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5829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5829A
KR20100065829A KR1020080124392A KR20080124392A KR20100065829A KR 20100065829 A KR20100065829 A KR 20100065829A KR 1020080124392 A KR1020080124392 A KR 1020080124392A KR 20080124392 A KR20080124392 A KR 20080124392A KR 20100065829 A KR20100065829 A KR 20100065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ub
head
elastic member
cov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지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4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5829A/ko
Priority to US12/556,637 priority patent/US20100141704A1/en
Publication of KR20100065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8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8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for paper-width or non-reciprocating print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5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05Caps, spittoons or covers for cleaning or preventing drying 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01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heads
    • B41J2202/20Modules

Landscapes

  • Ink Jet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헤드칩을 포함한 복수의 헤드칩 모듈과, 복수의 헤드칩 모듈을 개별적으로 덮는 복수의 서브 커버를 포함하여, 복수의 헤드칩 모듈이 복수의 서브 커버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덮여지게 되므로, 헤드칩의 노즐부에서 잉크가 증발하는 등의 현상은 대폭 감소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매체의 폭과 대응하는 길이의 노즐부를 갖는 어레이 타입의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인쇄신호에 따라 종이와 같은 인쇄매체 상에 흑백화상이나 컬러화상을 현상시키는 장치로, 레이저 프린터, 잉크젯 프린터, 복사기, 복합기, 팩시밀리 등이 이에 포함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 중에는 인쇄신호에 따라 인쇄매체 표면에 액상의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이 형성되도록 하는 잉크젯 방식의 화상형성장치가 있다. 잉크젯 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인쇄신호에 따라 잉크를 분사하는 프린트헤드를 포함하여, 프린트헤드가 인쇄신호에 따라 잉크 액적(droplet)을 분사하여 인쇄매체 위에 글자나 그림 등의 화상을 인쇄한다.
이러한 잉크젯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프린트헤드에는 잉크가 분사되는 노즐부가 각각 마련된 복수의 헤드칩이 배치되어 잉크가 노즐부에서 인쇄매체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화상이 인쇄되는데, 이러한 잉크젯 방식 화상형성장치는 동작원리 상 헤드칩의 노즐부 상에는 잉크가 항상 존재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헤드칩의 노즐부에 존재하는 잉크가 증발되면서 노즐부가 막힐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잉크젯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는 화상형성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을 경우에 헤드칩을 덮어 잉크가 증발되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프린트헤드에는 복수개의 헤드칩이 인쇄매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헤드칩을 프린트헤드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헤드칩들이 작업 공차에 의해 불가피하게 미세하게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되면, 일부 헤드칩은 커버와 밀착되지 못해 커버와 헤드칩 사이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커버와 헤드칩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가 장기간 지속될 경우 헤드칩의 노즐부 내에서 잉크가 증발하여 노즐부가 막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프린트헤드에 설치된 복수의 헤드칩 모두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커버에 밀착되어 장기간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노즐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잉크의 증발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헤드칩을 포함한 복수의 헤드칩 모듈과, 상기 복수의 헤드칩 모듈을 개별적으로 덮는 복수의 서브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서브 커버가 설치되는 메인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서브 커버를 각각 탄성지지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브 커버는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커버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그 일단이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그 타단이 상기 메인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서브 커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헤드칩이 배치된 프린트헤드와, 상기 복수의 헤드칩을 모두 덮는 메인 커버와, 상기 메인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헤드칩 중 일부를 개별적으로 덮는 복수의 서브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산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복수의 헤드칩이 배치된 프린트헤드와, 상기 복수의 헤드칩 중 일부를 덮는 복수의 서브 커버를 포함한 커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 유닛은 상기 복수의 서브 커버가 설치되는 메인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 유닛은 상기 메인 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일단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회동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 유닛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1 링크와, 일단은 상기 제 1 링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암과 연결되는 제 2 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트헤드에 설치된 복수의 헤드칩 모듈이 복수의 서브 커버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덮여지게 되므로, 헤드칩의 노즐부에서 잉크가 증발하는 등의 현상은 대폭 감소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는 본체(10)와, 본체(10)와 별도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교체할 수 있도록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린트헤드(20)를 포함하며, 본체(10)의 상부 에는 프린트헤드(20)가 삽입 설치되는 헤드설치부(30a)가 마련된 크래들(30)이 설치되어 있다. 