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4156A - 천연산 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입욕제와 손목베개 - Google Patents

천연산 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입욕제와 손목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4156A
KR20100064156A KR1020080122594A KR20080122594A KR20100064156A KR 20100064156 A KR20100064156 A KR 20100064156A KR 1020080122594 A KR1020080122594 A KR 1020080122594A KR 20080122594 A KR20080122594 A KR 20080122594A KR 20100064156 A KR20100064156 A KR 20100064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tree
leaves
camphor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6366B1 (ko
Inventor
박명희
Original Assignee
박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희 filed Critical 박명희
Priority to KR1020080122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6366B1/ko
Publication of KR20100064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산 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입욕제와 손목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녹나무를 포함한 천연산 약재가루를 독특한 향과 필요한 약리성분을 가지도록 선택, 혼합하여 그 향을 통해 사용자가 치유에 대한 직접적인 호감을 느끼고 필요한 약리성분의 효능을 상승시키는 천연산 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입욕제와 손목베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입욕제에 방향성 및 필요 약리성분을 갖는 천연산 약재 조성물을 이용하여, 입욕시 피부로는 약리성분이 흡수되고 코로는 상기 방향성 물질이 흡입되어, 상기 약리성분의 효능을 상승시키고 사용자가 입욕 당시 치유에 관한 직접적인 호감을 얻을 수 있고, 기능별 천연산 약재 조성물을 통해 치유하고자 하는 병에 대한 맞춤 입욕제를 사용하여 병을 치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향성 및 약리성분이 있는 천연산 약재의 조성물로 이루어진 손목베개를 이용하여, 컴퓨터 및 마우스의 장시간 사용에 따른 두통, 어깨 결림, 및 근육통 등을 치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천연산 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입욕제와 손목베개{Natural drugstuff compositions and bathing material and wrist pillow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천연산 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입욕제와 손목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녹나무를 포함한 천연산 약재가루를 독특한 향과 필요한 약리성분을 가지도록 선택, 혼합하여 그 향을 통해 사용자가 치유에 대한 직접적인 호감을 느끼고 필요한 약리성분의 효능을 상승시키는 천연산 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입욕제와 손목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입욕제는 천연약재 또는 화학물질을 충진하고 이를 온탕에 우려내어 사용한다. 이와 같이 입욕제를 온탕에 우려낸 후 사용자가 입탕하면 그 약리성분이 사용자의 피부를 통해 흡수되어 사용자의 병을 치유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입욕제는(그 치유 효과는 별개로 하고) 사용자가 온탕의 온열로 인해 편안함을 느끼는 것 외에는 입욕 당시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는 치유에 관한 호감은 얻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대해, 입욕제에 치료효과가 있는 향을 가미하여, 피부로 흡수되는 약리성분의 효능을 더욱 상승시키고 사용자가 입욕 당시 직접적으로 치유에 대한 호감을 느낄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향은 식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식물에서는 방향성(芳香性) 물질이 방산된다. 그 이유를 살펴보면, 동물은 외부로부터 위험이 닥쳐오면 그 위험을 피하기 위해 움직인다. 그러나, 식물은 그 뿌리가 토양에 고정되어 있어 움직일 수 없어 자기보호를 위해 방향성이 강한 천연물질을 자가생산하고 방산하여 외부의 위험에 대처한다. 상기 방향성이 강한 천연물질은 높은 휘발성을 갖아 공기 중으로 잘 방산되고 화학성분의 향과 달리 그 향이 불쾌하지 않다.
한편, 종래의 손목 쿠션이 있는 마우스 패드를 사용하면 손목에 안정감과 편안함을 줄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손목 쿠션이 있는 마우스 패드는 단지 손목을 쿠션 위에 얹는 것으로 그 안정감과 편안함만을 제공받을 뿐, 컴퓨터 및 마우스의 장시간 사용에 따른 두통, 어깨 결림, 및 근육통 등은 치유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입욕제 사용시 피부로는 약리성분이 흡수되고 코로는 치유력을 가진 향이 흡입되어 상기 약리성분의 효능을 상승시키고 향을 통해 사용자가 입욕 당시 치유에 대한 직접적인 호감을 갖을 수 있는 방도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컴퓨터 및 마우스의 장시간 사용에 따른 두통, 어깨 결림, 및 근육통 등을 치유할 수 있는 방도를 제시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방향성 및 약리성분을 갖는 천연산 약재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이용하여 입욕시 향을 맡으며 효능별 약리성분을 