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5486A -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구조 - Google Patents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5486A
KR20100065486A KR1020080123837A KR20080123837A KR20100065486A KR 20100065486 A KR20100065486 A KR 20100065486A KR 1020080123837 A KR1020080123837 A KR 1020080123837A KR 20080123837 A KR20080123837 A KR 20080123837A KR 20100065486 A KR20100065486 A KR 20100065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nel
coating layer
cnt
panel structure
silver p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록
탁오성
최진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이치케이플러스
김용문
노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이치케이플러스, 김용문, 노태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이치케이플러스
Priority to KR1020080123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5486A/ko
Publication of KR20100065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4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 테이프(OCA Tape)의 부착 공정으로 인한 이물질 및 기포 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양면 테이프의 수축현상과 점착제 뭉침으로 인한 터치 패널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아크릴 또는 강화유리를 사용하고 CNT 소재를 스크린 방식으로 코팅함으로써 터치 패널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스크래치 및 크랙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정전용량방식, 터치 패널, 아크릴, 강화유리, 그라운드, CNT

Description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구조{touch panel structure}
본 발명은 터치 패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패널 구조의 단순화 및 투과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간단한 공정으로 생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는 이동하면서 통화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기기를 의미한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에는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의 시대에 맞추어 여러 가지 다양하고 유용한 기능들이 구현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AOD(audio on demand)와 VOD(video on demand)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통화 당사자들이 상대방의 얼굴을 직접 보며 전화를 하는 화상통화를 하거나, 게임을 다운로드 하여 플레이 한다. 즉, 휴대용 단말기는 더 이상 음성통화 기기의 영역에 한정되어 사용되고 있지 않다.
이렇게 휴대용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기능들이 다양해짐에 따라 사용자들은 휴대용 단말기를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어할 필요를 느끼게 되었고,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제조사는 터치 스크린 기능이 구현되는 표시부(이하 "터치 패널"라 함)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였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터치 패널의 종류로는 정전용량(capacitive overlay) 방식, 저항막(resistive overlay) 방식, 표면 초음파(surface acoustic wave) 방식, 트랜스미터(transmitter) 방식 및 적외선(infrared beam) 방식 등이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의 여러 방식 중에서 정전용량 방식이 주로 휴대단말기에서 사용된다.
상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전체 또는 절연체인 PET로 이루어진 윈도우(100)와, 상기 원도우(100)의 저면 가장자리에 코팅되어 이후에 결합되는 실버 페이스트 전극(110)을 가려주고 로고 등이 인쇄되는 아이콘부(102)와, 상기 윈도우(100)와 양면 테이프(104)로 결합되는 PC 시트 또는 글라스(glass: 106)와, 상기 글라스(106)의 저면에 양면 테이프(108)로 결합되는 PET 소재로 이루어진 유전체 필름(112)과, 상기 유전체 필름(112)의 상부에 터치를 감지하는 부분을 ITO 등의 투명 전도성 물질로 증착된 ITO 코팅층(113)과, 상기 ITO 코팅층(113)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이의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기 위한 실버 페이스트 전극(110)과, 상기 유전체 필름(112)의 저면에 양면 테이프(114)로 접착되는 LCD(116)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의 경우에는 합지 공정 중에 양면 테이프(OCA tape: 104,108,114) 3개가 사용되기 때문에 현재의 공정으로 패치 패널을 제조시에 양면 테이프의 부착 공정으로 인한 이물질 및 기포현상이 심 하여 대량으로 불량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상기 양면 테이프의 수축 및 접착제 뭉침으로 인해 공정 불량률이 매우 높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PET로 이루어진 유전체 필름(112)이 적층이 되면서 LCD(116)의 밝기, 즉 투과율이 현저히 떨어져 햇빛에 취약하고, 또한 상기 PET의 경도가 약하기 때문에 스크래치 및 크랙이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양면 테이프(OCA Tape)의 부착 공정으로 인한 이물질 및 기포 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양면 테이프의 수축현상과 점착제 뭉침으로 인한 터치 패널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패널 구조의 단순화 및 투과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크릴 또는 강화유리를 사용하고 CNT 소재를 스크린 방식으로 코팅함으로써 터치 