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4877B1 - 다중 내열 방수 장갑 - Google Patents

다중 내열 방수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4877B1
KR101014877B1 KR1020100085063A KR20100085063A KR101014877B1 KR 101014877 B1 KR101014877 B1 KR 101014877B1 KR 1020100085063 A KR1020100085063 A KR 1020100085063A KR 20100085063 A KR20100085063 A KR 20100085063A KR 101014877 B1 KR101014877 B1 KR 101014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glove
resistant
moisture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옥
김지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로
Priority to KR1020100085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4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29Protective gloves with thermal or fire pro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06Gloves made of several layers of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1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05Protective gloves resistant to mechanical aggressions, e.g. cutting. pierc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23Protective gloves absorbing shocks or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60/00Materials; Physical forms thereof
    • B60B2360/30Synthetic materials
    • B60B2360/34Reinforced plastics
    • B60B2360/341Reinforced plastics with fibres
    • B60B2360/3414Aramide 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내열 방수 장갑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고온의 열이 착용자의 손에 전달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착용부를 습기가 없는 최적의 환경으로 조성하여 사용자를 보호하고 작업능률을 증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내열 방수 장갑은, 각각 착용자의 손을 넣고 뺄 수 있으면서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된 내부 장갑(20), 중간 장갑(30), 외부 장갑(40)이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 장갑은 폴리에스테르 플리스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 장갑은 투습방수필름의 외부면과 내부면에 각각 다공성의 제1,2보강층이 라미네이팅된 3개 층의 층상구조 또는 외부면에만 내열성과 인장강도가 강한 파라계 아라미드 니트 원단 1개의 보강층이 라미네이팅된 2개 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 장갑의 손등은 아라미드 원단을 포함하는 내열 원단으로 이루어지면서 손바닥은 상기 내열 원단의 표면에 실리콘 등이 코팅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내부 장갑은 폴리에스테르 플리스 원단, 중간 장갑은 투습방수가 가능한 원단, 외부 장갑의 손등은 내열 섬유의 내부면에 투습방수 필름이 라미네이팅되고 내열 펠트가 접착되어 이루어지면서 손바닥은 내열 섬유의 표면에 실리콘 등이 코팅되어 4개 층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장갑은 폴리에스테르 플리스 원단, 중간 장갑은 투습방수필름의 외부면과 내부면에 각각 다공성의 제1,2보강층이 라미네이팅된 3개 층의 층상구조 또는 외부면에만 내열성과 인장강도가 강한 파라계 아라미드 니트 원단 1개의 보강층이 라미네이팅된 2개 층으로 이루어지며, 외부 장갑은 내열 섬유의 내부면에 투습방수 필름이 라미네이팅되고 내열 펠트가 접착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다중 내열 방수 장갑{WATERPROOF GLOVES}
본 발명은 다중 내열 방수 장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고온의 열이 착용자의 손에 전달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착용부를 습기가 없는 최적의 환경으로 조성하여 사용자를 보호하고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는 다중 내열 방수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현장 특히, 열을 이용한 작업을 행할 경우에는 작업자의 안전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바, 현재 안전수단으로는 머리보호를 위한 헬멧과 손 보호를 위한 안전장갑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수작업이 많은 작업인 경우에는 안전장갑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내열 안전 장갑은 열을 이용한 산업분야 특히, 용접작업에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며, 또한, 소방용 안전장갑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등산용으로도 사용가능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내열 안전 장갑은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의 원단으로 이루어진 내피와 투습방수가 가능한 방수피로 구성되어지며, 제조과정은 일반적인 장갑과 마찬가지로 내피 외표면에 방수피를 감싸지도록 한 후, 그 외표면에 외피를 감싸 절개된 부위를 재봉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내피와 외피에 의한 내열성과 이들 사이에 내삽된 방수피에 의해 방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피 및 외피는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나, 물에 대한 방수기능은 전혀 갖지 않게 되므로 물 접촉시 외피가 물을 흡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내열 방수장갑에서는 내열성이 우수하여 열을 이용한 작업현장에서는 용이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열을 이용하면서 물 접촉이 요구되는 작업을 행함에 있어서는 내피와 외피 사이에 내삽된 방수피에 의해 어느 정도 방수효과를 얻을 수는 있으나, 외피의 선단부로부터 물이 흡수전달되어 장시간 착용상태로 작업을 행하게 되면, 외피로 부터 흡수된 수분(물)이 장갑의 손목부위(재봉부위)에 까지 전달되어 방수피에 의해 방수되고 있는 내피에 까지 수분이 흡수전달되므로 정상적인 방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내열 방수 장갑으로써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며, 또한, 상기 내열 방수장갑을 착용한 상태로 작업도구나 기타 물건을 파지할 경우에 쉽게 미끄러져 파지하고 있던 작업도구나 물건을 떨어뜨리게 되는 경우가 비일비재(非一非再)하였을 뿐만 아니라, 내열 방수 장갑의 각각 손가락이 삽입되는 부위의 외피와 내피 및 방수피의 가장자리 전체가 재봉된 상태이므로 착용시 재봉된 부위에 의해 압박감을 주게 되어 착용감이 떨어지게 되며 전체부위를 재봉하야 되므로 작업공정이 번거롭게 되는 등의 많은 폐단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받은 특허 제0426604호 내열 방수 장갑이 있다.
