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3597A - 교통상황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교통상황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3597A
KR20100063597A KR1020090019018A KR20090019018A KR20100063597A KR 20100063597 A KR20100063597 A KR 20100063597A KR 1020090019018 A KR1020090019018 A KR 1020090019018A KR 20090019018 A KR20090019018 A KR 20090019018A KR 20100063597 A KR20100063597 A KR 20100063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raffic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필
전성익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00063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5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5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responding to signals from another vehicle, e.g. emergency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26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within the own vehicle, e.g. a local storage device, digital ma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상황 측정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 차량이 위치한 도로의 교통상황을 도로에 위치한 다른 차량들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장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 범위를 포함하며, 수신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제2 차량으로부터 제2 차량에 해당하는 교통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제1 차량의 운행정보, 시간정보,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제2 차량에 해당하는 교통상황 정보를 표시하는 네비게이션부, 그리고 수집한 제1 차량에 해당하는 교통상황 정보를 제1 차량이 아닌 다른 차량으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도로에 위치하는 차량들이 서로의 교통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교환함으로써, 차량들은 도로 구석구석의 교통상황에 대하여 정확하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차량, 네비게이션, 교통상황 정보

Description

교통상황 측정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 traffic census}
본 발명은 교통상황 측정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S-041-03, 과제명: 차세대 모바일 단말기의 보안 및 신뢰 서비스를 위한 공통 보안 핵심 모듈 개발].
교통상황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차량에 네비게이션(navigation)을 장착하거나, 교통 프로토콜 전문가 그룹(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TPEG) 등을 통해 교통상황 정보를 전달받는다.
종래의 교통상황 정보 수신 방법은 중앙의 교통관제 서버에서 교통상황 정보를 일괄적으로 수집하고 이를 각 자동차의 네비게이션으로 보낸다.
네비게이션을 이용하여 교통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은 대도시를 비롯한 일부 지역에서만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교통상황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장치를 도로 곳곳에 세워야 하는 부담감이 있다. 또한, 교통상황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장치는 일반적으로 드문드문 설치되기 때문에 그 중간 도로의 교통상황은 파악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들 각각에 해당하는 교통상황 정보를 차량간에 송수신하여, 이를 각각의 차량이 구비하는 네비게이션에 표시하는 교통상황 측정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제1 차량이 위치한 도로의 교통상황을 상기 도로에 위치한 다른 차량들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장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 범위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제2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2 차량에 해당하는 교통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1 차량의 운행정보, 시간정보,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2 차량에 해당하는 교통상황 정보를 표시하는 네비게이션부, 그리고 수집한 상기 제1 차량에 해당하는 교통상황 정보를 상기 제1 차량이 아닌 다른 차량으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제1 차량이 위치한 도로의 교통상황을 상기 도로에 위치한 다른 차량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은
상기 제1 차량이 구비하는 교통상황 측정 장치는 상기 제1 차량의 수신범위 내에 존재하는 제2 차량에 해당하는 교통상황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전달받은 교통상황 정보가 포함하는 서명을 토대로 상기 교통상황 정보가 신뢰할 수 있는 정보인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교통상황 정보가 신뢰할 수 있는 정보라고 판단 되면, 상기 제2 차량의 교통상황 정보를 상기 제1 차량의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의 교통관제 서버에서 교통상황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를 도로 곳곳에 세워야 하는 불편함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에 위치하는 수많은 차량들이 서로의 교통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교환함으로써, 차량들은 도로 구석구석의 교통상황에 대하여 정확하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상황 측정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상황 측정 장치가 적용된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상황을 측정하는 환경은 제1 차량(10) 및 제2 차량(20)을 포함하며, 각 차량들은 교통상황을 측정하기 위한 교통상황 측정 장치(100, 200)를 포함한다.
