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2394A - Section shape steel for building - Google Patents
Section shape steel for build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62394A KR20100062394A KR1020080121015A KR20080121015A KR20100062394A KR 20100062394 A KR20100062394 A KR 20100062394A KR 1020080121015 A KR1020080121015 A KR 1020080121015A KR 20080121015 A KR20080121015 A KR 20080121015A KR 20100062394 A KR20100062394 A KR 201000623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rface portion
- reinforcing
- building
- steel
- s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 E04C3/07—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at least partly of bent or otherwise deformed strip- or sheet-like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0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the cross-se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용 형강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등의 골조로 이용될 수 있는 건축물용 형강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section for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el section for building that can be used as a framework for buildings.
건축물 등의 골조(骨組)로 이용되는 형강재는 단면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된다. 이 중 조립식 주택이나 스틸하우스와 같은 경량 건축물에는 얇은 철판을 절곡하여 만든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454155호(2004년 10월 26일 공고)에 개시된 바와 같은 “ㄷ"형 형강재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The section steel used as a framework for buildings is classifi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Among these, lightweight structures such as prefabricated houses and steel houses are made by bending thin steel plates, and the "c" shaped steel materials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454155 (announced on October 26, 2004) are mainly used. .
위 공보에 개시된 형강재는 단면이 “ㄷ" 또는 ”C"형으로 이루어지고 긴 길이를 구비하는 형태이다. 그러나 이러한 형강재는 얇은 철판을 성형하여 만들기 때문에 그 길이방향 또는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큰 힘이 작용할 경우 좌굴이나 비틀림 등이 생길 수 있었고, 단면의 폭방향으로 큰 하중이 작용할 경우에도 해당부분이 찌그러지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었다. 특히 형강재 단면의 폭이 클 경우에는 단면의 폭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취약해질 수 있었다.The shaped steel disclosed in the above publication has a cross section having a “c” or “c” shape and a long length. However, since the section steel is formed by forming a thin steel plate, if a large force is appli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ckling or torsion may occur, and even when a large load is appli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This distortion could be transformed into a shape. In particular,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section steel is large, it could be vulnerable to the force act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형강재 단면의 폭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한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용 형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al steel sheet for increasing the rigidity for the force act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teel shee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형강재는 제1면부와, 제1면부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마련된 제2 및 제3면부를 구비하며 단면의 형상이 대략 “ㄷ”형인 건축물용 형강재에 있어서, 상기 제1면부는 상기 형강재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면부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보강비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uilding form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has a first surface portion, and the second and third surface portions are bent from both ends of the first surface portion, respectively, the shape of the cross-section of the building type In the steel material, the first surface portion is dispos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ped steel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reinforcing beads formed lo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surface portion.
상기 제1면부는 외면 쪽에 형강재의 길이방향으로 긴 홈이 형성될 수 있도록 그 외면 쪽으로부터 내면을 향하여 소정 폭으로 융기된 보강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보강비드는 상기 보강면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urface portion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surface portion raised to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outer surface side toward the inner surface so that a long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ped steel on the outer surface side, wherein the plurality of reinforcement beads are formed in the reinforcing surface portion It features.
상기 다수의 보강비드는 상기 보강면부의 내면 쪽으로부터 상기 보강면부의 외면 쪽으로 융기되되 상기 홈의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eads are raised from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reinforcing surface portion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surfac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not protrude out of the groove.
상기 다수의 보강비드는 상기 제1면부의 외면 쪽으로부터 상기 제1면부의 내면 쪽으로 융기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eads are formed to be raised from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first surface portion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portion.