상기 내열 방수 장갑은,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의 원단으로 이루어진 내피와 외피 및 투습방수가 가능한 방수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내피와 외피 및 방수피의 겹쳐져 재봉되는 하단부위에 물흡착방지원단으로 이루어진 수분차단부재가 외피를 감싸며 재봉되고, 상기 외피의 바닥면에는 가죽으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부재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봉착되며, 상기 내피의 손가락이 끼워져 삽입되는 부위의 가장자리 부위에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열 방수 장갑에 따르면, 물흡착방지원단(wickwell)으로 이루어진 수분차단부재가 재봉되어 물에 접촉된 외피로부터 수분이 내피로 흡수 전달되는 것을 방지되므로 내열은 물론, 완벽한 방수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장갑의 바닥면 적소에 미끄럼 방지부재가 봉착됨에 따라, 장갑 착용상태에서의 파지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장갑 착용시 손가락이 삽입되는 내피의 가장자리 부위를 재봉하지 않고 절개된 상태로 이루도록 하여 장갑 착용시 작업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재봉에 따른 작업공정을 줄여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지만, 손등과 손바닥의 단부가 단순하게 마감 처리 즉, 내피와 외피를 재봉 처리한 것이기 때문에 손등과 손바닥을 흐르는 물이 장갑의 내부와 손목 감싸개에 침투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외피와 내피 등을 내열, 방수 원단으로 사용하고 있긴 하지만, 최적의 원단이 아니기 때문에 장갑에 물(수분)이 흡수되어 착용감이 좋지 않은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고온의 열이 착용자의 손에 전달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착용부를 습기가 없는 최적의 환경으로 조성하여 사용자를 보호하고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는 다중 내열 방수 장갑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내열 방수 장갑은, 각각 착용자의 손을 넣고 뺄 수 있으면서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된 내부 장갑, 중간 장갑, 외부 장갑이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 장갑은 폴리에스테르 플리스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 장갑은 투습방수 필름의 외부면(아라미드계 섬유 또는 동등 이상의 내열섬유)과 내부면(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에 각각 다공성의 제1,2보강층이 라미네이팅된 3개 층의 층상구조 또는 외부면에만 내열성과 인장강도가 강한 파라계 아라미드 니트 원단 1개의 보강층이 라미네이팅된 2개 층의 층상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 장갑의 손등은 아라미드 원단 또는 동등 이상의 내열 섬유로 이루어지면서 손바닥은 아라미드 원단 또는 동등 이상의 내열 섬유 표면이 코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내부 장갑은 폴리에스테르 플리스 원단, 중간 장갑은 투습방수가 가능한 원단, 외부 장갑의 손등은 내열 섬유의 내부면에 투습방수 필름이 라미네이팅되고 내열 펠트가 접착되어 이루어지면서 손바닥은 아라미드 원단 또는 동등 이상의 내열 섬유 표면에 내열성이 강한 실리콘계가 코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장갑은 폴리에스테르 플리스 원단, 중간 장갑은 투습방수필름의 외부면과 내부면에 각각 다공성의 제1,2보강층이 라미네이팅된 3개 층의 층상구조 또는 외부면에만 내열성과 인장강도가 강한 파라계 아라미드 니트 원단 1개의 보강층이 라미네이팅된 2개층의 층상구조, 외부 장갑의 손등은 내열 섬유의 내부면에 투습방수 필름이 라미네이팅되고 내열 펠트가 접착되어 이루어지면서 손바닥은 아라미드 원단 또는 동등 이상의 내열 섬유 표면에 내열성이 강한 실리콘계가 코팅되어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내열 방수 장갑에 의하면, 중간 장갑과 외부 장갑이 내열과 방수 성능을 다중으로 발휘할 수 있어 열에 의한 변형과 손상을 극소화함으로써 사용자의 화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고, 또한, 외부로부터 수분의 침투를 다중으로 차단함과 아울러 내부의 습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여 습기가 없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여 착용감을 증대하므로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내열 방수 장갑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다중 내열 방수 장갑의 원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다중 내열 방수 장갑의 원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다중 내열 방수 장갑의 원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내열 방수 장갑에 충격흡수재가 적용된 예시도.
<실시예 1>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다중 내열 방수 장갑(10)은, 내부 장갑(20), 중간 장갑(30) 및 외부 장갑(40)이 각각 공기층을 두고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즉, 내부 장갑(20), 중간 장갑(30) 및 외부 장갑(40)은 각각 착용자의 손을 넣고 뺄 수 있으면서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장갑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 장갑(20) - 중간 장갑(30) - 외부 장갑(40)의 순서로 크게 형성된다.
이하, 내부 장갑(20), 중간 장갑(30) 및 외부 장갑(40)의 원단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내부 장갑(20)은 폴리에스테르 플리스(polyester fleece) 원단(21) 내지 동등 이상의 보온원단으로 이루어진다.
폴리에스테르 플리스 원단(21)은 폴리에스테르 원단에 기계적인 기모를 일으켜 부드러운 털로 가공된 것으로, 가볍고 보온 효과가 탁월하며 물에 잘 젖지 않고 젖어도 보온력을 유지하며 빨리 건조된다. 따라서, 동절기에 외부 온도가 낮아도 착용자의 손을 따듯하게 보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분이 외부 장갑(40)과 중간 장갑(30)을 통해 침투하거나 착용자의 손목 등을 타고 내부에 침투하여도 젖지 않을 뿐 아니라 착용자의 손에 땀이 나더라도 수분에 의한 불쾌감을 없앨 수 있다.
