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2292A - 전자약도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약도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2292A
KR20100062292A KR1020080120858A KR20080120858A KR20100062292A KR 20100062292 A KR20100062292 A KR 20100062292A KR 1020080120858 A KR1020080120858 A KR 1020080120858A KR 20080120858 A KR20080120858 A KR 20080120858A KR 20100062292 A KR20100062292 A KR 20100062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
destination
map
entry point
transpor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진
Original Assignee
(주)엠앤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앤소프트 filed Critical (주)엠앤소프트
Priority to KR1020080120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2292A/ko
Publication of KR20100062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07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ata
    • G01C21/3811Point data, e.g. Point of Interest [POI]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76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using point of interest [POI] information, e.g. a route passing visible PO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11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using character input or menus, e.g. menus of PO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14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through interaction with a road map, e.g. selecting a POI icon on a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63Structures of map data
    • G01C21/387Organisation of map data, e.g. version management or database structures
    • G01C21/3874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data searching and retriev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약도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목적지에 해당하는 POI입구를 검색해 사용자가 목적지 입구에 도착할 수 있고, 목적지와 주변 진입포인트에 맞추어 자동으로 지도를 스케일링하는 전자약도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약도 생성장치는 목적지까지 약도를 생성하고 안내하는 장치에 있어서, 목적지 및 이동교통수단을 입력받는 입력부; GPS신호를 수신하고 현재 위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는 GPS모듈; 지리정보 및 POI를 저장하는 지도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목적지에 해당하는 POI를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부에서 검색하여 POI입구로 목적지를 이동하고, 상기 이동교통수단에 따라 진입포인트를 결정하며, 상기 진입포인트와 목적지를 이용하여 스케일링한 지도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한 지도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진입포인트, 스케일링, POI입구, 약도

Description

전자약도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Electronic Sketch Map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약도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목적지에 해당하는 POI입구를 검색해 사용자가 목적지 입구에 도착할 수 있고, 목적지와 주변 진입포인트에 맞추어 자동으로 지도를 스케일링하는 전자약도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컴퓨터 및 이동 통신장치의 대중화와 이동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웹을 통한 인터넷 서비스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를 통한 정보 서비스가 급증하고 있다.
무선 통신기술과 무선 장비기술의 급속한 발전이 계속됨에 따라 사용자는 웹을 통한 전자지도 서비스를 요구하고, 전자지도 서비스가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지도 서비스는 목적지와 출발지 및 주변 POI만 표기될 뿐, 전자지도의 스케일링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정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 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지도 서비스는 목적지만 표시할 뿐, 목적지 입구에 대한 표기가 없어 사용자가 목적지에 도착하더라도 목적지에 진입하기 위한 입구를 찾아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목적지와 진입포인트에 맞추어 자동으로 지도를 설정하여 사용자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빠르고 편리하게 인식되도록 하는 전자약도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목적지를 목적지 입구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목적지로 진입하기 위한 입구를 찾지 않아도 되는 전자약도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목적지까지 약도를 생성하고 안내하는 장치에 있어서, 목적지 및 이동교통수단을 입력받는 입력부; GPS신호를 수신하고 현재 위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는 GPS모듈; 지리정보 및 POI를 저장하는 지도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목적지에 해당하는 POI를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부에서 검색하여 POI입구로 목적지를 이동하고, 상기 이동교통수단에 따라 진입포인트를 결정하며, 상기 진입포인트와 목적지를 이용하여 스케일링한 지도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한 지도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전자약도 생성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목적지까지 인터넷으로 약도를 생성하고 안 내하는 장치에 있어서, 인터넷에 연결되고 목적지 및 이동교통수단을 전송받으며, 하기의 메인서버에서 생성된 지도를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지리정보 및 POI를 저장하는 지도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에서 전송받은 목적지에 해당하는 POI를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POI입구로 목적지를 이동하고, 상기 이동교통수단에 따라 진입포인트를 결정하며, 상기 진입포인트와 목적지를 이용하여 스케일링한 지도를 생성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하는 전자약도 생성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POI는 POI입구의 위치정보 및 POI속성정보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POI속성정보는 기차역, 전철역, 버스정류장, 공항, 선착장, 관공서, 아파트, 상점, 학교, 관광지, 교차점 명칭 및 교량명 중 어느 하나 이상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용교통수단은 기차, 전철, 버스, 배, 비행기, 택시, 자가용 및 도보 어느 하나 이상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진입포인트는 목적지에 진입하기 위한 POI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POI는 기차역, 전철역, 버스정류장, 공항, 선착장, 관공서, 아파트, 상점, 학교, 관광지, 교차점 명칭 및 교량명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POI속성정보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버스'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 는 POI속성정보가 '버스정류장'인 POI,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전철'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전철역'인 POI,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기차'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기차역'인 