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0106A - Precast concrete box culvert assembly - Google Patents

Precast concrete box culvert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0106A
KR20100060106A KR1020080118552A KR20080118552A KR20100060106A KR 20100060106 A KR20100060106 A KR 20100060106A KR 1020080118552 A KR1020080118552 A KR 1020080118552A KR 20080118552 A KR20080118552 A KR 20080118552A KR 20100060106 A KR20100060106 A KR 20100060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concrete member
concrete
culvert
tensile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5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12307B1 (en
Inventor
최승선
Original Assignee
최승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선 filed Critical 최승선
Priority to KR1020080118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307B1/en
Priority to PCT/KR2009/006743 priority patent/WO2010062078A2/en
Publication of KR20100060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1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3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5/00Draining the sub-base, i.e. subgrade or ground-work, e.g. embankment of roads or of the ballastway of railways or draining-off road surface or ballastway drainage by trenches, culverts, or conduits or other specially adapted means
    • E01F5/005Culverts ; Head-structures for culverts, or for drainage-conduit outlets in slo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08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preformed concrete slabs
    • E21D11/083Methods or devices for joining adjacent concret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concrete manufacture assembly is provided to maintain the cohesive power between components. CONSTITUTION: A concrete manufacture assembly comprises a first closed conduit(100), a second closed conduit(200), a connecting part and a tensile steel wire. The first closed conduit is formed into the square shape to form a common duct in inside. The second closed conduit is formed in order to be communicated with the common duct of the first closed conduit. The connecting part is made of an insert nut and an engaging bolt. The connecting part is installed in the junction of the second closed conduit and the first closed conduit.

Description

콘크리트 제품 어셈블리{Precast Concrete Box Culvert Assembly}Precast Concrete Box Culvert Assembly}

본 발명은 조립식 PC암거 및 맨홀, 수로관 등의 콘크리트 제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efabricated PC culverts and concrete product assemblies, such as manholes, water pipes.

일반적으로, 도시의 지하 공간에는 배출되는 하수를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도하거나 가정으로 전력 및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케이블을 부설하기 위한 하수구, 전력구, 통신구, 공동구 등이 설치되는데, 도로 등을 파서 매설로를 형성하고, 일정한 장소에서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인 조립식 암거를 서로 연결하여 하수구, 전력구, 통신구, 공동구 등을 설치한다.In general, in the underground space of the city, sewers, electric power stations, communication districts, joint districts, etc. are installed to induce discharged sewage to sewage treatment plants or to lay cables providing electric power and communication services to homes. A buried road is formed, and the prefabricated culverts made of precast concrete (PC)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install sewers, electric power ports, communication ports, and joint holes.

상기와 같은 암거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거들은 서로 연결되는 형식으로 배열되어야 한다. 암거들을 각각 부설될 위치에 배열한 후, 밀착시켜 연결하게 된다.Such culverts should be arranged in such a way that culver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1. The culverts are arranged in positions to be laid respectively, and then closely connected.

상기 각 암거들을 서로 밀착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암거의 모서리 부분에 암거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며 서로 연통되는 홀을 형성 한 후, 상기 홀에 인장강선을 삽입한 후, 이를 당겨 암거들을 서로 압착 고정한다.In order to fix the culvert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 hole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lvert and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is formed in the corner portion of the culvert, and after inserting a tensile wire into the hole, the culverts are pressed and fixed to each other. .

이 때, 상기 암거의 내측면에 인장강선의 끝단이 노출되는 정착홀이 형성 되어 인장강선의 끝단을 고정시키거나 당기는 작업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At this time, a fixing hole i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culvert is exposed end of the tensile steel wire is made to secure or pull the end of the tensile steel wire.

또한, 상기 각 암거의 접합면에는 몰탈이 충진되어 수밀성을 향상시키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bonding surface of each culvert is filled with mortar to improve the watertightness.

하지만, 종래와 같은 암거 체결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ulvert fastening method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상기 인장강선이 상기 암거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므로, 인장강선을 당기는 긴장작업시 당김량이 상대적으로 많아 상대적으로 많은 작업량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First, since the tensile steel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lvert, there is a problem that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work is required during the tensioning operation of pulling the tensile steel.

둘째, 상기 인장강선의 긴장작업시 이용되는 정착홀에서 상기 인장강선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부식방지를 위하여 상기 정착홀을 메우는 작업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Second, since the tensile steel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fixing hole used during the tensioning of the tensile steel,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fill the fixing hole to prevent corrosion.

셋째, 상기 각 암거는 지반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암거를 지지하는 지반에 부등침하가 발생한 경우, 어느 하나의 암거만 침하량이 크게 되어 해당 암거에 밀착력을 제공하는 인장강선에 큰 스트레스가 발생하고, 장시간 경과 시 크리프에 의해 인장강선이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인장강선의 장력이 약화되며 해당 암거의 밀착력이 약화된다. 상기와 같은 현상이 더욱 진행되면 암거와 암거 사이의 수밀이 파괴될 수 있으며, 그 사이로 지하수가 유입되어 인장강선이 부식을 야기하고, 이는 암거의 밀착력을 더욱 약화시키며 인장강선의 끊어짐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Third, each of the culverts are supported by the ground, as shown in Figure 2, when unequal settlement occurs in the ground supporting each of the culverts, only one of the culverts is largely settled to provide adhesion to the culverts A large stress is generated in the tensile steel, and the tensile steel is stretched by creep after a long time. Therefore, the tension of the tensile steel is weakened and the adhesion of the culvert is weakened. If the above phenomenon is further progressed, watertightness between the culvert and the culvert may be destroyed, and groundwater flows in between, causing the tensile steel to corrode, which may further weaken the adhesion of the culvert and lead to breakage of the tensile steel wire. .

넷째, 상기 인장강선이 삽입되는 홀을 형성할 때 상기 암거 내부에 배치되는 철근을 손상시켜 암거의 구조적 결함을 야기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Fourth, there is a fear that when forming the hole into which the tensile steel wire is inserted may damage the reinforcing bar disposed inside the culvert may cause structural defects of the culvert.

다섯째, 상기 암거가 곡선부분으로 시공될 시에 상기 인장강선의 장력이 어느 일측에만 집중적으로 작용되어 암거간의 밀착력이 약화될 수 있으며, 상기 인장강선 또는 암거의 조기파손을 야기할 수도 있다.Fifth, when the culvert is constructed in a curved portion, the tension of the tensile wire is concentrated on only one side, so that the adhesion between the culvert may be weakened and may cause premature breakage of the tensile steel or culvert.