흡수할 수 있고, 장시간의 마우스 사용에 따른 통증을 치유할 수 있는 녹나무를 포함한 천연산 약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입욕제와 손목베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방향성 물질을 포함하는 천연산 약재 조성물에 있어서, 녹나무가 포함되고, 딱총나무, 오가피, 박하 중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된 천연산 약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녹나무가 포함되고, 딱총나무, 오가피, 박하 중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된 천연산 약재 조성물에 1) 녹나무 열매껍질, 편백나무잎, 엄나무, 도꼬마리 중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되거나, 2) 꾸지뽕나무, 인진쑥, 민들레, 질경이, 천궁, 당 귀 중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되거나, 3) 녹나무 열매껍질, 편백나무잎, 엄나무, 당귀 중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되는 천연산 약재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 또는 2)에 따른 천연산 약재 조성물을 팩에 담아 제조되는 입욕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3)에 따른 천연산 약재 조성물을 팩에 담아 제조되는 손목베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입욕제에 방향성 및 필요 약리성분을 갖는 천연산 약재 조성물을 이용하여, 입욕시 피부로는 약리성분이 흡수되고 코로는 상기 방향성 물질이 흡입되어, 상기 약리성분의 효능을 상승시키고 사용자가 입욕 당시 치유에 관한 직접적인 호감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능별 천연산 약재 조성물을 통해 치유하고자 하는 병에 대한 맞춤 입욕제를 사용하여 병을 치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향성 및 약리성분이 있는 천연산 약재의 조성물로 이루어진 손목베개를 이용하여, 컴퓨터 및 마우스의 장시간 사용에 따른 두통, 어깨 결림, 및 근육통 등을 치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에서 발생하는 천연 방향성 물질을 이용하여 인체에 이롭고 냄새가 좋아 향에 대해 불쾌감을 느낄 수 없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구성 및 가공방법에 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산 약재 조성물은 독특한 향을 통해 후술하는 약리성분과 조화를 이루어 치유력을 발휘할 수 있는 녹나무 및 박하가 포함되고, 녹나무 열매껍질, 딱총나무, 오가피, 편백나무잎, 엄나무, 도꼬마리, 꾸지뽕나무, 인진쑥, 민들레, 질경이, 천궁 및 당귀 중 기능별로 약리성분을 발휘하는 약재가 선택,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위에 언급된 각각의 천연산 약재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녹나무는 온대성 식물이며, 장목 또는 예장나무라고도 부르며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는 상록활엽수이다. 높이는 약 20m이고, 지름은 약 2m이다. 나무껍질은 어두운 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으로 끝은 뾰족하며 밑은 뭉뚝하다. 잎 뒷면은 잿빛을 띤 녹색이다. 잎자루는 길이 1.5∼2.5cm이며 털이 없다. 어릴 때는 추위에 약해 연평균기온이 14℃ 이상인 지역에서만 자랄 수 있어 대한민국에서는 제주도와 남해안 일대에서만 자란다. 생장속도가 빠르고 나무에서 새순이 잘 나오며 공원용수나 경관수로 적합하다. 또한, 병해충이 없고 생육이 좋으며 수명이 긴 특징이 있다.
녹나무에 들어 있는 향기 성분은 캄포, 사프롤, 찌네올 등의 정유이다. 정유 성분은 녹나무 목질과 잎, 열매에 1%쯤 들어 있다. 정유는 나무 줄기를 토막내 어 수증기로 증류하여 얻는데 이렇게 해서 얻은 정유를 '장뇌'라고 부른다. 장뇌는 향료로 매우 귀중하게 쓰인다. 이러한 성분을 이용하여 향료, 방충제, 강심제 등을 만드는 원료로 쓴다. 잘 썩지 않고 벌레를 먹지 않아 옛날부터 왕족의 관을 만드는 데 많이 이용하였다. 민간에서는 신경쇠약, 간질, 방광염, 신우신염 등에 치료약으로 쓰이고 흥분제나 강심제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세포의 기능자극, 방충, 방부 살균, 공기정화, 및 머리를 맑게 하는 효능이 있다.
상기 딱총나무는 고려접골목, 당접골목, 당딱총나무 또는 청딱총나무라고도 하며, 일본, 중국 및 한국의 해발 100∼1600m 지역 산기슭 습지 및 계곡에 자생한다. 낙엽관목이며 높이 3m 안팎이고 줄기의 골속이 암갈색이다. 잎은 대생하며 2∼3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1회우상복엽이다. 그 모양은 긴타원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며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의 톱니가 뽀족하며 안으로 굽지 않는다. 5월에 꽃이 피고 꽃은 황록색이며 꽃은 짧은 원추화서이고 7월에 열매가 성숙되고 핵과는 둥글며 암홍색으로 익는다.
딱총나무의 잎,줄기에는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트리테르페노이드란 항암 작용을 하는 물질로서 흔히 사포닌 이라고도 불린다. 인산사포닌도 테르페노이드 성분 중 트리테르페노이드의 일종으로 흔들면 거품이 나고 거담, 진해, 항염증, 중추억제, 피로방지, 콜레스테롤 대사촉진, 핵산과 단백질의 대사 촉진, 항암, 향균 등 다양한 효능이 있다.
또한, 딱총나무는 뼈를 붙이는 효능이 있고, 골절 치료에 효과가 뛰어나다. 한방과 민간에서 줄기, 잎, 수피, 근피를 골절, 종독(腫毒),신경통, 발한, 이뇨, 좌상(挫傷), 폐염, 수종(水腫), 치통, 해열, 신경염 등에 약재로 쓴다. 딱총나무 줄기나 잎, 꽃을 달인 물로 씻으면 가려움증, 무좀, 습진 등 여러 가지 피부병이 나으며 중풍으로 인한 마비, 혈액 순환 장애, 냉증 등에도 효험이 있다. 딱총나무는 모세혈관을 확장하여 혈액 순환을 좋게 하고 여러 가지 독을 풀기 때문에 타박상이 오래되어 염증이 되거나 부스럼이 된 것을 치료한다. 또한 통증을 멎게 하는 작용이 강하므로 진통약으로 쓸 수도 있다.