POI,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비행기'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공항'인 POI,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배'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선착장'인 POI,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자가용' 또는 '택시'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기차역, 전철역, 버스정류장 및 교차점 명칭'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POI,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도보'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기차역, 전철역, 버스정류장, 공항, 선착장, 관공서, 아파트, 상점, 학교, 관광지, 교차점 명칭 및 교량명'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POI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입력부는 스케일 종류를 입력받음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용교통수단에 해당하는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스케일 종류에 따라 지도를 확대/축소하며, 상기 경로에 존재하는 POI에 따라 경로를 안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인터페이스는 스케일 종류를 전송받음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이용교통수단에 해당하는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스케일 종류에 따라 지도를 확대/축소하며, 상기 경로에 존재하는 POI에 따라 경로안내정보를 생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스케일 종류는 국가/도,특별시,광역시/시,구,군/읍,면,동/리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목적지에 해당하는 POI를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부에서 검색하지 못할 경우, 상기 목적지에서 일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POI를 지도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서 전송받은 목적지에 해당하는 POI를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지 못할 경우, 상기 목적지에서 일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POI를 지도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목적지가 입력부에 입력되는 단계; 입력된 상기 목적지에 해당하는 POI를 지도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목적지를 POI입구로 이동하는 단계; 이동교통수단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는 단계; 상기 이동교통수단에 따라 진입포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와 진입포인트를 포함한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지도를 상기 목적지와 진입포인트를 이용하여 스케일링하는 단계; 및 스케일링한 상기 지도가 선정되면,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부에서 GPS모듈로 확인된 현재위치부터 상기 목적지까지 존재하는 POI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약도 생성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약도 생성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발지, 목적지 및 이동교통수단을 전송받는 단계; 전송된 상기 목적지에 해당하는 POI를 지도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목적지를 POI입구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이동교통수단에 따라 진입포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와 진입포인트를 포함한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지도를 상기 목적지와 진입포인트를 이용하여 스케일링하는 단계; 및 스 케일링한 상기 지도가 선정되면,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부에서 GPS모듈로 확인된 현재위치부터 상기 목적지까지 존재하는 POI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약도 생성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상기 입력된 목적지에 해당하는 POI가 없는 경우, 상기 목적지에서 일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POI를 추출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전송된 목적지에 해당하는 POI가 없는 경우, 상기 목적지에서 일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POI를 추출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스케일한 상기 지도가 선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부로부터 스케일 종류를 전송받아 지도를 확대/축소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스케일한 상기 지도가 선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로부터 스케일 종류를 전송받아 지도를 확대/축소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스케일 종류는 국가/도,특별시,광역시/시,구,군/읍,면,동/리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POI는 POI입구의 위치정보 및 POI속성정보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POI속성정보는 기차역, 전철역, 버스정류장, 공항, 선착장, 관공서, 아파트, 상점, 학교, 관광지, 교차점 명칭 및 교량명 중 어느 하나이상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용교통수단은 기차, 전철, 버스, 배, 비행기, 택시, 자가용 및 도보 중 어느 하나 이상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진입포인트는 목적지에 진입하기 위한 POI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POI는 기차역, 전철역, 버스정류장, 공항, 선착장, 관공서, 아파트, 상점, 학교, 관광지, 교차점 명칭 및 교량명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POI속성정보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버스'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버스정류장'인 POI,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전철'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전철역'인 POI,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기차'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기차역'인 POI,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비행기'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공항'인 POI,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배'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선착장'인 POI,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자가용' 또는 '택시'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기차역, 전철역, 버스정류장 및 교차점 명칭'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POI,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도보'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기차역, 전철역, 버스정류장, 공항, 선착장, 관공서, 아파트, 상점, 학교, 관광지, 교차점 명칭 및 교량명'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POI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자약도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은 목적지와 진입포인트에 맞춰 지도를 자동으로 스케일링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에 해당하는 입구를 목적지로 이동함으로써 사용자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쉽고 편리하게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목적지에 진입하기 위한 입구를 찾지 않고 편리하게 목적지에 집입 가능한 현저하고도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약도 생성장치의 제1실시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약도 생성장치는 입력부(100), 지도 데이터베이스부(200), GPS모듈(300), 제어부(400), 출력부(500)를 포함한다.
