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2739A - 문자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2739A
KR20100062739A KR1020080121508A KR20080121508A KR20100062739A KR 20100062739 A KR20100062739 A KR 20100062739A KR 1020080121508 A KR1020080121508 A KR 1020080121508A KR 20080121508 A KR20080121508 A KR 20080121508A KR 20100062739 A KR20100062739 A KR 20100062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nant
button
vowel
consonant button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1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7744B1 (ko
Inventor
김연수
Original Assignee
김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수 filed Critical 김연수
Priority to KR1020080121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744B1/ko
Publication of KR20100062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4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witches oper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서로 다른 자음을 나타내는 둘 이상의 자음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 눌림이 감지되면 해당 자음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자음버튼의 눌림 상태에서 밀림이 감지되면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되, 밀림 횟수에 따라 상기 모음그룹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을 이용하면, 자음버튼 조작만으로 자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지는 음절을 입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튼을 누르는 횟수를 최소화시킴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문자, 입력, 자음, 모음, 키패드, 터치스크린, 밀기, 밀림

Description

문자 입력 방법{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본 발명은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음버튼에 대해 밀기 방식으로 모음을 선택하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
모바일이나 PDA, PC 등에 있어서 한글을 입력할 경우, 통상적으로 컴퓨터의 키보드나 모바일의 키패드를 통해 입력한다.
모바일이나 PDA 등에 있어서 한글을 입력할 경우 통상적으로 별도의 키패드를 사용하거나 터치식 모바일의 경우 디스플레이에 나타난 자모음 입력키를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으로 터치하여 한글을 입력한다.
예컨대, PC의 키보드를 통해 입력할 경우, 키보드의 왼편에 자음을, 오른편에 모음을 배치시켜, 왼손으로 자음을 입력하게 하고 오른손으로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취한다. 모바일이나 PDA의 경우, 모바일 키패드의 한쪽에 모음 버튼을 배치시키고 다른 쪽에 자음버튼을 배치시켜 단어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그런데, PC의 경우에는 별도의 키보드로 양손 모든 손가락으로 사용하여 손쉽게 단어 입력 가능하지만, 모바일이나 PDA의 경우는 양손 엄지나 검지만으로 일일이 키패드의 한정된 자판을 찾아 입력하거나, 터치스크린의 경우도 한 손가락이나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쥐고 소형 사이즈의 한정된 자판을 통해 한글 자모음을 각각 별도로 선택하여 입력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즉, 자음버튼과 모음버튼을 선택하여 음절을 만들어가면서 단어를 입력해야 하므로, 입력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그 어려움이 한층 가중된다. 특히, 자음버튼과 모음버튼의 위치를 정확하게 암기하지 못하는 사용자는 문자입력에 매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자음버튼 조작만으로 자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지는 음절을 입력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문자입력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서로 다른 자음을 나타내는 둘 이상의 자음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 눌림이 감지되면 해당 자음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자음버튼의 눌림 상태에서 밀림이 감지되면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되, 밀림 횟수에 따라 상기 모음그룹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서로 다른 자음을 나타내는 둘 이상의 자음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 눌림이 감지되면 해당 자음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자음버튼의 눌림 상태에서 밀림이 감지되면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되, 밀림이 유지되는 시간에 따라 상기 모음그룹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서로 다른 자음을 나타내는 둘 이상의 자음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 눌림이 감지되면 해당 자음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자음버튼의 눌림 상태에서 상, 하, 좌, 우, 좌상, 우상, 좌하, 우하 방향으로의 밀림이 감지되면, 밀림 방향별로 다른 모음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서로 다른 자음을 나타내는 둘 이상의 자음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 밀림이 감지되면 밀림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모음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자음버튼에 해당하는 자음과 선택된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음이 선택되는 단계는,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되,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 횟수에 따라 상기 모음그룹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모음이 선택되는 단계는,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되,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이 지속되는 시간에 따라 상기 모음그룹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자음버튼 이외에 모음획 추가버튼을 더 구비하며, 상기 모음획 추가버튼의 눌림 또는 밀림이 있으면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된 음절의 모음에 모음획을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음버튼이 상향으로 밀리면 'ㅗ,ㅛ'를 포함하는 제1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자음버튼이 하향으로 밀리면 'ㅜ, ㅠ'를 포함하는 제2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자음버튼이 좌향으로 밀리면 'ㅓ, ㅕ, ㅔ, ㅖ'를 포함하는 제3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자음버튼이 우향으로 밀리면'ㅏ, ㅑ, ㅐ, ㅒ'를 포함하는 제4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며, 상기 자음버튼이 우상향으로 밀리면 'ㅘ, ㅙ'를 포함한 제5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자음버튼이 좌하향으로 밀리면 'ㅝ, ㅞ'를 포함한 제6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자음버튼은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며,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은, 상기 터치패드에 접촉된 접촉수단이 상기 터치패드상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일측 밀림방향으로 상기 터치패드에 가하는 압력에 의해 감지되거나, 상기 터치패드에 접촉된 접촉수단이 상기 터치패드 상의 이동궤적을 통해 감지된다.
