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2735A -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2735A
KR20100062735A KR1020080121502A KR20080121502A KR20100062735A KR 20100062735 A KR20100062735 A KR 20100062735A KR 1020080121502 A KR1020080121502 A KR 1020080121502A KR 20080121502 A KR20080121502 A KR 20080121502A KR 20100062735 A KR20100062735 A KR 20100062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t rate
constant speed
walking
test subject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1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0444B1 (ko
Inventor
정경렬
최준호
김사엽
홍규석
형준호
윤효정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21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444B1/ko
Publication of KR20100062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by using sensing means generating electric signals, i.e. ECG signals
    • A61B5/024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by using sensing means generating electric signals, i.e. ECG signals provided with high/low alarm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3Measuring rate of metabolism by using breath test, e.g. measuring rate of oxygen consumption
    • A61B5/0833Measuring rate of oxygen consum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6Evaluating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5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characterised by tactile indication, e.g. vibration or electrical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63B2024/0065Evaluating the fitness, e.g. fitness level or fitness index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Obesit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Card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상 생활 활동중 하나인 걷기를 이용하여, 운동 부하에 대한 구속을 최소화하면서, 보다 신속하고 간단하게 체력을 측정할 수 있는 체력 추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생체 반응 측정부를 통해, 검사 대상자의 운동전 심박수 및 일정 시간 동안의 정속도 걷기 운동후의 심박수를 측정하고, 상기 운동전 심박수 및 정속도 걷기 운동후의 심박수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 대상자의 최대 산소 소모량을 추정한 후, 상기 추정된 최대 산소 소모량을 통해 검사 대상자의 체력을 평가하도록 구현되며, 더하여, 검사 대상자의 정속도 걷기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검사 대상자의 걷기 속도 및 걷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정속도 유지 알람 신호를 검사 대상자의 운동 수행시 제공한다.
체력 측정, 최대 산소 소모량, 심박수, 걷기,

Description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alculating physical strength by using a walking}
본 발명은 검사 대상자의 체력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상생활 활동인 걷기를 통하여 운동 부하에 대한 구속을 최소화하면서 간단하고 신속하게 검사 대상자의 체력 수준을 추정할 수 있는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력은 사람의 신체적인 건강상태를 평가하는 기본 지표이며, 과학적인 운동 처방을 위한 기본 정보로서, 전신지구력(cardiorespiratory), 근력/지구력(muscular strength/endurance), 유연성(flexibility), 신체구성의 4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전신지구력이 핵심이다.
여기서 전신지구력은 폐, 심장, 혈액, 모세혈관 등의 산소 흡수 계, 운반 계나 골격근 조직의 산소 이용 계가 종합적으로 관계하는데, 이러한 전신지구력의 우열은 유산소성 에너지에 의존하는 신체 작업 능력이나 산소 섭취량의 크기에 의해 평가되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전신지구력은 점점 감소하지만 그 주된 요인으로서 연령의 증가 요인 외에도 체지방과 체중의 증가, 근육의 감소, 일상생활의 신체 활동량의 감소, 질병 이환율의 상승 등이 있다.
한편, 기존의 체력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전신 지구력 측정, 운동 부하 검사, 기초 체력 검사등이 있다.