내부 장갑(20)은 착용자의 손이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촉감뿐만 아니라 활동감에 큰 영향을 준다. 따라서, 내부 장갑(20) 안에서 손가락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원활한 공기 순환을 위하여 손가락의 양측 옆(손가락 사이) 중 일측 이상(도면에는 양측으로 도시됨)에는 다공성의 통풍망(22)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다공성 망(22)은 부채꼴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 장갑(20)의 손가락부(23)의 양측에 봉재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통풍망(22)은 공기가 통하도록 함과 아울러 착용자의 손가락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유연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중간 장갑(30)은 투습방수필름(31), 제1,2보강층(32,33) 또는 1개의 보강층(34)(외부면에만 내열성과 인장강도가 강한 파라계 아라미드 니트 원단 1개의 보강층(34)이 라미네이팅)으로 구성된 투습방수가 가능한 원단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중간 장갑(30)은 투습방수가 가능한 것으로 투습방수필름(31)의 외부쪽에 강력사 나일론 니트 또는 폴레에스테르 니트로 이루어진 제1보강층(32)이, 내부쪽에 아라미드 니트로 이루어진 제2보강층(33)이 라미네이팅됨으로써 3개층의 층상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는 외부면에만 내열성과 인장강도가 강한 파라계 아라미드 니트 원단 1개의 보강층(34)이 라미네이팅된 2개 층의 층상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투습방수필름(31)은 착용자의 손에서 생긴 땀 등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지만 외부의 공기와 수분을 내부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차단함으로써 항상 쾌적한 착용감을 부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TFE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제1,2보강층(32,33)은 내열성, 강도 등이 우수하며 투습방수필름(31)의 기능을 막지 않는 다공성의 원단(투습방수필름(31) 내부의 공기와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공성으로 이루어져야 한다)으로서, 예컨대 제1보강층(32)은 강력사 나일론 니트 또는 폴레에스테르 니트, 제2보강층(33)은 아라미드 니트가 적용될 수 있다.
제1보강층(32)인 내열성과 강도가 우수한 강력사 나일론 니트 또는 폴레에스테르 니트로서 열에 의한 자체 변형이 없으며 열이 착용자의 손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제2보강층(33)은 아라미드 니트로서 내열성이 우수하여 열에 의한 자체 변형이 없으며 열이 착용자의 손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제1,2보강층(32,33)은 열 및 접착물(예를 들어, CPE(Chlorinated polyethylene) 접착물)에 의해 라미네이팅된다. 상기 접착물은 투습방수필름(31)과 제1,2보강층(32,33)의 사이에 각각 접착층을 형성하여 중간 장갑(30)을 5개 층의 층상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외부 장갑(40)의 손등은 아라미드계 섬유 또는 동등 이상의 내열 섬유(41)로 이루어진다.
외부 장갑(40)의 손바닥은 화염과 고온의 열기, 물과 직접적으로 접하기 때문에 내열성과 방수성이 우수한 아라미드계 섬유 또는 동등 이상의 내열 섬유 또는 이들 섬유의 표면이 실리콘계 코팅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외부 장갑(40)은 내열 섬유(41)의 표면 중에서 손바닥과 손끝 및 손가락의 양옆에 미끄럼방지 등을 위한 실리콘계 또는 동등 이상의 코팅층(41a)이 더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화재 진압시나 고온의 열이 발열되는 현장에서 작업할 때 외부의 고온의 열이 아라미드계 섬유 또는 동등 이상의 섬유 또는 상기 섬유에 실리콘계 코팅 처리된 내열 섬유(41)에 전달된다.
내열 섬유(41)는 내열 성능에 의해 고온의 열이 전가되더라도 자신이 변형되지 않으며 뿐만 아니라 고온의 열이 중간 장갑(30)측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외부의 고온의 열은 대부분 내열 섬유(41)에 의해 차단되지만 일부 열과 수분이 내열 섬유(41)를 통해 중간 장갑(30)으로 전도될 수 있으며, 이때, 중간 장갑(30)과 외부 장갑(40) 사이의 제1공기층(A1)을 통과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제1공기층(A1)을 통해 열이 국부적으로 집중되지 않고 분산됨으로써 중간 장갑(30)의 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고, 한편, 중간 장갑(30)의 투습방수필름(31)은 열이 중간 장갑(30) 외부에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여 중간 장갑(30)의 안쪽에는 외부의 열에 의한 온도 변화와 습기 변화가 없다. 반대로, 중간 장갑(30)의 투습방수필름(31)은 내부 장갑(20)측의 열과 수분을 배출하여 내부 장갑(20) 내부를 쾌적한 환경으로 유지한다.
중간 장갑(30)은 투습방수필름(31)에 의한 방수 및 투습뿐만 아니라 제1,2보강층(32,33)에 의해 외부의 열이 내부 장갑(20)으로 침투하는 것을 막게 되므로 내부 장갑(20) 내부를 보다 쾌적한 환경으로 유지한다.
내부 장갑(20)과 중간 장갑(30) 사이의 제2공기층(A2)은 내부 장갑(20)과 중간 장갑(30) 사이에 보온층을 조성함과 아울러 중간 장갑(30)을 통과한 열과 수분이 내부 장갑(20)에 전달되는 것을 막게 되며, 내부 장갑(20)의 폴리에스테르 플리스 원단(21)은 착용자의 손에서 발생된 땀이나 손목 등을 통해 침투한 수분을 중간 장갑(30)측으로 배출하거나 신속하게 건조하여 착용자가 열과 습기로 인한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동절기에 착용자의 손을 보온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다중 내열 방수 장갑(10)의 원단은 다음과 같다.