상기 자음버튼은 영어입력 모드로의 전환 시 각각 다른 둘 이상의 알파벳이 할당되도록 구성되며, 영어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자음버튼의 눌림이 감지되거나 상기 자음버튼의 어느 일측으로의 밀림이 감지되었을 때, 눌림 및 밀림 방향에 따라 할당된 알파벳 중 서로 다른 알파벳이 선택되어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밀림 방향별로 다른 자음그룹이 선택되도록 구성된 자음버튼의 밀림이 감지되면,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자음그룹 중 하 나의 자음이 선택되되, 밀림 횟수에 따라 상기 자음그룹에 포함되는 자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어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밀림 방향별로 다른 모음그룹이 선택되도록 구성된 모음버튼의 밀림이 감지되면,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되, 밀림 횟수에 따라 상기 모음그룹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어 상기 선택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자음버튼은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며, 상기 접촉수단이 상기 터치패드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일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접촉수단이 최초 이동 방향으로 몇 회 이동하였는지를 감지하여, 이를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횟수로 인지한다.
상기 자음버튼은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며, 상기 접촉수단은 상기 터치패드 상에서의 이동과 이격이 반복되되, 이격 시간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접촉수단의 이동횟수를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횟수로 인지한다.
상기 자음버튼은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며, 제1 자음버튼의 밀림동작이 이웃하는 제2 자음버튼까지 연장될 때, 상기 제2 자음버튼의 밀림은 감지되지 아니하고 상기 제1 자음버튼의 밀림만이 감지된다.
상기 자음버튼은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며, 제1 자음버튼의 밀림동작이 이웃하는 제2 자음버튼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2 자음버튼의 눌림동작으로 연결될 때, 상기 제2 자음버튼의 눌림은 상기 제1 자음버튼의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음절의 받침문자로 감지된다.
상기 자음버튼은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며, 제1 자음버튼의 밀림동작이 중간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자음버튼을 지나 제3 자음버튼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3 자음버튼의 눌림동작으로 연결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자음버튼의 눌림 및 밀림은 감지되지 아니하고 상기 제3 자음버튼의 눌림은 제1 자음버튼의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음절의 받침문자로 감지된다.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을 이용하면, 자음버튼 조작만으로 자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지는 음절을 입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튼을 누르는 횟수를 최소화시킴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키패드배열을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에 따라 자음버튼을 네 방향으로 조작하였을 때 입력되는 음절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음버튼은 없고 자음버튼만이 있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 즉,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는 음절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자음을 나타내는 둘 이상의 자음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 눌림이 감지되면(S11), 해당 자음이 선택된다(S12). 이때, 선택된 자음은 자음버튼 눌림이 감지되는 즉시 문자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거나 자음버튼의 눌림이 해제되었을 때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이후 설명할 '모음 선택(S15) 단계'이후 선택된 모음과 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자음버튼의 눌림 상태에서 밀림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하여(S13),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이 감지되면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된다(S14). 즉, 상기 자음버튼은 상향으로 밀리는 경우 'ㅗ, ㅛ, ㅚ, ㅘ, ㅙ'를 포함하는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자음버튼이 우측으로 밀리는 경우 'ㅏ, ㅑ, ㅐ, ㅒ, ㅢ'를 포함하는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며, 상기 자음버튼이 하측으로 밀리는 경우 'ㅜ, ㅠ, ㅟ, ㅝ, ㅞ, ㅡ'를 포함하는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자음버튼이 좌측으로 밀리는 경우 'ㅓ, ㅕ, ㅔ, ㅖ, ㅣ'를 포함하는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된다. 이때, 상기 자음버튼이 밀림에 따라 선택되는 모음은 상기 자음버튼이 밀리는 횟수에 따라 교번으로 선택된다(S15).