그리고, 상기한 문제는 암거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맨홀 및 수로관등 콘크리트로서 분할된 부분품 형태로 기 제작되어 현장에서 조립 설치되는 콘크리트 제품 어셈블리의 설치에서도 공히 발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 problems are not limited to culverts, but may also occur in the installation of concrete product assemblies that are pre-fabricated in the form of divided parts as concrete, such as manholes and water pip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콘크리트로서 분할된 부분품 형태로 기 제작되어 현장에서 조립 설치 되는 각 부분품간의 밀착력이 효과적으로 유지되는 콘크리트 제품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crete product assembly that is effectively maintained in close contact between each part to be assembled and installed in the field in the form of divided parts as concrete.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제1콘크리트 부재, 상기 제1콘크리트 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콘크리트 부재, 상기 제1콘크리트 부재와 제2콘크리트 부재의 상호 접합면에 설치되는 체결부 및 상기 제1콘크리트 부재와 제2콘크리트 부재에 설치된 체결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콘크리트 부재와 제2콘크리트 부재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장력이 작용되도록 긴장되어 상기 각 체결부를 당김으로써 상기 제1콘크리트 부재와 제2콘크리트 부재를 밀착시키는 인장강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제품 어셈블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concrete member made of concrete, the second concrete memb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concrete member, the first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concrete member on the mutual joint surface The fastening part is installed and the fasten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concrete member, the tension is applied to the tension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concrete member is fasten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crete product assembly comprising a tensile steel wire for bringing the first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concrete member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콘크리트 부재 및 제2콘크리트 부재의 상호 각 접합면에 구비되는 인서트 너트, 상기 인서트 너트에 체결되며, 상기 인장강선이 관통되는 관통홀을 구비한 체결용 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may include an insert nut provided at each joint surface of the first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concrete member, and a fastening bolt fastened to the insert nut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tensile steel wire passes. Can be.

또한, 상기 제1콘크리트 부재의 접합면에 구비된 체결용 볼트와 상기 제2콘크리트 부재의 접합면에 설치된 체결용 볼트는 상기 제1콘크리트 부재와 제2 콘 크리트 부재의 결합시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bolts provided on the joining surface of the first concrete member and the fastening bolts provided on the joining surface of the second concrete member may be formed at staggered positions when the first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concrete member are joined. Can be.

또는,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콘크리트 부재 및 제2콘크리트 부재의 상호 각 접합면 둘레에 구비되는 인서트 너트와, 상기 인서트 너트에 체결되며, 상기 인장강선의 끝단이 고정되는 고정용 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astening part may include an insert nut provided around each joining surface of the first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concrete member, and a fixing bolt fastened to the insert nut and having an end of the tensile steel wire fixed thereto. It may be done.

그리고, 상기 고정용 볼트는 상기 인장강선이 긴장되는 방향의 반대편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중공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bolt may be formed to have a tapered hollow so as to narrow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tension wire tension direction.

또한, 상기 인장용 강선이 상기 고정용 볼트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강선고정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is made to be fixed to the tension steel wire to the fixing bolt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강선고정장치는 상기 인장강선에 끝단이 고정되도록 형성된 중공과, 상기 인장강선이 긴장되는 방향의 반대편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외주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steel wire fixing device may be formed to have a hollow formed so that the end is fixed to the tensile steel,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apered so as to narrow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tension wire in the tension direction.

상기 강선고정장치는 복수개로 분할 되는 것일 수 있다.The wire fixing device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상기 강선고정장치는 상기 고정용 볼트의 내주면에 삽입되며, 상기 인장강선의 장력에 의해 일측으로 가압 되면서 상기 고정용 볼트의 테이퍼진 내주면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인장강선을 고정하는 고정력이 증대되는 것일 수 있다.The steel wire fixing device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bolt, pressurized to one side by the tension of the tensile steel wire, and compressed by the tapere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bolt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for fixing the tensile steel wire. have.

상기 강선고정장치의 외주면에 상기 고정용 볼트의 내주면과 마찰되는 고무링이 삽입되는 홈이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A groove into which a rubber ring friction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bolt is inserted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또한, 상기 고정용 볼트는 인장강선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용 볼트의 일면에 지지되고 내부에 테이퍼진 형태의 홀이 형성된 지지탭과, 외주면이 상기 지지탭의 홀에 삽입된 후 고정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인장강선이 관통고정되는 중공이 형성된 강선고정장치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bolt is formed so that the hole through which the tensile steel wire is formed, the support tab is formed on the support bolt formed on the one surface of the fixing bolt and a tapered shape there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support tab After being formed to be tapered to be fixed and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is formed in which the hollow is formed through which the tensile steel wire is fixed.

또한, 상기 제1콘크리트 부재와 제2콘크리트 부재의 접합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수밀재가 충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몰탈홈이 상기 제1암거와 제2암거의 각 접합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mortar grooves forming a space in which a watertight material is filled in at least one of the joining surfaces of the first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concrete member may be formed along each joining surface of the first culvert and the second culvert. have.

그리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몰탈 홈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may be located inside the mortar groove.

또한, 상기 제1콘크리트 부재와 제2콘크리트 부재의 사이에 지수재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ndex memb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concrete member.

또한, 상기 제1콘크리트 부재 및 제2콘크리트 부재는, 내부에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공동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concrete member, it may be made to include a hollow sphe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side.

또한, 상기 제1콘크리트 부재 및 제2콘크리트 부재는 단면이 ∪ 형태의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연통되는 공동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concrete member may be made of a hollow sphe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made of a cross-sectional shape of one side of the shape of the ∪.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제품 어셈블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oncrete produc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종래의 인장강선이 암거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데 반하여, 본 발명은 암거의 높이 또는 폭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그 길이가 짧아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지반의 부등침하시 종래와 동일한 하중이 작용되어도 늘어나는 길이는 짧아질 수 있어 암거의 침하량이 최소화되며, 그에 따른 수밀 파괴현상 및 하수 유출, 지하수 유입, 인장강선의 부식 등도 최소화 시킬 수 있다.First, while the conventional tensile steel wire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lvert,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the height or width direction of the culvert, so that its length can be shortened, so that the same load as the prior art acts upon uneven settlement of the ground. The length of the culvert can be shortened even if it is minimized, thereby minimizing watertight destruction, sewage outflow, groundwater inflow, and corrosion of tensile steel.

둘째, 종래에는 암거를 밀착시킨 후 정착홀에 메움 작업이 필요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암거는 암거 중간의 정착홀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해당작업이 필요 없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된다.Second, in the prior art, the culvert needs to be filled in the fixing hole after closely contacting the culvert, but the prefabricated culve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he fixing hole in the middle of the culvert, and thus does not need the corresponding work,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셋째, 인장강선의 삽입을 위해 암거에 홀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암거 내부에 배치된 철근이 손상될 우려가 없다.Third, since there is no need to form a hole in the culvert for the insertion of the tensile steel wire, there is no fear that the rebar disposed inside the culvert is damaged.

