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0328A - 선형 열펌프 - Google Patents

선형 열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0328A
KR20100060328A KR1020080118894A KR20080118894A KR20100060328A KR 20100060328 A KR20100060328 A KR 20100060328A KR 1020080118894 A KR1020080118894 A KR 1020080118894A KR 20080118894 A KR20080118894 A KR 20080118894A KR 20100060328 A KR20100060328 A KR 20100060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piston
cylinder
linea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1584B1 (ko
Inventor
채수조
Original Assignee
채수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수조 filed Critical 채수조
Priority to KR1020080118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584B1/ko
Priority to US13/131,862 priority patent/US20110225966A1/en
Priority to CN2009801477725A priority patent/CN102227553A/zh
Priority to PCT/KR2009/007037 priority patent/WO2010062134A2/ko
Publication of KR20100060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6Cooling; Heating; Prevention of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7/0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 F04B37/06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evacuating by therm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0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adaptations of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25B9/14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cycle used, e.g. Stirling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80/00Materials; Properties thereof
    • F05B2280/50Intrinsic material properties or characteristics
    • F05B2280/5008Magnetic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9/00Concentrating evaporators
    • Y10S159/23Coo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이상적인 카르노 사이클(Carnot cycle)과 스터링 사이클(Stirling cycle)의 중간 형태를 따르면서 외부 동력에 의한 기체의 압축 및 팽창에 의한 열사이클로 저온에서 고온으로 열을 이동시키며 열효율이 높은 선형 열펌프가 개시된다. 선형 열펌프는, 내부에 작동기체가 수용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전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작동기체의 압축 시 상기 작동기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열방출부, 상기 실린더의 후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작동기체의 팽창 시 상기 작동기체가 외부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외부에 냉각 효과를 제공하는 열흡수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작동기체가 상기 열방출부 또는 상기 열흡수부에 직접 접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기체의 압축 및 팽창을 유발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에 외부의 선형 구동력을 제공하는 선형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선형 열펌프(Heat pump), 실린더, 피스톤, 스프링, 열방출부(heat source), 열흡수부(heat sink), 카르노(Carnot), 스터링(Stirling)

Description

선형 열펌프{LINEAR HEAT PUMP}
본 발명은 열펌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상적인 카르노 사이클(Carnot cycle)과 유사하게 외부에서 주어지는 동력에 의한 기체의 압축 및 팽창에 의한 열사이클로 저온에서 고온으로 열을 이동시키는 선형 열펌프에 관한 것이다.
카르노 엔진(Carnot engine)은 열손실이 없는 이상적인 열효율 엔진으로서, 실제적인 모든 엔진은 카르노 엔진의 열효율을 넘을 수 없다. 일반적인 내연기관과는 달리 외연기관은 높은 열효율을 보이는데 그 중에서도 스터링 엔진(Stirling engine)은 상기 카르노 사이클과 유사한 높은 열효율을 가지며, 진동과 소음이 적다.
상기 카르노 엔진 및 스터링 엔진 등과 같은 모든 열기관(Heat engine)은 고온에서 저온으로 이동하는 열을 이용하여 동력을 얻는다. 반대로, 이러한 열기관에 역방향 사이클로 외부 동력을 제공하여 기체를 압축 및 팽창시키면 열을 이동시키는 열펌프(Heat pump)가 된다. 이러한 실질적인 열펌프의 예로는 스터링 냉각기(Stirling refregerator)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터링 냉각기는 전체적인 장치가 크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많이 들고 높은 기술 수준이 요구되며, 유지보수의 어려움으로 인해 극히 제한된 분야에서만 사용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냉각기는 냉매를 써서 고압 응축시켜 만든 액체의 기화열로 냉각하는 것으로 콤프레서 등과 같은 복잡한 열 순환을 따르는 문제가 있다. 