이와 같이 자음버튼의 누름과 밀림에 의해 자음과 모음이 각각 선택되면, 선택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서 문자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된다(S16).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음버튼이 눌러진 후 상측으로 1회 밀리면, 'ㄴ'자음과 'ㅗ'모음이 결합되어 '노'라는 음절이 문자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며, 'ㄴ'자음버튼이 눌러진 후 좌측으로 3회 밀리면, 'ㄴ'자음과 'ㅔ'모음이 결합되어 '네'라는 음절이 문자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자음버튼의 밀림을 감지하는 단계(S13)에서 자음버튼의 밀림이 일정시간 이내에 감지되지 아니하거나 또 다른 자음버튼의 눌림이 감지되면, 자음만이 문자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된 상태로 문자입력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을 이용하면, 자음버튼과 모음버튼을 각각 구분하여 사용하지 아니하고 자음버튼만을 조작함으로써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문자입력이 매우 용이해지고, 보다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키패드에 모음버튼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키패드 구성을 자음 버튼 위주로 보다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에 따라 자음버튼을 여덟 방향으로 조작 하였을 때 입력되는 음절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3에서는 자음버튼이 상, 하, 좌, 우 네 방향으로 밀림으로써 서로 다른 모음이 선택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상기 자음버튼이 상, 하, 좌, 우 뿐만 아니라 각 대각선 방향(좌상향, 우상향, 좌하향, 우하향)으로 밀림으로써 서로 다른 모음이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음버튼이 상향으로 밀리면 'ㅗ,ㅛ'를 포함하는 제1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자음버튼이 하향으로 밀리면 'ㅜ, ㅠ'를 포함하는 제2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자음버튼이 좌향으로 밀리면 'ㅓ, ㅕ, ㅔ, ㅖ'를 포함하는 제3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자음버튼이 우향으로 밀리면'ㅏ, ㅑ, ㅐ, ㅒ'를 포함하는 제4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며, 상기 자음버튼이 우상향으로 밀리면 자음버튼이 상향으로 밀릴 때 선택되는 'ㅗ'와 자음버튼이 우향으로 밀릴 때 선택되는 'ㅏ, ㅐ'가 각각 결합된'ㅘ, ㅙ'를 포함한 제5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자음버튼이 좌하향으로 밀리면 자음버튼이 하향으로 밀릴 때 선택되는 'ㅜ'와 자음버튼이 좌향으로 밀릴 때 선택되는 'ㅓ, ㅔ'가 각각 결합된 'ㅝ, ㅞ'를 포함한 제6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언급된 이외의 모음 즉, 'ㅚ, ㅡ, ㅣ, ㅢ, ㅟ'은 자음버튼이 좌상향이나 우하향으로 밀릴 때 선택되도록 배열되거나, 상기 제1 모음그룹 내지 제5 모음그룹에 적절하게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자음버튼이 밀리는 방향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 좌, 우 4개의 방향으로만 한정되는 경우에는, 'ㅙ, ㅢ, ㅣ'모음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자음버튼을 5회에 걸쳐 밀어야하고, 'ㅡ'모음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자음버튼을 6회에 걸쳐 밀어야한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음방향이 8개의 방향을 밀리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자음버튼을 최대 4회에 걸쳐 미는 조작만으로 모든 모음을 선택할 수 있다. 더욱이, 8개 각 방향으로 3개의 모음을 각각 배열하는 경우 상기 자음버튼을 최대 3회에 걸쳐 미는 조작만으로 모든 모음을 선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의 제2 실시예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 제2 실시예에 따라 자음버튼을 네 방향으로 조작하였을 때 입력되는 음절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자음버튼의 밀림 방향에 따라 선택된 모음그룹 중 모음이 하나씩 선택되는 조건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자음버튼의 밀림 횟수가 아니라 자음버튼의 밀림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자음을 나타내는 둘 이상의 자음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 눌림이 감지되면(S21) 해당 자음이 문자입력창에 선택되고(S22), 상기 자음버튼의 눌림 상태에서 밀림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하여(S23), 자음버튼의 밀림이 감지되는 경우 자음버튼의 밀림 방향에 따라 각기 다른 모음그룹이 선택된다(S24).
