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3052A - 염증성 장 질환의 진단, 단계 구분 및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염증성 장 질환의 진단, 단계 구분 및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3052A
KR20100063052A KR1020107004671A KR20107004671A KR20100063052A KR 20100063052 A KR20100063052 A KR 20100063052A KR 1020107004671 A KR1020107004671 A KR 1020107004671A KR 20107004671 A KR20107004671 A KR 20107004671A KR 20100063052 A KR20100063052 A KR 20100063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ibd
disease
sample
ex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그누스 퇴른
올라 빈크비스트
Original Assignee
아이에스에스 이뮨 시스템 스티뮬레이션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에스에스 이뮨 시스템 스티뮬레이션 에이비 filed Critical 아이에스에스 이뮨 시스템 스티뮬레이션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00063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0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4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involving specific cell types
    • G01N33/5047Cells of the immune system
    • G01N33/505Cells of the immune system involving T-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705Assays involving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06Gastro-intestinal diseases
    • G01N2800/065Bowel diseases, e.g. Crohn, ulcerative colitis, IB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2Predicting or monitoring the response to treatment, e.g. for selection of therapy based on assay results in personalised medicine; Progno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6Staging of a disease; Further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the dise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샘플로부터 단일 세포 현탁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현탁물을 대상으로 CD4+ T 헬퍼 세포 상에 염증 활성화 마커인 CD69의 발현을 직접 표지된 형광 CD69 항체를 이용하여 분석하는 단계, CD69를 발현하는 T 헬퍼 세포의 수를 건강한 개체의 대응되는 샘플로부터 수득한 결과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D69를 발현하는 T 헬퍼 세포의 유의한 수적 증가는 활성 IBD의 존재를 의미하고, T 헬퍼 세포의 유의한 수준 미만의 증가는 비활성 IBD의 존재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관 점막 샘플 또는 위장 점막으로부터 배액되는 전초 림프절의 샘플로부터 활성 IBD와 비활성 IBD를 구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궤양성 대장염(UC)와 크론 질환(CD)를 구별하는 방법, UC와 CD를 검출하는 방법 및 IBD 환자의 스테로이드 치료에 대한 감수성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염증성 장 질환의 진단, 단계 구분 및 모니터링 방법{DIAGNOSIS, STAGING AND MONITORING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본 발명은 감염성 장 질환의 진단, 단계 구분 및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염증성 장 질환(IBD)에는 오랜 기간 장에 손상을 야기하는, 크론 질환(CD)과 궤양성 대장염(UC)이 있다. 최근들어, 미세형 대장염(microscopic colitis), 교원성 대장염 및 림프성 대장염도 IBD 범주에 포함되었다. 외래 항원의 조합, 손상된 면역 반응 및 유전 인자들이 IBD 발병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장 염증을 일으키는 메카니즘은 명확하지 않은 상태이다(1). 지금까지, 다수의 가능성있는 항원들, 예컨대 장 CMV 감염으로부터 유래된 항원(2)과 지속적인 홍역 바이러스 감염으로부터 유래된 항원(3)이 제안되었다.
장 내용물이 배액되는(draining) 장간막 림프절은 IBD에서 염증 개시와 유지에 있어 중요한 위치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 항원 촉발성 염증은 면역계에 제시하기 위해 장벽에서부터 림프절로 활발하게 전달된다(1,4). 장의 병변부로부터 배액되는 제1 림프절을 동정하고, 수술 중에 이 림프절을 취하기 위한 기법들이 개발되고 있다(5). 본 발명은 세포 표면 마커 발현과 mRNA 발현 어레이 프로파일링을 토대로 하여 여러가지 IBD 진단과 단계를 정하기 위해 구축된 분석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패턴은 장 감염의 유형 및 활성도와 관련있으므로, 치료법에 대한 반응 등의 질병 활성도를 진단하고, 단계를 결정하고 모니터링하는데 유용하다.
스웨덴에서는, 매년 1400명이 새롭게 IBD로 진단받고 있다. 새롭게 진단받은 사람의 수는 최근들어 증가하고 있다. IBD의 최대 발생율은 20세에 나타난다(6, 7). 장은 면역보체 세포가 매우 다양한 내인성 및 외인성 인자들과 만나게 되는 복잡한 미세환경이다. 이들의 상호작용은 점막 고유판(lamina propria)에 T 세포가 풍부하게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계속적인 낮은 등급의 염증을 양산한다(8). T 세포는 항상 유해한 병원체에 대해 작용할 준비가 되어 있지만, 정상적인 체류 박테리아 균총에 속하는 균이나 무해한 식이성 항원은 무시한다. 장 면역계에서 허용과 반응의 균형이 깨지게 되면, IBD로 발병할 수 있다.
