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5715A -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5715A
KR20100065715A KR1020080124191A KR20080124191A KR20100065715A KR 20100065715 A KR20100065715 A KR 20100065715A KR 1020080124191 A KR1020080124191 A KR 1020080124191A KR 20080124191 A KR20080124191 A KR 20080124191A KR 20100065715 A KR20100065715 A KR 20100065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user
clip
communication tag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용
한호성
김승태
김건일
Original Assignee
(주)투미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투미르 filed Critical (주)투미르
Priority to KR1020080124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5715A/ko
Publication of KR20100065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7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5Motion detection by distinguishing pan or tilt from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은 실시간위치 추적부, 촬영제어부, 통합부 및 키오스크부를 포함한다. 실시간위치 추적부는 서비스 이용자에 부착된 근거리 통신태그를 인식한다. 촬영제어부는 근거리 통신태그가 촬영 영역내에 진입함에 따라, 복수의 영역들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들을 제어하여 근거리 통신태그를 부착한 서비스 이용자의 동영상을 촬영한다. 통합부는 촬영제어부에 의해 촬영된 서비스 이용자별 동영상을 통합하여 저장한다. 키오스크부는 통합된 서비스 이용자별 동영상을 불러와, 서비스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저장된 동영상을 출력하여 이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동영상 확인 및 편집 기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놀이동산 등에 배치되어 특정 이용자를 동영상 촬영하여 저장하고,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저장된 동영상을 편집하여 기록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PHOTOGRAPHING MOTION IMAGES}
본 발명은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놀이동산 등에 배치되어 특정 이용자를 동영상 촬영하여 저장하고,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저장된 동영상을 편집하여 기록매체에 저장할 수 있는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소자기술, 반도체기술의 진보에 의해 IC 카드나 자기카드 등이 개발되어 사람들의 여러가지 활동분야에 이용되어 오고 있다. 이와 같은 카드의 이점은 휴대가 간편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현금 대신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최근 유행하고 있는 테마파크 등은 사람들이 그곳에서 경쾌하게 행동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고, 또 테마파크의 이용자측의 이미지 형성도 있어 이와 같은 카드로 정산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에 적극적으로 몰두하고 하였다.
현재의 테마파크 등의 휴대카드의 이용방법은 정산을 자동적으로 해주거나 시설내의 탈 것 등의 놀이시설을 이용할 때 자동적으로 인증하고 이용자격이 있는 사람을 통과시킨다는 것이 주였다.
한편, 사진은 촬영된 동영상을 상당히 오랜 시간 동안 보존할 수 있으므로 많은 사람들이 관광지나 놀이공원 등과 같은 테마파크에 놀러갈 때 카메라를 휴대하여 기념될만한 장소나 사람들과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이러한 사람들은 카메라의 파손 및 분실을 염려하여 카메라에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즉, 카메라를 관리하는 사람은 편안하게 테마파크의 경치 및/또는 시설을 즐기기가 곤란하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카메라를 휴대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촬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관광지나 놀이동산과 같은 테마파크 등에 배치되어 특정 이용자를 동영상 촬영하여 저장하고,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저장된 동영상을 편집하여 기록매체에 저장할 수 있는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무인 동영상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은 실시간위치 추적부, 촬영제어부, 통합부 및 키오스크부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간위치 추적부는 서비스 이용자에 부착된 근거리 통신태그를 인식한다. 상기 촬영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태그가 촬영 영역내에 진입함에 따라, 복수의 영역들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들을 제어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태그를 부착한 서비스 이용자의 동영상을 촬영하고 저장한다. 상기 통합부는 상기 촬영제어부에 의해 촬영된 서비스 이용자별 동영상을 통합한다. 상기 키오스크부는 상기 통합된 서비스 이용자별 동영상을 로딩하고, 서비스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저장된 동영상을 출력하여 이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동영상 확인 및 편집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촬영제어부는 하나의 근거리 통신태그에 대응하는 서비스 이용자를 촬영하도록 상기 복수의 카메라들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통합부는 시스템 부하를 줄이기 위해 영상편집시에 필요한 축소된 동영상을 자동 생성하여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촬영제어부는 사운드 레코딩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제어부는 이용자의 이동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팬/틸트를 제어하고, 최적화된 이용자의 동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를 줌인/줌아웃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은 상기 키오스크부에 의해 편집된 서비스 이용자의 동영상을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하는 퍼블리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키오스크부는 상기 동영상 확인 및 편집 기능을 제공할 때, 우선적으로 유효클립동영상을 이용자에게 표시하되, 상기 유효클립동영상에는 초상권 침해 방지 신청을 행한 사람이 포함된 동영상이 배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키오스크부는 상기 동영상 확인 및 편집 기능을 제공할 때, 차선적으로 상기 유효클립동영상을 제외한 무효클립동영상을 이용자에게 표시하되, 상기 무효클립동영상에는 초상권 침해 방지 신청을 행한 사람이 포함된 동영상을 배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오스크부는 상기 동영상 확인 및 편집 기능을 제공할 때, 차선적으로 상기 유효클립동영상을 제외한 무효클립동영상을 이용자에게 표시하되, 상기 무효클립동영상에는 초상권 침해 방지 신청을 행한 사람이 모자이크 처리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동영상 촬영 방법은, 실시간위치 추적부를 이용하여 무인 동영상 촬영 서비스 이용자에 부착된 근거리 통신태그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근거리 통신태그가 무인촬영 영역내에 진입함에 따라, 촬영제어부를 통해 복수의 영역들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들 