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0182A - 벌목작업용 재킷 - Google Patents

벌목작업용 재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0182A
KR20100060182A KR1020080118678A KR20080118678A KR20100060182A KR 20100060182 A KR20100060182 A KR 20100060182A KR 1020080118678 A KR1020080118678 A KR 1020080118678A KR 20080118678 A KR20080118678 A KR 20080118678A KR 20100060182 A KR20100060182 A KR 20100060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jacket
polyester
felling
log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5702B1 (ko
Inventor
장기환
조자영
김수정
Original Assignee
한국패션산업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패션산업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패션산업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18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702B1/ko
Publication of KR20100060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24Resistant to mechanical stress, e.g. pierce-proof
    • A41D31/245Resistant to mechanical stress, e.g. pierce-proof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2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08Heat resistant; Fire retardant
    • A41D31/085Heat resistant; Fire retardant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동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킨 벌목작업용 재킷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목작업용 재킷은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겉감과, 겉감의 내측에 부착되는 보강재를 포함하며, 보강재는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메쉬(mesh) 형태의 제1 직물과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복수의 직물로 적층된 제2 직물로 이루어진다.
벌목작업용재킷, 겉감, 보강재, 아라미드섬유, 폴리에스테르섬유

Description

벌목작업용 재킷 {CHAINSAW PROTECTIVE JACKET}
본 발명은 벌목작업용 재킷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활동성과 안전성을 개선한 벌목작업용 재킷에 관한 것이다.
벌목작업은 작업자가 기계톱을 사용하여 목재 등을 절단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통상의 벌목작업복은 재킷과 바지로 이루어지며, 벌목장이나 제재소 등과 같이 기계톱을 사용하는 장소에서 작업자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착용하여야 하는 보호 장비이다. 특히, 손, 팔, 다리, 머리 등은 기계톱의 톱날이나 파편 등에 의해 부상을 입기 쉬우므로, 더욱 보호가 요구된다.
종래의 벌목작업복 바지는 여러 겹의 보강재가 내장되어 부상을 방지하고 있으나, 벌목작업복 재킷은 보강재가 거의 내장되어 있지 않아 작업자의 신체 보호 기능이 미비하였다. 이와 같이 안전성이 미비한 작업복은 안전사고에 의한 부상을 야기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보강재를 벌목작업복 바지 및 재킷에 동일하게 적용하는 경우, 보강재의 무게와 두께로 인해 양 팔의 움직임이 크게 둔화되어 작업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활동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킨 벌목작업용 재킷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목작업용 재킷은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겉감과, 겉감의 내측에 부착되는 보강재를 포함하며, 보강재는 가볍고 착용감이 뛰어나며 절단강도가 높은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메쉬(mesh) 형태의 제1 직물과 높은 강력을 가지며 영률이 큰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복수의 직물로 적층된 제2 직물로 이루어진다.
아라미드 섬유의 섬도는 1,500 내지 1,800 데니어이고,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섬도는 1,000 내지 1,200 데니어일 수 있다. 제2 직물은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제직된 세 겹의 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직물은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제직된 두 겹의 직물과 아라미드 섬유로 제직된 한 겹의 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직물은 아라미드 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경위사에 교대로 사용된 평직을 세 겹으로 배치한 것일 수 있다. 제1 직물은 제2 직물보다 겉감에 가깝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강재는 겉감의 어깨 부분 측면 및 팔 부분 측면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겉감의 손목 부분에는 옥스퍼드 조직의 나일론이 채택되고, 겉감의 가슴, 등, 어깨, 팔 및 목 부분에는 형광색의 폴리에스테르 직물이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벌목작업용 재킷은 효과적으로 작업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고, 활동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벌목작업용 재킷은 통풍 효과가 우수하고, 착용감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목작업용 재킷(100)의 정면 및 배면을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목작업용 재킷(100)은 작업자의 상반신을 보호하기 위한 재킷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벌목작업용 재킷(100)의 어깨선 및 팔선은 허리 쪽으로 휘어지는 곡선 형상을 가진다. 종래의 벌목작업복은 어깨선과 팔선이 거의 직선이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목작업용 재킷(100)은 어깨선과 팔선이 부드러운 곡선 형상을 가짐에 따라 몸을 구부리거나 팔을 움직일 때, 어깨가 당기는 현상을 완화시킨다.