크래들(30)은 본체(1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프린트헤드(20)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체(10)에는 인쇄매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각종 롤러(미도시)와, 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모터(미도시)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미도시)와, 잉크를 분사하는 프린트헤드(20)에서 잉크 분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리하는 메인터넌스장치(미도시)와,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미도시)와, 서로 다른 색상(블랙, 마젠타, 시안, 옐로우)의 잉크가 각각 저장되는 잉크탱크(11)와, 잉크탱크(11)와 프린트헤드(20) 사이에 배치되며 잉크에 부압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프린트헤드(20)에서 잉크가 분사될 경우에만 적정량의 잉크가 프린트헤드(20)로 공급되도록 하는 레귤레이터(미도시) 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 부품은 잉크젯 방식의 화상형성장치(100)를 구성하는 통상적인 부품이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크래들(30)에 마련된 헤드설치부(30a)에는 전원 및 전기신호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접속단자(31, 32)와 잉크가 프린트헤드(2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커플러(33, 34) 등의 구성이 배치되어, 프린트헤드(20)가 헤드설치부(30a)에 설치됨에 따라 전원, 전기신호 및 잉크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프린트헤드(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가능한 인쇄매체의 최소한의 폭 이상의 길이를 갖는 노즐부(211)을 갖는 어레이 타입 프린트헤드(20)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프린트헤드(20)는 각각 노즐부(211)를 갖는 복수의 헤드 칩(210)이 프린트헤드(20)에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복수의 헤드칩(210)에 마련된 노즐부(211)들이 인쇄매체의 폭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길이를 갖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프린트헤드(20)에는 복수의 헤드칩(210)이 하나의 모듈로 모듈화된 복수의 헤드칩 모듈(21)이 인쇄매체의 폭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복수의 헤드칩 모듈(21) 각각에 형성된 헤드칩(210)들의 노즐부(211)들에 의해 인쇄매체의 폭과 대응하는 길이의 노즐부(211)가 마련된다.
또한, 본체(10)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0)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 프린트헤드(20)를 덮어 프린트헤드(20)에 배치된 헤드칩(210)의 노즐부(211) 상에 존재하는 잉크가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 유닛(40)이 구비되어 있다.
커버 유닛(40)은 프린트헤드(20)에 배치된 복수의 헤드칩 모듈(21)을 모두 덮는 메인 커버(41), 메인 커버(4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2)와, 일단은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지지부재(42)에 설치되어 지지부재(42) 및 지지부재(42)에 지지된 메인 커버(41)가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회동암(43)과,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44)와, 구동모터(44)에 의해 회전하는 제 1 링크(45)와, 일단은 제 1 링크(45)에 연결되고 타단은 회동암(43)에 연결되는 제 1 링크(46)와, 구동모터(44)에서 발생한 회전력이 감속되어 제 1 링크(45)에 전달되도록 하는 감속기어(47, 48)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커버유닛(4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0)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구동모터(44)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메인 커버(41)가 프린트 헤드(20)측으로 이동하여 헤드칩(210)을 덮으며, 화상형성장치(100)가 동작할 경우에는 구동모터(44)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메인 커버(41)가 프린트헤드(20)로부터 이탈되어 헤드칩(210)이 개방된다.
또한, 커버 유닛(4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커버(41)에 설치되며 헤드칩 모듈(21)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프린트헤드(20)에 배치된 복수의 헤드칩 모듈(21) 각각을 개별적으로 덮는 복수의 서브 커버(49)을 포함한다.
서브 커버(49)는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헤드칩 모듈(21)에 밀착되는 커버부재(490)와, 커버부재(490)를 지지하는 지지판(491)을 포함하며, 지지판(491)이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50)를 통해 각각 탄성지지되어 커버부재(490)가 헤드칩 모듈(21)에 밀착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50)는 그 일단이 지지부재(42)에 설치되고 그 타단이 메인 커버(41)에 마련된 관통공(41a)을 관통하여 서브 커버(49)의 지지판(491)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지지부재(42)에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50)의 일단이 억지끼움되는 제 1 고정돌기(42a)가 돌출되어 있으며, 지지판(491)에는 탄성부재(50)의 타단이 억지끼움되는 제 2 고정돌기(491a)가 돌출되어 있다.이때, 이러한 탄성부재(50)는 복수의 서브 커버(49)를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마련되어 복수의 서브 커버(49)가 복수개의 탄성부재(50)에 의해 개별적으로 동작하며 복수의 헤드칩 모듈(21)에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탄성지지된다.
따라서, 복수의 서브 커버(49)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하며 복수의 헤드칩 모듈(21)을 덮으므로, 복수의 서브 커버(49) 각각이 복수의 헤드칩 모듈(21) 각각 에 밀착될 수 있어, 헤드칩(210)과 서브 커버(49) 사이가 밀착되지 못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잉크의 증발은 대폭 감소한다.
또한, 복수의 헤드칩 모듈(21)은 서브 커버(49)와 서브 커버(49) 외측에 배치된 메인 커버(41)에 의해 이중으로 덮여지게 되어, 헤드칩(210)으로의 공기 유입은 보다 확실하게 줄어들어 잉크의 증발 현상은 예방된다.
본 실시예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프린트헤드(20)에는 복수의 헤드칩 모듈(21)을 포함하여 복수의 서브 커버(49)가 복수의 헤드칩 모듈(21)을 모듈 단위로 각각 개별적으로 덮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헤드칩 모듈(21)이 적용되지 않은 프린트헤드(20)에 적용되어 복수의 서브 커버(49) 각각이 복수의 헤드칩(210) 중 일부를 덮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프린트헤드 및 커버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프린트헤드 및 커버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된 프린트헤드 및 커버유닛의 동작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커버와 서브 커버의 설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화상형성장치 10: 본체
20: 프린트헤드 21: 헤드칩 모듈
211: 헤드칩 211a: 노즐부
40: 커버 41: 메인 커버
42: 지지부재 43: 회동암
44: 구동모터 49: 서브 커버
490: 커버부재 491: 지지판
50: 탄성부재