넷째, 암거가 곡선으로 시공될 시에도 직선부분과 동일한 밀착력을 제공할 수 있어 인장강선 및 암거의 조기파손이 방지된다.Fourth, even when the culvert is constructed in a curved line can provide the same adhesion as the straight portion to prevent premature failure of the tensile steel wire and culvert.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제품 어셈블리는 제1콘크리트부재와 제2콘크리트 부재 및 체결부와 인장강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crete produc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concrete member and a second concrete member and a fastening portion and a tensile steel wire.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제품 어셈블리의 예로서 콘크리트로 미리 조형되어 현장에서 조립된 후 매설되는 PC암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콘크리트 어셈블리는 제1암거와 제2암거 및 체결부와 인장강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of the concrete product assembly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of a PC culvert that is pre-molded with concrete and then assembled in the field.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crete assembly may include a first culvert, a second culvert, a fastening part, and a tensile steel wire.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암거(100)는 내부에 공동구(102)가 형성되도록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first culvert 100 may be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such that the cavity 102 is formed therein.

또한, 제2암거(200)가 상기 제1암거(100)의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제2암거(200)는 내부에 형성된 공동구가 상기 제1암거(100)의 공동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a second culvert 2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culvert 100. The second culvert 200 is formed such that the hollow sphere formed therein communicates with the hollow sphere of the first culvert 100.

여기서, 상기 제1암거(100) 및 제2암거(200)는 여러가지 단면형태를 취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암거(100) 및 제2암거(200)의 단면이 대략 사각형의 형태를 취하며, 내부에 서로 연통되는 공동구(102)가 형성되는 것을 들기로 한다. 물론, 상기 제1암거(100) 및 제2암거(200)는 물론, 제1콘크리트 부재 및 제2콘크리트 부재는 ∪ 형태 및 L 이나 T 자 형태의 다양한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culvert 100 and the second culvert 200 may take a variety of cross-sectional shape, in this embodiment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culvert 100 and the second culvert 200 is in the shape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To take, the cavity sphere 102 is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is formed inside. Of course, the first culvert 100 and the second culvert 200, as well as the first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concrete member may be formed in a cross-section of various shapes of the shape of L and T-shaped.

상기 제1암거(100)와 제2암거(200)는 서로 결합되는데, 서로 맞닿는 면을 접합면이라 부르기로 한다.The first culvert 100 and the second culvert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surfaces that abut each other will be referred to as a bonding surface.

상기 제1암거(100) 및 제2암거(200)의 접합면에는 도 3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 너트(110,210)와 체결용 볼트(120,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체결부가 소정개소 구비된다.As shown in FIGS. 3 and 4, joining surfaces of the first culvert 100 and the second culvert 200 are provided with a fastening part including insert nuts 110 and 210 and fastening bolts 120 and 220. do.

도 3에 상기 인서트 너트(110)와 체결용 볼트(120)로 이루어진 체결부가 상기 제1암거(100)의 접합면 양측에 제1암거(100)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3 illustrates a fastening part including the insert nut 110 and the fastening bolt 120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culvert 100 on both sides of the joint surface of the first culvert 100. .

상기 제2암거(200)의 결합면 또한 상기 제1암거(100)의 결합면과 대칭적인 형태로 이루어지며, 인서트 너트(210)와 체결용 볼트(220)로 이루어진 체결부가 제2암거(200)의 접합면 양측에 제2암거(200)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된다.The engaging surface of the second culvert 200 is also made of a symmetrical form with the engaging surface of the first culvert 100, the fastening portion consisting of the insert nut 210 and the fastening bolt 220 is the second culvert 200 ) Is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econd culvert 200 on both sides of the bonding surface.

그리고, 상기 인장강선(3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암거(100)와 제2암거(200)가 결합되었을 때 어느 일측 열의 서로 마주보는 체결용 볼트(120,220)들에 삽입된다.In addition, the tensile steel wire 30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bolts 120 and 220 facing each other in one row when the first culvert 100 and the second culvert 200 are coupled, as shown in FIG. 9. do.

또한, 나머지 다른 열의 서로 마주보는 체결용 볼트(120,220)에도 또 다른 인장강선(300)이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Further, another tensile steel wire 30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bolts 120 and 220 facing each other in the other rows.

즉, 상기 인장강선(300)은 자체의 장력으로서 마주보는 제1암거(100)와 제2암거(200)의 체결용 볼트(120,220)를 잡아당겨 상기 제1암거(100)와 제2암거(200)를 잡아당김으로써 서로를 밀착시키는 구성요소 이다.That is, the tensile steel wire 300 pulls the fastening bolts 120 and 220 of the first culvert 100 and the second culvert 200 facing each other as the tension of the first culvert 100 and the second culvert ( 200) by pulling the component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체결용 볼트들(120,220)이 암거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므로, 상기 인장강선(300) 또한 암거의 높이방향으로 장력이 작용되며, 이는 상기 암거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Since the fastening bolts 120 and 220 are form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ulvert, the tensile steel wire 300 is also tension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ulvert, which may be express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lvert. .

상기 체결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 너트(110)와 체결용 볼트(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fastening part may include an insert nut 110 and a fastening bolt 120.

상기 인서트 너트(110)는 상기 제1암거(100) 또는 제2암거(200)의 제조시 각 접합면에 삽설되어 형성된다.The insert nut 110 is inserted into each joining surface when the first culvert 100 or the second culvert 200 is manufactured.

여기서, 상기 제1암거(100)측에 형성된 인서트 너트(110)와, 이와 마주보는 상기 제2암거(200)측에 형성된 인서트 너트(210)는 상기 제1암거(100)와 제2암거(200)가 결합되었을 때 서로 마주보지 않도록 서로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된다. Here, the insert nut 110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culvert 100 and the insert nut 210 formed on the side of the second culvert 200 facing the first culvert 100 and the second culvert ( 200 are formed at staggered positions so that they do not face each other when joined.

그리고, 상기 체결용 볼트(120)는 상기 인서트 너트(110) 에 체결되도록 일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인장강선(300)이 관통되는 관통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bolt 120 may have a screw thread formed at one side thereof to be fastened to the insert nut 110, and a through hole 122 through which the tensile steel wire 300 penetrates at the other side thereof.

또한, 제1암거(100)측에 설치된 체결용 볼트(120)와 제2암거(200)측에 설치된 체결용 볼트(220)의 각 관통홀은 횡단면상 서로 중첩되지 않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through-holes of the fastening bolt 120 installed on the first culvert 100 and the fastening bolt 220 installed on the second culvert 200 have a length such that they do not overlap each other in the cross section. Can be done.

한편, 상기 체결부는 상기 인서트 너트와 고정용 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Meanwhile, the fastening part may include the insert nut and the fixing bolt.

상기 인서트 너트는 전술한 인서트 너트(110)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insert nut is the same as the insert nut 110 described abov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고정용 볼트는 긴장된 상태의 인장강선(300)을 고정하여 장력을 유지시키는 구성요소 이다.The fixing bolt is a component for maintaining the tension by fixing the tensile steel wire 300 in a tensioned state.

