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9405A - 모터 제어 회로 - Google Patents

모터 제어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9405A
KR20100059405A KR1020080118175A KR20080118175A KR20100059405A KR 20100059405 A KR20100059405 A KR 20100059405A KR 1020080118175 A KR1020080118175 A KR 1020080118175A KR 20080118175 A KR20080118175 A KR 20080118175A KR 20100059405 A KR20100059405 A KR 20100059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ignal
plc
control circuit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수
Original Assignee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8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9405A/ko
Publication of KR20100059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4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31/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P1/00 - H02P5/00, H02P7/00 or H02P21/00 - H02P29/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8/00Electricity: motor control systems
    • Y10S388/907Specific control circuit element or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모터 제어 회로는 피엘씨 및 모터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피엘씨는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모터 드라이버는 피엘씨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의 전류량을 증폭시켜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Description

모터 제어 회로{Circuit for controlling a motor}
본 발명은 모터 제어 회로에 관한 것으로, 동력 발생 장치로 사용되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각종 산업용기기나 공작기계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동력 발생장치로서, 구동 제어가 중요하다. 상기 모터는 모터 제어 회로에 의해 제어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기 모터 제어 회로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PLC의 출력 신호를 터미널 릴레이를 통하여 모터 드라이버로 전달한다. 상기 모터 드라이버는 상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한다.
상기 터미널 릴레이를 포함하는 모터 제어 회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상기 터미널 릴레이는 다수의 접점을 가지므로, 상기 릴레이에서 접점 불량이 발생할 여지가 많다. 상기 접점 불량이 발생하면 상기 모터가 오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 릴레이를 사용함으로 인해 상기 모터 제어 회로를 구성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상승한다.
그리고, 상기 모터 제어 회로가 상기 터미널 릴레이를 포함하므로, 상기 모터 제어 회로가 제어 설비의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
본 발명은 단순한 구조를 갖는 모터 제어 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제어 회로는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피엘씨(PLC) 및 상기 피엘씨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제어 신호의 전류량을 증폭시켜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모터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터 드라이버는 상기 제어 신호의 끊어지고 이어짐에 따라 회로를 여닫는 포토커플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제어 회로는 모터 드라이브가 릴레이의 기능을 수행하는 포토커플러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 제어 회로가 릴레이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릴레이 접점 불량으로 인한 모터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 릴레이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모터 제어 회로를 구성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설비에서 상기 모터 제어 회로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피엘씨와 상기 모터 드라이브가 직접 연결되므로, 상기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입출력 신호의 응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 제어 회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제어 회로(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모터 제어 회로(100)는 피엘씨(110) 및 모터 드라이버(120)를 포함한다.
상기 피엘씨(110)는 모터(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피엘씨(110)는 제어 처리를 담당하는 중앙 제어부, 입력 신호를 받아 중앙 제어부로 넘겨주는 입력부, 처리된 신호의 결과를 제어 대상에 전달해 주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신호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모터(10)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즉,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모터(10)의 정방향 회전 및 역방향 회전을 제어하는 신호이다.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모터(1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신호이다. 즉, 제2 신호는 상기 모터(10)의 동작과 멈춤을 제어하는 신호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터 드라이버(120)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모터 드라이버(120)는 상기 피엘씨(110) 및 모터(10)와 연결된다. 상기 모터 드라이버(120)는 상기 피엘씨(1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모터 드라이버(120)는 상기 피엘씨(110)의 제어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제어신호의 전류량을 증폭시켜서 상기 모터(1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모터 드라이버(120)는 출력된 구동 신호를 상기 모터(10)로 전달하고,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10)의 동작이 제어된다.
상기 피엘씨(110)와 상기 모터 드라이브(120) 사이에 상기 제어 신호가 중간 단계를 거치지 않으므로, 상기 피엘씨(110)의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모터 드라이브(120)로 직접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 신호의 응답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모터 드라이버(120)는 포토커플러(122)를 내장한다. 상기 포토커플러(122)는 광신호를 거쳐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포토커플러(122)는 상기 제어 신호의 끊어지고 이어짐이나 상기 제어 신호의 방향에 따라 회로를 여닫을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릴레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제어 회로(100)는 일반적인 릴레이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상기 릴레이로 인한 접점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 제어 회로(100)는 접점 불량으로 인한 상기 모터(1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모터(10) 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제어 회로(100)는 일반적인 릴레이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상기 릴레이로 공급되는 전원 배선과 단자대수를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모터 제어 회로(100)의 동작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우선, 피엘씨(110)는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모터 드라이버(120)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모터 드라이버(120)는 입력된 제어신호의 전류량을 증폭시켜서 상기 모터(1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모터(1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제어 회로는 모터 드라이브가 릴레이의 기능을 수행하는 포토커플러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 제어 회로가 릴레이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릴레이 접점 불량으로 인한 모터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 릴레이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모터 제어 회로를 구성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설비에서 상기 모터 제어 회로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피엘씨와 상기 모터 드라이브가 직접 연결되므로, 상기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입출력 신호의 응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 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제어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터 드라이버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모터 제어 회로 110 : 피엘씨
120 : 모터 드라이버 122 : 포토커플러
10 : 모터

Claims (2)

  1.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피엘씨(PLC); 및
    상기 피엘씨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제어 신호의 전류량을 증폭시켜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모터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모터 제어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드라이버는 상기 제어 신호의 끊어지고 이어짐에 따라 회로를 여닫는 포토커플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제어 회로.
KR1020080118175A 2008-11-26 2008-11-26 모터 제어 회로 KR201000594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175A KR20100059405A (ko) 2008-11-26 2008-11-26 모터 제어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175A KR20100059405A (ko) 2008-11-26 2008-11-26 모터 제어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405A true KR20100059405A (ko) 2010-06-04

Family

ID=42360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175A KR20100059405A (ko) 2008-11-26 2008-11-26 모터 제어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94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92158B (zh) 伺服系统
JP4783049B2 (ja) プロセス制御方法及び装置
US20100268386A1 (en) Robot system
JP2013061998A (ja) ケーブル導体に対する信号の入出力をプログラム制御するシステム
US7783915B2 (en) Automation system and a method and input/output assembly therefore
CN109644150B (zh) 串联模块、功能模块装置和模块化构造的控制装置
KR20020083140A (ko) 용접 시스템
CN101322209A (zh) 监测连接在开关设备上游的保护装置的方法
US20100036542A1 (en) System for setting a positioning member
CN100511045C (zh) 自动化设备的外围组件
KR20100059405A (ko) 모터 제어 회로
JP2008029161A (ja) モータ制御用シリアル通信装置
KR101622521B1 (ko) Plc 통신 장치
KR101004484B1 (ko) 통신모듈의 데이터 중계장치
EP3460995B1 (en) Power conversion device and safety function module
US20200249655A1 (en) System
JP5661821B2 (ja) 機械操作盤
CN104460530A (zh) 内置机器人控制器的数值控制装置
CN112612251A (zh) 信号处理方法、电路和装置
JP2009535769A5 (ko)
WO2013108831A1 (ja) 燃料噴射制御装置
EP2858257B1 (en) Isolated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US20220197250A1 (en) Pneumatic control device
CN114077236B (zh) 非入侵式通讯检查和控制装置
US20210109555A1 (en) Power supply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