오가피는 일반적으로 드릅나무과에 속하는 식물로 우리나라에는 약 15종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는 바, 한국 가시오가피 재배 협회의 관련자료에 따르면 가시오가피 나무, 왕가시오가피 나무, 지리산 오가피 나무, 서울오가피 나무, 털 오가피 나무, 섬 오가피 나무 그리고 당 오가피 나무 등이 있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오가피는 오가피 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인 오갈피나무의 껍질을 말린 것으로 오갈피 나무는 산기슭과 산골짜기에서 자라며 여름철에 뿌리 또는 줄기껍질을 벗긴 다음 겉껍질을 긁어 햇볕에 말린 것으로 강심, 강장작용 등이 있다고 하였다. 오가피 열매는 남자음위와 여자 음부 소양증을 치료하고 중풍을 없애고 불로하게 하는 선약이라고 하였으며 본초강목에서는 통증, 낭하습, 요척통, 남자음위, 저창 등을 없애주고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해주고 위를 보호하며 정력을 좋게하고 피를 맑게하는 등 많은 효능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오래 전부터 한방에서는 강장제로 이용되어 왔으며 소염, 진통, 거풍습(거풍습(祛風濕) 이란 말은 몸속의 풍과 습기를 제거하는 것이고, 주로 사지마비로 인한 동통이나 땡기고 저림등의 증상,허리,무릎의 통증질환을 치료하는 것이다.) 및 활혈(활혈(活血)이란 몸속의 나쁜피를 없애고 혈액순환을 도와주는 것이다.) 등의 효능이 있어 마비통증, 요통, 수종, 창종, 각기 및 근골위약 등의 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어 온 약재로 알려져 있다. 오가피의 효능에 대해서는 리그난, 테르페노이드, 쿠마린, 폴라보노이드 및 페닐프로파노이드계 화합물들이 분리되어 각각의 성분에 대한 면역증강, 항산화, 항피로, 항고온, 항자극작용, 내분비기능조절, 혈압조절, 항방사능, 해독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박하는 야식향(夜息香)·번하채·인단초(仁丹草)·구박하(歐薄荷)라고도 한다. 습기가 있는 들에서 자란다. 높이 60 ∼ 100cm이다. 줄기는 단면이 사각형이고 표면에 털이 있다. 잎은 자루가 있는 홑잎으로 마주나고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잎 표면에는 기름샘이 있어 여기서 기름을 분비하는데 정유(精油)의 대부분은 이 기름샘에 저장된다.
상기 박하에는 멘톨이라는 성분이 함유되어있다. 상기 멘톨은 박하의 잎이나 줄기를 수증기 증류하여 얻는 것으로 우리가 먹는 박하사탕에 없어서는 안 될 주재료가 되며 상쾌한 향을 지니게 된다. 또한, 상기 멘톨 성분은 항암, 면역력 증가, 콜레스테롤 억제, 피로회복 등의 효능을 지닌다. 이러한 박하는 해열, 청량, 방향성 건위, 두통에 효능이 있다.
편백나무는 노송나무라고도 한다. 높이는 40m, 지름은 2m에 달하며, 가지는 수평으로 퍼져서 원뿔형의 수관을 하고 있다. 수피는 적갈색이고 섬유성이며 세로로 얇게 벗겨진다. 잎은 마주나고 두꺼우며 그 길이가 1 ~ 1.5mm로 비늘같이 작다. 잎 뒷면의 기공조선(氣孔條線:잎이 숨쉬는 부분으로 보통 잎 뒤에 흰 선으로 나타남)은 Y자형이다. 또한 잎 표면에 1개의 선(腺)이 있으며 뒷면에 흰 점이 있다. 편백나무는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로 일본이 원산지인데, 우리나라의 남부지방에 조림된 뒤 성공적으로 생육하여 우리의 나무가 된 침엽수다.
이러한 편백나무는 다량의 피톤치드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상기 피톤치드에서 피톤(phyton)은 “식물”을 의미하는 말이고, 치드(cide)는 “살균력”을 의미하는 말인데, 말 그대로 식물이 내는 살균력, 자연 치유력을 말한다.
동물이나 사람은 병이 걸리거나 위험이 닥쳐오면 약을 찾거나 위험을 피해 움직인다. 그러나, 땅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식물은 움직일 수 없어, 각종 병균과 해충, 곰팡이와 같은 위험요소들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끊임없이 방향성 물질을 뿜어내는데 이것이 바로 피톤치드이다. 삼림의 공기가 맛있다고 느껴지거나 산에서 김밥을 먹으면 훨씬 맛있고, 삼림에서 고기를 구워먹어도 주변으로 냄새가 퍼지지 않는 등의 현상은 피톤치드에 의함이다.
이와 같은 피톤치드는 모든 수목이 발산한다. 그러나 각각의 나무가 분사하는 피톤치드의 양은 물론이고, 피톤치드의 성질과 특성 또한 모두 다르며 기능면에서도 확연한 차이가 있다.
수종별 피톤치드의 양을 비교해 보면 잡목이나 활엽수보다는 소나무, 잣나 무, 편백나무 같은 침엽수에서 훨씬 많은 피톤치드가 발생된다. 침엽수는 활엽수에 비해 두 배 이상의 피톤치드를 생산하는 것으로 측정되고 있다. 이러한 침엽수종 사이에도 피톤치드 발생량은 차이가 있다. 침엽수 가운데 우리에게 가장 널리 알려진 나무는 소나무와 잣나무인데, 피톤치드의 발생량은 잣나무가 우위이다. 소나무 숲에 가면 잡풀이 있지만 잣나무 숲에 가면 잡풀이 거의 없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잣나무에서 발생시키는 피톤치드가 소나무의 피톤치드보다 더욱 강하고 분사량이 많기 때문이다. 이러한 잣나무 보다도 피톤치드 발생량에서 훨씬 뛰어난 침엽수종이 바로 편백나무이다.
위 표 1과 같이 여러 수종의 피톤치드 단위 발생량의 실험표를 참조하면 편백나무의 피톤치드 단위 발생량이 단연 앞서는 것을 볼 수 있다.
Figure 112008083748451-PAT00001
따라서, 편백나무에는 공기 중 유해물질(프롬알데히드)의 제거, 항균, 면역기능 증대 등의 효과가 있다.
