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0109A - 건축용 관통슬리브 - Google Patents

건축용 관통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0109A
KR20100060109A KR1020080118555A KR20080118555A KR20100060109A KR 20100060109 A KR20100060109 A KR 20100060109A KR 1020080118555 A KR1020080118555 A KR 1020080118555A KR 20080118555 A KR20080118555 A KR 20080118555A KR 20100060109 A KR20100060109 A KR 20100060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leeve
building
passa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1925B1 (ko
Inventor
김하용
Original Assignee
김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하용 filed Critical 김하용
Priority to KR1020080118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925B1/ko
Publication of KR20100060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관통슬리브에 관한 것이며 건축물을 시공할 때 벽체 또는 층간 구획 콘크리트의 두께에 따라 관경이 다른 관체 한쌍을 조립하고 길이를 조절하여 구성하는 건축용 관통슬리브를 사용하여 배관통로를 확보하고, 상기 관통슬리브에 통행관을 시공할 때 관통슬리브와 통행관 사이에 공간 발생을 해소하고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관체의 하방 내측에는 걸림핀을 구성하고, 하부관체의 외면에 종으로는 승강 통로를, 횡으로는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관체의 걸림핀이 상기 하부관체의 승강 통로에 위치되어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하는 건축용 관통슬리브에서 상부관체의 선단 내측으로는 하부관체의 내경과 일치되는 구경이 되도록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단턱과 개봉판 사이에는 절개홈을 형성하여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부관체의 선단 내측에 하부관체의 내경과 일치되는 단턱을 구성하므로서 건축용 관통슬리브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건물에 배관통로를 확보하고, 상기 관통슬리브에 통행관을 끼우게 되면 관통슬리브를 구성하는 상부관체의 단턱과 하부관체의 내경에서 통행관을 지지하게 되므로 견고하고 관통슬리브의 상하 부위에 노출되는 공간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특징이 있다.
관통슬리브, 상부관체, 하부관체, 단턱, 노출공간

