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5611A -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피부손상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피부손상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5611A
KR20100065611A KR1020080124018A KR20080124018A KR20100065611A KR 20100065611 A KR20100065611 A KR 20100065611A KR 1020080124018 A KR1020080124018 A KR 1020080124018A KR 20080124018 A KR20080124018 A KR 20080124018A KR 20100065611 A KR20100065611 A KR 20100065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lemon
stability stability
wes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덕기
이승기
김성래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80124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5611A/ko
Publication of KR20100065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6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0Fumariaceae (Fumitory family), e.g. bleeding he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4Susp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피부손상 방지용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피부손상 방지용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조성물을 포함하여 대기환경오염의 주된 물질중의 하나인 오존에 의한 피부손상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에 사용하면 대기오염물질 특히 오존에 의한 피부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대기오염물질, 오존, 이산화질소, 서양현호색, 푸마린산, 레몬

Description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피부손상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fumitory herb extract and lemon fruit extract for the protection skin damage by air pollutants}
본 발명은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피부손상 방지용의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경오염은 우리가 매일 인식하고 있는 주로, 도심지역의 대기오염이다. 산화질소(NOx)는 도로교통, 개인과 산업의 열기구, 쓰레기소각장등으로부터 야기된다.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은 1차로 다양한 산업적, 상업적 그리고 개인적 근원으로부터의 용매 탄화수소 기체로부터 파생된다. 태양에 의한 자외선의 영향 아래에서 이들 대기오염물질들은 오존을 형성하게 된다. 강한햇빛, 높은 기온과 최소한의 공기이동 등의 특별한 기상조건하에서 특히 뜨거운 여름 중 햇빛의 UV 비율은 오존이 높은 농도로 생성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밤 동안에는 공기 중의 다른 오염물질에 의해 분해된다. 이처럼 오존은 대기오염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Figure 112008084396642-PAT00001
세계보건기구(WHO)는 120㎍/㎥air라는 한계치를 세웠고, 이 수준을 넘어서는 수치는 인간, 동물 그리고 식물의 건강에 심각한 위험을 일으킬 수 있다. 대기오염이 심각한 도시의 아토피 발병률이 농어촌의 아토피 발병률보다 높고, 대기 중의 오존 농도가 50ppb 증가할 때마다 어린이 아토피 환자의 입원률이 73% 증가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여기서, 아토피 환자가 병원에 입원할 정도라면 이미 아토피 증세가 심각한 정도로 진행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병원에 입원하지 않을 정도의 증세를 지닌 아토피 환자의 발병률은 훨씬 더 높은 비율로 증가될 것으로 추정된다.
하기 도는 2002년 7월 29일 파리 에펠탑에서 측정한 오존과 NOx 수치의 흐름을 보인다. 5시와 7시 사이에 오존의 양은 단지 10㎍/㎥의 최소값에 도달한다. 이 때 NO와 NO2의 수준은 상승하기 시작한다. 이 NO2 레벨의 상승은 여름철의 높은 온도와 과도한 일광과 함께 공기 중의 오존의 함량을 빠르게 증가시킨다. 막 11시가 지나면서 WHO의 한계치인 120㎍/㎥을 초과하게 되었다. 13시쯤에는 수치가 180㎍/㎥에 도달했으며, 14시에 최고수치인 210㎍/㎥에 도달했다. 8시간이 지난 19시에는 다시 WHO의 한계치까지 떨어졌다.
Figure 112008084396642-PAT00002
< 2002년 7월 29일 파리 에펠탑에서 측정한 오존과 NOx 수치 >
위에 기술한 오존의 형성에 추가로, 오존은 밀폐된 공간에서의 복사기, 레이저프린터 또는 팩스와 같은 높은 전압을 가지는 장치들에 의해 또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비는 20~60㎍/㎥의 오존을 야기시킨다. 만약 이 장치들이 실내에 불안정하게 위치해 있거나, 오래되거나 적당한 보수가 되지 않으면, 이것은 상당히 높은 오존의 농도를 일으킬 수 있다.