내부 장갑(20)은 폴리에스테르 플리스(polyester fleece) 원단(21) 내지 동등 이상의 보온원단으로 이루어진다.
폴리에스테르 플리스 원단(21)은 폴리에스테르 원단에 기계적인 기모를 일으켜 부드러운 털로 가공된 것으로, 가볍고 보온 효과가 탁월하며 물에 잘 젖지 않고 젖어도 보온력을 유지하며 빨리 건조된다. 따라서, 동절기에 외부 온도가 낮아도 착용자의 손을 따듯하게 보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분이 외부 장갑(40)과 중간 장갑(30)을 통해 침투하거나 착용자의 손목 등을 타고 내부에 침투하여도 젖지 않을 뿐 아니라 착용자의 손에 땀이 나더라도 수분에 의한 불쾌감을 없앨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내부 장갑(20)은 착용자의 손이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촉감뿐만 아니라 활동감에 큰 영향을 준다. 따라서, 내부 장갑(20) 안에서 손가락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원활한 공기 순환을 위하여 손가락의 양측 옆(손가락 사이) 중 일측 이상(도면에는 양측으로 도시됨)에는 통풍망(22)(도 2참고)이 형성된다.
중간 장갑(30)은 투습방수가 가능한 원단(실시예 1의 투습방수필름이나 통상적인 투습방수가 가능한 원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면 부호를 31로 표기함)의 1겹으로 이루어진다.
중간 장갑(30)은 착용자의 손에서 생긴 땀 등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지만 외부의 공기와 수분을 내부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차단함으로써 항상 쾌적한 착용감을 부여할 수 있다.
외부 장갑(40)의 손등은 아라미드계 섬유 또는 동등 이상의 내열 섬유(41)의 내부면에 투습방수필름(42)(예컨대 PTFE 필름)과 아라미드 펠트 등의 내열 펠트(43)가 적층된 3개 층의 층상 구조로 이루어진다.
외부 장갑(40)의 손바닥은 화염과 고온의 열기, 물과 직접적으로 접하기 때문에 내열성과 방수성이 우수한 아라미드계 섬유 또는 동등 이상의 내열 섬유(41)의 내부면에 투습방수필름(42)(예컨대 PTFE 필름)과 아라미드 펠트 등의 내열 펠트(43)가 적층되고, 내열 섬유(41)의 표면 중에서 손바닥과 손끝 및 손가락의 양옆에 미끄럼방지 등을 위한 실리콘계 또는 동등 이상의 코팅층(41a)이 더 형성된다.
투습방수필름(42)은 착용자의 손에서 생긴 땀 등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지만 외부의 공기와 수분을 내부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차단함으로써 항상 쾌적한 착용감을 부여한다. 투습방수필름(42)은 내열 섬유(41)의 내부면에 라미네이팅된다.
내열 펠트(43)는 높은 내열성을 갖는 방향족 폴리아미드계 섬유인 아라미드(Aramid) 섬유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열에 의한 변형이 없고 외부의 고온의 열이 착용자의 손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함과 아울러 외부 위험물로부터 충격흡수 성능을 갖는다.
내열 펠트(43)는 내열 섬유(41)에 라미네이팅된 투습방수 필름(42)의 내부면에 접착제 등을 통해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내열 섬유(41)와 투습방수 필름(42)의 사이에 접착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층상 구조의 외부 장갑(40)의 손등은 내열 섬유(41), 투습방수 필름(42) 및 내열 펠트(43)간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충격 흡수되도록 투습방수 필름(42)을 내열 섬유(41)에 라미네이팅하고, 내열 펠트(43)는 투습방수 필름(42)에 발화되지 않는 접착제로 접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진압시나 고온의 열이 발열되는 현장에서 작업할 때 외부의 고온의 열이 아라미드계 섬유 또는 동등 이상의 섬유 또는 상기 섬유에 실리콘계 코팅 처리된 내열 섬유(41)에 전달된다.
내열 섬유(41)는 내열 성능에 의해 고온의 열이 전가되더라도 자신이 변형되지 않으며 뿐만 아니라 고온의 열이 중간 장갑(30)측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내열 섬유(41)의 내부면에 라미네이팅된 투습방수 필름(42)은 내열 섬유(41)를 침투한 외부의 수분이 더 이상 침투하지 못하도록 막아 수분이 중간 장갑(30)측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며, 반대로, 중간 장갑(30)과 외부 장갑(40) 사이의 제1공기층(A1)에 있는 열과 수분을 외부로 배출한다.
그리고, 투습방수 필름(42)을 통과한 일부 열과 수분은 내열 펠트(43)(아라미드 펠트)에 의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된다. 즉, 외부 장갑(40)은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외부 장갑(40)에서 2중(내열 섬유(41), 내열 펠트(43))으로 내열과 방수 성능이 발휘되어 고온의 열이 수분이 내부에 침투하는 것을 원천 봉쇄할 수 있다.