상기 고정용 볼트는 상기 제1암거(100)와 제2암거(200) 중 어느 일측의 양 끝단부에 구비된 인서트 너트(110,210)에 체결될 수 있다.The fixing bolt may be fastened to insert nuts 110 and 210 provided at both ends of one side of the first culvert 100 and the second culvert 200.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용 볼트는 제1고정볼트(130)와 제2고정볼트(140)로서 두가지 종류의 고정용 볼트가 개시되며, 상기 제1고정볼트(130)와 제2고정볼트(140)가 상기 제1암거(100)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wo types of fixing bolts are disclosed as the first fixing bolt 130 and the second fixing bolt 140, and the first fixing bolt 130 and the second fixing bolt ( For example, 140 is installed in the first culvert 1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and various combinations are possible.

상기 제1고정볼트(130)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장강선(300)의 일측끝단을 암거측에 고정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1암거(100)의 접합면에 설치된 인서트 너트(110)중 일측 끝, 바람직 하게는 하측 끝단에 설치된 인서트 너트(110)에 체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6, the first fixing bolt 130 is a component that fixes one end of the tensile steel wire 300 to the culvert side, and is connected to the bonding surface of the first culvert 100. One end of the insert nut 110 is installed, it may be fastened to the insert nut 110 is installed on the lower end.

상기 제1고정볼트(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인서트 너트(110)에 체결가능 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부는 중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공의 내주면은 인장강선이 긴장되는 방향의 반대편, 즉, 맞은편의 암거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first fixing bolt 130 has a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as to be fastened to the insert nut 110, and the inside of the first fixing bolt 130 is hollow. The taper may be formed to be narrowed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tensioned direction, that is,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ulvert.

또한, 상기 인장강선(300)의 끝단에는 강선고정장치(3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강선고정장치(310)는 인장강선(300)의 각 끝단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은 인장강선(300)의 끝단을 향할수록 지름이 넓어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 steel wire fixing device 310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tensile steel wire 300.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310 is formed inside the hollow to be inserted and fixed to each end of the tensile steel wire 300,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may be made to be wider toward the end of the tensile steel wire (300).

또한, 상기 강선고정장치(3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강선(300)이 긴장될 때 제1고정볼트(130)의 내주면을 따라 미끄러지며 인장강선(300)을 압착하여 고정하기에 용이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분할 된 2개 이상의 조각으로 분할되어 있을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310 slide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ixing bolt 130 when the tensile steel wire 300 is tensioned, and compresses and fixes the tensile steel wire 300. I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pieces di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acilitate the operation.

또한, 상기 강선고정장치(310)의 외주면에는 2개 이상으로 분할된 강선고정장치(310)을 일체화 시키고 강선고정장치가 인서트너트(10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목적의 O-ring 형태의 고무 링(314)이 삽입되는 홈(312)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310 of the O-ring type for the purpose of integrating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310 divided into two or more and suppress the movement of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in the direction of the insert nut (100). A groove 312 into which the rubber ring 314 is inserted may be formed.

그리고, 상기 인장강선(300)의 양 끝단에 각각 구비된 강선고정장치(310) 중 어느 일단의 강선고정장치(310)가 상기 제1고정볼트(130)의 테이퍼진 내주면에 삽입된다. 이 때, 강선고정장치(310)의 최대지름은 제1고정볼트(130)의 테이퍼진 내주면의 최소 지름보다 크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인장 강선(300) 및 강선고정장치(310)가 제1고정볼트(130)에서 탈거되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any one of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310 of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310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ensile steel wire 300 is inserted into the tapered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fixing bolt 130. At this time, the maximum diameter of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310 is preferably made larger than the minimum diameter of the tapered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fixing bolt (130). Therefore, the tensile steel wire 300 and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310 may not be removed from the first fixing bolt 130.

또한, 상기 제2고정볼트(140)는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장강선(300)이 긴장 작업 후 인장강선(300)의 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고정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1고정볼트(130)가 설치된 면에 구비된 인서트 너트(110) 중 타측 끝단, 즉 상측 끝에 위치된 인서트 너트(110)에 삽입체결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3 and 8, the second fixing bolt 140 is a component in which the tensile steel wire 300 is fixed in a state where the tension of the tensile steel wire 300 is maintained after the tensioning operation. The other end of the insert nut 110 provided on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fixing bolt 130 is installed is inserted into the insert nut 110 located at the other end.

상기 제2고정볼트(1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인서트 너트(110)에 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인장강선이 관통될 수 있는 홀(14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142)은 상기 인장강선(300)이 당겨지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second fixing bolt 140 has a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that one end thereof can be fastened to the insert nut 110, and a hole 142 through which a tensile steel wire can pass. Is formed. The hole 142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ensile steel wire 300 is pulled.

또한, 상기 제2고정볼트(140)는 상기 인장강선(300)이 긴장될 때 제1암거(100)의 벽면에 지지되어 제2고정볼트(140)에 가하지는 하중에 보다 견고히 견딜 수 있도록 하측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fixing bolt 140 is support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first culvert 100 when the tensile steel wire 300 is tensioned to lower the load to be applied to the second fixing bolt 140 more firmly It can be formed to extend.

그리고, 상기 제2고정볼트(140)의 외측에 상기 인장강선(300)의 타측 끝단의 강선고정장치(310)가 삽입되는 지지탭(320)이 구비된다.In addition, a support tab 320 is inserted into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310 of the other end of the tensile steel wire 300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fixing bolt 140.

상기 지지탭(320)은 상기 제2고정볼트(14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인장강선(300)의 타측 끝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테이퍼진 형태의 중공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지지탭(320)의 제2고정볼트(140) 측 내주면 최소 지름은 상기 강선고정장치(310)의 최소지름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tab 320 is supported by the second fixing bolt 140, the hollow of the tapered form is widened toward the other end of the tensile steel wire 300 is formed. At this time, the minimum diameter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bolt 140 side of the support tab 320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minimum diameter of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310).

따라서, 인장강선(300)의 타측 끝단의 강선고정장치(310)가 상기 지지탭(320)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지지탭(320)은 제2고정볼트(140)에 지지되 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인장강선(300)이 강선고정장치(310) 및 지지탭(320)을 제2고정볼트(140) 측으로 당기고 있으므로 지지탭(320) 및 강선고정장치(310)가 탈거되지 않는다.Therefore,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310 of the other end of the tensile steel wire 300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tab 320, the support tab 320 is supported by the second fixing bolt 140. . At this time, since the tensile steel wire 300 is pulling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310 and the support tab 320 to the second fixing bolt 140 side, the support tab 320 and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310 is not removed.

한편, 제1암거(100) 또는 제2암거(200)의 접합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 면에 몰탈홈(106)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라는 말은 상기 제1암거(100)측의 접합면 또는 제2암거(200)측 접합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양측 접합면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라는 의미이다.Meanwhile, the mortar groove 106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bonding surface of the first culvert 100 or the second culvert 200. Herein, the term "formed in at least one of" means that the bonding surface on the side of the first culvert 100 or the second culvert 200 may be formed on the bonding surface or both bonding surfaces.