벌목작업용 재킷(100)은 겉감(10)과 보강재(20)를 포함한다. 겉감(10)은 벌목작업용 재킷(100)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여 외부 작업 환경에 노출된다. 겉감(10)의 손목 부분(24)은 마모되기 쉬우므로, 내구성이 우수한 옥스퍼드 조직의 나일론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겉감(10)의 가슴, 등, 어깨, 팔 및 목 부분은 가시성이 높은 형광색 원단으로 이루어져 작업자의 위치가 쉽게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형광색 원단은 형광 주황색일 수 있다.
벌목 작업용 재킷(100)의 정면 가운데 부분에는 수직으로 지퍼(12)가 부착된다. 겉감(10)은 지퍼(12)를 완전히 덮는 연장부(14)를 형성한다. 연장부(14)는 작업 중 지퍼(12)의 틈에 목재 파편이나 이물질이 끼지 않도록 지퍼(12)를 보호한다. 그리고 연장부(14)에는 연장부(14)가 지퍼(12)를 온전히 덮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단추(14a)가 부착된다. 도 1a에서는 연장부(14)가 -Y축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그 반대의 경우 즉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퍼를 덮는 것도 가능하다.
겉감(10)은 복수의 주머니(16)를 포함한다. 주머니(16)는 겉감(10)의 정면 좌우측에 각각 2개씩 총 4개로 형성된다. 주머니(16)는 내측에 작업공구나 소지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가진다. 주머니(16)의 입구에는 주머니 지퍼(도시하지 않음)가 부착되어 주머니(16)의 입구를 열거나 닫는다. 그리고 전술한 연장부(14)와 같이, 겉감(10)의 일부가 주머니 지퍼를 덮도록 연장되어 주머니 지퍼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한다.
벌목작업복 재킷(100)은 복수의 통풍부(18)를 포함한다. 통풍부(18)는 벌복작업복 재킷(100)의 내부로 바람이 통하게 하여 땀 등을 식힘으로써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통풍부(18)는 제1 통풍부(181)와 제2 통풍부(182)의 두가지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통풍부(181)는 겉감(10)의 내측에 위치하는 통풍 직물(183)(도 1b 참조) 로 이루어진다. 통풍 직물(183)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이 홀들을 통해 바람을 통과시킨다. 겉감(10)은 통풍 직물(183)을 통해 바람이 유입될 수 있도록 통풍 직물(183)에 대응하는 부분이 개방된다. 즉, 제1 통풍부(181)는 안쪽면이 통풍 직물(183)로 이루어진 주머니 형상을 가진다. 제1 통풍부(181)는 통풍 직물(183)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벌목작업복 재킷(100)의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이 방지된다. 제1 통풍부(181)는 좌우측 가슴 부분과 등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b의 확대원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통풍부(182)는 전술한 통풍 직물(183)과 통풍 지퍼(184)로 이루어진다. 통풍 지퍼(184)는 겉감(10)에 부착되며, 통풍이 필요한 경우 열어 바람을 통하게 하고 통풍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닫음으로써 바람의 유입을 차단한다. 제2 통풍부(182)는 좌우측 겨드랑이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벌목작업용 재킷(100)의 목 부분(collar, 칼라)은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스탠드형으로 높게 형성한다. 그리고 목 부분의 내측면(22)은 보온성 소재를 사용하여 겨울철 작업시 목 부분을 통해 전해지는 차가운 느낌을 낮춤으로써 착용감을 높인다. 일례로, 보온성 소재는 폴라 플리스(Polar Fleece)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목작업복 재킷(100)의 안쪽면을 나타낸다. 여기서, 안쪽면이란 벌목작업복 재킷(100)의 안쪽과 바깥쪽이 바뀌도록 뒤집었을 때, 노출된 등쪽 면을 의미한다.
보강재(30)는 겉감(10)의 내측에 부착된다. 보강재(30)는 어깨 및 팔 부분에 대응하여 부착된다. 이때, 보강재(30)는 팔의 안쪽 부분, 즉 옆구리를 향한 부분을 제외한 어깨 및 팔 부분을 감싼다. 이에 따라 보강재(30)의 부피가 감소하여 무게가 작아지고 팔의 움직임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통풍 직물(183)은 등의 상단 부분과 좌우측 겨드랑이 부분에 걸쳐 형성된다. 통풍 직물(183)은 작업시 열과 땀이 많이 분비되는 등과 겨드랑이 부분에 넓게 형성된다.
벌목작업용 재킷(100)의 손목 부분은 겉감(10)과 고무단(20)의 이중 소매 구조를 가진다. 겉감(10)은 손목 부분이 마모되지 않도록 하며, 스냅 단추를 통해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고무단(20)은 벌목작업용 재킷(100)의 안쪽으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손목 주변의 입구를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고무단(20)은 통풍 직물(201)에 의해 겉감(10)에 연결된다. 여기서, 손목 부분의 통풍 직물(201)은 전술한 통풍부(18)의 통풍 직물(183)과 동일하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보강재(30)를 확대 분해하여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재(30)는 제1 직물(32)과 제2 직물(34) 및 안감지(36)를 포함한다. 제1 직물(32)은 메쉬(mesh) 형태로 이루어지며, 섬유들 사이의 폭은 기계톱의 톱날이 끼워지기에 적당하도록 형성된다. 제1 직물(32)은 강도가 높은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다. 아라미드 섬유는 가볍고 착용감이 뛰어나며 절단강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제1 직물(32)인 아라미드 섬유는 1,500 내지 1,800 데니어의 섬도를 가진다. 따라서 톱날이 닿더라도 쉽게 절단되지 않고 전기톱의 회전을 멈추기에 용이하다. 일례로, 제1 직물(32)은 케블라(Kevlar)일 수 있다.
