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2853A -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2853A
KR20190072853A KR1020170173954A KR20170173954A KR20190072853A KR 20190072853 A KR20190072853 A KR 20190072853A KR 1020170173954 A KR1020170173954 A KR 1020170173954A KR 20170173954 A KR20170173954 A KR 20170173954A KR 20190072853 A KR20190072853 A KR 20190072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ving image
display device
service providing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6372B1 (ko
Inventor
손승철
김봉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게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게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게임
Priority to KR1020170173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372B1/ko
Publication of KR20190072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G06K9/00684
    • G06K9/0075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35Categorising the entire scene, e.g. birthday party or wedding sce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06V20/46Extra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from the video content, e.g. video fingerprints, representative shots or key frames
    • G06V20/47Detecting features for summarising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동영상 및 촬영 장소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수신한 동영상과 해당 동영상의 촬영 장소를 저장하는 동영상 저장부; 상기 동영상 저장부에서 저장한 동영상과 촬영 장소를 이용하여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촬영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한 촬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신하는 제1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촬영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 및 상기 제2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촬영 데이터를 상기 촬영 장소에 따라 분류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단순한 사진이 아닌 역동감이 살아있는 동영상을 소장할 수 있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직접 동영상을 편집하거나 자동으로 편집된 동영상을 사용자 디바이스나 SNS 등으로 바로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동영상에서 대표 이미지를 선택하여 노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모든 동영상을 일일이 재생하지 않고도 대표 이미지만으로 어떠한 내용의 동영상인지 확인할 수 있고, 다수의 동영상 중에서 원하는 부분만을 빠르게 선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VIDEO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INTERACTIV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놀이공원, 테마파크, 각종 이벤트 및 전시장 등을 방문하는 방문객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놀이공원 등에 방문하는 방문객은 기념사진을 촬영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놀이공원의 방문객은 놀이공원 내에 설치되어 있는 놀이기구에 탑승한 상태의 사진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놀이기구에 탑승한 방문객을 촬영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롤러코스터(Roller coaster)에 탑승한 사진을 촬영하려고 하는 경우, 롤러코스터가 고속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방문객 스스로가 사진을 촬영하기는 어려우며, 안전상으로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롤러코스터에 탑승하지 않은 방문객의 일행이 촬영해준다고 하더라도 원거리에서 고속으로 이동하는 롤러코스터에 탑승한 방문객을 제대로 촬영하기는 매우 어렵다. 특히, 방문객과 일행이 놀이기구에 함께 탑승하는 경우, 함께 탑승한 사진을 촬영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특정 위치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놀이기구에 탑승한 관람객을 촬영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는 카메라가 설치된 위치로 놀이기구가 이동하는 순간에 연속 촬영을 통하여 랜덤하게 촬영이 이루어지므로, 관람객이 촬영된 사진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한편, 저장 매체의 용량이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동영상 촬영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동영상은 정적인 사진과 달리, 그 순간의 역동감을 생생하게 담아낼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놀이공원, 테마파크, 각종 이벤트 및 전시장 등에서 사진이 아닌 동영상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제공된 바 없다.
해당 기술분야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95015호 ‘전자태그를 이용한 자동 사진촬영 시스템 및 방법’ 등이 제안된 바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단순한 사진이 아닌 역동감이 살아있는 동영상을 소장할 수 있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직접 동영상을 편집하거나 자동으로 편집된 동영상을 사용자 디바이스나 SNS 등으로 바로 공유할 수 있는,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영상에서 대표 이미지를 선택하여 노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모든 동영상을 일일이 재생하지 않고도 대표 이미지만으로 어떠한 내용의 동영상인지 확인할 수 있고, 다수의 동영상 중에서 원하는 부분만을 빠르게 선택할 수 있는,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동영상 및 촬영 장소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수신한 동영상과 해당 동영상의 촬영 장소를 저장하는 동영상 저장부;
상기 동영상 저장부에서 저장한 동영상과 촬영 장소를 이용하여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촬영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한 촬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신하는 제1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촬영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 및
상기 제2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촬영 데이터를 상기 촬영 장소에 따라 분류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하는 상기 촬영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촬영 데이터는,
동영상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에 따라 선택되는 대표 이미지 및 촬영 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하는 상기 대표 이미지 중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선택 대표 이미지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상기 제1 수신부에 송신하는 제2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선택 대표 이미지가 생성된 동영상을 사용자 디바이스 및 SN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공유하는 공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코멘트를 함께 공유할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미리 정해진 방법에 따라 상기 선택 대표 이미지가 생성된 동영상을 편집하는 동영상 편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 정해진 방법은,