서울을 포함한 국내외 대도시에서는 높은 인구밀도와 급격한 자동차의 증가로 대기 오염물중의 오존(O3)과 이산화질소(NO2)의 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기 도에 서울지역의 오존 및 이산화질소의 연도별 농도변화를 보였다. 예를 들면 2007년 말 현재 서울의 인구는 1,042만명이 거주하고 있고, 대기 오염의 주원인이 되는 자동차는 280만대로 1980년대에서 90년대의 증가율에는 못 미치치만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여건에서 1980년대 이후 대기의 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청정연료의 보급과 자동차 배기가스의 규제강화 등으로 개발도상국형인 아황산가스는 크게 개선되어 1993년 이후에는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기준치 이내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자동차의 급격한 증가로 자동차 배출가스가 대기오염의 85.4%를 차지하면서 이산화질소와 오존오염도가 증가하는 추세로 오존주의보의 발령, 시정장애현상 등의 여러 가지 피해상황이 우리의 건강과 생활을 위협하며, 오염형태가 선진국형으로 변화하고 있다.
Figure 112008084396642-PAT00003
대기오염도가 높아질수록 다양한 피부질환이 증가한다는 사실은 대도시에서의 대기오염 관련 피부질환 환자수가 농어촌 지역보다 많으며 매년 피부질환으로 병원을 방문하는 전체 환자의 수가 증가함으로 비춰볼 때 알 수 있다. 특히 점차적 으로 증가되는 오존과 이산화질소는 다양한 피부질환을 일으킨다는 연구결과가 최근에 와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보고에 따르면, 오존은 피부에서의 비타민C와 E의 파괴를 유도하고 지질의 과산화를 일으켜 산화적 스트레스를 초래하여 피부노화를 촉진하고 결국 피부질환을 유발하며, 이산화질소는 피부에서의 질소아민을 발생시켜 결과적으로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피부질환을 유발하고 피부노화를 촉진한다.
경제수준의 향상은 사람의 질병에 관한 인식을 바꾸어 놓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노화와 외모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관련비용의 지출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비용은 잠재적인 사회비용으로 취급되고 있어 전체적인 의료비용은 급격한 증가추세에 있다. 피부질환은 비록 생명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발생이 빈번하고 사람의 경제 및 사회활동에는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피부 관리 및 피부질환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이를 산업화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현재의 피부, 미용 관련 산업은 미국과 유럽 등의 선진국이 대부분 독점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향후 피부질환 치료 및 예방 기술의 수요, 기능성 화장품 시장과 피부 미용제품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미국, 유럽 등의 관련기업들은 새로운 아시아시장의 확대를 위해 동양인의 피부에 적합한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 인종별로 차별화 된 피부의 색과 노화의 형태가 다르고 아름다움에 대한 기준이 다르기 때문 에 이미 개발된 기술과 제품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어렵다. 이러한 선진국의 환경에 견주어 국내에서도 새로운 피부 관련 유효활성 및 치료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원천기술과 이를 활용한 고기능성의 제품을 창출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
현재의 화장품 등의 피부 관련 산업에서 오존과 이산화질소에 대한 피부손상 정도를 실험적으로 확인하고 이러한 손상에 대해 방어할 수 있는 안전한 효능물질을 평가하는 기술을 확보하여 다양한 제품에 적용하는 완전한 기술이 확립되어 있지는 않다.
국내에서는, 오존과 이산화질소에 대한 피부손상 관련 연구는 거의 진행된 바 없으며 이러한 사정으로 관련 기술이나 제품이 개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화장품 제형과 관련된 제품의 개발과 제조기술은 선진기술에 뒤지지 않고 있고 생산량의 많은 부분이 수출되고 있는 경쟁력 있는 산업부문이다. 그러나 고기능성 소재의 개발과 이를 이용한 제품의 수출은 아직 미진한 상태이다. 최근에는 고기능성의 항산화 소재개발과 선진국형 기술개발이 나노기술과 더불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점차 관련기업의 투자와 정부차원의 지원도 증가되고 있다.