및 마이크들을 제어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태그를 부착한 서비스 이용자의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통합부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제어부에 의해 촬영된 서비스 이용자별 동영상을 통합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된 서비스 이용자별 동영상을 저장하고, 키오스크부를 통해 입력되는 서비스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저장된 동영상을 상기 키오스크부를 통해 출력하여 이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동영상 확인 및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이용자의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는 인식된 근거리 통신태그가 복수개인지를 체크하여, 인식된 근거리 통신태그가 복수개로 체크되면, 체크된 근거리 통신태그들중 이미 촬영된 근거리 통신태그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와, 이미 촬영된 근거리 통신태그로 체크되면, 해당 태그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와, 이미 촬영된 근거리 통신태그로 체크되지 않으면, 근거리 통신태그별 최적의 촬영조건을 갖도록 카메라들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서비스 이용자의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는 할당되지 않은 잔여 카메라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여, 잔여 카메라가 존재하는 것을 체크되면, 우선 순위 근거리 통신태그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잔여 카메라를 할당하는 단계와, 잔여 카메라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잔여 근거리 통신태그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와, 잔여 근거리 통신태그의 존재로 체크되면, 잔여 근거리 통신태그에 대응하는 촬영 대기 순서를 설정하는 단계와, 잔여 근거리 통신태그의 미존재로 체크되면, 이동하는 근거리 통신태그를 추적하면서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동영상에 근거리 통신태그 식별 정보를 부가시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이용자별 동영상을 통합하는 단계는 이용자별로 촬영된 동영상들을 수신하는 단계와, 동영상들로부터 썸네일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썸네일 동영상과 촬영된 동영상을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효클립동영상은 초상권 침해 방지 신청을 행한 사람이 포함된 동영상이 배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동영상 확인 및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는 동영상 편집 요청 여부를 체크하여, 동영상 편집 요청으로 체크되면, 인증된 이용자인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인증된 이용자로 체크되면 썸네일 동영상들에서 스팟별 또는 우선순위별 유효클립동영상을 검출 및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동영상 확인 및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는 미표시된 클립동영상의 요청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와, 미표시된 클립동영상의 요청으로 체크되면, 해당 미표시된 클립동영상을 검출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이용자에 의해 클립동영상 선택여부를 체크하여, 이용자에 의해 클립동영상의 선택으로 체크되면 선택된 클립동영상에 대응하여 비용을 산출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결제 완료 여부를 체크하여, 결제 완료로 체크되면 선택된 클립동영상을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당 미표시된 클립동영상을 검출하여 표시하는 단계에서 표시되는 클립동영상에는 초상권 침해 방지 신청을 행한 사람이 포함된 동영상이 배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당 미표시된 클립동영상을 검출하여 표시하는 단계에서 표시되는 클립동영상에는 초상권 침해 방지 신청을 행한 사람이 모자이크 처리될 수 있다.
이용자에 의해 클립동영상의 미선택으로 체크되거나 결제 미완료로 체크되면, 편집 초기로 피드백 요청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인 동영상 촬영 방법에 의하면, 놀이동산 등에 배치되어 특정 이용자를 동영상 촬영하여 저장하고,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저장된 동영상을 편집하여 기록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은 실 시간위치 추적부(100), 촬영제어부(200), 통합부(300) 및 키오스크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간위치 추적부(100)는 위치 추적 시스템(110)을 포함하여, 서비스 이용자에 부착된 근거리 통신태그를 인식한다.
상기 실시간위치 추적부(100)에는 예약 시스템(12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예약 시스템(120)은 다른 근거리 통신태그의 인식을 위한 것으로서, 현재 근거리 통신태그의 추적을 종료한 후, 다음 근거리 통신태그의 추적을 위해 해당 다음 근거리 통신태그의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일정 조건이 만족되면 해당 다음 근거리 통신태그의 위치를 추적한다. 상기 조건은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일정 시간일 수도 있고, 해당 다음 근거로 통신태그의 존재가 인식되는 조건일 수도 있다.
상기 실시간위치 추적부(100)는 인식된 통신태그에 대응하는 서비스 이용자와 해당 위치를 메쉬업(Mesh-up) 처리하여 촬영제어부(200)에 제공한다.
상기 촬영제어부(200)는 복수의 카메라들(210) 및 넘버링 서버(220)를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태그가 촬영 영역내에 진입함에 따라, 복수의 영역들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들을 제어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태그를 부착한 서비스 이용자의 동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동영상을 상기 통합부(300)에 제공한다.
상기 촬영제어부(200)는 사운드 레코딩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레코딩 모듈은 이용자의 동영상을 촬영하면서 음성 또는 음향을 별도로 녹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촬영제어부(200)는 이용자의 이동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팬/틸트를 제 어하고, 최적화된 이용자의 동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를 줌인/줌아웃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줌인/줌아웃의 제어시 이용자의 영상의 최적으로 촬영하기 위해 오토매틱 포커싱 기능이 상기 카메라 제어 모듈에 더 부가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들(210)은 복수개로 그룹핑되고, 그룹핑된 카메라들 각각은 하나의 근거리 통신태그에 대응하는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된 동영상을 넘버링 서버(220)에 제공한다.
상기 넘버링 서버(220)는 그룹핑된 카메라들 각각에서 촬영된 동영상들에 대해 넘버링하고, 넘버링된 동영상을 통합부(300)에 제공한다. 예를들어, 하나의 근거리 통신태그에 대응하는 피사체는 복수개의 카메라들에 의해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된다. 따라서, 촬영된 동영상들의 수 역시 복수개가 존재하므로 하나의 피사체에 대응하여 촬영된 동영상들을 넘버링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촬영제어부(200)의 넘버링 서버(220)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넘버링 서버(220)는 복수의 넘버링 버퍼 터미널(222)들과 넘버링 서버 매니져 모듈(224)을 포함한다.