이때,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이 유지되는 시간에 따라 상기 모음그룹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고(S25), 선택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지는 음절이 문자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된다(S26).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음버튼을 상향으로 미는 시점에는 'ㅗ'모음이 선택되어 '노'라는 음절이 단어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고, 'ㄴ'자음버튼의 밀림이 0.5초 이상 유지되면 'ㅛ'모음이 선택되어 '뇨'라는 음절이 단어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며, 'ㄴ'자음버튼의 밀림이 1.0초 이상 유지되면 'ㅚ'모음이 선택되어 '뇌'라는 음절이 단어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음버튼의 밀림이 유지될 때 0.5초 주기로 선택모음이 변경되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자음버튼의 밀림 유지 시 선택모음이 변경되는 주기는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자음버튼의 밀림 유지시간에 따라 선택모음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방향은 도 4에 도시된 경우처럼 8개의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의 제3 실시예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의 제3 실시예를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키패드배열을 도시하며,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모음버튼을 조작하였을 때 선택되는 모음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에 의해 모음이 선택되었을 때 밀림이 이루어진 자음버튼에 해당하는 자음과 자동으로 결합되도록 즉, 자음버튼의 눌림을 감지하는 단계 없이 자음버튼의 밀림을 감지하는 단계만으로 음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자음을 나타내는 둘 이상의 자음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 밀림이 감지되면(S31),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모음그룹이 선택되고(S32),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 횟수에 따라 상기 모음그룹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된 후(S33), 상기 자음버튼에 해당하는 자음과 선택된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도록(S34)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음이 선택되는 단계는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이 지속되는 시간에 따라 상기 모음그룹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이 감지되었을 때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횟수나 밀림시간에 따라 선택 모음이 변경되도록 구성되지 아니하고,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 방향별로 하나의 모음만이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자음버튼을 미는 방식으로 모음을 선택하는 방법 이외에, 별도의 모음획 추가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선택된 모음에 모음획을 추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모음획 추가버튼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으로 밀릴 때 선택 모음의 상측에 모음획을 추가하고, 우향으로 밀릴 때 세로방향의 모음획을 추가하고, 하향으로 밀릴 때 선택 모음의 하측에 모음획을 추가하고, 좌향으로 밀릴 때 가로방향의 모음획을 추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음획 추가버튼이 구성되는 경우, 'ㄴ'자음버튼을 밀어 'ㅏ'모음을 선택하여 '나'를 단어 입력창에 입력한 이후, 상기 모음획 추가버튼을 오른쪽으로 밀어 'ㅏ'에 세로획을 추가함으로써 상기 단어 입력창에 '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모음획 추가버튼이 밀리는 방향에 따라 추가되는 모음획 배열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음획 추가버튼은, 눌림 횟수에 따라 상측 모음획, 세로방향 모음획, 하측 모음획, 가로방향 모음획이 순차적으로 추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음획 추가버튼을 1회 내지 4회 누름에 따라 상측 모음획, 세로방향 모음획, 하측 모음획, 가로방향 모음획이 추가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ㄴ'자음버튼을 밀어 '나'를 단어 입력창에 입력한 이후, 상기 모음획 추가버튼을 2회 눌러 세로방향 모음획을 추가함으로써 상기 단어 입력창에 '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에 따라 자음버튼을 조작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자음버튼은,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 등 다양한 하드웨어 구조로서 구현할 수 있는데, 이하, 간단히 설명한다.