해외에서는, 오존과 이산화질소가 피부손상에 미치는 기작은 현시점에서 기초연구 수준의 결과가 정립되어 확인된 학술적인 측면의 결론이기에 아직 이를 응용한 산업화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 시작 단계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화장품들은 내외부적인 자극 등에 의해서 생긴 피부 층의 자유라디칼에 반응하여 항산화 작용을 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러한 연유로 화장품회사들은 같은 원리로 대기오염물에 의한 피부손상도 방어한다고 광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엄밀하게 말하면 근거가 불충분하고, 대기오염에만 초점을 맞추어 개발된 화장품의 종류는 거의 없으며 대기오염물질을 녹이는 클렌징 크림정도만이 개발된 수준이다. 특히, 오존이나 이산화질소의 피부손상 방어를 위한 제품의 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피부손상을 개선하고 방지하기 위하여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오존에 의한 피부손상 방지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피부손상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피부손상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사용하면 대기오염물질 특히 오존에 의한 피부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은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피부손상 방지용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서양현호색(Fumaria officinalis)은 현호색과(科)로 유럽원산의 1~2년생 초본이며 유럽과 아프리카, 서아시아, 오세아니아 남쪽 아메리카의 온대지방을 중심으로 아한대지방에까지 널리 분포하고 있다. 줄기는 10~30cm로 자라고 여러 개의 가지가 직립하거나 비스듬히 자라는데 모서리가 지고 백색을 띤다. 잎은 어긋나 3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털은 없다. 꽃은 3~4월 줄기 윗부분에서 10~50개가 피는데 총상화서(긴 꽃대에 꽃자루가 있는 여러 개의 꽃이 어긋나게 붙어 밑에서부터 피기 시작해 끝까지 올라가며 핌)에다 분홍색이다. 과실은 담갈색의 구형 또는 편구형으로 직경이 2~3mm이고 하나의 종자를 갖는다. 종자는 적갈색을 띤다.
한편, 레몬(Citrus media limonum)은 운향과(芸香科 Rutaceae)의 소교목 또는 관목으로, 높이는 3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달걀모양인데 끝이 뾰족하다. 5-10월에 향기가 나는 흰 꽃이 피고 열매는 다원형으로 노랗게 익는데 향기가 진하다. 과즙에 시트르산과 비타민 C가 많이 들어 있어 신맛이 있으며, 향료로 널리 쓴다. 인도가 원산지로 아열대 각지에서 재배한다. 레몬의 효능으로는, 에리오시트린과 같은 항산화 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풍부한 비타민 C 성분에 의해 혈관이나 피부의 점막을 강화시켜 면역력을 높여주는 기능과, 각종 미백 효능 이외 오레아놀 성분에 의한 피부 각질 제거 작용이 뛰어나고,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피부를 매끄럽고 부드럽게 해주는 작용이 뛰어나 피부 미용을 위한 식품 및 화장료의 중요한 원료로 이용되고 있다. 게다가 레몬은 비타민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피부의 수축과 이완을 돕고 콜라겐의 형성을 도와 피부 탄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산성이 강해 수렴 작용이 있으며 모세 혈관을 튼튼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미백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레몬에 함유된 레몬정유는, 레몬오일, 디-레몬엔(di-lemonene), 시트로넬라 오일(citronella oil), 오렌지 오일, 만다린 오일(mandarin oil), 오렌지 터핀(orenge terpene), 시트러스 터핀(citrus terpene), 레몬 터핀(lemonterpene), 라임 터핀(lime terpene) 등의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방향성이 우수하며 향긋한 냄새를 낸다. 시장에 내놓는 레몬의 크기는 지름 5㎝ 정도이다. 열매는 녹색일 때 따서 적절히 가공한 뒤 3개월 또는 그 이상 보관한다. 레몬의 중요한 부산물로는 구연산, 구연산 칼슘염, 레몬 기름, 펙틴 등이 있다. 레몬 정유는 향수ㅇ비누ㅇ조미료 등에 사용되는데 주로 시칠리아 섬에서 생산한다. 구연산으로는 음료수를 만들고, 펙틴은 과일 젤리를 만드는 중요한 재료이며 의학에서는 항출혈제(抗出血劑)ㅇ혈장증량제(血漿增量劑) 같은 장(腸) 질환의 치료에 사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서양현호색 추출물(Fumaria officinalis extract)'은 서양현호색의 전초 또는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예: 잎, 꽃, 뿌리, 줄기 및 종자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잎, 꽃, 뿌리, 줄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잎, 꽃 또는 줄기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서양현호색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초임계 추출 방법에 따라, 즉, 특정한 온도와 압력의 조건 하에서, 특정한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초임계 추출에 사용되는 추출 용매로는,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탄소, 에탄, 프로판, 아산화질소, 프로필렌, 유황 헥사플루오라이드, 일산화이질소, 트리플루오로메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용매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탄소, 에탄 또는 프로판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탄소이다.