또 상기 형강재는 상기 제2면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3면부 쪽으로 절곡 연장된 제4면부와, 상기 제3면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2면부 쪽으로 절곡 연장된 제5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haped steel further comprises a fourth surface portion bent toward the third surface portion from the end of the second surface portion, and a fifth surface portion bent toward the second surface portion from the end of the third surface portion .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형강재는 제1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형강재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제1면부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보강비드를 구비하기 때문에 형강재 단면의 폭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한 강성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형강재의 굽힘이나 비틀림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고 국부적으로 큰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형강재의 찌그러짐과 같은 변형을 줄일 수 있다.Shaped steel for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portion is arrang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a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teel member because it has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beads formed lo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surface por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rigidity for the acting force than conventional. Therefore, bending or torsional deformation of the steel can be minimized, and deformation such as crushing of the steel can be reduced even when a large local force is appli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형강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ilding-shaped steel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형강재(10)는 압연 강재의 일종으로 단면의 폭보다 긴 길이를 구비한다. 이 형강재(10)는 제1면부(11)와, 제1면부(11)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같은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제2면부(12) 및 제3면부(13)를 구비함으로써 대략 단면의 형상이‘ㄷ’형이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building-
제1면부(11)에는 외면 쪽에 형강재(10)의 길이방향으로 긴 홈(14)이 형성될 수 있도록 그 외면 쪽으로부터 내면을 향하여 소정 폭으로 융기된 보강면부(15)가 마련되고, 제2면부(12)의 단부와 제3면부(13)의 단부에는 각각 절곡된 제4면부(16)와 제5면부(17)가 마련된다. 제4면부(16)는 제3면부(13) 쪽으로 절곡된 후 소정 폭 으로 연장된 형태이고, 제5면부(17)는 제2면부(12) 쪽으로 절곡된 후 소정 폭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보강면부(15)와 제4 및 제5면부(16,17)는 형강재의 단면2차모멘트를 크게 하여 굽힘에 대한 강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또 제4 및 제5면부(16,17)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강재(10)를 건축물의 천장 등에 설치할 경우 롤러들(61,62)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The
제1면부(11)의 보강면부(15)에는 다수의 보강비드들(18)이 마련된다. 이 보강비드들(18)은 형강재(10)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간격으로 배치되며, 형강재(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제1면부(11)의 폭(W1)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 보강비드들(18)은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면부(15)의 내면 쪽으로부터 보강면부(15)의 외면 쪽으로 융기되도록 성형되되, 보강면부(15) 외측에 형성된 홈(14)의 외부로는 돌출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즉 보강비드(18)의 높이가 홈(14)의 깊이보다 낮게 형성됨으로써 보강비드들(18)이 제1면부(11)의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이는 도 5에 도시한 예처럼 형강재(10)를 겹치도록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보강비드들(18)이 겹치는 부분에서 간섭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The reinforcing
이러한 보강비드들(18)은 형강재(10) 단면의 폭방향, 즉 제1면부(11)의 단면 폭(W1)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한 강성을 현저하게 증대시킨다. 따라서 형강재(10)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큰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형강재의 굽힘이나 비틀림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고, 국부적으로 큰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찌그러짐과 같은 변형을 줄일 수 있다.Thes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형강재의 다른 실시 예이다. 도 4의 형강재(20)는 제 1면부(21)에 굴곡된 보강면부가 형성되지 않은 것이고, 이러한 형강재(20)의 제1면부(21)에 직접 보강비드들(23)이 형성된 것이다. 이 보강비드들(23)도 형강재(20)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간격으로 배치되고 형강재(2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제1면부(21)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비드들(23)도 제1면부(21)의 폭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한 강성을 증대시킨다.4 is another embodiment of a shaped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the reinforcing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형강재의 사용 예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형강재(10)가 건축물의 바닥재(30)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로 이용된 예를 보인 것이다. 이때 형강재(10)는 강성을 높이기 위해 상호 겹치는 방식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형강재들(10)은 건축물의 바닥재(30)를 지면과 이격시킨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으며,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것들과 세로방향으로 배치된 것들이 교차상태에서 연결됨으로써 지지 구조물의 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형강재(10)는 제1면부(11)에 다수의 보강비드들(18)을 구비하기 때문에 굽힘에 대한 강성이 높다. 따라서 바닥재들(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5 and 6 show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building section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n example of the use as a support structure for installing the