최근에는 아토피, 알레르기 예방과 삼림욕 효과로 욕실용, 실내용 인테리어 목재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 효능으로는 대뇌 피질을 활성화 시키고, 스트레스를 완화하며, 피로회복 등에 효과가 있다.
엄나무는 오갈피나무과에 속한 낙엽교목이다. 해동목(海桐木), 자추목刺秋木)이라고도 불리며, 나무 줄기에 날카롭고 험상궂게 가시가 나 있고 잎은 팔손이나무처럼 너풀너풀하다.
엄나무는 지름 1∼1.5m, 높이 20여m까지 크게 자라고, 잎은 어긋나고 둥글며 가장자리가 5∼9개로 깊게 갈라진다. 갈래조각에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잎보다 길다.
이러한 엄나무의 껍질은 해동피(海桐皮)로 일컫는다. 나무껍질은 약용으로 이용하고 뿌리와 어린잎은 식용한다.
엄나무의 성분은 식물의 모든 부위에 사포닌, 정유, 쿠마린이 있고, 플라보노이드는 꽃에서 뚜렷하고 줄기와 잎에서는 약한 반응이 있다.
상기 엄나무의 가장 주요성분인 사포닌 성분은 주로 가래약으로 사용하였으나, 최근에 사포닌 성분들은 항염증작용, 신상선피질호르몬류사 작용, 강장작용, 혈당을 줄이는 작용 등 여러 가지 약리작용이 알려졌다.
이러한 엄나무의 효능은 거풍습, 살충(살충이란 옴,버짐,습진 등의 피부병에 달인물을 발라 환부를 세척해서 치료하는 것이다.), 활혈로 크게 나타난다.
엄나무의 약성은 독이 없고, 그 약효는 다양하다. 관절염, 종기, 암, 피부병 등 염증질환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신경통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만성간염 같은 간장질환 및 늑막염, 풍습으로 인한 부종 등에도 좋은 효과가 있다. 진통작용도 상당하고 늘 복용하면 중풍을 예방한다.
도꼬마리는 국화과에 속한 1년생 초본이다. 높이 약 1.5m이고 까칠까칠하거나 털에 뒤덮여 있다. 창이실, 시이실, 호침자 라고도 한다. 잎은 넓은 삼각형이며 길이 4~10cm, 폭이 3~10cm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거친 톱니가 있고 뒷면에는 3맥이 뚜렷하다.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가 1.5m 정도이다. 풀숲 길가에서 흔히 자라며 전국 각지에서 자생한다.
상기 도꼬마리의 성분으로는 크산토스트루마린(xanthostrumain, 노란색배당체), 수지, 요오드염, 사포닌, 크산틴(xanthinin) 지방산 등이 있으며, 지방산은 리놀레인산, 올레인산, 포화지방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만성비염, 해열, 발한, 진경약, 두통, 축농증, 류마티즘, 매독성신경통, 피부소양에 좋은 효능을 지닌다.
꾸지뽕나무는 산뽕나무를 말하는 것이고, 꾸린내가 난다고 해서 꾸지뽕나무이다. 꾸지뽕나무는 산지와 촌락에 자생하는 높이 7∼8m정도의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소교목이다. 열매는 일반 뽕나무보다 훨씬 크고 7∼8월에 익으며, 꽃은 녹색으로 4∼5월에 핀다. 특히 잎은 깻잎처럼 타원형이며 솜털이 나 있고, 일반 뽕나무와 달리 나무줄기에는 가시 돋아 있다. 「본초(本草)」에는 이 나무에서 황적색의 염료를 얻을 수 있는데 이것을 자황이라 적고 있다.
상기 꾸지뽕나무의 주요성분은 플라보노이드, 모린, 루틴, 모르틴,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비타민 B2, 비타민 C, 후라보노이드 등이다.
다량 함유된 플라보노이드는 암세포를 더 자라지 못하게 하거나 줄어들게 한다. 또한 통증을 가볍게 하고 밥맛을 좋게 하여 몸무게를 늘려준다. 게다가, 오줌을 잘나가게 하여 복수를 없애주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플라보노이드는 고혈압, 암, 노화방지, 항암작용, 항염증에 효능이 있는 성분이다.
상기 모린은 감염 예방 및 억제에 효능이 있는 성분이고, 루틴은 모세혈관 강화, 당뇨예방, 항암작용에 효능이 있는 성분이다. 상기 모르틴은 항암효과 및 암 예방에 효능이 있는 성분이고, 아스파라긴산은 숙취해소에 효능이 있는 성분이다. 상기 글루타민산은 칼슘 흡수를 촉진하고, 비타민 B2는 식욕증진, 노화방지, 장운동 원활화, 눈의피로 감소를, 비타민 C는 황산화 작용, 백내장 예방, 항암작용, 스트레스 해소, 피부건강 유지, 면역증진 및 감기예방, 철분칼슘 흡수촉진, 당뇨병 개선에 효능이 있는 성분이다. 상기 후라보노이드는 암세포의 성장을 저해하는 효과가 탁월하고 항암효과가 있는 성분이다.
예로부터 꾸지뽕의 잎, 줄기, 뿌리를 끓여 각기, 폐렴, 폐결핵, 감기, 고혈압 등을 치료하는 약재로 써 왔다. 그런데 최근 일부 연구에서는 꾸지뽕나무에 항암효과가 뛰어난 성분이 다량 함유돼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꾸지뽕나무의 줄기 껍질에 폐암, 대장암, 피부암, 자궁암 등에 효과가 높은 성분이 다량 함유돼 있다고 한다. 특히, 꾸지뽕나무는 부인병에 대한 성약으로서, 월경불순, 요통, 자궁암, 유방암 등에 탁월한 효과있어 여성들의 여러 가지 질병에 특히 좋고,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혈액을 맑게 해 준다.