하나의 넘버링 버퍼 터미널(222)은 하나의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그룹핑된 카메라들로부터 제공되는 동영상들을 제공받아 넘버링 서버 매니저 모듈(224)에 제공한다.
상기 넘버링 서버 매니져 모듈(224)은 넘버링 버퍼 터미널(222)들 각각을 통 해 제공되는 이용자별 동영상들을 제공받아 이용자별로 넘버링하고, 넘버링된 동영상들을 통합부(300)에 제공한다.
도 1a의 설명으로 환원하여, 상기 통합부(300)는 상기 촬영제어부(200)에 의해 촬영된 서비스 이용자별 동영상을 통합한다.
상기 키오스크부(400)는 상기 통합된 서비스 이용자별 동영상을 저장하고, 서비스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저장된 동영상을 출력하여 이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동영상 확인 및 편집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키오스크부(400)는 상기 동영상 확인 및 편집 기능을 제공할 때, 우선적으로 유효클립동영상을 이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유효클립동영상에는 초상권 침해 방지 신청을 행한 사람이 포함된 동영상이 배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용자측에서는 표시되는 상기 유효클립동영상이 마음에 들지 않을 수있다. 따라서, 상기 키오스크부(400)는 상기 동영상 확인 및 편집 기능을 제공할 때, 차선적으로 상기 유효클립동영상을 제외한 무효클립동영상을 이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무효클립동영상에는 초상권 침해 방지 신청을 행한 사람이 포함된 동영상이 배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키오스크부(400)는 상기 동영상 확인 및 편집 기능을 제공할 때, 차선적으로 상기 유효클립동영상을 제외한 무효클립동영상을 이용자에게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무효클립동영상에는 초상권 침해 방지 신청을 행한 사람을 모자이크 처리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오스크부(400)는 키오스크 본체(410), 영상확인모듈(420), 영상편집모듈(430), 시간동기모듈(450) 및 영상편집 소프트웨어(4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오스크 본체(410)는 표시 화면(미도시), 키보드(미도시), 코인/지폐 투여부(미도시), 신용카드리더기(미도시)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외의 다른 기능은 전자화되어 화면에 출력되는 형태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용자에게 동영상 편집 기능을 부여한다. 이용자의 동영상 편집시 편집의 용이를 위해 터치스크린을 상기 표시 화면 위에 배치시킬 수도 있다.
상기 영상확인모듈(420)은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이용자에 대응하는 동영상들을 추출하여 상기 표시 화면에 제공한다.
상기 영상편집모듈(430)은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영상편집 소프트웨어(450)를 이용하여 동영상 편집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시간동기모듈(450)은 이용자에 대응하는 많은 동영상들중 편집을 위해 동영상들에서 시간정보를 추출하여 촬영된 순서대로 동영상의 초기화면을 상기 표시 화면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은 상기 키오스크부(400)에 의해 편집된 서비스 이용자의 동영상을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하는 퍼블리싱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퍼블리싱부(500)는 미디어 버퍼(510), UCC 퍼블릭 모듈(520) 및 USB 메모리 인터페이스(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퍼블리싱부(500)는 상기 키오스크부(400)에 일체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버퍼(510)는 상기 키오스크 본체(410)에서 제공되는 편집 완료된 동영상을 제공받아 상기 USB 메모리 인터페이스(530)에 연결된 USB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한다.
상기 UCC 퍼블릭 모듈(520)은 상기 키오스크 본체(410)에서 제공되는 편집 완료된 동영상을 제공받아 UCC 타입의 파일로 변환한다. UCC 타입으로 변환된 동영상 파일은 전자메일의 첨부파일 형태 또는 웹하드 등에 업로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자적 전송 방법은 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적인 기술 구현으로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자메일이나 웹하드 등을 동영상 파일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인터넷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 퍼블리싱부(500)는 동영상 파일을 출력할 수도 있고, 스틸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동영상은 파일 크기가 스틸 영상에 비해 크다. 하지만 관련 기술 발달을 통해 USB 전송 속도등이 동영상 전송에 적합할 정도로 매우 빨라지고 있으며, USB 매체 외에도 다양한 휴대용 저장 매체등이 개발되고 있으므로, 새로운 기술이 산업화될 경우 이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시스템을 변화할 수 있도록 모듈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에 의하면, 서비스 이용자와 서비스 비이용자를 근거리 통신태그를 통해 서로 구분하고, 구분된 정보를 근거로 카메라와 서비스 이용자를 매칭시켜 그 매칭 결과를 토대로 촬영 동작을 수행한다. 촬영된 동영상은 이용자별 동영상들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이용자의 편집 요청에 응답하 여 저장된 동영상들의 편집 기회를 부여한다.
이에 따라, 이용자측에서는 일정 공간들에서 촬영된 무수히 많은 동영상들중에서 자신만의 동영상들중 유효 동영상만을 선택하여 이를 별도의 저장매체 등에 저장하여 보유할 수 있다.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측에서는 이용자에게 각 스팟별로 촬영된 유효클립 동영상만을 1차적으로 제공하여 이용자의 선택을 기다리고, 만일 제공된 유효클립 동영상들에서 원하는 동영상이 없는 경우 유효클립 동영상으로 분리되지 않은 동영상들을 이용자에게 2차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들이 배치되는 각종 스팟들을 설명하는 개념도들이다. 특히, 도 2a는 파빌리온 스팟(Pavillion spot)을 설명하는 개념도이고, 도 2b는 동선 메인 스팟을 설명하는 개념도이고, 도 2c는 동선 서브-스팟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스팟은 의미있는 동영상물을 얻기 위해 촬영이 필요한 영역을 칭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파빌리온 스팟에서는 개별 관광명소(attraction)를 즐기는 동안의 관람객의 모습이 촬영될 수 있다.