키패드로 자음 버튼을 구현할 경우, 키패드 내의 각 자음 버튼이 누름 감지뿐만 아니라 밀림 감지도 가능한 하드웨어 구조를 가져야 한다. 즉, 하나의 자음 버튼마다 누름 버튼 구조를 기본적으로 하되, 상측, 하측, 좌측, 우측의 측면 밀림이 가능하며 버튼의 대향 측변 접촉을 통해 밀림을 감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누름 및 밀림 감지의 버튼 구조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한국등록특허 10-0829660호의 "전자제품용 버튼 구조"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즉, "전자제품용 버튼 구조"의 등록 특허에서의 버튼을 본 발명에서의 각각의 하나의 자음 버튼별로 구현함으로써, 각 자음 버튼에서 눌림 및 밀림을 각각 감지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자음 버튼을 구현할 경우에는, 터치패드에 구현되는 각 자음 버튼마다 촉각센서(tactile sensor) 방식을 적용하여 구현한다. 상기 촉각센서는 하나의 센서로 상측,하측,좌측,우측,눌림이라는 5 방향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촉각센서를 터치패드 상의 각 자음 버튼에 구비하여, 터치패드 상의 각 자음 버튼에 닿는 사람 손가락의 밀림을 감지할 수 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 따르면, 현재 이러한 촉각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의 개발이 완료되어 있으며, 사람의 손가락에 의해 눌러지는 힘 분포를 감지하여 밀림의 방향을 알 수 있다.
상기 자음버튼이 일반적인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은 상기 터치패드에 접촉된 접촉수단이 상기 터치패드상의 위치가 고 정된 상태에서 일측 밀림방향으로 상기 터치패드에 가하는 압력에 의해 감지되거나, 상기 터치패드에 접촉된 접촉수단이 상기 터치패드 상의 이동궤적을 통해 감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으로 터치패드 형식의 자음버튼을 조작하는 경우, 상기 자음버튼 상에서 손가락을 이동하지 아니하고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것만으로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이 감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으로 터치패드 형식의 자음버튼을 조작하는 경우, 스타일러스 펜을 자음버튼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 하, 좌, 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이 감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 자음버튼의 밀림횟수를 증가시키고자 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상기 자음버튼에 접촉시킨 상태로 일방향으로 왕복시키는 방법과,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일측으로 이동시킨 후 자음버튼에서 떼어내는 조작을 반복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상기 터치패드에 접촉시킨 상태로 왕복 이동하는 방법을 이용할 때에는, 상기 접촉수단이 최초 이동 방향으로 몇 회 이동하였는지를 감지하여, 이를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횟수로 인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상향 이동 -> 하향 이동 -> 상향 이동 하는 경우, 해당 자음버튼은 최초의 상향 이동과 최후의 상향 이동에 따른 상향 밀림만이 2회 감지되고, 중간의 하향 이동은 하향 밀림으로 감지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터치패드 상에서의 이동과 이격을 반복하는 방법을 이용할 때에는, 반복되는 이동이 빠르게 이루어지는 경우 즉, 이격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접촉수단의 이동횟수를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횟수로 인지한다. 반대로, 스타일러스 펜이 상기 터치패드 상에서 이격된 시간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반복되는 이동이 각각 별개로 인식된다. 예를 들어 'ㄴ'자음버튼을 우측으로 미는 2번의 동작이 기준치 이상의 시간차를 두어 이루어지는 경우, 'ㄴ'자음버튼을 1번씩 미는 문자입력이 각각 별개로 인식되는바, '냐'문자가 입력되는 것이 아니라 '나'문자가 2번 입력된다.
또한 상기 자음버튼이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는 경우, 제1 자음버튼의 밀림동작이 이웃하는 제2 자음버튼까지 연장되더라도, 상기 제2 자음버튼의 밀림은 감지되지 아니하고 상기 제1 자음버튼의 밀림만이 감지된다. 이는, 사용자가 실수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해당 자음버튼을 벗어나도록 너무 멀리까지 이동시키는 경우 문자입력 오류가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을 'ㄴ'자음버튼에 접촉시킨 상태로 하향 이동시키다가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ㅁ'자음버튼에 접촉되더라도, 'ㅁ'자음버튼과 연관된 문자는 입력되지 아니하게 된다.