인진쑥은 인진, 더위지기 또는 사철쑥이라고 불리워진다. 국화과 쑥속(屬)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산 기슭 과 들, 바닷가의 모래땅이나 냇가의 자갈밭 등에 야생하며 포기상으로 자란다. 잎은 쑥 처럼 생겼으나 쑥잎보다 약간 가늘면서도 대는 쑥보다 더 크게 자란다. 너무 써서 쑥처럼 나물로는 먹지 못하고 비슷하게 생긴 약쑥과는 전혀 다른 쑥이다.
인진쑥은 한방약용으로 간염, 황달, 위장, 냉대하 등에 사용되고, 번식력이 매우 강한 다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 각처에 자생하고 있다. 인진쑥은 우수한 녹엽 단백질원으로서 필수 지방산, 회분량, 섬유소량이 많아서 영양학적 측면으로도 매우 우수한 식품이다.
상기 인진쑥의 주요 성분인 쿠마리, 콜로로겐산 등은 항암작용을 한다. 또한 비타민 A와 B1, B2, C, 칼슘, 인, 칼륨 그리고 철분 등이 많이 들어 있어 체질개선에 좋다. 비타민 A는 쑥에서 그 모체인 카로틴 성분으로 존재하여 과산화지질 농도를 억제하여 노화를 방지하고, 특히 칼륨의 함량이 높아 해로운 나트륨성분을 배출시킨다.
또한, 인진쑥에는 디멜틸에스쿠레틴이라는 성분이 들어있어 간 해독작용을 돕는다. 이러한 인진쑥은 담즙 분비를 원활히 해 소화작용을 돕는 것은 물론 담즙 속의 덩어리와 콜산, 황달의 원인인 빌리루빈 등을 체외로 배출시켜 간을 깨끗하게 한다. 상기 인진쑥은 신체에서 전반적인 면역력 강화에 기여하고, 혈관내 콜레스테롤를 크게 내려주는 것으로 피를 맑게하고 몸을 따뜻하게 한다.
민들레는 볕이 잘 드는 들에서 자란다. 줄기는 없고, 잎이 뿌리에서 뭉쳐나며 옆으로 퍼진다. 잎은 거꾸로 세운 바소꼴이고 길이가 20 ~ 30cm, 폭이 2.5 ~ 5cm이며 깃꼴로 깊이 패이고 가장자리는 톱니모양이다. 털이 약간 있다.
꽃은 4 ~ 5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잎과 길이가 비슷한 꽃대 끝에 두상화가 1개 달린다. 꽃대에는 흰색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두상화 밑에만 털이 남는다.
상기 민들레는 맛이 조금 쓰기도 하고 짜다. 독이 없고 간,위에 들어가서, 열을 내리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염증을 없애며, 위장을 튼튼하게 한다. 또한 젖이 잘 나오게 하며, 독을 풀고 피를 맑게 하는 등의 효능이 있다.
한방에서는 꽃피기 전의 식물체를 포공영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열로 인한 종창, 유방염, 인후염, 맹장염, 복막염, 급성간염, 황달에 이용하고, 열로 인해 소변을 못 보는 증세에도 사용한다. 민간에서는 젖을 빨리 분비하게 하는 약제로도 사용한다.
질경이는 풀밭이나 길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여러해살이 풀로 질경이과의 다년초식물이다. 줄기가 없고 잎이 모두 나와서 비스듬히 퍼지며 잎자루는 잎몸과 길이가 비슷하고 밑부분이 넓어져서 서로 얼싸안고 자란다. 잎은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맥이 나란히 달리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다. 꽃은 6∼8월에 피고 백색이며 수상꽃차례에 밀생하며 포는 꽃받침보다 짧고 대가 없다. 한방에서는 질경이를 차전초, 그 씨앗을 차전자라고 부른다.
상기 질경이에는 플란타기닌, 아우쿠린 등의 성분이 들어 있다. 위장, 간장, 심장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쓰이며, 갱년기 장애 개선이나 강장, 위암방지, 혈압 안정 등에 효과가 있다.
잎은 감기, 기침, 인후염, 간염, 황달 등에 좋으며, 씨는 방광염, 요도염, 설사, 고혈압의 치료약으로 쓰인다.
천궁은 우리나라 한랭한 산간지방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로 강한 방향을 풍긴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30 ~ 60cm 정도이며 속이 비여 있다. 잎은 어긋 달리고 질은 두꺼우며 연녹색으로 2,3회의 날개깃 모양의 복엽이다.
한방에서는 보혈, 활혈, 정혈제로 부인병에 많이 쓰는 대표적인 약재이다. 또한 진통, 진정제로도 효과가 우수하여 두통, 어지럼증, 빈혈 등에 쓰고 강장약으로도 효과가 뛰어나다. 천궁은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하는 약으로 체내에 있는 악혈을 빨리 운반해서 없애고, 강한 살균작용으로 외과질환도 빨리 치유하며, 자궁수축 작용으로 산후에 피를 멎게 한다.
상기 천궁 전체에 쿠마린, 만니톨이 있고, 뿌리에는 크니딜리디,네오크티딜리드, 리쿠스틸리드, 천궁산, 부틸푸탈리드, 천궁산에스테르 등이 함유된 정유 1~2%가 있다.
천궁의 크니딜리드 등은 천궁의 고유한 냄새 성분으로 점막충혈작용이 있다. 정유는 실험동물의 뇌를 약하게 마비시키고 혈압을 낮추고 운동마비 등을 일으키는 독성물질이고, 중추신경장애를 정상으로 회복시킨다. 이러한 성질은 사람에게 있어서 진통, 진정작용으로 나타나고, 혈압을 내리고 말초혈관을 확장시킨다.