CD와 UC는 IBD의 주된 형태이다. CD의 경우, 장의 임의 부분이 질병에 걸릴 수 있지만, 회맹장부(50%)와 결장(30%) 부분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다. 또한, 환자의 약 1/3은 동시에 항문 주위 질병을 가지고 있다. 흔히 비연속성 병변(skip lesion)이라고도 하는, 소장의 짧은 구역 여러 곳에서 질병이 발병할 수도 있다. 조직병리학적으로, 염증은 경벽성(transmural)이며; 육아종성의 림프구와 대식세포의 다량의 침윤도 환자의 최대 60%에서 관찰된다. US는 일반적으로 직장에서 발병하며, 기부쪽으로 확장되는데, 확장은 환자 개인에 따라 다양하지만, 질병은 항상 결장까지로 제한된다. 염증이 우측 결장곡에서도 발병한 경우에는, 전대장염(total colitis)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현미경 검경시, 점막 염증은 표재성이며 림프구와 과립구가 풍부하게 존재하고 있다. 공통적으로 궤양화와 농양이 발생한다(1). 설사(종종 혈액 함유), 영양 실조, 열 및 통증과 같은 장기적인 염증으로 인한 증상 외에도, 환자의 장에 상피 이형성증이 발병하여 결국 암으로 발병할 장기적인 위험성이 있다(9). IBD 환자의 약 15%는 불확정 대장염(indeterminate colitis)을 가지고 있어, 명확하게 CD 또는 UC로 진단할 수 없다. 보다 중요한 점은, 전격성 대장염(fulminant colitis) 환자들 중에, 진단이 불확실한 경우가 종종 있다는 것이다. 정확한 진단은 즉각적인 의학적 치료를 결정하고 장기적인 견지에서 최선의 외과적 치료를 결정할 때 중요하다. CD의 외과적 치료는 염증 부분의 절제, 협착 성형술에 의한 협착 치료, 병변 부분의 장 절제 또는 심각한 결장염인 경우에는 전체 결장 절제술(total colectomy)과 회장부 성형술(ileostomy)을 포함한다. CD에서의 재건 수술은 장 연속성을 복구하기 위한 회장-직장 문합술이다. 골반 공간(pelvic pouch)은 회장-항문 문합술에서 누(fistula) 형성과 관련있는 합병증의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드물게 시술되고 있다. 일부 환자들은 영구적인 회장부 성형술로 끝낸다. UC로 인한 중증의 대장염 환자는 종종 응급 조처로서 결장 절제술 및 회장부 성형술로 치료한다. 그후 약 6개월 후에, 회장-직장 문합술이나 골반 공간을 확실한 외과 치료법으로서 선택할 수도 있지만, 어떤 경우에는 영구적인 회장 성형술만이 가능한 해결책이 될 수도 있다.
몇가지의 증거들은, CD가 정상적인 장 균총에 대한 허용이 파괴된 결과임을 시사한다. 인간에서, 환자의 점막 고유판내 단핵 세포가 자가 배설물 추출물에 대해 반응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러한 반응은 정상적인 대조군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10). T 세포 자극에 있어 항원 의존성은, 증식이 항-MHC 클래스 II 항체에 의해 저해되는, 자가 장 박테리아의 초음파 처리물에 대한 CD 환자 유래의 림프구의 시험관내 증식을 관찰한 결과로부터 명확해진다(11). UC의 경우, 미세환경의 역할은 애매하며, 염증은 면역글로불린(IgG) 의존성, 경화성 담관염과 같은 자가면역 장애의 조합, 자가항체의 빈도 및 대장 점막 특이성을 고려하면, 자가면역과 유사한 병인 발생을 토대로 하는 것으로 보인다(12). 가설에 입각하여, 장에 대한 면역 반응은 조절성 T 세포의 불충분한 저해 작용 작용의 결과일 수 있다(1, 4, 10).
활성 UC는, 활성화된 과립구와 단핵세포/대식세포의 결장 점막 내부로의 침윤이 특징적이다. 이런 침윤성 세포가 염증-촉진성 사이토카인의 주요 소스이다. IBD 환자는 의학적 치료에 대해 내성을 보일 수 있다. 가능성있는 원인은 스테로이드-수용체 발현 등의 면역 세포의 기능적인 특징, 사이토카인 또는 과립구의 분포 변화이다.
오늘날, IBD 진단 및 단계 구분은 내시경에 의한 분류 기준 및 조직병태와 더불어 임상 파라미터(알부민, SR, CRP, 열, 변 횟수)를 토대로 이루어진다. 염증 활성은 현미경 검경에 의해 평가되지만, 생검에 존재하는 세포의 전반적인 유형 및 수도 고려된다. 활성화 특징들은 규명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활성 염증성 장 질환(IBD)와 비활성 염증성 장 질환을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IBD 환자를 크론 질환(CD)과 궤양성 대장염(UC)으로 구별할 수 있는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과제는 불확정 대장염 환자에서 크론 질환과 궤양성 대장염을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과제는 본 발명의 개요, 도면에 기술된 바람직한 구현예 및 첨부된 청구항에 대한 내용들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장 항원이 점막의 수지상 세포에 의해 국소 영역의 장간막 림프절에 계속적으로 수송된다는 견지를 기초로 한다. 이 과정에서, 조절성 T 세포는 T 작용자 세포(effector cell)를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정상 항원에 대한 반응이 예방된다.