이중에서, 운동 부하 검사 및 기초 체력 검사는, 고가의 다양한 장비를 이용하여, 운동중 심장마비 유부, 혈압, 산소 섭취량, 심박수, 호흡수, 폐활량, 환기량등을 측정하여 검사 대상자의 체력을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비교적 정확한 검사가 가능하지만, 많은 고가의 장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지고, 검사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비하여, 전신 지구력 검사는, 최대 부하로 운동을 수행한 후의 심박수와 체지방을 측정하고, 이로부터 간접적으로 체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상술한 운동 부하 검사나 기초 체력 검사에 비하여 검사 소요 시간이 짧아지고 검사 방법이 단순해지기는 했으나, 이는 검사 대상자가 더 이상 운동을 진행할 수 없을 때까지 운동을 수행한 후에 검사 대상자의 생체 반응을 측정하여 체력을 판단하는 것으로서, 검사 대상자에게 육체적 및 정신적 부담이 클 수 있으며, 여전히 어느 정도의 검사 시간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고령자나 환자의 체력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검사 대상자의 건강이나 안전을 헤칠 수 있기 때문에,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중간 정도의 운동 부하를 통해 최대 산소섭취량을 추정 하는 방법이 일부 제안되어 있으나, 이는 계단을 오르내리거나(Step Test), 앉았다 일어나는 행위(squat Test)의 운동 부하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계단이 있는 곳에서 검사가 이루어져야 하고, 또한 평소에 잘 쓰지 않는 근육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제공하며, 또한 일상생활에 연관된 체력을 측정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일상 생활 활동에 근거하면서, 운동 부하에 대한 구속을 최소화하고 보다 신속하고 간단하게 체력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나 장치가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은, 일상 생활 활동인 걷기를 통해 검사 대상자의 체력을 추정함으로써 기존의 검사 방법에 비하여 운동 부하에 대한 구속을 최소화하면서, 신속하고 간단하게 체력을 측정할 수 있는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방법은, 운동전 심박수를 측정하는 단계; 검사 대상자에 대하여 일정 시간 동안의 정속도 걷기 운동후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운동전 심박수 및 정속도 걷기 운동후의 심박수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 대상자의 최대 산소 소모량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최대 산소 소모량을 통해 검사 대상자의 체력을 평가하고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방법은, 상기 정속도 걷기 운동후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단계이전에, 검사 대상자의 정속도 걷기 운동을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 동안 일정 간격으로 검사 대상자가 인식할 수 있는 정속도 유지 알람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검사 대상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생체 반응 측정부; 상기 생체 반응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운 동전 심박수 및 일정 시간 동안의 정속도 걷기 운동 후의 심박수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 대상자의 최대 산소 소모량을 추정하고, 이를 통해 검사 대상자의 체력을 평가하는 검사 대상자의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추정된 최대 산소 소모량 및 체력 평가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체력 추정 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검사 대상자의 정속도 걷기 운동을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 동안 일정 간격으로 검사 대상자가 인식할 수 있는 정속도 유지 알람 신호를 제공하는 정속도 유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속도 유지 알람 신호는,
Figure 112008083244519-PAT00001
의 주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T는 정속도 유지 알람 신호 제공 주기이고, B는 검사 대상자의 보폭이고, vwalk는 정속도 걷기 운동의 속도로서,
Figure 112008083244519-PAT00002
이고, 상기 vBruce 및 θ는 브루스 프로토콜의 3~4 단계중 어느 한 단계에서 규정된 수평부하(운동 속도) 및 수직부하(기울기)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한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속도 유지 알람 신호는, 비프음 또는 진동 신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상기 최대 산소 소모량은,
Figure 112008083244519-PAT00003