또한, 초임계 추출에 사용되는 온도는 30 내지 100℃이며,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이고, 압력은 80 내지 500atm이며,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0atm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레몬 추출물(lemon fruit extract)'은 레몬 나무에서 얻어진 열매(예를 들어, 레몬의 열매뿐만 아니라, 열매의 껍질, 레몬의 종자, 종자의 껍질 등)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레몬 추출물은 일반적인 압착법 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매추출방법으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레몬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초임계 추출법에 따라 즉, 특정한 온도와 압력의 조건 하에서, 상기 서양현호색 추출방법에서 언급된 특정한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은 "서양현호색 추 출물 및 레몬 추출물 포함 혼합추출물"과 통상 같은 의미로 사용되며, 서양현호색과 레몬의 혼합추출물을 의미한다. 즉, 서양현호색과 레몬을 혼합하여 추출하거나, 각각의 원료의 개별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혼합추출 또는 개별추출 후 혼합하는 추출방법에 따른 유효성분의 차이는 거의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원료를 개별 추출한 다음 혼합하여 사용한다. 한편, 각각의 개별 추출물 또는 혼합추출물은 추가로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폴리올류의 용매에 용해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의 함량은 혼합추출물 내에 혼합추출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10.0-25.0중량%및 10.0-25.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서양현호색과 레몬의 함량비(중량비) 또는 서양현호색 추출물과 레몬 추출물의 함량비(중량비)는 1:3 내지 3:1 이며, 바람직하게는 1:1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은 다음과 같이 실시된다. 먼저 서양현호색의 잎, 꽃, 줄기 부위를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고 작은 조각으로 파쇄한 뒤, 시료 초임계 추출용기에 놓고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펌프를 이용하여 순수한 이산화탄소를 40℃의 온도, 100 atm의 압력에서 초임계 상태로 만들어 흘려보내면서 추출물을 시험관에 받거나, 공용매를 이산화탄소와 함께 흘려보내 추출하여 서양현호색 추출물을 준비한다. 레몬의 경우, 레몬 나무의 열매인 레몬을 정제수로 세척한 후 작은 조각으로 파쇄하여 건조시킨 다음, 상기 서양현호색 초임계 추출방법과 동일한 압력과 온도 조건에서 레몬 추출물을 준비한다. 초임계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각각의 서양현호색 추출물과 레몬 추출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초음파를 이용한 추출법에 의한 추출,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 포함 혼합추출물은 피부에 국소적으로 바르는 거나 뿌리는 것에 의해 그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피부 외형제의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용액, 현탁액, 유탁액, 겔, 크림, 로션 등의 화장료 조성물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본 발명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서양현호색 추출물과 레몬 추출물의 혼합추출물 이외에 다른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피부 손상방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서양현호색 추출물과 레몬 추출물만으로 구성된 유효 성분으로도 매우 우수한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피부 손상방지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으로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 이외에 pH 조절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로는 푸마린산, 트리에탄올아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아르기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푸마린산이다. 이때, 상기 pH 조절제는 레몬 추출물의 낮은 pH를 pH 3.0~9.0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맞추어주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푸마린산(fumaric acid)은 구연산 회로의 대사물로서 식품 및 농업 분야에서 첨가물로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푸마린산(fumaric acid)은 의약품 분야에서의 사용은 건선치료를 위한 치료제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푸마린산(fumaric acid)은 푸마린산, 푸마린산염, 푸마린산 금속염의 형태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 포함 혼합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30.0중량%로 함유되며, 바람직하게는 0.05-3.0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추출물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피부손상 방지 효과가 극히 미약하며, 30.0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며, 제형상의 안전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경제적이지도 못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 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 방법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모든 화장 방법을 일컫는다. 즉,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방법이 본 발명의 화장 방법에 속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호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화장방법을 수행하면, 대기오염물질 특히 오존에 의한 피부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대기오염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 포함 혼합추출물의 제조