자음버튼 밀기 방식이 이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자음버튼이 작게 제작되더라도 사용자는 문자입력 오류의 우려 없이 보다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자음버튼이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는 경우, 제1 자음버튼의 밀림동작이 이웃하는 제2 자음버튼까지 연장되어 제2 자음버튼의 눌림동작으로 연결될 때, 상기 제2 자음버튼의 눌림은 상기 제1 자음버튼의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음절의 받침문자로 결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ㄴ'자음버튼에 접촉시킨 상태로 하향 이동하여 'ㅁ'자음버튼 위치에서 자음버튼을 누를 경우, 'ㄴ + ㅜ = 누'음절과 'ㅁ' 음절이 받침문자로 결합되어 '눔'이라는 음절이 입력된다.
또한 상기 자음버튼이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는 경우, 제1 자음버튼의 밀림동작이 중간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자음버튼을 지나 제3 자음버튼까지 연장되어 제3 자음버튼의 눌림동작으로 연결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자음버튼의 눌림 및 밀림은 감지되지 아니하고 상기 제3 자음버튼의 눌림은 제1 자음버튼의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음절의 받침문자로 결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ㄴ'자음버튼에 접촉시킨 상태로 하향 이동하여 'ㅁ'자음버튼을 지나 'ㅇ' 자음버튼 위치에서 상기 자음버튼을 누를 경우, 'ㄴ + ㅜ = 누'음절과 'ㅇ' 음절이 받침문자로 결합되어 '눙'이라는 음절이 입력된다. 이 경우 중간에 경유된 'ㅁ'자음버튼은 감지되지 아니한다.
자음버튼 밀기 방식이 이와 같이 구성되면 한 번의 조작으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음절에 받침문자까지 간단히 입력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 방법에 익숙한 사용자는 보다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자음버튼 및 모음버튼을 조작하였을 때 선택되는 자음 및 모음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은, 밀림 방향별로 다른 자음그룹이 선택되도록 구성된 하나의 자음버튼으로 모든 자음을 선택할 수 있고, 밀림 방향별로 다른 모음그룹이 선택되도록 구성된 하나의 모음버튼으로 모든 모음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자음버튼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및 상하 방향과 각 대각선 방향으로 밀렸을 때 서로 다른 자음을 포함하도록 설정된 자음그룹이 선택되되, 밀림 횟수에 따라 상기 자음그룹에 포함되는 자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어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상기 모음버튼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및 상하 방향과 각 대각선 방향으로 밀렸을 때 서로 다른 모음을 포함하도록 설정된 자음그룹이 선택되되, 밀림 횟수에 따라 상기 모음그룹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된 후 상기 선택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자음버튼을 상향으로 2번 밀면 'ㅋ'이 선택되어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모음버튼을 하향으로 2번 밀면 'ㅠ'가 선택된 후 상기 'ㅋ'과 결합되어 '큐'라는 음절이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같은 방식의 문자입력방법을 이용하면, 하나의 자음버튼과 하나의 모음버튼으로 모든 종류의 음절을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키패드를 이용할 때와 같이 다수의 자음버튼 중 원하는 자음버튼을 일일이 찾을 필요가 없으므로, 보다 간편하고 빠르게 단어를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알파벳을 입력하기 위한 버튼 조작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을 이용하여 알파벳을 입력할 수도 있다.