입력부(100)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스케일 종류 및 이용교통수단을 입력받아 제어부(400)로 전달하는데, 여기서 목적지는 목적지 지번, POI 명칭 등이고, 스케일 종류는 국가/도,특별시,광역시/시,구,군/읍,면,동/리이며, 이용교통수단은 기차, 전철, 버스, 배, 비행기, 택시, 자가용, 도보 등이다.
지도 데이터베이스부(200)는 지리정보 및 POI를 저장한다.
지리정보는 사전에 조사된 실제 도로나 건물, 시설물에 대한 정보가 일정한 형식에 따라 수치적인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지리정보는 전체 지도에 대한 정보를 노드, 링크 등으로 구성된다. 노드는 지도상의 특정 지점에 대한 좌표이다. 링크는 각 노드들을 연결한 것으로 지도상의 도로 등을 나타낸다.
POI는 POI속성정보 및 POI입구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한다.
POI속성정보는 기차역, 전철역, 버스정류장, 공항, 선착장, 관공서, 아파트, 상점, 학교, 관광지, 교차점 명칭 및 교량명 중 어느 하나이며, 사용자가 이용교통수단을 입력하였을 때, 제어부(400)가 이용교통수단에 해당하는 POI속성정보를 포함하는 POI를 진입포인트로 이용하여 경로를 설정한다.
POI입구의 위치정보는 POI에 진입가능한 지점에 대한 좌표이다.
GPS모듈(300)은 GPS위성들로부터 위성들 각각의 위치신호를 입력받아 자신의 위치를 계산하여 제어부(400)로 전송한다.
제어부(400)는 입력부(100)에서 전달받은 목적지를 POI입구로 이동하고, 진입포인트를 결정하며, 목적지 및 진입포인트를 이용하여 스케일링한다.
제어부(400)는 입력부(100)로부터 목적지를 전달받으면 지도 데이터베이스부(200)에서 상기 목적지에 해당하는 POI를 검색하고 POI에 포함되어 있는 POI입구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를 POI입구로 이동시킨다.
또한, 지도 데이터베이스부(200)에서 입력된 목적지에 해당하는 POI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상기 목적지에서 일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POI를 추출하여 상기 목적지를 POI입구로 이동시킨다.
상기 일정거리는 전자약도 생성장치에 기저장된 거리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입력부(100)를 통해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받은 이동교통수단에 따라 진입포인트를 결정한다. 상기 진입포인트는 목적지에 진입하기 위한 가장 근접한 POI 또는 목적지에서 일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POI이다.
입력받은 이용교통수단이 '버스'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버스정류장'이고 목적지에서 가장 근접하거나 일정거리 내에 존재하는 POI가 되고,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전철'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전철역'이고 목적지에서 가장 근접하거나 일정거리 내에 존재하는 POI가 되며,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기차'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기차역'이고 목적지에서 가장 근접하거나 일정거리 내에 존재하는 POI가 된다.
상기 일정거리는 전자약도 생성장치에 기저장된 거리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입력부(100)를 통해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비행기'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 성정보가 '공항'이고 목적지에서 가장 근접하거나 일정거리 내에 존재하는 POI가 되고,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배'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선착장'이고 목적지에서 가장 근접하거나 일정거리 내에 존재하는 POI가 된다.
또한,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자가용' 또는 '택시'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기차역, 전철역, 버스정류장, 공항, 선착장, 교차점 명칭'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목적지에서 가장 근접하거나 일정거리 내에 존재하는 POI가 된다.
또한,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도보'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기차역, 전철역, 버스정류장, 공항, 선착장, 관공서, 아파트, 상점, 학교, 관광지, 교차점 명칭, 교량명'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목적지에서 가장 근접하거나 일정거리 내에 존재하는 POI가 된다.
예를 들어, 입력부(100)에서 이용교통수단을 '전철'이라고 제어부(400)로 전달하면, 제어부(400)는 지도 데이터베이스부(200)에서 '전철역'을 POI속성정보로 포함하고 있는 POI중 목적지에 가장 근접하거나 일정거리 이내 존재하는 POI를 진입포인트로 결정한다(도 2참조).
제어부(400)는 지도 데이터베이스(200)의 지리정보와 목적지 및 진입포인트를 이용하여 지도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400)는 지도에 목적지와 진입포인트가 적절히 배치되도록 스케일링을 하고 지도의 중심을 이동시킨다.