상기 파빌리온 스팟에서, 하나의 파빌리온 스팟당 약 5분 정도의 동영상 및 음성을 촬영 및 녹음할 수 있다. 상기 파빌리온 스팟에서는 테마파크의 특정 아이템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가장 좋은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지역으로서, 각 파빌리온들의 특성에 따라 설치 형태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들어, 롤러코스트나, 회전목마와 같이 이용자의 움직임이 정확하게 예측되는 대부분의 관광명소를 위주로 파빌리온 스팟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테마파크내에 구성된 주요 볼거리를 위주로 한 관람객을 촬영하도록 동선 메인 스팟이 설정될 수 있다.
파빌리온 스팟 규모는 아니지만 작은 주제로 이용자가 동선중에 잠시 머물 수 있는 지역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약 10 미터 내지 20 미터 정도의 연출된 동선을 만들고, 해당 지역을 지나가기만 하면, 연출된 액션이 수행되어 완성도 높은 동영상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장소이다. 특히, 파빌리온 스팟이 개개인의 촬영에 적합한 촬영 영역이라면, 동선 메인 스팟은 그룹 촬영에 적합한 촬영 영역이다.
상기한 동선 메인 스팟을 통해 이용자도 자신이 촬영되는 것을 알 수 있는 지역으로 인식될 수 있어 높은 완성도의 동영상이 기대될 수 있다.
상기한 동선 메인 스팟에서는 한 메인 스팟당 약 2분 정도 촬영하며, 이용자당 5대의 카메라로 동시 촬영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화원이나 정원, 소규모 야외극장, 동물 우리, 캐릭터쇼 주변, 퍼레이드, 원형분수, 터널분수, 식당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테마파크의 이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모습을 촬영할 수 있는 동선 서브-스팟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동선 서브-스팟에서는 출입동선 및 이동동선상에 위치한 일정 공간상의 관람객이 촬영된다. 상기 동선 서브-스팟은 이용자가 자신이 촬영되는지 인지하지 못하는 지역으로서 테마파크 내부 동선 곳곳에 설치될 수 있다.
점과 점을 이어가면서 선으로 연결된다는 개념으로 이용자가 시선을 돌릴 수 있으면서 의미가 있는 장소에 모두 설치가 가능하고, 최종 동영상을 봤을 때 경험했던 과정을 모두 연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나의 서브-스팟당 예를들어, 약 20초간의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의 카메라들, 예를들어, 3개의 카메라들로 동시에 촬영하도록 설정될 수 잇다. 상기 동선 서브-스팟으로서, 특이한 상징물이나 동상이 배치된 영역이 설정될 수 있고, 마임 연기 장소나 벤치 등이 배치된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들이 배치되는 카메라 스테이션들을 설명하는 개념도이고, 도 3b는 카메라 스테이션들에 배치되는 카메라들과 각 카메라들이 촬영하는 피사체간의 연결의 일례를 설명하는 표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촬영 범위내에 있는 일정수의 신청자들은 동시에 촬영된다. 도 3a에서, 상기 촬영 범위는 원형 내의 영역이고, 신청자들은 도면부호 P1, P2, P3, P4 및 P5로 부여된다.
신청자들이 촬영 영역을 벗어난 영역에 신청자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신청자는 촬영되지 않는다. 도 3a에서, 촬영 영역을 벗어난 신청자들은 도면부호 P6, P7, P8 및 P9로 부여된다.
또한, 촬영 영역내에 사람이 존재하더라도 신청자가 아닌 경우에는 근거리 통신태그가 부착되지 않았으므로 인식되지 않아 촬영에서 배제된다.
예를들어, 제1 스테이션, 제2 스테이션 및 제3 스테이션 각각에는 20개의 카메라들이 배치되어 피사체들을 촬영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1 스테이션의 제1 카메라(C101), 제6 카메라(C106), 제 11 카메라(C111) 및 제16 카메라(C116) 각각은 제1 피사체(P1)를 촬영하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의 제2 카메라(C102), 제7 카메라(C107), 제12 카메라(C112) 및 제17 카메라(C117) 각각은 제2 피사체(P2)를 촬영한다. 또한, 상기 제1 스테이션의 제3 카메라(C103), 제8 카메라(C108), 제13 카메라(C113) 및 제18 카메라(C118) 각각은 제3 피사체(P3)를 촬영하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의 제4 카메라(C104), 제9 카메라(C109), 제14 카메라(C114) 및 제19 카메라(C119) 각각은 제4 피사체(P4)를 촬영한다. 또한, 상기 제1 스테이션의 제5 카메라(C105), 제10 카메라(110C), 제15 카메라(C115) 및 제20 카메라(C120) 각각은 제5 피사체(P5)를 촬영한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2 스테이션에 구비되는 20개의 카메라들도 피사체들을 촬영하고, 제3 스테이션에 구비되는 20개의 카메라들 역시 피사체를 촬영한다.
이에 따라, 제1 피사체(P1)의 경우, 제1 스테이션에 구비되는 제1 카메라(C101), 제6 카메라(C106), 제11 카메라(C111) 및 제16 카메라(C116)에 의해 촬영되고, 제2 스테이션에 구비되는 제2 카메라(C202), 제7 카메라(C207), 제12 카메라(C212) 및 제17 카메라(C217)에 의해 촬영되고, 제3 스테이션에 구비되는 제2 카메라(C302), 제7 카메라(C307), 제12 카메라(C312) 및 제17 카메라(C317)에 의해 촬영된다.