또한, 냉매의 환경적인 문제, 냉매에 따른 냉각 온도의 제한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카르노 사이클과 스터링 사이클의 중간 형태의 열사이클을 유사하게 따르면서 높은 열효율을 지닌 선형 열펌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콤프레서/냉각기 등을 거치면서 상변환을 하는 것과 같은 복잡한 열순환 구조를 가지는 기존의 냉각기와 달리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적게 들고 유지보수가 쉬운 선형 열펌프(냉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열펌프는, 내부에 작동기체가 수용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전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작동기체의 압축 시 상기 작동기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열방출부, 상기 실린더의 후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작동기체의 팽창 시 상기 작동기체가 외부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외부에 냉각 효과를 제공하는 열흡수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작동기체가 상기 열방출부 또는 상기 열흡수부에 직접 접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기체의 압축 및 팽창을 유발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이 상기 작동기체의 압축 및 팽창을 유발하도록 상기 피스톤 에 외부의 선형 구동력을 제공하는 선형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는 상기 열방출부와 상기 열흡수부의 사이에는 열효율을 높이기 위한 단열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실린더의 전단부를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실린더 헤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 헤드부는 상기 작동기체의 최대 압축 시 상기 개구부가 상기 열방출부에 위치하도록 가이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 헤드부는 상기 실린더의 내경과 이격된 공간을 제공하여 상기 피스톤의 전단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피스톤과 대향되는 일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방출부 및 열흡수부는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링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방출부에는 상기 열방출부에서 방출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부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각부는, 상기 열방출부의 외경에 형성되는 냉각핀, 및 상기 냉각핀에 공기를 공급하여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부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냉각부는, 상기 열방출부의 외경에 권선되는 냉각튜브, 및 상기 냉각튜브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흡수부에는 상기 열흡수부에 의해 냉각되는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냉각순환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순환부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열흡수부를 경유하도록 공기의 순환경로를 제공하는 순환경로챔버, 및 상기 순환경로챔버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형 구동부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기에너지를 상기 피스톤의 직선 왕복 진동을 위한 역학적 기계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형 구동부는, 상기 피스톤에 구비되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실린더에 구비되며 외부 전류를 인가 시 상기 마그넷의 자력선의 변화에 따라 상기 피스톤이 직선 왕복 진동하도록 구동시키는 코일을 포함하는 고정자(stator)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선형 열펌프는, 상기 피스톤의 직선 왕복 진동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피스톤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원수단은 상기 피스톤의 후단에 개재되는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가스 스프링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는 자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선형 열펌프는 피스톤의 양쪽에 작동기체를 수용하는 두 개의 챔버가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압축과 팽창을 교대로 구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선형 열펌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카르노 사이클과 스터링 사이클의 중간 형태의 열사이클을 유사하게 따름으로써, 종래의 스터링 냉각기와 같은 높은 열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둘째, 콤프레서 등과 같은 복잡한 열순환 구조를 가지는 기존의 냉각기와 달리 특별한 냉매가 필요없이 기체의 압축 및 팽창만으로 냉각이 가능하므로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용이하고 유지보수가 쉽다.
셋째, 기존의 콤프레서와 달리 냉매를 액화시킬 필요가 없이 상대적인 고압 압축이 필요없어 소음이나 압축이 용이하다.
넷째, 밀페된 실린더 내에서 자유 피스톤이 진동하는 에어 타이트한 구조로 고압의 기체로 가동하는 것이 용이하여 체적당 높은 냉각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다섯째, 기체의 팽창과 압축에 따른 직선 운동만 하므로 회전형 열펌프에 비해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에 마찰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여섯째, 피스톤 하단의 스프링부에 충진된 가스는 피스톤의 왕복으로 압축 팽창되므로 저절로 가스 스프링 역할을 하므로 보다 탄성적인 진동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선형 열펌프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열펌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선형 열펌프 중 실린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실린더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선형 열펌프 중 피스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피스톤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열펌프(10)는 실린더(100), 피스톤(200), 열방출부(300), 열흡수부(400) 및 선형 구동부(5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린더(1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수소나 헬륨 등과 같은 작동기 체가 수용된다.
실린더(100)는 실린더 몸체(110)의 전단부(111)가 개방되고, 실린더 몸체(110)의 전단부(111)의 개방면(111a)을 밀폐하도록 체결수단, 예컨대 볼트(125), 리벳, 용접 등에 의해 실린더 헤드부(120)가 결합된다. 여기서, 실린더 몸체(110)의 전단부(111)에는 볼트(125)를 체결 고정하기 위한 볼트구멍(122)이 다수 개 형성된다.