스케일한 지도를 출력부(500)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상기 지도를 선정하면, 제어부(400)는 GPS모듈(300)을 통해 확인된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 존재하는 POI를 지도 데이터베이스부(200)에서 추출하고, 경로를 생성한다.
사용자가 상기 지도를 선정하지 않으면, 제어부(400)는 입력부(100)를 통해 스케일 종류를 전달받아 지도를 확대/축소한다.
상기 확대/축소된 지도가 선정되면, 제어부(400)는 GPS모듈(300)을 통해 확인된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 존재하는 POI를 지도 데이터베이스부(200)에서 추출하고, 경로를 생성한다.
경로가 생성되면, 제어부(400)는 확인된 위치부터 목적지까지 존재하는 POI에 따라 경로를 안내한다.
예를 들어, 목적지를 "등촌 주공 9단지" 및 이용교통수단을 "도보"라고 입력하면, 제어부(400)는 "발산역 사거리로 이동하여 발산역 사거리에서 강서구청 방면으로 600m 직진 후, 우측의 쌍용 자동차가 보이면 좌회전으로 100m이동하여 강서제일약국를 끼고 우회전 200m 이동하고, 미주진로아파트 입구를 지나 좌회전하면 오른쪽에 등촌주공6단지를 지나 200m 직진하면 오른쪽에 목적지인 등촌주공9단지 입구에 도착합니다."라는 안내 방송이나 안내문구로 경로를 안내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약도 생성장치의 제2실시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약도 생성장치는 인터페이스(600), 지도 데이터베이스(700), 메인서버(800)를 포함하고, 인터넷망을 통하여 클라이언트와 연결된다.
인터페이스(600)는 클라이언트와 전자약도 생성장치를 연결시켜 주고, 클라 이언트로부터 전송받은 출발지, 목적지, 스케일 종류 및 이용교통수단을 수신받아 메인서버(800)로 전송하며, 메인서버(800)가 생성한 지도와 경로 및 경로안내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여기서 출발지 및 목적지는 지번, POI 명칭 등이고, 스케일 종류는 국가/도,특별시,광역시/시,구,군/읍,면,동/리이며, 이용교통수단은 기차, 전철, 버스, 배, 비행기, 택시, 자가용, 도보 등이다.
지도 데이터베이스(700)는 지리정보 및 POI를 저장한다.
지리정보는 사전에 조사된 실제 도로나 건물, 시설물에 대한 정보가 일정한 형식에 따라 수치적인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지리정보는 전체 지도에 대한 정보를 노드, 링크 등으로 구성된다. 노드는 지도상의 특정 지점에 대한 좌표이다. 링크는 각 노드들을 연결한 것으로 지도상의 도로 등을 나타낸다.
POI는 POI속성정보 및 POI입구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한다.
POI속성정보는 기차역, 전철역, 버스정류장, 공항, 선착장, 관공서, 아파트, 상점, 학교, 관광지, 교차점 명칭 및 교량명 중 어느 하나이며, 인터페이스(600)가 메인서버(800)로 이용교통수단을 전송하였을 때, 메인서버(800)가 이용교통수단에 해당하는 POI속성정보를 포함하는 POI를 진입포인트로 이용하여 경로를 설정한다.
POI입구의 위치정보는 POI에 진입가능한 지점에 대한 좌표이다.
메인서버(800)는 인터페이스(600)에서 전달받은 목적지를 POI입구로 이동하고, 진입포인트를 결정하며, 목적지 및 진입포인트를 이용하여 스케일링한다.
메인서버(800)는 인터페이스(600)로부터 목적지를 전송받으면 지도 데이터베이스(700)에서 상기 목적지에 해당하는 POI를 검색하고 POI에 포함되어 있는 POI입구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목적지를 POI입구로 이동시킨다.
또한, 지도 데이터베이스(700)에서 입력된 목적지에 해당하는 POI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상기 목적지에서 일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POI를 추출하여 상기 목적지를 POI입구로 이동시킨다.
상기 일정거리는 전자약도 생성장치에 기저장된 거리일 수도 있고, 클라이언트가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메인서버(800)는 인터페이스(600)를 통해 전송받은 이동교통수단에 따라 진입포인트를 결정한다. 상기 진입포인트는 목적지에 진입하기 위한 가장 근접한 POI 또는 목적지에서 일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POI이다.
상기 일정거리는 전자약도 생성장치에 기저장된 거리일 수도 있고, 인터페이스(600)을 통해 전송받을 수도 있다.