에 의해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학식에서, VO2 max는 최대 산소 소모량이고, HRsat은 정속도 걷기 운동후의 심박수이고, HRR은 HRsat - HRrest이고, %HRR은
Figure 112008083244519-PAT00004
이고, 상기 HRrest는 운동전 심박수이고, BMI는 몸무게/키2[kg/㎡]이고, a~h는 임상 실험 데이터로부터의 도출된 상수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체력 측정 방식과는 운동 부하에 대한 구속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더하여 본 발명은 일상 생활 활동인 간단한 걷기를 통하여 체력을 측정하므로써, 검사 환경이나 검사 대상자의 상태에 제한을 받지 않아 언제 어디서나 체력 측정이 가능하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 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체력 추정 장치는, 검사 대상자의 운동전 심박수 및 일정 시간 동안의 정속도 걷기 운동 후의 심박수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 대상자의 최대 산소 소모량을 추정하고, 이를 통해 검사 대상자의 체력을 평가하는 제어부(11)와, 검사 대상자의 정속도 걷기 운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 동안 일정 간격으로 검사 대상자가 인식할 수 있는 정속도 유지 알람 신호를 제공하는 정속도 유지부(12)와, 검사 대상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생체 반응 측정부(13)와, 상기 제어부에서 추정된 최대 산소 소모량 및 체력을 출력하는 출력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상술한 구성의 체력 추정 장치에 의한 체력 추정 원리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준 운동 부하 상태에서의 심박수로부터 최대 운동 부하에서의 산소 소모량, 즉, 검사 대상자의 최대 산소 소모량(VO2 max)를 추정하고, 상기 최대 산소 소모량을 통해 검사 대상자의 체력을 평가하는 것이며, 이때, 준 부하 운동 상태를 만들기 위하여, 대부분의 사람이 일상 생활 활동인 걷기 운동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검사 대상자를 7.8 Km의 정속도로 짧은 시간 동안(예를 들어, 1~2분) 걷게 한 후에, 심박수를 측정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도 2에 있어서, C1은 검사 대상자의 운동부하 증가에 따른 산소소모량의 변화 곡선을 나타내고, C2는 검사 대상자의 정속도 걷기에 따른 심박수 변화 곡선을 나타낸다. 검사 대상자의 산소 소모량은 운동 부하가 증가할 수록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며, 최대 운동 부하에서 최대 산소 소모량(VO2 max)으로 포화된다.
한편, 검사 대상자에게 정속도 걷기 운동을 수행하면서, 심박수를 측정한 결과, 정속도 걷기 운동이 일정 시간 이상이 되면, 심박수가 포화되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때에 측정되는 심박수 평균값을 HRsat라 한다.
본 출원인은, 다수의 임상 실험을 통하여, 상기 일정 시간 정속도 걷기 운동후의 심박수 HRsat와 최대 산소 소모량(VO2 max) 간에 일정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임상 실험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정속도 걷기 운동후의 심박수 HRsat로부터 최대 산소 소모량을 추정하는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아래의 수학식 1은 본 출원인에 의해 다수의 임상 실험 데이터로부터 도출된 회귀식을 나타낸다.
Figure 112008083244519-PAT00005
상기 수학식 1에서, VO2 max는 최대 산소 소모량이고, HRsat은 정속도 걷기 운동후의 심박수이고, HRR은 HRsat - HRrest이고, %HRR은
Figure 112008083244519-PAT00006
이고, 상기 HRrest는 운동전 심박수이고, BMI는 몸무게/키2[kg/㎡]이고, a~h는 기설정된 상수값으로 정의된 파라메터로서, 임상 실험 데이터로부터 도출된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a는 0.785로, b는 0.535, c는 0.636, d는 1.692, e는 0.28, f는 1.105, g는 0.28, g는 126.97로 설정되었으나, 이는 더 많은 실험 데이터를 적용할 경우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1)는 상술한 수학식 1에 근거하여, 정속도 걷기 운동후의 심박수 HRsat와 운동전 심박수 HRrest로부터 검사 대상자의 최대 산소 소모량(VO2 max)를 추정한다.
더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 정속도 걷기 운동의 부하, 즉, 걷기 속도는, 일반적으로 운동 부하 심전도 검사를 위해 이용되는 브루스 프로토콜(bruce protocol)을 기준으로 설정한다. 더 구체적으로, 최대 부하가 아닌 준 최대 부하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브루스 프로토콜의 3~5 단계에 해당하는 운동 부하가 가해지도록 걷기 속도를 설정한다. 이때, 상기 브루스 프로토콜에서는 점진적으로 속도 및 경사도를 증가시킴에 의해 운동 부하를 증가시키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브루스 프로토콜에서 규정된 수직 부하(즉, 경사도 및 기울기)를 수평 부하로 변환하여 상기 브루스 프로토콜의 규정 속도를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상기 정속도 걷기의 속도는 다음의 수학식 2과 같이 구해진다.