실린더 헤드부(120)는 헤드커버(121) 및 돌출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커버(121)는 소정 두께를 갖는 원판으로 형성되어 실린더 몸체(110)의 전단부(111)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큰 직경을 가지며 실린더 몸체(110)의 전단부(111)의 볼트구멍(112)과 대응되게 가장자리를 따라 볼트구멍(122)이 다수 개 형성되어 볼트(125) 등으로 실린더 몸체(110)의 전단부(111)에 결합된다. 이때, 헤드커버(121)와 실린더 몸체(110)의 전단부(111) 사이에는 원형의 씰링부재(130), 예컨대 고무패킹이 구비되어 실린더(100) 내부의 작동기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씰링부재(130)는 중앙에 실린더 헤드부(120)의 돌출부(12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의 중공부(130a)가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볼트(125)가 관통할 수 있도록 볼트구멍(132)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3)는 헤드커버(121)의 일면에 피스톤(200)과 대향되게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되어 실린더 몸체(110)의 전단부(111)의 개방면(111a)에 삽입된다. 돌출부(123)는 실린더 몸체(110)의 전단부(111)의 내경과 이격된 공간, 바람직하게는 피스톤(200)의 전단부(211) 벽 두께에 대응하는 이격 공간(G)을 제공하여 피스 톤(200)의 전단부(211)가 삽입되는 가이드홈(124)을 형성한다. 이때, 돌출부(123)의 길이, 즉 가이드홈(124)의 길이는 작동기체의 최소 체적 시, 즉 최대 진동에 의한 압축 시 피스톤(200)의 개구부(212)가 열방출부(300)에 위치하도록 피스톤(200)의 선단부위에서 개구부(212)의 선단부위까지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린더(100)는 피스톤(200)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후단부(113)에 개방면(113a)이 형성된다.
실린더(100)는 후술할 열방출부(300)와 열흡수부(400)의 사이에 열을 차폐하기 위해 단열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 몸체(110)는 전체적으로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이루어지고, 열방출부(300)와 열흡수부(400) 사이의 단열부(140)는 세라믹(ceramic), 실리카(silica)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피스톤(200)은 실린더(100)와 피스톤(200) 사이에 밀봉되는 작동기체의 압축 및 팽창을 유발하기 위해 후술할 선형 구동부(500)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실린더 몸체(110)의 내부에 수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유 피스톤(200)을 적용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200)은 피스톤 몸체(210)가 실린더 몸체(110)의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피스톤 몸체(210)의 전단부(211)는 열전도율이 낮은 금속 또는 세라믹 등과 같은 단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스톤(200)은 피스톤 몸체(210)의 전단부(211)에 실린더 헤드부(120)의 돌출부(123)가 삽입되도록 개방면(211a)이 형성되고, 후술할 개구부(212)의 후방부위부터 내부가 밀폐되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피스톤(200)은 개구부(212)의 후방부위에 단열부재(219)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스톤(200)은 작동기체가 열방출부(300) 또는 열흡수부(400)에 직접 접하도록 개구부(212)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개구부(212)가 피스톤 몸체(210)의 전단부(211)에 외경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12)는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 몸체(210)의 전단부(211)는 실린더 몸체(110)의 내벽과 실린더 헤드부(120)의 돌출부(123)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124)의 간격(G)에 대응되는 두께(t)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스톤 몸체(210)의 전단부(211)는 작동기체의 최대 최적 시, 즉 피스톤(200)의 진동 폭이 최대가 될 때 열방출부(300)에 작동기체가 접하는 것을 차단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열방출부(300), 단열부(140), 열흡수부(400) 세 영역의 길이가 동일하다고 할 때 이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서 실린더 헤드부(120)의 돌출부(123) 길이, 즉 가이드 홈(124)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스톤(200)은 피스톤 몸체(210)의 전단부 후방 외주면에 후술할 마그넷(510)이 안착될 수 있도록 마그넷 안착홈(217)이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200)은 실린더 몸체(110)의 내벽과 접하는 부위가 밀봉되도록 피스톤 몸체(210)의 후단부(213)의 외경에 피스톤링(220)이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피스톤 몸체(210)의 외경에는 피스톤링(220)을 안착하여 고정할 수 있는 피스톤링 안착홈(215)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스톤링(220)은 피스톤(200)의 직선 왕복 운동시 실린더(100)의 열흡수부(400) 안쪽에 위치하므로 테프론링과 같은 저온 영역에서 작동되는 재질도 사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스톤 링(220)을 적용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피스톤 링(220) 대신에 실린더 몸체(110)의 내벽에 고정링을 수직 베어링 형태로 배치할 수도 있다.