당귀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원래는 깊은 산중에서 자생하나 오늘날에는 재배를 많이 한다. 높이는 80 ~ 90cm 정도이고, 잎은 피침형으로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한방에서는 승검초의 뿌리를 당귀라하여 예로부터 귀중한 약재로 써왔다.
상기 당귀는 방향성분인 정유와 테쿠신, 진정작용을 하는 베타시토스테롤이 들어 있으며, 그 밖에 자당, 니코틴산, 엽산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당귀는 대표적인 보혈제로 부인들의 산후출혈로 오는 빈혈과 월경 이상, 월경통, 무월경 등에 약재로 사용한다. 또한 심장 하혈로 인해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건망증, 불면증, 정신 불안증 등에 효과가 있다.
또한, 당귀는 어혈을 풀어주는데 효과가 있어 타박상이나 어혈이 뭉친데 좋고, 어혈 때문에 배가 아프고 변이 굳었을 때 사용하면 좋다. 그 외에 속을 덥게 하며 진통에 효과가 있어 속이 차서 기혈이 막힌 데, 경락이 잘 통하지 않는데서 오는 복통이나 옆구리 통증에 좋고, 힘둘이 당기며 아플때 힘줄에 영양을 주어 경련을 멈추게도 한다.
이와 같은 천연산 약재를 이용해 본 발명에 따른 천연산 약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과정을 살펴본다.
상기 천연산 약재 중 녹나무, 딱총나무, 오가피, 박하, 편백나무잎, 엄나무, 도꼬마리 및 꾸지뽕나무는 약재별로 그 줄기와 잎을 구분해서 가공하고, 인진쑥, 민들레, 질경이, 천궁 및 당귀는 잎, 줄기, 뿌리 구분없이 가공한다.
도 1은 천연산 약재의 가공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먼저, 천연산 약재를 채취한다(St110). 천연산 약재의 채취는 3년에서 5년 이상 된 잎과 줄기를 채취한다.
바람직하게 잎은 5월 ~ 8월에 채취하며, 줄기는 9월 ~ 10월에 채취하는 것이 약리성분이 가장 왕성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적기의 기간별로 채취된 잎과 줄기를 깨끗한 물에 수세하고(St120), 상기 세수한 물기를 완전히 뺀 후 자연건조한다(St130). 상기 자연건조는 바삭거리며 부서질 때까지 한다.
다음으로, 천연산 약재를 분쇄한다(St140).
바람직하게 0.2mm×0.5mm 의 크기로 분쇄하고 딱딱한 부분을 더 부드럽게 하기 위해 분쇄용 롤러로 눌러 솜처럼 가볍고 부드러워지게 한다. 이와 같이 분쇄용 롤러로 눌러진 천연산 약재가루는 온수에서 잘 우러난다.
다음으로, 상기 천연산 약재가루가 일정한 크기의 고운 입자를 갖도록 체(mesh)에 거른다(St150). 바람직하게 상기 체의 입자크기는 0.2mm×0.5mm 이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가공된 천연산 약재가루는 비닐팩에 담아 밀봉한다(St160).
이때, 상기 녹나무, 딱총나무, 오가피, 박하, 편백나무잎, 엄나무, 도꼬마리 및 꾸지뽕나무의 약재가루는 각각 약재별로 줄기와 잎을 구분해서 담고, 인진쑥, 민들레, 질경이, 천궁 및 당귀는 각각 약재별로 줄기, 뿌리, 잎의 구분없이 담는다.
상기 밀봉은 상기 체에 거른 후 바로 이루어져야 자연의 향기와 색을 유지할 수 있다.
도 2는 녹나무 열매의 가공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상기 St110 ~ St160 단계를 거쳐 녹나무, 딱총나무, 오가피, 박하, 편백나무잎, 엄나무, 도꼬마리, 꾸지뽕나무, 인진쑥, 민들레, 질경이, 천궁, 당귀를 가공하는 것과는 별개로 녹나무 열매껍질의 가공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우선, 녹나무 열매를 채취한다(St210). 바람직하게 상기 채취는 성숙된 녹나무 열매를 얻을 수 있는 11월에 한다.
다음으로, 채취된 녹나무의 열매로부터 껍질을 분류하고(St220), 상기 녹나무 열매껍질을 자연건조한다(St230).
다음으로, 자연건조된 녹나무 열매껍질을 덕음한다(St240). 상기 덕음은 약한 불에 상기 녹나무 열매껍질을 볶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덕음한 녹나무 열매껍질을 분쇄하고(St250), 체에 거른다(St260).
다음으로, 체에 걸러진 녹나무 열매껍질의 천연산 약재가루를 비닐팩에 담아 밀봉한다(St270). 이때, 상기 체에 거른(St260) 후 바로 밀봉을 해야 자연의 향기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산 약재 조성물의 가공방법에 관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욕제(4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베개(5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천연산 약재 조성물은 상기 St110 ~ St160단계(도 1참조)와 상기 St210 ~ St270단계(도 2참조)를 거쳐 마련된 천연산 약재가루를 기능별 치유효능에 따라 선택,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천연산 약재가루를 담을 수 있는 입욕제용 또는 손목베개용 팩(Pack)을 제작한다(St310).
상기 팩은 그 용도에 따라 모양과 재질을 달리한다.