Claims (17)

  1. 복수의 헤드칩을 포함한 복수의 헤드칩 모듈과,
    상기 복수의 헤드칩 모듈을 개별적으로 덮는 복수의 서브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커버가 설치되는 메인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커버를 각각 탄성지지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커버는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커버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그 일단이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그 타단이 상기 메인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서브 커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복수의 헤드칩이 배치된 프린트헤드와,
    상기 복수의 헤드칩을 모두 덮는 메인 커버와,
    상기 메인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헤드칩 중 일부를 개별적으로 덮는 복수의 서브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커버를 각각 탄성지지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커버는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커버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그 일단이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그 타단이 상기 메인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서브 커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커버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억지 끼움되는 제 1 고정돌기와,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억지 끼움되는 제 2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복수의 헤드칩이 배치된 프린트헤드와,
    상기 복수의 헤드칩 중 일부를 덮는 복수의 서브 커버를 포함한 커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유닛은 상기 복수의 서브 커버가 설치되는 메인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유닛은 상기 메인 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일단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회동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유닛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1 링크와, 일단은 상기 제 1 링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암과 연결되는 제 2 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커버를 각각 탄성지지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그 일단이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그 타단이 상기 메인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서브 커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커버는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커버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80124392A 2008-12-09 2008-12-09 화상형성장치 KR2010006582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392A KR20100065829A (ko) 2008-12-09 2008-12-09 화상형성장치
US12/556,637 US20100141704A1 (en) 2008-12-09 2009-09-10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392A KR20100065829A (ko) 2008-12-09 2008-12-09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829A true KR20100065829A (ko) 2010-06-17

Family

ID=42230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392A KR20100065829A (ko) 2008-12-09 2008-12-09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141704A1 (ko)
KR (1) KR2010006582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32728B1 (en) 2010-10-27 2020-06-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head capping device and print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3568A (ja) * 2004-01-08 2005-07-21 Sony Corp ノズルキャップ、ヘッド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液体吐出ヘッド
KR100788675B1 (ko) * 2005-12-02 200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US7850277B2 (en) * 2007-02-20 2010-12-14 Lexmark International, Inc. Integrated maintenance and paper pick system
JP4932552B2 (ja) * 2007-03-19 2012-05-16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メンテナンス機構を搭載する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41704A1 (en)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224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0836170B2 (en) Head protector, liquid discharge head, and liquid discharge apparatus
US7654657B2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JP2005081597A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
US9033457B2 (en) Print head and ink jet printing apparatus
KR20100065829A (ko) 화상형성장치
JPH0976485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CN110744930A (zh) 激光喷墨一体机
JP2017164917A (ja) 液体吐出ヘッド及び液体吐出装置
JP2008230136A (ja) 記録装置
US10710371B1 (en) Inkjet printhead cap having latching system
US10647126B2 (en) Printing subassembly
US7461915B2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US10882344B2 (en) Replaceable printing subassembly
KR0172201B1 (ko) 교환 가능한 기록 장치
JP5609178B2 (ja) 液体噴射装置
US11072174B2 (en) Printing subassembly
JP2007050581A (ja) 液体噴射記録ヘッドおよび記録装置
JP2006224424A (ja) 液体噴射ヘッドおよび液体噴射装置
JP2007030459A (ja) 液体噴射記録ヘッド及び、液体噴射記録装置
JP2020151900A (ja) 液体吐出ヘッド及び液体吐出装置
JP2005074777A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
JP2006224362A (ja) 液体噴射ヘッドおよび液体噴射ヘッドを有する液体噴射装置
JP2006315218A (ja) 液体吐出ヘッド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287378A (ja)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