Figure 112008083244519-PAT00007
상기 수학식 2에서, vBruce 및 θ는 브루스 프로토콜의 3~4 단계중 어느 한 단계에서 규정된 수평부하(운동 속도) 및 수직 부하(경사도)이고, vwalk는 본 발명에 의한 체력 추정에서 이용되는 정속도 걷기 운동의 운동 속도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준 부하에서 측정된 심박수로부터 최대 산소 소모량을 추정하는 것이므로, 최대 부하까지 걷기 운동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상기 HRsat를 얻을 수 있을 정도의 시간 동안만 검사 대상자가 걸으면 된다. 본 출원인은 다수의 임상 실험을 통하여, 상기 브루스 프로토콜의 3~5 단계의 운동 부하에 따른 속도로 대략 1~2분 이상 걷기 운동을 한 후에 상기 HRsat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검사 대상자는, 대략 1~2분 동안의 정속도 걷기 운동만으로 자신의 체력을 측정해 볼 수 있으며, 기존의 체력 측정 방법과 같이 최대 부하가 될때까지 오랜 시간 동안 걸을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의한 체력 추정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검사 대상자가 설정된 시간 동안 설정된 속도로 정속도 걷기를 수행하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정속도 유지 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정속도 유지부(12)는 사용자가 인식가능한 정속도 유지 알람 신호를 일정 주기 및 일정 시간 동안 발생시켜, 사용자가 상기 정속도 유지 알람 신호에 동기하여 걷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정속도 유지 알람 신호는 비프음이나 진동과 같이 검사 대상자가 인식가능한 형태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속도 유지부(12)에서 제공되는 정속도 유지 알람 신호의 주기는 상기 수학식 2에서 설정된 설정 속도에 근거하여 설정되며, 이는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8083244519-PAT00008
상기 수학식 3에서, T는 정속도 유지 알람 신호 제공 주기이고, B는 검사 대상자의 보폭이고, vwalk는 설정된 걷기 속도로서, 상기 수학식 2와 같이 정의된다.
상기 정속도 유지부(12)가 상술한 주기 T로 정속도 유지 알람 신호로 출력함으로써, 검사 대상자는 상기 정속도 유지 알람 신호에 동기하여 걷기 운동을 vwalk의 속도로 일정하게 걷기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상기 정속도 걷기 운동의 수행시, 검사 대상자는, 두 팔을 소정 각도로 구부린 후에, 양 팔을 위 아래로 움직이면서 걷는 파워 워킹(power walking)방법으로 걷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보폭이 검사 대상자의 상태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서, 상기 정속도 유지부(12)를 통한 검사 대상자의 운동 속도 제어가 더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체력 추정 장치가, 정속도 제어가 가능한 런닝 머신과 같은 운동 기구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정속도 유지부(12)는 생략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생체 반응 측정부(13)는 검사 대상자의 생체 반응 변화를 측정하는 수단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어부(11)의 제어에 따라서 동작하여 심박수를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14)는 체력 추정 결과를 검사 대상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체력 추정 장치는, 휴대형으로 구현되어 검사 대상자가 장소나 시간에 관계없이 체력 측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도 1의 장치를 통해 이루어지는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한 검사가 시작되면, 먼저, 상기 제어부(11)는, 생체 반응 측정부(13)를 제어하여, 검사 대상자의 운동전 심박수 HRrest를 측정한다(S310).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부(11)는 검사 대상자의 정속도 걷기 운동후의 심박 수 HRsat을 측정하는데, 이에 앞서, 검사 대상자가 정속도 걷기 운동을 수행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정속도 유지 알람 신호를 일정 주기 및 설정 시간 동안 발생시킨다(S320). 여기서, 상기 정속도 유지 알람 신호는, 앞서 설명한 수학식 3에 따라 결정된 주기로 발생된다.
이에, 상기 정속도 유지 알람 신호를 인식한 검사 대상자가 상기 정속도 유지 알람 신호에 맞추어 정속도 걷기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S330).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요구된 시간 동안의 검사 대상자의 정속도 걷기가 완료되면(S340),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생체 반응 측정부(13)를 제어하여, 검사 대상자의 정속도 걷기 운동후의 심박수 HRsat을 획득한다(S350).