서양현호색의 잎, 꽃, 줄기 부위를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고 작은 조각으로 파쇄한 뒤, 시료 초임계 추출용기에 놓고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펌프를 이용하여 순수한 이산화탄소를 40℃의 온도, 100 atm의 압력에서 초임계 상태로 만들어 흘려보내면서 추출물을 시험관에 받거나, 공용매를 이산화탄소와 함께 흘려보내 서양 현호색 추출물을 추출하였다. 또한 레몬나무의 열매인 레몬을 정제수로 세척한 후 작은 조각으로 파쇄하여 건조시킨 다음, 서양현호색의 추출조건과 동일한 조건으로 레몬 추출물을 추출하였다. 이때, 초임계 추출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초임계 추출방법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추출된 각각의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을 1:1의 함량(중량비)으로 혼합하여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1: 서양현호색 추출물과 레몬 추출물의 혼합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율
제조예 1에서 추출한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의 1:1 혼합추출물 및 개별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본 발명의 서양현호색 추출물과 레몬 추출물의 1:1 혼합추출물(제조예 1)과, 제조예 1에서 추출한 각각의 개별 추출물인 서양현호색 추출물(비교예 1) 및 레몬 추출물(비교예 2)을 대상으로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은 DPPH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DPPH는 시그마사(Sigma Co., Ltd, 미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먼저, 400 ㎛ 농도의 표준 DPPH 용액을 만들었다. 그리고, 기준물질로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빈산에 각각 에탄올을 가하여 200 ㎍/㎖의 농도로 시료를 만들었으며, 시료물질들도 각각 에탄올을 가하여 200 ㎍/㎖의 농도로 시료를 만들었다. 그 다음, 상기 시료와 표준 DPPH 용액을 같은 비율로 첨가하여 잘 교반한 후, 37 ℃에서 30 분간 반응시키고 52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실시예에 대한 비교를 하기위해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 포함 혼합추출물을 에탄올로 대체하여 첨가한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율(%)을 구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84396642-PAT00004
성분 자유라디칼 소거율(%)
대조군 0
아스코르빈산 200 ㎍/㎖ 42.5
제조예1
(서양현호색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 1:1 혼합추출물)
59.8
비교예1
(서양현호색 추출물)
37.8
비교예2
(레몬 추출물)
39.7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양현호색 추출물과 레몬 추출물의 1:1 혼합추출물인 제조예 1과, 비교로서 서양현호색 추출물과 레몬 추출물의 각각의 추출물인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추출물은, 종래에 항산화제로 잘 알려진 아스코르빈산과 비교하여 자유라디칼 소거율에서 더 우수하거나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서양현호색 추출물과 레몬 추출물 각각의 추출물에 비해 제조예1의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의 1:1 혼합추출물의 경우에 자유라디칼 소거율이 유의적으로 상승한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서양현호색 추출물과 레몬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자유라디칼 소거 작용에 더욱 우수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조예 2: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 포함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험예 1을 통해 서양현호색 추출물과 레몬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하기 표 2의 조성에 따라,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수중유형 제형으로 선택하였다. 이때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추출물은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를 함유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수상부와 유상부를 각각 70∼75℃에서 용해하고, 수상부를 호모저나이저로 교반작동시키면서 유상부를 상기 수상부에 서서히 투입하여 충분히 분산시키는 1차 유화반응을 진행하였다(3000rpm, 10분). 상기 수득된 수중유형 제형을 50~60℃까지 냉각교반시킨 다음(S/M:25rpm) 상기 준비한 제조예 1의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의 1:1 혼합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 제형에 잘 용해되게 하기 위해 프로필렌글라이콜에 50중량%로 용해시킨 뒤(즉, 각각의 추출물은 혼합추출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25중량%가 함유됨) 이를 각각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 0.05, 0.2, 0.5, 1.0 및 3.0 중량%가 되도록 상기 수중유형제형에 투입하였다. 이때 이 혼합추출물의 pH를 조절하기 위해 중화제로서 KOH(10%) 및 푸마린산을 혼합하여 추가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모든 재료가 첨가된 조성물을 실온(30℃)에서 교반냉각(S/M:25rpm)함으로써 수중유형제형 조성물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구분 원료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수상
D-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GLYCERIN CONC 2.800 2.800 2.800 2.800 2.800 2.800
유상




TEGOCARE 450 1.600 1.600 1.600 1.600 1.600 1.600
OLIVEM 700 0.400 0.400 0.400 0.400 0.400 0.400
LANETTE O 0.200 0.200 0.200 0.200 0.200 0.200
SQUALANE 4.500 4.500 4.500 4.500 4.500 4.500
WAGLINOL 3/9280 4.200 4.200 4.200 4.200 4.200 4.200
SILICONE SH 200/6CS 1.300 1.300 1.300 1.300 1.300 1.300
점증제 PEMULEN TR-1(2%) 3.000 3.000 3.000 3.000 3.000 3.000
중화제
KOH(10%) 0.041 0.041 0.041 0.041 0.041 0.041
푸마린산 0.041 0.041 0.041 0.041 0.041 0.041
첨가제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의 1:1 혼합추출물 - 0.050 0.200 0.500 1.000 3.000
상기 표에서, 단위는 g이다.