외부의 고온의 열은 대부분 내열 섬유(41), 투습방수 필름(42), 내열 펠트(43)에 의해 차단되지만 만약 일부 열과 수분이 내열 섬유(41)를 통해 중간 장갑(30)으로 전도될 경우에는, 중간 장갑(30)과 외부 장갑(40) 사이의 제1공기층(A1)을 통과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제1공기층(A1)을 통해 열이 국부적으로 집중되지 않고 분산됨으로써 중간 장갑(30)의 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중간 장갑(30)은 열이 중간 장갑(30) 외부에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여 중간 장갑(30)의 안쪽에는 외부의 열에 의한 온도 변화와 습기 변화가 없다. 한편, 중간 장갑(30)은 내부 장갑(20)측의 열과 수분을 배출하여 내부 장갑(20) 내부를 쾌적한 환경으로 유지한다.
내부 장갑(20)과 중간 장갑(30) 사이의 제2공기층(A2)은 내부 장갑(20)과 중간 장갑(30) 사이에 보온층을 조성함과 아울러 중간 장갑(30)을 통과한 열과 수분이 내부 장갑(20)에 전달되는 것을 막게 되며, 내부 장갑(20)의 폴리에스테르 플리스 원단(21)은 착용자의 손에서 발생된 땀이나 손목 등을 통해 침투한 수분을 중간 장갑(30)측으로 배출하거나 신속하게 건조하여 착용자가 열과 습기로 인한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동절기에 착용자의 손을 보온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다중 내열 방수 장갑(10)의 원단은 다음과 같다.
내부 장갑(20)은 폴리에스테르 플리스(polyester fleece) 원단(21) 내지 동등 이상의 보온원단으로 이루어진다.
폴리에스테르 플리스 원단(21)은 폴리에스테르 원단에 기계적인 기모를 일으켜 부드러운 털로 가공된 것으로, 가볍고 보온 효과가 탁월하며 물에 잘 젖지 않고 젖어도 보온력을 유지하며 빨리 건조된다. 따라서, 동절기에 외부 온도가 낮아도 착용자의 손을 따듯하게 보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분이 외부 장갑(40)과 중간 장갑(30)을 통해 침투하거나 착용자의 손목 등을 타고 내부에 침투하여도 젖지 않을 뿐 아니라 착용자의 손에 땀이 나더라도 수분에 의한 불쾌감을 없앨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내부 장갑(20)은 착용자의 손이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촉감뿐만 아니라 활동감에 큰 영향을 준다. 따라서, 내부 장갑(20) 안에서 손가락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원활한 공기 순환을 위하여 손가락의 양측 옆(손가락 사이) 중 일측 이상(도면에는 양측으로 도시됨)에는 통풍망(22)(도 2참고)이 형성된다.
중간 장갑(30)은 투습방수필름(31) 및 제1,2보강층(32,33)으로 구성된 투습방수가 가능한 원단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는 외부면에만 내열성과 인장강도가 강한 파라계 아라미드 니트 원단 1개의 보강층(34)이 라미네이팅된 2개층의 층상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중간 장갑(30)은 투습방수필름(31)의 외부쪽에 강력사 나일론 니트 또는 폴레에스테르 니트로 이루어진 제1보강층(32)이, 내부쪽에 아라미드 니트로 이루어진 제2보강층(33)이 라미네이팅됨으로써 3개층의 층상 구조로 이루어진다.
투습방수필름(31)은 착용자의 손에서 생긴 땀 등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지만 외부의 공기와 수분을 내부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차단함으로써 항상 쾌적한 착용감을 부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TFE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제1,2보강층(32,33)은 내열성, 강도 등이 우수하며 투습방수필름(31)의 기능을 막지 않는 다공성의 원단(투습방수필름(31)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공성으로 이루어져야 한다)으로서, 예컨대 제1보강층(32)은 강력사 나일론 니트 또는 폴레에스테르 니트, 제2보강층(33)은 아라미드 니트가 적용될 수 있다.
제1보강층(32)인 내열성과 강도가 우수한 강력사 나일론 니트 또는 폴레에스테르 니트로서 열에 의한 자체 변형이 없으며 열이 착용자의 손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제2보강층(33)은 아라미드 니트로서 내열성이 우수하여 열에 의한 자체 변형이 없으며 열이 착용자의 손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제1,2보강층(32,33)은 열 및 접착물(예를 들어, CPE(Chlorinated polyethylene) 접착제)에 의해 라미네이팅된다.
외부 장갑(40)의 손등은 아라미드계 섬유 또는 동등 이상의 내열 섬유(41)의 내부면에 투습방수 필름(42)(예컨대, PTFE 필름)과 아라미드 펠트 등의 내열 펠트(43)가 적층된 3개층의 층상 구조로 이루어진다.
외부 장갑(40)의 내열 섬유(41)의 표면 중에서 손바닥과 손끝 및 손가락의 양옆에 미끄럼방지 등을 위한 실리콘계 또는 동등 이상의 코팅층(41a)이 더 형성된다.
투습방수 필름(42)은 착용자의 손에서 생긴 땀 등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지만 외부의 공기와 수분을 내부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차단함으로써 항상 쾌적한 착용감을 부여한다. 투습방수 필름(42)은 내열 섬유(41)의 내부면에 라미네이팅될 수 있다.
내열 펠트(43)는 높은 내열성을 갖는 방향족 폴리아미드계 섬유인 아라미드(Aramid) 섬유가 사용되며, 열에 의한 변형이 없고 외부의 고온의 열이 착용자의 손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함과 아울러 수분의 침투를 차단하여 방수 성능을 높인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진압시나 고온의 열이 발열되는 현장에서 작업할 때 외부의 고온의 열이 아라미드계 섬유 또는 동등 이상의 섬유 또는 상기 섬유에 실리콘계 코팅 처리된 내열 섬유(41)에 전달된다.