동물 모델에서, T 작용자 세포 반응은 2가지의 구분되는 경로로 나눌 수 있다. 첫번째 유형은, 면역 개시가 활성화된 T 헬퍼 세포 타입1(Th1)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IL-12, IFN-γ 및 TNF-α와 같은 사이토카인의 생산이 특징이다. 염증 부위에 대식세포와 세포독성 T 작용자 세포(CD8+)의 세포 매개성 침윤이 두드러진다. 이러한 유형의 염증은 CD의 병변과 비슷하다. T 헬퍼 세포 타입2(Th2) 면역 활성화의 경우, 체액성 면역 방어 시스템(면역글로불린)이 세포독성 T 세포 및 IL-4, IL-5와 같은 사이토카인 뿐만 아니라 염증 부위에서 볼 수 있는 IgG1과 조합하여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동물 모델에서, Th2형의 염증의 특징은 인간 UC의 특징과 공통적이다.
본 발명은, 염증 조직의 생검 샘플로부터 분리한 단일 세포를 다색 유세포 방법으로 분석함으로써, IBD 환자를 크론 질환과 궤양성 대장염으로 구별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활성화 마커와 사이토카인의 생산을 결정함으로써, 국소 면역 반응의 상태를 매우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IBD 환자에서 단계를 정하고 치료법을 평가하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측면은, 질병에 걸린 것으로 의심되는 말단 회장 또는 장 점막 유래의 생검 샘플 또는 상기 말단 회장 또는 장 점막으로부터 배액되는 전초 림프절로부터 유래된 생검 샘플을 제공하는 단계, CD69 활성화 마커를 발현하는 CD4 T 세포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CD4 T 세포의 수를 건강한 개체와 활성 또는 비활성 상태의 IBD 개체로부터 수득한 대응되는 T 세포의 수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에서 IBD의 존재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측면은, IBD 환자를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 질환으로 구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병에 걸린 장 점막이나 이러한 점막으로부터 배액되는 전초 림프절로부터 유래된 생검 샘플을 제공하는 단계, CD를 의미하는 활성화된 T 헬퍼 세포 타입 1(Th1)에 의해 유도된 면역 활성화에서 생성되는 1종 이상의 사이토카인과 UC를 의미하는 활성화된 T 헬퍼 세포 타입 2(Th2)에 의해 유도된 면역 활성화에서 생성되는 1종 이상의 사이토카인을 측정하는 단계, 및 Th1 및 Th2 사이토카인의 양을 명백한 CD 및/또는 UC 환자에서 일반적으로 확인되는 양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Th1 사이토카인은 IL-12, IFN-γ 및 TNF-α이며, 특히 IFN-γ이다. 바람직한 Th2 사이토카인은 IL-4 및 IL-5이며, 특히 IL-4이다. 상기 방법에서, 또한 크론 질환의 마커로서 IgG1를 추가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측면에 있어서, IBD 생검으로부터 유래된 면역 세포의 mRNA 발현 프로파일링(13)은 IBD를 진단하고, 단계를 구분하고, 치료하고, 치료를 모니터링하는데 이용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측면은, IBD 환자로부터 수득한 CD4+ T 헬퍼 세포에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의 발현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BD 환자의 스테로이드 치료 감수성을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단계 구분(staging)"은 IBD에서 활성화 단계, 염증의 중증도, 염증의 유형 등을 정하는 것이며, "모니터링"은 환자에서 IBD 진행을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추가적인 측면은, 여러가지 그래프로 구성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구현예에 대한 하기 설명과 첨부된 청구항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예시된 여러가지 바람직한 구현예를 들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활성 또는 비활성 UC 환자와 건강한 대조군으로부터 유래된 생검의 단일 세포 현탁물을 유세포 측정과 CD4 및 활성화 마커인 CD69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CD4+ 세포에 대한 평균 형광 세기는 y 축에 나타낸다.
도 2는 건강한 대조군, 활성 및 비활성 UC 환자 및 비활성 CD 환자로부터 수득한 생검을 대상으로 평가한 유세포 측정(FACS)에서 확인된, 활성화된 CD69+CD4+ T 세포% 상관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FACS 평가한 생검에서의 활성화된 CD69+CD4+ T 세포%와, 여러가지 단계의 질병 상태에 있는 환자의 IBD 수치와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CD 환자의 염증 부위로부터 배액되는 비전초 림프절, 전초 림프절 1 및 전초 림프절 2로부터 유래된 배양 상층물내에서의 IFN-γ의 생산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UC 환자의 염증 부위로부터 배액되는 비전초 림프절(NSLN) 및 전초 림프절(SLN)로부터 유래된 배양 상층물내에서의 IL-4의 생산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치료에 대한 무반응 IBD 환자로부터 수득한 CD4+ T 헬퍼 세포에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의 세포내 발현 수준이 감소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활성 CD 환자의 장관으로부터 수득한 CD4+ T 헬퍼 세포에서는 Tbet의 발현은 증가되지만 비활성 단계에서는 Tbet의 발현이 낮음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활성 CD 환자의 장관으로부터 수득한 CD4+ T 헬퍼 세포에서는 Tbet의 발현은 증가되지만 비활성 단계에서는 Tbet의 발현이 낮음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한, UC 환자로부터 수득한 CD4+ T 헬퍼 세포에서의 Tbet 발현이 활성 CD에서 확인되는 Tbet 발현에 비해 낮다.