Description

건축용 관통슬리브{The pierce sleeve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용 관통슬리브에 관한 것이며 건축물을 시공할 때 벽체 또는 층간 구획 콘크리트의 두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관경이 다른 관체 한쌍을 조립하여 사용하는 건축용 관통슬리브로 배관통로를 확보하고, 상기 관통슬리브에 전기, 통신, 가스, 에어콘 등 각종 관을 시공할 때 관통슬리브와 통행관 사이에 노출 공간의 발생을 해소하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건축에 사용하는 슬리브(Sleeve)는 생활하수, 분뇨 등이 배수관로에 사용하는 배수용과 전기, 통신, 가스, 에어콘, 환풍 등의 배관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배관용으로 구분된다.
상기에서 배수용도의 건축용 슬리브는 상부관체의 외면에 상하로는 승강통로를, 원주방향으로는 복수개의 걸림홈을 구성하고, 상기 상부관체가 끼워지게 상부관체의 경(俓) 보다 큰 하부관체를 구성하고, 상기 하부관체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핀을 구성하고, 상기 상부관체의 승강 통로에 상기 하부관체의 핀이 위치되도록 하여 핀이 상부관체의 걸림홈에 끼워지는 위치에 따라 길이가 변화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배수용도의 건축용 슬리브는 벽체 또는 층간 콘크리트의 두께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고, 또 상부관체의 저부에 통행관체가 끼워지게 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면 화장실, 주방, 욕실 등의 경우에는 통행관로로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잇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배수용도의 건축용 슬리브는 본원에 발명되어 등록받은 특허제662699호가 있다.
상기에서 배수용이 아닌 전기, 통신, 가스 에어콘 등 각종 통행관을 통과시키기 위한 배관용도의 건축용 슬리브는 상하의 관체 사이에 통행관이 연통되도록 시공될 경우 상기 배수용도의 건축용 슬리브를 사용하게 되면 상부관체의 저부에 구비한 요홈은 기능이 없어서 내경에 통행관이 위치되어야 하므로 통행관의 경(俓)이 작아지고, 상부와 하부관체에는 노출되는 공간이 발생되어 이를 고무패킹이나 몰탈 등으로 메우는 작업이 요구되는 결점이 있고, 또 상부관체의 저부에 요홈 없이 구성하게 되면 상부관체에는 통행관이 끼워져 노출공간은 없으나 하부관체에는 공간이 노출되고 견고히 지지되지 못하는 결점이 있다.
또 상기 배관용도의 건축용 슬리브는 관체의 내경이 동일하지 않으면 관통슬리브에서 통행관에 유격이 발생되어 시공이 안전하지 못한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점을 해소하고 상부관체의 선단을 하부관체의 내경과 일치되도록 단턱을, 그 내측에는 개봉판을 형성하여 건축용 관통슬리브를 구성하고, 이를 건축물의 시공시에 상·하부관체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하고, 통행관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부관체의 개봉판을 제거하고, 통행관을 끼우면 통행관 상부는 상부관체의 돌출된 단턱에서 지지되고, 통행관 하부는 하부관체의 내경에서 지지되어 공간이 노출되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보인 도1은 종단면도
도2는 상·하부관체의 조립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3은 거푸집에 고정하고 콘크리트로 시공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4는 상부관체의 개봉판을 제거한 종단면도
도5는 통행관을 설치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1 및 도2와 같이 상부관체(1)의 내벽 하방에는 걸림핀(10)을 형성하고, 하부관체(2)의 외면에 종으로는 승강통로(20)를, 원주방향으로는 걸림홈(21)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관체(1)의 걸림핀(10)이 하부관체(2)의 승강통로(20)에 위치되도록 조립하여 건축용 관통슬리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상부관체(1)의 선단을 하부관체(2)의 내경과 일치되는 구경이 되도록 단턱(11)을 형성하고, 상기 단턱(11)과 내측의 개봉판(12) 사이에는 절개홈(13)을 형성하여서 구성된다.
상기에서 미설명된 부호 50은 돌편, 51은 통공, 60은 거푸집판재, 70은 콘크리트, 80은 통행관, 90은 못을 표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건축용 관통슬리브는 상부관체의 선단에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단턱과 개봉판 사이에는 절개홈을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의 관통슬리브는 통상과 같이 콘크리트의 두께에 따라 상·하부관체의 길이를 조절하여 거푸집에 고정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관통스리브의 상부관체에 형성된 개봉판을 제거하고 통행관을 끼우면 통행관은 상부관체의 단턱과 하부관체의 내경에서 지지되어 건축용 관통슬리브의 상하에는 공간이 노출되지 않아 견고하고 외관이 미려하게 되며 시공이 간편하고 상기의 건축용 관통슬리브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1 및 도2와 같이 상부관체(1)의 하방 내벽에 걸림핀(10)을 형성하고, 하부관체(2)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는 걸림핀 승강통로(20)를, 원주방향으로는 걸림홈(21)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관체(1)의 걸림핀(10)이 상기 하부관체(2)의 걸림핀 승강통로(20)에 끼워서 길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건축용 관통슬리브에서 상부관체(1)를 제조할 때 상부관체(1)의 선단에는 하부관체(2)의 내경과 일 치되도록 단턱(11)을 형성하고, 상기 단턱(11) 내측의 개봉판(12)에는 절개홈(13)을 형성하여서 구성된다.
상기에서 상부관체(1)와 하부관체(2)는 합성수지를 사출성형으로 제조하고, 상부관체(1)에 하부관체(2)를 조립으로 제조하게 되면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또 상기의 건축용 관통슬리브로 전기, 통신, 가스, 에어콘, 환풍 등의 배관용 통로를 확보할 때에는 도2와 같이 상부관체(1)와 하부관체(2)의 신장을 조절하고, 상부관체(1)의 걸림핀(10)을 하부관체(2) 외면의 걸림핀 승강통로(20)를 따라 승강시켜서 신장을 조절하고 설정된 지점에서 걸림핀(10)을 걸림홈(21)에 끼워지게 조립하게 되면 상부관체(1)와 하부관체(2)는 설정길이로 고정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건축용 관통슬리브를 도3과 같이 거푸집 판재(60) 사이에 위치시키고, 하부관체(2)의 돌편(50)에 형성된 통공(51)에 못(90)을 박아서 거푸집 판재(60)에 고정하고 콘크리트(70)를 타설하여 건물에 건축용 관통슬리브를 이용하여 배관용 통로를 확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70)에 건축용 관통슬리브를 설치하고, 상부관체(1)의 개봉판(12)을 망치로 타격하게 되면 도4와 같이 상부관체(1)의 절개홈(13)이 절개되면서 개봉판(12)이 상부관체(1)에서 분리되고, 상부관체(1)의 선단 내경에는 단턱(11)이 노출된다.
또 상기와 같이 상부관체(1)의 개봉판(12)을 제거하고 도5와 같이 통행관(80)을 상부관체(1)의 선단 단턱(11) 사이를 통하여 하부관체(2)의 내경에 위치되도록 끼우거나 또는 하부관체(2)의 내경을 통하여 상부관체(1)의 단턱(11) 사이 로 통행관(80)을 끼우게 되면 통행관(80)은 상부관체(1)의 단턱(11)과 하부관체(2)의 내경에서 견고하게 지지되고, 또 통행관(80)과 건축용 관통슬리브의 상·하부관체(1)(2) 사이에는 공간의 노출이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건축용 관통슬리브의 상부관체(1)에는 하부관체(2)의 내경과 일치되는 단턱(11)을 구성하므로 통행관(80)을 설치할 때 노출되는 공간이 없어 미려하고 통행관(80)은 하부관체(2)의 내경과 상부관체(1)의 단턱(11)에서 지지하게 되므로 견고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건축용 관통슬리브는 가스관로, 통신, 전기, 에어콘의 외기배관 관로 등의 배관 통로를 확보하는데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서 상·하부관체의 조립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서 거푸집에 고정하고 콘크리트로 시공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서 상부관체의 개봉판을 제거한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서서 통행관을 설치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상부관체 2 : 하부관체
10 : 걸림핀 11 : 단턱
12 : 개봉판 13 : 절개홈
20 : 승강통로 21 : 걸림홈