그리고, 상기 인서트 너트(110,210)와 체결용 볼트(120,220) 또는 고정용 볼트(130,140)로 이루어진 체결부는 상기 몰탈홈(106)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fastening part including the insert nuts 110 and 210 and the fastening bolts 120 and 220 or the fastening bolts 130 and 140 may be located inside the mortar groove 106.

또한, 상기 몰탈홈(106)의 둘레로 지수재(520)가 링과 같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ex member 520 around the mortar groove 106 may be provided as a ring.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조립식 암거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It will be describe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fabricated culver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암거(100)와 제2암거(200)의 각 접합면에 삽설된 인서트 너트(110,210)에 체결용 볼트 (120, 220) 및 제2고정볼트(140)를 설치한다.First, as shown in FIG. 4, the fastening bolts 120 and 220 and the second fixing bolt 140 are inserted into the insert nuts 110 and 210 inserted into the joint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ulverts 100 and 200. Install).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상기 제2고정볼트(140) 및 제1암거(100)와 제2암거(200)의 체결용 볼트(120,220) 모두에 상기 인장강선(300)을 관통 설치한다.As shown in FIG. 9, the tensile steel wire 300 penetrates through the installed second fixing bolt 140 and the fastening bolts 120 and 220 of the first culvert 100 and the second culvert 200. Install.

그리고, 상기 인장강선(300)의 일측 끝단부를 제1고정볼트(130)에 형성된 관통홀의 나사부 반대측으로부터 삽입시킨 후 강선고정장치(310)을 인장강선(300) 의 끝단에 삽입하고 인장강선(300)을 당겨 강선고정장치(310)가 제1고정볼트(130)에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제1고정볼트(130)를 상기 제1암거(100)의 맨 하측의 인서트 너트(110)에 체결한다. Then, one end of the tensile steel wire 300 is inserted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threaded portion of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first fixing bolt 130, and then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310 is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tensile steel wire 300 and the tensile steel wire 300 Pull) so that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3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bolt 130, and the first fixing bolt 130 is fastened to the insert nut 110 of the bottom of the first culvert 100.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잭(400) 등의 별도 기구를 사용하여 인장강선(300)의 타측으로 당겨 긴장시킨다. 긴장된 인장강선(300)은 팽팽하게 당겨지며 그에 따라 상기 제1암거(100)와 제2암거(200)가 서로 밀착된다.And, as shown in Figure 10, by using a separate mechanism such as the hydraulic jack 400 to pull to the other side of the tensile steel wire 300 to tension. The tensioned tensile steel wire 300 is pulled taut and thus the first culvert 100 and the second culvert 20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제1암거(100)와 제2암거(200)가 충분히 밀착된 후엔 유압잭(400)으로 당겨진 인장강선(300)의 타단을 절단한 후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끝단에 강선고정장치(310) 및 지지탭(320)을 설치한다.After the first culvert 100 and the second culvert 200 are sufficientl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other end of the tensile steel wire 300 drawn by the hydraulic jack 400 is cut, as shown in FIG. Install the 310 and the support tab 320.

이 때 상기 제2고정볼트(140) 측의 인장강선(300)을 고정하는 또 다른 방법은 인장강선(300)을 긴장하기 전에 인장강선(300)의 끝단에 강선고정장치(130) 및 지지탭(320)을 먼저 설치설치 한 후 인장강선(300)을 유압잭(400)으로 긴장시킨 후, 강선고정장치(310)를 지지탭(320)의 내부 관통홀로 밀어넣어 인장강선(300)을 고정하여 긴장력이 유지되게 한 후 인장강선(300)의 타단을 절단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another method of fixing the tensile steel wire 300 on the side of the second fixing bolt 140 is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130 and the support tab at the end of the tensile steel wire 300 before tensioning the tensile steel wire 300 After installing (320) first and tensioning the tensile steel wire (300) with the hydraulic jack 400, and then push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310 into the inner through hole of the support tab 320 to fix the tensile steel wire (300) After the tension is maintained, a method of cutting the other end of the tensile steel wire 300 may be used.

상기 인장강선(300)이 긴장된 상태이므로, 그 장력에 의해 상기 인장강선(300)의 양 단에 설치된 강선고정장치(310)가 당겨지게 되는데, 상기 강선고정장치(310)가 지지되는 제1고정볼트(130)의 내주면 및 지지탭(320)의 내주면이 테이퍼지게 경사형성 되어 있으므로 상기 강선고정장치(310)가 상기 제1고정볼트(130) 및 지지탭(320)으로부터 탈거되지 않아 상기 인장강선(300)의 장력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선고정장치(310)는 상기 인장강선(300)의 장력에 의해 당겨지면서 압착되어 상기 강선고정장치(310)와 인장강선(300)간의 고정력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Since the tensile steel wire 300 is in a tensioned state,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310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tensile steel wire 300 is pulled by the tension, and the first fixing of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310 is supported. Sinc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lt 13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tab 320 are inclined to be tapered,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310 is not removed from the first fixing bolt 130 and the support tab 320 so that the tensile steel wire Tension of 300 may be maintained. In addition,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310 may be pressed while being pulled by the tension of the tensile steel wire 300 may further increase the fixing force between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310 and the tensile steel wire (300).

이 때, 상기 강선고정장치(310)의 제2고정볼트(140)측 끝단은 제1암거(100) 또는 제2암거(200)의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고 몰탈홈(106) 내부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end of the second fixing bolt 140 side of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310 is made to be located in the mortar groove 106 without departing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culvert 100 or the second culvert 200. desirable.

상기와 같은 작업은 상기 제1암거(100)와 제2암거(200)의 양측 접합면에 구비된 체결부에 각각 이루어져 상기 제1암거(100)와 제2암거(200)를 결합시킬 수 있다.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made in each of the fastening portion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joining surface of the first culvert 100 and the second culvert 200 to combine the first culvert 100 and the second culvert 200. .

또한, 상기와 같이 인장강선(300)의 긴장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몰탈유입구(108)를 통해 상기 몰탈홈(106)에 몰탈(510)등의 수밀재를 주입하여 수밀성을 강화한다.In addition, after the tension operation of the tensile steel wire 300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1, a watertight material such as mortar 510 is injected into the mortar groove 106 through the mortar inlet 108. To enhance watertightness.

상기 몰탈홈(106) 내부에 인장강선(300) 및 체결부가 위치되므로, 도 12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몰탈(510)에 의해 상기 인장강선(300) 및 체결용 볼트(120,220) 및 제1고정볼트(130), 제2고정볼트(140), 지지탭(320)등이 덮이게 된다. Since the tensile steel wire 300 and the fastening portion are located inside the mortar groove 106, the tensile steel wire 300 and the fastening bolts 120 and 220 by the mortar 510 as shown in FIGS. 12 and 13 and The first fixing bolt 130, the second fixing bolt 140, the support tab 320 is covered.