열방출부(heat source)(300)는 실린더(100)의 전단부(111)에 위치하며, 작동기체의 압축 시 작동기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열방출부(300)는 열전달이 잘되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실린더(100)의 외주면에 링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형태로 선택 가능하다.
열방출부(300)에는 열방출부(300)에서 방출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부(310,32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부(310)는 실린더(100)의 열방출부(300)의 외경에 형성되는 냉각핀(311)과, 냉각핀(311)에 공기를 공급하여 냉각시키는 냉각팬(312) 등을 포함하여 공랭식 냉각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냉각핀(311)은 대기하에서 보다 냉각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기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요철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부(320)는 실린더(100)의 열방출부(300)의 외경에 권선되는 냉각튜브(321)와, 냉각튜브(321)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펌프(322) 등을 포함하여 수냉식 냉각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열흡수부(heat sink)(400)는 실린더(100)의 후단부(113)에 위치하며, 작동기체의 팽창 시 외부로부터 작동기체에 열을 흡수하여 외부에 냉각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열흡수부(400)는 실린더 몸체(110)의 외주면에 링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형태로 선택 가능하다.
열흡수부(400)에는 열흡수부(400)에 의해 냉각되는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냉각순환부(41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순환부(410)는 외부의 공기가 열흡수부(400)를 경유하도록 공기의 순환경로를 제공하는 순환경로챔버(411)와, 순환경로챔버(411)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송풍팬(412)을 구비할 수 있다. 순환경로챔버(411)는 하부에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411a)가 형성되고, 상부에 열흡수부(400)에 의해 냉각된 냉기가 배출되는 토출구(411b)가 형성될 수 있다.
선형 구동부(500)는 피스톤(200)이 작동기체의 압축 및 팽창을 유발하도록 피스톤(200)에 선형의 외부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선형 구동부(500)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기에너지를 피스톤(200)의 직선 왕복 진동을 위한 역학적 기계에너지로 전환하는 역할을 하며, 마그넷(510), 코일(520) 및 전류공급원(530)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마그넷(510)은 피스톤(200)에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피스톤 몸체(210)의 전단부(211) 후방 외주면에 형성된 마그넷 안착홈(217)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코일(520)은 열방출부(300)와 열흡수부(400) 사이의 실린더 몸체(110)의 외경에 마그넷(510)과 대응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권선된다.
코일(520)은 외부의 전류공급원(530)으로부터 전류 인가 시 마그넷(510)의 자력선 변화에 따라 플래밍 왼손법칙에 의해 피스톤(200)이 직선 왕복 진동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전류가 흐르는 코일(520)은 마그넷(510)의 자력선과 직각으로 놓이도록 배치된다. 플래밍 왼손법칙은 전동기의 원리에 적용될 수 있으며, 공지된 기술로 이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류 공급원(530)은 코일(52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반복 전환시켜 마그넷(510)의 자력선 변화를 유도하게 됨으로써, 피스톤(200)이 직선 왕복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전류 공급원(530)으로부터 코일(520)에 시계방향으로 전류가 공급되면, 피스톤(200)은 실린더(100)의 전단부(111) 로 이동하여(왼쪽방향) 작동기체를 압축하게 된다. 전류 공급원(530)으로부터 코일(520)에 반시계방향으로 전류가 공급되면, 즉, 전류의 방향이 반대로 전환되면, 피스톤(200)은 실린더(100)의 후단부(113) 로 이동하여(우측방향) 작동기체를 팽창시키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형 열펌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형 열펌프(20)는 실린더(100), 피스톤(200), 열방출부(300), 열흡수부(400), 선형 구동부(500) 및 복원수단(6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실린더(100)의 단열부(140), 피스톤(200)의 개구부(212) 및 열방출부(300)의 길이를 모두 동일하게 형성하는 구성과, 피스톤(200)의 후단부에 복원수단(600)을 더 구비하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실린더(100)의 단열부(140), 피스톤(200)의 개구부(212) 및 열방출부(300)의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일을 작동기체에 제공함으로써, 도 10a 내지 10d, 및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열흡수부(400)로부터 Q2 및 Q3의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열방출부(300)에 Q1 및 Q4의 열에너지를 방출하는 과정을 통해 열흡수부(400)의 주변에 냉각효과를 발생시키게 된다. 여기서, 열흡수부(300)의 길이는 단열부(140), 개구부(212) 및 열방출부(30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스톤(200)이 지속적인 직선 왕복 진동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팽창된 작동기체를 다시 압축해주는 복원력이 필요하다. 복원수단(600)은 작동기체의 팽창 시 피스톤(20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실린더(100)의 밀폐된 후단부와 피스톤(200)의 후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는 자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이하, 참조부호 '600'으로 설명함) 을 포함하는 실린더(100)의 후단부는 피스톤(200)의 진동에 따라 밀폐된 가스를 압축 팽창시키는 가스스프링(gas spring) 역할을 하게 된다.