그리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에서 측정된 운동전 심박수 HRrest 및 정속도 걷기 운동후의 심박수 HRsat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 대상자의 최대 산소 소모량을 추정한다(S360). 상기 최대 산소 소모량의 추정은 앞서 설명한 수학식 1과 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추정된 최대 산소 소모량을 통하여 검사 대상자의 체력을 간접적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출력부(14)를 통해 출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Claims (10)

  1. 운동전 심박수를 측정하는 단계;
    검사 대상자에 대하여 일정 시간 동안의 정속도 걷기 운동후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운동전 심박수 및 정속도 걷기 운동후의 심박수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 대상자의 최대 산소 소모량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최대 산소 소모량을 통해 검사 대상자의 체력을 평가하고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속도 걷기 운동후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단계이전에,
    검사 대상자의 정속도 걷기 운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 동안 일정 간격으로 검사 대상자가 인식할 수 있는 정속도 유지 알람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속도 유지 알람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는
    Figure 112008083244519-PAT00009
    (여기서, T는 정속도 유지 알람 신호 제공 주기이고, B는 검 사 대상자의 보폭이고, vwalk는 설정된 걷기 속도로서,
    Figure 112008083244519-PAT00010
    이고 vBruce 및 θ는 브루스 프로토콜의 3~4 단계중 어느 한 단계에서 규정된 수평부하(운동 속도) 및 수직부하(기울기)이다.)
    의 주기로 정속도 유지 알람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속도 유지 알람 신호는, 비프음 또는 진동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산소 소모량을 추정하는 단계는,
    Figure 112008083244519-PAT00011
    에 의해 최대 산소 소모량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방법.
    상기 수학식에서, VO2 max는 최대 산소 소모량이고, HRsat은 정속도 걷기 운동 후의 심박수이고, HRR은 HRsat - HRrest이고, %HRR은
    Figure 112008083244519-PAT00012
    이고, 상기 HRrest는 운동전 심박수이고, BMI는 몸무게/키2[kg/㎡]이고, a~h는 임상 실험 데이터를 통한 회귀식 도출시 설정된 상수값으로이다.
  6. 검사 대상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생체 반응 측정부;
    상기 생체 반응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운동전 심박수 및 일정 시간 동안의 정속도 걷기 운동 후의 심박수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 대상자의 최대 산소 소모량을 추정하고, 이를 통해 검사 대상자의 체력을 평가하는 검사 대상자의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추정된 최대 산소 소모량 및 체력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장치.
  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검사 대상자의 정속도 걷기 운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 동안 일정 간격으로 검사 대상자가 인식할 수 있는 정속도 유지 알람 신호를 제공하는 정속도 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속도 유지부는
    Figure 112008083244519-PAT00013
    (여기서, T는 정속도 유지 알람 신호 제공 주기이고, B는 검사 대상자의 보폭이고, vwalk는 설정된 걷기 속도로서,
    Figure 112008083244519-PAT00014
    이고 vBruce 및 θ는 브루스 프로토콜의 3~4 단계중 어느 한 단계에서 규정된 수평부하(운동 속도) 및 수직부하(기울기)이다.)
    의 주기로 정속도 유지 알람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속도 유지부에서 제공하는 정속도 유지 알람 신호는 비프음 또는 진동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Figure 112008083244519-PAT00015
    에 의해 최대 산소 소모량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장치.
    상기 수학식에서, VO2 max는 최대 산소 소모량이고, HRsat은 정속도 걷기 운동후의 심박수이고, HRR은 HRsat - HRrest이고, %HRR은
    Figure 112008083244519-PAT00016
    이고, 상기 HRrest는 운동전 심박수이고, BMI는 몸무게/키2[kg/㎡]이고, a~h는 임상 실험 데이터로부터 회귀식 도출시 설정된 상수값이다.