각각의 상기 선택 대표 이미지가 생성된 동영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구간 또는 시간만을 분할하여 병합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 정해진 방법은,
각각의 선택 대표 이미지가 생성된 동영상을 미리 정해진 구간별로 분할한 후 병합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상기 동영상 편집부에서 편집한 동영상을 삭제하는 동영상 삭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단순한 사진이 아닌 역동감이 살아있는 동영상을 소장할 수 있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직접 동영상을 편집하거나 자동으로 편집된 동영상을 사용자 디바이스나 SNS 등으로 바로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동영상에서 대표 이미지를 선택하여 노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모든 동영상을 일일이 재생하지 않고도 대표 이미지만으로 어떠한 내용의 동영상인지 확인할 수 있고, 다수의 동영상 중에서 원하는 부분만을 빠르게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촬영 데이터 생성부(130)에서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220)에서 촬영 데이터를 출력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공유부(150)에서 동영상을 공유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공유부(150)에서 코멘트와 함께 동영상을 공유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영상 편집부(160)에서 동영상을 편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영상 편집부(160)에서 동영상을 편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이용하여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동영상 서비스는, 놀이공원, 테마파크, 각종 이벤트 및 전시장 등에 설치된 카메라(300)를 통해 촬영한 동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다양한 장소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한 곳에서 확인하고, 사용자 디바이스(400)에 다운로드하거나 SNS 등에 공유할 수 있다. 이때, 동영상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 또는 사용자에 의해 편집된 동영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단순한 사진이 아니라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디지털 이미지나 동영상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촬영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로부터 촬영 데이터를 선택받아 사용자 디바이스(400) 또는 SNS에 동영상을 공유하여 동영상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키오스크(Kiosk)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디지털 이미지나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장소에서 촬영된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만으로도 여러 장소에서 촬영된 동영상을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카메라(300)는, 놀이공원, 테마파크, 각종 이벤트 및 전시장 등에 설치되어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300)는 고정된 위치에서 정해진 시간 동안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정해진 시간은, 카메라(300)가 설치된 설치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동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300)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n개의 카메라(3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카메라(300)는, 제1 카메라(300), 제2 카메라(300) 내지 제n 카메라(3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카메라(300)는, 각각의 장소마다 복수로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놀이공원의 롤러코스터의 레일 코스를 따라 복수의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0)나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400)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디바이스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동영상 서비스가 구현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디바이스(40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및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 등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디바이스(400)는, 전술한 디바이스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100)나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면 그 구체적인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자 디바이스(400)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제1 수신부(110), 동영상 저장부(120), 촬영 데이터 생성부(130) 및 제1 송신부(140)를 포함하고, 공유부(150), 동영상 편집부(160) 및 동영상 삭제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수신부(110)는, 카메라(300)로부터 촬영된 동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서는, 카메라(300)는 복수일 수 있으므로, 제1 수신부(110)는 복수의 동영상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수신부(110)는, 카메라(300)로부터 촬영 장소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 장소는, 카메라(300)에 포함된 GPS 모듈로부터 특정된 장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신부(110)는, ‘장소 1’에 설치된 카메라(300)로부터 촬영된 동영상을 수신하는 경우, ‘장소 1’에 해당하는 촬영 장소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동영상 저장부(120)는, 제1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동영상 저장부(120)는, 제1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각각의 동영상을 원본 상태로 저장할 수 있다. 즉, 동영상 저장부(120)는, 제1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각각의 동영상을 서로 분리하여 개별적인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동영상 저장부(120)는, 해당 동영상에 대한 촬영 장소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동영상 저장부(120)는, 동영상에 대한 촬영 장소를 태그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동영상 저장부(120)는, 각각의 동영상마다 해당 동영상이 촬영된 장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 저장부(120)는, ‘장소 1’에 설치된 카메라(300)로부터 촬영된 동영상을 저장하는 경우, ‘장소 1’에 해당하는 촬영 장소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촬영 데이터 생성부(130)에서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데이터 생성부(130)는, 동영상 저장부(120)에서 저장한 동영상과 촬영 장소를 이용하여 촬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촬영 데이터는, 동영상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에 따라 선택되는 대표 이미지 및 촬영 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시간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촬영 데이터 생성부(130)는, 예를 들어, 동영상에서 3초에 해당하는 프레임을 해당 동영상의 대표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대표 이미지는, 하나의 동영상에서 복수로 생성될 수 있다. 하나의 동영상에서 대표 이미지가 복수로 설정되는 경우, 서로 다른 시간에 해당하는 프레임을 해당 동영상의 대표 이미지로 설정할 수도 있다.
