR200370318Y1 (ko) | 자동세정 필터시스템 | |
KR101132464B1 (ko) | 산기관 폐색방지장치를 가지는 수처리장치 | |
KR101945471B1 (ko) | 씨 체스트 그리드 | |
KR101386534B1 (ko) | 초음파를 이용한 수도관 내부의 이물질 제거장치 | |
JP5871479B2 (ja) | 切削液浄化装置 | |
KR101169954B1 (ko) | 자동 전처리용 필터 | |
JPS61224327A (ja) | 洗浄装置 | |
KR101011434B1 (ko) | 침지형분리막여과조의 공기공급장치 | |
JP2009172163A (ja) | 内視鏡洗浄消毒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