도 9는 활성 UC 환자의 장관으로부터 수득한 CD4+ T 헬퍼 세포에서의 GATA-3의 발현은 증가되지만 비활성 단계에서는 GATA-3의 발현이 낮음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재료 및 방법
단일 세포 현탁물을 신선한 생검으로부터 제조하였다. FITC, PE, PerCp, APC접합체를 이용하여 직접 표지한 형광 항체들 CD4, CD8, CD69, CD25, CD14, CD9, CD66b, CD19를 4가지 조합으로 이용하여 유세포 측정(FACS)을 수행하였다. 이소타입 항체를 대조군으로 사용한다. CD 및 UC에서, 비교 분석으로 염증성 장과 병에 걸리지 않은 정상 장으로부터 배액되는 전초 림프절을, 추적 물질인 페이던트 블루를 염증 부위 주위에 주사하여 동정하였다. 또한, 정맥혈 샘플도 각 환자로부터 채혈하였다.
사이토카인 IL-4 및 IFN-γ를 생검 또는 전초 림프절의 단일 세포 배양 상층물을 샌드위치 ELISA(R&D systems)로 분석하였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의 발현 분석은, 마우스 항 인간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를 이용한 다음, 항-마우스 IgG FITC 접합된, 사포닌 투과화시킨 단일 세포의 검출 항체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단일 세포 현탁물로부터 RNA 분리는 TRIZOL 시약(Invitrogen, Cat. No. 15596-026)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샘플 당 RNA 100 ng을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른 iScript™ cDNA 합성 키트를 이용한 역전사효소 반응에 포함시켰다. 정량 PCR은 2X IQ™ SYBR® Green Supermix를 이용하여 iCyclerIQ 에서 수행하였다. BIO-RAD의 iCycler IQ™ Optical System Software Version 3.1을 이용하여 사이클 역치를 구하였다. 발현 수준은 2-ΔΔ Ct 방법을 이용하여 RPII으로 표준화하였다. 또한, 분리된 RNA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고, FAM로 표지한 후, Affymetrix 인간 어레이 칩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프라이머 서열 QT-PCR:
IFNγ QT 정방향 GCAGGTCATTCAGATGTAGCGG
IFNγ QT 역방향 TGTCTTCCTTGATGGTCTCCACAC
IL-4 QT 정방향 CACAACTGAGAAGGGAAACCTTCTG
IL-4 QT 역방향 CTCTCTCATGATCGTCTTTAGCCTTTC
T-bet QT 정방향 CACTACAGGATGTTTGTGGACGTG
T-bet QT 역방향 CCCCTTGTTGTTTGTGAGCTTTAG
GATA3 QT 정방향 AACTGTCAGACCACCACAACCACAC
GATA3 QT 역방향 GGATGCCTTCCTTCTTCATAGTCAGG
실시예 1
점막 또는 IBD 병번부로부터 배액되는 전초 림프절내 면역 세포의 평가. 점막 또는 IBD 병변부로부터 배액되는 전초 림프절내 면역 세포의 유세포 측정에 의한 실험을 통해, 건강한 대조군에 비해, CD4+ T 세포 상에 활성화 마커인 CD69의 발현이 유의하게(p<0.009) 증가하고(도 1), 활성 IBD 환자에서 CD8+ 세포독성 T 세포의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활성 IBD 환자(유능한 병리학자가 판단함)에서도 역시 활성화 마커인 CD69의 발현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CD4+ T 세포의 활성화도 유의하게(p<0.03) 증가(도 1)하였다. 또한,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 질환 둘 다의 경우, 활성 IBD 환자에서의 CD4+ CD69+ T 세포의 수는 비활성 IBD인 것으로 보고된 환자와 건강한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었다(도 2).
실시예 2
환자의 IBD 수치와 유세포 측정 프로파일의 상관 관계. S-알부민, CRP 및 1일 혈변 횟수로 구성되는 환자의 IBD 수치와 유세포 측정 프로파일을 도 3에 나타낸다. 활성화 마커인 CD69를 발현하는 CD4+ T 세포의 수는 IBD 수치(SEO 인덱스)와 충분한 상호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SEO-인덱스를 사용하여 결과와 질병 활성도의 관련성을 보았다. 이 인덱스는 임상(배변 횟수와 혈변) 및 실험 파라미터(Hb, 알부민 및 적혈구 침강 속도)를 사용한다. 본원에서는, 적혈구 침강 속도를 CRP (C- 반응성 단백질)로 치환하였다.