제2 직물(34)은 복수의 직물이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세 겹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제2 직물(34)은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1,000 내지 1,200 데니어의 섬도를 가질 수 있으며, 높은 강력을 가지고, 영률이 큰 장점이 있다. 도 2에서는 세 겹의 폴리에스테르 직물로 이루어진 제2 직물(34)을 도시하였으나, 제2 직물은 두 겹의 폴리에스테르 직물과 한 겹의 아라미드 직물로 이루어지거나, 한 겹의 폴리에스테르 직물과 두 겹의 아라미드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폴리에스테르 직물과 아라미드 직물은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한 겹의 아라미드 직물과 두 겹의 폴리에스테르 직물로 이루어지는 경우, 아라미드 직물이 제1 직물 측에 배치되거나, 아라미드 직물이 폴리에스테르 직물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직물은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아라미드 섬유가 혼합된 직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 즉, 제2 직물은 아라미드 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경위사에 교대로 사용한 평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아라미드 섬유가 톱날의 회전을 차단하고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톱날이 작업자의 몸에 닿지 않도록 하므로, 두 가지 섬유의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직물(32) 및 제2 직물(34)은 바이어스로 재단되어 사용된다. 바이어스 재단된 제1 직물(32) 및 제2 직물(34)은 우수한 신축성을 가지므로, 보강재(30)의 신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제1 직물(32)은 제2 직물(34)보다 겉감(10)에 가깝게 배치된다. 보강재(30)는 겉감(10) 측으로부터 제1 직물(32)과 제2 직물(34)이 차례로 위치하도록 형성된 다. 즉, 작업자가 벌목작업용 재킷(100)을 입으면, 제2 직물(34)이 작업자의 피부 측에 위치하고, 그 바깥으로 제1 직물(32)이 위치한다.
이와 같은 제1 직물(32) 및 제2 직물(34)의 배치에 의해, 기계톱의 톱날이 벌목작업용 재킷에 닿는 경우, 강도가 큰 제1 직물(32)이 톱날을 끼워 회전을 정지시키고, 제2 직물(34)이 톱날이 작업자의 신체에 닿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를 보호한다.
그리고 제1 직물(32)과 제2 직물(34)의 바깥쪽에는 안감지(36)가 위치하여 제1 직물(32) 및 제2 직물(34)을 감싸고 있다. 안감지(36)는 제1 직물(32)과 제2 직물(34)이 원 형태대로 유지되도록 하며, 이물질에 의해 제1 직물(32) 및 제2 직물(34)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안감지(36)는 편물 메쉬 또는 매우 얇고 바이어스로 재단된 직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신축성과 통기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목작업용 재킷에 있어서,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작업 중 기계톱이 벌목작업용 재킷에 닿으면, 톱날은 회전에 의해 제1 직물(32)의 섬유들 사이에 끼워진다. 그리고 톱날은 강도가 높은 제1 직물(32)에 의해 섬유들 사이에 고정된 채로 멈추게 된다. 이때 제2 직물(34)은 제1 직물(32)에 끼워진 톱날이 작업자의 신체에 닿지 않도록 톱날을 차단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목작업용 재킷은 안전 사고로부터 작업자의 신체를 보호한다.
종래의 벌목작업용 재킷은 보강재가 내장되어 있지 않아서 작업자의 신체보 호 기능이 없었다. 또한, 보강재로서 폴리에스터를 여러 겹 사용하는 경우 안전성은 높아질 수 있지만, 보강재 자체의 무게도 증가하므로 팔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작업 효율을 낮추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목작업용 재킷(100)은 강도가 큰 제1 직물(32)과 제2 직물(34)로 이루어진 보강재(30)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작업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강도가 큰 제1 직물(32)을 보강재(30)로 채택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무거운 제2 직물(34)을 적은 수의 겹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벌목작업용 재킷(100)의 무게를 작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활동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주요 부상 부위인 팔의 바깥쪽에만 보강재(30)를 형성함에 따라 벌목작업용 재킷(100)의 전체적인 무게 및 부피를 크게 낮추어 활동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목작업용 재킷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목작업복 재킷의 안쪽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보강재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벌목작업복 10: 겉감
30: 보강재 32: 제1 직물
34: 제2 직물 36: 안감지