전송받은 이용교통수단이 '버스'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버스정류장'이고 목적지에서 가장 근접하거나 일정거리 내에 존재하는 POI가 되고,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전철'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전철역'이고 목적지에서 가장 근접하거나 일정거리 내에 존재하는 POI가 되며,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기차'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기차역'이고 목적지에서 가장 근접하거나 일정거리 내에 존재하는 POI가 된다.
또한,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비행기'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 성정보가 '공항'이고 목적지에서 가장 근접하거나 일정거리 내에 존재하는 POI가 되고,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배'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선착장'이고 목적지에서 가장 근접하거나 일정거리 내에 존재하는 POI가 된다.
또한,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자가용' 또는 '택시'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기차역, 전철역, 버스정류장, 공항, 선착장, 교차점 명칭'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목적지에서 가장 근접하거나 일정거리 내에 존재하는 POI가 된다.
또한,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도보'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기차역, 전철역, 버스정류장, 공항, 선착장, 관공서, 아파트, 상점, 학교, 관광지, 교차점 명칭, 교량명'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목적지에서 가장 근접하거나 일정거리 내에 존재하는 POI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600)에서 이용교통수단을 '전철'이라고 메인서버(800)로 전달하면, 메인서버(800)는 지도 데이터베이스(700)에서 '전철역'을 POI속성정보로 포함하고 있는 POI중 목적지에 가장 근접하거나 일정거리 이내 존재하는 POI를 진입포인트로 결정한다.
메인서버(800)는 지도 데이터베이스(700)의 지리정보와 목적지 및 진입포인트를 이용하여 지도를 생성한다.
이때, 메인서버(800)는 지도에 목적지와 진입포인트가 적절히 배치되도록 스케일링을 하고 지도의 중심을 이동시킨다.
스케일한 지도를 인터페이스(600)를 통해 클라이언트로 전송하여 상기 지도 를 클라이언트가 선정하면, 메인서버(800)는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존재하는 POI를 지도 데이터베이스(700)에서 추출하고, 경로를 생성한다.
클라이언트가 상기 지도를 선정하지 않으면, 메인서버(800)는 인터페이스(600)를 통해 스케일 종류를 전달받아 지도를 확대/축소한다.
확대/축소된 상기 지도가 선정되면, 메인서버(800)는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존재하는 POI를 지도 데이터베이스(700)에서 추출하고, 경로를 생성한다.
경로가 생성되면, 메인서버(700)는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존재하는 POI에 따라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안내정보를 인터페이스(600)를 통해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약도 생성방법의 제1실시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입력부에 목적지를 입력한다(S210).
입력부에 입력된 목적지는 제어부로 전달되며, 제어부는 지도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입력된 목적지에 해당하는 POI를 검색한다(S220). 입력된 목적지에 해당하는 POI가 있는 경우(S230), 제어부는 상기 검색된 POI에 포함된 POI입구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를 POI입구로 이동시킨다(S240).
입력된 목적지에 해당하는 POI가 없는 경우(S230), 상기 목적지에서 일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POI를 검색한다(S242). 제어부는 목적지에서 일정거리 이내에 검색된 POI에 포함된 POI입구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를 POI입구로 이동시킨다(S244).
POI입구의 위치정보는 POI에 진입가능한 지점에 대한 좌표이다. 지도 데이터 베이스부는 지리정보 및 POI를 저장하며, POI는 POI속성정보 및 POI입구의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목적지를 POI입구로 이동시킨 후,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해 이용교통수단을 전송받고(S250), 상기 이용교통수단에 해당되는 진입포인트를 결정한다(S260). 상기 진입포인트는 목적지에 진입하기 위한 가장 근접한 POI 또는 목적지에서 일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POI이다.
제어부는 목적지, 지리정보 및 진입포인트를 이용하여 지도를 생성하고(S270), 생성된 지도를 목적지와 진입포인트가 적절히 배치되도록 스케일링을 하고 지도의 중심을 이동시킨다(S280).
스케일한 상기 지도를 출력부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출력한 지도를 선정하면(S290), 제어부는 GPS모듈을 통해 확인된 현재위치부터 목적지까지 존재하는 POI를 지도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하고(S300), 경로를 생성한다(S310).
예를 들어, 입력부에서 이용교통수단을 "도보"라고 제어부로 전달하면, 제어부는 지도 데이터베이스부에서 기차역, 전철역, 버스정류장, 공항, 선착장, 관공서, 아파트, 상점, 학교, 관광지, 교차점 명칭, 교량명을 POI속성정보로 포함하고 있는 POI 중 목적지에 가장 근접한 POI를 진입포인트로 이용하여 경로를 생성한다.