실시예 3
CD UC 둘다에서 , 장의 병변 부위로부터 배액되는 전초 림프절과 병에 걸리지 않은 부위로부터 배액되는 림프절에서의 면역 반응. 최근, CD에서의 면역 반응은 Th1 반응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UC는 비전형적인 Th2 활성화와 유사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러한 견지는 주로 인위적인 수단에 의해 대장염을 시뮬레이션한 동물 모델을 기초로 한 것으로 보인다. 인간의 경우, IBD에서의 염증 경로의 특정화로 제한되어 있으며, 결장으로부터의 관류 연구 뿐만 아니라 말초 혈액 세포 분석은 동물 모델에서 관찰된 결과들 중 일부분을 뒷받침하고 있지만, 전반적인 병태생리학적인 내용은 불완전한 편이다. 본 발명에서 CD 및 UC 둘다의 경우에, 장의 병변 부위로부터 배액되는 전초 림프절과 비병변 부위로부터 배액되는 림프절에 대한 면역 반응과 사이토카인 패턴을 측정함으로써, 사이토카인의 방출을 CD 및 UC 진단에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배적인 기준으로 볼때, IBD 환자들 중 15%가 불확정 대장염인 것으로 간주되며, 즉 명확하게 진단할 수 없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후의 치료를 결정하는데 있어 정확한 진단은 중요하다. 또한, 전격성 대장염에서 CD와 UC를 구별하기 종종 불가능하여, 적절한 의학적 치료가 지연될 수 있으며, 초기에 결장 절제술의 외과적 개입이 수반될 수 있다. CD 환자의 위장 염증 부위에서 다량의 IFN-γ가 확인되었다(도 4). 반면, UC 환자의 위장 염증 부위에는 다량의 Th2 사이토카인 IL-4가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5). 이러한 사실은, 위장 생검 샘플내 다량의 IFN-γ가 존재하는 것을 CD와 연관시키고, IL-4의 다량 생산을 UC와 연관지을 수 있게 한다. 이들 마커로 흔히 정확하게 진단내리기 어려운 전격성 대장염에서 CD와 UC를 구별할 수 있다. 장 생검을 통해 수득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정밀하게 맞춤형 의학 치료를 제공하고 일부 환자들에서 전체 결장 결제 및 회장 성형술의 외과적 개입을 방지하기 위해, 정확한 진단을 조기에 제공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호중구, 호산구, NK 세포, NKT 세포, T 조절 세포 및 B 세포와 같은 그외 면역 세포의 활성화 마커를 다색 유세포 측정으로 분석하여, IBD를 진단하고 단계를 규정하고 모니터링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4
스테로이드 수용체 발현의 프로파일 측정. 일부 IBD 환자가 스테로이드 치료에 내성이 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문제점이다. 본 발명에는, 세포가 스테로이드 치료에 민감한 지를 측정하기 위해, 생검 유래의 단일 세포의 웨스턴 블롯이나 세포내 유세포 측정을 이용하여, IBD 환자에서 스테로이드 수용체-발현 프로파일을 조사한 결과가 기술되어 있다. 스테로이드에 민감하게 반응하거나 민감하지 않은 환자들로부터 수득한 장 생검 또는 단일 세포 현탁물로부터, 스테로이드 수용체의 발현 정도를 세포내 유세포 측정으로 조사하였다. 스테로이드 내성 IBD 환자들 모두에게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는 보다 낮은 수준으로 발현되었지만, 장이 치유되는 반응을 보이고 스테로이드 치료시에 SEO 인덱스가 낮은 환자들에서는 보다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었다(도 6). 따라서, 장 림프구에서의 스테로이드 수용체의 발현 수준은 치료 감수성과 상호 관련있다.
실시예 5
사이토카인 발현 어레이의 프로파일링. 본 발명에서, IBD 환자의 생검에서의 면역 세포의 사이토카인 발현 패턴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발현 어레이 프로파일링에 의해 수득하였다. 이러한 유형의 프로파일링은 20 k Affymetrix 칩으로 수행하였다. Th1 활성화 패턴은, CD69 및 Tbet, IFN-γ 및 TIM-3의 mRNA 상향-조절에 의해 야기되는 것으로 보이는, CD 환자들에서 확인되었다. 반면에, Th2 발현 패턴은, CD69 외에도 GATA-3 및 IL-4, IL-5의 상향-조절이 나타난, UC 환자들에서 확인되었다. 어레이 결과는 실시간 정량 PCR(QT-PCR)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CD 환자 유래 세포에서는 Tbet 전사체의 발현율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도 8), GATA-3 전사체의 발현은 UC 환자 유래 세포에서 높았다(도 9). Tbet의 발현은 또한 활성 단계의 CD 환자들에서 실질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7). 따라서, 발현 프로파일 패널을 토대로, CD에서의 Th1 우세는 Tbet, IFN-γ 및 TIM-3의 발현 증가로 예측할 수 있다. 이로써, Th2 우세와 UC는 GATA-3 및 IL-4, IL-5 전사체 발현 증가로 예측할 수 있다.
참고문헌
1. Bouma G, Strober W. The immunological and genetic basis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Nature Rewiews Immunology 2003; 3: 521-533.
2. Rahbar A, Bostrom L, Lagerstedt U, Magnusson I, Soderberg-Naucler C, Sundqvist VA. Evidence of active cytomegalovirus infection and increased production of IL- 6 in tissue specimens obtained from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s. Inflamm Bowel Dis 2003; 3:154-61.