패널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스크래치 및 크랙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있어서, 아크릴 또는 강화유리로 된 고강도 플레이트와, 상기 고강도 플레이트의 저면에 CNT 소재로 코팅 처리되어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CNT 코팅층과, 상기 CNT 코팅층의 저면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실버 페이스트 전극과, 상기 CNT 코팅층의 저면에 양면 테이프로 접착되는 LCD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을 제조할 때 양면 테이프를 1개만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가격을 다운(down)시키고 생산 수율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아크릴 또는 강화유리를 사용함으로써 터치 패널의 투과율과 내구성을 상승시키고, 간단한 공정으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상기 아크릴 소재의 저면에 CNT 소재를 스크린 방식으로 코팅함으로써 종래의 ITO 증착 방식의 경우에 비해 생산 가격을 떨어뜨리고 또한 스크래치 또는 크랙 등의 발생을 방지하여 터치 패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양면 테이프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구조를 구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고강도의 아크릴 또는 강화유리를 사용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윈도우, PET, PETㆍITO 공정을 전부 제거하고 아크릴 소재(또는 강화유리) 하나만을 이용하여 상면에는 로고를 인쇄하고 저면에는 CNT 소재를 스크린 방식으로 코팅함으로써 터치 패널의 구조를 단순화하였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 소재의 저면에 CNT 소재 대신에 ITO 소재를 증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아크릴(또는 강화유리)의 저면에 CNT 소재를 코팅하거나 ITO 소재를 증착함으로써 종래의 PET로 이루어진 유전체 필름에 ITO 소재를 증착하는 방식보다 불량률을 최소화하였다. 즉, 종래에는 PET로 이루어진 유전체 필름에 ITO 소재를 증착하게 되면 정전기로 인한 증착 불량이 자주 발생하였는데,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 또는 강화유리를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한편 상기 ITO 소재의 대체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CNT 소재를 사용하여 아크릴 면에 CNT를 메탈 마스크(metal mask)를 이용하여 스크린 인쇄를 함으로써 IT0 소재를 사용했을 때 발생하는 크랙 현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양면 테이프(OCA Tape)의 불량률을 최소화하였는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또는 강화유리의 사용으로 인해 양면 테이프의 사용이 불필요하고, 특히 터치 패널의 투과성을 높일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한 아크릴 소재의 빛 투과율은 92% 이상이기 때문에 투과율을 상승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아크릴 소재의 경우 글라스에 비해 6~17배까지 강한 강도를 가짐으로 내구성 또한 우수하여 휴대폰 및 네비게이션용의 터치 패널에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의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touch panel)은 아크릴 또는 강화유리 등의 고강도 소재로 이루어진 고강도 플레이트(18), UV 코팅층(22), 아이콘부(20), CNT 코팅층(16), 실버 페이스트 전극(14) 및 그라운드 전극(24), 그리고 LCD(10)로 구성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터치 패널은 통상의 LCD(10)를 구성하고, 상기 LCD(10)의 상면에는 고강도 플레이트(18)가 양면 테이프(일명: OCA Tape, 12)에 의해 접착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고강도 플레이트(18)는 고강도 재질의 아크릴 또는 강화유리로 구성되며, 저면에는 사용자가 터치 동작을 수행할 때(즉, 사용자가 터치 패널의 고강도 플레이트(18)를 누를 때) 상기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CNT 코팅층(16)이 스크린 방식으로 코팅 처리된다. 이때 상기 CNT 소재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를 말한다.
또한, 상기 고강도 플레이트(18)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실버 페이스트 전극(110)이 설치되고, 상기 실버 페이스트 전극(110)은 사용자가 터치 동작을 수행할 때 상기 터치 동작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버 페이스트 전극(110)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수개 설치되는데, 상기 실버 페이스트 전극(110) 사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라운드 전극(24)이 설치된다. 상기 그라운드 전극(24)은 신호선에 해당하는 실버 페이스트 전극(14) 사이를 그라운드 처리하여 간섭 및 오동작을 방지한다.
즉, 정전용량 방식의 경우 사용자의 손에 의한 터치 방식으로 실버 페이스트 전극(14)의 경우 인쇄할 수 있는 간격이 아이콘부(20) 이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실버 페이스트 전극(14)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 오동작 및 간섭에 의한 노이즈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버 페이스트 전극(14) 사이에 도 2와 같이 그라운드 전극(24)을 설치하였다.
한편, 전술한 고강도 플레이트(18)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실버 페이스트 전극(14)을 가려주면서 로고(예를 들어, NHK plus, SAMSUNG 등) 등이 인쇄 처리된 아이콘부(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아이콘부(20)는 검은색으로 인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강도 플레이트(18)의 상면에는 UV광을 이용하여 노광 처리된 UV 코팅층(22)이 형성되고, 상기 UV 코팅층(22)은 투명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실버페이스트 전극(14) 사이에 그라운드 전극(24)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LCD 12: 양면 테이프
14: 실버페이스트 전극 16: CNT 코팅층
18: 고강도 플레이트 20: 아이콘부
22: UV 코팅층

Claims (4)