또한, 스케일한 상기 지도가 선정되지 않을 경우(S290),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스케일 종류를 전달받아, 전달받은 스케일 종류에 따라 지도를 확대/축소한다(S295).
확대/축소된 상기 지도를 출력부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대/축소된 상기 지 도를 선정하면, 제어부는 GPS모듈로부터 확인된 현재위치부터 목적지까지 존재하는 POI를 지도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하고(S300), 경로를 생성한다(S310).
스케일 종류는 국가/도,특별시,광역시/시,구,군/읍,면,동/리이며, 이용교통수단은 목적지까지 이용하는 교통수단에 따라 기차, 전철, 버스, 배, 비행기, 택시, 자가용 및 도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다.
경로가 생성되면,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경로를 안내할지 지도를 전송할지를 설정한다(S320).
제어부가 입력부를 통하여 경로를 안내하는데 설정되면, 제어부는 출력부를 통하여 현재위치부터 목적지까지 존재하는 POI에 따라 경로를 안내한다(S33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약도 생성방법의 제2실시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자약도 생성장치에 접속하고, 출발지, 목적지 및 이동교통수단을 메인서버로 전송한다(S410).
메인서버는 지도 데이터베이스에서 전송된 목적지에 해당하는 POI를 검색한다(S420). 전송된 목적지에 해당하는 POI가 있는 경우(S430), 메인서버는 상기 검색된 POI에 포함된 POI입구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를 POI입구로 이동시킨다(S440).
전송된 목적지 해당하는 POI가 없는 경우(S430), 상기 목적지에서 일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POI를 검색한다(S442). 메인서버는 목적지에서 일정거리 이내에 검색된 POI에 포함된 POI입구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를 POI입구로 이동시킨다(S444).
POI입구의 위치정보는 POI에 진입가능한 지점에 대한 좌표이다. 지도 데이터베이스부는 지리정보 및 POI를 저장하며, POI는 POI속성정보 및 POI입구의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목적지를 POI입구로 이동시킨 후, 메인서버는 입력받은 이용교통수단에 해당되는 진입포인트를 결정한다(S450). 상기 진입포인트는 목적지에 진입하기 위한 가장 근접한 POI 또는 목적지에서 일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POI이다.
메인서버는 목적지, 지리정보 및 진입포인트를 이용하여 지도를 생성하고(S460), 생성된 지도를 목적지와 진입포인트가 적절히 배치되도록 스케일링을 하고 지도의 중심을 이동시킨다(S470).
스케일한 상기 지도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클라이언트로 전송하여, 지도를 선정되면(S480), 메인서버는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존재하는 POI를 지도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하고(S490), 경로를 생성한다(S500).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에서 이용교통수단을 "도보"라고 제어부로 전달하면, 메인서버는 지도 데이터베이스에서 기차역, 전철역, 버스정류장, 공항, 선착장, 관공서, 아파트, 상점, 학교, 관광지, 교차점 명칭, 교량명을 POI속성정보로 포함하고 있는 POI중 목적지와 가장 근접한 POI를 진입포인트로 이용하여 경로를 생성한다.
또한, 스케일한 상기 지도가 선정되지 않을 경우(S480), 메인서버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스케일 종류를 전달받아, 전달받은 스케일 종류에 따라 지도를 확대/축소한다(S485).
확대/축소된 상기 지도를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클라이언트로 전송하여, 클라이언트가 확대/축소된 상기 지도를 선정하면, 메인서버는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존재하는 POI를 지도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하고(S490), 경로를 생성한다(S500).
스케일 종류는 국가/도,특별시,광역시/시,구,군/읍,면,동/리이며, 이용교통수단은 목적지까지 이용하는 교통수단에 따라 기차, 전철, 버스, 배, 비행기, 택시, 자가용 및 도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다.
경로가 생성되면, 메인서버는 현재위치부터 목적지까지 존재하는 POI 따라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정보를 생성하고(S510), 생성된 지도, 경로 및 안내정보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S520).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약도 생성장치의 제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일된 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약도 생성장치의 제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약도 생성방법의 제1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약도 생성방법의 제2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입력부 200: 지도 데이터베이스부
300: GPS모듈 400: 제어부
500: 출력부 600: 인터페이스
700: 지도 데이터베이스 800: 메인서버

Claims (28)

  1. 목적지까지 약도를 생성하고 안내하는 장치에 있어서,
    목적지 및 이동교통수단을 입력받는 입력부;
    GPS신호를 수신하고 현재 위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는 GPS모듈;
    지리정보 및 POI를 저장하는 지도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목적지에 해당하는 POI를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부에서 검색하여 POI입구로 목적지를 이동하고, 상기 이동교통수단에 따라 진입포인트를 결정하며, 상기 진입포인트와 목적지를 이용하여 스케일링한 지도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한 지도를 표시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전자약도 생성장치.