Claims (8)

  1.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겉감; 및
    상기 겉감의 내측에 부착되는 보강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재는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메쉬(mesh) 형태의 제1 직물과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복수의 직물로 적층된 제2 직물로 이루어진 벌목작업용 재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라미드 섬유의 섬도가 1,500 내지 1,800 데니어이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섬도가 1,000 내지 1,200 데니어인 벌목작업복 재킷.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직물은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제직된 세 겹의 직물을 포함하는 벌목작업용 재킷.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직물은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제직된 두 겹의 직물과 아라미드 섬유로 제직된 한 겹의 직물을 포함하는 벌목작업용 재킷.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직물은 아라미드 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경위사에 교대로 사용된 평직을 세 겹으로 배치한 것인 벌목작업용 재킷.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물은 상기 제2 직물보다 상기 겉감에 가깝도록 배치되는 벌목작업용 재킷.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겉감의 어깨 부분 측면 및 팔 부분 측면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벌목작업용 재킷.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겉감의 손목 부분에는 옥스퍼드 조직의 나일론이 채택되고, 상기 겉감의 가슴, 등, 어깨, 팔 및 목 부분에는 형광색의 폴리에스테르 직물이 채택된 벌목작업용 재킷.
KR1020080118678A 2008-11-27 2008-11-27 벌목작업용 재킷 KR100995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678A KR100995702B1 (ko) 2008-11-27 2008-11-27 벌목작업용 재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678A KR100995702B1 (ko) 2008-11-27 2008-11-27 벌목작업용 재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182A true KR20100060182A (ko) 2010-06-07
KR100995702B1 KR100995702B1 (ko) 2010-11-19

Family

ID=42361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678A KR100995702B1 (ko) 2008-11-27 2008-11-27 벌목작업용 재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7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816U (ko) * 2019-10-07 2021-04-15 (주)득금티앤씨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6723A (en) 1991-02-15 1992-08-11 Lion Apparel, Inc. Firefighter garment with mesh liner
KR100629459B1 (ko) 2004-07-09 2006-09-28 주식회사 파이로 방열복의 피복 적층구조
US8516615B2 (en) 2007-03-14 2013-08-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rotective garment including a mesh liner lay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816U (ko) * 2019-10-07 2021-04-15 (주)득금티앤씨 개선된 열차단 및 통풍 구조를 갖는 방열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5702B1 (ko) 201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12056A1 (en) Wearable body armor
KR100960362B1 (ko)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KR101014877B1 (ko) 다중 내열 방수 장갑
EP3352600B1 (en) Improved saw protection
US6893703B2 (en) Safety blanket for accident victim
US20150143620A1 (en) Cut Resistant Garment
KR100995702B1 (ko) 벌목작업용 재킷
KR100995703B1 (ko) 벌목작업복 바지
KR20120009016U (ko) 용접복
KR200173117Y1 (ko) 기계톱 작업용 안전보호복
EP2409585A2 (en) Chainsaw Protective Trousers Or Chaps
JP2021021175A (ja) メッシュベスト
JP4354005B1 (ja) チェーンソー作業用防護下衣
CN206186443U (zh) 一种油锯伐木防割工作服
JP2004244741A (ja) チェーンソー用耐切創衣服
US20040148680A1 (en) Protective clothing, in particular glove
WO2021070264A1 (ja) 切創防止用防護素材及び切創防止具
KR200189041Y1 (ko) 작업용 안전장갑
CN214630000U (zh) 一种可拆卸阻燃防割防刺工作服
KR102177612B1 (ko) 내절단성 앞치마
KR20100061609A (ko) 통풍성이 우수한 용접복
CN116326858A (zh) 一种防链条锯切割服装
US20040152382A1 (en) Protective garment
JP2021059827A (ja) 切創防止用防護素材及び切創防止具
JP2596690Y2 (ja) 溶接用保護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