상기 입욕제용 팩(410)은 상기 도 4와 같이 상기 천연산 약재가루(420)를 담고 외부와 접촉 면적이 넓게 이루어지는 모양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욕제용 팩(410)의 재질은 내용물인 천연산 약재가루(420)가 통과하지 않고, 온수에서 약재가루의 미세성분만 용출될 수 있는 정도의 기공을 갖는 면직물, 화섬직물, 마직물, 부직포 등의 소재가 활용됨에 있어 그 제한은 없다.
반면에, 상기 손목베개용 팩(510)은 상기 도 5와 같이 상기 천연산 약재가루(420)를 담고 손목을 얹을 수 있는 면이 형성된 모양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목베개용 팩(510)의 재질은 내용물인 천연산 약재가루(420)가 통과하지 않고, 그 향이 외부로 용출될 수 있는 조직을 갖는 면직물, 합성섬유 등의 소재가 활용됨에 있어 그 제한은 없다.
다음으로, 상기 입욕제용 또는 손목베개용 팩(410, 510)에 기능별로 상기 천연산 약재가루를 선택, 혼합하여 상기 입욕제용 또는 손목베개용 팩(410, 510)에 담는다(St320).
상기 입욕제용 팩(410)에는 후술하는 첫째와 둘째 경우의 혼합성분 및 혼합성분비로 이루어진 천연산 약재 조성물이 담기고, 상기 손목베개용 팩(510)에는 후술하는 셋째 경우의 혼합성분 및 혼합성분비로 이루어진 천연산 약재 조성물이 담긴다.
상기 혼합은 기능별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은 성분과 비율로 이루어진다.
우선, 편백나무잎과 녹나무 열매껍질과 같이 특정된 부분에 대해 언급하는 천연산 약재와 인진쑥, 민들레, 질경이, 천궁 및 당귀를 제외하고는 그 잎과 줄기를 잎:줄기 = 40:60의 비율로 섞어 사용한다.
첫째, 관절염과 피부질환용 천연산 약재 조성물은 녹나무, 녹나무 열매껍질, 딱총나무, 오가피, 박하, 편백나무잎, 엄나무, 도꼬마리가 혼합된다.
상기 관절염과 피부질환용 천연산 약재 조성물은 혼합물 기준으로 녹나무 22.0±0.5 중량비%, 녹나무 열매껍질 5.5±0.5 중량비%, 딱총나무 19.5±0.5 중량비%, 오가피 19.5±0.5 중량비%, 박하 2±0.5 중량비%, 편백나무잎 19.5±0.5 중량비%, 엄나무 8±0.5 중량비%, 도꼬마리 4±0.5 중량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람직한 일 예로 상기 관절염과 피부질환용 천연산 약재 조성물은 녹나무 6.60g, 녹나무 열매껍질 1.65g, 딱총나무 5.85g, 오가피 5.85g, 박하 0.60g, 편백나무잎 5.85g, 엄나무 2.40g, 도꼬마리 1.20g으로 혼합되어 총 30g을 갖는다.
둘째, 부인병용 천연산 약재 조성물은 녹나무, 딱총나무, 오가피, 박하, 꾸지뽕나무, 인진쑥, 민들레, 질경이, 천궁, 당귀가 혼합된다.
상기 부인병용 천연산 약재 조성물은 혼합물 기준으로 녹나무 22.0±0.5 중량비%, 딱총나무 8±0.5 중량비%, 오가피 8±0.5 중량비%, 박하 7.4±0.5 중량비%, 꾸지뽕나무 19.5±0.5 중량비%, 인진쑥 19.5±0.5 중량비%, 민들레 3.9±0.5 중량비%, 질경이 3.9±0.5 중량비%, 천궁 3.9±0.5 중량비%, 당귀 3.9±0.5 중량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람직한 일 예로 상기 부인병용 천연산 약재 조성물은 녹나무 6.60g, 딱총나무 2.40g, 오가피 2.40g, 박하 2.22g, 꾸지뽕나무 5.85g, 인진쑥 5.85g, 민들레 1.17g, 질경이 1.17g, 천궁 1.17g, 당귀 1.17g으로 혼합되어 총 30g을 갖는다.
셋째, 근육통과 두통용 천연산 약재 조성물은 녹나무, 녹나무 열매껍질, 딱총나무, 오가피, 박하, 편백나무잎, 엄나무, 당귀가 혼합된다.
상기 근육통과 두통용 천연산 약재 조성물은 혼합물 기준으로 녹나무 30.2±0.5 중량비%, 녹나무 열매껍질 7.5±0.5 중량비%, 딱총나무 9.4±0.5 중량비%, 오가피 9.4±0.5 중량비%, 박하 5.7±0.5 중량비%, 편백나무잎 30.2±0.5 중량비%, 엄나무 5.7±0.5 중량비%, 당귀 1.9±0.5 중량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람직한 일 예로 상기 근육통과 두통용 천연산 약재 조성물은 녹나무 16g, 녹나무 열매껍질 4g, 딱총나무 5g, 오가피 5g, 박하 3g, 편백나무잎 16g, 엄나무 3g, 당귀 1g으로 혼합되어 총 53g을 갖는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혼합된 천연산 약재 조성물을 담은 상기 입욕제용 또는 손목베개용 팩(410, 510)을 밀봉한다(St330).
다음으로, 상기 밀봉된 입욕제용 또는 손목베개용 팩(410, 510)을 비닐팩에 담고 이를 다시 밀봉하여 포장한다(St340).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천연산 약재 조성물이 담긴 상기 입욕제(400)는 뜨거운 물에 15분 정도 담가 우려낸 다음 그 물을 목욕, 반신욕, 좌욕, 세안용으로 사용한다. 이때, 상기 입욕제(400)가 우려진 물에는 약리성분이 포함되어 사용자의 피부와 코로 흡수되어 치유력을 발휘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천연산 약재 조성물이 담기 상기 손목베개(500)는 사용자가 컴퓨터 작업시 마우스의 사용에 있어 손목을 얹어 사용한다.