알파벳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자음버튼은 영어입력 모드로의 전환 시 각각 다른 둘 이상의 알파벳이 할당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자음버튼에 둘 이상의 알파벳이 할당되는 구성은 종래의 키패드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알파벳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문자입력 모드를 영어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영어입력 모드로 문자입력 모드가 전환된 이후 상기 자음버튼의 눌림이 감지되거나 상기 자음버튼의 어느 일측으로의 밀림이 감지되면, 눌림 및 밀림 방향에 따라 할당된 알파벳 중 서로 다른 알파벳이 선택되어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음버튼에 A, B, C 알파벳이 할당될 경우, 상기 자음버튼의 눌림이 감지되면 A가 선택되고, 좌향으로 밀리면 B가 선택되며, 우향으로 밀리면 C가 선택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자음버튼이 이와 같이 설정되면, 사용자는 원하는 알파벳을 선택하기 위해 자음버튼을 여러 번 누를 필요가 없으므로,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자음버튼의 눌림이 감지되면 A, B, C 중 가운데 알파벳인 B가 선택되게 하고 우향으로 밀리면 A가, 좌향으로 밀리면 B가 선택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설정은 알파벳의 사용 빈도수 및 사용상의 편의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키패드배열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에 따라 자음버튼을 네 방향으로 조작하였을 때 입력되는 음절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에 따라 자음버튼을 여덟 방향으로 조작하였을 때 입력되는 음절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의 제2 실시예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 제2 실시예에 따라 자음버튼을 네 방향으로 조작하였을 때 입력되는 음절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의 제3 실시예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의 제3 실시예를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키패드배열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모음버튼을 조작하였을 때 선택되는 모음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에 따라 자음버튼을 조작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자음버튼 및 모음버튼을 조작하였을 때 선택되는 자음 및 모음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 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문자입력방법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알파벳을 입력하기 위한 버튼 조작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Claims (16)

  1. 서로 다른 자음을 나타내는 둘 이상의 자음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 눌림이 감지되면 해당 자음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자음버튼의 눌림 상태에서 밀림이 감지되면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되, 밀림 횟수에 따라 상기 모음그룹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2. 서로 다른 자음을 나타내는 둘 이상의 자음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 눌림이 감지되면 해당 자음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자음버튼의 눌림 상태에서 밀림이 감지되면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되, 밀림이 유지되는 시간에 따라 상기 모음그룹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3. 서로 다른 자음을 나타내는 둘 이상의 자음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 눌림이 감지되면 해당 자음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자음버튼의 눌림 상태에서 상, 하, 좌, 우, 좌상, 우상, 좌하, 우하 방향으로의 밀림이 감지되면, 밀림 방향별로 다른 모음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4. 서로 다른 자음을 나타내는 둘 이상의 자음버튼 중 어느 하나의 자음버튼 밀림이 감지되면 밀림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모음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자음버튼에 해당하는 자음과 선택된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이 선택되는 단계는,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되,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 횟수에 따라 상기 모음그룹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도록 구성되는 문자 입력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이 선택되는 단계는,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되,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이 지속되는 시간에 따라 상기 모음그룹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도록 구성되는 문자 입력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음버튼 이외에 모음획 추가버튼을 더 구비하며, 상기 모음획 추가버튼의 눌림 또는 밀림이 있으면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된 음절의 모음에 모음획을 추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버튼이 상향으로 밀리면 'ㅗ,ㅛ'를 포함하는 제1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자음버튼이 하향으로 밀리면 'ㅜ, ㅠ'를 포함하는 제2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자음버튼이 좌향으로 밀리면 'ㅓ, ㅕ, ㅔ, ㅖ'를 포함하는 제3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자음버튼이 우향으로 밀리면'ㅏ, ㅑ, ㅐ, ㅒ'를 포함하는 제4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며,
    상기 자음버튼이 우상향으로 밀리면 'ㅘ, ㅙ'를 포함한 제5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고, 상기 자음버튼이 좌하향으로 밀리면 'ㅝ, ㅞ'를 포함한 제6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는 문자 입력 방법.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버튼은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며,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은, 상기 터치패드에 접촉된 접촉수단이 상기 터치패드상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일측 밀림방향으로 상기 터치패드에 가하는 압력에 의해 감지되거나, 상기 터치패드에 접촉된 접촉수단이 상기 터치패드 상의 이동궤적을 통해 감지되는 문자 입력 방법.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버튼은 영어입력 모드로의 전환 시 각각 다른 둘 이상의 알파벳이 할당되도록 구성되며,
    영어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자음버튼의 눌림이 감지되거나 상기 자음버튼의 어느 일측으로의 밀림이 감지되었을 때, 눌림 및 밀림 방향에 따라 할당된 알파벳 중 서로 다른 알파벳이 선택되어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11. 밀림 방향별로 다른 자음그룹이 선택되도록 구성된 자음버튼의 밀림이 감지되면,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자음그룹 중 하나의 자음이 선택되되, 밀림 횟수에 따라 상기 자음그룹에 포함되는 자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어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밀림 방향별로 다른 모음그룹이 선택되도록 구성된 모음버튼의 밀림이 감지되면, 밀림 방향별로 다르게 설정된 모음그룹 중 하나의 모음이 선택되되, 밀림 횟수에 따라 상기 모음그룹에 포함되는 모음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 선택되어 상기 선택된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단어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방법.