KR1020080121502A 2008-12-02 2008-12-02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방법 및 장치 KR101030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502A KR101030444B1 (ko) 2008-12-02 2008-12-02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502A KR101030444B1 (ko) 2008-12-02 2008-12-02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735A true KR20100062735A (ko) 2010-06-10
KR101030444B1 KR101030444B1 (ko) 2011-04-25

Family

ID=42362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1502A KR101030444B1 (ko) 2008-12-02 2008-12-02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4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841B1 (ko) * 2013-07-02 2015-03-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Hy-10 rm: 환자의 근력 재활 치료 정보 제공 방법
KR20160126232A (ko) * 2015-04-23 2016-11-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심혈관계 건강상태 및 심폐체력 평가 방법 및 장치
WO2017003045A1 (ko) * 2015-06-29 2017-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기기 및 그의 체력 평가 방법
EP3136269A1 (en) * 2015-08-24 2017-03-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Walking-load-degree calculation apparatus, maximum-oxygen-consumption calcul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738B1 (ko) 2016-04-04 2023-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심폐 체력을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9576B1 (ko) * 2018-03-19 2019-10-0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생체 정보 추정 슈즈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772B1 (ko) * 2003-06-04 2006-01-24 김양수 비접촉 방식의 최대산소섭취량 산출에 의한 체력수준의평가와 맞춤운동 처방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00982B1 (ko) * 2006-08-11 2009-06-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생체 신호 계측을 통한 체력측정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841B1 (ko) * 2013-07-02 2015-03-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Hy-10 rm: 환자의 근력 재활 치료 정보 제공 방법
KR20160126232A (ko) * 2015-04-23 2016-11-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심혈관계 건강상태 및 심폐체력 평가 방법 및 장치
WO2017003045A1 (ko) * 2015-06-29 2017-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기기 및 그의 체력 평가 방법
US10674951B2 (en) * 2015-06-29 2020-06-09 Lg Electronics Inc. Portable device for determining physical strength of a user during exercise
EP3136269A1 (en) * 2015-08-24 2017-03-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Walking-load-degree calculation apparatus, maximum-oxygen-consumption calcul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N106473717A (zh) * 2015-08-24 2017-03-0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步行负担度计算装置、最大摄氧量计算装置、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0444B1 (ko) 2011-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0914B2 (ja) 運動負荷時の生体情報算出システム、生体情報算出方法、及び、携帯情報端末
JP6502361B2 (ja) 人の心血管フィットネスを推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RU2616764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оценки частоты сердечных сокращений во время движения
US8620439B2 (en) Apparatus controlling electrical stimulation and/or health training/monitoring
US7914418B2 (en) Method and apparatus in connection with exercise
US20170056725A1 (en) Walking-load-degree calculation apparatus, maximum-oxygen-consumption calculation apparatus, recording medium, and control method
US20050054938A1 (en) Method and apparatus including altimeter and accelerometers for determining work performed by an individual
KR101030444B1 (ko) 걷기를 이용한 체력 추정 방법 및 장치
US20150327804A1 (en) Exercise system and method
JP3871247B2 (ja) 運動能力の評価が可能な重心検出装置
JP2017158999A (ja) 最大酸素消費をリアルタイムに監視する監視方法
JP5633001B2 (ja) 筋肉評価装置、筋肉の性能及び/又はトレーニングメニューの判定方法
JP2018513722A (ja) バイタルサイン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JP2009148372A (ja) ストレス判定システムおよびストレス改善システム
EP3391809A1 (en) Fitness level predi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JP2004358229A (ja) 身体運動解析装置および身体運動解析システム
JP2011161079A (ja) 運動指標測定方法および装置
TW202302031A (zh) 最適運動強度的推估方法、訓練方法、運動指示裝置及最適運動強度的推估系統
Yazaki et al. Evaluation of activity level of daily life based on heart rate and acceleration
KR100900982B1 (ko) 생체 신호 계측을 통한 체력측정방법
KR100738160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 재활시스템
RU2722265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физической работоспособности
Chen et al. Establishing the waist as the better location for attaching a single accelerometer to estimate center of pressure trajectories
JP6079585B2 (ja) 歩容のバランス評価装置
JP2007268016A (ja) 生体情報測定装置及び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