실험예 2.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 포함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오존에 대한 방어 효과 실험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1 내지 6)을 이용하여 각각 하이알루로닉애씨드, β-글루코시다아제, 리보플라빈모노포스페이트, 토코페롤, 미오글로빈 및 적혈구와 같이 피부에서 자연적으로 생기는 생체분자를 이용하여 오존에 대한 방어 효과를 확인하였다. 하이알루로닉애씨드는 결합조직의 세포외기질의 중요한 성분을 형성하는 점액 다당류이기 때문에 이용하였고, 효소들은 단백질이고 특히 모든 대사과정에서 촉매로서 작용하므로, β-글루코시다아제는 효소의 대표로 선택하였으며, 리보플라빈모노포스페이트는 대사과정의 통제를 위해 중요한 피부에서 생기는 친수성 비타민의 대표물질로서, 프리라디칼에 대한 중요한 방어기능을 하므로 선택하였고, 산화방지제로서 작용하는 토코페롤은 친유성 비타민의 하나로 선택하였다. 또한 각 물질들의 방어효과는 아래의 수식에 따라 얻어진 방어율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84396642-PAT00005
2-1. 하이알루로닉애씨드의 오존에 대한 방어효과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1%) 용액 30g, 정제수 89~90g, 실시예 1-6의 제품을 각각 1g 적용하여 초기점도를 측정하고, 오존 용액을 10g 추가하여 잘 섞은 후, 3분후에 최종 점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에 대한 결과는 수학식 2에 따라 방어율을 계산한 뒤 도 1에 나타내었다.
2-2. β-글루코시다아제의 오존에 대한 방어효과
β-글루코시다아제 용액(10mM의 인산완충용액 100ml에 30mg의 β-글루코시다 아제 용해) 10ml, 10mM 인산완충액 1.0ml, 실시예 1~6의 제품 각 1.0 ml, 오존용액을 1ml 첨가하여 잘 섞고, 2분후, 0.1%황산나트륨용액 2.0ml를 첨가하고 섞어 주고, 2% o-NPG(o-NP glucoside)용액 1.0ml를 넣으면 효소반응이 시작되고 1분이 지나면 1% 탄산나트륨 20ml을 첨가하여 효소반응을 정지시켰다. 이후 43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에 대한 결과는 수학식 2에 따라 방어율을 계산한 뒤 도 2에 나타내었다.
2-3. 리보플라빈모노포스페이트의 오존에 대한 방어효과
리보플라빈용액 0.1ml, 실시예 1~6의 제품 각 0.5 ml, 10mM 인산완충액 1.6ml, 오존용액 0.9ml을 잘섞고, 2분후에 44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에 대한 결과는 수학식 2에 따라 방어율을 계산한 뒤 도 3에 나타내었다.
2-4. 토코페롤의 오존에 대한 방어효과
토코페롤용액(10.83g 토코페롤/100ml 옥탄) 10ml, 실시예 1-6의 제품 각 0.6ml, 정제수 약 20ml를 넣고, 강하게 흔들어 현탁액을 만들고, 잘 저어주면서 5ml의 오존용액을 첨가하고, 1분 후에 293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에 대한 결과는 수학식 2에 따라 방어율을 계산한 뒤 도 4에 나타내었다.