제1 송신부(140)는, 촬영 데이터 생성부(130)에서 생성한 촬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촬영 데이터는, 대표 이미지 및 촬영 장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동영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제1 송신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표 이미지 및 촬영 장소를 송신하되, 해당 대표 이미지가 생성된 동영상을 송신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2 수신부(210) 및 디스플레이부(220)를 포함하고, 입력부(230) 및 제2 송신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수신부(21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촬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수신부(21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제1 송신부(140)로부터 촬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촬영 데이터는, 적어도 대표 이미지 및 촬영 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220)에서 촬영 데이터를 출력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20)는, 제2 수신부(210)가 수신한 촬영 데이터를 촬영 장소에 따라 분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촬영 데이터는 촬영 장소를 포함하므로, 디스플레이부(220)는, 촬영 데이터를 촬영 장소에 따라 분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20)는, 촬영 장소에 따라 대표 이미지를 분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20)는, 먼저 촬영 장소를 분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놀이공원에서도 여러 촬영 장소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촬영 장소가 n개 있다고 가정하면, 디스플레이부(220)는, n개의 장소를 먼저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n개의 장소 중 ‘장소 1’을 선택했다고 가정하면, 디스플레이부(220)는, 촬영 장소가 ‘장소 1’에 해당하는 촬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소 1’에 n개의 카메라(300)가 설치된 경우, n개의 카메라(300)에서 촬영된 각각의 동영상마다 대표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20)는, ‘장소 1’에 대해 n개의 대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230)는, 디스플레이부(220)에서 출력하는 촬영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입력부(230)는, 디스플레이부(220)에서 출력하는 대표 이미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받을 수 있다. 입력부(230)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터치 패널을 통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다양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입력부(230)는,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부(220) 상의 좌표 및 텍스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20)에서 촬영 장소에 따라 대표 이미지를 출력하므로, 사용자는 동영상을 재생하지 않고도 대표 이미지를 통해 동영상의 내용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동영상을 일일이 재생할 필요가 없으며, 대표 이미지만으로도 동영상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동영상 서비스 과정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대용량의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송신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대표 이미지만으로 동영상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대표 이미지가 생성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대표 이미지를 선택하여 해당 대표 이미지의 동영상 재생을 요청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해당 동영상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전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제1 송신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입력부(230)에서 선택된 대표 이미지가 생성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송신할 수 있다.
제2 송신부(240)는, 디스플레이부(220)에서 출력하는 대표 이미지 중에서 입력부(230)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선택 대표 이미지를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제1 수신부(110)에 송신할 수 있다. 즉, 제2 송신부(24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선택한 선택 대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송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공유부(150)에서 동영상을 공유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부(150)는, 제1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선택 대표 이미지가 생성된 동영상을 사용자 디바이스(400) 및 SN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공유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공유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선택된 대표 이미지에 해당하는 동영상을 공유할 수 있다. 공유부(150)는, 제1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선택 대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므로, 선택 대표 이미지가 생성된 동영상을 동영상 저장부(120)에서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공유부(150)는, 해당 동영상을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는 다운로드 링크가 포함된 URL 또는 QR 코드 등을 생성하여 공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공유부(150)는, 다운로드 링크가 포함된 URL 또는 QR 코드 등을 포함하는 SMS를 사용자 디바이스(400)에 송신하여 동영상을 공유할 수도 있다.