도 4는 도 1의 키오스크부(400)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의 일례를 설명하는 이미지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키오스크부(400)의 표시 화면의 하단 영역에는 파 빌리온 스팟에 대응하여 촬영된 동영상이 표시되고, 키오스크부(400)의 표시 화면의 상단 좌측 영역 및 상단 우측 영역에는 각각 동선 메인 스팟에 대응하여 촬영된 동영상 및 동선 서브-스팟에 대응하여 촬영된 동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촬영된 동영상은 이용자에 의해 편집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들을 통한 동영상 편집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키오스크부(400)를 통해 이용자가 동영상을 편집하는 일례를 설명하는 이미지들이다. 특히, 도 5a는 애플 아이무비(Apple iMoviw) 프로그램을 통해 편집되는 동영상의 일례를 도시하고, 도 5b는 애플 아이디브이디(Apple iDVD) 프로그램을 통해 편집되는 동영상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화면의 상측 좌단 영역에는 각종 스팟들에서 촬영된 유효클립들 각각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초기화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유효클립들에 대응하는 동영상은 복수개이다. 따라서, 이용자는 화면을 터치하는 방식을 통해 편집을 원하는 동영상으로 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용자는 화면의 하측 영역에 표시되는 초기화면들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화면의 상측 우단부에는 풀화면이 표시된다. 표시되는 풀화면에서 이용자의 재생 버튼 클릭에 따라, 동영상이 표시된다. 표시되는 동영상에는 이용자가 원하지 않는 동영상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원하지 않은 동영상에 대해서는 불필요한 동영상의 시작과 종료에 대응하여 삭제 버튼을 클릭하므로써 동영상에서 불필요한 동영상을 삭제할 수 있다.
이용자에 의해 편집된 동영상은 표시화면의 하단부에 배치시키므로써, 편집 완료된 동영상을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편집 완료된 동영상들은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그 순서를 변경할 수 있고, 순서가 변경된 동영상은 별도의 저장매체를 통해 또는 웹하드에 저장하는 방식 등을 통해 이용자에게 제공되어질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화면의 우측 영역에는 각종 스팟들에서 촬영된 유효클립들의 초기화면은 스팟별로 구분된 표시창에 별도로 표시된다. 이용자는 스팟별로 촬영된 유효클립 동영상들을 편집하여 이용자에 의해 부여된 각종 디렉토리별로 동영상을 편집할 수 있다.
도 5b에서, 재미(fun) 관련 디렉토리, 선물(presents) 관련 디렉토리, 케이크(cake) 관련 디렉토리, 친구(friends) 관련 디렉토리로 구분되어진다. 이용자는 각종 스팟들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편집하여 자신이 설정한 디렉토리에 편집 완료된 동영상을 저장하므로써 이용자 자신만의 동영상 파일을 제공받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동영상 촬영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근거리 통신태그의 인식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00). 상기 근거리 통신태그는 RFID 태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00에서 근거리 통신태그가 인식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근거리 통신태그에 인접하는 이용자들을 촬영한다(단계 S200). 상기한 촬영에 의해 유효클립 동영상을 얻기 위해 적절한 순간 포착이 이루어지도록 카메라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줌인/아웃을 이용하여 촬영대상을 알맞게 포착되도록 카메라를 할당 및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선 높이에서 촬영하여 유효 클립 동영상 을 최대화하도록 카메라를 할당 및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양한 앵글의 연출이 가능하도록 카메라를 할당 및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절한 음성 및 음향 효과가 수반되도록 카메라를 할당 및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복수의 카메라들에서 촬영된 동영상들을 통합하고(단계 S300), 통합된 동영상들을 저장한다(단계 S400). 하나의 근거리 통신태그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동영상들, 예를들어 20개의 동영상들이 촬영된다. 따라서, 30개의 근거리 통해 근거리 통신태그에 대응해서는 600개의 동영상들이 촬영되므로, 촬영된 동영상들을 근거로 통신태그별로 통합하여 별도로 저장한다. 또한, 동일한 근거리 통신태그라 할지라도 촬영된 영역이나 장소, 예를들어, 스팟별로 촬영된 동영상을 별도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근거리 통신태그별로, 촬영된 스팟별로 동영상을 별도로 저장하므로써, 이용자의 편집 요청에 보다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이어, 편집 요청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500), 편집 요청으로 체크되면, 동영상 편집 기능을 제공한다(단계 S600). 상기한 편집 요청은 스팟별로 구비되는 각종 키오스크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예를들어, 놀이공원을 나가는 영역에 배치되는 키오스크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어, 편집 완료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700), 편집 완료로 체크되면, 편집 완료된 동영상을 기록 매체에 저장한다(단계 S800). 상기한 기록 매체는 CD나 USB 메모리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집 완료된 동영상을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것이 설명되었으나, 메일의 첨부파일 형태 또는 웹하드에 저장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놀이 공원과 같은 장소를 이탈하기 전에 동영상 편집 기능이 제공되는 것이 설명되었으나, 상기한 동영상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 이후는 놀이 공원이 아닌 이용자의 주거지나 근무지 등에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인터넷 사이트상에서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7은 도 6의 태그에 인접하는 이용자들을 촬영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인식된 근거리 통신태그가 복수개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212).
단계 S212에서, 인식된 근거리 통신태그의 수가 복수개로 체크되면, 이미 촬영된 근거리 통신태그의 존재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214).