내열 섬유(41)는 내열 성능에 의해 고온의 열이 전가되더라도 자신이 변형되지 않으며 뿐만 아니라 고온의 열이 중간 장갑(30)측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내열 섬유(41)의 내부면에 라미네이팅된 투습방수 필름(42)은 내열 섬유(41)를 침투한 외부의 수분이 더 이상 침투하지 못하도록 막아 수분이 중간 장갑(30)측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며, 반대로, 중간 장갑(30)과 외부 장갑(40) 사이의 제1공기층(A1)에 있는 열과 수분을 외부로 배출한다.
그리고, 투습방수 필름(42)을 통과한 일부 열과 수분은 내열 펠트(43)(아라미드 펠트)에 의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된다. 즉, 외부 장갑(40)은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외부 장갑(40)에서 2중(내열 섬유(41), 내열 펠트(43))으로 내열과 방수 성능이 발휘되어 고온의 열이 수분이 내부에 침투하는 것을 원천 봉쇄할 수 있다.
외부의 고온의 열은 대부분 내열 섬유(41), 투습방수 필름(42), 내열 펠트(43)에 의해 차단되지만 일부 열과 수분이 내열 섬유(41)를 통해 중간 장갑(30)으로 전도될 경우에는 중간 장갑(30)과 외부 장갑(40) 사이의 제1공기층(A1)을 통과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제1공기층(A1)을 통해 열이 국부적으로 집중되지 않고 분산됨으로써 중간 장갑(30)의 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중간 장갑(30)의 투습방수필름(31)은 열이 중간 장갑(30) 외부에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여 중간 장갑(30)의 안쪽에는 외부의 열에 의한 온도 변화와 습기 변화가 없다. 반대로, 중간 장갑(30)의 투습방수필름(31)은 내부 장갑(20)측의 열을 배출하여 내부 장갑(20) 내부를 쾌적한 환경으로 유지한다.
즉, 중간 장갑(30)의 투습방수필름(31)은 열이 중간 장갑(30) 외부에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여 중간 장갑(30)의 안쪽에는 외부의 열에 의한 온도 변화와 습기 변화가 없으며, 한편, 내부 장갑(20)측의 열과 수분을 배출하여 내부 장갑(20) 내부를 쾌적한 환경으로 유지하게 된다.
중간 장갑(30)은 투습방수필름(31)에 의한 내열 및 투습뿐만 아니라 제1,2보강층(32,33)에 의해 외부의 열이 내부 장갑(20)으로 침투하는 것을 막게 되므로 내부 장갑(20) 내부를 보다 쾌적한 환경으로 유지한다.
내부 장갑(20)과 중간 장갑(30) 사이의 제2공기층(A2)은 내부 장갑(20)과 중간 장갑(30) 사이에 보온층을 조성함과 아울러 중간 장갑(30)을 통과한 열과 수분이 내부 장갑(20)에 전달되는 것을 막게 되며, 내부 장갑(20)의 폴리에스테르 플리스 원단(21)은 착용자의 손에서 발생된 땀이나 손목 등을 통해 침투한 수분을 중간 장갑(30)측으로 배출하거나 신속하게 건조하여 착용자가 열과 습기로 인한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동절기에 착용자의 손을 보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로 이루어진 각각의 내부 장갑(20), 중간 장갑(30) 및 외부 장갑(40)은 뒤집힌 후 외부 장갑(40)의 외부에 중간 장갑(30)을 끼워 결합하고, 중간 장갑(30)의 외부에 내부 장갑(20)을 끼워 결합하고, 모든 장갑(20,30,40)의 테두리부(예를 들어 손가락끝 등)를 한꺼번에 봉재하거나 2개씩을 묶어 봉재함으로써 고정한 후, 외부 장갑(40)이 밖을 향하도록 다시 뒤집어냄으로써 다중 내열 방수 장갑(10)을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들에 공통적으로 도 1에서처럼, 다중 내열 방수 장갑(10)의 손등 부분 즉, 외부 장갑(40)의 손등 부분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부터 착용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도록 충격흡수재(50)가 적용될 수 있다.
충격흡수재(50)는 외부 장갑(40)의 일부분을 구성하므로 표면에 실리콘계 또는 동등 이상의 코팅층(51a)이 형성된 아라미드계 섬유 또는 동등 이상의 내열 섬유(51), 내열 섬유(51)의 내부면에 부착되는 충격흡수재(52)로 구성된다. 내열 섬유(51)와 충격흡수재(52)의 사이에는 내열 펠트(예를 들어, 아라미트 펠트, 나일론 니트 또는 폴리에스테르 니트 등)(53)가 접착될 수 있다.