제1 차량(10)은 제2 차량(20)의 제2 교통상황 측정 장치(200)에 해당하는 수신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2 차량(20)은 제1 차량(10)의 제1 교통상황 측정 장치(100)에 해당하는 수신범위 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상황을 측정하는 환경은 2대의 차량(10, 20)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차량이 각각 교통상황 측정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차량들은 서로의 수신범위 내에 존재하는 차량으로부터 교통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 교통상황 측정 장치(100, 200)의 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교통상황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 차량(10)에 해당하는 제1 교통상황 측정 장치(100)는 네비게이션부(110), 송신부(120), 수신부(130) 및 보안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제2 차량(20)에 해당하는 제2 교통상황 측정 장치(200)는 제1 교통상황 측정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네비게이션부(110)는 제1 차량(10)의 운행정보, 시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정보 등을 포함하는 제1 교통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기록한다. 이때, 교통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송신부(120)는 수집한 제1 교통상황 정보를 제1 차량(10)이 아닌 다른 차량들로 전송한다.
수신부(130)는 제1 수신범위를 포함하며, 제1 수신범위 내에 존재하는 제2 차량(20)에 해당하는 제2 교통상황 정보를 전달받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수신범위 내에 존재하는 차량이 복수개인 경우, 수신부(130)는 복수개의 차량 각각에 해당하는 복수개의 교통상황 정보를 전달받는다.
수신부(130)는 복수개의 교통상황 정보를 해당 차량의 교통상황 측정 장치에서 기록한 시간을 기준으로 가장 최근에 기록된 교통상황 정보에 우선 순위를 주며, 가장 오래 전에 기록된 교통상황 정보에 낮은 우선 순위를 주거나 가장 오래 전에 기록된 교통상황 정보를 삭제한다. 또한, 수신부(130)는 전달받은 복수개의 교통상황 정보를 평균치인 평균 교통상황 정보를 생성하여 네비게이션부(110)로 전달한다.
다음, 네비게이션부(110)는 전달받은 제2 교통상황 정보 내지 복수개의 교통 상황 정보의 평균 교통상황 정보를 제1 차량(10)의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보안부(140)는 네비게이션부(110), 송신부(120) 및 수신부(130)의 보안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보안부(140)는 네비게이션부(110)를 해킹으로부터 보호하고, 송신부(120)에서 외부로 전송하는 제1 교통상황 정보에 안전성을 증명하기 위해 서명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보안부(140)는 수신부(130)를 통해 전달받은 제2 교통상황 정보가 포함하는 서명을 통해 신뢰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부(140)는 TPM(Trusted Platform Module) 내지 보안칩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2 차량(20)에 해당하는 제2 교통상황 측정 장치(200)는 네비게이션부(210), 송신부(220), 수신부(230) 및 보안부(240)를 포함하며, 제1 교통상황 측정 장치(100)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 차량간의 교통상황을 측정하는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상황 측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복수개의 차량은 각각 해당하는 수신 범위를 포함하는 교통상황 측정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차량(10)은 제1 교통상황 측정 장치(100)를 포함하며, 제2 차량(20)은 제2 교통상황 측정 장치(200)를 포함한다. 이때, 제2 차량(20)은 자신이 위치한 도로의 교통상황을 근접한 도로상에 위치한 제1 차량(10)을 이용하여 교통상황을 측정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 교통상황 측정 장치(100)는 제1 차량(10)의 제1 교통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기록한다(S301). 제1 교통상황 정보는 제1 차량(10)의 운행정보, 시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제1 교통상황 측정 장치(100)는 수집한 제1 교통상황 정보를 외부로 전송한다(S302).
다음, 제2 교통상황 측정 장치(200)는 제2 수신범위 내에 존재하는 제1 차량(10)에 해당하는 제1 교통상황 정보를 전달받는다(S303). 또한, 제2 교통상황 측정 장치(200)는 제2 차량(20)에 해당하는 제2 교통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외부로 전송한다.
제2 교통상황 측정 장치(200)는 전달받은 제1 교통상황 정보가 포함하는 서명을 토대로 신뢰할 수 있는 정보인지 판단한다(S304).
신뢰할 수 있는 정보인 경우, 제2 교통상황 측정 장치(200)는 전달받은 제1 교통상황 정보를 네비게이션부(21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한다(S305).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차량(20)은 제2 차량(20)의 수신범위 내에 존재하는 제1 차량(10)으로부터 교통상황 정보를 전달받고 있으나, 제2 차량(20)의 수신범위 내에 존재하는 복수개의 차량으로부터 교통상황 정보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상황 측정 방법은 복수개의 차량들이 서로의 교통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교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교통상황 측정 장치를 부착한 차량이 존재하는 도로의 교통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 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상황 측정 장치가 적용된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교통상황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통상황 측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Claims (10)