  2. 인터넷으로 목적지까지 약도를 생성하고 안내하는 장치에 있어서,
    인터넷에 연결되고 목적지 및 이동교통수단을 전송받으며, 하기의 메인서버에서 생성된 지도를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지리정보 및 POI를 저장하는 지도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에서 전송받은 목적지에 해당하는 POI를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POI입구로 목적지를 이동하고, 상기 이동교통수단에 따라 진입 포인트를 결정하며, 상기 진입포인트와 목적지를 이용하여 스케일링한 지도를 생성하는 메인서버
    를 포함하는 전자약도 생성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POI는 POI입구의 위치정보 및 POI속성정보인 전자약도 생성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POI속성정보는 기차역, 전철역, 버스정류장, 공항, 선착장, 관공서, 아파트, 상점, 학교, 관광지, 교차점 명칭 및 교량명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전자약도 생성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교통수단은 기차, 전철, 버스, 배, 비행기, 택시, 자가용 및 도보 어느 하나 이상인 전자약도 생성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포인트는 목적지에 진입하기 위한 POI인 전자약도 생성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POI는 기차역, 전철역, 버스정류장, 공항, 선착장, 관공서, 아파트, 상점, 학교, 관광지, 교차점 명칭 및 교량명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POI속성정보를 가진 전자약도 생성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버스'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버스정류장'인 POI,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전철'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전철역'인 POI,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기차'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기차역'인 POI,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비행기'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공항'인 POI,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배'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선착장'인 POI,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자가용' 또는 '택시'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기차역, 전철역, 버스정류장 및 교차점 명칭'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POI,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도보'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기차역, 전철역, 버스정류장, 공 항, 선착장, 관공서, 아파트, 상점, 학교, 관광지, 교차점 명칭 및 교량명'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POI인 전자약도 생성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스케일 종류를 입력받는 전자약도 생성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용교통수단에 해당하는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스케일 종류에 따라 지도를 확대/축소하며, 상기 경로에 존재하는 POI에 따라 경로를 안내하는 전자약도 생성장치.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스케일 종류를 전송받는 전자약도 생성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이용교통수단에 해당하는 경로를 탐색하고, 상기 스케 일 종류에 따라 지도를 확대/축소하며, 상기 경로에 존재하는 POI에 따라 경로안내정보를 생성하는 전자약도 생성장치.
  13. 제 9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 종류는 국가/도,특별시,광역시/시,구,군/읍,면,동/리인 전자약도 생성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목적지에 해당하는 POI를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부에서 검색하지 못할 경우, 상기 목적지에서 일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POI를 지도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하는 전자약도 생성장치.
  1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서 전송받은 목적지에 해당하는 POI를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지 못할 경우, 상기 목적지에서 일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POI를 지도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전자약도 생성장치.
  16. 목적지가 입력부에 입력되는 단계;
    입력된 상기 목적지에 해당하는 POI를 지도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목적지를 POI입구로 이동하는 단계;
    이동교통수단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는 단계;
    상기 이동교통수단에 따라 진입포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와 진입포인트를 포함한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지도를 상기 목적지와 진입포인트를 이용하여 스케일링하는 단계; 및
    스케일링한 상기 지도가 선정되면,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부에서 GPS모듈로 확인된 현재위치부터 상기 목적지까지 존재하는 POI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약도 생성방법.
  17.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약도 생성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발지, 목적지 및 이동교통수단을 전송받는 단계;
    전송된 상기 목적지에 해당하는 POI를 지도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추출하여 상기 목적지를 POI입구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이동교통수단에 따라 진입포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와 진입포인트를 포함한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지도를 상기 목적지와 진입포인트를 이용하여 스케일링하는 단계; 및
    스케일링한 상기 지도가 선정되면,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부에서 GPS모듈로 확인된 현재위치부터 상기 목적지까지 존재하는 POI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약도 생성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상기 입력된 목적지에 해당하는 POI가 없는 경우, 상기 목적지에서 일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POI를 추출하는 전자약도 생성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전송된 목적지에 해당하는 POI가 없는 경우, 상기 목적지에서 일정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POI를 추출하는 전자약도 생성방법.