충격흡수재(50)는 외부 장갑(40)의 표면에 봉재 등으로 고정되거나 도 5에서처럼, 외부 장갑(40)의 일부분에 형성된 구멍(44)에 삽입된 후 둘레부가 외부 장갑(40)의 구멍(44)의 둘레부에 겹쳐져 봉재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더불어, 충격흡수재(50)의 안쪽에 외부 장갑(40)과 동일한 소재의 덧대기부재(45)가 함께 봉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충격흡수재(50)가 외부 장갑(40)에 겹쳐지도록 고정되면 외부 장갑(40)과 충격흡수재(50)의 이음부를 통해 물과 열이 침투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외부 장갑(40)은 공통적으로 다중 내열 방수 장갑(10)이 벗겨지지 않도록 조이는 손목 조임띠(60), 손목을 외부와 차단함으로써 손목의 화상 등을 방지하고 물이 손에 침투하지 않도록 하는 손목 감싸개(70), 물이 손등을 타고 안쪽으로 침투하지 않도록 손목측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물침투방지 헤리(80)가 포함된다. 물침투방지 헤리(80)는 물의 침투 방지와 함께 야간에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반사 내지 야광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10 : 다중 내열 방수 장갑, 20 : 내부 장갑
30 : 중간 장갑, 40 : 외부 장갑
50 : 충격흡수재, 60 : 손목 조임띠
70 : 손목 감싸개, 80 : 물침투방지 헤리

Claims (7)

  1. 각각 착용자의 손을 넣고 뺄 수 있으면서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된 내부 장갑(20), 중간 장갑(30), 외부 장갑(40)이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적층된 구조로서 손목을 조이는 손목 조임띠(60)와 손목을 덮는 손목 감싸개(70)와 물이 손등을 타고 안쪽으로 침투하지 않도록 손목측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물침투방지 헤리(80)가 포함되며,
    상기 내부 장갑은 폴리에스테르 플리스 원단(2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 장갑은 투습방수필름(31)의 외부면과 내부면에 각각 다공성의 제1,2보강층(32,33)이 라미네이팅된 3개 층의 층상구조 또는 외부면에만 내열성과 인장강도가 강한 파라계 아라미드 니트 원단 1개의 보강층(34)이 라미네이팅된 2개 층의 층상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 장갑의 손등은 아라미드 원단을 포함하는 내열 원단(41)으로 이루어지면서, 손바닥과 손끝 및 손가락은 아라미드 원단을 포함하는 내열 원단(41)의 표면에 실리콘계의 코팅층(41a)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내열 방수 장갑.
  2. 각각 착용자의 손을 넣고 뺄 수 있으면서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된 내부 장갑(20), 중간 장갑(30), 외부 장갑(40)이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적층된 구조로서 손목을 조이는 손목 조임띠(60)와 손목을 덮는 손목 감싸개(70)와 물이 손등을 타고 안쪽으로 침투하지 않도록 손목측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물침투방지 헤리(80)가 포함되며,
    상기 내부 장갑은 폴리에스테르 플리스 원단(2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 장갑은 투습방수가 가능한 원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 장갑의 손등은 아라미드 원단을 포함하는 내열 원단(41), 상기 내열 원단의 내부면에 라미네이팅되는 투습방수 필름(42), 상기 투습방수 필름의 내부면에 접착되며 아라미드 펠트를 포함하는 내열 펠트(43)의 3개 층상 구조로 이루어지고, 손바닥과 손끝 및 손가락은 상기 내열 원단(41)의 외부면에 실리콘계의 코팅층(41a)이 형성되어 4개 층의 층상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내열 방수 장갑.
  3. 각각 착용자의 손을 넣고 뺄 수 있으면서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된 내부 장갑(20), 중간 장갑(30), 외부 장갑(40)이 각각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적층된 구조로서 손목을 조이는 손목 조임띠(60)와 손목을 덮는 손목 감싸개(70)와 물이 손등을 타고 안쪽으로 침투하지 않도록 손목측 자유단부에 형성되는 물침투방지 헤리(80)가 포함되며,
    상기 내부 장갑은 폴리에스테르 플리스 원단(2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 장갑은 투습방수필름(31)의 외부면과 내부면에 각각 다공성의 제1,2보강층(32,33)이 라미네이팅된 3개 층의 층상구조 또는 외부면에만 내열성과 인장강도가 강한 파라계 아라미드 니트 원단 1개의 보강층(34)이 라미네이팅된 2개 층의 층상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 장갑의 손등은 아라미드 원단을 포함하는 내열 원단(41), 상기 내열 원단의 내부면에 라미네이팅되는 투습방수 필름(42), 상기 투습방수 필름의 내부면에 접착되며 아라미드 펠트를 포함하는 내열 펠트(43)에 의해 3개 층의 층상 구조로 이루어지며, 손바닥과 손끝 및 손가락은 상기 내열 원단의 외부면 실리콘계의 코팅층(41a)이 형성되어 4개 층의 층상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내열 방수 장갑.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장갑의 손가락부의 좌우 양측 중 일측 이상에는 다공성이면서 유연성 있는 통풍망(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내열 방수 장갑.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간 장갑의 제1보강층은 상기 투습방수필름의 외부면에 라미네이팅되는 강력사 나일론 니트 또는 폴리에스테 니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내열 방수 장갑.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간 장갑의 제2보강층은 상기 투습방수필름의 내부면에 라미네이팅되는 아라미드 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내열 방수 장갑.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라미드계 섬유를 포함하는 내열 섬유(51), 상기 내열 섬유의 표면에 형성되는 실리콘계의 코팅층(51a), 상기 내열 섬유(51)의 내부면에 아라미드 펠트를 포함하는 내열 펠트(53), 상기 내열 펠트의 내부면에 부착되는 충격흡수재(52)의 층상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외부 장갑(40)의 손등 부분에 형성되는 충격흡수재(50)를 포함하되,
    상기 충격흡수재는 상기 외부 장갑(40)의 손등 부분에 형성된 구멍(44)에 삽입된 후 둘레부가 상기 외부 장갑의 구멍의 둘레부 안쪽에 겹쳐지고, 상기 충격흡수재의 안쪽에는 덧대기부재(45)가 덧대어져 상기 충격흡수재 및 외부 장갑과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내열 방수 장갑.