한편, 공유부(15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동영상 편집부(160)에서 편집한 동영상을 공유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공유부(150)에서 코멘트와 함께 동영상을 공유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입력부(230)를 통해 입력받은 코멘트를 함께 공유할 수 있다. 이러한 코멘트는, 대표 이미지상의 도형 또는 텍스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공유부(150)를 통해 공유되는 대표 이미지에 사용자가 입력부(230)를 통해 입력한 도형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공유부(150)를 통해 공유되는 메시지에 사용자가 입력부(230)를 통해 입력한 텍스트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동영상 편집부(160)는, 미리 정해진 방법에 따라 선택 대표 이미지가 생성된 동영상을 편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리 정해진 방법은, 각각의 선택 대표 이미지가 생성된 동영상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입력부(230)로부터 입력받은 구간 또는 시간만을 분할하여 병합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직접 동영상에 대한 편집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미리 정해진 방법은, 각각의 선택 대표 이미지가 생성된 동영상을 미리 정해진 구간별로 분할한 후 병합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직접 동영상을 편집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설정값에 따라 동영상 편집부(160)가 자동적으로 동영상을 편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20)에서 출력되는 대표 이미지에서 3개의 선택 대표 이미지를 선택했다고 가정한다. 이때, 사용자가 선택한 3개의 선택 대표 이미지가 생성된 동영상은 각각 제1 카메라(300)에서 촬영한 제1 동영상, 제2 카메라(300)에서 촬영한 제2 동영상 및 제3 카메라(300)에서 촬영한 제3 동영상이라고 가정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영상 편집부(160)에서 동영상을 편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사용자가 입력부(230)를 통해 각각의 동영상마다 구간을 입력한 것으로 가정한다. 동영상 편집부(160)는, 각각의 선택 대표 이미지가 생성된 동영상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입력부(230)로부터 입력받은 구간 또는 시간만을 분할하여 병합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동영상에서는 2초의 구간, 제2 동영상에서는 3초의 구간, 그리고 제3 동영상에서는 1초의 구간이 설정되었다. 동영상 편집부(160)는, 제1 동영상에서 입력받은 2초의 구간, 제2 동영상에서 입력받은 3초의 구간, 그리고 제3 동영상에서 입력받은 1초의 구간을 병합하여 총 6초의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동영상 편집부(160)는, 사용자가 입력부(230)를 통해 입력한 순서에 따라 각각의 동영상을 병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각의 동영상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부분만을 분할하여 병합함으로써 자신만의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직접 동영상을 편집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영상 편집부(160)에서 동영상을 편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3명의 탑승객이 놀이기구에 탑승한 모습을 촬영했다고 가정한다. 또한, 동영상을 각각 3개의 구간별로 분할했다고 가정한다. 동영상 편집부(160)는, 각각의 선택 대표 이미지가 생성된 동영상을 미리 정해진 구간별로 분할한 후 병합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영상 편집부(160)는, 제1 동영상 내지 제3 동영상을 각각 3구간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동영상에서 제1 구간은 제1 탑승객이 촬영되는 구간, 제2 구간은 제2 탑승객이 촬영되는 구간, 제3 구간은 제3 탑승객이 촬영되는 구간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동영상에서 제1 구간은 1-1, 제2 구간은 1-2, 제3 구간은 1-3일 수 있다. 따라서 동영상 편집부(160)는, 각각의 동영상을 구간별로 병합할 수 있다. 그러면, 동영상 편집부(160)는, 놀이기구에 탑승한 3명의 탑승객 별로 분할한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탑승객에 대한 동영상은 구간 1-1, 구간 2-1 및 구간 3-1을 병합한 동영상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탑승객에 대한 동영상은 구간 1-2, 구간 2-2 및 구간 3-2를 병합한 동영상일 수 있으며, 제3 탑승객에 대한 동영상은 구간 1-3, 구간 2-3 및 구간 3-3을 병합한 동영상일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 대표 이미지를 선택하더라도, 해당 선택 대표 이미지가 생성된 동영상에는 해당 사용자만이 촬영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고정된 위치에서 정해진 시간 동안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300)의 특성상, 카메라(300)에서 촬영한 각각의 동영상에서 각각의 탑승객이 노출되는 구간은 정해져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카메라(300)에서 촬영한 동영상마다 각각의 탑승객이 노출되는 구간을 미리 분할할 수 있다. 동영상 편집부(160)는, 선택 대표 이미지가 생성된 동영상에서 이러한 구간에 따라 동영상을 분할한 후 병합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각각의 탑승객만이 노출된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영상 편집부(160)에서 자동으로 편집한 동영상 중에 자신이 노출되어 있는 동영상만을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구간을 입력하여 직접 동영상을 편집하거나, 자동으로 편집된 동영상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공유부(150)는, 동영상 편집부(160)에서 편집된 동영상을 공유할 수 있다.