  1.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있어서,
    아크릴 또는 강화유리로 된 고강도 플레이트(18)와;
    상기 고강도 플레이트(18)의 저면에 CNT 소재로 코팅 처리되어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CNT 코팅층(16)과;
    상기 CNT 코팅층(16)의 저면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전기적 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에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실버 페이스트 전극(14)과;
    상기 CNT 코팅층(16)의 저면에 양면 테이프(12)로 접착되는 LCD(1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플레이트(18)의 상면에는 UV 코팅층(2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플레이트(18)의 상면 또는 저면 가장자리에는 로고 등이 인쇄 처리된 아이콘부(2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실버 페이스트 전극(14) 사이에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있을 때, 오동작 및 간섭에 의한 노이즈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그라운드 전극(24)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구조.
KR1020080123837A 2008-12-08 2008-12-08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구조 KR201000654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837A KR20100065486A (ko) 2008-12-08 2008-12-08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837A KR20100065486A (ko) 2008-12-08 2008-12-08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486A true KR20100065486A (ko) 2010-06-17

Family

ID=42364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837A KR20100065486A (ko) 2008-12-08 2008-12-08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5486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602B1 (ko) * 2011-08-24 2012-05-14 이희성 터치스크린 패널의 커버 윈도우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365180B1 (ko) * 2011-03-18 2014-02-21 티피케이 터치 솔루션즈 (씨아먼) 인코포레이티드 터치 장치와 그 제조 방법
WO2014175553A1 (ko) 2013-04-26 2014-10-30 에스지글로벌 접착부재 및 이를 구비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
WO2014204083A1 (ko) 2013-06-21 2014-12-24 에스지글로벌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US9019219B2 (en) 2011-07-11 2015-04-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ouch screen panel
US9542052B2 (en) 2014-04-02 2017-01-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screen panel and touch screen panel
KR20170110859A (ko) 2016-03-24 2017-10-1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터치 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10236398B2 (en) 2015-07-06 2019-03-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parent electrode
US10822712B2 (en) 2016-09-28 2020-11-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Electroplating apparatus
US10927470B2 (en) 2017-08-18 2021-02-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fabricating electrode structure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180B1 (ko) * 2011-03-18 2014-02-21 티피케이 터치 솔루션즈 (씨아먼) 인코포레이티드 터치 장치와 그 제조 방법
US9019219B2 (en) 2011-07-11 2015-04-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ouch screen panel
KR101146602B1 (ko) * 2011-08-24 2012-05-14 이희성 터치스크린 패널의 커버 윈도우 구조 및 그 제조방법
WO2014175553A1 (ko) 2013-04-26 2014-10-30 에스지글로벌 접착부재 및 이를 구비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
WO2014204083A1 (ko) 2013-06-21 2014-12-24 에스지글로벌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EP3012716A4 (en) * 2013-06-21 2017-02-22 Duksan Sg Co., Ltd Touch screen display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9542052B2 (en) 2014-04-02 2017-01-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screen panel and touch screen panel
US10236398B2 (en) 2015-07-06 2019-03-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parent electrode
KR20170110859A (ko) 2016-03-24 2017-10-1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터치 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10822712B2 (en) 2016-09-28 2020-11-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Electroplating apparatus
US10927470B2 (en) 2017-08-18 2021-02-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fabricating electrode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5486A (ko)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 구조
JP6165969B2 (ja) 接着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タッチスクリーン用ディスプレイユニット
CN105718110B (zh) 触摸面板
US8389865B2 (en) Touch panel
US20110254778A1 (en) Slim type touch device
KR101512185B1 (ko)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지는 패널
CN102135845A (zh) 传感器元件和显示装置
CN102483665A (zh) 带有振动功能的触摸面板的安装结构
CN204679739U (zh) 显示屏、显示屏组件及终端
CN204302939U (zh) 触摸屏、触摸显示屏及移动终端
JP2011248420A (ja) 保護パネル及び電子機器
CN201293893Y (zh) 一种具有触摸屏功能的显示装置
CN202502486U (zh) 一种电容式触摸屏
CN104657023B (zh) 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KR20110102579A (ko) 터치 스크린 장치
CN201097369Y (zh) 手机触摸屏
CN210442788U (zh) 一种双面丝印导电玻璃电容式触摸屏
US20130342505A1 (en) Input unit, electronic device, and mobile terminal
CN201796352U (zh) 电容式触摸屏
CN201594244U (zh) 新型结构触摸窗
KR100980551B1 (ko) 정전용량방식의 일체형 터치 패널
CN202600676U (zh) 一种电容触摸屏
US9350345B2 (en) Input devic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090090098A (ko) 터치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CN204790932U (zh) 一种窄线路线距多点触控液晶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