따라서, 상기 몰탈(510)은 암거로부터 하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밀재의 역할과 동시에 상기 인장강선(300) 및 체결부가 지하수등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피복재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rtar 510 may simultaneously serve as a watertight material for preventing sewage from leaking from a culvert and at the same time serving as a coating material for preventing the tensile steel wire 300 and the fastening portion from being corroded by groundwater.

또한, 상기 몰탈(510)은 상기 인장강선(30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시공 후 움직이면서 긴장력이 이완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상기 제1암거(100)과 제2암거(200)의 밀착력이 변함없이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ortar 510 is fixed so that the tensile steel wire 300 does not mov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tension force is relaxed while moving after construction, the adhesion between the first culvert 100 and the second culvert 200 is You can also keep it constant.

상기한 시공방법의 설명외에도,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콘크리트 어셈블리는 상기 제1암거(100) 및 제2암거(200)의 양측 접합면에 형성된 체결부에 하나의 인장강선(300)으로 모두 체결하는 방법으로 시공될 수 도 있다. In addition to the description of the construction metho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concret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tensile steel wire 300 in the fastening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joint surface of the first culvert 100 and the second culvert 200 It can also be constructed by fastening all together.

즉, 상기 제1고정볼트(130)의 위치에 체결용 볼트(120)를 결합한 후에, 상기 제1암거(100) 및 제2암거(200)의 양측 접합면에 형성된 체결부를 하나의 인장강선으로 관통 시킨 후, 상기 인장강선(300)의 일단을 상기 지지탭(320) 및 강선고정장치(310)를 사용하여 일측 접합면에 형성된 제2고정볼트(140)에 고정시키고, 상기 인장강선(300)의 타단도 상기 지지탭(320) 및 강선고정장치(310)를 사용하여 타측 접합면에 형성된 제2고정볼트(140)에 고정시킨다. That is, after coupling the fastening bolts 120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fixing bolt 130, the fastening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joint surface of the first culvert 100 and the second culvert 200 as one tensile steel wire After penetrating, one end of the tensile steel wire 300 is fixed to the second fixing bolt 140 formed on one side of the joint surface using the support tab 320 and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310, and the tensile steel wire 300 The other end of the) is fixed to the second fixing bolt 14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nding surface using the support tab 320 and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310.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인장강선(300)을 긴장시킨 후 상기 인장강선(300)의 양단을 절단하여 긴장력을 유지시킬 수도 있다. In addition, after tensioning the tensile steel wire 300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oth ends of the tensile steel wire 300 may be cut to maintain the tension force.

한편, 상기 제1콘크리트 부재 및 제2 콘크리트 부재는 기 제작되어 현장에서 조립되는 PC암거외에도, 수로관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이 수로관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concrete member, in addition to the PC culvert prefabricated and assembled in the field, a water pipe can also be applied.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4 as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water pipe.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제품 어셈블리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로관(300)과 제2수로관(400) 및 체결부와 인장강선(300: 도 9참조)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the concrete produc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water pipe 300, a second water pipe 400, a fastening part, and a tensile steel wire 300 (see FIG. 9).

상기 제1수로관(300)과 제2수로관(400)은 콘크리트로 제작되고, 상측이 개 방된 형태의 공동구가 형성된 ∪ 형상의 단면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waterway pipe 300 and the second waterway pipe 400 may be made of concrete and formed to have a 를 -shaped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a cavity is formed in the upper side thereof.

그리고, 상기 제1수로관(300)의 일측에 상기 제2수로관(400)이 결합되며, 이 때, 상기 제1수로관(300)의 공동구와 제2수로관(400)의 공동구가 연통된다.In addition, the second water pipe 40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water pipe 300, and at this time, the cavity of the first water pipe 300 and the cavity of the second water pipe 40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제1수로관(300)과 제2수로관(400)이 서로 결합되는 결합면을 접합면이라 부르기로 한다.Here, the coupling surface to which the first water pipe 300 and the second water pipe 400 are coupled to each other will be referred to as a bonding surface.

그리고, 상기 제1수로관(300)의 접합면과 제2수로관(400)의 각 접합면에는 인서트 너트(110)와 체결용 볼트(120) 및 고정용 볼트(130, 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체결부가 소정개소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surface of the first water pipe (300) and the coupling surface of the second water pipe (400) includes an insert nut 110, a fastening bolt 120 and a fixing bolt (130, 140) fastening Additional portions may be provided.

이하, 상기 체결부의 구성 및 구조와, 상기 체결부에 체결된 후 긴장되어 상기 제1수로관(300)과 제2수로관(400)을 결합고정시키는 인장강선(300: 도 9참조)의 형태 및 제1수로관(300)과 제2수로관(400)의 고정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structure of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shape and the second of the tensile wire (300: see Fig. 9) for tightening and fastening the first water pipe 300 and the second water pipe 400 after being fastened to the fastening portion Since the fixing method of the first water pipe 300 and the second water pipe 400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지 않은 다른 사항들도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당업자라면 능히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other matters not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perform the same.

또 한편, 상기 제1콘크리트 부재 및 제2 콘크리트 부재는 기 제작되어 현장에서 조립되는 암거외에도, 논 또는 밭의 구획에 사용되는 블록 또는 옹벽블럭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이 블록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기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concrete member may be applied to blocks or retaining wall blocks used for partitions of rice fields or fields, in addition to culverts that are manufactured and assembled in the fiel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IG. 15 is taken as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lock.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제품 어셈블리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블록(500)과 제2블록(600) 및 체결부와 인장강선(300: 도 9참조)을 포함하여 이 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the concrete produc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block 500 and a second block 600, a fastening part, and a tensile steel wire 300 (see FIG. 9). have.

상기 제1블록(500)과 제2블록(600)은 콘크리트로 제작되고, 대략 T자 형태의 단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논 또는 밭의 구획에 사용되거나 또는 토사의 유실을 막는 옹벽을 이루는 블록에도 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block 500 and the second block 600 is made of concrete, formed to form a cross-section of the approximately T-shape, used in the partitions of rice fields or fields, or blocks that form a retaining wall to prevent the loss of soil Can be used.

그리고, 상기 제1블록(500)의 일측에 상기 제2블록(600)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블록(500)과 제2블록(600)이 서로 결합되는 결합면을 접합면이라 부르기로 한다.The second block 60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block 500. Here, the coupling surface to which the first block 500 and the second block 600 are coupled to each other will be referred to as a bonding surface.

그리고, 상기 제1블록(500)의 접합면과 제2블록(600)의 각 접합면에는 인서트 너트(110)와 체결용 볼트(120) 및 고정용 볼트(130, 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체결부가 소정개소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joining surface of the first block 500 and the joining surface of the second block 600 includes an insert nut 110, a fastening bolt 120, and fastening bolts 130 and 140. Additional portions may be provided.