3. Wakefield E, AJ, Ekblom A, Dhillon AP, Pittilo RM, Pounder RE. Crohn's disease: pathogenesis and persistent measles virus infection. Gastroenterology 108:911-916, 1995.
4. Toms C, Powrie F. Control of intestinal inflammation by regulatory T cells. Microbes and infection. 2001 ; 3: 929-935.
5. Thorn M. Lymphatic mapping and sentinel node biopsy: is the method applicable to patients with colorectal and gastric cancer? Eur J Surg. 2000; 166: 755-758.
6. Lapidus A, Bernell O, Hellers G, Persson PG, Lofberg R. Incidence of Crohn's disease in Stockholm County 1955-1989. Gut. 1997; 41 : 480-486.
7. Tysk C, Jarnerot G. Ulcerative proctocolitis in Orebro, Sweden. A retrospective epidemiologic study, 1963-1987. Scand J Gastroenterol. 1992; 27: 945-50.
8. Wittig BM, Zeitz M. The gut as an organ of immun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Colorectal Disease. 2002: e-journal.
9. Ekbom A, Helmick C, Zack M, Adami HO. Ulcerative colitis and colorectal cancer. A population-based study. N Engl J Med 1990; 323: 1228-33.
10. Strober W, Kelsall, B. To be responsive or not to be responsive, that is the mucosal question. Gastroenterology 1998; 114: 214-217.
11. Duchmann R, Kaiser I, Hermann E, Mayet W, Ewe K, Meyer-zum- Buschenfelde KH. Tolerance exists towards resident intestinal flora but is broken in active inflammatory bowel disease. Clin Exp Immunol 1995; 102: 448-455.
12. Macdonald TT, Monteleone G, Pender SLF. Recent developments in the immunology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Scan J Immunol. 2000; 51 : 2-9.
13. DeRisi J, Penland L, Brown PO, Bittner ML, Meltzer PS, Ray M, Chen Y, Su YA, Trent JM. Use of a cDNA microarray to analyse gene expression patterns in human cancer. Nat Genet. 1996 14(4):457-60.

Claims (23)

  1. 환자에서 활성 IBD와 비활성 IBD를 구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질병에 걸린 것으로 의심되는, 장관 점막, 특히 말단 회장 또는 결장 점막의 생검 샘플, 또는 상기 위장 점막으로부터 배액되는 전초 림프절의 생검 샘플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샘플로부터 단일 세포 현탁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일 세포 현탁물을 대상으로 CD4+ T 헬퍼 세포 상에서의 염증 활성화 마커인 CD69의 발현을 직접 표지된 형광 CD69 항체를 이용하여 분석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측정된 CD69를 발현하는 T 헬퍼 세포의 수를 건강한 개체의 장 조직으로부터 수득한 대응되는 단일 세포 현탁물에서 측정한 CD69를 발현하는 T 헬퍼 세포의 수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D69를 발현하는 T 헬퍼 세포의 유의한 수적 증가는 활성 IBD의 존재를 의미하고, T 헬퍼 세포의 유의한 수준 미만의 증가는 비활성 IBD의 존재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은 유세포 측정(flow cytometry)에 의한 분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직접 표지된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형광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유의한 증가는 p<0.00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유의한 수준 미만의 증가는 0.03 < p > 0.00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IBD 환자에서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 질환을 구별하는 방법으로서,
    병변성 장 점막 또는 상기 점막으로부터 배액되는 전초 림프절로부터 수득되는 환자 생검 샘플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샘플로부터 단일 세포 현탁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현탁물 또는 그것의 상층물에서, 크론 질환을 의미하는 활성화된 T 헬퍼 세포 타입 1(Th1)에 의해 지시된 면역 활성화에서 생성되는 1종 이상의 사이토카인과 궤양성 대장염을 의미하는 활성화된 T 헬퍼 세포 타입 2(Th2)에 의해 지시된 면역 활성화에서 생성되는 1종 이상의 사이토카인을 측정하는 단계;
    Th1 및 Th2 사이토카인의 양을 명백한 클론 질환 및/또는 궤양성 대장염 환자로부터 확인되는 대응되는 양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T 헬퍼 세포 타입 1에 의해 지시된 면역 활성화에서 생성되는 사이토카인이 IL-12, IFN-γ 및 TNF-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T 헬퍼 세포 타입 2에 의해 지시된 면역 활성화에서 생성되는 사이토카인이 IL-4 및 IL-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샘플에서 크론 질환의 마커로서 IgG1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물에서 IL-12, IFN-γ 및 TNF-α 중 임의의 것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물에서 IL-4 및 IL-5 중 임의의 것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환자에서 크론 질환의 존재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질병에 걸린 것으로 의심되는, 장관 점막, 특히 원위 회장 또는 결장 점막의 생검 샘플, 또는 상기 위장 점막으로부터 배액되는 전초 림프절의 생검 샘플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샘플로부터 단일 세포 현탁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세포 현탁물로부터 mRNA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한 mRNA를 대상으로, CD69, Tbet, IFN-γ 및 TIM-3 중 2종 이상에 대한 mRNA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 결과를, 건강한 개체로부터 상응하게 분리한 mRNA에서 CD69, Tbet, IFN-γ 및 TIM-3 중 대응하는 2종 이상에 대한 mRNA 분석 결과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환자 mRNA 샘플에서 CD69, Tbet, IFN-γ 및 TIM-3 중 2종 이상의 mRNA가 상향-조절되는 것은 크론 질환의 존재를 의미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크론 질환의 단계를 구분하거나 또는 크론 질환에서 치료를 모니터링하는데 있어서의 제13항의 방법의 용도.