  1. 제1 차량이 위치한 도로의 교통상황을 상기 도로에 위치한 다른 차량들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 범위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제2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2 차량에 해당하는 교통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1 차량의 운행정보, 시간정보,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상황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2 차량에 해당하는 교통상황 정보를 표시하는 네비게이션부, 그리고
    수집한 상기 제1 차량에 해당하는 교통상황 정보를 상기 제1 차량이 아닌 다른 차량으로 전송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교통상황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부를 해킹으로부터 보호하고,
    상기 제1 차량에 해당하는 교통상황 정보를 다른 차량으로 전송하기 이전에 상기 교통상황 정보의 서명절차를 수행하는 보안부를 더 포함하는 교통상황 측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부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제2 차량에 해당하는 교통상황 정보가 포함하는 서명을 토대로 상기 제2 차량에 해당하는 교통상황 정보의 신뢰성 여부를 판단하는 교통상황 측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수신 범위 내에 존재하는 차량이 복수개인 경우, 복수개의 차량 각각에 해당하는 복수개의 교통상황 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차량에서 교통상황 정보를 수집한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개의 교통상황 정보의 우선순위를 매기는 교통상황 측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범위 내에 존재하는 차량이 복수개인 경우, 복수개의 차량 각각에 해당하는 복수개의 교통상황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복수개의 교통상황 정보의 평균값을 생성하는 교통상황 측정 장치.
  6. 제1 차량이 위치한 도로의 교통상황을 상기 도로에 위치한 다른 차량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량이 구비하는 교통상황 측정 장치는 상기 제1 차량의 수신범위 내에 존재하는 제2 차량에 해당하는 교통상황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전달받은 교통상황 정보가 포함하는 서명을 토대로 상기 교통상황 정보가 신뢰할 수 있는 정보인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교통상황 정보가 신뢰할 수 있는 정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2 차량의 교통상황 정보를 상기 제1 차량의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통상황 측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량에 해당하는 교통상황 정보는 상기 제2 차량의 운행정보, 시간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상황 측정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량의 수신범위 내에 존재하는 차량이 복수개인 경우,
    복수개의 차량 각각에 해당하는 복수개의 교통상황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교통상황 정보의 평균값을 토대로 평균 교통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평균 교통상황 정보가 신뢰할 수 있는 정보인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평균 교통상황 정보가 신뢰할 수 있는 정보라고 판단되면, 상기 평균 교통상황 정보를 상기 제1 차량의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교통상황 측정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량이 구비하는 교통상황 측정 장치는 상기 제1 차량에 해당하는 교통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그리고
    수집한 상기 제1 차량에 해당하는 교통상황 정보를 상기 도로에 위치한 다른 차량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교통상황 측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량에 해당하는 교통상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수집한 상기 제1 차량에 해당하는 교통상황 정보에 안전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서명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통상황 측정 방법.
KR1020090019018A 2008-12-03 2009-03-05 교통상황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1000635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004 2008-12-03
KR20080122004 2008-1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597A true KR20100063597A (ko) 2010-06-11

Family

ID=42363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018A KR20100063597A (ko) 2008-12-03 2009-03-05 교통상황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35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197A1 (en) * 2017-12-27 2019-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operation information of vehicle and method for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197A1 (en) * 2017-12-27 2019-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operation information of vehicle and method for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4654B2 (en) Trusted vehicle telematics using blockchain data analytics
JP6320559B2 (ja) 車両のインターネットのデータを処理する方法、サーバ及び端末
US10185455B2 (en) Mobile computing device for fleet telematics
Raya et al. Security aspects of inter-vehicle communications
US20180332456A1 (en) Tracking and theft-recovery system for mobile assets
US7098806B2 (en) Traffic preemption system
JP2020513617A (ja) 運転行為の確定方法、装置、機器及び記憶媒体
US20090024458A1 (en) Position-based Charging
EP3384629B1 (en) System and method for tamper-resistant device usage metering
CN106407806A (zh) 攻击检测系统以及攻击检测方法
US20150100394A1 (en) Method for checking toll transactions and components therefor
US20210320815A1 (en) Configurable obd isolation
KR20170041587A (ko) 차량용 비상전화 시스템과 내비게이션 시스템 간의 정보 공유 시스템
KR101757085B1 (ko) 차량 데이터 수집 시스템, 차량 데이터 수집 방법, 차량 탑재 장치 및 기록 매체
RU2010116696A (ru) Тахограф, бортовой блок для сбора за пользование дорогой (maut-on-board-unit), индикаторный прибор и система
US20180218452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implementation of real-time, revealed-risk, insurance pricing and driving behavior feedback
CN110149611A (zh) 一种身份验证方法、设备及系统
CN109547401A (zh) 网络安全漏洞优先化和修复
Liu et al. Alidrone: Enabling trustworthy proof-of-alibi for commercial drone compliance
CN109326133A (zh) 高速公路安全监管方法及系统、车载终端
KR101736296B1 (ko) 텔레메틱스 서비스 품질 점검 시스템
KR20100063597A (ko) 교통상황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US20120209776A1 (en) Vehicle device, ad hoc network and method for a road toll system
US9037412B2 (en) Mechanism to monitor vehicle miles traveled
CN102542509A (zh) 整合汽车影像的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