이하, 상기 체결부의 구성 및 구조와, 상기 체결부에 체결된 후 긴장되어 상기 제1블록(500)과 제2블록(600)을 결합고정시키는 인장강선(300: 도 9참조)의 형태 및 제1블록(500)과 제2블록(600)의 고정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structure of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shape and the shape of the tensile steel wire 300 (see Fig. 9) to secure the first block 500 and the second block 600 is coupled after being fastened to the fastening portion Since the fixing method of the first block 500 and the second block 600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물론, 상기 제1블록(500) 및 제2블록(600)의 단면 형태는 T 자형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I 자 또는 L 자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Of cours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block 500 and the second block 600 is not limited to the T-shape, but may take various forms such as an I-shape or an L-shape.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지 않은 다른 사항들도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당업자라면 능히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other matters not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perform the same.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은 기 제작되어 현장에서 조립되는 맨홀의 조립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상부구체와 하부구체 등으로 분할된 맨 홀의 각 접합면에 상기 체결부와 인장강선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the assembly of the manhole prefabricated and assembled in the field. That is,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tensile steel wire may be provided on each joining surface of the manhole divided into an upper sphere and a lower sphere.

물론, 본 발명은 전술한 상기 PC암거 외에도 수로관이나 하수관, 구획용 블록 외에도 사전에 부분품의 형태로서 기 제작되어 현장에서 조립되는 다양한 콘크리트 시설물 등의 결합에도 적용될 수 있다.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combination of a variety of concrete facilities, such as a pre-fabricated in the form of parts in addition to the water pipe, sewage pipe, partition block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PC culver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thereof has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암거를 일부 절단하여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conventional prefabricated culvert;

도 2는 종래의 조립식 암거를 지지하는 지반이 부등침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ound supporting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culvert is unevenly settl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암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암거를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culve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prefabricated culve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암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암거와 제2암거의 접합면을 도시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onding surface of the first culvert and the second culve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culve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암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너트와 체결용 볼트를 도시한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ert nut and a fastening bo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prefabricated culve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암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너트와 제1고정볼트 및 강선고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ert nut, a first fixing bolt and a steel wir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prefabricated culve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PC암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선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l wir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prefabricated PC culve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암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너트와 제2고정볼트 및 지지탭과 강선고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ert nut, a second fixing bolt, a support tab, and a steel wir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prefabricated culve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4의 체결용 볼트 및 제1고정볼트와 제2고정볼트에 인장강선이 엮인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ensile steel wire is woven to the fastening bolt and the first fixing bolt and the second fixing bolt of Figure 4;

도 10은 도 9의 인장강선이 당겨져 긴장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ension state in which the tensile steel wire of Figure 9 is pulled;

도 11은 도 10의 인장강선이 절단되어 제2고정볼트에 지지된 상태를 도시 한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ensile steel wire of FIG. 10 is cut and supported by a second fixing bolt;

도 12는 도 11의 제1암거 및 제2암거의 몰탈홈에 몰탈이 충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mortar filled in mortar grooves of the first and second culverts of FIG. 11;

도 13은 도 12의 제1암거 및 제2암거의 접합면을 다른 각도에서 본 단면도;FIG. 13 is a sectional view of the bonding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culverts of FIG. 12 viewed from different angles; FIG.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콘크리트 부재 및 제2콘크리트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그리고,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concrete member and a second concret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콘크리트 부재 및 제2콘크리트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1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concrete member and a second concret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제1암거 102: 공동구100: first culvert 102: hollow ball