  15. 환자에서 궤양성 대장염의 존재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질병에 걸린 것으로 의심되는, 장관 점막, 특히 원위 회장 또는 결장 점막의 생검 샘플, 또는 상기 위장 점막으로부터 배액되는 전초 림프절의 생검 샘플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샘플로부터 단일 세포 현탁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세포 현탁물로부터 mRNA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한 mRNA를 대상으로, CD69, GATA-3, IL-4 및 IL-5 2종 이상에 대한 mRNA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 결과는, 건강한 개체로부터 상응하게 분리한 mRNA에서 CD69, GATA-3, IL-4 및 IL-5 중 대응하는 2종 이상에 대한 mRNA 분석 결과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환자 mRNA 샘플에서 CD69, GATA-3, IL-4 및 IL-5 중 2종 이상의 mRNA가 상향-조절되는 것은 궤양성 대장염의 존재를 의미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궤양성 대장염의 단계를 구분하거나 또는 궤양성 대장염에서 치료를 모니터링하는데 있어서의 제15항의 방법의 용도.
  17. 환자의 크론 질환 단계를 규정하기 위한 마커로서의, 상기 환자의 생검 샘플에서 Tbet 발현의 용도.
  18. 환자의 크론 질환을 활성 및 비활성 단계로 구별하기 위한 마커로서의, 상기 환자의 생검 샘플에서 Tbet 발현의 용도.
  19. 환자의 궤양성 대장염을 활성 및 비활성 단계로 구별하기 위한 마커로서의, 상기 환자의 생검 샘플에서 GATA-3 발현의 용도.
  20. IBD 환자로부터 수득한 CD4+ T 헬퍼 세포에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발현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BD 환자의 스테로이드 치료에 대한 감수성을 결정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발현을, IBD 환자, 스테로이드 치료에 대한 반응 IBD 환자 그룹, 또는 스테로이드 치료에 대한 무반응 IBD 환자 그룹에서의 대응되는 발현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IBD 환자에서 측정된 발현이, 무반응 IBD 환자 그룹에서의 평균 발현율에 대해 50% 증가하는 것은, 상기 환자에서의 스테로이드 치료에 대한 감수성이 80% 이상임을 의미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무반응 IBD 환자 그룹을 선택하는 유일한 기준은 스테로이드 치료에 대한 이들 환자의 무반응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07004671A 2007-08-02 2008-07-29 염증성 장 질환의 진단, 단계 구분 및 모니터링 방법 KR201000630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701807-0 2007-08-02
SE0701807 2007-08-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052A true KR20100063052A (ko) 2010-06-10

Family

ID=40305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671A KR20100063052A (ko) 2007-08-02 2008-07-29 염증성 장 질환의 진단, 단계 구분 및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10081649A1 (ko)
EP (1) EP2185936A4 (ko)
JP (1) JP2010535336A (ko)
KR (1) KR20100063052A (ko)
CN (1) CN101815945A (ko)
AU (1) AU2008283077A1 (ko)
CA (1) CA2695360A1 (ko)
EA (1) EA201000131A1 (ko)
WO (1) WO2009017444A2 (ko)
ZA (1) ZA2010014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65328A1 (en) 2005-08-31 2010-10-28 Ith Immune Therapy Holdings Ab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ES2809171T3 (es) 2008-01-18 2021-03-03 Harvard College Métodos para detectar distintivos de enfermedades o afecciones en fluidos corporales
WO2011127351A1 (en) * 2010-04-09 2011-10-13 Exagen Diagnostics, Inc. Biomarkers for ulcerative colitis and crohn's disease
JP5837761B2 (ja) * 2010-05-12 2015-12-24 イーエヌ大塚製薬株式会社 クローン病の活動性の分類
CN103124795A (zh) 2010-07-23 2013-05-29 哈佛大学校长及研究员协会 利用吞噬细胞检测疾病或病症的方法
CA2806304A1 (en) 2010-07-23 2012-01-26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Methods of detecting prenatal or pregnancy-related diseases or conditions
SG10201505723UA (en) 2010-07-23 2015-09-29 Harvard College Methods for detecting signatures of disease or conditions in bodily fluids
AU2011280997A1 (en) 2010-07-23 2013-02-28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Methods of detecting autoimmune or immune-related diseases or conditions
IT1406051B1 (it) * 2010-08-05 2014-02-06 D M G Italia S R L Uso di hmgb1 come marcatore biologico di infiammazione intestinale umana, metodo non invasivo per la sua rilevazione in campioni fecali e kit relativo.