2-5. 미오글로빈의 오존에 대한 방어효과
미오글로빈용액 1.0ml, 정제수 24ml, 실시예 1~6의 제품 각 1.0ml, 오존용액 0.4ml을 넣고 잘섞고, 5분 후에 4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에 대한 결과는 수학식 2에 따라 방어율을 계산한 뒤 도 5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3. 제형의 안정성
전술한 표 2의 실시예 1-6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각각 다른 온도조건(4℃, 실온, 45℃, 50℃, Cycling)의 항온조에 보관하여 4주간 내용물의 안정도를 확인하였다. 4주 동안의 안정도 확인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모든 온도조건에서 안정함을 보였으므로,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 포함 혼합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제형의 안정성에 대한 차이는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관조건 1일경과 3일경과 1주경과 2주경과 4주경과
실시예1 4℃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실온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45℃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50℃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Cycling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실시예2 4℃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실온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45℃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50℃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Cycling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실시예3 4℃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실온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45℃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50℃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Cycling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실시예4 4℃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실온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45℃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50℃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Cycling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실시예5 4℃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실온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45℃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50℃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Cycling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실시예6 4℃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실온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45℃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50℃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Cycling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실험예 4. 피부자극성 실험
상기 표 2의 실시예 1-6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시험대상 20명에 대하여 피부패치 테스트를 실시하여 피부 자극성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낸다. 표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든 실시예에서 피부트러블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실시예 1의 경우는 패치테스트의 무자극 기준으로 하는 처방이므로 나머지 실시예들과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아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 포함 혼합추출물의 피부자극에의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 0 0 0 0 0 0
++ 0 0 0 0 0 0
+ 0 2 2 1 0 1
± 1 1 0 2 2 0
- 19 17 18 17 18 19
판정기준 : +++(강한트러블), ++(약한트러블), +(미약한트러블),
±(정상), -(음성)
도 1은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오존 손상에 대한 하이알루로닉 애시드의 방어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오존 손상에 대한 β-글루코시다아제의 방어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오존 손상에 대한 리보플라빈 모노포스페이트의 방어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오존 손상에 대한 토코페롤의 방어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오존 손상에 대한 미오글로빈의 방어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6)

  1.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 포함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피부손상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혼합추출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이 각각 10.0-25.0중량% 및 10.0-25.0중량%로 포함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에 푸마린산, 트리에탄올아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아르기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pH 조절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화장료 총 중량에 대하여 0.001-30.0%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유중수형(W/O) 및 수중유형(O/W)제형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여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피부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방법.
KR1020080124018A 2008-12-08 2008-12-08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피부손상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656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018A KR20100065611A (ko) 2008-12-08 2008-12-08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피부손상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018A KR20100065611A (ko) 2008-12-08 2008-12-08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피부손상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611A true KR20100065611A (ko) 2010-06-17

Family

ID=42364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018A KR20100065611A (ko) 2008-12-08 2008-12-08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피부손상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56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4841A1 (fr) * 2012-09-03 2014-03-07 Limousine D Applic Biolog Soc Ind Principe actif obtenu a partir de fumaria officinalis et son utilisation pour le soin du cuir chevelu
KR102223359B1 (ko) * 2020-05-28 2021-03-05 주식회사 현진씨엔티 햄프추출원료가 포함된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4841A1 (fr) * 2012-09-03 2014-03-07 Limousine D Applic Biolog Soc Ind Principe actif obtenu a partir de fumaria officinalis et son utilisation pour le soin du cuir chevelu
KR102223359B1 (ko) * 2020-05-28 2021-03-05 주식회사 현진씨엔티 햄프추출원료가 포함된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90182A1 (en) Process for obtaining an aqueous extract of lavender, compositions comprising such an extract, and their cosmetic uses
KR20150050310A (ko) 청호, 님잎,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JP2019524677A (ja) 新規なマリアアザミ痩果抽出物および皮膚科学およびデルモコスメティクスにおけるその使用
KR101143717B1 (ko) 연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5027998A (ja) 保湿剤、皮膚バリア機能改善剤、タイトジャンクション形成促進剤、trpv4発現上昇剤、細胞内カルシウム濃度上昇剤、細胞内カルシウム濃度上昇剤、脂質合成促進剤、血流改善剤及びクマ改善剤
JP2006257058A (ja) リパーゼ阻害剤及びそれを配合した頭髪用剤及び皮膚外用剤。
JP2003104865A (ja) 皮膚外用剤
KR20100065611A (ko) 서양현호색 추출물 및 레몬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피부손상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JP4754834B2 (ja) 化粧料
JP2003176218A (ja) 皮膚外用剤
KR102394707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5859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47589B1 (ko) 모루셀라 추출물 및 께묵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12812A (ko) pH 변화에 따른 색 변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하이드로겔 팩
KR102014902B1 (ko)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보호용 조성물
KR20120004021A (ko) 리포좀에 포획된 산삼 배양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1206822A (ja) 頭髪用化粧料
JP5302526B2 (ja) ヨモギ精油外用剤
KR102511022B1 (ko) 천연물 유래의 화장료 조성물
JP3591832B2 (ja) 皮膚外用剤
JP2008031049A (ja) 抗アクネ菌組成物
JP3754025B2 (ja) 細胞賦活剤、抗酸化剤、及び皮膚外用剤
KR102609801B1 (ko) 소루쟁이와 승마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타민 c에 의한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14004B1 (ko) 땅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고보습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H09315993A (ja) 活性酸素消去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