이하, 도 10 및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열펌프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a 내지 10d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열펌프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열펌프의 냉동 사이클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먼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넷(510), 코일(520) 및 전류 공급원(530)으로 구성되는 선형 구동부(500)의 외부 구동력을 통해 실린더(100)와 피스톤(200) 사이의 공간에 밀봉되는 작동기체의 체적이 최소가 될 때까지 피스톤(200)을 실린더(100)의 전단부(111)쪽으로 이동시키면(도면에서 좌측방향), 작동기체는 고온 압축 상태가 된다. 이때, 작동기체는 피스톤(200)의 개구부(212)를 통해 열방출부(300)에 직접 접촉하면서 열에너지(Q1)를 방출하게 된다(도 11a의 ② -> ① 고온 압축 과정). 열방출부(300)에서 방출되는 열에너지(Q1)는 도 7a 및 7b에 도시된 바 와 같은 냉각부(310,320)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열방출부(300)와 열흡수부(400)의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부(140)에 의해 열방출부(300)와 열흡수부(400)간 열전달이 차폐된다.
다음으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00)을 실린더(100)의 후단부(113)쪽으로 점차 이동시키면(도면에서 우측방향), 열방출부(300)에 노출된 작동기체는 냉각 팽창하면서 온도가 내려간다. 이때, 작동기체는 열방출부(300)를 통해 열에너지(Q4)를 방출하게 된다(도 11a의 ① -> ④ 고온 팽창 과정).
다음으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00)와 피스톤(200) 사이의 공간에 밀봉되는 작동기체의 최적이 최대가 될 때까지 피스톤(200)을 실린더(100)의 후단부(113)쪽으로 이동시키면(도면에서 우측방향), 작동기체는 저온 냉각 팽창 상태가 된다. 이때, 피스톤(200)의 개구부(212)가 열흡수부(400)에 직접 접촉하면서 작동기체 내부로 열에너지(Q3)가 흡수된다(도 11a의 ④` -> ③ 저온 냉각 팽창 과정). 따라서, 작동기체가 열흡수부(400) 주변의 열에너지(Q3)를 흡수함에 따라 냉각 효과가 발생하게 되며, 열흡수부(400)에 의해 냉각되는 냉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냉각순환부(410)에 의해 순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온 팽창한 작동기체는 계속해서 열에너지(Q3)를 흡수하게 되며, 열방출부(300)가 차단되고 열흡수부(400)만 접촉하면서 작동기체는 가열 압축된다. 이때에도 작동기체의 내부로 열에너지(Q2)의 일부가 흡수된다(도 11a의 ③ -> ②` 저온 냉각 압축 과정).