이때, 얹은 손목의 움직임으로 상기 손목베개(500)가 비벼질 때 내용물인 천연산 약재가루들끼리 마찰을 일으켜 약리성분이 함유된 방향성 물질이 분비된다. 사용자는 상기 방향성 물질을 흡입함으로써 장시간의 사용에 따른 손목, 어깨 등의 근육통을 풀고, 머리가 맑아지는 치유효과를 얻게 된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천연산 약재의 가공방법에 관한 순서도.
도 2는 녹나무 열매의 가공방법에 관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산 약재 조성물의 가공방법에 관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욕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베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략한 설명>
400 : 입욕제 410 : 입욕제용 팩
420 : 천연산 약재가루 조성물 500 : 손목베개
510 : 손목베개용 팩

Claims (7)

  1. 방향성 물질을 포함하는 천연산 약재 조성물에 있어서,
    녹나무가 포함되고,
    딱총나무, 오가피, 박하 중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된 천연산 약재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녹나무 열매껍질, 편백나무잎, 엄나무, 도꼬마리 중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된 천연산 약재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꾸지뽕나무, 인진쑥, 민들레, 질경이, 천궁, 당귀 중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된 천연산 약재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녹나무 열매껍질, 편백나무잎, 엄나무, 당귀 중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된 천연산 약재 조성물.
  5. 청구항 2의 기재에 따른 천연산 약재 조성물을 팩에 담아 제조되는 입욕제.
  6. 청구항 3의 기재에 따른 천연산 약재 조성물을 팩에 담아 제조되는 입욕제.
  7. 청구항 4의 기재에 따른 천연산 약재 조성물을 팩에 담아 제조되는 손목베개.
KR1020080122594A 2008-12-04 2008-12-04 천연산 조성물을 이용한 입욕제와 손목베개 KR101236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594A KR101236366B1 (ko) 2008-12-04 2008-12-04 천연산 조성물을 이용한 입욕제와 손목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594A KR101236366B1 (ko) 2008-12-04 2008-12-04 천연산 조성물을 이용한 입욕제와 손목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156A true KR20100064156A (ko) 2010-06-14
KR101236366B1 KR101236366B1 (ko) 2013-02-25

Family

ID=42363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594A KR101236366B1 (ko) 2008-12-04 2008-12-04 천연산 조성물을 이용한 입욕제와 손목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63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279B1 (ko) * 2012-09-25 2014-01-08 박혁구 피톤치드의 효능과 방습기능을 활용한 건강 책상
CN104490660A (zh) * 2014-12-02 2015-04-08 成都顺发消洗科技有限公司 中药洗手液
WO2020246863A1 (ko) * 2019-06-07 2020-12-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꾸지뽕나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623B1 (ko) 2015-04-08 2017-09-13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편백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입욕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8522A (ja) * 1994-02-17 1995-08-29 Tsumura & Co ジェットバス用浴用剤
KR20040027721A (ko) * 2004-02-26 2004-04-01 고운맘 녹나무 활용 제조 방법
KR200389629Y1 (ko) * 2005-04-26 2005-07-14 김성률 건강베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279B1 (ko) * 2012-09-25 2014-01-08 박혁구 피톤치드의 효능과 방습기능을 활용한 건강 책상
CN104490660A (zh) * 2014-12-02 2015-04-08 成都顺发消洗科技有限公司 中药洗手液
WO2020246863A1 (ko) * 2019-06-07 2020-12-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꾸지뽕나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6366B1 (ko) 201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mar et al. Recent trends in potential traditional Indian herbs Emblica officinalis and its medicinal importance
Pullaiah Encyclopaedia of world medicinal plants
KR101868050B1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05004B1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Qasem Prospects of wild medicinal and industrial plants of saline habitats in the Jordan valley
Plowman Folk uses of new world aroids
KR101176590B1 (ko) 숙취 해소용 한약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Mathur et al. Ethnobotanical studies of the Tarai region of Kumaun, Uttarakhand, India
Al-Qudah et al. Lemon as a source of functional and medicinal ingredient: A review
Guarino et al. Ethnobotanical study of the Sannio area, Campania, southern Italy
KR20130086682A (ko) 골장회복 하수오와 홍삼녹용과 오가피등 100가지한약재 추출물 드링크제 및제조 방법
JP2011519850A (ja) 炮製を活用した薬用植物抽出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
Hutchens A Handbook of Native American Herbs: The Pocket Guide to 125 Medicinal Plants and Their Uses
Viereck Alaska's wilderness medicines: healthful plants of the far north
KR101236366B1 (ko) 천연산 조성물을 이용한 입욕제와 손목베개
Sukumaran et al. Usage of medicinal plants by two cultural communities of Kanyakumari district, Tamil Nadu, South India
Meuninck Medicinal plants of North America: a field guide
Phillips The Book of Herbs: An Illustrated AZ of the World's Most Popular Culinary and Medicinal Plants
KR200405651Y1 (ko) 한방 조성물이 함유된 생리대
KR100989944B1 (ko) 항산화 미백 활성을 갖는 생약 혼합 추출물
CN110037059B (zh) 一种驱蚊防虫香囊及其制备方法
KR20180089696A (ko) 천연식물 추출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KR101667518B1 (ko) 가습기용 천연 방향제 및 그 제조방법
CN106177710A (zh) 一种保健香囊及其制备方法
Nair et al. Medicinal plants for Home herbal gardens, Institutional gardens and animal heal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