이처럼 형강재(10)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바닥재(30)를 시공하는 방식은 형강재(10)를 현장에 설치한 후 그 위에 바닥재(30)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시공을 완료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물의 바닥 기초를 구성하는 것에 비해 공사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고 공사비용도 줄일 수 있다.As such,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형강재가 스틸하우스나 조립식주택과 같은 건축물의 각종 구조재로 이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에 따른 형강재(10)는 건축물의 용마루대(a), 서까래(b), 추녀(미도시), 대들보(c) 등 지붕(40)의 구조물로 이용될 수 있고, 벽면(50)을 지지하는 벽면지지부재(d)의 용도로도 쓰일 수 있다. 또 건축물의 천장 쪽에 길게 설치되어 호이스트와 같은 소형크레인의 레일(e)로도 사용될 수 있다. Figure 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ection steel for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various structural materials of a building, such as a steel house or prefabricated house. As shown, the
형강재(10)가 레일로 쓰일 때는 도 5의 상세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들(61,62)의 외면에 형성된 홈이 형강재(10)의 제4면부(16) 및 제5면부(17)에 걸린 상태에서 구름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롤러들(61,62)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When th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형강재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ilding section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1.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 of FIG. 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형강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building-shaped steel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형강재의 사용 예를 보인 것이다. 5 and 6 show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building section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20: 형강재, 11: 제1면부,10,20: section steel, 11: first face part,
12: 제2면부, 13: 제3면부,12: second side, 13: third side,
14: 홈, 15: 보강면부,14: groove, 15: reinforcing surface,
16: 제4면부, 17: 제5면부,16: fourth side, 17: fifth side,
18,23: 보강비드. 18,23: reinforcement beads.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1015A KR20100062394A (en) | 2008-12-02 | 2008-12-02 | Section shape steel for build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1015A KR20100062394A (en) | 2008-12-02 | 2008-12-02 | Section shape steel for build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62394A true KR20100062394A (en) | 2010-06-10 |
Family
ID=42362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21015A KR20100062394A (en) | 2008-12-02 | 2008-12-02 | Section shape steel for build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62394A (en) |
-
2008
- 2008-12-02 KR KR1020080121015A patent/KR20100062394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56202B1 (en) | Buckling-stiffening structure for box-shaped sectional type thin-plate member | |
US8281534B2 (en) | Formed steel beam for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and slab | |
US20130283728A1 (en) | Truss structure using a material having a pi-shaped cross-section as an upper chord | |
KR102079008B1 (en) | E-z connecting structure for beam and column wherein the end-moment and bending resistibility are reinforced | |
KR101125917B1 (en) | Prestressed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 |
US20070000197A1 (en) | Structural decking system | |
JP4729055B2 (en) | Unit building connection structure and unit building | |
CN112796411B (en) | Box board assembled steel structure underground beam type conversion structure | |
JP4012911B2 (en) | Wall panel material and building wall construction method | |
US20060225374A1 (en) | Reinforced structural steel decking | |
JP4264461B2 (en) | Floor structure | |
US3308594A (en) | Slotted panel assembly | |
KR20100062394A (en) | Section shape steel for building | |
KR20190126530A (en) | Pre-fabricated column with angle-type reinforcing bar | |
KR102272165B1 (en) | Steel beam having horizontal support flat type | |
KR101188367B1 (en) | Punching shear reinforcement for reinforcing flat-plate slab | |
AU2009200214A1 (en) | Composite Beam | |
JP2012127100A (en) | Deck plate | |
KR101609616B1 (en) | Steel horizontal assembly for forming a hollow slab | |
JP2008195470A (en) | Earthquake resistant passenger conveyor device for building | |
KR200294416Y1 (en) | Prestressed cold-formed joist having reinforcement materials | |
KR102620792B1 (en) | Composite Column Structure With Improved Workability | |
CN213539297U (en) | Truss and floor with same | |
KR200311247Y1 (en) | Supper Light Beam | |
CN211228875U (en) | Hidden lateral support structure at joint of energy dissipation beam section and suppor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