열방출부(300)와 열흡수부(400) 사이의 단열부(140)를 포함하는 실린더(100)의 축 방향 길이가 피스톤(200)의 개구부(212) 길이보다 길면 순간적으로 단열(adiabatic) 구간(도 11a의 ② -> ②`, ④` -> ④과정)이 존재하여 전체적인 열사이클은 도 11a의 ① -> ② -> ②` -> ③ -> ④` -> ④ -> ① 의 과정의 사이클이 완성된다. 열방출부(300)와 열흡수부(400) 사이의 단열부(140)를 포함하는 실린더(100)의 축 방향 길이가 피스톤(200)의 개구부(212) 길이와 같으면 단열구간이 없는(② = ②`, ④ = ④`) 도 11b와 같은 이상적인 열사이클을 따른다. 열방출 부(300)와 열흡수부(400) 사이의 단열부(140)를 포함하는 실린더(100)의 축 방향 길이가 피스톤(200)의 개구부(212) 길이보다 짧으면 개구부(212)가 열방출부(300)와 열흡수부(400)를 동시에 접하므로 작동기체의 가열과 냉각이 동시에 일어나 단열 효과와 비슷한 효과를 가져와 이 때의 열사이클은 도 11a의 ① -> ② -> ②` -> ③ -> ④` -> ④ ->① 의 과정과 유사한 사이클이 완성된다(미도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열펌프(10)는 실린더(100)와 피스톤(200)으로 이루어진 공간 내에 수소나 헬륨 등 작동기체를 밀봉하고, 외부의 선형 구동력을 통해 외부로부터 |-W|의 일을 작동기체에 제공함으로써, 도 10a 내지 10d, 및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열흡수부(400)로부터 Q2 및 Q3의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열방출부(300)에 Q1 및 Q4의 열에너지를 방출하는 과정을 통해 열흡수부(400)의 주변에 냉각효과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열펌프(10)의 열효율은 아래의 수학식1과 같다.
Figure 112008081913329-PAT00001
수학식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열펌프(열펌프)(10)는 이상적인 열사이클 카르노 엔진과 스터링 엔진의 중간 형태에 거의 유사하므로 높은 열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선형 열펌프(10)는 기존의 콤프레서 등과 같은 복잡한 열순환 구조를 갖는 일반적인 냉각기와는 달리 특별한 냉매가 필 요없이 기체의 압축 및 팽창만으로 냉각이 가능하므로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된 바 없지만, 상술한 선형 열펌프를 직렬로 대칭되는 구조로 채용하여 실린더의 양측 전단부에 각각 수용되는 작동기체를 외부의 선형 동력을 이용하여 압축 및 팽창시킴으로써, 피스톤의 직선 왕복 진동을 더욱 활발하게 하여 선형 열펌프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열펌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선형 열펌프 중 실린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실린더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선형 열펌프 중 피스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피스톤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선형 열펌프 중 열방출부에 구비되는 냉각부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선형 열펌프 중 열흡수부에 구비되는 냉각순환부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형 열펌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a 내지 10d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열펌프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열펌프의 냉동 사이클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0 : 선형 열펌프 100 : 실린더
110 : 실린더 몸체 120 : 실린더 헤드부
121 : 헤드커버 123 : 돌출부
124 : 가이드홈 140 : 단열부
200 : 피스톤 210 : 피스톤 몸체
212 : 개구부 220 : 피스톤링
300 : 열방출부 310,320 : 냉각부
400 : 열흡수부 410 : 냉각순환부
500 : 선형 구동부 510 : 마그넷
520 : 코일 530 : 전류공급원
600 : 복원수단

Claims (14)

  1. 내부에 작동기체가 수용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전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작동기체의 압축 시 상기 작동기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열방출부;
    상기 실린더의 후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작동기체의 팽창 시 상기 작동기체가 외부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외부에 냉각 효과를 제공하는 열흡수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작동기체가 상기 열방출부 또는 상기 열흡수부에 직접 접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기체의 압축 및 팽창을 유발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이 상기 작동기체의 압축 및 팽창을 유발하도록 상기 피스톤에 외부의 선형 구동력을 제공하는 선형 구동부를 포함하는 선형 열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열방출부와 상기 열흡수부의 사이에 단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열펌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실린더의 전단부를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실린더 헤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열펌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헤드부는 상기 작동기체의 최대 압축 시 상기 개구부가 상기 열방출부에 위치하도록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열펌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헤드부는 상기 실린더의 내경과 이격된 공간을 제공하여 상기 피스톤의 전단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피스톤과 대향되는 일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열펌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방출부 및 열흡수부는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링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열펌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방출부에는 상기 열방출부에서 방출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열펌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열방출부의 외경에 형성되는 냉각핀; 및
    상기 냉각핀에 공기를 공급하여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하는 선형 열펌프.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열방출부의 외경에 권선되는 냉각튜브; 및
    상기 냉각튜브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펌프를 포함하는 선형 열펌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흡수부에는 상기 열흡수부에 의해 냉각되는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냉각순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열펌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순환부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열흡수부를 경유하도록 공기의 순환경로를 제공하는 순환경로챔버; 및
    상기 순환경로챔버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선형 열펌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구동부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기에너지를 상기 피스톤의 직선 왕복 진동을 위한 역학적 기계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열펌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구동부는,
    상기 피스톤의 외경에 구비되는 마그넷; 및
    상기 실린더의 외경에 권선되며, 외부 전류를 인가 시 상기 마그넷의 자력선의 변화에 따라 상기 피스톤이 직선 왕복 진동하도록 구동시키는 코일을 포함하는 선형 열펌프.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직선 왕복 진동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피스톤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수단을 더 포함하는 선형 열펌프.