AU2013261162A1 (en) * 2012-05-18 2014-12-04 Igr-Institut Gustave Roussy Characterization of biological tissues at a cellular level using red and far-red fluorescent dyes
GB201223223D0 (en) 2012-12-21 2013-02-06 Norinnova Technology Transfer As Inflammatory bowel disease
WO2014164366A1 (en) 2013-03-09 2014-10-09 Harry Stylli Methods of detecting cancer
EP2965086A4 (en) 2013-03-09 2017-02-08 Harry Stylli Methods of detecting prostate cancer
WO2015175861A1 (en) * 2014-05-16 2015-11-19 Amgen Inc. Assay for detecting th1 and th2 cell populations
EP3693742B1 (en) 2014-09-11 2022-04-06 Harry Stylli Methods of detecting prostate canc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6670B2 (en) * 2000-08-15 2004-06-08 Schering Corporation Regulatory T cells; methods
FR2824567B1 (fr) * 2001-05-11 2003-08-08 Inst Nat Sante Rech Med Procede d'obtention de lymphocytes tr1 regulateurs specifiques d'antigene
JP4395070B2 (ja) * 2002-06-25 2010-01-06 インデックス・ダイアグノスティックス・アクチエボラーグ 潰瘍性大腸炎を診断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キット
WO2005009339A2 (en) * 2003-05-30 2005-02-03 Pathway Diagnostics Corporation, Inc. (a Delaware Corporation) Inflammatory bowel diseases
US8449489B2 (en) * 2006-05-12 2013-05-28 Ith Immune Therapy Holdings Ab Method and means f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CN101899587B (zh) * 2006-07-21 2012-07-04 株式会社神户制钢所 电气电子零件用铜合金板
US7877602B2 (en) * 2007-07-27 2011-01-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nsparent aware data transformation at file system level for efficient encryption and integrity validation of network fi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8283077A1 (en) 2009-02-05
ZA201001486B (en) 2013-05-29
JP2010535336A (ja) 2010-11-18
CA2695360A1 (en) 2009-02-05
WO2009017444A3 (en) 2009-03-19
EP2185936A4 (en) 2010-08-04
WO2009017444A2 (en) 2009-02-05
CN101815945A (zh) 2010-08-25
EP2185936A2 (en) 2010-05-19
US20110081649A1 (en) 2011-04-07
EA201000131A1 (ru) 2010-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3052A (ko) 염증성 장 질환의 진단, 단계 구분 및 모니터링 방법
Deane et al. The natural history of rheumatoid arthritis
Setty et al. Distinct and synergistic contributions of epithelial stress and adaptive immunity to functions of intraepithelial killer cells and active celiac disease
Malíčková et al. Fecal zonulin is elevated in Crohn’s disease and in cigarette smokers
Olsen et al. TNF-alpha gene expression in colorectal mucosa as a predictor of remission after induction therapy with infliximab in ulcerative colitis
AU2011287193B2 (en) Use of HMGB1 as a biological marker of bowel inflammatory conditions, non-invasive method for its detection in fecal samples and kit thereof
Luckschander et al. Activation of nuclear factor-κB in dogs with chronic enteropathies
Hatemi et al. One year in review 2017: Behçet’s syndrome
EP2705154A1 (en) Fecal lactoferrin as a biomarker for determining disease severity and for monitoring infection in patients with clostridium difficile disease
Kadijani et al. Transmembrane TNF-α density, but not soluble TNF-α level, is associated with primary response to infliximab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Ly et al. Exploring the imbalance of circulating follicular helper CD4+ T cells in sarcoidosis patients
Sicherer et al. Advances in allergic skin disease, anaphylaxis, and hypersensitivity reactions to foods, drugs, and insects in 2009
US20130052640A1 (en) Clostridium difficile dehydrogenase and toxin as a biomarker for monitoring infection in patients with clostridium difficile disease and differentiating carrier state from active disease
Vatansever et al. Effects of mucosal TNF-alpha levels on treatment response in Crohn’s disease patients receiving anti-TNF treatment
Han Intestinal permeability as a clinical surrogate endpoint in the development of future Crohn's disease therapies
Gazim et al. Fecal calprotectin levels in acute anterior uveitis in patients with spondyloarthritis
Sherif et al. CXC ligand 13 in rheumatoid arthritis and its relation to secondary Sjögren’s syndrome
Dumortier et al. Non-invasive diagnosis and follow-up in liver transplantation
Prato et al. Evaluation of the SsIR/NIE recombinant antigen ELISA for the follow up of patients infected by Strongyloides stercoralis: a diagnostic study
Herman et al. Is mean platelet volume a good predictor of sustained response to one year infliximab therapy in pediatric patients with Crohn’s disease?
Mosayebi et al. Is CD19 an immunological diagnostic marker for acute appendicitis?
Lundström et al. Faecal biomarkers of neutrophil and eosinophil origin reflect the response to biological therapy and corticosteroids in patients with IBD
Adiwinata et al. Immune Checkpoint Inhibitor Colitis, a Rising Issue in Targeted Cancer Therapy Era: A Literature Review
Rusonienė et al. Proinflammatory S100 proteins as clinical markers of juvenile idiopathic arthritis
Baer Identification of Crohn’s disease immunopathoty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