  20. 제 16항에 있어서,
    스케일한 상기 지도가 선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부로부터 스케일 종류를 전송받아 지도를 확대/축소하는 전자약도 생성방법.
  21. 제 17항에 있어서,
    스케일한 상기 지도가 선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로부터 스케일 종류를 전송받아 지도를 확대/축소하는 전자약도 생성방법.
  22.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 종류는 국가/도,특별시,광역시/시,구,군/읍,면,동/리인 전자약도 생성방법.
  23.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POI는 POI입구의 위치정보 및 POI속성정보인 전자약도 생성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POI속성정보는 기차역, 전철역, 버스정류장, 공항, 선착장, 관공서, 아파트, 상점, 학교, 관광지, 교차점 명칭 및 교량명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전자약도 생성방법.
  25.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교통수단은 기차, 전철, 버스, 배, 비행기, 택시, 자가용 및 도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전자약도 생성방법.
  26.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포인트는 목적지에 진입하기 위한 POI인 전자약도 생성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POI는 기차역, 전철역, 버스정류장, 공항, 선착장, 관공서, 아파트, 상점, 학교, 관광지, 교차점 명칭 및 교량명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POI속성정보를 가진 전자약도 생성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버스'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버스정류장'인 POI,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전철'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전철역'인 POI,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기차'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기차역'인 POI,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비행기'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공항'인 POI,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배'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선착장'인 POI,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자가용' 또는 '택시'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기차역, 전철역, 버스정류장 및 교차점 명칭'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POI, 상기 이용교통수단이 '도보'에 해당하는 경우, 진입포인트는 POI속성정보가 '기차역, 전철역, 버스정류장, 공항, 선착장, 관공서, 아파트, 상점, 학교, 관광지, 교차점 명칭 및 교량명'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POI인 전자약도 생성방법.
KR1020080120858A 2008-12-02 2008-12-02 전자약도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 KR20100062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858A KR20100062292A (ko) 2008-12-02 2008-12-02 전자약도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858A KR20100062292A (ko) 2008-12-02 2008-12-02 전자약도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292A true KR20100062292A (ko) 2010-06-10

Family

ID=42362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858A KR20100062292A (ko) 2008-12-02 2008-12-02 전자약도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229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955B1 (ko) * 2018-12-13 2020-04-20 네이버 주식회사 입구점 추출방법,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내비게이션 장치
JP2021032813A (ja) * 2019-08-28 2021-03-01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経路探索方法
KR20240020032A (ko) 2022-08-05 2024-02-14 김재한 라이브 맵을 이용한 랜드 마크 지도 생성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955B1 (ko) * 2018-12-13 2020-04-20 네이버 주식회사 입구점 추출방법,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내비게이션 장치
JP2021032813A (ja) * 2019-08-28 2021-03-01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経路探索方法
KR20240020032A (ko) 2022-08-05 2024-02-14 김재한 라이브 맵을 이용한 랜드 마크 지도 생성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23349B2 (ja)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案内方法ならびに端末装置
JP4437168B1 (ja)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経路探索仲介サーバ及び経路案内方法
US8600666B2 (en) Map data creating device, navigation device, and map processing system using these devices
JPWO2010067458A1 (ja) 経路探索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探索方法
JP5047920B2 (ja) 経路情報配信システム、経路情報案内サーバおよび端末装置ならびに経路情報配信方法
JP201423548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サーバ、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4418849B1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探索方法ならびに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5219070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サーバ、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217093A (ja) バス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6197128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00062292A (ko) 전자약도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
JP2020041846A (ja) 道路地図情報の生成方法および電子装置
JP4755612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探索方法ならびに端末装置
JP4163741B1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携帯端末装置ならびに経路探索方法
JP5932456B2 (ja) 分析評価システム、分析評価装置、分析評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210629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地図表示制御方法および地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14066576A (ja) タクシー運転手案内システム、案内メッセージ提供装置、携帯通信端末、タクシー運転手案内装置およびタクシー運転手案内方法
JP623923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サーバ、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470351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サーバ、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818135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サーバ、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6173370A (ja) 分析評価システム、分析評価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分析評価プログラム
JP5989310B2 (ja) 経路探索装置、経路探索システム、経路探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002683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6419603B2 (ja) 情報処理装置、位置表示システム
JP2014134551A (ja)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端末装置および経路案内方法ならびにナビゲー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