KR1020080118894A 2008-11-27 2008-11-27 선형 열펌프 KR101021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894A KR101021584B1 (ko) 2008-11-27 2008-11-27 선형 열펌프
US13/131,862 US20110225966A1 (en) 2008-11-27 2009-11-27 Heat pump
CN2009801477725A CN102227553A (zh) 2008-11-27 2009-11-27 热泵
PCT/KR2009/007037 WO2010062134A2 (ko) 2008-11-27 2009-11-27 열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894A KR101021584B1 (ko) 2008-11-27 2008-11-27 선형 열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328A true KR20100060328A (ko) 2010-06-07
KR101021584B1 KR101021584B1 (ko) 2011-03-17

Family

ID=42361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894A KR101021584B1 (ko) 2008-11-27 2008-11-27 선형 열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5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670A1 (ko) * 2021-01-08 2022-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CN114962989A (zh) * 2022-06-20 2022-08-30 樊品良 一种氢气无油净水增压系统
CN116682643A (zh) * 2023-07-12 2023-09-01 沈阳恒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静音式智能调节散热变压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1472B2 (ja) 2002-07-26 2006-06-28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スターリングエンジン
JP3797294B2 (ja) * 2002-08-05 2006-07-12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スターリングエンジンおよびアクチュエータ
KR100508462B1 (ko) * 2003-10-06 2005-08-17 이성우 흡입·배출 밸브가 없는 왕복 펌프 및 이를 구비한 열교환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670A1 (ko) * 2021-01-08 2022-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CN114962989A (zh) * 2022-06-20 2022-08-30 樊品良 一种氢气无油净水增压系统
CN114962989B (zh) * 2022-06-20 2024-04-05 樊品良 一种氢气无油净水增压系统
CN116682643A (zh) * 2023-07-12 2023-09-01 沈阳恒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静音式智能调节散热变压器
CN116682643B (zh) * 2023-07-12 2024-02-23 云南博达通祥电力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静音式智能调节散热变压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1584B1 (ko) 201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36456A (ja) パルス管型蓄熱機関
KR101021584B1 (ko) 선형 열펌프
JP2002061974A (ja) スターリング冷凍システム及び冷却装置
KR101045871B1 (ko) 선형 열기관
JP2009047152A (ja) フリーピストン型スターリングサイクルサイクル機関
US20110225966A1 (en) Heat pump
JP2009198084A (ja) パルス管型蓄熱機関
JP6054079B2 (ja) スターリング型冷凍機
KR101060647B1 (ko) 회전 열펌프
KR20110097065A (ko) 극저온 냉동기
JP2008292084A (ja) スターリング冷凍機
KR20100060338A (ko) 회전 열펌프
JP2006112260A (ja) 熱音響エンジン
US20170271950A1 (en) Stirling engine having energy regeneration structure using waste heat recovery
KR100283156B1 (ko) 무윤활 맥동관 냉동기의 예냉기 구조
JP2015148373A (ja) スターリング冷凍機
CN212695848U (zh) 一种直线电机冷却结构
JP3878924B2 (ja) スターリング冷凍機
KR100304575B1 (ko) 맥동관 냉동기
KR100393791B1 (ko) 극저온 냉동기의 방열 장치
RU2298690C1 (ru) Тепловой компрессор
KR100273437B1 (ko) 선형 액츄에이터 방열구조
JP2009191669A (ja) スターリングサイクル装置
CN113922587A (zh) 一种直线电机冷却结构
KR20030066151A (ko) 쿨러의 실린더 및 내부 열교환기 실링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