단계 S214에서 이미 촬영된 근거리 통신태그가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해당 태그 정보를 삭제한다(단계 S216).
단계 S214에서 이미 촬영된 근거리 통신태그가 존재하지 않거나, 단계 S216을 수행한 후, 근거리 통신태그별 최적의 촬영조건을 갖도록 카메라들을 할당한다(단계 S218).
이어, 잔여 카메라의 존재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220).
단계 S220에서 잔여 카메라가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우선순위 태그에 대응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잔여 카메라를 할당한다(단계 S222).
단계 S220에서 잔여 카메라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거나 단계 S222를 수행한 후, 잔여 근거리 통신태그의 존재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224).
단계 S224에서 잔여 근거리 통신태그가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잔여 태그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촬영불가 메시지를 출력한다(단계 S226).
단계 S224에서 잔여 근거리 통신태그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거나 단계 S226을 수행한 후, 이동하는 근거리 통신태그를 추적하면서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카메라를 제어한다(단계 S228).
이어, 동영상에 근거리 통신태그 식별정보를 부가시켜 전송한 후(단계 S230), 단계 S300으로 피드백한다.
도 8은 도 6의 복수의 카메라들에서 촬영된 동영상들을 통합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이용자별로 촬영된 동영상들을 수신한다(단계 S312).
이어, 동영상들로부터 썸네일 동영상을 생성한다(단계 S314). 단계 S314에서 생성되는 썸네일 동영상은 피사체의 움직임이 최대인 동영상 또는 최소인 동영상일 수 있다. 또한, 피사체 동영상이 화면의 중앙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썸네일 동영상으로 생성할 수도 있고, 화면의 외곽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썸네일 동영상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피사체 동영상의 눈이 최다 검출된 동영상을 썸네일 동영상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이어, 썸네일 동영상과 촬영된 동영상을 매칭시켜 저장한 후(단계 S316), 단계 S400으로 피드백한다. 상기한 썸네일 동영상은 상기 촬영된 동영상의 요약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썸네일 동영상과 촬영된 동영상을 서로 매칭시켜 저장하 고, 이용자의 편집 요청에 따라 썸네일 동영상을 이용자측에 제공하고,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썸네일 동영상에 대응하는 촬영된 동영상을 별도의 저장 매체 등에 저장시켜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9는 도 6의 동영상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인증된 이용자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612).
단계 S612에서, 인증된 이용자료 체크되지 않으면 편집 불가 메시지를 출력한 후 단계 S612로 피드백한다.
단계 S612에서 인증된 이용자로 체크되면 썸네일 동영상들에서 스팟별로 우선순위의 순서로 유효클립동영상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스팟별 우선순위의 유효클립동영상들을 표시한다(단계 S616). 예를들어, 저장하고자 하는 동영상물의 수나 크기에 비해 대략 1.5 배 정도의 유효클립동영상들을 검출하고 이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팟별 우선순위의 유효클립동영상을 검출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시간별 우선순위의 유효 클립동영상을 검출하여 검출된 유효클립동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테마파크내에서 촬영되는 동영상에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포함될수 있다. 이러한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에는 타인의 동영상에 노출을 원하지 않은 사람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테마파크를 입장하는 사람들중 초상권 침해를 당하지 않는 별도의 초상권 침해 방지 신청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초상권 침해 방지 신청을 한 사람에 대해서는 타인의 동영상에서 배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한 단계 S616에서 유효클립동영상들을 검출할 때, 촬영된 동영상들중에서 초상원 침해 방지 신청을 행한 사람이 포함되는 동영상은 배제한 상태에서 상기 유효클립동영상들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미표시된 클립동영상(일종의 무효클립동영상)의 요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618). 상기한 미표시된 클립동영상의 요청 여부를 체크하는 이유는 단계 S616에서 검출된 유효클립동영상이 이용자에 의해 마음에 들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검출되지 않은 클립동영상들에서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용자가 원하는 클립동영상을 검출하기 위함이다.
단계 S618에서, 미표시된 클립동영상의 요청으로 체크되면 해당 미표시된 클립동영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클립동영상을 표시한다(단계 S620). 한편, 미표시된 클립동영상들, 즉 상기한 무효클립동영상들에는 초상권 침해 방지 신청을 행한 사람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검출된 클립동영상을 표시할 때, 초상권 침해 방지 신청을 행한 사람이 포함된 동영상을 배제시킨 나머지 클립동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초상권 침해 방지 신청을 행한 사람이 미표시된 클립동영상들에 포함된 경우, 해당 클립동영상에서 초상권 침해 방지 신청을 행한 사람을 배체시키는 별도의 작업이 더 수행될 수 있다. 예컨데, 해당 초상권 침해 방지 신청을 행한 사람을 모자이크 처리하는 기법 등이 활용될 수 있다.
단계 S618에서 미표시된 클립동영상의 미요청으로 체크되거나 단계 S620을 수행한 후, 이용자에 의해 클립동영상의 선택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622). 여기 서, 이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클립동영상은 유효클립동영상들에서 선택되어질 수도 있고, 단계 S620에서 검출 및 표시되는 무효클립동영상들에서 선택되어질 수도 있다.
단계 S622에서 이용자에 의해 클립동영상이 선택된 것으로 체크되면, 선택된 클립동영상에 대응하여 서비스 이용시 제공되는 기본 동영상 분량 이외에 발생할 수 있는 추가 비용을 산출하고, 산출된 비용을 표시한다(단계 S624).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클립동영상이 많을수록 그 비용은 증가할 것이고, 선택된 클립동영상이 적을수록 그 비용은 감소할 수 있다.