  12. 제1항, 제5항,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버튼은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며,
    상기 접촉수단이 상기 터치패드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일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접촉수단이 최초 이동 방향으로 몇 회 이동하였는지를 감지하여, 이를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횟수로 인지하는 문자입력방법.
  13. 제1항, 제5항,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버튼은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며,
    상기 접촉수단은 상기 터치패드 상에서의 이동과 이격이 반복되되, 이격 시간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접촉수단의 이동횟수를 상기 자음버튼의 밀림횟수로 인지하는 문자입력방법.
  14.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버튼은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며,
    제1 자음버튼의 밀림동작이 이웃하는 제2 자음버튼까지 연장될 때, 상기 제2 자음버튼의 밀림은 감지되지 아니하고 상기 제1 자음버튼의 밀림만이 감지되는 문자입력방법.
  15.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버튼은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며,
    제1 자음버튼의 밀림동작이 이웃하는 제2 자음버튼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2 자음버튼의 눌림동작으로 연결될 때, 상기 제2 자음버튼의 눌림은 상기 제1 자음버튼의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음절의 받침문자로 감지되는 문자입력방법.
  1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버튼은 터치스크린의 터치패드로 구현되며,
    제1 자음버튼의 밀림동작이 중간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제2 자음버튼을 지나 제3 자음버튼까지 연장되어 제3 자음버튼의 눌림동작으로 연결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자음버튼의 눌림 및 밀림은 감지되지 아니하고 상기 제3 자음버튼의 눌림은 제1 자음버튼의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음절의 받침문자로 감지되는 문자입력방법.
KR1020080121508A 2008-12-02 2008-12-02 문자 입력 방법 KR101017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508A KR101017744B1 (ko) 2008-12-02 2008-12-02 문자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508A KR101017744B1 (ko) 2008-12-02 2008-12-02 문자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739A true KR20100062739A (ko) 2010-06-10
KR101017744B1 KR101017744B1 (ko) 2011-03-02

Family

ID=42362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1508A KR101017744B1 (ko) 2008-12-02 2008-12-02 문자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7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924B1 (ko) * 2010-06-16 2012-04-20 (주)아이티버스 문자 입력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396B1 (ko) * 2003-09-05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0821161B1 (ko) * 2007-02-26 2008-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924B1 (ko) * 2010-06-16 2012-04-20 (주)아이티버스 문자 입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7744B1 (ko) 201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9210B1 (ko) 데이타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방법
KR101063100B1 (ko) 데이터 입력장치
KR101017744B1 (ko) 문자 입력 방법
KR101136924B1 (ko) 문자 입력 방법
KR100893978B1 (ko) 문자 입력 방법
CN102422621A (zh) 字母输入的方法与装置
KR101325653B1 (ko) 분리형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KR102332178B1 (ko) 장애인을 위한 단축 키보드 시스템 및 이의 사용 방법
JP4907296B2 (ja) 入力装置
KR100772282B1 (ko) 문자 입력 장치
KR101263013B1 (ko) 문자 입력 방법
KR102307004B1 (ko) 공용모음버튼이 포함된 모바일장치용 한글 문자판과 이를 이용한 모음 입력 방법
KR101637163B1 (ko) 문자입력장치
KR101483170B1 (ko) 간편 영문 입력 키패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1253645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및 문자입력장치, 문자입력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CN107085500A (zh) 一种触摸键盘
KR20130025306A (ko) 데이터 입력장치
KR101129412B1 (ko) 일본어 문자 입력방법
KR100709309B1 (ko) 한글 자음 입력장치
KR20110085522A (ko) 쌍자음 입력이 용이한 분할 키보드
KR20100101993A (ko) 전면 터치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
CN201327626Y (zh) 具有高度差按键的键盘
JP2007323541A (ja) 5キー入力装置
KR101263273B1 (ko) 간편조합형 키보드
KR20150066204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드래그 방식 문자입력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