106: 몰탈 홈 108: 몰탈 주입구 106: mortar groove 108: mortar inlet

110: 인서트 너트 120: 체결용 볼트 110: insert nut 120: fastening bolt

122: 관통홀 130: 제1고정볼트 122: through hole 130: first fixing bolt

140: 제2고정볼트 142: 홀 140: second fixing bolt 142: hole

200: 제2암거 210: 인서트 너트 200: second culvert 210: insert nut

220: 체결용 볼트 300: 인장강선 220: fastening bolt 300: tensile steel wire

310: 강선고정장치 320: 지지탭 310: steel wire fixing device 320: support tab

400: 유압잭 510: 몰탈 400: hydraulic jack 510: mortar

520: 지수재520: index material

Claims (16)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제1콘크리트 부재;A first concrete member made of concrete; 상기 제1콘크리트 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콘크리트 부재;A second concrete memb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concrete member; 상기 제1콘크리트 부재와 제2콘크리트 부재의 상호 접합면에 설치되는 체결부; 및A fastening part installed on a mutual joint surface of the first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concrete member; And 상기 제1콘크리트 부재와 제2콘크리트 부재에 설치된 체결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콘크리트 부재와 제2콘크리트 부재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장력이 작용되도록 긴장되어 상기 각 체결부를 당김으로써 상기 제1콘크리트 부재와 제2콘크리트 부재를 밀착시키는 인장강선;The first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concret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ortion, the first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concrete member is tensioned so as to act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crete member by pulling the respective fastening portion A tensile steel wire for closely contacting the one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concrete member;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제품 어셈블리.Concrete product assembly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체결부는,The fastening portion, 상기 제1콘크리트 부재 및 제2콘크리트 부재의 상호 각 접합면에 구비되는 인서트 너트;Insert nuts provided on the joint surfaces of the first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concrete member; 상기 인서트 너트에 체결되며, 상기 인장강선이 관통되는 관통홀을 구비한 체결용 볼트;A fastening bolt fastened to the insert nut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tensile steel wire passes;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제품 어셈블리.Concrete product assembly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콘크리트 부재의 접합면에 구비된 체결용 볼트와 상기 제2콘크리트 부재의 접합면에 설치된 체결용 볼트는 상기 제1콘크리트 부재와 제2 콘크리트 부재의 결합시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어셈블리.The fastening bolt provided on the joining surface of the first concrete member and the fastening bolt installed on the joining surface of the second concrete member are formed at staggered positions when the first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concrete member are joined. Concrete product assembl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체결부는,The fastening portion, 상기 제1콘크리트 부재 및 제2콘크리트 부재의 상호 각 접합면 둘레에 구비되는 인서트 너트;An insert nut provided around each joining surface of the first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concrete member; 상기 인서트 너트에 체결되며, 상기 인장강선의 끝단이 고정되는 고정용 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어셈블리.The concrete product assembly is fastened to the insert nu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bolt fixed to the end of the tensile steel wir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고정용 볼트는 상기 인장강선이 긴장되는 방향의 반대편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중공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어셈블리.The fixing bolt is a concrete produc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 tapered hollow so as to narrow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tension wire tension direction.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인장용 강선이 상기 고정용 볼트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강선고정장 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어셈블리.Concrete produc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is further provided to be fixed to the fixing steel wire for the fixing bolt.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강선고정장치는 상기 인장강선에 끝단이 고정되도록 형성된 중공과,The steel wire fixing device is a hollow formed so that the end is fixed to the tensile steel wire, 상기 인장강선이 긴장되는 방향의 반대편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외주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어셈블리.The concrete produc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have an outer peripheral surface tapered to narrow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tension wire tension direction.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강선고정장치는 복수개로 분할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어셈블리.The steel wire fixing device is a concrete produc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divided into a plurality.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강선고정장치는 상기 고정용 볼트의 내주면에 삽입되며, 상기 인장강선의 장력에 의해 일측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고정용 볼트의 테이퍼진 내주면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인장강선을 고정하는 고정력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어셈블리.The steel wire fixing device is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bolt, is pressed to one side by the tension of the tensile steel wire is pressed by the tapere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bol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force for fixing the tensile steel wire is increased Concrete product assembly made with.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강선고정장치의 외주면에 상기 고정용 볼트의 내주면과 마찰되는 고무링이 삽입되는 홈이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어셈 블리.Concret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eel wire fixing device is inserted into the rubber ring friction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bol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콘크리트 부재와 제2콘크리트 부재의 접합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수밀재가 충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몰탈홈이 상기 제1콘크리트 부재와 제2콘크리트 부재의 각 접합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어셈블리.Mortar groove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water-tight material is filled in at least one of the joining surface of the first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concrete member is formed along each joining surface of the first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concrete member. Concrete product assembly. 제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몰탈홈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어셈블리.The fastening part is a concrete produc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within the mortar groov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콘크리트 부재와 제2콘크리트 부재의 사이에 지수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어셈블리.Concrete produc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ex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concrete memb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콘크리트 부재 및 제2콘크리트 부재는, 내부에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공동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어셈블리.The first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concrete member, the concrete produc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vity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erei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콘크리트 부재 및 제2콘크리트 부재는 단면이 ∪ 형태의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연통되는 공동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어셈블리. The first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concrete member is a concrete produc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one side of the shape of the open side comprises a hollow spher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고정용 볼트는 인장강선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고,The fixing bolt is made so that the hole through which the tensile steel wire is formed, 상기 고정용 볼트의 일면에 지지되고 내부에 테이퍼진 형태의 홀이 형성된 지지탭과, 외주면이 상기 지지탭의 홀에 삽입된 후 고정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인장강선이 관통고정되는 중공이 형성된 강선고정장치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제품 어셈블리.A steel wire having a support tab formed on a surface of the fixing bolt and having a tapered hole therein,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to be tapered to be fixed after being inserted into a hole of the support tab, and having a hollow through which the tensile steel wire is fixed. Concrete produc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device further comprises.
KR1020080118552A 2008-11-27 2008-11-27 Precast Concrete Box Culvert Assembly KR1010123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552A KR101012307B1 (en) 2008-11-27 2008-11-27 Precast Concrete Box Culvert Assembly
PCT/KR2009/006743 WO2010062078A2 (en) 2008-11-27 2009-11-17 Concrete product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552A KR101012307B1 (en) 2008-11-27 2008-11-27 Precast Concrete Box Culvert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106A true KR20100060106A (en) 2010-06-07
KR101012307B1 KR101012307B1 (en) 2011-02-10

Family

ID=42226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552A KR101012307B1 (en) 2008-11-27 2008-11-27 Precast Concrete Box Culvert Assembl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12307B1 (en)
WO (1) WO2010062078A2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259B1 (en) * 2022-08-29 2023-01-04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Two-way rapid construction pc cullver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800A1 (en) * 2016-09-23 2018-03-29 Lee Hoon Pooi Authorize parking system
CN107100643A (en) * 2017-05-24 2017-08-29 上海市隧道工程轨道交通设计研究院 Assembled snap joint and its application process for tunnel precast concrete section of jurisdiction
CN115262434A (en) * 2022-09-27 2022-11-01 山西建投建筑产业有限公司 Assembled integral four-cabin flood discharge box culvert haunch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308Y1 (en) 2000-06-10 2001-01-15 윤승언 Longitudinal coupling structure of assembled culverts
KR100431116B1 (en) * 2000-08-02 2004-05-20 주식회사 팜텍 The cooling helmet for working
CN1294121C (en) * 2001-05-31 2007-01-10 日本农药株式会社 Substituted anilide derivatives, intermediates thereof,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chemicals and their usage
KR200407613Y1 (en) 2005-10-26 2006-02-02 양학래 Precast concrete box with bolt connecting structure
KR20070077824A (en) * 2006-01-25 2007-07-30 두우균 Construction method of precast concrete box culvert with bolt connecting structure
KR20060069419A (en) * 2006-06-02 2006-06-21 류용진 This install structure and carrying out method with the watertight and flexible of the precast reinforced concrete box culverts
KR100824833B1 (en) 2006-09-13 2008-04-23 이수호 The Prefabricated Precast Concrete Culvert Connecting By Inserting Steel Rod Into R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259B1 (en) * 2022-08-29 2023-01-04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Two-way rapid construction pc cullver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2307B1 (en) 2011-02-10
WO2010062078A2 (en) 2010-06-03
WO2010062078A3 (en) 201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3009B1 (en) Precast culvert assembly for fastening insert
KR102077960B1 (en) PC culvert box connected metal strap joint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1012307B1 (en) Precast Concrete Box Culvert Assembly
KR100665811B1 (en) Device for connecting precast concrete structures
KR20060069419A (en) This install structure and carrying out method with the watertight and flexible of the precast reinforced concrete box culverts
KR100517312B1 (en) A fabricated closed conduit and its a construction method
KR100665041B1 (en) Assembly pc culvert and the spatial-temporal structure
KR101010721B1 (en) Manhole constructed underground electric power transmit or distribute
KR101194051B1 (en) Precast Concrete Culver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1806326B1 (en) Prefabricated precast concrete culvert with integral anchor embedded
KR20150131904A (en) Tension for both steel and precast concrete structures and its prod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s
KR100867414B1 (en) Precasted concrete retaining wall with tension
KR100910055B1 (en) Connecting apparatus and connecting method of precast concrete box units and precast concrete box unit comprising double connecting apparatus
KR200421750Y1 (en) precast concrete culvert block
KR100938853B1 (en) Precast panel with holes and connective structure and contructing method using thereof
KR20100003560U (en) Connecting apparatus of precast concrete box units
KR200464418Y1 (en) Reinforced body for underground structure
KR20100000979A (en) Manhole having separation prevention and improved safety and assemblage
KR20200004106A (en) Reinforcement member and construction method to reinforce concrete box
KR100726755B1 (en) Construction member for support of drainage
KR101286744B1 (en) Pc box connecting structure
KR200391844Y1 (en) Structure for culvert
KR200277616Y1 (en) The precast concrete prefabricated of road water supply undertrain
KR200420494Y1 (en) precast concrete culvert block
KR100903088B1 (en) Execution method for connection of precast culve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