Claims (1)

  1. 상부관체(1)의 내벽 하방에는 걸림핀(10)을 형성하고, 하부관체(2)의 외면에 종으로는 승강통로(20)를, 원주방향으로는 걸림홈(21)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관체(1)의 걸림핀(10)이 하부관체(2)의 승강통로(20)에 끼워지게 조립하여 구성되는 건축용 관통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상부관체(1)의 선단에 하부관체(2)의 내경과 일치되는 구경이 되도록 단턱(11)을 형성하고, 상기 단턱(11)과 내측의 개봉판(12) 사이에는 절개홈(13)을 형성하여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건축용 관통슬리브
KR1020080118555A 2008-11-27 2008-11-27 건축용 관통슬리브 KR101041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555A KR101041925B1 (ko) 2008-11-27 2008-11-27 건축용 관통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555A KR101041925B1 (ko) 2008-11-27 2008-11-27 건축용 관통슬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109A true KR20100060109A (ko) 2010-06-07
KR101041925B1 KR101041925B1 (ko) 2011-06-15

Family

ID=42361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555A KR101041925B1 (ko) 2008-11-27 2008-11-27 건축용 관통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19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37493A1 (de) * 2014-04-22 2015-10-28 Hauff-Technik GmbH & Co. KG Durchführung zum Einbau in ein Wand- oder Bodenel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291B1 (ko) 2016-01-12 2017-04-12 주식회사 미래산업 신장조절기능을 갖는 배관슬리브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9060A (ja) * 1994-02-24 1995-09-12 Inaba Denki Sangyo Co Ltd 型枠への貫通スリーブ取付具
JP3619284B2 (ja) * 1995-05-18 2005-02-09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建築用保温スリーブ
JP3743791B2 (ja) * 1996-02-23 2006-02-08 飛島建設株式会社 貫通スリーブ
AU2006338293B2 (en) * 2006-02-13 2010-11-25 Uop Llc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37493A1 (de) * 2014-04-22 2015-10-28 Hauff-Technik GmbH & Co. KG Durchführung zum Einbau in ein Wand- oder Bodenelement
EP2937493B1 (de) 2014-04-22 2020-03-25 Hauff-Technik GmbH & Co. KG Durchführung zum einbau in ein wand- oder boden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1925B1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036367A3 (en) Closet flange system for existing installation
KR101041925B1 (ko) 건축용 관통슬리브
CN101832436A (zh) 预埋式防渗漏排水管接头
KR101546921B1 (ko) 투습방수지를 이용한 건축물 외벽 단열구조
KR102128485B1 (ko) 건축용 슬리브의 자전방지 기능이 부여된 미세 신장조절 조절테 결합구조
KR20100009142A (ko) 신장조절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슬리브
KR101651985B1 (ko) 장비 부착형 분배기 슬리브
KR200393504Y1 (ko) 건축물의 비트용 배관보호슬리브
KR200410064Y1 (ko) 배관 고정구
KR100906762B1 (ko) 배관 연결용 슬리브조립체
CN203924257U (zh) 带有同层排水装置的整体浴室
KR100628805B1 (ko) 배관용 방수 슬리브
US102215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 floor drain
KR200417634Y1 (ko) 배수관 고정슬리브의 개선구조
KR101178115B1 (ko) 관통 슬리브
KR200346948Y1 (ko) 배수관 고정슬리브
CN103912044B (zh) 一体化漏水器
KR102260133B1 (ko) 난방배관슬리브
KR100788022B1 (ko) 배수관 고정구
ITFO980031A1 (it) Scatola da incasso universale per faretti d'illuminazione e relativoattrezzo per la posa in opera.
KR200365409Y1 (ko) 가스관 배관용 슬리브
KR20210001184A (ko) 난방배관슬리브
KR200369210Y1 (ko) 에어컨 냉매 배관용 슬리브의 개선구조
JP4833688B2 (ja) 配管支持具及びその配管支持具を備えた建物
KR20120011221A (ko) 벽체매립형 이중관보호부재 및 이를 이용한 분배기 배관연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