KR1020100085063A 2010-08-31 2010-08-31 다중 내열 방수 장갑 KR101014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063A KR101014877B1 (ko) 2010-08-31 2010-08-31 다중 내열 방수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063A KR101014877B1 (ko) 2010-08-31 2010-08-31 다중 내열 방수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4877B1 true KR101014877B1 (ko) 2011-02-15

Family

ID=43777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063A KR101014877B1 (ko) 2010-08-31 2010-08-31 다중 내열 방수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487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377B1 (ko) 2011-10-14 2013-07-19 주식회사 마이다스 보온성이 향상된 내절단성 장갑
KR101368415B1 (ko) 2012-08-13 2014-02-28 전정덕 용접용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CN106213632A (zh) * 2016-08-26 2016-12-14 无锡市恒达矿山机械有限公司 一种替换便利的矿工专业手套
KR102016100B1 (ko) * 2018-05-30 2019-10-21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발열 및 안전 성능이 향상된 방한 피복
KR20220076626A (ko) 2020-12-01 2022-06-08 주식회사 백일 소방내열 안전장갑내피용 아라미드 이중편직물의 제조방법
KR20230081506A (ko) * 2021-11-30 2023-06-07 이승진 방화 장갑
US11758956B2 (en) 2019-12-09 2023-09-19 Firecraft Safety Products, Llc Protective fire glove
KR102602799B1 (ko) * 2022-10-25 2023-11-20 대한민국 드라이슈트용 방화 내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0551A (en) 1996-06-10 1998-04-21 W. L. Gore & Associates, Inc. Multi-layered barrier glove
KR200275965Y1 (ko) 2002-02-06 2002-05-18 주식회사 파이로 내열 및 방수작업용 안전장갑
KR20020075965A (ko) * 2001-03-26 2002-10-09 이호균 스틸 사진을 이용한 가상 네비게이션 구현 방법
US20060048268A1 (en) 2004-08-12 2006-03-09 Paul Loos Glove
KR100908071B1 (ko) 2009-03-26 2009-07-15 주식회사 파이로 내열 방수 장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0551A (en) 1996-06-10 1998-04-21 W. L. Gore & Associates, Inc. Multi-layered barrier glove
KR20020075965A (ko) * 2001-03-26 2002-10-09 이호균 스틸 사진을 이용한 가상 네비게이션 구현 방법
KR200275965Y1 (ko) 2002-02-06 2002-05-18 주식회사 파이로 내열 및 방수작업용 안전장갑
US20060048268A1 (en) 2004-08-12 2006-03-09 Paul Loos Glove
KR100908071B1 (ko) 2009-03-26 2009-07-15 주식회사 파이로 내열 방수 장갑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377B1 (ko) 2011-10-14 2013-07-19 주식회사 마이다스 보온성이 향상된 내절단성 장갑
KR101368415B1 (ko) 2012-08-13 2014-02-28 전정덕 용접용 안전장갑 및 그 제조방법
CN106213632A (zh) * 2016-08-26 2016-12-14 无锡市恒达矿山机械有限公司 一种替换便利的矿工专业手套
KR102016100B1 (ko) * 2018-05-30 2019-10-21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발열 및 안전 성능이 향상된 방한 피복
US11758956B2 (en) 2019-12-09 2023-09-19 Firecraft Safety Products, Llc Protective fire glove
KR20220076626A (ko) 2020-12-01 2022-06-08 주식회사 백일 소방내열 안전장갑내피용 아라미드 이중편직물의 제조방법
KR20230081506A (ko) * 2021-11-30 2023-06-07 이승진 방화 장갑
KR102627597B1 (ko) 2021-11-30 2024-01-23 이승진 방화 장갑
KR102602799B1 (ko) * 2022-10-25 2023-11-20 대한민국 드라이슈트용 방화 내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4877B1 (ko) 다중 내열 방수 장갑
US9079050B2 (en) Structural fire glove
US5740551A (en) Multi-layered barrier glove
KR101203795B1 (ko) 의류
US9655393B2 (en) Layered structural fire glove
US7043761B2 (en) Removable insulated head gear lining
US20090126074A1 (en) Gloves with reinforcing element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6594830B2 (en) Protective glove liner
KR100908071B1 (ko) 내열 방수 장갑
US9549578B2 (en) Glove finger attachment system
CN104223500A (zh) 手套
EP0606405A1 (en) Heat resistant and cut and puncture protective hand covering
KR200275965Y1 (ko) 내열 및 방수작업용 안전장갑
JP5700314B1 (ja) 切創防護服用布帛
KR101640433B1 (ko) 단열 피복
JP3227929U (ja) 3層構造の生地及び3層構造の生地で形成されたマスク
KR200435596Y1 (ko) 방검 및 내화용 안전장갑
US20200093208A1 (en) Wearable motorcycle heat-shield
KR102559793B1 (ko) 소방 방화 장갑 및 이의 제조 방법
JP5753454B2 (ja) レイヤリング用グローブ
JP2005213660A (ja) ベルト
US20040148680A1 (en) Protective clothing, in particular glove
KR20210127855A (ko) 방화 장갑
US20170156421A1 (en) Water repellent glove
CN202714232U (zh) 一种新型防护手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