동영상 삭제부(170)는, 사용자 디바이스(400)의 요청에 따라 동영상 편집부(160)에서 편집한 동영상을 삭제할 수 있다. 동영상 편집부(160)에서 편집한 동영상은 사용자의 모습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동영상을 삭제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동영상 삭제부(170)는, 사용자 디바이스(400)의 요청에 따라 온라인을 통해 동영상 편집부(160)에서 편집한 동영상을 언제 어디에서든지 삭제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400)에서 삭제하고자 하는 동영상을 선택한 후, 해당 동영상을 손쉽게 삭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단순한 사진이 아닌 역동감이 살아있는 동영상을 소장할 수 있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직접 동영상을 편집하거나 자동으로 편집된 동영상을 사용자 디바이스나 SNS 등으로 바로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동영상에서 대표 이미지를 선택하여 노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모든 동영상을 일일이 재생하지 않고도 대표 이미지만으로 어떠한 내용의 동영상인지 확인할 수 있고, 다수의 동영상 중에서 원하는 부분만을 빠르게 선택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서비스 제공 서버
110: 제1 수신부
120: 동영상 저장부
130: 촬영 데이터 생성부
140: 제1 송신부
150: 공유부
160: 동영상 편집부
170: 동영상 삭제부
200: 디스플레이 장치
210: 제2 수신부
220: 디스플레이부
230: 입력부
240: 제2 송신부
300: 카메라
400: 사용자 디바이스

Claims (10)

  1.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동영상 및 촬영 장소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수신한 동영상과 해당 동영상의 촬영 장소를 저장하는 동영상 저장부;
    상기 동영상 저장부에서 저장한 동영상과 촬영 장소를 이용하여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촬영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한 촬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신하는 제1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촬영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 및
    상기 제2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촬영 데이터를 상기 촬영 장소에 따라 분류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하는 상기 촬영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데이터는,
    동영상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에 따라 선택되는 대표 이미지 및 촬영 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하는 상기 대표 이미지 중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선택 대표 이미지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의 상기 제1 수신부에 송신하는 제2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선택 대표 이미지가 생성된 동영상을 사용자 디바이스 및 SN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공유하는 공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코멘트를 함께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미리 정해진 방법에 따라 상기 선택 대표 이미지가 생성된 동영상을 편집하는 동영상 편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방법은,
    각각의 상기 선택 대표 이미지가 생성된 동영상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구간 또는 시간만을 분할하여 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방법은,
    각각의 선택 대표 이미지가 생성된 동영상을 미리 정해진 구간별로 분할한 후 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상기 동영상 편집부에서 편집한 동영상을 삭제하는 동영상 삭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70173954A 2017-12-18 2017-12-18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996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954A KR101996372B1 (ko) 2017-12-18 2017-12-18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954A KR101996372B1 (ko) 2017-12-18 2017-12-18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853A true KR20190072853A (ko) 2019-06-26
KR101996372B1 KR101996372B1 (ko) 2019-07-12

Family

ID=67105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954A KR101996372B1 (ko) 2017-12-18 2017-12-18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3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5715A (ko) * 2008-12-08 2010-06-17 (주)투미르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47398A (ko) * 2009-10-30 2011-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제공시스템 및 그 영상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5715A (ko) * 2008-12-08 2010-06-17 (주)투미르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47398A (ko) * 2009-10-30 2011-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제공시스템 및 그 영상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372B1 (ko) 2019-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3556B2 (en) Video acquisition and compilation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and distributing a composite video
US20160253743A1 (en) Interactive image capture, marketing and distribution
US20150304601A1 (en) Image Data System
US7966223B2 (en) Interactive image activation and distribu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KR101909194B1 (ko) 위치기반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10115612A1 (en) Media management system for selectively associating media with devices detected by an rfid
TWI619037B (zh)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content through cooperation among users
CN101753808A (zh) 照片授权系统、方法和设备
KR101996372B1 (ko)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23153790A (ja) プログラム
JP2015015570A (ja) 画像管理システム、画像管理装置および画像管理プログラム
CN111145189A (zh)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2320172A (ja) 撮影システム
KR20100065715A (ko) 무인 동영상 촬영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1075279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118441B1 (ko) 자연공원 관광서비스 관리서버
KR102187203B1 (ko) 동영상 및 특정 신호의 입력에 따른 정지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는 감시 카메라 및 동영상 및 동영상과 관련된 정지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관리 서버
JP7167629B2 (ja) ガイドシステム
JP7077075B2 (ja) オンラインサービスシステム、オンラインサービス提供方法、コンテンツ管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4106695A (ja) 情報処理装置
KR102097199B1 (ko) 위치 기반 영상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0772130B1 (ko)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제공시스템
KR20110134083A (ko) 무인 스틸영상 촬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27020A (ko) 관광 사진, 영상 콘텐츠를 활용한 관광 시스템
JP2004040736A (ja) 画像情報送受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