이어, 해당 비용의 결제 완료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626). 상기한 결제 방식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휴대폰을 이용한 결제, 신용카드를 이용한 결제 현금 등을 이용한 결제와 같이 다양한 결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단계 S626에서 해당 비용이 결제된 것으로 체크되면 선택된 클립동영상을 저장매체에 저장한 후 단계 S700으로 피드백한다.
단계 S622에서 이용자에 의해 클립동영상이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거나 단계 S616에서 결제가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편집초기로 피드백 요청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630).
단계 S630에서, 편집 초기로 피드백이 요청된 것으로 체크되면 단계 S616으로 피드백하고, 편집 초기로 피드백 요청이 없는 것으로 체크되면 대기한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 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테마파크 등의 놀이공원 시설에 있어서 휴대카드 등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이용자의 행동에 맞는 정보를 제공하고 종합적으로 그 놀이공원 시설의 이용을 지원해서 보다 이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에서 놀이공원 시설을 사용하도록 하는 놀이공원 시설 이용 지원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는 카메라를 휴대하지 않고도 여러 지역에서 기념이 될 수 있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동영상 촬영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용자는 별도로 카메라를 휴대할 필요가 없으므로 테마파크에서 편안하게 즐길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촬영제어부의 넘버링 서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a는 파빌리온 스팟을 설명하는 개념도이고, 도 2b는 동선 메인 스팟을 설명하는 개념도이고, 도 2c는 동선 서브-스팟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들이 배치되는 카메라 스테이션들을 설명하는 개념도이고, 도 3b는 카메라 스테이션들에 배치되는 카메라들과 각 카메라들이 촬영하는 피사체간의 연결의 일례를 설명하는 표이다.
도 4는 도 1의 키오스크부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의 일례를 설명하는 이미지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키오스크부를 통해 이용자가 동영상을 편집하는 일례를 설명하는 이미지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동영상 촬영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의 태그에 인접하는 이용자들을 촬영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6의 복수의 카메라들에서 촬영된 동영상들을 통합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6의 동영상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실시간위치 추적부 200 : 촬영제어부
300 : 통합부 400 : 키오스크부
110 : 위치 추적 시스템 120 : 예약 시스템
210 : 카메라들 220 : 넘버링 서버
222 : 넘버링 버퍼 터미널 224 : 넘버링 서버 매니져 모듈

Claims (24)

  1. 서비스 이용자에 부착된 근거리 통신태그를 인식하는 실시간위치 추적부;
    상기 근거리 통신태그가 촬영 영역내에 진입함에 따라, 복수의 영역들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들을 제어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태그를 부착한 서비스 이용자의 동영상을 촬영하고 저장하는 촬영제어부;
    상기 촬영제어부에 의해 촬영된 서비스 이용자별 동영상을 통합하는 통합부; 및
    상기 통합된 서비스 이용자별 동영상을 로딩하고, 서비스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저장된 동영상을 출력하여 이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동영상 확인 및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키오스크부를 포함하는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제어부는 하나의 근거리 통신태그에 대응하는 서비스 이용자를 촬영하도록 상기 복수의 카메라들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들은 서로 다른 카메라 스테이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들은 동일한 카메라 스테이션에 배치되 고, 배치되는 카메라들 각각의 위치는 서로 다른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부는 복수의 카메라들에서 촬영된 동영상들을 시간 순서로 편집하되, 동일 시간대에서 이용자의 동영상이 전체 프레임중 최대인 동영상을 모아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부는 시스템 부하를 줄이기 위해 영상편집시에 필요한 축소된 동영상을 자동 생성하여 별도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제어부는 넘버링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넘버링 서버는 복수의 넘버링 버퍼 터미널들과, 넘버링 서버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제어부는 사운드 레코딩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제어부는 이용자의 이동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팬/틸트를 제어하고, 최적화된 이용자의 동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를 줌인/줌아웃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부에 의해 편집된 서비스 이용자의 동영상을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하는 퍼블리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부는 상기 동영상 확인 및 편집 기능을 제공할 때, 우선적으로 유효클립동영상을 이용자에게 표시하되, 상기 유효클립동영상에는 초상권 침해 방지 신청을 행한 사람이 포함된 동영상이 배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부는 상기 동영상 확인 및 편집 기능을 제공할 때, 차선적으로 상기 유효클립동영상을 제외한 무효클립동영상을 이용자에게 표시하되, 상기 무효클립동영상에는 초상권 침해 방지 신청을 행한 사람이 포함된 동영상이 배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부는 상기 동영상 확인 및 편집 기능을 제공 할 때, 차선적으로 상기 유효클립동영상을 제외한 무효클립동영상을 이용자에게 표시하되, 상기 무효클립동영상에는 초상권 침해 방지 신청을 행한 사람이 모자이크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
  15. 실시간위치 추적부를 이용하여 무인 동영상 촬영 서비스 이용자에 부착된 근거리 통신태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근거리 통신태그가 무인촬영 영역내에 진입함에 따라, 촬영제어부를 통해 복수의 영역들에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들 및 마이크들을 제어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태그를 부착한 서비스 이용자의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통합부를 이용하여 상기 촬영제어부에 의해 촬영된 서비스 이용자별 동영상을 통합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된 서비스 이용자별 동영상을 저장하고, 키오스크부를 통해 입력되는 서비스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저장된 동영상을 상기 키오스크부를 통해 출력하여 이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동영상 확인 및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인 동영상 촬영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이용자의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는
    인식된 근거리 통신태그가 복수개인지를 체크하여, 인식된 근거리 통신태그가 복수개로 체크되면, 체크된 근거리 통신태그들중 이미 촬영된 근거리 통신태그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이미 촬영된 근거리 통신태그로 체크되면, 해당 태그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및
    이미 촬영된 근거리 통신태그로 체크되지 않으면, 근거리 통신태그별 최적의 촬영조건을 갖도록 카메라들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동영상 촬영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할당되지 않은 잔여 카메라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여, 잔여 카메라가 존재하는 것을 체크되면, 우선 순위 근거리 통신태그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잔여 카메라를 할당하는 단계;
    잔여 카메라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잔여 근거리 통신태그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잔여 근거리 통신태그의 존재로 체크되면, 잔여 근거리 통신태그에 대응하는 촬영 대기 순서를 설정하는 단계;
    잔여 근거리 통신태그의 미존재로 체크되면, 이동하는 근거리 통신태그를 추적하면서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동영상에 근거리 통신태그 식별 정보를 부가시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동영상 촬영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이용자별 동영상을 통합하는 단계는
    이용자별로 촬영된 동영상들을 수신하는 단계;
    동영상들로부터 썸네일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썸네일 동영상과 촬영된 동영상을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동영상 촬영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확인 및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는
    동영상 편집 요청 여부를 체크하여, 동영상 편집 요청으로 체크되면, 인증된 이용자인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인증된 이용자로 체크되면 썸네일 동영상들에서 스팟별 또는 우선순위별 유효클립동영상을 검출 및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동영상 촬영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클립동영상은 초상권 침해 방지 신청을 행한 사람이 포함된 동영상이 배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동영상 촬영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미표시된 클립동영상의 요청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미표시된 클립동영상의 요청으로 체크되면, 해당 미표시된 클립동영상을 검출하여 표시하는 단계;
    이용자에 의해 클립동영상 선택여부를 체크하여, 이용자에 의해 클립동영상 의 선택으로 체크되면 선택된 클립동영상에 대응하여 비용을 산출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결제 완료 여부를 체크하여, 결제 완료로 체크되면 선택된 클립동영상을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동영상 촬영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미표시된 클립동영상을 검출하여 표시하는 단계에서 표시되는 클립동영상에는 초상권 침해 방지 신청을 행한 사람이 포함된 동영상이 배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동영상 촬영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미표시된 클립동영상을 검출하여 표시하는 단계에서 표시되는 클립동영상에는 초상권 침해 방지 신청을 행한 사람이 모자이크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동영상 촬영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이용자에 의해 클립동영상의 미선택으로 체크되거나 결제 미완료로 체크되면, 편집 초기로 피드백 요청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동영상 촬영 방법.
KR1020080124191A 2008-12-08 2008-12-08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657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191A KR20100065715A (ko) 2008-12-08 2008-12-08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191A KR20100065715A (ko) 2008-12-08 2008-12-08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715A true KR20100065715A (ko) 2010-06-17

Family

ID=42364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191A KR20100065715A (ko) 2008-12-08 2008-12-08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571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066A (ko) * 2017-07-20 2019-01-30 주식회사 케이엠씨로보틱스 자가 자동 촬영 장치
KR20190072853A (ko) * 2017-12-18 2019-06-26 주식회사 엠게임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90106408A (ko) * 2018-03-09 2019-09-18 (주)벨류데이터 전자 지리정보를 활용한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KR20190106404A (ko) * 2018-03-09 2019-09-18 (주)벨류데이터 증강현실 기능이 적용된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066A (ko) * 2017-07-20 2019-01-30 주식회사 케이엠씨로보틱스 자가 자동 촬영 장치
KR20190072853A (ko) * 2017-12-18 2019-06-26 주식회사 엠게임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90106408A (ko) * 2018-03-09 2019-09-18 (주)벨류데이터 전자 지리정보를 활용한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KR20190106404A (ko) * 2018-03-09 2019-09-18 (주)벨류데이터 증강현실 기능이 적용된 자가촬영사진지원 카메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4929B2 (en) Vide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ame
US8339500B2 (en) Video sharing system, photography support system, and camera
US9247306B2 (en) Forming a multimedia product using video chat
US20110115612A1 (en) Media management system for selectively associating media with devices detected by an rfid
JP6311382B2 (ja) 管理サーバ、管理サーバ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6291939B2 (ja) 管理サーバ、管理サーバ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6331541B2 (ja) 管理サーバ、管理サーバ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100065715A (ko)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 및 그 방법
JP6467777B2 (ja) 管理サーバ、管理サーバ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6369074B2 (ja) 写真撮影編集装置、サーバ、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110134083A (ko) 무인 스틸영상 촬영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4363775A (ja) 撮影システムおよびその画像配信の提供方法
JP5928627B2 (ja) 管理装置および管理装置の制御方法
JP6296196B2 (ja) 管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07258953A (ja) 自動撮影システム及び自動撮影装置
JP2004320441A (ja) 撮影システム、撮影方法、端末装置、撮影装置、映像制作装置
JP6331540B2 (ja) 写真シール作成装置、写真シール作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管理装置
JP6311383B2 (ja) 写真撮影編集装置、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6569767B2 (ja) 管理サーバ
JP2016005097A (ja) 写真撮影編集装置、管理サーバ、携帯端末、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6369073B2 (ja) 管理サーバ、写真シール作成装置、画像管理システム、画像管理方法、画像送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36126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管理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7126174A (ja) 管理装置、画像データの公開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413273B2 (ja) 写真撮影編集装置、サーバ、写真撮影編集装置およびサーバの制御プログラム、ならびに記録媒体
JP6070612B2 (ja) サーバ、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